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7131A -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7131A KR20230137131A KR1020220034898A KR20220034898A KR20230137131A KR 20230137131 A KR20230137131 A KR 20230137131A KR 1020220034898 A KR1020220034898 A KR 1020220034898A KR 20220034898 A KR20220034898 A KR 20220034898A KR 20230137131 A KR20230137131 A KR 202301371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link
- door
- driving
- clos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swinging a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8—Magnetic or electromagnetic fri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3—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load sens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도어부와, 도어부에 장착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링크부와, 차체에 장착되고 링크부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작동 과정에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억제하여 안정적인 작동이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다른 부품과 간섭이 억제되면서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도어는 차량 주행 시에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사용자의 승하차 또는 물건의 상하차 시에 열림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기존의 차량 도어는 트림 내부에 기계식 구조의 도어 체커(door checker) 장치를 설치하여 차량 도어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차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하며 개폐되되, 상기 개폐 경로의 일정지점에서 멈춤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도어 체커 장치는 멈춤 지점에서 차량 도어가 멈춤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지만 멈춤 지점과 이웃한 멈춤 지점 사이에서는 멈춤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 도어를 비교적 적은 힘으로 부드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 및 거동이 불편하여 혼자서 차량 도어의 개폐가 어려운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이 없이 차량 도어를 스스로 개폐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차량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모터의 회전에 따라 랙바가 이동되어 도어가 개폐되므로, 랙바가 도어글라스의 작동부품과 간섭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9-0006197호(2019.01.17 공개, 발명의 명칭 : 차량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제어 방법)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다른 부품과 간섭이 억제되면서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는: 차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링크부; 및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링크부가 관통되는 지지관통부; 상기 지지관통부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구동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지지회전부; 및 상기 지지관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는 지지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동하우징부; 상기 구동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는 구동모터부; 및 상기 구동모터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부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링크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모터부에 구비되고,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제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부는 상기 구동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는 모터몸체부; 및 상기 모터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몸체부가 구동되면 회전되는 모터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제동부는 상기 구동몸체부에 내장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력을 생성하는 제1제동부; 상기 제1제동부에 연결되어 자력이 전달되는 제2제동부; 및 상기 제2제동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제동부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제2제동부에 자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2제동부와 밀착되는 제3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제동부를 관통하는 상기 모터축부는 상기 제3제동부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차체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제동부에 감시신호를 전송하는 구동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감지부가 상기 차체의 경사를 감지하면, 상기 도어부가 개방된 후 상기 구동제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부의 하중에 의한 상기 도어부의 폐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부가 반자동으로 개폐될 때 상기 구동감지부가 상기 도어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고, 상기 도어부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구동제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부의 회전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부; 상기 제1링크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링크부; 및 상기 제2링크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3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제1링크몸체부; 및 상기 제1링크몸체부에서 연장되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링크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제1링크연장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1링크연장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링크몸체부; 상기 제2링크몸체부에서 연장되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링크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제2링크연장부; 및 상기 제2링크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링크몸체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는 제2링크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는 도어부에 지지부가 장착되고,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동부에서 동력을 제공하면 링크부가 다단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도어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에 의해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제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와 구동부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제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와 구동부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에 의해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에 의해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1)는 도어부(10)와, 지지부(20)와, 구동부(30)와, 링크부(40)와, 고정부(50)를 포함한다.
도어부(10)는 차체(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일예로, 차체(100)에는 하나 이상의 힌지부(90)가 장착되고, 도어부(10)는 힌지부(90)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도어부(10)가 차체(100)에 잠기면 도어 클로즈 상태가 되고, 도어부(10)가 차체(100)에서 열리면 도어 오픈 상태가 될 수 있다.
지지부(20)는 도어부(10)에 장착된다. 일예로, 지지부(20)는 도어부(10)에 내장되고, 구동부(30)를 지지할 수 있다.
구동부(30)는 지지부(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동력을 제공한다. 일예로, 구동부(30)는 지지부(20)에만 지지되므로, 동력을 제공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틀림에 의해 지지부(2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링크부(40)는 구동부(30)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일예로, 링크부(40)는 다수개가 링크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부(3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링크부(40)는 지지부(20)를 관통하여 차체(100)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부(50)는 차체(100)에 장착되고, 링크부(40)에 연결된다. 일예로, 고정부(50)는 차체(100)에 고정되고, 링크부(40)는 고정부(5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는 지지관통부(21)와, 지지회전부(22)와, 지지설치부(23)를 포함한다.
링크부(40)는 지지관통부(21)를 관통한다. 일예로, 지지관통부(21)는 도어부(10)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도어부(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도어내장부(11)에 밀착될 수 있다. 지지관통부(21)에는 링크부(40)가 통과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회전부(22)는 지지관통부(21)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구동부(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예로, 지지회전부(22)는 지지관통부(21)의 상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되고, 동축상에는 구동부(30)와 결합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설치부(23)는 지지관통부(21)에 형성되고, 도어부(10)에 장착된다. 일예로, 지지설치부(23)는 지지회전부(2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도어내장부(11)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지지설치부(23)는 지지관통부(2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지지관통부(21)를 관통하면서 도어내장부(1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0)는 구동하우징부(31)와, 구동모터부(32)와, 구동전달부(33)를 포함한다.
구동하우징부(31)는 지지부(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예로, 구동하우징부(31)는 한 쌍이 조립 가능한 하우징몸체부(311)와, 하우징몸체부(311)에 형성되고 지지회전부(22)와 겹쳐지도록 돌출되어 지지회전부(22)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지지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부(32)는 구동하우징부(31)에 내장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된다. 일예로, 구동모터부(32)는 하우징몸체부(311)에 내장되고, 차량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부(32)는 하우징몸체부(311)에 장착되는 모터몸체부(321)와, 모터몸체부(32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모터축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전달부(33)는 구동모터부(32)에 연결되고, 구동모터부(32)에 의해 회전되어 링크부(4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일예로, 구동전달부(33)는 하우징몸체부(3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모터축부(322)와 맞물리는 제1전달부(331)와, 하우징몸체부(3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1전달부(331)와 맞물리는 제2전달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터축부(322)가 회전되면, 제1전달부(331) 및 제1전달부(331)와 맞물린 제2전달부(332)가 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제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0)는 구동제동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제동부(34)는 구동모터부(32)에 구비되고,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구동모터부(32)에 제동력을 제공한다. 일예로, 구동제동부(34)는 모터몸체부(321)에 내장되고 모터축부(322)에 제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동제동부(34)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력이 생성되는 제1제동부(341)와, 제1제동부(341)에 연결되는 제2제동부(342)와, 제2제동부(342)와 이격되고 제1제동부(341)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2제동부(342)에 자력이 형성되면 제2제동부(342)와 밀착되는 제3제동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제동부(343)는 관통되는 모터축부(322)와 스플라인 결합되고, 제3제동부(343)가 제2제동부(342)에 밀착되면 모터축부(322)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구동제동부(34)는 차체(100)에 장착된 구동감지부(35)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즉, 구동감지부(35)는 차체(100)가 경사길에 기울어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만일, 구동감지부(35)가 차체(100)의 경사를 감지하면, 도어부(10)가 개방된 후 구동제동부(34)가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도어부(10) 하중에 의한 도어부(10)의 폐쇄를 방지하고 구동모터부(32)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탑승자가 반자동으로 도어부(10)를 개폐할 때 탑승자의 외력이 사라지는 경우 구동제동부(34)가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도어부(10)의 회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와 구동부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40)는 제1링크부(41)와, 제2링크부(42)와, 제3링크부(43)를 포함한다.
제1링크부(41)는 구동부(30)와 연결되고, 제2링크부(42)는 제1링크부(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제3링크부(43)는 제2링크부(42)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3링크부(43)는 고정부(5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1링크부(41)는 구동부(30)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링크부(41)는 제1링크몸체부(411)와 제1링크연장부(412)를 포함한다.
제1링크몸체부(411)는 구동부(30)에 결합된다. 일예로, 제1링크몸체부(411)는 제2전달부(332)에 리벳팅되되, 서로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도록 복수개가 리벳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전달부(332)는 제1전달부(331)와 맞물리는 제2전달기어부(335)와, 제2전달기어부(335)의 중심축에서 상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전달돌기부(336)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2전달돌기부(336)는 제2전달지지부(337)에 지지되어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2전달지지부(337)로는 베어링이 될 수 있다.
제1링크연장부(412)는 제1링크몸체부(411)에서 연장되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일예로, 제1링크연장부(412)는 상하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들이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2링크부(42)가 삽입될 수 있다.
제2링크부(42)는 제1링크연장부(412) 사이에 삽입되고, 제1링크연장부(412)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링크부(42)는 제2링크몸체부(421)와, 제2링크연장부(422)와, 제2링크제한부(423)를 포함한다.
제2링크몸체부(421)는 제1링크연장부(412) 사이에 삽입되고, 제1링크연장부(412)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일예로, 제2링크몸체부(421)에는 부시부(70)가 장착되어 작동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부시부(70)는 제2링크몸체부(421)를 관통하는 제1부시부(71)와, 제1부시부(71)의 양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링크몸체부(421)와 제1링크연장부(412)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억제하는 제2부시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80)는 제1부시부(71)와 제1링크연장부(412)를 관통하여 제1링크부(41)와 제2링크부(42)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제2링크연장부(422)는 제2링크몸체부(421)에서 연장되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3링크부(43)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다. 제3링크부(43)와 제2링크연장부(422)의 결합을 위해 부시부(70)와 체결부(80)가 적용될 수 있다.
제2링크제한부(423)는 제2링크몸체부(421)에서 연장되고, 제1링크몸체부(411)에 걸려 회전이 제한된다. 일예로, 제2링크제한부(423)는 제2링크몸체부(421)에서 제2링크연장부(412)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링크몸체부(421)가 제1링크몸체부(411)에 걸리면, 링크부(40) 자체 회전이 제한되어 도어부(10)는 최대 개방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어부(10)가 폐쇄된 상태인 경우, 링크부(40)는 고정부(50)를 잡아당기도록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구동모터부(32)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전달부(33)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링크부(40)가 고정부(500를 밀어내도록 회전된다.
즉, 구동모터부(32)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링크부(41)의 단부가 고정부(5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회전된다. 이로 인해, 제1링크부(41)와 연결된 제2링크부(42) 및 제2링크부(42)와 연결된 제3링크부(43)가 고정부(50)를 밀어낸다.
링크부(40)가 고정부(50)를 밀어내면 도어부(10)는 개방된다. 이때, 제2링크부(42)가 제1링크부(41)에 걸려 도어의 회전각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구동감지부(35)는 차체(100)가 경사길에 기울어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도어부(10)가 개방된 후 구동제동부(34)가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도어부(10)의 회전 상태를 강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체 하중에 의한 도어부(10)의 의도하지 않은 폐쇄 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하고 구동모터부(32)의 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1)는 도어부(10)에 지지부(20)가 장착되고, 지지부(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동부(30)에서 동력을 제공하면 링크부(40)가 다단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면서 도어부(10)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도어부 20 : 지지부
21 : 지지관통부 22 : 지지회전부
23 : 지지설치부 30 : 구동부
31 : 구동하우징부 32 : 구동모터부
33 : 구동전달부 34 : 구동제동부
35 : 구동감지부 40 : 링크부
41 : 제1링크부 42 : 제2링크부
43 : 제3링크부
21 : 지지관통부 22 : 지지회전부
23 : 지지설치부 30 : 구동부
31 : 구동하우징부 32 : 구동모터부
33 : 구동전달부 34 : 구동제동부
35 : 구동감지부 40 : 링크부
41 : 제1링크부 42 : 제2링크부
43 : 제3링크부
Claims (12)
- 차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링크부; 및
상기 차체에 장착되고,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링크부가 관통되는 지지관통부;
상기 지지관통부의 단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구동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지지회전부; 및
상기 지지관통부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는 지지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동하우징부;
상기 구동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는 구동모터부; 및
상기 구동모터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부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링크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모터부에 구비되고,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제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부는
상기 구동하우징부에 내장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되는 모터몸체부; 및
상기 모터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몸체부가 구동되면 회전되는 모터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동부는
상기 구동몸체부에 내장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력을 생성하는 제1제동부;
상기 제1제동부에 연결되어 자력이 전달되는 제2제동부; 및
상기 제2제동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1제동부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제2제동부에 자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2제동부와 밀착되는 제3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제동부를 관통하는 상기 모터축부는 상기 제3제동부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차체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제동부에 감시신호를 전송하는 구동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감지부가 상기 차체의 경사를 감지하면, 상기 도어부가 개방된 후 상기 구동제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부의 하중에 의한 상기 도어부의 폐쇄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가 반자동으로 개폐될 때 상기 구동감지부가 상기 도어부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고, 상기 도어부에 가해지는 탑승자의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구동제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부의 회전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제1링크부;
상기 제1링크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링크부; 및
상기 제2링크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3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는
상기 구동부에 결합되는 제1링크몸체부; 및
상기 제1링크몸체부에서 연장되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링크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부는
상기 제1링크연장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1링크연장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링크몸체부;
상기 제2링크몸체부에서 연장되어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링크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제2링크연장부; 및
상기 제2링크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링크몸체부에 걸려 회전이 제한되는 제2링크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4898A KR20230137131A (ko) | 2022-03-21 | 2022-03-21 |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4898A KR20230137131A (ko) | 2022-03-21 | 2022-03-21 |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7131A true KR20230137131A (ko) | 2023-10-04 |
Family
ID=8829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4898A KR20230137131A (ko) | 2022-03-21 | 2022-03-21 |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37131A (ko) |
-
2022
- 2022-03-21 KR KR1020220034898A patent/KR2023013713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38765B2 (en) | Centrifuge having a lock mechanism | |
US10655378B2 (en) | Power side door actuator with rotating drive nut | |
US11142937B2 (en) |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US6398288B1 (en) | Control device of automotive pivoting door | |
EP1775410A2 (en) | Overhead door locking operator | |
US20070284905A1 (en) | Vehicle Seat with Swing-Out Lower Seat Portion | |
JP4949881B2 (ja) | 遠心分離機の蓋ロック装置 | |
US11105140B2 (en) |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opening and closing system | |
US11454059B2 (en) | Vehicle side door opening/closing device | |
KR20230137131A (ko) | 차량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
US20020020115A1 (en) |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slide door window | |
US20070072759A1 (en) | Centrifuge | |
US20230339550A1 (en) | Drive device for a hatch | |
WO1995012736A1 (en) | Operator for a sliding overhead door | |
JP4771295B2 (ja) | 遠心分離機 | |
KR20230172213A (ko) | 자동차 도어의 백래쉬 방지용 자동 개폐장치 | |
KR102573888B1 (ko) | 하이브리드 밸런싱 도어장치 | |
KR20230172214A (ko) | 자동차 도어의 유동방지용 자동 개폐장치 | |
JP4994792B2 (ja) | ドア開閉装置 | |
EP1167675B1 (en) | Automatic sliding door opening/closing system | |
JP2001107642A (ja) |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 |
JP2969428B2 (ja) |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 |
JPH09317324A (ja) |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 |
JP3393207B2 (ja) | 車両スライド扉の動力スライド装置の制御方法 | |
JP7562926B2 (ja) | 車両用ドア開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