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2969A - 타각장치 - Google Patents

타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2969A
KR20070112969A KR1020060046581A KR20060046581A KR20070112969A KR 20070112969 A KR20070112969 A KR 20070112969A KR 1020060046581 A KR1020060046581 A KR 1020060046581A KR 20060046581 A KR20060046581 A KR 20060046581A KR 20070112969 A KR20070112969 A KR 20070112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dder
plate
housing
seat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열
Original Assignee
김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열 filed Critical 김종열
Priority to KR1020060046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2969A/ko
Publication of KR2007011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3/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 B44B3/009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using a computer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3/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 B44B3/06Accessories, e.g. tool or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2700/00Machines, apparatus, tools or accessories for artistic work
    • B44B2700/04Machines or tools for car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성형판의 상부면을 타각하기 위한 타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면에 타각하고자 하는 피성형판이 안착고정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피성형판의 상부면을 타각하는 타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각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하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성형판의 상부면을 타각하는 타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타각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고, 타각하고자 하는 피성형판의 두께에 따라 타각부재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타각기, 타각장치

Description

타각장치{INDENT MAKR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타각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타각부의 분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타각부재의 높이를 안착판에 고정된 피성형판의 두께에 따라 조절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타각장치의 타각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타각부재의 높이가 하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타각장치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10: 하판
130, 150: 측판 30: 안착부
310, 510: 가이드봉 330, 530: 리드스크류
334, 534: 스텝모터 350: 안착판
50: 타각부 550: 몸체
570: 타각부재
본 발명은 피성형판의 상부면을 타각하기 위한 타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면에 타각하고자 하는 피성형판이 안착고정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피성형판의 상부면을 타각하는 타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각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하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성형판의 상부면을 타각하는 타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타각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상에 상하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타각하고자 하는 피성형판을 안착고정시키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상측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타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타각하고자 하는 형상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하면 제어부가 상기 이동판의 스텝모터, 상기 타각부의 스텝모터 및 상기 타각부의 타각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안착판에 안착고정된 피성형판을 타각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타 각할 수 있다.
상기 안착판을 상기 이동판에 상하 높이조절가능하도록 설치한 이유는 피성형판의 두께에 따라 상기 피성형판의 높이와 상기 타각부재의 타각침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안착판의 크기가 큼에 따라 상기 이동판상에 상기 안착판을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하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하기가 쉽지 않고, 또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아짐은 물론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타각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고, 타각하고자 하는 피성형판의 두께에 따라 타각부재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타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면에 타각하고자 하는 피성형판이 안착고정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피성형판의 상부면을 타각하는 타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각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하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성형판의 상 부면을 타각하는 타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각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타각부의 몸체의 일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타각부의 타각부재에는 일측면에 상기 몸체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디드돌기와 타측면사이를 관통하고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관통구가 구비되어, 상기 타각부재의 관통구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타각부재를 상기 몸체에 고정결합하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타각부재가 상기 몸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각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타각부재에는 상기 안착부에 고정안착된 상기 피성형판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타각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조절부재가 상기 타각부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각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타각장치를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각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타각장치는 크게 하우징(10), 안착부(30) 및 타각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안착부(30)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타각부(5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1과 같이 하판(110)과, 상기 하판(110)의 양측에 형성된 측판(130)(150)으로 구성되나, 상기 하우징(10)의 구성이 특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착부(30) 및 상기 타각부(50)를 설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0)는 타각하고자 하는 피성형판을 안착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의 하판(110) 상에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안착부(3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하판(110)에 전후방향으로 양측이 축고정되는 가이드봉(310)과; 상기 하우징(10)의 하판(110)에 전후방향으로 양측이 베어링(332)에 의하여 회전지지되고 일단이 스텝모터(334)에 축결합되는 리드스크류(330)와; 저면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봉(3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드 베어링(352)과, 저면의 일측에 상기 리드스크류(33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이동부재(354)가 형성된 안착판(3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상기 스텝모터(334) 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330)에 의하여 상기 안착판(350)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다. 한편 상기 가이드봉(310)은 상기 안착판(350)이 상기 스텝모터(334)의 회전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하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정밀하게 상기 안착판(350)에 안착고정되는 피성형판을 상기 타각부(50)를 이용하여 타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판(350)에는 도 1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타각하고자 하는 피성형판이 상기 타각부(50)에 의하여 타각하는 경우 피성형판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성형판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타각부의 분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타각부재의 높이를 안착판에 고정된 피성형판의 두께에 따라 조절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타각부(50)는 상기 안착판(350)에 안착고정된 피성형판의 상부면을 일정한 형상으로 타각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안착판(35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양측판(130)(150)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타각부(5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측판(130)(15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봉(510)과; 상기 양측판(130)(150)의 일측에 베어링(532)에 의하여 회전지지되고 일단에 스텝모터(534)가 축결합되는 리드스크류(530)와; 상기 가이드봉(5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드 베어링(552)과, 상기 리드스크류(53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554)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가이드홈(556)이 형성된 몸체(550)와; 일측면에 상기 몸체(550)의 가이드홈(556)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돌기(576)와, 상기 가이드돌기(576)와 타측면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선이 형성된 관통공(572)이 형성된 타각부재(570)와; 상기 타각부재(570)의 관통공(572)에 나사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타각부재(570)를 상기 몸체(55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5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타각부(50)의 상기 몸체(550)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상기 서버모터(53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530)에 의하여 좌우로 이동한다.
상기 타각부재(570)는 도 3과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576) 및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판(571)과, 상기 지지판(571)의 저부에 고정설치되어 전원공급에 의하여 로드를 상하진동하는 솔레노이드(573)와, 상기 지지판(571)의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저부에 상기 솔레노이드(573)의 로드(573a)의 상하진동에 의하여 상하로 진동하여 상기 안착판(350)에 안착고정된 피성형판의 상부면을 타각하는 타각침(574a)이 형성된 스프링판(57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상기 안착판(350)에 피성형판(40)을 안착고정한 후 상기 피성형판(40)의 두께에 따라 상기 타각부재(57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와 같이 먼저 상기 타각부재(570)를 상기 몸체(550)에 높이조절한 후 상기 고정부재(590)를 상기 타각부재(570)의 관통공(572)에 나사결합시켜 상기 타각부재(570)를 상기 몸체(550)에 고정한다.
종래의 타각장치의 경우 안착판의 높이를 조절하여 피성형판과 타각부재의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조절하였으나, 본 발명의 타각장치의 경우 상기 타각부재(57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타각부재(570)와 상기 피성형판(40)의 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함으로써 타각부재와 피성형판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타각부재(570)의 위치를 상하로 이동시켜 타각부재와 피성형판의 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함으로써 종래의 타각장치와 달리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타각부재(57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몸체에 상기 타각부재(570)를 선택적으로 높이조절할 수 있는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타각장치의 타각부(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타각부재(570)의 높이가 하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타각장치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타각장치는 제1실시예와 달리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타각부(50)가 몸체(550), 거리측정센서(540), 승강부재(560) 및 타각부재(5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타각부(50)의 몸체(550)는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측판(130)(150)에 고정설치된 상기 가이드봉(510)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드 베어링(552)과, 상기 하우징(10)의 측판(130)(150)에 회전설치된 리드스크류(530)와 나사결합되는 나사공(554)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판(350)의 상측에서 제어부(5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560)는 상기 거리측정센서(540)로부터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타각부재(570)를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몸체(550)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봉(562)과, 상기 몸체(550)의 일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전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제어부(58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스텝모터(565)가 축결합되는 리드스크류(564)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 상기 몸체(550)의 일측면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상측 지지판(556) 및 하측 지지판(558)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재(560)의 가이드봉(562)은 상기 상측 지지판(556) 및 상기 하측 지지판(558)의 양측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기 리드스크류(530)는 상기 상측 지지판(556) 및 상기 하측 지지판(558)의 중간에 회전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타각부재(570)는 상기 승강부재(560)의 리드스크류(564)의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타각부재(570)는 상기 승강부재(560)의 가이드봉(56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공과, 상기 승강부재의 리 드스크류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이동판(577)과; 상기 이동판(577)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솔레노이드(573)와; 상기 이동판(577)의 저면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솔레노이드(573)의 로드(573a)의 상하진동에 의하여 상하로 진동하는 스프링판(574)과, 상기 스프링판(574)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타각침(574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재(560)의 리드스크류(564)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타각부재(570)의 이동판(577)은 승강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거리측정센서(540)는 상기 타각부재(570)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타각부재(570)와 상기 안착부의 안착판에 안착고정된 피성형판의 상부면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540)에 의하여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380)는 도 6과 같이 상기 리드스크류(564)와 축결합된 스텝모터(565)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타각부재(570)와 상기 피성형판(40)의 상부면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상기 거리측정센서(54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는 등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타각부재(570)와 상기 피성형판(40)의 상부면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면 족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타각장치는 상기 안착부(30)의 안착판에 피성형판(40)을 고정하여 타각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거리측정센서(340)가 상기 피성형판(40)과 상기 타각부재(570)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 측정된 값에 따라 상기 제어부(380)가 상기 승강부재(560)의 스텝모터(565)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피성형판(40)과 상기 타각부재(570)의 타각침(574a)사이의 거리를 일정케 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타각부재(570)의 높이를 직접 조작하여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등 조작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각장치의 타각부가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하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성형판의 상부면을 타각하는 타각부재로 구성됨으로써, 안착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종래의 타각장치에 비하여 그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 비용이 크게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안착부의 안착판에 안착고정되는 피성형판의 두께에 따라 상기 타각부재의 높이를 상하 조절하여 쉽게 상기 피성형판과 상기 타각부재의 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타각부에 거리측정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타각부재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승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상기 타각부재의 높이를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없이 자동적으로 상기 승강부재에 의하여 상기 타각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전후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부면에 타각하고자 하는 피성형판이 안착고정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피성형판의 상부면을 타각하는 타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각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각부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좌우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하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피성형판의 상부면을 타각하는 타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각부의 몸체의 일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타각부의 타각부재에는 일측면에 상기 몸체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돌기와, 상기 가디드돌기와 타측면사이를 관통하고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관통구가 구비되어, 상기 타각부재의 관통구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타각부재를 상기 몸체에 고정결합하는 고정부재에 의하여 상기 타각부재가 상기 몸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각부재에는 상기 안착부에 고정안착된 상기 피성형판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거리측정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타각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조절부재가 상기 타각부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각장치.
KR1020060046581A 2006-05-24 2006-05-24 타각장치 KR20070112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581A KR20070112969A (ko) 2006-05-24 2006-05-24 타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581A KR20070112969A (ko) 2006-05-24 2006-05-24 타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969A true KR20070112969A (ko) 2007-11-28

Family

ID=3909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581A KR20070112969A (ko) 2006-05-24 2006-05-24 타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296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90773A (zh) * 2008-04-15 2009-12-02 维尔弗里德·维尔纳 用于通过压制在工件表面产生标记的方法和装置
CN103171361A (zh) * 2013-03-18 2013-06-26 浙江工业大学 单一驱动的自动升降开放装置
CN109624571A (zh) * 2019-02-03 2019-04-16 吴善旺 一种立体雕刻机
CN110978152A (zh) * 2019-12-11 2020-04-10 苏建波 一种筷子加工用快速刻印装置
CN111823762A (zh) * 2020-07-29 2020-10-27 安徽忠盛新型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冲击型复合门的浮雕装置及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90773A (zh) * 2008-04-15 2009-12-02 维尔弗里德·维尔纳 用于通过压制在工件表面产生标记的方法和装置
CN103171361A (zh) * 2013-03-18 2013-06-26 浙江工业大学 单一驱动的自动升降开放装置
CN103171361B (zh) * 2013-03-18 2014-12-17 浙江工业大学 单一驱动的自动升降开放装置
CN109624571A (zh) * 2019-02-03 2019-04-16 吴善旺 一种立体雕刻机
CN110978152A (zh) * 2019-12-11 2020-04-10 苏建波 一种筷子加工用快速刻印装置
CN111823762A (zh) * 2020-07-29 2020-10-27 安徽忠盛新型装饰材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抗冲击型复合门的浮雕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16787B (zh) 一种三维打印平台的调平系统及其测距装置与调平方法
KR20070112969A (ko) 타각장치
US8284486B2 (en) Microscope
KR101617337B1 (ko) 금형 사출물 표면온도 측정장치
KR20150035021A (ko) 코너부 용접지그 장치
CN207850379U (zh) 一种垂准仪激光标靶微调器
JP5943099B1 (ja) 真円度測定装置
JP2008265158A (ja) 熱プレス成形装置
US8302624B2 (en) Linear valve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CN110132165B (zh) 三维扫描仪的标定装置和口内三维扫描仪
CN105716984A (zh) 一种硬度计检定仪
US20080134851A1 (en) Cutting apparatus with a cutting tip sensor
KR101122264B1 (ko) 이동식 절삭장치
KR100718917B1 (ko) 3점 지지를 이용한 고정밀 틸트 스테이지 장치
KR101406216B1 (ko) 뇌 정위수술용 정위장치
JP2011214885A (ja) 輝度分布測定装置
KR101625680B1 (ko) 건설장비의 운전석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KR101368801B1 (ko) 측정장치용 받침대
CN205449723U (zh) 硬度计检定仪
KR102668427B1 (ko) 텔레스티어링 컬럼의 자동 습동하중 측정 및 튜닝 장치
CN220136384U (zh) 一种机房环境设备运行检测装置
JP4447348B2 (ja) 計測基準装置
KR101541765B1 (ko) 접촉부 팁을 포함하는 디젤 인젝터용 측정공구
CN212843677U (zh) 一种测量仪支架
CN203510128U (zh) 水平销轴油缸缸体的定位组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