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746A -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746A
KR20240003746A KR1020220081539A KR20220081539A KR20240003746A KR 20240003746 A KR20240003746 A KR 20240003746A KR 1020220081539 A KR1020220081539 A KR 1020220081539A KR 20220081539 A KR20220081539 A KR 20220081539A KR 20240003746 A KR20240003746 A KR 20240003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rol device
lock
closer
lin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영
Original Assignee
최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영 filed Critical 최병영
Priority to KR102022008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746A/ko
Publication of KR20240003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74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11)과 문틀(12)로 구성되고,
도어록(20), 도어클로저(30) 그리고 도어록(20)과 연동되어 도어클로저(30)를 제어하는 기능 갖는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구비한 현관문(10)으로,
문(11)을 열었을 때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을 실시하게 되면,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제어를 통해 문(11)이 열린 상태로 그 자리에 멈춰, 닫히지 않게 하고, 밀어서 열릴 수 있게 하는 것과,
다시 한번,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을 실시하게 되면,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제어를 통해 문(11)이 다시 닫히게 하는,
즉, 문(11)을 연 상태에서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의 실시 만으로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통해 도어클로저(30)를 제어 함으로써, 문(11)을 그 자리에 멈춰, 닫히지 않게 하고, 밀어서는 열릴 수 있게 하고, 그리고 다시 닫힐 수 있게 하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
그리고, 문(11)을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열거나, 내부 방향으로 닫을 때, 외부에서 강제로 문(11)을 잡아당길 경우, 내부에서 도어록(20)을 잡아당기는 동작(55)의 실시 만으로 도어록(20)과 연동된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통해 도어클로저(30)를 제어함으로써, 문(11)이 외부로는 열리지 않고 내부로만 닫히게 하는, 방범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Door equipped with door closer control device linked to door lock and its door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문(11)과 문틀(12)로 구성되고,
도어록(20), 도어클로저(30) 그리고 도어록(20)과 연동되어 도어클로저(30)를 제어하는 기능 갖는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구비한 현관문(10)으로,
문(11)을 열었을 때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을 실시 하게 되면,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제어(ⓡ,ⓟ,ⓠ)를 통해 문(11)이 열린 상태로 그 자리에 멈춰, 닫히지 않게 하고, 밀어서 열릴 수 있게 하는 것과,
다시 한번,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을 실시하게 되면, 도어록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제어(ⓢ)를 통해 문(11)이 다시 닫히게 하는,
즉, 문(11)을 연 상태에서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의 실시 만으로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통해 도어클로저(30)를 제어(ⓡ,ⓟ,ⓠ,ⓢ)함으로써, 문(11)을 그 자리에 멈춰, 닫히지 않게 하고, 밀어서는 열릴 수 있게 하고, 그리고 다시 닫힐 수 있게 하는(도10),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
그리고, 문(11)을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열거나, 내부 방향으로 닫을 때, 외부에서 강제로 문(11)을 잡아당길 경우, 내부에서 도어록(20)을 잡아당기는 동작(55)의 실시 만으로 도어록(20)과 연동된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통해 도어클로저(30)를 제어(ⓣ,ⓥ,ⓦ,ⓤ)함으로써, 문(11)이 외부로는 열리지 않고 내부로만 닫히게 하는(도11), 방범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
종래의 일반적인 현관문은 구조체와 일체로 고정된 문틀(12)과 상기 문틀(12)에 여닫이가 가능하게 체결되어, 닫혔을 때 문틀(12)에 빈틈없이 결합되는 구조의 문(11)으로 구성되고,
상기 문(11)에 체결되어, 문(11)을 열고 닫으며 잠글 수 있는 도어록(20)과, 상기 문틀(12)과 문(11)에 각각 체결되어 문(11)을 열었을 때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을 발생시켜 문(11)이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저(30)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문(11)을 열었을 때 바닥과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문이 열린 상태로 그 자리에 멈추게 하기 위한, 문(11)의 하부에 체결하고, 말굽 형상으로 접었다 펼 수 있는 구조의 도어스톱(80)을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도어스톱(80)은 문(11)을 열었을 때 발생하는 도어클로저(30)의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에 의해 문(11)이 자동으로 닫힐 때, 밑으로 펴서(ⓜ) 바닥과의 마찰력을 통해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을 저지함으로써, 닫히려는 문(11)을 그 자리에 멈추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평소에는 위로 접어 올려 놓게 되고(ⓝ), 문(11)을 연 상태에서 그 자리에 멈추게 하기 위해서는 밑으로 펴서 내리게 되는데(ⓜ),
이때, 도어스톱(80)을 밑으로 펴서(ⓜ) 내리는 과정에서, '도4'와 같이, 도어클로저(30)의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으로 인해 닫히려고 하는 문(11)을 손, 발 또는 몸으로 저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 또는 발을 이용하여 밑으로 내려야 하는(ⓜ),
또한 반대로, 도어스톱(80)에 의해 멈춘 문(11)을 다시 닫히게 하기 위해서는, '도5'와 같이, 도어클로저(30)의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으로 인해 닫히려고 하는 문(11)을 손, 발 또는 몸으로 저지한 상태에서(ⓧ), 도어스톱(80)을 다른 손 또는 발을 이용하여 위로 접어 올려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현관문은 완전히 닫혔을 경우에는 잠금 기능이 작동되어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나, 문(11)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고 열거나, 닫는 순간에는 외부에서 외력으로 문을 강제로 잡아당길 경우, 이미 잠금 기능이 해제된 문(11)은 현관문 사용자의 외력 만으로 문을 저지하는 것 외에는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즉 방범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현관문에 있어서,
문(11)을 열었을 때 도어클로저(30)에 의해 닫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그 자리에 멈추고, 멈춘 문(11)을 다시 닫히게 하기 위한, 도어스톱(80)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고,
그리고, 현관문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고 문을 열거나 닫는 순간, 외부에서 외력으로 현관문을 강제로 잡아당길 경우, 현관문이 외부 쪽으로는 열리지 않고, 내부 쪽으로만 닫혀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즉, 도어록(20)과 연동되고, 도어클로저(30)를 제어하는 기능 갖는,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구비함으로써,
문(11)을 연 상태에서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의 실시 만으로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통해 도어클로저(30)를 제어(ⓡ,ⓟ,ⓠ,ⓢ)함으로써, 문(11)을 그 자리에 멈춰, 닫히지 않게 하고, 밀어서 열릴 수 있게 하고, 그리고 다시 닫힐 수 있게 하는(도10), 편리함을 제공하고,
그리고, 문(11)을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열거나, 내부 방향으로 닫을 때, 외부에서 강제로 문(11)을 잡아당길 경우, 내부에서 도어록(20)을 잡아당기는 동작(55)의 실시 만으로 도어록(20)과 연동된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통해 도어클로저(30)를 제어(ⓣ,ⓥ,ⓦ,ⓤ)함으로써, 문(11)이 외부로는 열리지 않고, 내부로만 닫히게 하는(도11), 방범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구조체와 일체로 고정된 문틀(12)과,
상기 문틀(12)에 여닫이가 가능하게 체결되어, 닫혔을 때 문틀(12)에 빈틈없이 결합되는 구조의 문(11)으로 구성되고,
문(11)을 열고 닫으며, 잠글 수 있는 도어록(20)과,
문(11)과 문틀(12)에 각각 체결되어 문(11)을 열었을 때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을 발생시켜 문(11)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저(30)와,
상기 도어클로저(30)에 의해 문(11)이 자동으로 닫힐 때, 상기 도어록(20)과 연동되어 문(11)이 닫히지 않게 제어하는 제1컨트롤러 제어장치(120),
문(11)이 외력에 의해 강제로 열릴 때, 상기 도어록(20)과 연동되어 문(11)이 열리지 않게 제어하는 제2컨트롤러 제어장치(130),
상기 도어클로저(30)의 회전축(32)에 체결되어, 회전축(3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기어 축(111)과 상기 연결기어 축(111)에 일체로 체결되고, 상기 제1콘트롤러 제어장치(120)와 제2콘트롤러 제어장치(130)를 통해 상기 회전축(32)의 회전을 각각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1연결기어(112)와 제2연결기어(113)로 구성된 연결기어(110),
상기 도어록(20)과 감지형 회로선(151)으로 연결되어, 도어록(20)의 동작을 감지한 신호를 제1컨트롤러 제어장치(120)와 제2컨트롤러 제어장치(130)에 전달하고, 전원선(152)과 연결되어 모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중앙제어장치(140)로 구성되어,
도어록(21)의 동작을 통해 문(1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구비한 현관문(10);으로,
상기 현관문(10)은,
'도10'과 같이, 문(11)을 열었을 때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을 실시하게 되면,
도어록(20)과 연동된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가 도어클로저(30)의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에 의한 문 닫힘 시 회전(ⓑ)을 구속(ⓡ)하고, 문 열림 시 회전(ⓒ)은 가능하게 함으로써(ⓟ),
열린 상태로 그 자리에 멈춰, 닫히지 않게 하고, 밀어서 열릴 수 있게 한 것;
상기와 같이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에 의해 도어클로저(30)의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에 의한 문 닫힘 시 회전(ⓑ)이 구속(ⓡ)되어, 문(11)이 열려 그 자리에 멈춘 상태에서,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을 다시 실시하게 되면,
상기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가 구속(ⓡ)된 상태의 도어클로저(30)의 문 닫힘 시 회전(ⓑ)을 해제(ⓢ) 시킴으로써,
문(11)이 도어클로저(30)의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으로 인해 닫힐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현관문(10)은
'도11'과 같이, 문(11)을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열거나, 내부 방향으로 닫을 때, 외부에서 강제로 문(11)을 잡아당길 경우, 내부에서 도어록(20)을 잡아당기는 동작(55)을 실시하게 되면,
도어록(20)과 연동된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가 도어클로저(30)의 문 열림 시 회전(ⓒ)을 구속(ⓣ)하고, 문 닫힘 시 회전(ⓑ)은 가능하게 함으로써(ⓥ),
문(11)이 더 이상 열리지 않고, 닫힐 수만 있게 한 것;과,
문(11)이 완전히 닫혀, 잠긴 후, 상기와 같이 잡아당겨진 상태의, 도어록(20)을 잡아넣는 동작(56)을 실시하게 되면,
상기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가 구속(ⓣ)된 상태의 문 열림 시 회전(ⓒ)을 해제(ⓤ)시킴으로써,
문(11)이 다시 열릴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를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따라,
문(11)을 열었을 때, 닫히지 않게 하고, 밀어서 열릴 수 있게 하며, 그리고 다시 닫힐 수 있게 하기 위해,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의 실시 만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편리함을 제공하고,
그리고, 문(11)의 잠금 기능을 해제하고 열거나 닫는 순간, 외부에서 외력으로 문을 강제로 열려고 할 경우, 도어록(20)을 잡아당기는 동작(55)의 실시 만으로, 문(11)이 외부로는 열리지 않고, 내부로만 닫히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외력에 의한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즉 방범상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현관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2는 일반적인 도어클로저(30)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도1'의 A-A'단면 예시도
도3은 종래의 일반적인 현관문의 도어스톱(80)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4는 종래의 도어클로저(30)가 설치된 일반적인 현관문에 있어서, 문(11)이 열린 상태로 닫히지 않고, 그 자리에 멈추고자 할 때의 도어스톱(80)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5는 '도4'와 반대로, 종래의 도어클로저(30)가 설치된 일반적인 현관문에 있어서, 도4와 같이 멈춘 문(11)을 다시 닫히게(ⓘ) 하기 위한 도어스톱(80)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의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의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 결합 구조의 형상 및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7의 (7a)'의 B-B'단면 예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의 제어 시스템 회로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에 있어서, 문(11)을 열었을 때 도어록(20)의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 실시에 따른,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제1콘트롤러(122)에 의한 도어클로저(30) 회전축(32)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8의 (8b)'의 C-C'단면 예시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에 있어서, 도어록(20)을 잡아당기는 동작(55)과 도어록(20)을 잡아넣는 동작(56) 실시에 따른,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제2콘트롤러(132)에 의한 도어클로저(30) 회전축(32)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8의 (8b)'의 D-D'단면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 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한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현관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현관문은 벽체와 일체로 고정된 문틀(12)과 상기 문틀(12)에 여닫이가 가능하게 체결되어, 닫혔을 때 문틀(12)에 빈틈없이 결합되는 구조의 문(11)으로 구성되고,
상기 문(11)에 체결되어, 문(11)을 열고 닫으며 잠글 수 있는 도어록(20)과, 상기 문틀(12)과 문(11)에 각각 체결되어 문(11)을 열었을 때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을 발생시켜 문(11)이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저(30)와,
문(11)을 열었을 때(ⓗ) 문이 열린 상태로 그 자리에 멈추게 하기 위한, 문(11) 하부에 체결하고, 말굽 형상으로 접었다 펼 수 있는 구조의 도어스톱(80)을 구비하게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의 (1a)는 종래의 일반적인 현관문이 닫혀 있는 상태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1의 (1b)는 종래의 일반적인 현관문이 내부인 안쪽에서 외부인 바깥쪽으로 열려(ⓗ), 멈춰 있는 상태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일반적인 도어클로저(30) 작동원리를 '도1의 (1a)'의 A-A'단면도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2의 (2a)는 종래의 일반적인 현관문이 닫혀 있을 때의 현관문 구조 및 도어클로저(30)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
일반적인 도어클로저(30)는 문틀(12)과 문(11)에 각각 체결되어 문(11)을 열었을 때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을 발생시켜 문(11)이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일반적인 도어클로저(30) 구조는,
문틀(12)에 일체로 고정된 브라켓(35),
상기 브라켓(35)에 일측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체결된 구조의 링크(34),
상기 링크(34)의 타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일측이 체결된 구조의 메인암(33),
상기 메인암(33)의 타측으로, 일측이 고정화 체결되고,
문(11)을 열 때 발생하는 문 열림 시 회전(ⓒ) 운동을 바디(31)에 전달하고, 전달된 상기 문 열림 시 회전(ⓒ) 운동에 대항하여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을 문(11)에 전달하여 닫힐 수 있게, 타측이 바디(31)에 체결된 회전축(32),
상기 회전축(32)을 체결하고, 문(11)에 일체로 고정되어, 문(11)을 열 때 발생하는 문 열림 시 회전(ⓒ) 운동에 대항하여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을 발생시키는 구조의 바디(31)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2의 (2b)는 종래의 일반적인 현관문(10)이 열릴 때(ⓗ)의 현관문 구조 및 도어클로저(30)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
문(11)이 내부인 안쪽에서 외부인 바깥쪽으로 열릴 경우(ⓗ),
문(11)과 일체로 고정된 바디(31)가 문(11)과 같이 바깥쪽으로 운동하게 되고(ⓗ),
이에 바디(31)와 체결된 회전축(32)은, 회전력 전달 구조로 연결된 메인암(33), 링크(34) 및 브라켓(35)이 벽체에 고정된 문틀(12)에 체결되어 있음에 따라, 열리는 문(11)과는 반대 방향인 문 열림 시 회전(ⓒ)이 발생하게 되고,
동시에 바디(31)는 회전축(32)의 문 열림 시 회전(ⓒ) 운동에 대항하여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회전축(32), 메인암(33), 링크(34) 및 브라켓(35) 구조물을 통해, 상기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을 문(11)에 전달함으로써, 문(11)이 닫히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문(11)이 닫히면서 상기 회전축(32)은 문 닫힘 시 회전(ⓑ)이 발생하게 되는,
즉, 일반적인 현관문에 있어서, 문(11)이 열릴 때(ⓗ), 도어클로저(30)에 의해 문(11)이 닫히려는 힘(ⓖ)이 동시에 발생하고, 이후 문(11)이 닫히게 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3은 종래의 일반적인 현관문의 도어스톱(80)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클로저(30)가 구비된 일반적인 현관문에 있어서, 문(11)을 열게 되면,
'도2'와 같이, 도어클로저(30)에 의해 자동으로 문(11)이 닫히게 되는데, 이때 문(11)이 열린 상태로 닫히지 않고, 그 자리에 멈추게 하기 위한 것으로,
문(11) 하부에 체결되고, 말굽 형상으로 접었다(ⓝ), 펼 수 있는(ⓜ) 구조의 도어스톱(80)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3의 (3a)는 문(11)이 열린 상태로 닫히지 않고, 그 자리에 멈추고자 할 때의 도어스톱(80) 작동원리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
문(11)이 열린 상태에서 멈추고자 하는 지점에서 도어스톱(80)을 바닥 방향의 아래로 펴서(ⓜ), 끝단의 고무재질의 마찰부(81)가 바닥에 닿게 함으로써, 문(11)이 닫히는 방향(ⓘ)의 마찰력이 발생하는 구조가 되어,
문(11)이 더 이상 닫히지(ⓘ) 않게 하고,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는 외부 방향으로는 밀어서 더 열릴(ⓗ) 수 있게 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3의 (3b)는 '도3의 (3a)'와 같이 멈춘 문(11)을 다시 닫히게(ⓘ) 하기 위한 도어스톱(80) 작동원리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
문(11)을 멈추기 위해 바닥 방향의 아래로 폈든(ⓜ) 도어스톱(80)을 다시 위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문(11)은 도어클로저(30)에 의해 다시 닫힐(ⓘ) 수 있게 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4는 종래의 도어클로저(30)가 설치된 일반적인 현관문에 있어서, 문(11)이 열린 상태로 닫히지 않고, 그 자리에 멈추고자 할 때의 도어스톱(80)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문(11)을 열게(ⓗ) 되면, 도어클로저(30)에 의해 문(11)이 닫히려고 하는 반력(ⓖ)이 '도2'와 같이 발생하게 되고, 그리고 문(11)이 열린 상태로 닫히지 않고, 그 자리에 멈추고자 하기 위해서는, 도어스톱(80)을 '도3'과 같이 바닥 방향의 아래로 펴서(ⓜ) 바닥에 밀착시켜야 되는데,
이때, 도어클로저(30)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려고 하는 힘(ⓖ)으로 인한 문(11)을 손, 발 또는 몸으로 저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 또는 발을 이용하여 도어스톱(80)을 바닥 방향의 아래로 펴서(ⓜ) 바닥에 밀착시켜야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5는 '도4'와 반대로, 종래의 도어클로저(30)가 설치된 일반적인 현관문에 있어서, 도4와 같이 멈춘 문(11)을 다시 닫히게(ⓘ) 하기 위한 도어스톱(80)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 방향의 아래로 펴져(ⓜ) 바닥에 밀착되어, 도어클로저(30)의 닫히려는 힘(ⓖ)에 대항하여, 바닥과의 마찰력으로 저지하고 있는 도어스톱(80)을 위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문(11)은 도어클로저(30)에 의해 다시 닫힐(ⓘ) 수 있게 한 것인데,
이때, 도어스톱(80)을 위 방향으로 접기(ⓝ) 위해서, 도어클로저(30)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려고 하는 힘(ⓖ)에 대항하기 위해, 문(11)을 손, 발 또는 몸으로 저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 또는 발을 이용하여 도어스톱(80)을 위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문(11)은 도어클로저(30)에 의해 다시 닫히게(ⓘ)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은 벽체와 일체로 고정된 문틀(12)과 상기 문틀(12)에 여닫이가 가능하게 체결되어, 닫혔을 때 문틀(12)에 빈틈없이 결합되는 구조의 문(11)으로 구성되고,
상기 문(11)에 체결되어, 문(11)을 열고 닫으며 잠글 수 있는 도어록(20)과,
상기 문틀(12)과 문(11)에 각각 체결되어 문(11)을 열었을 때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을 발생시켜 문(11)이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저(30)와,
상기 도어클로저(30)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고정되고, 도어록(20)과 감지형 회로선(151)으로 연결되어 도어록(20)의 동작을 통해 도어클로저(30)를 제어하는,
즉, 도어록(20)의 동작으로 문(11)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능 갖는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구비하게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은 일반적인 주택의 '현관'에 설치되는 '문'에 국한되지 않고, 공간의 출입을 위해 드나드는 문인 '출입문'은 모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도6의 (6a)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이 닫혀 있는 상태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의 (6b)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이 내부인 안쪽에서 외부인 바깥쪽으로 열려(ⓗ), 멈춰 있는 상태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의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는,
문(11)이 열릴 때 발생하는 도어클로저(30)의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에 의한 문 닫힘 시 회전(ⓑ)을 제어하는 제1컨트롤러 제어장치(120)와
도어클로저(30)의 문 열림 시 회전(ⓒ)을 제어하는 제2컨트롤러 제어장치(130)와,
도어클로저(30)의 회전축(32)에 고정화 체결되어, 회전축(3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기어 축(111), 상기 연결기어 축(111)에 일체로 체결되고, 상기 제1콘트롤러 제어장치(120)와 제2콘트롤러 제어장치(130)를 통해 회전축(32)의 회전을 각각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1연결기어(112)와 제2연결기어(113)로 구성된 연결기어(110)와,
도어록(20)과 감지형 회로선(151)으로 연결되어, 도어록(20)의 동작을 감지한 신호를 제1컨트롤러 제어장치(120)와 제2컨트롤러 제어장치(130)에 전달하고, 전원선(152)과 연결되어 모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중앙제어장치(140)로 구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7 (7a)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내부 구조의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7의 (7b)는 '도7의 (7a)'의 “A”부분 확대 상세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의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 결합 형상 및 상세를 '도7의 (7a)'의 B-B'단면도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8의 (8a)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의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결합 구조의 형상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는,
도어록(20)과 감지형 회로선(151)으로 연결되어 도어록(20)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게 하고,
전원선(152)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 각 부분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하며,
일측으로 도어클로저 회전축(32)에 고정되고, 타측으로 도어클로저 메인암(33)이 고정되게 연결기어 축(111)과 도어클로저(30)를 체결하게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8의 (8b)는 '도8의 (8a)'의 “B”부분 확대 상세도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는,
'도8의 (8a)'와 같이, 일측으로 도어클로저 회전축(32)에 고정되고, 타측으로 도어클로저 메인암(33)에 고정되게 체결한 연결기어 축(111)에,
제1콘트롤러 제어장치(120)의 제1콘트롤러(122)가 이동하여 기어가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제1연결기어(112)를 구성하고, 제2콘트롤러 제어장치(130)의 제2콘트롤러(132)가 이동하여 기어가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제2연결기어(113)를 구성한,
연결기어(110)를 형성하고,
외부에서 인입된 감지형 회로선(151)과 전기선(152)을 수용하며,
도어록(20)에서 감지한 동작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1콘트롤러 제어장치(120)와 제2콘트롤러 제어장치(130)에 장치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 갖는 구조의 중앙제어장치(14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의 제어 시스템 회로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9의 (9a)는 도어록(20)의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 실시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다른 현관문(10)이 열린 상태에서,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을 실시하게 되면, 도어록(20)의 센서가 상기 동작(50)을 감지하여, 감지형 회로선(151)을 통해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중앙제어장치(140)로 감지된 동작 신호(51)를 보내게 되고,
상기 중앙제어장치(140)는 입력된 상기 감지된 동작 신호(51)를 통해, 제1콘트롤러 제어장치(120)로 장치 구동 신호(52)를 보내어, 제1콘트롤러(122)를 구동 시켜 제1연결기어(112)를 제어(ⓡ,ⓢ)하게 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9의 (9b)는 도어록(20)을 잡아당기는 동작(55) 또는 도어록(20)을 잡아넣는 동작(56) 실시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다른 현관문(10)의 문(11)을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열거나, 내부 방향으로 닫을 때, 외부에서 강제로 문(11)을 잡아당길 경우, 내부에서 도어록(20)을 잡아당기는 동작(55)을 실시 하거나, 또는 잡아당겨진 도어록(20)을 잡아넣는 동작(56)을 실시하게 되면, 도어록(20)의 센서가 상기 동작(55,56)을 감지하여, 감지형 회로선을 통해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중앙제어장치(140)로 감지된 동작 신호(57)를 보내게 되고,
상기 중앙제어장치(140)는 입력된 상기 감지된 동작 신호(57)를 통해, 제2콘트롤러 제어장치(130)로 장치 구동 신호(58)를 보내어, 제2콘트롤러(132)를 구동 시켜 제2연결기어(112)를 제어(ⓣ,ⓤ)하게 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에 있어서, 문(11)을 열었을 때 도어록(20)의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 실시에 따른,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제1콘트롤러(122)에 의한 도어클로저(30) 회전축(32) 제어 시스템을'도8의 (8b)'의 C-C'단면도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10의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의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인 '회전 동작'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의 문을 여는 동작(50)은 '도10의 (10a)'와 같은 '회전 동작' 외 '누르는 동작'등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도10의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에 있어서, 문(11)을 열었을 때 도어록(20)의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 실시에 따른,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제1콘트롤러(122)에 의해, 도어클로저(30) 회전축(32)의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에 의한 문 닫힘 시 회전(ⓑ)을 구속(ⓡ)함에 따라, 문(11)이 더 이상 닫히지 않게 하는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을 열고, '도10의 (10a)'와 같이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을 실시하게 되면,
'도9의 (9a)'의 제어시스템을 통해, 제1콘트롤러(122)가 제1연결기어(112)의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에 의한 문 닫힘 시 회전(ⓑ)을 구속할 수 있게 이동하여, 제1연결기어(112)와 맞물려 구속함으로써(ⓡ), 더 이상 상기 문 닫힘 시 회전(ⓑ)은 하지 못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문 닫힘 시 회전(ⓑ)을 하지 못함'은, 문(11)이 닫힐 때, 문(11)과 일체로 고정된 도어클로저(30)의 회전축(32)에 의해 발생하는 제1연결기어(112)의 문(11)이 닫힐 때 발생하는 회전으로써, 이에 문(11)이 더 이상 닫힐 수 없게 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10의 (10c)는 '도10의 (10b)'와 같이 문(11)이 더 이상 닫히지 않게 작동된 상태에서, 문(11)을 밀어서 열릴 수는 있게 한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이 '도10의 (10b)'와 같이 문(11)이 더 이상 닫히지 않게 작동된 상태에서도,
제1콘트롤러(122)가 제1연결기어(112)의 문 열림 시 회전(ⓒ)에 대해서는 구속하지 않는 구조로 하여, 문(11)을 밀어서 열 경우, 도어클로저(30) 회전축(32)에 의해 제1연결기어(112)는 문 열림시 회전(ⓒ)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제1콘트롤러(122)는 회전 운동(ⓟ)을 통해, 제1연결기어(112)의 문 열림 시 회전(ⓒ)은 가능하게 함으로써, 문(11)을 밀어서 열릴 수는 있게 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제1콘트롤러(122)가 문(11)을 밀어서 열 때 회전 운동(ⓟ)이 발생하더라도, 제1콘트롤러(122)가 상기 회전 운동(ⓟ)에 대한 회전 반력 운동(ⓠ)이 동시에 발생되게 함으로써, 문(11)을 밀어서 열더라도, 상기 회전 반력 운동(ⓠ)에 의해 제1콘트롤러(122)가, 제1연결기어(112)와 맞물려 구속되게 회전(ⓠ) 함으로써, 문(11)은 계속적으로 닫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10 (10d)는 '도10의 (10b)'와 같이 문(11) 멈추었을 때, '도10의 (10a)'와 같이 다시 한번,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을 실시하게 되면,
도어클로저(30) 회전축(32)의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을 구속하고 있던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제1콘트롤러(122)를 해제(ⓢ) 함으로써, 문 닫힘 시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1)은, 문(11)을 열었을 때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을 실시하게 되면,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제어(ⓡ,ⓟ,ⓠ)를 통해 문(11)이 열린 상태로 그 자리에 멈춰, 닫히지 않게 하고, 밀어서 열릴 수 있게 하는 것과,
다시 한번,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을 실시하게 되면, 도어록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제어(ⓢ)를 통해 문(11)이 다시 닫히게 하는,
즉, 문(11)을 연 상태에서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의 실시 만으로 도어록(20)과 연동된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통해 도어클로저(30)를 제어(ⓡ,ⓟ,ⓠ,ⓢ)함으로써, 문(11)이 그 자리에 멈춰, 닫히지 않게 하고, 밀어서는 열릴 수 있게 하고, 그리고 다시 닫힐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에 있어서, 문(11)을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열거나, 내부 방향으로 닫을 때, 외부에서 강제로 문(11)을 잡아당길 경우, 내부에서 도어록(20)을 잡아당기는 동작(55)의 실시, 또는 도어록(20)을 잡아넣는 동작(56)의 실시에 따른,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제2콘트롤러(132)에 의한 도어클로저(30) 회전축(32) 제어 시스템을'도8의 (8b)'의 D-D'단면도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11의 (11a-1)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의 도어록(20)을 잡아당기는 동작(55)인 '잡아당기는 동작'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의 (11a-2)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에 있어서, 도어록(20)을 잡아당기는 동작(55) 실시에 따른,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제2콘트롤러(132)에 의해, 도어클로저(30) 회전축(32)의 문 열림 시 회전(ⓒ)을 구속(ⓣ)함에 따라, 문(11)이 더 이상 열리지 않게 하는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의 도어록(20)을 잡아당기는 동작(55)을 실시하게 되면, '도9의 (9b)'의 제어시스템을 통해, 제2콘트롤러(132)가 제2연결기어(113)의 문 열림 시 회전(ⓒ)을 구속할 수 있게 이동하여, 제2연결기어(113)와 맞물려 구속함으로써(ⓣ), 더 이상 상기 문 열림 시 회전(ⓒ)은 하지 못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문 열림 시 회전(ⓒ)을 하지 못함'은, 문(11)이 열릴 때, 문(11)과 일체로 고정된 도어클로저(30)의 회전축(32)에 의해 발생하는 제2연결기어(113)의 문(11)이 열릴 때 발생하는 회전으로써, 이에 문(11)이 더 이상 열릴 수 없게 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어록(20)을 잡아당긴 상태(55)에서는 도어록(20)을 놓더라도, 도어록(20)은 잡아당겨진 상태(55) 그대로 유지되고, 이에 상기 문 열림 시 회전(ⓒ)의 구속(ⓣ) 상태도 계속 유지됨에 따라, 문(11)은 계속적으로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11의 (11b)는 '도11의 (11a-2)'와 같이 문(11)이 더 이상 열리지 않게 작동된 상태에서, 문(11)을 닫을 수는 있게 한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이 '도11의 (11a-2)'와 같이 문(11)이 더 이상 열릴지 않게 작동된 상태에서도, 제2콘트롤러(132)가 제2연결기어(113)의 문 닫힘 시 회전(ⓑ)에 대해서는 구속하지 않는 구조로 하여,
문(11)을 닫을 경우, 도어클로저(30) 회전축(32)에 의해 제2연결기어(113)는 문 닫힘 시 회전(ⓑ)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제2콘트롤러(132)는 회전 운동(ⓥ)을 통해, 제2연결기어(113)의 문 닫힘 시 회전(ⓑ)은 가능하게 함으로써, 문(11)을 닫을 수는 있게 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제2콘트롤러(132)가 문(11)을 닫을 때 회전 운동(ⓥ)이 발생하더라도, 제2콘트롤러(132)가 상기 회전 운동(ⓥ)에 대한 회전 반력 운동(ⓦ)이 동시에 발생되게 함으로써, 문(11)을 닫더라도, 상기 회전 반력 운동(ⓦ)에 의해 제2콘트롤러(132)가, 제2연결기어(113)와 맞물려 구속되게 회전(ⓦ) 함으로써, 문(11)은 계속적으로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11의 (11c-1)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의 도어록(20)이 잡아당겨진 상태(55)에서 도어록(20)을 잡아넣는 동작(56)인 '잡아넣는 동작'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의 (11c-2)는 '도11의 (11a-2)'와 같이 도어록(20)이 잡아당겨진 상태(55)에서 문(11)이 완전히 닫혀, 잠긴 후 도어록(20)을 '도11의 (11c-1)'과 같이 도어록(20)을 잡아넣는 동작(56)을 실시하게 되면,
도어클로저(30) 회전축(32)의 문 열림 시 회전(ⓒ)을 구속하고 있던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의 제2콘트롤러(132)를 해제(ⓤ) 함으로써, 문 열림 시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10)은, 문(11)을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열거나, 내부 방향으로 닫을 때, 외부에서 강제로 문을 잡아당길 경우, 내부에서 도어록(20)을 잡아당기는 동작(55)의 실시 만으로 도어록(20)과 연동된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통해 도어클로저(30)를 제어(ⓣ,ⓥ,ⓦ)함으로써, 문(11)이 외부로는 열리지 않고 내부로만 닫히게 하고,
그리고, 도어록(20)이 잡아당겨진 상태(50)에서 문(11)이 완전히 닫혀, 잠긴 후 도어록(20)을 잡아넣는 동작(56)을 실시하게 되면, 도어록(20)과 연동된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통해 도어클로저(30)를 제어(ⓤ)함으로써, 문(11)이 외부로 열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10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11 문 12 문틀
20 도어록
30 도어클로저 31 바디 32 회전축 33 메인암 34 링크 35 브라켓
50 도어록의 문을 열기 위한 동작
51 도어록의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 실시에 따른, 도어록에서 감지되어 중앙제어장치(140)에 보내는 동작 감지 신호
52 도어록의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 실시에 따른, 도어록에서 감지된 동작 신호(51)을 받은 중앙제어장치(140)가 제1콘트롤러 제어장치(120)로 보내는 장치 구동 신호
55 도어록을 잡아당기는 동작
56 도어록을 잡아넣는 동작
57 도어록을 잡아당기는 동작(55) 또는 도어록을 잡아넣는 동작(56) 실시에 따른, 도어록에서 감지되어 중앙제어장치(140)에 보내는 동작 감지 신호
58 도어록을 잡아당기는 동작(55) 또는 도어록을 잡아넣는 동작(56) 실시에 따른, 도어록에서 감지된 동작 감지 신호(57)를 받은 중앙제어장치(140)가 제1콘트롤러 제어장치(120)로 보내는 장치 구동 신호
80 도어스톱 81 도어스톱 끝단의 고무재질의 마찰부
100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110 연결기어 111 연결기어 축 112 제1연결기어 113 제2연결기어
120 제1컨트롤러 제어장치 121 제1컨트롤러 구동박스 122 제1콘트롤러
130 제2컨트롤러 제어장치 131 제2콘트롤러 구동박스 132 제2콘트롤러
140 중앙제어장치 151 도어록과 연결된 감지형 회로선 152 전원선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
문 닫힘 시 회전
문 열림 시 회전
ⓡ 제1콘트롤러(122)의 도어클로저(30) 회전축(32)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에 의한 문 닫힘 시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이동 방향
ⓟ 제1콘트롤러(122)가 'ⓡ'과 같이 이동한 후, 제1연결기어(112)의 문 열림 시 회전(ⓒ)시 발생하는 제1콘트롤러(122)의 회전 운동 방향
ⓠ 제1콘트롤러(122)의 'ⓟ'의 반력에 의한 반대 회전 운동 방향
ⓢ 제1콘트롤러(122)의 도어클로저(30) 회전축(32)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에 의한 문 닫힘 시 회전(ⓑ)을 해제하기 위한 이동 방향
ⓣ 제2콘트롤러(132)의 도어클로저(30) 회전축(32) 문 열림 시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이동 방향
ⓥ 제2콘트롤러(132)가 'ⓣ'와 같이 이동한 후, 제2연결기어(113)의 문 닫힘 시 회전(ⓑ)시 발생하는 제2콘트롤러(132)의 회전 운동 방향
ⓦ 제2콘트롤러(132)의 'ⓥ'의 반력에 의한 반대 회전 운동 방향
ⓤ 제2콘트롤러(132)의 도어클로저(30) 회전축(32) 문 열림 시 회전(ⓒ)을 해제하기 위한 이동 방향
ⓧ 도어클로저(30)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려고 하는 힘(ⓖ)으로 인한 문(11)을 손, 발 또는 몸으로 저지한 상태

Claims (3)

  1. 구조체와 일체로 고정된 문틀(12)과,
    상기 문틀(12)에 여닫이가 가능하게 체결되어, 닫혔을 때 문틀(12)에 빈틈없이 결합되는 구조의 문(11)으로 구성되고,
    문(11)을 열고 닫으며, 잠글 수 있는 도어록(20)과,
    문(11)과 문틀(12)에 각각 체결되어 문(11)을 열었을 때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을 발생시켜 문(11)을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저(30)와,
    상기 도어클로저(30)에 의해 문(11)이 자동으로 닫힐 때, 상기 도어록(20)과 연동되어 문(11)이 닫히지 않게 제어하는 제1컨트롤러 제어장치(120),
    문(11)이 외력에 의해 강제로 열릴 때, 상기 도어록(20)과 연동되어 문(11)이 열리지 않게 제어하는 제2컨트롤러 제어장치(130),
    상기 도어클로저(30)의 회전축(32)에 체결되어, 회전축(3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결기어 축(111)과 상기 연결기어 축(111)에 일체로 체결되고, 상기 제1콘트롤러 제어장치(120)와 제2콘트롤러 제어장치(130)를 통해 상기 회전축(32)의 회전을 각각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1연결기어(112)와 제2연결기어(113)로 구성된 연결기어(110),
    상기 도어록(20)과 감지형 회로선(151)으로 연결되어, 도어록(20)의 동작을 감지한 신호을 제1컨트롤러 제어장치(120)와 제2컨트롤러 제어장치(130)에 전달하고, 전원선(152)과 연결되어 모든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중앙제어장치(140)로 구성되어,
    도어록(20)의 동작을 통해 문(1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를,
    구비한 현관문(10);을 포함하여 그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10)은,
    그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문(11)을 열었을 때,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을 실시하게 되면,
    도어록(20)과 연동된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가 도어클로저(30)의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에 의한 문 닫힘 시 회전(ⓑ)을 구속(ⓡ)하고, 문 열림 시 회전(ⓒ)은 가능하게 함으로써(ⓟ),
    열린 상태로 그 자리에 멈춰, 닫히지 않게 하고, 밀어서 열릴 수 있게 한 것;
    상기와 같이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에 의해, 도어클로저(30)의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에 의한 문 닫힘 시 회전(ⓑ)이 구속(ⓡ)되어, 문(11)이 열려 그 자리에 멈춘 상태에서, 도어록(20)을 잡고 문을 열기 위한 동작(50)을 다시 실시하게 되면,
    상기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가 구속(ⓡ)된 상태의 도어클로저(30)의 문 닫힘 시 회전(ⓑ)을 해제(ⓢ) 시킴으로써,
    문(11)이 도어클로저(30)의 문 닫힘 강제 회전력(회전반력)(ⓐ)으로 인해 닫힐 수 있게 한 것;을 더 포함하여 그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10)은,
    그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문(11)을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열거나, 내부 방향으로 닫을 때, 외부에서 강제로 문(11)을 잡아당길 경우, 내부에서 도어록(20)을 잡아당기는 동작(55)을 실시하게 되면,
    도어록(20)과 연동된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가 도어클로저(30)의 문 열림 시 회전(ⓒ)을 구속(ⓣ)하고, 문 닫힘 시 회전(ⓑ)은 가능하게 함으로써(ⓥ),
    문(11)이 더 이상 열리지 않고, 닫힐 수만 있게 한 것;과,
    문(11)이 완전히 닫혀, 잠긴 후, 상기와 같이 잡아당겨진 상태의, 도어록(20)을 잡아넣는 동작(56)을 실시하게 되면,
    상기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100)가 구속(ⓣ)된 상태의 문 열림 시 회전(ⓒ)을 해제(ⓤ) 시킴으로써,
    문(11)이 다시 열릴 수 있게 한 것;을 더 포함하여 그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 연동된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
KR1020220081539A 2022-07-02 2022-07-02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 KR20240003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539A KR20240003746A (ko) 2022-07-02 2022-07-02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539A KR20240003746A (ko) 2022-07-02 2022-07-02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746A true KR20240003746A (ko) 2024-01-09

Family

ID=89538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539A KR20240003746A (ko) 2022-07-02 2022-07-02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7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2662B2 (en) Movable barrier operator having cable tension sensor and door lock mechanism
KR100759358B1 (ko) 개폐 부재 제어 장치
US6347485B1 (en) Power assist for moving a door between a closed and an ajar position
US11142937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4949881B2 (ja) 遠心分離機の蓋ロック装置
US11105140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opening and closing system
KR20240003746A (ko) 도어록 연동형 도어클로저 제어장치 구비한 현관문과 그 제어 시스템
KR100928682B1 (ko) 모터를 이용한 소방용 도어클로저
US20020157317A1 (en) Automatic door assembly including a braking mechanism.
CN108118492A (zh) 洗衣机门锁检测装置及检测方法
JP3285849B2 (ja) ドアのオートロック装置
US11306512B2 (en) Exit device with remote trim input
JP2722337B2 (ja) 避難用ハッチの開閉装置
KR101826692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KR101018454B1 (ko) 안티패닉 회동방지 조립체
EP3748061B1 (en) Top-loading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cover opening/closing system thereof
KR100789603B1 (ko) 통신구 출입문용 잠금장치
KR102468619B1 (ko) 도어락의 락킹과 락킹 해제 신호에 연동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여닫이식 방식으로 개폐되는 자동문
KR102463903B1 (ko) 스마트 안전고리 장치
KR20100008050U (ko) 안티패닉레버의 회동방지용 클러치 조립체
NL2032287B1 (en) Door closing device, doorway system, and door closing method
JP2657875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閉鎖装置
JP3964310B2 (ja) サッシ自動閉鎖用ユニット
JP5362491B2 (ja) 車両用開閉体の駆動装置
KR20230137131A (ko)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