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844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844A
KR20240002844A KR1020220080947A KR20220080947A KR20240002844A KR 20240002844 A KR20240002844 A KR 20240002844A KR 1020220080947 A KR1020220080947 A KR 1020220080947A KR 20220080947 A KR20220080947 A KR 20220080947A KR 20240002844 A KR20240002844 A KR 20240002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uct
protrusion
coupling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뷔징요하네스
양지선
양승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844A/ko
Priority to PCT/KR2023/008375 priority patent/WO2024005420A1/ko
Publication of KR20240002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Rotary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세척실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 유닛, 분사 유닛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섬프 및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분사 유닛에 연결되는 제1 바디부와, 제1 바디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섬프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과, 복수의 제1 결합 부재와 결합 가능한 복수의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과,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유로와, 가이드 유로를 복수로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개시된 발명은 개선된 구조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와, 세척수를 집수하는 섬프와, 섬프 내의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터브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장치는 복수의 분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복수의 분사 유닛에 각각 세척수를 제공하기 위해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덕트는 세척수를 가이드하기 위해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개선된 구조의 덕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제작이 용이한 덕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덕트의 조립성이 향상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세척실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 유닛, 상기 분사 유닛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섬프 및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분사 유닛에 연결되는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섬프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1 결합 부재와 결합 가능한 복수의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유로와, 상기 가이드 유로를 복수로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구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제1 결합 부재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제1 테두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제2 결합 부재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제2 테두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와 상기 제2 테두리가 대응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2 결합 부재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어 제2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제1 구획 돌기와,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 구획 돌기와 제3 방향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2 구획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 홀과,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의 상기 고정 홀로부터 돌출된 부분은, 핫 스테이킹(hot staking)에 의해, 상기 고정 홀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고정 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고정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섬프에 연결되는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상기 리어 프레임을 향하는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프론트 프레임을 향하는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로서, 상기 제1 연결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프레임의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바디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2 결합 부재는 후크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제1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제2 결합 돌기로서, 상기 제1 결합 돌기와 제3 방향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제2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로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바디부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바디부의 상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섬프 및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상기 터브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터브의 일 측벽 및 상기 터브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제1 사출 프레임과, 상기 제1 사출 프레임과 후크 결합되는 제2 사출 프레임과, 상기 제1 사출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 구획부와 상기 제2 사출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 구획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기세척기는, 상기 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 유닛은, 상기 터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분사 로터와, 상기 제1 분사 로터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는 제2 분사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의 복수의 가이드 유로는, 상기 제1 분사 로터로 세척수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제1 가이드 유로와, 상기 제1 가이드 유로로부터 구획되어 상기 제2 분사 로터로 세척수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제1 가이드 유로와 상기 제2 가이드 유로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 사출 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 홀과, 상기 제2 사출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프는, 상기 터브 내의 세척수를 저수하도록 마련되는 섬프 하우징과, 상기 섬프 하우징을 커버하며 상기 섬프 하우징의 세척수를 상기 분사 유닛으로 분배하도록 마련되는 섬프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상기 섬프 커버와 상기 분사 유닛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출 프레임은 상기 덕트의 후방 및 하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출 프레임은 상기 덕트의 전방 및 상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식기세척기는 개선된 구조의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식기세척기는 제작이 용이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식기세척기는 조립성이 향상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하부 일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일 예의 절개선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덕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구획부의 일 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구획부의 일 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일 예의 절개선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덕트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제1 프레임의 일 예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프레임의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아래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일 예의 절개선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제1 프레임에 제2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제1 프레임에 제2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연결 부분을 일 예의 절개선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덕트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덕트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와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높이 방향", "수직 방향", "수평 방향", "상방", "하방",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식기세척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12)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2)는 대략 박스(box)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브(12)의 일 측은 개방될 수 있다. 즉, 터브(12)는 개방부(12a)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브(12)의 전방은 개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11)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어(11)는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식기가 수납되도록 터브(12)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납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용기는 복수의 바스켓(51, 52, 5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 52, 53)은 다양한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납용기는 단일의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용기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바스켓(52)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 용기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바스켓(51)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바스켓(52)은 중간 가이드랙(13b)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부 바스켓(51)은 하부 가이드랙(13a)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간 가이드랙(13b)은 터브(12)의 개방부(12a)를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터브(12)의 측면(12c)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 가이드랙(13a)은 터브(12)의 개방부(12a)를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터브(12)의 측면(12c)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 52)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바스켓(51, 52)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바스켓(51, 52)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 또한 수납될 수 있다.
수납용기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바스켓(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스켓(53)은 랙 어셈블리(rack assembly) 형태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바스켓(53)에는 국자, 칼, 뒤집개 등과 같은 조리 도구 내지 커트러리(cutlery)가 수납될 수 있다. 상부 바스켓(53)에는 에스프레소 잔과 같은 작은 컵이 수납될 수 있다. 다만, 상부 바스켓(53)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부 바스켓(53)은 상부 가이드랙(13c)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랙(13c)은 터브(12)의 측면(12c)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바스켓(53)은 상부 가이드랙(13c)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세척실(C)로 인입되거나 세척실(C)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2)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인 세척실(C)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실(C)은 터브(12)의 내측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세척실(C)은 세척수에 의해 수납용기에 거치된 식기가 세척되고 건조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장치(40)는 세척실(C)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 장치(40)는 수납용기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 장치(40)는 후술할 섬프 어셈블리(7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분사 장치(40)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장치(40)는 하나의 분사 유닛 또는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 장치(4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하부 바스켓(5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분사 유닛(41)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장치(4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중간 바스켓(5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분사 유닛(42)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장치(4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바스켓(53)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분사 유닛(4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분사 장치는 2개 또는 4개 이상의 분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 각각은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분사 유닛(41), 제2 분사 유닛(42), 제3 분사 유닛(43) 각각은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은 복수의 분사 로터(41, 42, 43)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분사 유닛(41), 제2 분사 유닛(42) 및 제3 분사 유닛(43) 각각은, 제1 분사 로터(41), 제2 분사 로터(42) 및 제3 분사 로터(43)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분사 장치(40)는 상술한 예와 다른 방식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사 유닛(41)은, 제2 분사 유닛(42) 및 제3 분사 유닛(43)과 달리, 터브(12)의 하면(12b)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분사 유닛(41)은 고정된 노즐에 의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고, 제1 분사 유닛(41)의 노즐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실(C) 내부에 배치되는 전환 어셈블리(미도시)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측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전환 어셈블리는 레일(미도시) 상에 설치되며, 레일을 따라 병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분사 유닛(41)에 대한 예로서 설명했으나, 제2 분사 유닛(42)과 제3분사 유닛(43) 역시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고정된 노즐을 이용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보조 분사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분사 장치(30)는 세척실(C)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세척실(C)의 일부 영역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보조 분사 장치(30)는 분사 장치(4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압인 물을 분사하도록 설계되어 오염이 심한 식기를 집중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보조 분사 장치(30)는 보조 분사 유닛(30)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보조 분사 장치(30)는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조 분사 장치(30)는 보조 분사 로터(40)로 지칭될 수 있다.
보조 분사 장치(30)는 분사 장치(4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복수의 분사 유닛은 제1 분사 유닛(41), 제2 분사 유닛(42), 제3 분사 유닛(43) 또는 보조 분사 유닛(30)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보조 분사 장치(30)가 도시되었으나, 식기세척기(1)에서 보조 분사 장치(30)는 생략 가능하다.
식기세척기(1)는 섬프 어셈블리(70)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섬프(70)로 지칭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세척실(C)의 세척수를 집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프 어셈블리(70)의 원활한 집수를 위해 터브(12)의 하면(12b)은 섬프 어셈블리(7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세척실(C)의 세척수는, 터브(12)의 하면(12b)의 경사를 타고 흘러 섬프 어셈블리(7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프 어셈블리(70)는 섬프 하우징(100)과 섬프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섬프 어셈블리(70)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 장치(40)로 펌핑하는 순환 펌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펌프(500)는 섬프 어셈블리(7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환 펌프(500)는 섬프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순환 펌프(500)는 기계실(L)에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섬프 어셈블리(70)에 남아 있는 세척수 및/또는 이물질(예를 들어, 음식물 찌꺼기 등)을 배수하는 배수 펌프(6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펌프(600)는 섬프 어셈블리(7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펌프(600)는 섬프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수 펌프(600)는 기계실(L)에 배치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집수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분사 장치(40)로 제공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집수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보조 분사 장치(30)로 제공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분사 장치(40) 및/또는 보조 분사 장치(30)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분사 장치(40)와 연결되는 연결 포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포트(310)는 후술할 덕트 어셈블리(80)를 통해 분사 장치(4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포트(310)는 후술할 덕트(200)를 통해 분사 장치(4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포트(310)는 후술할 섬프 커버(300, 도 3 및 도 4참조)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연결 포트(310)는 제1 분사 유닛(41)과 연결되는 제1 연결 포트(31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포트(310)는 제2 분사 유닛(42)과 연결되는 제2 연결 포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포트(310)는 제3 분사 유닛(43)과 연결되는 제3 연결 포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 포트(312)는 후술할 덕트(200)에 의해 제2 분사 유닛(42)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연결 포트(313)는 후술할 덕트(200)에 의해 제3 분사 유닛(43)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연결 포트(310)는 보조 분사 장치(30)와 연결되는 제4 연결 포트(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연결 포트(314)는 보조 분사 장치(30)의 유무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2)의 아래에 마련되는 공간인 기계실(L)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L)은 세척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구성이 배치되는 곳일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기계실(L)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프 어셈블리(70)의 적어도 일부는 기계실(L)에 배치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의 대부분은 기계실(L)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섬프 어셈블리(70)의 면적 중 세척실(C)에 위치하는 면적은, 섬프 어셈블리(70)의 면적 중 기계실(L)에 위치하는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세척실(C)을 차지하는 섬프 어셈블리(70)의 면적을 줄임으로써, 세척실(C)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척실(C)의 용량이 증가되어, 식기 수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필터 어셈블리(6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60)는 섬프 어셈블리(70)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60)는 섬프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60)는 저수 챔버(111, 도 3 참조)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어셈블리(60)는 파인 필터(fine filter), 코스 필터(coarse filter) 또는 마이크로 필터(micro fil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부 구성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보조 분사 장치(30)가 생략된 예에 대해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 제4 연결 포트(314) 역시 생략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기세척기(1)는 보조 분사 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기세척기(1)는 보조 분사 장치(30)와 연결되는 제4 연결 포트(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터브(12)는 세척실(C)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브(12)는, 세척실(C)을 형성하도록, 하면(12b), 측면(12c), 후면(12f), 상면(12g)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12c)은 좌측면(12d) 또는 우측면(12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브(12)의 일 측벽은 좌측면(12d), 우측면(12e) 또는 후면(12f)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브(12)의 일 면은 하면(12b), 좌측면(12d), 우측면(12e), 후면(12f) 또는 상면(12g)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하우징(100)은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 하우징(100)은 세척수를 저수하도록 마련되는 저수 챔버(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 챔버(111)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수 챔버(111)는, 급수관(미도시)으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수용하거나, 터브(12)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 하우징(100)은 분사 장치(40)로 제공되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분배 챔버(121)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챔버(121)는 저수 챔버(111)로부터 구획될 수 있다. 분배 챔버(121)는, 저수 챔버(111)에 저수된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챔버(121)는, 순환 펌프(500)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프 하우징(100)은, 저수 챔버(111)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 섬프 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하우징(100)은, 분배 챔버(121)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 섬프 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프 하우징(100)은 제3 섬프 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섬프 바디(130)는, 제1 섬프 바디(110)와 제2 섬프 바디(120)를 제외한 섬프 하우징(100)의 외관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섬프 바디(130)는, 제1 섬프 바디(110)와 제2 섬프 바디(120)를 연결하는 베이스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섬프 바디(130)는, 베이스부(13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챔버(121)에 수용된 세척수는, 분배 장치(미도시)를 통해, 분사 장치(40)로 분배될 수 있다. 분배 장치는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 중 적어도 하나로 세척수를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배 장치는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에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배 장치는 복수의 연결 포트(311, 312, 313) 중 적어도 하나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 어셈블리(80)는, 복수의 연결 포트(311, 312, 313)의 개폐 여부에 따라,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에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200)는, 복수의 연결 포트(311, 312, 313)의 개폐 여부에 따라,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에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장치가 제2 연결 포트(312)를 개방한 경우, 덕트 어셈블리(80)는 분배 챔버(121)로부터 세척수를 공급 받아 제2 분사 유닛(4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장치가 제3 연결 포트(313)를 개방한 경우, 덕트 어셈블리(80)는 분배 챔버(121)로부터 세척수를 공급 받아 제3 분사 유닛(43)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분배 장치는 섬프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배 장치(200)는 섬프 어셈블리(7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배 장치(200)는 섬프 어셈블리(70)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분배 장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분배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장치는 분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분배 디스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디스크는 복수의 연결 포트(311, 312, 313)와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배 디스크와 복수의 연결 포트(311, 312, 313) 각각의 연통 여부에 따라, 복수의 연결 포트(311, 312, 313) 각각의 개폐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분배 장치는 분배 모터의 회전력을 분배 디스크로 전달하도록 샤프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장치는 샤프트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분배 장치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배 장치는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로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기만 한다면, 그 구성 및 형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섬프 커버(300)는 섬프 하우징(100)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 커버(300)는 분배 챔버(121)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 커버(300)는 분배 챔버(121)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 커버(300)는 연결 포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포트(310)는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으로 세척수를 분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포트(310)는 분배 장치(미도시)에 의해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으로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 커버(300)의 연결 포트(310)는 덕트 어셈블리(80)와 연결될 수 있다. 섬프 커버(300)는 덕트(200)와 연결될 수 있다.
섬프 커버(300)는 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프 커버(300)의 결합부(330)는 후술할 덕트(200)의 결합부(27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프 커버(300)의 결합부(330)와 덕트(200)의 결합부(270)는, 체결부재(19)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30)와 결합부(270)는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기 공지의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인다.
섬프 커버(300)는 고정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커버(300)의 고정부(320)는 덕트 어셈블리(8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섬프 커버(300)의 고정부(320)는 덕트(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와 섬프 커버(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부(320)는 덕트(20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와 섬프 커버(300)가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부(320)는 덕트(200)의 테두리 일부를 잡아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320)는 섬프 커버(3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32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고정부(320)가 2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부(320)는 1개이거나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덕트 어셈블리(8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80)는 터브(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80)는 세척실(C)에 배치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80)는 섬프 어셈블리(70)의 세척수를 분사 장치(40)로 전달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80)는 섬프 어셈블리(7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80)는 분사 장치(40)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80)는 섬프 어셈블리(70)에 수용된 세척수를 분사 장치(40)로 제공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80)는 분배 챔버(121)에 수용된 세척수를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80)는 분배 챔버(121)에 수용된 세척수를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 중 적어도 하나로 가이드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80)는 덕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200)는 메인 덕트(main duct)(200)로 지칭될 수 있다. 덕트(200)는 제1 덕트(200)로 지칭될 수 있다.
덕트(200)는 섬프 어셈블리(70)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분사 장치(40)로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200)는 섬프 어셈블리(70)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후술할 연결 덕트(400)로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200)는 섬프 어셈블리(70)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분사 장치(40)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200)는 섬프 어셈블리(70)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연결 덕트(400)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200)는 섬프 커버(300)와 분사 장치(4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200)는 섬프 커버(300)와 연결 덕트(40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200)는 섬프 커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덕트(200)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230)는 섬프 커버(300)의 연결 포트(310)와 연결될 수 있다. 유입부(230)는 섬프 커버(300)의 연결 포트(3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입부(230)는 섬프 커버(300)의 연결 포트(310)와 연통될 수 있다. 분배 챔버(121) 내의 세척수는, 연결 포트(310)를 통해, 덕트(200)의 유입부(230)로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부(230)는 제2 연결 포트(312)와 연결 가능한 제1 유입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입부(231)는 제2 연결 포트(312)와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배 챔버(121) 내의 세척수는, 제2 연결 포트(312)를 경유하여, 제1 유입부(231)로 유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부(230)는 제3 연결 포트(313)와 연결 가능한 제2 유입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입부(232)는 제3 연결 포트(313)와 연통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배 챔버(121) 내의 세척수는, 제3 연결 포트(313)를 경유하여, 제2 유입부(232)로 유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연결 포트(311)는 제1 분사 유닛(41)과 바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제2 연결 포트(312)는 제1 유입부(231)와 연결되고, 제3 연결 포트(313)는 제2 유입부(232)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예로, 덕트(230)의 유입부(230)는 제1 연결 포트(311)와 연결 가능한 제3 유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덕트(200)는 제1 연결 포트(311)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제1 분사 유닛(41)으로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입부(230)는 유입 포트(230)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유입부(231)는 제1 유입 포트(231)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유입부(232)는 제2 유입 포트(232)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부(230)는 후술할 제1 프레임(700)에 형성될 수 있다.
덕트(200)는 연결 덕트(400)와 연결될 수 있다.
덕트(200)는 세척수가 유출되는 유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부(240)는 연결 덕트(400)와 연결될 수 있다. 유출부(240)는 연결 덕트(40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유출부(240)는 연결 덕트(400)와 연통될 수 있다. 덕트(200) 내의 세척수는, 유출부(240)를 통해, 연결 덕트(400)로 유동할 수 있다. 연결 덕트(400)로 유입된 세척수는, 분사 장치(40)로 유동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출부(240)는 분사 장치(4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출부(240)는 후술할 제1 연결 덕트(410)와 연결 가능한 제1 유출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부(240)는 후술할 제2 연결 덕트(420)와 연결 가능한 제2 유출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출부(241)는 제1 연결 덕트(410) 없이 제1 분사 유닛(41)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출부(242)는 제2 연결 덕트(420) 없이 제2 분사 유닛(4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유출부(240)는 유출 포트(240)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유출부(241)는 제1 유출 포트(241)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유출부(242)는 제2 유출 포트(242)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출부(241)는 후술할 제2 프레임(80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출부(242)는 후술할 제1 프레임(70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유입부(231)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1 유출부(241)를 통해 제2 분사 유닛(42)로 유동할 수 있다. 제2 유입부(232)로 유입된 세척수는 제2 유출부(242)를 통해 제3 분사 유닛(43)로 유동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80)는 연결 덕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덕트(400)는 서브 덕트(sub duct)(400)로 지칭될 수 있다. 연결 덕트(400)는 제2 덕트(400)로 지칭될 수 있다.
연결 덕트(400)는 덕트(200)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분사 장치(40)로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덕트(400)는 덕트(200)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분사 장치(40)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덕트(400)는 덕트(200)와 분사 장치(4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덕트(400)는 덕트(200)와 제2 분사 유닛(42)을 연결하는 제1 연결 덕트(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덕트(410)의 일단(411)은 덕트(2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덕트(400)의 타단(412)은 제2 분사 유닛(42)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덕트(410)의 일단(411)은 덕트(200)의 제1 유출부(241)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연결 덕트(410)의 타단(412)은 제1 분사 유닛(42)과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덕트(400)는 덕트(200)와 제3 분사 유닛(43)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덕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덕트(420)의 일단(421)은 덕트(2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덕트(420)의 타단(422)은 제3 분사 유닛(43)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덕트(420)의 일단(421)은 덕트(200)의 제2 유출부(242)와 연통될 수 있다. 제2 연결 덕트(420)의 타단(422)은 제3 분사 유닛(43)과 연통될 수 있다.
연결 덕트(400)는 덕트 어셈블리(80)의 일 구성이 아닌 분사 장치(4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덕트(400)는 분사 장치(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덕트(410)는 제2 분사 유닛(4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 덕트(420)는 제3 분사 유닛(4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덕트 어셈블리(80)에서 연결 덕트(400)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는 연결 덕트(400) 없이 바로 분사 장치(4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의 유출부(240)는 분사 장치(40)와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출부(241)는 제2 분사 유닛(42)에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출부(242)는 제3 분사 유닛(43)에 바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하부 일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 바디부(210)와 제2 바디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의 서수가 그 구성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110)와 제1 바디부(120)로 반대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의 서수가 그 구성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700)과 제1 프레임(800)으로 반대로 명명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덕트(200)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1 바디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210)는 터브(12)의 일 측벽과 대응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바디부(210)는 분사 장치(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바디부(210)는 분사 장치(40)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210)는 제2 분사 유닛(42)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210)는 제3 분사 유닛(43)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210) 내의 세척수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제2 분사 유닛(4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바디부(210) 내의 세척수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제3 분사 유닛(4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바디부(210)는 제1 바디부(210)를 따라 유동하는 세척수가 유출되는 유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210)는 제2 분사 유닛(42)과 대응되는 제1 유출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210)는 제3 분사 유닛(43)과 대응되는 제2 유출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1)은 대략 터브(12)의 높이 방향과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방향(D1)은 대략 상하 방향과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방향(D1)은 대략 수직 방향과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덕트(200)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제2 바디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부(220)는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20)는 제1 바디부(210)의 연장 방향과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220)는 터브(12)의 하면(12b)과 대응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20)는 섬프 어셈블리(7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220)는 섬프 커버(3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220)는 섬프 커버(300)의 연결 포트(3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220)는 제2 연결 포트(31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220)는 제3 연결 포트(3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20)는 분배 챔버(121)와 연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220) 내의 세척수는 후방으로 유동하여 제1 바디부(210)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바디부(220)는 섬프 어셈블리(70)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220)는 제2 연결 포트(312)와 대응되는 제1 유입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220)는 제3 연결 포트(313)와 대응되는 제2 유입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향(D2)은 대략 전후 방향과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과 대략 교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과 대략 수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방향(D3)은 제1 방향(D1)과 교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방향(D3)은 제1 방향(D1)과 대략 수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방향(D3)은 제2 방향(D2)과 교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 방향(D3)은 제2 방향(D2)과 대략 수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덕트는 터브의 하면을 관통하여 세척실의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터브를 관통한 덕트는 기계실에 배치된 분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브에는 덕트가 관통되도록 마련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개구가 형성된 부분에서 세척수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세척수가 누수되는 경우, 식기세척기의 물 사용량이 증대될 수 있으며 세척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에 형성되는 개구는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이에 비하여, 덕트(200)는 터브(12)를 관통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는 터브(12) 내에 배치된 섬프 어셈블리(70)의 일 구성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는 터브(12) 내에 배치된 섬프 커버(3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제2 바디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바디부(220)는 섬프 커버(30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220)는 터브(12)의 대략 중앙부까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12)에는 덕트(20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터브에 형성되는 개구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세척수의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덕트(200)는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은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은 사출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800)은 사출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사출물 간의 결합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은 제1 사출 프레임(700)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은 제1 사출물(700)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은 제2 사출 프레임(800)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은 제2 사출물(800)로 지칭될 수 있다.
덕트(200)는 사출물 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200)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덕트(200)에는 파팅 라인(parting line) 또는 버(burr)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덕트(200)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덕트(200)는 소정 부분이 만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의 제2 바디부(220)는 소정 부분이 제3 방향(D3)으로 만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입부(231)와 제2 유입부(232)는 제3 방향(D3)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입부(231)의 중심과 제2 유입부(232)의 중심 사이의 제2 방향(D2)에 따른 거리(L2)는 대략 0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입부(231)의 중심과 제2 유입부(232)의 중심 사이의 제3 방향(D3)에 따른 거리(L1)는, 제1 유입부(231)의 중심과 제2 유입부(232)의 중심을 잇는 거리(L3)보다 작을 수 있다.
덕트(200)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제2 바디부(220)의 곡선 형상을 따라 유동 가능하다. 이에 의해 세척수의 압력 손실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분배 장치는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 중 적어도 하나로 세척수를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분배 장치는 복수의 연결 포트(311, 312, 313)를 개폐함으로써 다양한 분배 조합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장치는, 제1 연결 포트(311), 제2 연결 포트(312) 또는 제3 연결 포트(313)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장치는, 제1 연결 포트(311), 제2 연결 포트(312) 또는 제3 연결 포트(313) 중 어느 하나만을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장치는, 제1 연결 포트(311), 제2 연결 포트(312) 또는 제3 연결 포트(313) 중 어느 두 개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장치는, 제1 연결 포트(311), 제2 연결 포트(312) 및 제3 연결 포트(313) 모두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장치는, 제1 연결 포트(311), 제2 연결 포트(312) 및 제3 연결 포트(313) 모두를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장치의 다양한 분배 조합을 고려하여, 섬프 커버(300)의 복수의 연결 포트(311, 312, 313)는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 포트(312)와 제3 연결 포트(313)는 제3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은 연결 포트(310)와 유입부(230)가 대응될 수 있도록, 덕트(200)는 소정 부분 만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의 제2 바디부(220)는 곡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의 제1 유입부(231)와 제2 유입부(232)는 제3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가 분배 장치의 다양한 분배 조합을 위해 곡선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덕트를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은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는 블로 몰딩(blow molding) 방식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덕트는, 성형품을 금형 속에 넣은 후에 공기를 금형 내부로 불어넣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블로 몰딩 방식에 의해 덕트를 제작할 경우, 제작 과정이 복잡해지며 제작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즉, 덕트의 생산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개시에 따른 덕트(2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사출물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바, 덕트(200)의 제작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덕트(200)가 아무리 복잡한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덕트(200)는 다소 단순한 형상의 사출물들의 조합을 통해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로써,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며 제조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즉, 덕트(200)의 생산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덕트(200)의 유입부(230)는 강제 취출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은 사출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은 블로 몰딩 방식에 의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로 몰딩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덕트에 세척수 유출입을 위한 포트 등을 형성할 때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커팅 작업(cutting)이 수반될 수 있다. 커팅 작업은 상대적으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며, 커팅 작업 시 덕트에 단차 및/또는 버(burr)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 및/또는 버(burr)가 형성된 부분에서 세척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덕트의 품질 이슈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덕트(200)의 유입부(230)는 별도의 커팅 과정 없이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200)의 유입부(230)에는 파팅 라인 및/또는 버(burr)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덕트(200)의 유입부(230)는 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부(230)의 단부에는 실링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입부(231)는, 제1 유입부(231)와 제2 연결 포트(312)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실링 돌기(231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돌기(2311)는 제1 유입부(231)의 단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입부(232)는, 제2 유입부(232)와 제3 연결 포트(313)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실링 돌기(2321)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돌기(2321)는 제2 유입부(232)의 단부의 외측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부(230)의 실링부는, 강제 취출 방식에 의해 형성됨에 따라, 밀봉력이 향상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유입부(230)의 실링부는 커팅 과정 없이 제작되는 바, 유입부(230)의 표면에는 파팅 라인 및/또는 버(burr)가 남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파팅 라인 및/또는 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척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유입부(230)의 실링부는 보다 정확한 실링 포인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의 유입부(230)와 마찬가지로, 덕트(200)의 유출부(240) 역시 강제 취출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덕트(200)의 유출부(240)는, 실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출부(241)는, 제1 유출부(241)와 제2 분사 유닛(42)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출부(241)는, 제1 유출부(241)와 제1 연결 덕트(410)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유출부(242)는, 제2 유출부(242)와 제3 분사 유닛(43)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출부(242)는, 제2 유출부(242)와 제2 연결 덕트(420)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일 예의 절개선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덕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구획부의 일 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구획부의 일 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일 예의 절개선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덕트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덕트(200)는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은 서로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덕트(200)는,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의 조립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은 제1 바디부(210)와 제2 바디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은 제1 바디부(210)와 제2 바디부(220)의 다른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은 제1 바디부(210)에 해당하는 영역(700a)과 제2 바디부(220)에 해당하는 영역(700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은 덕트(200)의 후방 및 하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800)은 제1 바디부(210)에 해당하는 영역(800a)과 제2 바디부(220)에 해당하는 영역(800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800)은 덕트(200)의 전방 및 상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의 영역(700a)과 제2 프레임(800)의 영역(800a)은, 제1 바디부(21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의 영역(700b)과 제2 프레임(800)의 영역(800b)은, 제2 바디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제1 프레임(700)의 영역(700a)는 제1 프레임(700)의 제1 바디부(700a)로 지칭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의 영역(700b)은 제1 프레임(700)의 제2 바디부(700b)로 지칭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의 영역(800a)은 제2 프레임(800)의 제1 바디부(800a)로 지칭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의 영역(800b)은 제2 프레임(800)의 제2 바디부(800b)로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은 제2 프레임(800)을 향해 돌출되는 테두리(700c)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700c)는 제2 프레임(80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700c)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700c)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700c)에는 후술할 제1 결합부(71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700c)에는 후술할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가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700c)는 제1 테두리(700c)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800)은 제1 프레임(700)을 향해 돌출되는 테두리(800c)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800c)는 제1 프레임(70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800c)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800c)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800c)에는 후술할 제2 결합부(81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두리(800c)에는 후술할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가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800c)는 제2 테두리(800c)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은 제1 결합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의 제1 결합부(710)는 제2 프레임(800)의 제2 결합부(810)와 대응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의 제1 결합부(710)는 제2 프레임(800)의 제2 결합부(8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710)는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는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는 제1 프레임(700)의 테두리(700c)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 각각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는 후술할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와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는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는 후크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는, 복수의 후크 홈(711)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는 복수의 후크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는 복수의 후크와 대응되는 복수의 후크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710)는 제1 결합 돌기(7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712)는 제2 프레임(80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712)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712)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돌기(712)는 제1 프레임(700)의 테두리(700c)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포함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돌기(712)는 제3 방향(D3)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돌기(7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돌기(712)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결합 돌기(712)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결합 돌기(712)는 후술할 제1 결합 홈(713)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돌기(712)는, 제1a 결합 돌기(712a)와, 제1a 결합 돌기(712a)보다 내측에 마련된 제1b 결합 돌기(71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a 결합 돌기(712a)와 제1b 결합 돌기(712b)는 테두리(700c) 연장 방향에 대해 측방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a 결합 돌기(712a)는 제1 프레임(700)의 테두리(700c)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b 결합 돌기(712b)는 제1a 결합 돌기(712a)보다 후술할 가이드 유로(25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710)는 제1 결합 홈(7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홈(713)은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 홈(713)은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홈(713)은 제1 프레임(700)의 테두리(700c)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포함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홈(712)은 제3 방향(D3)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결합 홈(713)은 제1 결합 돌기(71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 홈(713)은, 제1 결합 돌기(712)가 돌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함몰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홈(713)은 복수의 제1 결합 돌기(7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홈(713)은 제1a 결합 돌기(712a)와 제1b 결합 돌기(71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홈(713)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홈(713)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결합 홈(713) 각각은, 복수의 제1 결합 돌기(712) 각각과 교대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은 제2 결합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의 제2 결합부(810)는 제1 프레임(700)의 제1 결합부(710)와 대응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의 제2 결합부(810)는 제1 프레임(700)의 제1 결합부(7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810)는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는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는 제2 프레임(800)의 테두리(800c)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 각각은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는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와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는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는 후크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는 복수의 후크(811)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는 복수의 후크 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할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는 복수의 후크 홈과 대응되는 복수의 후크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810)는 제2 결합 돌기(8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812)는 제1 프레임(70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812)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812)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돌기(812)는 제2 프레임(800)의 테두리(800c)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포함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돌기(812)는 제3 방향(D3)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돌기(8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돌기(812)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결합 돌기(812)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결합 돌기(812)는 후술할 제2 결합 홈(813)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돌기(812)는, 제2a 결합 돌기(812a)와, 제2a 결합 돌기(812a)보다 내측에 마련된 제2b 결합 돌기(812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a 결합 돌기(812a)와 제2b 결합 돌기(812b)는 테두리(800c) 연장 방향에 대해 측방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a 결합 돌기(812a)는 제2 프레임(800)의 테두리(800c)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b 결합 돌기(812b)는 제2a 결합 돌기(812a)보다 후술할 가이드 유로(25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810)는 제2 결합 홈(8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 홈(813)은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결합 홈(813)은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홈(813)은 제2 프레임(800)의 테두리(800c)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포함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홈(813)은 제3 방향(D3)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포함 수 있다.
제2 결합 홈(813)은 제2 결합 돌기(81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 홈(813)은, 제2 결합 돌기(812)가 돌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함몰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홈(813)은 복수의 제2 결합 돌기(8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홈(813)은 제2a 결합 돌기(812a)와 제2b 결합 돌기(81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홈(813)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홈(813)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결합 홈(813) 각각은, 복수의 제2 결합 돌기(812) 각각과 교대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 도 11,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의 결합 관계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프레임(700)의 제1 결합부(710)와 제2 프레임(800)의 제2 결합부(810)는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와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는 후크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의 적어도 하나는, 후크 홈(711)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의 적어도 하나는, 후크(811)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811)는 제2 결합 돌기(81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811)는 제2a 결합 돌기(812a)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811)는 제2a 결합 돌기(812a)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 홈(711)은 제1 결합 돌기(71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 홈(711)은 제1a 결합 돌기(712a)의 적어도 일부가 절개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후크(811)와 후크 홈(711)은 서로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크(811)와 후크 홈(711)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후크(811)가 후크 홈(711)에 결합됨에 따라, 후크(811)는 후크 홈(711)에 수용될 수 있다. 후크(811)와 후크 홈(711)이 결합된 상태에서, 후크(811)는 제1 프레임(700)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의 후크 홈(711)과 제2 프레임(800)의 후크(811)가 결합됨에 따라, 덕트(200)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 홈(711)와 후크(811)는 서로 접하게 마련되어 덕트(20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유로(250)를 실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의 제1 결합부(710)와 제2 프레임(800)의 제2 결합부(810)는 라비린스 실(labyrinth seal)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의 제1 결합 돌기(712)는 제2 프레임(800)의 제2 결합 홈(813)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712)는 제2 결합 홈(813)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b 결합 돌기(712b)는 제2 결합 홈(813)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a 결합 돌기(712a)가 제2 결합 홈(813)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의 제2 결합 돌기(812)는 제1 프레임(700)의 제1 결합 홈(713)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812)는 제1 결합 홈(713)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a 결합 돌기(812a)는 제1 결합 홈(713)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b 결합 돌기(812b)가 제1 결합 홈(713)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의 제1 결합 돌기(712)와 제2 프레임(800)의 제2 결합 돌기(812)는 서로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의 제1 결합 돌기(712)와 제2 프레임(800)의 제2 결합 돌기(812)는 측방으로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의 제1 결합 돌기(712)와 제2 프레임(800)의 제2 결합 돌기(812)는 제3 방향(D3)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a 결합 돌기(712a)와 제2a 결합 돌기(812a)는 서로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a 결합 돌기(812a)와 제1b 결합 돌기(712b)는 서로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b 결합 돌기(712b)와 제2b 결합 돌기(812b)는 서로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의 결합 시, 제1 결합부(710)와 제2 결합부(810)는 서로 접하게 마련되어 덕트(20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유로(250)를 실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유로(250)에서 유동하는 세척수는, 덕트(200)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덕트(200)의 세척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덕트(200)는 가이드 유로(2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유로(250)는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의 결합에 의해 덕트(2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250)는 유입부(230)와 유출부(24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250)는 유입부(230)와 연통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240)는 유출부(240)와 연통될 수 있다.
세척수는 가이드 유로(250)에서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척수는 가이드 유로(250)를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250)는 세척수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유로(250)는 유입부(230)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를 유출부(240)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덕트(20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이드 유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는 복수의 가이드 유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덕트(200)는 제1 가이드 유로(251)와 제2 가이드 유로(25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유로(250)는 제3 방향(D3)으로 배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유로(251)와 제2 가이드 유로(252)는 제3 방향(D3)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유로(251)는 제1 유입부(231)와 제1 유출부(24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유로(251)는 제1 유입부(231)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를 제1 유출부(241)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유로(251)를 따라 이동한 세척수는, 제2 분사 유닛(42)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의 유로 공간(740)과 제2 프레임(800)의 유로 공간(830)은, 제1 가이드 유로(251)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의 유로 공간(740)은, 후술할 프론트 프레임(720)의 유로 공간(741)과 후술할 리어 프레임(730)의 유로 공간(74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 유로(252)는 제2 유입부(232)와 제2 유출부(24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유로(242)는 제2 유입부(232)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를 제2 유출부(242)로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유로(242)를 따라 이동한 세척수는, 제3 분사 유닛(43)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의 유로 공간(750)과 제2 프레임(800)의 유로 공간(840)은, 제2 가이드 유로(25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의 유로 공간(750)은, 프론트 프레임(720)의 유로 공간(751)과 리어 프레임(730)의 유로 공간(75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유로(250) 각각은 서로 구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유로(251)와 제2 가이드 유로(252)는 서로 구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유로(251)는 제2 분사 유닛(42)으로 제공되는 세척수를 가이드 하며, 제2 가이드 유로(252)는 제3 분사 유닛(43)으로 제공되는 세척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덕트는 단일의 유로를 포함하며, 단일의 유로에서 유동하는 세척수는 복수의 분사 유닛 각각으로 분기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분사 유닛 중 일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며, 식기세척기의 물 사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덕트 내에서 유동하는 세척수는 복수의 분사 유닛 각각으로 유동하는 바, 세척수의 압력 손실은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개시에 따른 덕트(200)는 서로 구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이드 유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덕트(200)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복수의 분사 유닛 각각에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분사 유닛 중 일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며, 식기세척기의 물 사용량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덕트 내의 각각의 유로에서 유동하는 세척수가 각각의 유로와 대응한 복수의 분사 유닛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수는 덕트(200) 내에서 분기되지 않으며, 세척수의 압력 손실은 저하될 수 있다.
덕트(200)는 구획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260)는 가이드 유로(250)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부(260)는 제1 가이드 유로(251)와 제2 가이드 유로(252)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은 제1 구획부(26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은 제2 구획부(26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의 결합 시, 제1 구획부(260a)와 제2 구획부(260b)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획부(260a)와 제2 구획부(260b)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제1 구획부(260a)와 제2 구획부(260b)는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획부(260a)와 제2 구획부(260b)의 결합에 의해, 구획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의 제1 구획부(260a)와 제2 프레임(800)의 제2 구획부(260b)는 라비린스 실(labyrinth seal)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획부(260a)는 제1 구획 돌기(2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획 돌기(261)는 제1 프레임(700)에 형성되어 제2 프레임(80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구획 돌기(261)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구획 돌기(261)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획 돌기(261)는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획 돌기(26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획 돌기(261)는 제1a 구획 돌기(261a)와 제1b 구획 돌기(26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a 구획 돌기(261a)는 제1b 구획 돌기(261b)보다 제1 가이드 유로(25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b 구획 돌기(261b)는 제1a 구획 돌기(261a)보다 제2 가이드 유로(25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a 구획 돌기(261a)와 제1b 구획 돌기(261b)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구획부(260b)는 제2 구획 돌기(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획 돌기(262)는 제2 프레임(800)에 형성되어 제1 프레임(70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구획 돌기(262)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구획 돌기(262)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획 돌기(262)는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구획 돌기(262)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획 돌기(262)는 제2a 구획 돌기(262a)와 제2b 구획 돌기(26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a 구획 돌기(262a)는 제2b 구획 돌기(262b)보다 제1 가이드 유로(25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b 구획 돌기(262b)는 제2a 구획 돌기(262a)보다 제2 가이드 유로(25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a 구획 돌기(262a)와 제2b 구획 돌기(262b)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구획 돌기(261)와 제2 구획 돌기(262)는 서로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획 돌기(261)와 제2 구획 돌기(262)는 측방으로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획 돌기(261)와 제2 구획 돌기(262)는 제3 방향(D3)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의 가이드 유로(250) 각각은 서로 확실하게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유로(251) 내의 세척수와 제2 가이드 유로(252) 내의 세척수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유로(251) 내의 세척수와 제2 가이드 유로(252) 내의 세척수는 서로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a 구획 돌기(261a)와 제2a 구획 돌기(262a)는 서로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b 구획 돌기(261b)와 제2b 구획 돌기(262b)는 서로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획부(260a)는 고정 홀(26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홀(263)은 제1 프레임(700)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홀(263)은 제1 구획 돌기(261)가 돌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함몰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홀(263)은 복수의 제1 구획 돌기(26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홀(263)은 제1a 구획 돌기(261a)와 제1b 구획 돌기(261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홀(263)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홀(263)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고정 홀(263)은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고정 홀(263)은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구획부(260b)는 고정 돌기(26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돌기(264)는 제2 프레임(800)에 형성되어 제1 프레임(70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고정 돌기(264)는 제2 프레임(800)에 형성되어 고정 홀(263)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돌기(264)는 복수의 제2 구획 돌기(26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돌기(264)는 제2a 구획 돌기(262a)와 제2b 구획 돌기(262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돌기(264)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돌기(263)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고정 돌기(264)는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고정 돌기(264)는 제2 방향(D2)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한편, 고정 돌기(264)는 고정 홀(263)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돌기(264)는 고정 홀(263)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돌기(264)는 고정 홀(263)에 삽입됨에 따라 제1 구획 돌기(26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돌기(264)는 제1a 구획 돌기(261a)와 제1b 구획 돌기(26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돌기(264)가 고정 홀(263)에 삽입됨에 따라,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프레임(700)이 고정 홀(263)을 포함하고 제2 프레임(800)이 고정 돌기(26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제2 프레임(800)이 고정 홀(263)을 포함하고 제1 프레임(700)이 고정 홀(263)에 삽입되는 고정 돌기(26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돌기(264)가 고정 홀(263)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 돌기(264)의 적어도 일부는 고정 홀(263)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고정 돌기(264)의 고정 홀(263)로부터 돌출된 부분은, 제1 프레임(700)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덕트(200) 내부의 높은 수압에 의해서도,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덕트(200)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 돌기(264)의 고정 홀(263)로부터 돌출된 부분은, 핫 스테이킹(hot staking)에 의해, 고정 홀(263)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돌기(264)의 고정 홀(263)로부터 돌출된 부분은, 열과 압력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형상이 변형된 고정 돌기(264)는 냉각됨에 따라, 제1 프레임(70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돌기(264)의 고정 홀(263)로부터 돌출된 부분은, 핫 스테이킹(hot staking)에 의해, 헤드부(2641)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2641)의 크기는 고정 홀(263)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2641)의 직경은 고정 홀(263)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로써, 고정 돌기(264)는 고정 홀(263)에 삽입된 채로 제1 프레임(7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 돌기(264)의 고정 후크(264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후크(2642)는 고정 돌기(264)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돌기(264)가 고정 홀(263)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후크(2642)는 고정 홀(263)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고정 후크(2642)는 제1 프레임(7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고정 돌기(264)는 고정 홀(263)에 삽입된 채로 제1 프레임(7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제1 프레임의 일 예의 분해도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제1 프레임의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아래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일 예의 절개선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제1 프레임에 제2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제1 프레임에 제2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연결 부분을 일 예의 절개선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700)은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이 조립됨에 따라, 제1 프레임(70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은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제1 프레임(700)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이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단순한 형상을 갖는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을 조립함으로써 제1 프레임(700)을 보다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 각각은, 강제 취출 방식에 의해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제1 프레임(700)의 예와 마찬가지로, 제2 프레임(800)은 서로 조립 가능한 프론트 프레임(미도시)와 리어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의 프론트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의 결합은, 제1 프레임(700)의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의 결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프레임(700)의 프론트 프레임(720)은 섬프 어셈블리(7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프레임(720)은 섬프 커버(30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720)은 연결 포트(310)에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720)은 유입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720)은 제2 바디부(220)에 해당하는 영역(72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프론트 프레임(720)이 제2 바디부(220)에 해당하는 영역(720b)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론트 프레임(720)은 제1 바디부(210)에 해당하는 영역(미도시)과 제2 바디부(220)에 해당하는 영역(720b)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720)은 유로 공간(741) 및 유로 공간(741)과 구획되는 유로 공간(75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공간(741)은 후술할 리어 프레임(730)의 유로 공간(742)과 연결되어, 유로 공간(74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공간(751)은 후술할 리어 프레임(730)의 유로 공간(752)과 연결되어, 유로 공간(750)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720)은 유로 공간(741) 및 유로 공간(751)을 형성하는 유로 바디(72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바디(726)는 프론트 프레임(720)에 배치된 제1 구획 돌기(261)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바디(726)는 프론트 프레임(720)에 배치된 제1 결합 돌기(712)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바디(726)는 프론트 프레임(720)에 배치된 제1b 결합 돌기(712b)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의 리어 프레임(730)은 프론트 프레임(720)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프레임(730)은 프론트 프레임(720)의 후방에 제2 방향(D2)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730)은 제1 바디부(210)에 해당하는 영역(730a)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730)은 제2 바디부(220)에 해당하는 영역(730b)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730)의 영역(730b)은, 프론트 프레임(720)의 영역(720b)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730)은 유로 공간(742) 및 유로 공간(742)과 구획되는 유로 공간(75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공간(742)은 프론트 프레임(720)의 유로 공간(741)과 연결되어, 유로 공간(74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공간(752)은, 프론트 프레임(720)의 유로 공간(751)과 연결되어, 유로 공간(750)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730)은 유로 공간(742) 및 유로 공간(752)을 형성하는 유로 바디(73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바디(736)는 리어 프레임(730)에 배치된 제1 구획 돌기(261)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바디(726)는 리어 프레임(730)에 배치된 제1 결합 돌기(712)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 바디(726)는 리어 프레임(730)에 배치된 제1b 결합 돌기(712b)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프론트 프레임(720)은 리어 프레임(730)을 향하는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72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730)은 프론트 프레임(720)을 향하는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7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721)와 제2 연결부(731)는 서로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부(721)와 제2 연결부(731)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721)와 제2 연결부(731)는 제2 방향(D2)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결부(731)는 제1 연결부(721)를 수용하도록 수용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결부(721)가 수용 공간(S)에 수용됨에 따라,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연결부(721)는 유로 바디(726)로부터 리어 프레임(730)을 향해 돌출된 프론트 연결 바디(7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연결 바디(722)는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연결 바디(722)는, 대략 제3 방향(D3)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7221)와, 제1 연장부(7221)의 양측으로부터 대략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72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장부(7222)는 프론트 프레임(720)의 테두리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장부(7222)는 프론트 프레임(720)의 제1a 결합 돌기(712a)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연결부(721)는 연결 후크(7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후크(723)는 프론트 연결 바디(72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후크(723)는 프론트 연결 바디(722)의 제2 연장부(722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후크(723)는 프론트 연결 바디(722)의 제2 연장부(7222)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연결 후크(723)는 후술할 후크 홈(734)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721)는 돌기 홈(724)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 홈(724)은 연결 후크(723)와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 홈(724)은 프론트 연결 바디(72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 홈(724)은 프론트 연결 바디(722)의 일부가 절개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돌기 홈(724)은 후술할 걸림 돌기(733)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721)는 제1 구획 결합부(7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721)와 제2 연결부(722)가 연결됨에 따라, 제1 구획 결합부(725)는 후술할 제2 구획 결합부(735)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획 결합부(725)는 리어 프레임(730)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획 결합부(725)는 프론트 프레임(720)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구획 돌기(26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획 결합부(725)는 프론트 프레임(720)에 배치된 제1a 구획 돌기(261a)와 제1b 구획 돌기(261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31)는 유로 바디(736)로부터 프론트 프레임(720)을 향해 돌출된 리어 연결 바디(7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연결 바디(732)는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리어 연결 바디(732)는, 대략 제3 방향(D3)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7321)과, 제1 연장부(7321)의 양측으로부터 대략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73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장부(7322)는 리어 프레임(730)의 테두리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장부(7322)는 리어 프레임(730)의 제1a 결합 돌기(712a)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연결부(731)는 수용 공간(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연결 바디(732)는 수용 공간(S)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용 공간(S)은 리어 연결 바디(732)와 유로 바디(73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S)에는 프론트 프레임(720)의 제1 연결부(72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31)는 걸림 돌기(7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돌기(733)는 리어 연결 바디(732)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돌기(733)는 리어 연결 바디(732)의 제2 연장부(732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돌기(733)는 리어 연결 바디(732)의 제2 연장부(7322)로부터 대략 제1 방향(D1)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돌기(733)는 리어 연결 바디(732)의 제2 연장부(7322)로부터 대략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걸림 돌기(733)는 돌기 홈(724)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31)는 후크 홈(734)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 홈(734)은 걸림 돌기(733)와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 홈(734)은 리어 연결 바디(723)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 홈(734)은 리어 연결 바디(723)의 일부가 절개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후크 홈(734)은 연결 후크(723)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31)는 제2 구획 결합부(7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획 결합부(735)는 제1 구획 결합부(725)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획 결합부(735)는 제1 구획 결합부(725)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획 결합부(725)는 제2 구획 결합부(735)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획 결합부(735)는 리어 프레임(730)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구획 돌기(261)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구획 결합부(735)는 리어 프레임(730)에 배치된 제1a 구획 돌기(261a)와 제1b 구획 돌기(261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와 반대로, 프론트 프레임(720)이 제2 연결부(731)를 포함하고 리어 프레임(730)이 제1 연결부(7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프레임(720)은, 리어 프레임(730)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공간(S)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의 결합 과정의 일 예 및 결합 관계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은 대략 제2 방향(D2)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은 대략 전후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721)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연결부(731)의 적어도 일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720)의 프론트 연결 바디(722)는, 리어 프레임(730)의 수용 공간(S)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연결 바디(722)는 수용 공간(S)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프론트 연결 바디(722)와 리어 연결 바디(732)는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프론트 연결 바디(722)는 수용 공간(S)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연결 바디(722)와 리어 연결 바디(732)는 서로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어 연결 바디(732)는 프론트 연결 바디(722)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의 사이는 실링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 사이에서 발생하는 세척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후크(723)는 수용 공간(S)을 통과하여 후크 홈(734)에 수용될 수 있다. 연결 후크(723)는 걸림 돌기(733)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후크(723)가 대략 제2 방향(D2)으로 걸림 돌기(733)에 걸림에 따라,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이 상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돌기(733)는 돌기 홈(724)에 수용될 수 있다. 걸림 돌기(733)는 연결 후크(723)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돌기(733)가 대략 제2 방향(D2)으로 연결 후크(723)에 걸림에 따라,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이 상호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S)은 수용 공간(S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Sa)은, 프론프 프레임(72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 공간(S)에 삽입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Sa)은, 프론프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 공간(S)의 전체 영역 중 프론트 프레임(720)이 차지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Sa)은, 프론트 연결 바디(722)의 제2 연장부(7222)와 리어 프레임(730)에 배치된 제1b 결합 돌기(712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론트 프레임(720)의 제1 구획 결합부(725)와 리어 프레임(730)의 제2 구획 결합부(735)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획 결합부(725)는 리어 프레임(730)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를 형성하고, 제2 구획 결합부(735)는 제1 구획 결합부(725)를 수용하도록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구획 결합부(725)가 홈을 형성하고, 제2 구획 결합부(735)가 돌기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구획 결합부(725)와 제2 구획 결합부(735)가 결합됨에 따라, 프론트 프레임(720)에 형성된 제1 구획부(260a)와 리어 프레임(730)에 형성된 제1 구획부(260a)가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이 결합됨에 따라, 유로 공간(740)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이 결합됨에 따라, 유로 공간(7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프레임(800)은 제1 프레임(7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은, 프론트 프레임(720)과 리어 프레임(730)이 결합된 상태에서, 리어 프레임(730)의 수용 공간(S)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800)은 수용 공간(Sa)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은, 제1 프레임(700)에 결합되어 제1 프레임(700)의 제1 연결부(72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은, 제2 프레임(800)의 테두리(800c)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820)는 테두리(800c)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820)는 테두리(800c)로부터 대략 제3 방향(D3)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820)는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820)는 수용 공간(S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800)의 돌출부(820)는, 수용 공간(Sa)에 삽입되어, 제1 연결부(721)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의 돌출부(820)는, 수용 공간(Sa)에 삽입되어, 제1 연결부(72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프레임(800)의 돌출부(820)는, 수용 공간(Sa)에 삽입되어, 제1 연결부(721)와 제2 연결부(722)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820)는, 연결 후크(723)가 후크 홈(73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820)와 프론트 연결 바디(722)의 제2 연장부(7222)는 서로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820)와 프론트 연결 바디(722)의 제2 연장부(7222)는 측방으로 실링될 수 있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일부의 측단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프론트 프레임(720)의 제1 연결부(721)는 제1 프레임(700)의 제2 바디부(700b)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721)는 프론트 프레임(720)의 제2 바디부(720b)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730)의 제2 연결부(731)는 제1 프레임(700)의 제2 바디부(700b)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731)는 리어 프레임(730)의 제2 바디부(730b)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721)와 제2 연결부(731)의 결합 부분은, 제2 바디부(700b)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사 장치(40)의 제1 분사 유닛(41)은, 최대한 넓은 분사 범위를 확보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제1 분사 유닛(41)은 최대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사 유닛(41)과 덕트(200)는 서로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서, 소정의 간격(G)으로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터브(12)의 크기가 커지지 않도록, 터브(12)의 후벽(12f)과 덕트(200)의 제1 바디부(210) 사이의 공간은 최대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부(721)와 제2 연결부(731)의 연결 부분은, 제2 바디부(700b)에 형성됨에 따라, 터브(12)의 하면(12b)과 덕트(200)의 제2 바디부(22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연결부(721)와 제2 연결부(731)의 연결 부분은, 터브(12)의 후벽(12f)과 덕트(200)의 제1 바디부(21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터브(12)의 후벽(12f)과 덕트(200)의 제1 바디부(210) 사이에, 제1 연결부(721)와 제2 연결부(731)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의해, 터브(12)의 후벽(12f)과 덕트(200)의 제1 바디부(210)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 작게 설계할 수 있다.
도 2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덕트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덕트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700)은 제1 바디부(700a)와 제2 바디부(700b) 사이에 마련되는 코너부(70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800)은 제1 바디부(800a)와 제2 바디부(800b) 사이에 마련되는 코너부(800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은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700)의 코너부(700d)와 제2 프레임(800)의 코너부(800d)는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800)은 제1 프레임(70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800)은 제1 프레임(7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800a)는 제1 바디부(700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바디부(800b)는 제2 바디부(800a)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700)의 코너부(700d)와 제2 프레임(800)의 코너부(800d)가 먼저 가조립될 수 있다.
코너부(700d)와 코너부(800d)가 가조립된 후, 제1 프레임(700)의 제1 바디부(700a)와 제2 프레임(800)의 제1 바디부(800a)가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800)의 제1 바디부(800a)는 제1 프레임(700)의 제1 바디부(700a)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코너부(700d)와 코너부(800d)가 가조립된 후, 제1 프레임(700)의 제2 바디부(700b)와 제2 프레임(800)의 제2 바디부(800b)가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800)의 제2 바디부(800b)는 제1 프레임(700)의 제2 바디부(700a)의 상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700a)와 제1 바디부(800a)가 조립된 후, 제2 바디부(700b)와 제2 바디부(800b)가 조립될 수 있다. 반대로, 예를 들어, 제2 바디부(700b)와 제2 바디부(800b)가 조립된 후, 제1 바디부(700a)와 제1 바디부(800a)가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은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의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와 제2 프레임(800)의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는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700)의 복수의 제1 결합 부재(711)와 제2 프레임(800)의 복수의 제2 결합 부재(811)는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덕트(200)는 제1 프레임(700)과 제2 프레임(800)의 조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식기세척기
10: 본체
70: 섬프 어셈블리
200: 덕트
700: 제1 프레임
800: 제2 프레임

Claims (20)

  1.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세척실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 유닛;
    상기 분사 유닛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섬프; 및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분사 유닛에 연결되는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섬프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제1 결합 부재와 결합 가능한 복수의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유로와,
    상기 가이드 유로를 복수로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구획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제1 결합 부재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제1 테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제2 결합 부재가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제2 테두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테두리와 상기 제2 테두리가 대응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2 결합 부재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어 제2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제1 구획 돌기와,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제1 구획 돌기와 제3 방향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2 구획 돌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 홀과,
    상기 제2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의 상기 고정 홀로부터 돌출된 부분은, 핫 스테이킹(hot staking)에 의해, 상기 고정 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고정 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고정 후크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섬프에 연결되는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프론트 프레임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어 프레임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상기 리어 프레임을 향하는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프레임은,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프론트 프레임을 향하는 단부에 형성되는 제2 연결부로서, 상기 제1 연결부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프론트 프레임과 상기 리어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프레임의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바디부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결합 부재와 상기 복수의 제2 결합 부재는 후크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1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제1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제2 결합 돌기로서, 상기 제1 결합 돌기와 제3 방향으로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상기 제2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로는,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배열되는 식기세척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바디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바디부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식기세척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제2 바디부의 상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식기세척기.
  16.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섬프; 및
    상기 섬프의 세척수를 상기 터브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터브의 일 측벽 및 상기 터브의 하면을 따라 연장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제1 사출 프레임과,
    상기 제1 사출 프레임과 후크 결합되는 제2 사출 프레임과,
    상기 제1 사출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1 구획부와 상기 제2 사출 프레임에 형성되는 제2 구획부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와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 유닛은,
    상기 터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분사 로터와, 상기 제1 분사 로터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는 제2 분사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의 복수의 가이드 유로는,
    상기 제1 분사 로터로 세척수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제1 가이드 유로와, 상기 제1 가이드 유로로부터 구획되어 상기 제2 분사 로터로 세척수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제1 가이드 유로와 상기 제2 가이드 유로를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구획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제1 사출 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 홀과,
    상기 제2 사출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는,
    상기 터브 내의 세척수를 저수하도록 마련되는 섬프 하우징과,
    상기 섬프 하우징을 커버하며 상기 섬프 하우징의 세척수를 상기 분사 유닛으로 분배하도록 마련되는 섬프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섬프 커버와 상기 분사 유닛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출 프레임은 상기 덕트의 후방 및 하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사출 프레임은 상기 덕트의 전방 및 상방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KR1020220080947A 2022-06-30 2022-06-30 식기세척기 KR20240002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947A KR20240002844A (ko) 2022-06-30 2022-06-30 식기세척기
PCT/KR2023/008375 WO2024005420A1 (ko) 2022-06-30 2023-06-16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947A KR20240002844A (ko) 2022-06-30 2022-06-30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844A true KR20240002844A (ko) 2024-01-08

Family

ID=89380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947A KR20240002844A (ko) 2022-06-30 2022-06-30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2844A (ko)
WO (1) WO202400542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48922B (zh) * 2017-07-14 2021-08-2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的喷臂水管组件和洗碗机
KR102641369B1 (ko) * 2018-12-12 2024-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213464938U (zh) * 2020-09-01 2021-06-1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的内水管和具有其的洗碗机
CN213696788U (zh) * 2020-10-23 2021-07-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电解消毒结构、洗碗机
CN215502876U (zh) * 2020-12-04 2022-01-1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内水管、内水管结构及洗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05420A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63904A1 (en)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US10413152B2 (en) Spray assemblies for dishwasher appliances
KR102334614B1 (ko) 식기세척기
US11744435B2 (en) Dishwasher
KR101507803B1 (ko) 식기 세척기
KR20240002844A (ko) 식기세척기
KR102530168B1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444A (ko) 식기세척기
KR20240002845A (ko) 식기세척기
US20240000288A1 (en) Dishwasher
KR20210102598A (ko) 식기 세척기
KR20240002875A (ko) 식기세척기
KR20230103915A (ko) 식기세척기
CN216984830U (zh) 一种清洗机
KR20230103442A (ko) 식기세척기
US11737639B2 (en) Dishwasher
KR20230103445A (ko) 식기세척기
US20240000290A1 (en) Drain assembly and home appliance
US20230013225A1 (en) Dishwasher
US20200187748A1 (en) Dish washer
KR20230109884A (ko) 식기세척기
KR20240002850A (ko) 식기세척기
CN114343535A (zh) 一种清洗机
KR20230130908A (ko) 식기세척기
KR20240002843A (ko)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