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158A -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158A
KR20240003158A KR1020220080293A KR20220080293A KR20240003158A KR 20240003158 A KR20240003158 A KR 20240003158A KR 1020220080293 A KR1020220080293 A KR 1020220080293A KR 20220080293 A KR20220080293 A KR 20220080293A KR 20240003158 A KR20240003158 A KR 20240003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nce
distance
height
control unit
bal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선
조상묵
Original Assignee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filed Critical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80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158A/ko
Publication of KR20240003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42Control or determination of height or angle information of sensors or receivers; Goniophot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19Electrical interface; User inte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 개의 조도 측정 센서의 위치를 조절하여 조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조도 측정 센서를 평면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평면 방향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와, 상기 거리 조절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거리 조절부를 승하강시켜 상기 조도 측정 센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와, 상기 거리 조절부와 높이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KS규격에 따라 조도 측정 높이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 측정 장치 및 방법이다.

Description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및 방법{POSITION-CONTROLLED ILLUMINANCE MEASUR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조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 개의 조도 측정 센서의 위치를 조절하여 조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조도 측정 센서를 평면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평면 방향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와, 상기 거리 조절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거리 조절부를 승하강시켜 상기 조도 측정 센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와, 상기 거리 조절부와 높이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KS규격에 따라 조도 측정 높이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 측정 장치 및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조도라고 하는 것은 빛의 강도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조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조명 측정 관련 KS규격(KS C 7162)에 따르게 된다. 이러한 KS규격은 조도 측정면의 높이와 측정 지점에 대해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거실의 경우 바닥위 40±5cm, 복도나 옥외의 경우 마루면 또는 지면위 15cm로 규정되어 있다. 또한, 조도 측정 지점에 대해서는 조명 기구의 배광과 부착 높이를 고려하여 조도 변화가 큰 방향이나 장소의 경우 조도 측정 간격을 작게 하고, 반대로 조도 화가 작은 방향이나 장소에 대해서는 조도 측정 간격을 크게 정한다.
다시 말해서, 조도 측정 위치나 조명 상황에 따라 조도를 측정하는 센서의 높이와 간격을 조절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 기술의 경우 조도를 측정하기 위해 조도 측정 지점을 이동하면서 조도를 측정하는 기술은 제시되어 있으나 조도 측정하기 위한 높이와 측정 지점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은 제시되지 않아 KS규격에 따라 조도를 측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조도 측정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8-0024299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121564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986133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 개의 조도 측정 센서의 위치를 조절하여 조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조도 측정 센서를 평면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평면 방향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와, 상기 거리 조절부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거리 조절부를 승하강시켜 상기 조도 측정 센서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와, 상기 거리 조절부와 높이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KS규격에 따라 조도 측정 높이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 개의 조도 측정 센서(S)의 위치를 조절하여 조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조도 측정 센서(S)를 평면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평면 방향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200)와, 상기 거리 조절부(200)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거리 조절부(200)를 승하강시켜 상기 조도 측정 센서(S)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100)와, 상기 거리 조절부(200)와 높이 조절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100)는 중공형상이되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50)과, 상기 하우징(150)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110)와,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110)에 의해 회전되는 볼 스크류(120)와, 상기 볼 스크류(120)와 나사 결합하고, 상기 볼 스크류(120)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하강 블록(130)과, 상기 승하강 블록(130)에 연동되고 상기 거리 조절부(200)가 지지되는 베이스(17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승하강 블록(130)은 내측면이 상기 볼 스크류(120)와 나사 결합하여 승하강하는 승하강 블록 본체(131)와, 상기 승하강 블록 본체(131)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동 바아(132)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50)은 상부가 개방되는 중공 형상인 하우징 본체(151)와, 상기 하우징 본체(151)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동 바아(132)가 관통하는 가이드 슬릿(152)과, 상기 가이드 본체(151)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동 바아(132)의 높이를 나타내는 눈금부(15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거리 조절부(200)는 상기 베이스(170)의 측면에 고정되고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중공의 케이스(270)와,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210)와,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구비되고 동력 발생부(210)에 의해 회전하는 볼 스크류(220)와, 상기 볼 스크류(220)와 나사 결합하여 전후진하는 무빙 블록(230)과 상기 무빙 블록(230)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40)와, 상기 연장부(240) 끝단에 설치되고 케이스(270) 외부에 배치되어 조도 측정 센서(S)가 구비되는 센서 홀더(250)를 포함하고, 상기 볼 스크류(220)의 회전에 의해 무빙 블록(230)과 연장부(240)가 전후진하여 센서 홀더(250)의 평면 방향 거리를 조절한다.
상기에서, 상기 케이스(270)는 중공 형상으로서 베이스(170) 반대 방향 측면이 개방된 케이스 본체(271)와, 상기 케이스 본체(271)일 측에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27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특정 폭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개방부(272)와, 상기 개방부(272) 주위에 형성되는 눈금부(273)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블록(230)은 내측면이 상기 볼 스크류(220)와 나사 결합하는 무빙 블록 본체(231)와, 상기 무빙 블록 본체(231) 일측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개방부(27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삽입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70)는 상기 케이스(270)가 일 측면에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 본체(171)와, 상기 베이스 본체(171)의 하측면에 돌출되는 포스트(172)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블록(130)의 승하강 블록 본체(131)의 상면에는 삽입 요홈부(131-1)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17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에서, 상기 승하강 블록(130)의 삽입 요홈부(131-1)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170)를 회전시켜 거리 조절부(200)의 평면상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 각도 조절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각도 조절부(300)는 상기 삽입 요홈부(131-1)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력 발생부(330)와, 상기 회전력 발생부(330)에 의해 연동되고 포스트(172)를 회전시키는 구동 치차(340)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172)는 외측면에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 치차(340)와 결합하며, 상기 포스트(172) 상면에 형성되어 회전 각도는 나타내는 눈금부(17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10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10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바퀴부(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는 조도 측정 방법으로서, 제어부(CON)에 의해 높이 조절부(100)를 제어하여 조도 측정 센서(S)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거리 조절부(200)를 제어하여 조도 측정 센서(S)의 평면 방향 거리를 제어하여 조도를 측정하는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100)와 거리 조절부(2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된다.
상기에서, 상기 조도 측정 센서(S)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CON)를 통해 외부 정보처리장치(COM)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KS규격에 따라 조도 측정 높이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 중 하우징을 절단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 중 높이 조절부에 의해 승하강 블록과 베이스가 승하강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도 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 중 높이 조절부의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 중 거리 조절부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8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의 제어부와 관련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조도 측정 센서(S)의 위치를 조절하여 조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조도 측정 센서(S)를 평면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평면 방향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200)와, 상기 거리 조절부(200)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거리 조절부(200)를 승하강시켜 상기 조도 측정 센서(S)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1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높이 조절부(100)에 의해 조도 측정 센서(S)의 높이를 조절하고, 거리 조절부(200)에 의해 조도 측정 센서(S)의 평면 방향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KS 규격에 따라 조도 측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조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도 측정 센서(S)는 후술되는 센서 홀더(250)에 구비될 수 있으고, 상기 조도 측정 센서(S) 자체는 기존의 측정 센서를 이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거리 조절부(200)와 높이 조절부(1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거리 조절부(200)와 높이 조절부(100)는 제어부(CON)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조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 높이와 평면 방향 거리를 조절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높이 조절부(100)와 거리 조절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부(100)와 거리 조절부(200)는 제어부(CON)에 의해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부(CON)는 P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100)는 상기 거리 조절부(20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하우징(150)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우징(150)은 중공형상이되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하우징(150) 내부에는 동력 발생부(110)가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한다. 이러한 동력 발생부(110)는 널리 알려진 DC 모터를 이용할 수 있고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동력 발생부(110)상에는 볼 스크류(120)가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110)에 의해 회전된다. 이러한 볼 스크류(120)에는 승하강 블록(130)이 구비된다. 이러한 승하강 블록(130)은 상기 볼 스크류(120)와 나사 결합하고, 상기 볼 스크류(120)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한다. 상기 승하강 블록(130) 상에는 베이스(170)가 구비된다. 이러한 베이스(170)가 승하강 블록(130)에 연동되어 승하강 하고, 상기 베이스(170)에 후술되는 상기 거리 조절부(200)가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베이스(170)의 승하강에 의해 조도 측정 센서(S)가 구비된 거리 조절부(200)가 승하강되어 상기 조도 측정 센서(S)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승하강 블록(130)은 볼 스크류(120)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볼 스크류(1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하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하강 블록(130)은 내측면이 상기 볼 스크류(120)와 나사 결합하여 승하강하는 승하강 블록 본체(131)와, 상기 승하강 블록 본체(131)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동 바아(132)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50)은 상부가 개방되는 중공 형상인 하우징 본체(151)와, 상기 하우징 본체(151)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동 바아(132)가 관통하는 가이드 슬릿(152)과, 상기 가이드 본체(151)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동 바아(132)의 높이를 나타내는 눈금부(15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연동 바아(132)가 상기 가이드 슬릿(152)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상기 승하강 블록 본체(131)는 회전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 블록 본체(131)는 볼 스크류(120)의 회전에 따라 승하강한다. 이때, 상기 연동 바아(132)가 가이드 슬릿(152)을 따라 승하강하므로 상기 승하강 블록 본체(131)의 승하강 운동이 가이드된다. 또한, 상기 연동 바아(132)에는 눈금부(15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동 바아(132)의 높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조절부(200)는 상기 베이스(170)의 측면에 고정되고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중공의 케이스(270)를 포함한다. 이러한 케이스(270) 내부에는 동력 발생부(210)가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한다. 상기 동력 발생부(210)는 널리 알려진 DC 모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210) 내부에 볼 스크류(220)가 구비되고 동력 발생부(210)에 의해 연동된다. 상기 볼 스크류(220)에는 무빙 블록(230)이 구비된다. 상기 무빙 블록(230)은 상기 볼 스크류(220)와 나사 결합하여 상기 볼 스크류(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무빙 블록(230)이 전후진한다. 이러한 무빙 블록(230)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부(240)가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무빙 블록(230)에 연동되어 전후진한다. 이러한 연장부(240) 끝단에는 센서 홀더(250)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 홀더(250)는 케이스(270) 외부에 배치되며 이러한 센서 홀더(250)에 조도 측정 센서(S)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볼 스크류(220)의 회전에 의해 무빙 블록(230)과 연장부(240)가 전후진하여 센서 홀더(250)의 평면 방향 거리를 조절하고 이에 의해 조도 측정 센서(S)의 평명 방향 거리가 조절된다.
상기 케이스(270)는 중공 형상으로서 베이스(170) 반대 방향 측면 즉 ,외측면 방향이 개방된 케이스 본체(271)를 가진다. 이러한 케이스 본체(271)의 일 측면(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측면)에는 개방부(272)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272)는 케이스 본체(27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특정 폭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개방부(272) 주위에 눈금부(273)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본체(271) 내부에는 무빙 블록(230)이 전후진한다. 이를 위해 상기 무빙 블록(230)은 내측면이 상기 볼 스크류(220)와 나사 결합하는 무빙 블록 본체(231)를 포함한다. 즉, 상기 볼 스크류(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무빙 블록 본체(231)가 전후진한다. 이러한 무빙 블록 본체(231) 일측면에는 삽입부(232)가 돌출한다. 상기 삽입부(232)는 상기 개방부(27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삽입부(232)가 상기 개방부(272)를 통해 노출되어 걸림되므로 상기 삽입부(232)가 형성되는 무빙 블록 본체(231)는 볼 스크류(2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전후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232)는 눈금부(273)에 대응되므로 상기 삽입부(232)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도 측정 센서의 평면 방향 거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조절부(200)는 베이스(170)에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170)는 상기 거리 조절부(200)의 케이스(270)가 일 측면에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 본체(171)와, 상기 베이스 본체(171)의 하측면에 돌출되는 포스트(172)를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170)는 승하강 블록(13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승하강 블록(130)의 승하강 블록 본체(131)의 상면에는 삽입 요홈부(131-1)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17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거리 조절부(200)가 평면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거리 조절부(200)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승하강 블록(130)의 삽입 요홈부(131-1)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170)를 회전시켜 거리 조절부(200)의 평면상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 각도 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회전 각도 조절부(300)는 상기 삽입 요홈부(131-1)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력 발생부(330)와, 상기 회전력 발생부(330)에 의해 연동되고 포스트(172)를 회전시키는 구동 치차(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력 발생부(330)는 널리 알려진 DC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치차(340)에 의해 회전되는 포스트(172)의 외측면에는 치형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포스트(172)가 상기 구동 치차(340)와 결합되어 포스트(172)가 회전되고 이에 의해 베이스 본체(171)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본체(17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베이스 본체(171)에 구비된 거리 조절부(200)를 평면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스트(172) 상면에 형성되어 회전 각도는 나타내는 눈금부(173)에 의해 회전 각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70)는 승하강 블록 본체(131)상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17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승하강 블록 본체(131)상에 트러스트 베어링(BRG)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정 장치(10)는 상기 높이 조절부(10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10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바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측정 장치(10)를 필요한 장소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어 조도를 보다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도 측정 장치(10)를 이용한 조도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즉, 상기 높이 조절부(100)와 거리 조절부(2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수동으로 높이 조도 측정 센서(S)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어부(CON)에 의해 높이 조절부(100)를 제어하여 조도 측정 센서(S)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KS 규정에 따라 조도 측정 센서(S)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때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높이 조절부(100)의 동력 발생부(110)를 구동하여 볼 스크류(120)를 구동 하고 이에 의해 승하강 블록(130)을 승하강시켜 조도 측정 센서(S)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높이를 총 800mm로 하고 1단 400mm, 2단 600mm 최종 3단은 800mm의 높이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높이는 상기 승하강 블록(130)에서 돌출하는 연동 바아(132)가 눈금부(153)에 대응하는 지점에 의해 파악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거리 조절부(200)를 제어하여 조도 측정 센서(S)의 평면 방향 거리를 제어하여 조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거리 조절부(200)의 무빙 블록(230)의 출발 지점은 베이스(170)의 중앙 지점에서 1000mm로 하고 최대 전진 길이는 1200mm로 하고 제어부(CON)가 동력 발생부(210)를 제어하여 무빙 블록(230)을 상기 범위 이내에서 전후진하며 센서 홀더(250) 및 조도 측정 센서(S)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조도 측정 센서(S)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CON)를 통해 외부 정보처리장치(COM)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되도록 하여 정보를 분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높이 조절부 110 : 동력 발생부
120 : 볼 스크류 130 : 승하강 블록
150 : 하우징 152 : 가이드 슬릿
170 : 베이스 200 : 거리 조절부
210 : 동력 발생부 220 : 볼 스크류
230 : 무빙 블록 300 : 회전 각도 조절부
320 : 포스트 330 : 회전력 발생부
340 : 구동 치차 500 : 바퀴부

Claims (10)

  1. 다수 개의 조도 측정 센서(S)의 위치를 조절하여 조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조도 측정 센서(S)를 평면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켜 평면 방향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 조절부(200)와,
    상기 거리 조절부(200)를 하측에서 지지하며 상기 거리 조절부(200)를 승하강시켜 상기 조도 측정 센서(S)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100)와,
    상기 거리 조절부(200)와 높이 조절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CON)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100)는 중공형상이되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50)과, 상기 하우징(150)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110)와,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동력 발생부(110)에 의해 회전되는 볼 스크류(120)와, 상기 볼 스크류(120)와 나사 결합하고, 상기 볼 스크류(120)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하강 블록(130)과, 상기 승하강 블록(130)에 연동되고 상기 거리 조절부(200)가 지지되는 베이스(170)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블록(130)은 내측면이 상기 볼 스크류(120)와 나사 결합하여 승하강하는 승하강 블록 본체(131)와, 상기 승하강 블록 본체(131)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동 바아(132)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50)은 상부가 개방되는 중공 형상인 하우징 본체(151)와, 상기 하우징 본체(151)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동 바아(132)가 관통하는 가이드 슬릿(152)과, 상기 가이드 본체(151) 일 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동 바아(132)의 높이를 나타내는 눈금부(153)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조절부(200)는 상기 베이스(170)의 측면에 고정되고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 구비되는 중공의 케이스(270)와,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 발생부(210)와,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구비되고 동력 발생부(210)에 의해 회전하는 볼 스크류(220)와, 상기 볼 스크류(220)와 나사 결합하여 전후진하는 무빙 블록(230)과 상기 무빙 블록(230)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40)와, 상기 연장부(240) 끝단에 설치되고 케이스(270) 외부에 배치되어 조도 측정 센서(S)가 구비되는 센서 홀더(250)를 포함하고,
    상기 볼 스크류(220)의 회전에 의해 무빙 블록(230)과 연장부(240)가 전후진하여 센서 홀더(250)의 평면 방향 거리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70)는 중공 형상으로서 베이스(170) 반대 방향 측면이 개방된 케이스 본체(271)와, 상기 케이스 본체(271)일 측에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27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특정 폭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개방부(272)와, 상기 개방부(272) 주위에 형성되는 눈금부(273)를 포함하고,
    상기 무빙 블록(230)은 내측면이 상기 볼 스크류(220)와 나사 결합하는 무빙 블록 본체(231)와, 상기 무빙 블록 본체(231) 일측면에서 돌출하여 상기 개방부(27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삽입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70)는 상기 케이스(270)가 일 측면에 구비되는 판체 형상의 베이스 본체(171)와, 상기 베이스 본체(171)의 하측면에 돌출되는 포스트(172)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 블록(130)의 승하강 블록 본체(131)의 상면에는 삽입 요홈부(131-1)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17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블록(130)의 삽입 요홈부(131-1)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170)를 회전시켜 거리 조절부(200)의 평면상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 각도 조절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각도 조절부(300)는 상기 삽입 요홈부(131-1)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회전력 발생부(330)와, 상기 회전력 발생부(330)에 의해 연동되고 포스트(172)를 회전시키는 구동 치차(340)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172)는 외측면에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 치차(340)와 결합하며, 상기 포스트(172) 상면에 형성되어 회전 각도는 나타내는 눈금부(173)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10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10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바퀴부(500)를 포함하는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는 조도 측정 방법으로서,
    제어부(CON)에 의해 높이 조절부(100)를 제어하여 조도 측정 센서(S)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편, 상기 제어부(CON)에 의해 거리 조절부(200)를 제어하여 조도 측정 센서(S)의 평면 방향 거리를 제어하여 조도를 측정하는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부(100)와 거리 조절부(20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되는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측정 센서(S)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상기 제어부(CON)를 통해 외부 정보처리장치(COM)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되는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방법.

KR1020220080293A 2022-06-30 2022-06-30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40003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93A KR20240003158A (ko) 2022-06-30 2022-06-30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293A KR20240003158A (ko) 2022-06-30 2022-06-30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158A true KR20240003158A (ko) 2024-01-08

Family

ID=8953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293A KR20240003158A (ko) 2022-06-30 2022-06-30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15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33B1 (ko) 2008-10-10 2010-10-07 주식회사 디엠에스 자외선 조도 측정장치
KR101121564B1 (ko) 2009-09-28 2012-03-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조도측정장치
KR20180024299A (ko) 2016-08-29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도를 측정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33B1 (ko) 2008-10-10 2010-10-07 주식회사 디엠에스 자외선 조도 측정장치
KR101121564B1 (ko) 2009-09-28 2012-03-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조도측정장치
KR20180024299A (ko) 2016-08-29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도를 측정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917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US10190238B2 (en) Bale opener
KR20240003158A (ko) 위치 조절 방식의 조도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0215363A (zh) 病床床头升降调节装置、调节方法及升降式病床
KR102195604B1 (ko) 전동드라이버 안내장치
CN206469868U (zh) 一种电梯导轨顶面距离测量仪
JP2009028273A (ja) 昇降物干し装置
KR20070112969A (ko) 타각장치
CN106403914A (zh) 一种激光标线仪组件及其工作方法
KR200441045Y1 (ko) 다리의 높이 조절장치
CN215447831U (zh) 一种不同高度零件自动测量仪
CN215637953U (zh) 一种用于空调安装的定位装置
CN112606595B (zh) 基于数学函数图像绘制方法进行山体滑坡预测的装置
JP4015738B2 (ja) 服の床上り裾線を指示するためのレーザ光照射装置
CN212779014U (zh) 一种墙体高度快速测量装置
CN205322347U (zh) C型臂的升降控制装置
ATE345422T1 (de) Vorrichtung zum abdecken von schächten
CN206192359U (zh) 一种激光标线仪组件
CN210638650U (zh) 传感器位置自适应机构及钢材外形参数检测装置
CN210309582U (zh) 一种u盘自动打标机构
CN212156486U (zh) 一种建筑基础工程定位检测装置
CN219254573U (zh) 一种移动式悬挂装置
CN219780658U (zh) 一种环网柜并柜的辅助对接工装
CN219034090U (zh) 一种建筑砌墙辅助装置
DE50007587D1 (de) Laufschuh eines Parallelschiebe- und Kippbeschl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