KR20240005562A - 밀폐 핸들 장치 - Google Patents

밀폐 핸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562A
KR20240005562A KR1020220113272A KR20220113272A KR20240005562A KR 20240005562 A KR20240005562 A KR 20240005562A KR 1020220113272 A KR1020220113272 A KR 1020220113272A KR 20220113272 A KR20220113272 A KR 20220113272A KR 20240005562 A KR20240005562 A KR 20240005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handle
rotating shaft
shaft portion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미카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5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05B3/08Fastening the spindle to the foll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8Leaf or le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적어도 핸들 레버의 로크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하고 후크와 후크받이부를 확실하게 걸어맞추어, 문으로 하우징을 확실하게 밀폐한다.
(해결 수단)
본 장치(H)는 핸들 대좌(1) 내에서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회전 주위에, 적어도 밀폐용 핸들(h1)의 후크(2)와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와의 걸어맞춤 상태에서,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둘레면에 압접 가능하게 판스프링(7)을 갖추고, 이 판스프링(7)에 의해, 후크(2)와 후크받이부(6)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하도록 했다.

Description

밀폐 핸들 장치{SEALED HANDLE DEVICE}
본 발명은 문을 하우징의 개구 주위의 프레임에 밀착시켜 하우징을 밀폐하는 밀폐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문의 밀폐성이 요구되는 냉장고나 주방 설비, 의료 설비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설비에서는 문을 하우징의 개구 주위의 프레임에 밀착시켜 하우징을 밀폐하는 밀폐 핸들 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밀폐 핸들 장치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에 개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폐용 핸들(h81)과 핸들받이(h82)를 갖추어 구성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폐용 핸들(h81)은 핸들 대좌(811), 핸들 대좌(811)에 회전축(810)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크(812), 및 후크(812)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핸들 레버(813)를 가진다. 이 밀폐용 핸들(h81)에서는 회전축(810)은 핸들 대좌(8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선단이 핸들 대좌(811)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대좌측 회전축부(a)와, 핸들 레버(813)에 대좌측 회전축부(a)에 대하여 동축 상으로 돌출되는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b)와, 후크(812)에 설치되고, 대좌측 회전축부(a)와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b) 사이에 작동 연결되는 후크측 회전축부(c)로 이루어진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받이(h82)는 부착 베이스(821), 부착 베이스(821)로부터 대략 L자형으로 돌출되어, 밀폐용 핸들(h81)의 후크(812)를 받는 후크받이부(822)를 가진다.
이와 같이 하여 밀폐용 핸들(h81) 또는 핸들받이(h82)의 일방이 하우징의 개구 주위의 프레임측에 부착 나사에 의해 부착되고, 타방이 문측에 부착 나사에 의해 부착되어, 밀폐용 핸들(h81)의 후크(812)와 핸들받이(h82)의 후크받이부(822)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문을 하우징의 개구 주위의 프레임에 밀착시켜 하우징의 개구를 밀폐하도록 되어 있다.
도 13에 이 밀폐 핸들 장치의, 문의 밀폐성이 요구되는 설비에서의 사용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하우징(9A)은 상자형이며, 정면에 사각형의 오목부(91)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91)의 안쪽의 면에 사각형의 개구(90)가 형성된다. 이 정면의 오목부(91) 내에서 개구(90)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패킹(92)이 설치된다. 이 경우, 하우징(9A) 정면의 오목부(91) 밖의 주위가 밀폐용 핸들(h81) 또는 핸들받이(h82)의 일방이 부착되는 하우징(9A)의 프레임이 된다. 문(9B)은 하우징(9A) 정면의 오목부(91)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사각형이며, 오목부(91)의 깊이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된다. 이 문(9B)은 문(9B)의 정면 하부와 하우징(9A)의 정면의 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한 쌍의 힌지(93)를 통하여 하우징(9A)의 전방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설비에 있어서는, 문(9B)의 정면 상부 중앙에 밀폐용 핸들(h81)이 부착되고, 하우징(9A)의 정면의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핸들받이(h82)가 부착된다. 이 경우, 밀폐용 핸들(h81)은 가로 방향으로, 핸들 대좌(811)가 문(9B)의 정면 상부 중앙에 부착 나사에 의해 부착되고, 핸들 레버(813)가 문(9B)의 정면 상부 중앙에, 핸들 레버(813)의 길이 방향을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평행하게 향하게 하고, 후크(812)가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로크 위치와, 핸들 레버(813)의 길이 방향을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향하게 하고, 후크(812)가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대략 평행하게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하방으로 몰입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핸들받이(h82)는 가로 방향으로, 부착 베이스(821)가 하우징(9A)의 정면의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부착 나사에 의해 부착되고, 후크받이부(822)가 하우징(9A)의 정면의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대략 L자형의 선단을 하방을 향하게 하여, 문(9B)의 밀폐용 핸들(h81)의 후크(812)가 걸고 빼기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설비의 문(9B)을 열 때는, 핸들 레버(813)를 쥐고, 이 핸들 레버(813)를 대략 수평의 로크 위치로부터 대략 수직의 로크 해제 위치까지 회동시켜, 후크(812)와 핸들받이(h82)의 후크받이부(82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한 상태로부터, 문(9B)을 끌어내린다. 문(9B)을 닫을 때는, 핸들 레버(813)를 쥐고, 문(9B)을 하우징(9A) 정면을 향하여 밀어올려, 하우징(9A) 정면의 오목부(91) 내에 끼워넣고, 이 상태에서 핸들 레버(813)를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로 회동시켜, 후크(812)를 하우징(9A)의 프레임의 후크받이부(822)에 건다. 이와 같이 후크(812)를 후크받이부(822)에 거는 것으로, 문(9B)이 오목부(91) 내에 더욱 밀려들어가, 이 문(9B)의 압압에 의해 하우징(9A)의 개구(90) 전체 둘레 가장자리부의 패킹(92)이 압축되어, (패킹(92)의 반력에 의해) 하우징(9A)의 개구(90)는 완전히 밀폐되고, 이 밀폐 상태가 유지된다.
일본 특개 2014-098240호
그런데, 이와 같은 문에서는, 하우징의 개구 전체 둘레 가장자리부의 패킹이 새 것인 동안에는 패킹의 반력에 의해 문을 열고자 하는 힘이 작용하여, 문에 부착된 문용 핸들의 후크와 하우징에 부착된 핸들받이의 후크받이부가 서로 강하게 걸어맞춰져(바꾸어 말하면, 큰 압력으로 맞물려(서로 눌러)), 문 로크 상태가 유지되고, 또 핸들 레버의 수평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패킹의 경년 열화 등에 의해 반력의 복원성이 저하되면, 문용 핸들의 후크와 핸들받이의 후크받이부의 강한 걸어맞춤, 즉 큰 압력에 의한 맞물림(서로 누름)도 또한 저하되어, 로크 위치의 핸들 레버가 자중을 견뎌낼 수 없게 되어, 핸들 레버가 처지고, 핸들 레버가 과도하게 내려가면, 후크가 후크받이부로부터 빠져, 문이 열려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밀폐 핸들 장치에서는, 종래부터 로크 위치의 핸들 레버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대좌측 회전축부와 후크측 회전축부 사이에 파형 와셔 등을 개재시키고 있는데, 핸들 레버의 회동 조작의 반복에 의해, 이 와셔도 반복적으로 변형되어, 시간의 경과와 함께 많이 느슨해지기 때문에, 상기와 마찬가지의 문제는 피할 수 없다.
또 문용 핸들이나 핸들받이는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재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문의 개폐마다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후크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후크받이부가 서로 스쳐, 후크와 후크받이부 사이에 금속분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이러한 종류의 밀폐 핸들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핸들 레버의 로크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하여 후크와 후크받이부를 확실하게 걸어맞추고, 이로써 문으로 하우징을 확실하게 밀폐하는 것, 아울러 후크와 후크받이부의 서로 스침에 의한 금속분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핸들 대좌, 핸들 대좌에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크, 및 후크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핸들 레버로 이루어지는 밀폐용 핸들과, 상기 밀폐용 핸들의 상기 후크와 걸어맞춤 가능한 후크받이부를 가지는 핸들받이를 갖추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핸들 대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선단이 상기 핸들 대좌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대좌측 회전축부와, 상기 핸들 레버에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에 대하여 동축 상으로 돌출되는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와, 상기 후크에 설치되고,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와 상기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 사이에 작동 연결되는 후크측 회전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용 핸들 또는 상기 핸들받이의 일방이 문측에 부착되고, 타방이 하우징의 개구 주위의 프레임측에 부착되어, 상기 밀폐용 핸들의 상기 후크와 상기 핸들받이의 상기 후크받이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문을 하우징의 개구 주위의 프레임에 밀착시켜 하우징의 개구를 밀폐하는 밀폐 핸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 대좌 내에서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회전 주위에, 적어도 상기 밀폐용 핸들의 상기 후크와 상기 핸들받이의 상기 후크받이부와의 걸어맞춤 상태에서,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둘레면에 압접 가능하게 판스프링을 갖추고,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상기 후크와 상기 후크받이부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밀폐 핸들 장치는 또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1)판스프링은 대좌측 회전축부의 둘레면에 대하여 압접 가능하게 플랫한 가압면을 가지고,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둘레면에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면을 받는 플랫한 피가압면을 가지며,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면과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피가압면은, 상호 평행하게 접할 수 있도록, 또는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면과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피가압면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상기 밀폐용 핸들과 상기 핸들받이의 걸어맞춤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2)핸들 대좌 내에서 대좌측 회전축부의 회전 주위에, 아울러 밀폐용 핸들의 후크와 핸들받이의 후크받이부가 걸어맞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둘레면에 압접 가능하게 판스프링을 갖추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둘레면에 대하여 압접 가능하게 플랫한 가압면을 가지고,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둘레면에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면을 받는 플랫한 피가압면을 가지며,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면과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피가압면은, 상호 평행하게 접할 수 있도록, 또는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면과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피가압면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상기 밀폐용 핸들과 상기 핸들받이가 걸어맞춰지지 않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3)핸들받이의 후크받이부의 후크가 접하는 면에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어태치먼트가 적층 장착된다.
(4)핸들받이의 후크받이부의 후크가 접하는 면에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어태치먼트가 적층 장착되고,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기 후크가 접하는 면에서 상기 후크의 정규적인 걸어맞춤 위치로 상기 후크를 걸어맞춤 안내 가능한 가이드면이 형성된다.
(5)핸들 대좌의 대좌측 회전축부, 핸들 레버의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 및 후크의 후크측 회전축부의 축심에 각각 축 삽입통과 구멍을 가지고,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 상기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 및 상기 후크측 회전축부는 상기 각 축 삽입통과 구멍 사이에 삽입통과되는 연결축에 의해 작동 연결되고, 상기 후크측 회전축부의 상기 축 삽입통과 구멍은 상기 후크의 핸들받이의 후크받이부에 대한 걸어맞춤단 방향을 향하여 긴 긴구멍으로 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후크측 회전축부의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 및 상기 핸들 레버 회전축부와의 각 연결면에서 상기 긴구멍의 주위를 따라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 및 상기 핸들 레버 회전축부의 상기 후크측 회전축부와의 연결면에 각각 상기 후크측 회전축부의 각 연결면의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복수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후크의 상기 축삽입통과부를 이루는 상기 긴구멍으로 상기 연결축의 삽입통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연결축과 상기 후크의 상기 걸림단과의 사이의 길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당해 긴구멍 내의 상기 연결축의 삽입통과 위치에 맞추어, 상기 후크측 회전축부의 각 연결면과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 및 상기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의 각 연결면이 상호의 상기 각 오목부 및 상기 각 볼록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고정 가능하게 하여, 상기 후크와 상기 후크받이부의 걸어맞춤 위치가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밀폐 핸들 장치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에 의해, 판스프링으로 적어도 후크와 후크받이부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하도록 했으므로, 적어도 핸들 레버를 로크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하여 후크와 후크받이부를 확실하게 걸어맞추고, 이것에 의해, 문으로 하우징을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는 본 발명 독자적인 각별한 효과를 이룬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밀폐 핸들 장치에서는, 핸들받이의 후크받이부의 후크가 접하는 면에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어태치먼트가 적층 장착되도록 했으므로, 후크와 후크받이부의 서로 스침에 의한 금속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본 발명 독자적인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밀폐 핸들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도 2는 상기 밀폐 핸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a)는 평면단면도 (b)는 측면단면도).
도 3은 상기 밀폐 핸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배면도).
도 4는 상기 밀폐 핸들 장치의 특히 대좌측 회전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a)는 배면도 (b)는 측면도).
도 5는 상기 밀폐 핸들 장치의 특히 핸들 레버 및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a)는 측면도 (b)는 배면도).
도 6은 상기 밀폐 핸들 장치의 특히 후크 및 후크측 회전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a)는 배면도 (b)는 측면도 (c)는 측면단면도).
도 7은 상기 밀폐 핸들 장치의 특히 후크의 길이 조정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a)는 후크를 짧게 한 상태 (b)는 후크를 길게 한 상태).
도 8은 상기 밀폐 핸들 장치의 특히 핸들받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사시도).
도 9는 상기 밀폐 핸들 장치의 특히 핸들받이에 사용하는 어태치먼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a)는 사시도 (b)는 측면도).
도 10은 상기 밀폐 핸들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은 정면도 (1-2)는 측면단면도 (2)는 일부 생략 정면도).
도 11은 종래의 밀폐 핸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a)는 정면도 (b)는 측면단면도).
도 12는 상기 밀폐 핸들 장치의 특히 핸들받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사시도).
도 13은 상기 밀폐 핸들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은 정면도 (1-2)은 측면단면도 (2)는 일부 생략 정면도).
이어서,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밀폐 핸들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각각 밀폐 핸들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폐 핸들 장치(H)(이하, 본 장치(H)라고 한다.)는 밀폐용 핸들(h1)과 핸들받이(h2)를 갖추어 구성된다. 밀폐용 핸들(h1)은 핸들 대좌(1), 핸들 대좌(1)에 회전축(4)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크(2), 및 후크(2)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핸들 레버(3)로 이루어지고, 회전축(4)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대좌(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선단이 핸들 대좌(1)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대좌측 회전축부(11)와, 핸들 레버(3)에 대좌측 회전축부(11)에 대하여 동축 상으로 돌출되는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와, 후크(2)에 설치되고, 대좌측 회전축부(11)와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 사이에 작동 연결되는 후크측 회전축부(21)로 이루어진다. 핸들받이(h2)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폐용 핸들(h1)의 후크(2)와 걸어맞춤 가능한 후크받이부(6)를 가진다.
이리하여 본 장치(H)는 밀폐용 핸들(h1) 또는 핸들받이(h2)의 일방이 문측에 부착되고, 타방이 하우징의 개구 주위의 프레임측에 부착되어, 밀폐용 핸들(h1)의 후크(2)와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문을 하우징의 개구 주위의 프레임에 밀착시켜 하우징의 개구를 밀폐하는 방식을 취한다.
본 장치(H)에서는 특히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대좌(1) 내에서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회전 주위에, 적어도 밀폐용 핸들(h1)의 후크(2)와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와의 걸어맞춤 상태에서,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둘레면에 압접 가능하게 판스프링(7)을 갖추고, 이 판스프링(7)에 의해, 후크(2)와 후크받이부(6)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장치(H)에서는 핸들 대좌(1) 내에서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회전 주위에, 아울러 밀폐용 핸들(h1)의 후크(2)와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가 걸어맞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둘레면에 압접 가능하게 판스프링(7)을 갖추고, 이 판스프링(7)에 의해, 후크(2)와 후크받이부(6)가 걸어맞춰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장치(H)의 밀폐용 핸들(h1)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핸들 대좌(1)와, 후크(2)와, 핸들 레버(3)를 갖추고, 핸들 대좌(1)에 후크(2), 핸들 레버(3)가 회전축(4)을 통하여 작동 연결되어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대좌(1)는 회전축(4)을 삽입통과 가능한 회전축 삽입통과 구멍(10)을 가지는 플레이트로 되어 있다. 이 경우, 핸들 대좌(1)는 후면 전체면이 개구된 얕은 깊이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부(1F)와 그 주위의 둘레면부(1S)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부(1F)는 정면시 대략 직사각형 및 대략 사다리꼴의 조합,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대략 직사각형인 부분과 그 일측으로부터 점차 길이를 축소시켜 뻗는 사다리꼴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형상이며, 전체로서 육각형 형상을 나타낸다. 또 전면부(11)는 정면시 직사각형인 부분의 중앙이 그 주위의 면에 대하여 약간의 높이로 돌출되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선단면(이하, 중앙의 면이라고 한다.)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이 중앙의 면의 중심에 회전축 삽입통과 구멍(10)이 형성된다. 전면부(1F)의 중앙의 면의 주위(원통 형상의 주위)의 면은 6변으로 이루어지는 둘레면부(1S)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둘레면부(1S)는 이 경우 6개의 측면부로 이루어지고, 각각 측면시 대략 사다리꼴 또는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며, 전체 둘레 전체로서 점차 직경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을 이룬다. 회전축 삽입통과 구멍(10)은 중앙의 면, 즉 핸들 대좌(1)의 중앙의 원통 형상의 선단면에 원형으로 개구된다. 또 이 회전축 삽입통과 구멍(1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대좌(1)의 중앙의 원통 형상의 내부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부측이 소직경으로 후부측이 대직경으로 형성되어, 전부측과 후부측 사이에 단차면(10G)이 설치된다. 이 회전축 삽입통과 구멍(10) 내에, 회전축(4)의 일부를 이루는 대좌측 회전축부(11)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통과 배치된다. 이 대좌측 회전축부(1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핸들 대좌(1)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착 나사를 위한 복수의 나사 삽입통과 구멍(S0)이 설치된다. 이 경우, 전면부(1F)에 있어서, 정면시 직사각형인 부분의 양단과 정면시 사다리꼴인 부분의 중앙에 각각 전체로서 3개의 나사 삽입통과 구멍(S0)이 형성된다. 이들 나사 삽입통과 구멍(S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대좌(1)의 내부에 있어서 보스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이들 보스 구멍 중 정면시 사다리꼴인 부분에 설치되는 보스 구멍의 보스 외주면의 일부가 후술하는 회전축(4)의 돌기(11I)가 걸어맞춰져 핸들 레버(3)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일방의 스토퍼(111)가 되고 있다. 또 전면부(1F)의 정면시 직사각형인 부분의 내부에서 정면시 사다리꼴인 부분을 가지는 일측과는 반대인 타측의 길이 방향 중간 소정의 위치에 후술하는 회전축(4)의 돌기(11I)가 걸어맞춤 가능하게 볼록부가 아울러 형성되고, 이것이 핸들 레버(3)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는 타방의 스토퍼(112)가 되고 있다.
이 핸들 대좌(1)에는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판스프링(7)을 부착하기 위한 판스프링 부착부(113)가 설치된다. 이 경우, 판스프링 부착부(113)는 전면부(1F)의 내부에 있어서, 전면부(1F)의 정면시 직사각형인 부분의 양단의 보스 구멍의 일방, 이 경우, 후술하는 핸들 레버(3)의 회동 지점측의 단부에 대향하는 보스 구멍과 회전축 삽입통과 구멍(10) 사이에, 핸들 레버(3)의 회동 지점측의 단부의 회동 궤도에 근접하여, 정면시 직사각형인 부분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하여, 판스프링(7)의 양단이 걸어맞춤 가능하게 단면 대략 갈고리 형상(단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다.
본 장치(H)에 사용하는 판스프링(7)은 핸들 레버(3)의 회전축(4)의 둘레면에 압접 가능하게 가압면(7P)을 가진다. 이 경우, 판스프링(7)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재에 의해 단면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의 가압면부(71)와 그 양측의 지지부(72)로 이루어진다. 또한 판스프링(7)은 단면 C자형인 것도 준비되며, 적절하게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이 판스프링(7)은 양측의 지지부(72)가 핸들 대좌(1)의 판스프링 부착부(113), 즉, 정면시 직사각형인 부분의 타측으로부터 일측을 향하여 뻗는 단면 대략 갈고리형의 형상부 내의 양단에 끼워넣어져 부착되고, 중앙의 가압면부(71)가 외면(핸들 레버(3)의 회동 지점을 향하는 면)을 가압면(7P)으로 하여, 핸들 레버(3)의 회동 지점측의 단부의 회동 궤도 상에 면하도록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2)는 일단이 회전축(4)의 일부를 이루는 후크측 회전축부(21)이며, 타단측이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에 걸어맞춤 가능한 클로(22)로 되어 있다. 후크측 회전축부(21)는 통형으로 형성되고, 축심에 회전축 삽입통과 구멍(20)을 가진다. 이 후크측 회전축부(2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클로(22)는 후크측 회전축부(21)의 둘레면의 일부로부터 일체로 뻗는 플레이트이며, 이 경우, 정면시 대략 직사각형으로 핸들받이부(h2)의 후크받이부의 크기, 두께와 함께 소정의 크기, 두께로 형성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레버(3)는 일단이 회전축(4)의 일부를 이루는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이며, 타단측이 그립(32)으로 되어 있다.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축심에 축 삽입통과 구멍(30)을 가진다. 이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립(32)은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둘레면의 일부로부터 일체로 뻗는 플레이트이며, 이 경우, 정면시 대략 가늘고 긴 직사각형으로 소정의 크기,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그립(32)의 정면, 배면에는 부분적으로 소요의 R이 부여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4)은 핸들 대좌(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선단이 핸들 대좌(1)의 전면(1F)으로부터 돌출되는 대좌측 회전축부(11)와, 핸들 레버(3)에 대좌측 회전축부(11)에 대하여 동축 상으로 돌출되는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와, 후크(2)에 설치되고, 대좌측 회전축부(11)와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 사이에 작동 연결되는 후크측 회전축부(21)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핸들 대좌(1)의 대좌측 회전축부(11), 핸들 레버(3)의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 및 후크(2)의 후크측 회전축부(21)의 축심에 각각 축 삽입통과 구멍(10, 20, 30)을 가지고, 이들 대좌측 회전축부(11),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 및 후크측 회전축부(21)는 각 축 삽입통과 구멍(10, 20, 30) 사이에 삽입통과되는 연결축(B)에 의해 작동 연결된다.
또 후크측 회전축부(21)의 축 삽입통과 구멍(20)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2)의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에 대한 걸어맞춤단 방향을 향하여 긴 긴구멍(20)으로 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후크측 회전축부(21)의 대좌측 회전축부(11) 및 핸들 레버 회전축부(31)와의 각 연결면(201, 202)에 긴구멍(20)의 주위를 따라 복수의 오목부(2010)를 가지고,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측 회전축부(11) 및 핸들 레버 회전축부(31)의 후크측 회전축부(21)와의 연결면(101, 301)에 각각 후크측 회전축부(21)의 각 연결면(201, 202)의 복수의 오목부(2010)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복수의 볼록부(1011, 3011)를 가진다. 이와 같이 하여,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2)의 축 삽입통과 구멍(20)을 이루는 긴구멍(20)으로 연결축(B)의 삽입통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연결축(B)과 후크(2)의 걸림단과의 사이의 길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이 긴구멍(20) 내의 연결축(B)의 삽입통과 위치에 맞추어, 후크측 회전축부(21)의 각 연결면(201, 202)과 대좌측 회전축부(11) 및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각 연결면(101, 301)이 상호의 각 오목부(2010)(도 6 참조) 및 각 볼록부(1011, 3011)(도 4, 도 5 참조)의 걸어맞춤에 의해 고정 가능하게 하여, 후크(2)와 후크받이부(6)의 걸어맞춤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좌측 회전축부(11)는 핸들 대좌(1)의 회전축 삽입통과 구멍(10)에 삽입통과 배치 가능하게 또한 이 회전축 삽입통과 구멍(10)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원통형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그 축심에 축 삽입통과 구멍(110)을 가진다. 이 경우, 대좌측 회전축부(11)는 전부측이 전단부를 핸들 대좌(1)의 중앙의 면의 개구로부터 돌출시켜 회전축 삽입통과 구멍(10)의 소직경의 전부측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소직경의 원통형으로, 후부측이 회전축 삽입통과 구멍(10)의 대직경의 후부측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대직경의 원통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리하여 대좌측 회전축부(11)는 전부측과 후부측 사이에 단차면(11G)이 설치되고, 이 단차면(11G)이 회전축 삽입통과 구멍(10)의 전부측과 후부측 사이의 단차면(10G)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 이 대좌측 회전축부(11)에서는, 특히 전부측의 전단부가 후술하는 후크(2)의 연결면(201)(의 홈(200A))에 걸어맞춤(끼워맞춤) 가능하게 전부측의 단면 형상(단면 원형) 내에 내접되는 단면 대략 각진 둥근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전면(대좌측 회전축부(11)의 선단면)에서 축 삽입통과 구멍(110)의 주위에 90° 간격으로 4개의 볼록부(1011)가 형성된다. 이 경우, 이들 볼록부(1011)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둘레면에는 추가로 핸들 레버(3)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돌기(11I)와, 핸들 대좌(1) 내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판스프링(7)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피가압면(114)이 설치된다.
돌기(11I)는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대직경의 후부측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설치된다. 이 경우, 이 돌기(11I)는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후부측의 외주면의 일부에 일체로 직육면체 형상의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피가압면(114)은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둘레면에 후술하는 판스프링(7)의 가압면(7P)을 받는 플랫한 면으로 되어 있다. 또 피가압면(114)은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둘레면에 2개 설치된다. 이 경우, 각 피가압면(114A, 114B)은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대직경의 후부측의 외주면에서 돌기(11I)와는 대략 반대측(정반대의 위치보다 약간 편측 일방에 가까운 위치)의 일부에 이 외주면과 평행하게 이 외주면보다 조금 소직경의 원호 형상의 면(114C)이 형성되어, 이 원호 형상의 면(114C)의 양측에 테이퍼 형상으로 플랫한 면으로 하여 형성된다. 각 피가압면(114A, 114B)은 판스프링(7)의 가압면(7P)과 상호 평행하게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도 되는데, 이 경우, 판스프링(7)의 가압면(7P)과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피가압면(114A, 114B)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밀폐용 핸들(h1)과 핸들받이(h2)의 걸어맞춤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접할 수 있도록, 원호 형상의 면(114C)의 양측으로부터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후부측의 외주면과의 사이를 조금 점차 확개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된다. 이리하여 돌기(11I)에 가까운 일방의 피가압면(114A)이 후크(2)와 후크받이부(6)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즉 밀폐용 핸들(h1)과 핸들받이(h2)의 로크용으로, 돌기(11I)로부터 먼 타방의 피가압면(114B)이 후크(2)와 후크받이부(6)가 걸어맞춰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 가능하게, 즉 밀폐용 핸들(h1)과 핸들받이(h2)의 로크 해제용으로 각각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는 원통형의 블록 형상이며, 그 축심에 축 삽입통과 구멍(30)을 가진다. 이 경우,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는 대략 전체가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후부측과 대략 동일 직경 또는 조금 대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전단부는 대좌측 회전축부(11)의 전단부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전단부는 후술하는 후크(2)의 연결면(202)(의 홈(200B))에 걸어맞춤(끼워맞춤) 가능하게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단면 형상(원형) 내에 내접되는 단면 대략 각진 둥근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그 전면(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선단면)에서 축 삽입통과 구멍(30)의 주위에 90° 간격으로 4개의 볼록부(3011)가 형성된다. 이 경우, 이들 볼록부(3011)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축 삽입통과 구멍(30)은 대좌측 회전축부(11)의 축 삽입통과 구멍(10)의 전부측과 동일 직경의 원통형이며 내주면에 나사가 새겨져 나사 구멍(30)으로서 형성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크측 회전축부(21)는 원통형의 블록 형상이며, 그 축심에 축 삽입통과 구멍(20)을 가진다. 이 경우, 후크측 회전축부(21)의 축 삽입통과 구멍(20)이 후크(2)의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에 대한 걸어맞춤단 방향을 향하여 긴 긴구멍(20)으로 하여 형성됨으로써, 후크측 회전축부(21)는 단면 타원형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 후크측 회전축부(21)의 전후 양면의 일방이 대좌측 회전축부(11)의 연결면(201)으로, 타방이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연결면(202)으로 되어 있다.
이 후크측 회전축부(21)의, 대좌측 회전축부(11)와의 연결면(201)의 중심에 대좌측 회전축부(11)의 전단부가 끼워맞춤 가능하게 대좌측 회전축부(11)의 전단부보다 긴구멍(20)의 장경 방향으로 조금 긴 단면 각진 둥근 직사각형의 홈(200A)이 형성된다. 이 홈(200A)의 저면의 중심에 축 삽입통과 구멍(20)으로서의 긴구멍(20)이 설치된다. 이 홈(200A)의 저면에서 긴구멍(20)의 주위를 따라,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복수, 이 경우 4개의 볼록부(1011)가 선택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복수의 오목부(2010)가 설치된다. 이 경우, 복수의 오목부(2010)는 홈(200A)의 저면에서, 긴구멍(20)의 길이 방향 양측에 1개씩, 폭 방향 양측에 병렬로 3개씩, 전체로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들 오목부(2010)는 단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이 후크측 회전축부(21)의,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와의 연결면(202)의 중심에, 대좌측 회전축부(11)의 연결면(201)과 마찬가지로,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전단부가 끼워맞춤 가능하게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전단부보다 긴구멍의 장경 방향으로 조금 긴 단면 각진 둥근 직사각형의 홈(200B)이 형성된다. 이 홈(200B)의 저면의 중심에 축 삽입통과 구멍(20)으로서의 긴구멍(20)이 설치된다. 그리고, 대좌측 회전축부(11)의 연결면(201)과 마찬가지로, 이 홈(200B)의 저면에서 긴구멍(20)의 주위를 따라,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복수, 이 경우, 4개의 볼록부(3011)가 선택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복수의 오목부(2010)가 설치된다. 이 경우, 복수의 오목부(2010)는 홈(200B)의 저면에서, 긴구멍(20)의 길이 방향 양측에 1개씩, 폭 방향 양측에 병렬로 3개씩, 전체로서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들 오목부(2010)는 단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들 핸들 대좌(1) 내의 대좌측 회전축부(11),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 후크측 회전축부(21)의 작동 연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축(B)으로서 볼트(B)가 사용된다. 이 경우, 볼트(B)가 핸들 대좌 내의 대좌측 회전축부(11)의 축 삽입통과 구멍(110)으로부터 끼워넣어져, 후크측 회전축부(21)의 축 삽입통과 구멍(20)를 통과하여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나사 구멍(30)에 조여져, 회전축(4) 전체가 연결 고정된다.
도 1, 도 2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장치(H)의 핸들받이(h2)는 부착 베이스(5)와 후크받이부(6)를 가진다.
부착 베이스(5)는 핸들 대좌(1)와 대략 동일한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부착 베이스(5)는 후면 전체면이 개구된 얕은 깊이의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부(5F)와 그 주위의 둘레면부(5S)로 이루어진다. 전면부(5F)는 정면시 대략 직사각형 및 대략 사다리꼴의 조합,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대략 직사각형인 부분과 그 일측으로부터 점차 길이를 축소시켜 뻗는 사다리꼴인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형상으로, 전체로서 육각형 형상을 나타낸다. 또 전면부(5F)는 그 중앙으로부터 6변으로 이루어지는 둘레면부(5S)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둘레면부(5S)는 이 경우 6개의 측면부로 이루어지고, 각각 측면시 대략 사다리꼴 또는 대략 직사각형을 이룬다. 이 부착 베이스(5)에는 부착 나사를 위한 복수의 나사 삽입통과 구멍(S0)이 설치된다. 이 경우, 전면부(5F)에 있어서, 정면시 직사각형인 부분의 양단과 정면시 사다리꼴인 부분의 중앙에 각각 전체로서 3개의 나사 삽입통과 구멍(S0)이 형성된다. 이들 나사 삽입통과 구멍(S0)은 부착 베이스(5)의 내부에 있어서 보스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후크받이부(6)는 부착 베이스(5)의 중앙에 일체로 설치된다. 이 경우, 후크받이부(6)는 단면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부착 베이스(5)의 중앙으로부터 직각으로 대략 정방 형상으로 뻗는 지지부(61)와, 지지부(61)의 선단으로부터 부착 베이스(5)의 정면시 대략 직사각형인 부분의 타측을 향하여 뻗는 걸림부(62)로 이루어진다. 지지부(61)에는 폭 방향 중앙에서 소정의 높이에 나사 구멍(610)이 설치된다.
이 핸들받이(h2)에는 또 후크받이부(6)에 있어서 후크(2)가 접하는 면에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어태치먼트(A)가 적층 장착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어태치먼트(A)는 후크받이부(6)의 걸림부(62)의 후크(2)의 걸림면에 피착 가능한 걸림면 피복부(a1)와, 이 걸림면에 연속되어 지지부(61)의 내면에 피착 가능한 지지부 내면 피복부(a2)를 가지고, 이들 걸림면 피복부(a1), 지지부 내면 피복부(a2)는 일체로 형성된다. 걸림면 피복부(a1)는 후크받이부(6)의 걸림부(62)의 후크(2)의 걸림면을 덮는 평판부(a11)와 이 평판부(a11)의 3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일으켜지고, 걸림부(62)의 3측면을 둘러싸는 3측면부(a12)로 이루어진다. 이 걸림면 피복부(a1)에는 또 후크(2)가 접하는 면이며 후크(2)의 정규적인 걸어맞춤 위치로 후크(2)를 걸어맞춤 안내 가능한 가이드면(a11G)이 형성된다. 이 경우, 가이드면(a11G)은 걸림면 피복부(a1)의 후크(2)를 받는 면의 중앙에 후크(2)가 끼워맞춤 가능하게 단면 대략 역U자형의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크 걸어맞춤부(a110)가 설치되고, 그 양측이 단면 대략 U자형의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양측이 후크(2)를 후크 걸어맞춤부(a110)로 안내하는 후크 안내부(a111)가 설치된다. 지지부 내면 피복부(a2)는 후크받이부(6)의 지지부(61)의 내면을 덮는 평판부(a21)와 이 평판부(a21)의 2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일으켜지고, 지지부(61)의 2측면을 둘러싸는 2측면부(a22)로 이루어진다. 이 지지부 내면 피복부(a2)에는 지지부(61)의 나사 구멍(610)에 연통 가능하게, 폭 방향 중앙에서 소정의 높이에 나사 삽입통과 구멍(a2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어태치먼트(a)는 걸림면 피복부(a1)가 후크받이부(6)의 걸림부(62)의 후크(2)의 걸림면에 걸림부(62)의 3측면을 포함하여 피착됨과 아울러, 지지부 내면 피복부(a2)가 후크받이부(6)의 지지부(61)의 내면에 지지부(61)의 2측면을 포함하여 피착되어, 지지부 내면 피복부(a2)의 나사 삽입통과 구멍(a20)으로부터 나사(S)가 통과되어, 지지부(61)의 나사 구멍(610)에 조여져, 후크받이부(6)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밀폐용 핸들(h1) 또는 핸들받이(h2)의 일방이 하우징의 개구 주위의 프레임측에 부착 나사에 의해 부착되고, 타방이 문측에 부착 나사에 의해 부착된다. 또 이 부착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후크(2)와 후크받이부(6)의 걸어맞춤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2)의 축삽입통과부(20)룰 이루는 긴구멍(20)으로 연결축(B)의 삽입통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연결축(B)과 후크(2)의 걸림단 사이의 길이를 조정한 후, 이 긴구멍(20) 내의 연결축(B)의 삽입통과 위치에 맞추어, 후크측 회전축부(21)의 각 연결면(201, 202)과 대좌측 회전축부(11) 및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각 연결면(101, 301)이 상호의 각 오목부(2010) 및 각 볼록부(1011, 3011)를 걸어맞추어, 이 상태를 고정한다. 이 경우, 연결축(B)의 볼트(B)를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나사 구멍(30)에 조여, 회전축(4) 전체를 고정한다.
그리고, 핸들 대좌(1) 내에서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회전 주위에 배치된 판스프링(7)에 의해, 밀폐용 핸들(h1)의 후크(2)와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의 로크 상태(걸어맞춤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문을 하우징의 개구 주위의 프레임에 밀착시켜 하우징의 개구를 밀폐하고, 또 이 판스프링(7)에 의해, 밀폐용 핸들(h1)의 후크(2)와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의 로크 해제 상태(걸어맞춰지지 않은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후크(2)가 문의 개폐에 간섭하지 않고, 문의 개폐가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도 10에 본 장치(H)의 문의 밀폐성이 요구되는 설비에서의 사용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도, 설비의 하우징(9A)은 상자형이며, 정면에 사각형의 오목부(91)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91)의 안쪽의 면에 사각형의 개구(90)가 형성된다. 이 정면의 오목부(91) 내에서 개구(90)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패킹(92)이 설치된다. 이 경우, 하우징(9) 정면의 오목부(91) 밖의 주위가 밀폐용 핸들(h1) 또는 핸들받이(2)의 일방이 부착되는 하우징(9)의 프레임이 되고 있다. 문(9B)은 하우징(9A) 정면의 오목부(91)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사각형이며, 오목부(91)의 깊이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된다. 이 문(9B)은 문(9B)의 정면 하부와 하우징(9A)의 정면의 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한 쌍의 힌지(93)를 통하여 하우징(9A)의 전방을 향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설비에 있어서는, 문(9B)의 정면 상부 중앙에 밀폐용 핸들(h1)이 부착되고, 하우징(9A)의 정면의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핸들받이(h2)가 부착된다. 이 경우, 밀폐용 핸들(h1)은 가로 방향으로, 핸들 대좌(1)가 문(9B)의 정면 상부 중앙에 부착 나사에 의해 부착되고, 핸들 레버(3)가 문(9B)의 정면 상부 중앙에, 도 1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레버(3)의 길이 방향을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평행하게 향하게 하고, 후크(2)가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로크 위치와, 핸들 레버(3)의 길이 방향을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향하게 하고, 후크(2)가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대략 평행하게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하방으로 몰입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핸들받이(h2)는 가로 방향으로, 부착 베이스(5)가 하우징(9A)의 정면의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부착 나사에 의해 부착되고, 후크받이부(6)가 하우징(9A)의 정면의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대략 L자형의 선단을 하방을 향하게 하여, 문(9B)의 밀폐용 핸들(h1)의 후크(2)가 후크받이부(6)에 걸고 빼기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후크(2)와 후크받이부(6)의 걸어맞춤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후크(2)를 늘리거나 줄이거나 할 수 있다. 그 조정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도 7을 참조하길 바란다.
후크(2)를 늘리는 경우,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B)를 후크(2)의 축 삽입통과 구멍(20)을 이루는 긴구멍(20) 내에서 후크(2)의 클로(22)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삽입통과시키는 것으로 후크(2)를 늘릴 수 있고, 이 긴구멍(20) 내의 볼트(B)의 삽입통과 위치에 맞추어, 후크측 회전축부(21)의 각 연결면(201, 202)과 대좌측 회전축부(11) 및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각 연결면(101, 301)을 상호의 각 오목부(2011)(도 6 참조) 및 각 볼록부(1011(도 4 참조), 3011(도 5 참조))를 걸어맞추어, 이 상태를 볼트(B)를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나사 구멍(30)에 조임으로써 고정한다.
후크(2)를 줄이는 경우,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트(B)를 후크(2)의 축 삽입통과 구멍(20)을 이루는 긴구멍(20) 내에서 후크(2)의 클로(22)측의 단부에 삽입통과시키는 것으로 후크(2)를 줄일 수 있고, 이 긴구멍(20) 내의 볼트(B)의 삽입통과 위치에 맞추어, 후크측 회전축부(21)의 각 연결면(201, 202)과 대좌측 회전축부(11) 및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각 연결면(101, 301)을 상호의 각 오목부(2011)(도 6 참조) 및 각 볼록부(1011(도 4 참조), 3011(도 5 참조))를 걸어맞추어, 이 상태를 볼트(B)를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나사 구멍(30)에 조임으로써 고정한다.
후크(1)를 그 중간 정도로 늘리는 경우에는, 볼트(B)를 후크(2)의 축 삽입통과 구멍(20)을 이루는 긴구멍(20) 내에서 중간으로 삽입통과시킴으로써 후크(2)를 중간 정도로 늘릴 수 있고, 이 긴구멍(20) 내의 볼트(B)의 삽입통과 위치에 맞추어, 후크측 회전축부(21)의 각 연결면(201, 202)과 대좌측 회전축부(11) 및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각 연결면(101, 301)을 상호의 각 오목부(2010) 및 각 볼록부(1011, 3011)을 걸어맞추어, 이 상태를 볼트(B)를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나사 구멍(30)에 조임으로써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설비의 문(9B)을 열 때는, 도 10(1-1)에 있어서, 핸들 레버(3)를 쥐고, 도 1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핸들 레버(3)를 대략 수평의 로크 위치로부터 대략 수직의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하여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후크(2)가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로부터 회동되어, 후크받이부(6)에 피착된 어태치먼트(A)(도 8 참조)의 걸림면 피복부(a1)의 후크(2)의 가이드면(a11G)(도 9(b) 참조)의 안내에 의해, 즉 중앙의 후크 걸어맞춤부(a110)로부터 그 편측 일방의 후크 안내부(a111)로 안내되어, 원활하게 빠져나간다. 동시에, 핸들 대좌(1) 내에서, (도 3 참조) 대좌측 회전축부(11)가 핸들 레버(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판스프링 부착부(113)의 판스프링(7)의 가압면(7P)에 접하여 가압된 대좌측 회전축부(11) 외주면의 돌기(11I)에 가까운 일방의 피가압면(114A)이 판스프링(7)의 가압면(7P)으로부터 빠져, 판스프링(7)의 가압면(7P)과 대좌측 회전축부(11) 외주면의 원호 형상의 면(114C)이 걸어맞춰져, 판스프링(7)의 가압면부(71)가 원호 형상의 면(114C)에 의해 밀려올라간다.
그리고, 이 핸들 레버(3)를 도 1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수직의 로크 해제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도 3 참조)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돌기(11I)와 타방의 스토퍼(112)의 충접 걸어맞춤에 의해, 핸들 레버(3)의 동일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것과 동시에, 후크(2)는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와, 후크(2)가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대략 평행하게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하방의 로크 해제 위치에 몰입된다. 또 동시에 핸들 대좌(1) 내에서, (도 3 참조) 대좌측 회전축부(11)가 핸들 레버(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판스프링 부착부(113)의 판스프링(7)의 가압면(7P)에 접하여 가압된 원호 형상의 면(114C)이 판스프링(7)의 가압면(7P)으로부터 빠져나와, 판스프링(7)의 가압면(7P)과 대좌측 회전축부(11) 외주면의 돌기(11I)로부터 먼 타방의 피가압면(114B)이 압접 걸어맞춤되어, 후크(2)의 로크 해제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고, 핸들 레버(3)가 로크 해제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후크(2)나 핸들 레버(3)가 흔들리거나 덜컹거리거나 하는 일이 없다. 이 상태로부터, 문(9B)을 끌어내린다. 문(9B)을 원활하게 열 수 있다.
문(9B)을 닫을 때는, 핸들 레버(3)를 쥐고, 문(9B)을 하우징(9A) 정면을 향하여 밀어올려, 하우징(9A) 정면의 오목부(91) 내에 끼워넣고, 이 상태에서 (도 10(2) 참조) 핸들 레버(3)를 로크 해제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를 향하여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후크(2)가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상방의 로크 위치, 즉 후크받이부(6)를 향하여 회동되고, 이 후크받이부(6)에 피착된 어태치먼트(A)(도 8 참조)의 걸림면 피복부(a1)에 있어서 후크(2)의 가이드면(a11G)(도 9(b) 참조)의 안내에 의해, 즉 편측 일방의 후크 안내부(a111)로부터 중앙의 후크 걸어맞춤부(110)로 안내되어, 원활하게 걸어맞춰져간다. 동시에, 핸들 대좌(1) 내에서, (도 3 참조) 대좌측 회전축부(11)가 핸들 레버(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판스프링 부착부(113)의 판스프링(7)의 가압면(7P)에 접하여 가압된 대좌측 회전축부(11) 외주면의 돌기(11I)로부터 먼 타방의 피가압면(114B)이 판스프링(7)의 가압면(7P)으로부터 빠져나와, 판스프링(7)의 가압면(7P)과 대좌측 회전축부(11) 외주면의 원호 형상의 면(114C)이 걸어맞춰지고, 판스프링(7)의 가압면부(71)가 원호 형상의 면(114C)에 의해 밀려올라간다.
그리고, 이 핸들 레버(3)를 대략 수평의 로크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도 3 참조)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돌기(11I)와 일방의 스토퍼(111)의 충접 걸어맞춤에 의해, 핸들 레버(3)의 동일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것과 동시에, 후크(2)와 후크받이부(6)의 어태치먼트(A)의 중앙의 후크 걸어맞춤부(a110)와의 걸어맞춤에 의한 클릭감이 있고, 후크(2)가 문(9B)의 상측 가장자리부의 상방의 로크 위치로 돌출되어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에 어태치먼트(A)를 통하여 완전히 걸린다. 또 동시에 핸들 대좌(1) 내에서, (도 3 참조) 대좌측 회전축부(11)가 핸들 레버(3)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판스프링 부착부(113)의 판스프링(7)의 가압면(7P)에 접하여 가압된 원호 형상의 면(114C)이 판스프링(7)의 가압면(7P)으로부터 빠져나와, 판스프링(7)의 가압면(7P)과 대좌측 회전축부(11) 외주면의 돌기(11I)에 가까운 일방의 피가압면(114A)이 압접 걸어맞춤되어, 후크(2)의 로크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고, 핸들 레버(3)가 로크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후크(2)나 핸들 레버(3)가 흔들리거나 덜컹거리거나 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후크(2)를 후크받이부(6)에 거는 것으로, 문(9B)이 오목부(91) 내에 더욱 밀려들어가, 이 문(9B)의 압압에 의해 하우징(9A)의 개구(90) 전체 둘레 가장자리부의 패킹(92)이 압축되어, (패킹(92)의 반력에 의해) 하우징(9A)의 개구(90)는 완전히 밀폐되고, 이 밀폐 상태가 유지된다. 본 장치(H)에서는 특히 후크(2)의 로크 상태, 핸들 레버(3)의 로크 위치가 판스프링(7)에 의해 유지되므로, 패킹(92)의 경년 열화 등에 의해 반력의 복원성이 저하되어도, 후크(2)와 후크받이부(6)의 강한 걸어맞춤, 즉 큰 압력에 의한 맞물림(서로 누름)은 유지되어, 종래와 같은 로크 위치의 핸들 레버(3)가 자중에 의해 처지거나, 이 핸들 레버(3)가 내려가 후크(2)가 후크받이부(6)로부터 빠져나와, 문(9B)이 열려버리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 문(9B)의 개폐마다, 핸들 레버(3)의 조작에 의해, 후크(2)와 후크받이부(6)가 반복하여 걸리고 빠지는데, 본 장치(H)에서는 후크받이부(6)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어태치먼트(A)가 적층 장착되므로, 종래와 같은 금속재끼리의 서로 스침과 달리, 후크(2)와 후크받이부(6) 사이에 금속분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장치(H)에 의하면, 핸들 대좌(1) 내에서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회전 주위에, 적어도 밀폐용 핸들(h1)의 후크(2)와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와의 걸어맞춤 상태에서,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둘레면에 압접 가능하게 판스프링(7)을 갖추고, 이 판스프링(7)에 의해, 후크(2)와 후크받이부(6)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하도록 했으므로, 적어도 핸들 레버(3)의 로크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하고, 후크(2)와 후크받이부(6)를 확실하게 걸어맞추어, 문으로 하우징을 확실에 밀폐할 수 있다.
이 경우, 판스프링(7)은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둘레면에 대하여 압접 가능하게 플랫한 가압면(7P)을 가지고,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둘레면에 판스프링(7)의 가압면(7P)을 받는 플랫한 피가압면(114A)을 가지며, 판스프링(7)의 가압면(7P)과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피가압면(114A)은 상호 판스프링(7)의 가압면(7P)과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피가압면(114A)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밀폐용 핸들(h1)과 핸들받이(h2)의 걸어맞춤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둘레면에 대한 가압력을 높여, 핸들 레버(3)의 로크 위치, 후크(2)와 후크받이부(6)의 걸어맞춤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문으로 하우징을 보다 확실하게 밀폐할 수 있다.
또 본 장치(H)에서는, 핸들 대좌(1) 내에서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회전 주위에, 아울러 밀폐용 핸들(h1)의 후크(2)와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가 걸어맞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둘레면에 압접 가능하게 판스프링(7)을 갖춘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판스프링(7)은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둘레면에 대하여 압접 가능하게 플랫한 가압면(7P)을 가지고,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둘레면에 판스프링(7)의 가압면(7P)을 받는 플랫한 피가압면(114B)을 가지며, 판스프링(7)의 가압면(7P)과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피가압면(114B)은 판스프링(7)의 가압면(7P)과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피가압면(114B)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밀폐용 핸들(h1)과 핸들받이(h2)가 걸어맞춰지지 않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대좌측 회전축부(11)의 둘레면에 대한 가압력을 높여, 핸들 레버(3)의 로크 해제 위치, 후크(2)와 후크받이부(6)의 걸어맞춤 해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문의 개폐에 후크(2)가 간섭하는 일이 없어, 문의 개폐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장치(H)에서는 또한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1)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의 후크(2)가 접하는 면에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어태치먼트(A)가 적층 장착되므로, 후크(2)와 후크받이부(6)의 서로 스침에 의한 금속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태치먼트(A)의 후크(2)가 접하는 면에 후크(2)의 정규적인 걸어맞춤 위치로 후크(2)를 걸어맞춤 안내 가능한 가이드면(a11G)이 형성되므로, 후크(2)와 후크받이부(6)의 걸고 빼기를 원활하며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2)그리고, 핸들 대좌(1)의 대좌측 회전축부(11), 핸들 레버(3)의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 및 후크(2)의 후크측 회전축부(21)의 축심에 각각 축 삽입통과 구멍(110, 20, 30)을 가지고, 대좌측 회전축부(11),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 및 후크측 회전축부(21)는 각 축 삽입통과 구멍(110, 20, 30) 사이에 삽입통과되는 연결축(B)에 의해 작동 연결된다. 후크측 회전축부(21)의 축 삽입통과 구멍(20)은 후크(2)의 핸들받이(h2)의 후크받이부(6)에 대한 걸어맞춤단 방향을 향하여 긴 긴구멍(20)으로 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후크측 회전축부(21)의 대좌측 회전축부(11) 및 핸들 레버 회전축부(31)와의 각 연결면(201, 202)에서 긴구멍(20)의 주위를 따라 복수의 오목부(2010)를 가진다. 이에 대해 대좌측 회전축부(11) 및 핸들 레버 회전축부(31)의 후크측 회전축부(21)와의 연결면(101, 301)에 각각 후크측 회전축부(11)의 각 연결면(201, 202)의 복수의 오목부(2010)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복수의 볼록부(1011, 3011)를 가진다. 이와 같이 하여 후크(2)의 축 삽입통과 구멍(20)을 이루는 긴구멍(20)으로 연결축(B)의 삽입통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연결축(3)과 후크(2)의 걸림단 사이의 길이를 조정 가능하게 하고, 이 긴구멍(20) 내의 연결축(B)의 삽입통과 위치에 맞추어, 후크측 회전축부(21)의 각 연결면(201, 202)과 대좌측 회전축부(11) 및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31)의 각 연결면(101, 301)이 상호의 각 오목부(2010) 및 각 볼록부(1011, 3011)의 걸어맞춤에 의해 고정 가능하게 하여, 후크(2)와 후크받이부(6)의 걸어맞춤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했으므로, 후크(2)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고, 후크(2)와 후크받이부(6)를 최적인 걸어맞춤 위치에서 걸어맞출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판스프링(7)의 가압면(7P)과 대좌측 회전축부(11)의 일방의 피가압면(114A)은 상호 판스프링(7)의 가압면(7P)과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피가압면(114A)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밀폐용 핸들(h1)과 핸들받이(h2)의 걸어맞춤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판스프링의 가압면과 대좌측 회전축부의 피가압면은 상호 평행하게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상기 실시형태에 비해 대좌측 회전축부의 둘레면에 대한 가압력이 약간 낮아지지만, 상기 실시형태와 대체로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마찬가지로, 판스프링(7)의 가압면(7P)과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타방의 피가압면(114B)은 판스프링(7)의 가압면(7P)과 대좌측 회전축부(11)의 피가압면(114B)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밀폐용 핸들(h1)과 핸들받이(h2)가 걸어맞춰지지 않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판스프링의 가압면과 대좌측 회전축부의 타방의 피가압면은 상호 평행하게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상기 실시형태에 비해 대좌측 회전축부의 둘레면에 대한 가압력은 약간 낮아지지만, 상기 실시형태와 대체로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후크측 회전축부(21)의 대좌측 회전축부(11) 및 핸들 레버 회전축부(31)와의 각 연결면(201, 202)에서 긴구멍(20)의 주위를 따라 복수의 오목부(2010)를 가지고, 대좌측 회전축부(11) 및 핸들 레버 회전축부(31)의 후크측 회전축부(21)와의 연결면(101, 301)에 각각 후크측 회전축부(21)의 각 연결면(201, 202)의 복수의 오목부(2010)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복수의 볼록부(1011, 3011)를 가지는 것으로 했지만, 이와는 반대로, 후크측 회전축부의 대좌측 회전축부 및 핸들 레버 회전축부와의 각 연결면에서 긴구멍의 주위를 따라 복수의 볼록부를 가지고, 대좌측 회전축부 및 핸들 레버 회전축부의 후크측 회전축부와의 연결면에 각각 후크측 회전축부의 각 연결면의 복수의 볼록부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이룰 수 있다.
H…밀폐 핸들 장치(본 장치)
h1…밀폐용 핸들
1…핸들 대좌
1F…전면부
10G…단차면
S0…나사 삽입통과 구멍
1S…둘레면부
10…회전축 삽입통과 구멍
101…연결면
1011…볼록부
11…대좌측 회전축부
110…축 삽입통과 구멍
11G…단차면
11I…돌기
111…일방의 스토퍼
112…타방의 스토퍼
113…판스프링 부착부
114…피가압면
114A…피가압면
114B…피가압면
114C…원호 형상의 면
2…후크
20…축 삽입통과 구멍(긴구멍)
200A…홈
200B…홈
201…연결면
202…연결면
2010…오목부
21…후크측 회전축부
22…클로
3…핸들 레버
30…축 삽입통과 구멍(나사 구멍)
301…연결면
3011…볼록부
31…핸들 레버측 회전축부
32…그립
4…회전축
B…연결축(볼트)
h2…핸들받이
5…부착 베이스
5F…전면부
5S…둘레면부
S0…나사 삽입통과 구멍
6…후크받이부
61…지지부
610…나사 구멍
62…걸림부
A…어태치먼트
a1…걸림면 피복부
a11…평면부
a11G…가이드면
a110…후크 걸어맞춤부
a111…후크 안내부
a12…3측면부
a2…지지부 내면 피복부
a20…나사 삽입통과 구멍
S…나사
a21…평판부
a22…2측면부
7…판스프링
7P…가압면
71…가압면부
72…지지부
9A…하우징
90…개구
91…오목부
92…패킹
9B…문
93…힌지

Claims (6)

  1. 핸들 대좌, 핸들 대좌에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후크, 및 후크를 회전 조작하기 위한 핸들 레버로 이루어지는 밀폐용 핸들과, 상기 밀폐용 핸들의 상기 후크와 걸어맞춤 가능한 후크받이부를 가지는 핸들받이를 갖추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핸들 대좌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그 선단이 상기 핸들 대좌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대좌측 회전축부와, 상기 핸들 레버에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에 대하여 동축 상으로 돌출되는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와, 상기 후크에 설치되고,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와 상기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 사이에 작동 연결되는 후크측 회전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폐용 핸들 또는 상기 핸들받이의 일방이 문측에 부착되고, 타방이 하우징의 개구 주위의 프레임측에 부착되어, 상기 밀폐용 핸들의 상기 후크와 상기 핸들받이의 상기 후크받이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문을 하우징의 개구 주위의 프레임에 밀착시켜 하우징의 개구를 밀폐하는 밀폐 핸들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 대좌 내에서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회전 주위에, 적어도 상기 밀폐용 핸들의 상기 후크와 상기 핸들받이의 상기 후크받이부와의 걸어맞춤 상태에서,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둘레면에 압접 가능하게 판스프링을 갖추고,
    상기 판스프링에 의해, 상기 후크와 상기 후크받이부의 걸어맞춤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핸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판스프링은 대좌측 회전축부의 둘레면에 대하여 압접 가능하게 플랫한 가압면을 가지고,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둘레면에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면을 받는 플랫한 피가압면을 가지며,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면과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피가압면은 상호 평행하게 접할 수 있도록, 또는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면과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피가압면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상기 밀폐용 핸들과 상기 핸들받이의 걸어맞춤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핸들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핸들 대좌 내에서 대좌측 회전축부의 회전 주위에, 아울러 밀폐용 핸들의 후크와 핸들받이의 후크받이부가 걸어맞춰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둘레면에 압접 가능하게 판스프링을 갖추고,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둘레면에 대하여 압접 가능하게 플랫한 가압면을 가지고,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둘레면에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면을 받는 플랫한 피가압면을 가지며,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면과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피가압면은, 상호 평행하게 접할 수 있도록, 또는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면과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의 피가압면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상기 밀폐용 핸들과 상기 핸들받이가 걸어맞춰지지 않는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핸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핸들받이의 후크받이부의 후크가 접하는 면에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어태치먼트가 적층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핸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핸들받이의 후크받이부의 후크가 접하는 면에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어태치먼트가 적층 장착되고, 상기 어태치먼트의 상기 후크가 접하는 면에서 상기 후크의 정규적인 걸어맞춤 위치로 상기 후크를 걸어맞춤 안내 가능한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핸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핸들 대좌의 대좌측 회전축부, 핸들 레버의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 및 후크의 후크측 회전축부의 축심에 각각 축 삽입통과 구멍을 가지고,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 상기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 및 상기 후크측 회전축부는 상기 각 축 삽입통과 구멍 사이에 삽입통과되는 연결축에 의해 작동 연결되고, 상기 후크측 회전축부의 상기 축 삽입통과 구멍은 상기 후크의 핸들받이의 후크받이부에 대한 걸어맞춤단 방향을 향하여 긴 긴구멍으로 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후크측 회전축부의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 및 상기 핸들 레버 회전축부와의 각 연결면에서 상기 긴구멍의 주위를 따라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 및 상기 핸들 레버 회전축부의 상기 후크측 회전축부와의 연결면에 각각 상기 후크측 회전축부의 각 연결면의 상기 복수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춤 가능하게 복수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후크의 상기 축삽입통과부를 이루는 상기 긴구멍으로 상기 연결축의 삽입통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연결축과 상기 후크의 상기 걸림단과의 사이의 길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당해 긴구멍 내의 상기 연결축의 삽입통과 위치에 맞추어, 상기 후크측 회전축부의 각 연결면과 상기 대좌측 회전축부 및 상기 핸들 레버측 회전축부의 각 연결면이 상호의 상기 각 오목부 및 상기 각 볼록부의 걸어맞춤에 의해 고정 가능하게 하여, 상기 후크와 상기 후크받이부의 걸어맞춤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핸들 장치.
KR1020220113272A 2022-07-05 2022-09-07 밀폐 핸들 장치 KR202400055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08696A JP2024007284A (ja) 2022-07-05 2022-07-05 密閉ハンドル装置
JPJP-P-2022-108696 2022-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562A true KR20240005562A (ko) 2024-01-12

Family

ID=8954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272A KR20240005562A (ko) 2022-07-05 2022-09-07 밀폐 핸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007284A (ko)
KR (1) KR20240005562A (ko)
TW (1) TW2024031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8240A (ja) 2012-11-13 2014-05-29 Shibutani:Kk 密閉ハンド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8240A (ja) 2012-11-13 2014-05-29 Shibutani:Kk 密閉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07284A (ja) 2024-01-18
TW202403162A (zh)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1786Y1 (ko) 틸트힌지
CA2604354A1 (en) Protective cover for a lock
JPH02115483A (ja) ケース用ヒンジ
US3263462A (en) Locking device
KR20240005562A (ko) 밀폐 핸들 장치
KR200380546Y1 (ko) 문 손 끼임 방지구
KR101954894B1 (ko) 가구용 하부경첩
US3944267A (en) Casket lock structure
KR200438164Y1 (ko) 도어 개폐 유지장치
US20050067841A1 (en) Latching system and method
KR20240036441A (ko) 밀폐 핸들 장치
JP2019013295A (ja) コンパクト容器
CN210265619U (zh) 转动机构及具有其的调料机
CN210564101U (zh) 调料机
CN219974232U (zh) 反弹器
JP2018115512A (ja) 平面ハンドル
US20160356062A1 (en) Latching System and Handle for Enclosures
JP3038107U (ja) 締結形板体開閉装置
KR100602384B1 (ko) 문 손 끼임 방지구
US20050115288A1 (en) Adjustable locking mechanism
US11674343B2 (en) Multi-axial door catch
JP2553316Y2 (ja) 地下構造物用蓋の施錠構造
WO2019038092A1 (en) LOCK FOR A DOOR / COVER FOR A MOTOR VEHICLE WITH A GASKET WITH A GASKET SYSTEM
CN212743667U (zh) 锁具用防尘装置及锁具
CN116464357A (zh) 反弹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