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369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369B1
KR102641369B1 KR1020180160324A KR20180160324A KR102641369B1 KR 102641369 B1 KR102641369 B1 KR 102641369B1 KR 1020180160324 A KR1020180160324 A KR 1020180160324A KR 20180160324 A KR20180160324 A KR 20180160324A KR 102641369 B1 KR102641369 B1 KR 102641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uct
body portion
washing water
seal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298A (ko
Inventor
뷔징요하네스
양지선
유승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0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369B1/ko
Priority to CN201980082434.1A priority patent/CN113194805A/zh
Priority to PCT/KR2019/017585 priority patent/WO2020122630A1/en
Priority to US16/712,099 priority patent/US11484176B2/en
Priority to EP19215641.2A priority patent/EP3666156B1/en
Publication of KR20200072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298A/ko
Priority to US17/952,771 priority patent/US1174443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마련되어 식기를 저장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의 식기를 세척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과 세척수를 상기 분사 유닛에 제공하고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바디부와, 세척수가 유입되고 상기 제 1바디부부에서부터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바디부를 포함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제 1바디부와 상기 제 2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1바디부와 상기 제 2바디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의 덕트를 가지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세제와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 등을 자동으로 세척하는 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본체와,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식기가 수납되도록 터브 내부에 배치되는 수납용기와, 수납용기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 유닛을 포함한다.
수납용기는 보통 2단 또는 3단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수납용기가 배치되는 곳에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해 분사 유닛이 복수로 마련되어 수납용기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복수의 분사 유닛에 각각 세척수를 제공하기 위해 세척수가 유동되는 덕트를 포함한다.
덕트는 2단 내지 3단으로 구비되는 수납용기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세척수를 공급받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도 연장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덕트가 최소 2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덕트의 제조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덕트를 블로우(Blow) 공법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구성이 결합되는 공법을 통해 덕트의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복수의 구성이 결합되는 공법을 통해 덕트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마련되어 식기를 저장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의 식기를 세척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과 세척수를 상기 분사 유닛에 제공하고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바디부와, 세척수가 유입되고 상기 제 1바디부부에서부터 상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바디부를 포함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제 1바디부와 상기 제 2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1바디부와 상기 제 2바디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하우징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는 상기 제 1바디부 및 상기 제 2바디부 내측에 마련되고 제 3방향으로 너비를 가지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유로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제 2하우징과 밀착 결합되는 제 1실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제 1실링면과 접하는 제 2실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실링면과 상기 제 2실링면은 상기 제 1바디부에서 상기 제 2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바디부에서는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실링면과 상기 제 2실링면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폐 루프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제 1방향으로 후크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제 1실링면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하우징과 후크 결합되는 후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제 2실링면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와 결합되는 후크 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하우징은 세척수를 상기 제 1바디부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바디부에 배치되는 제 1곡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은 세척수를 상기 제 1바디부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바디부에 배치되는 제 2곡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은 세척수가 상기 덕트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분사 유닛에 세척수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유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 유닛은 상기 터브 내부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중간 로터부와 상기 타브 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로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중간 로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상측 로터부에 세척수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유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덕트는 상기 보조 유출구와 상기 상측 로터부를 연결하는 상부 덕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중간 로터부와 상기 유출구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출구와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 1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바디부는 상기 제 2방향과 직교되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덕트가 절곡되도록 마련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깃 세척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내부에 마련되어 식기를 저장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의 식기를 세척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제 1하우징과 제 2하우징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고 세척수를 상기 분사 유닛에 제공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하우징은 세척수를 상기 분사 유닛에 제공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덕트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은 후크 결합한다.
또한 상기 덕트는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바디부와, 상기 제 1바디부에서부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바디부와 상기 제 1방향 및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너비를 가지는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제 1바디부와 상기 제 2바디부 및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 및 상기 제 3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제 1바디부와 상기 제 2바디부 및 상기 유로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 및 상기 제 3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유로를 실링하도록 폐 루프 형상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의 내면은 상기 결합부와 접하는 제 1실링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유로가 실링되도록 상기 제 1실링면과 접하는 제 2실링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에 세척수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유출구와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배치되고, 각각 직교되는 적어도 3개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 1하우징과, 상기 유입구가 배치되고, 상기 제 1하우징과 결합되는 제 2하우징을 포함한다.
최소 2방향 이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덕트에 있어서, 덕트를 복수의 구성이 후크 결합되는 방식으로 덕트를 제작하여 덕트의 형상을 자유롭게 형성하면서, 덕트의 제조를 블로우(Blow) 공법으로 제조하는 것 보다 단순화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일부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중간 로터부와 중간 바스켓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중간 로터부의 후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중간 로터부와 덕트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일부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제 1하우징의 일부에 대한 후방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제 1하우징의 일부에 대한 전방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식기는 그릇, 컵, 커트러리(cutlery), 각종 조리 도구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제 1방향(D1)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 방향인 상하 방향을 지칭하고, 제 2방향(D2)은 식기세척기(1)의 전후 방향을 지칭하고, 제 3방향(D3)은 식기세척기의 좌우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12)는 대략 박스(box)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브(12)의 일 면은 개방될 수 있다. 즉, 터브(12)는 개방부(12a)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브(12)의 전면(前面)은 개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11)는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식기가 수납되도록 터브(12)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납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용기는 복수의 바스켓(51,5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52,53)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바스켓(51,52,53)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복수의 바스켓(51,52,53)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뿐 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 또한 수납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52,53)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으로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바스켓(52)과,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바스켓(51)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바스켓(52)은 중간 가이드 랙(13a)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하부 바스켓(51)은 하부 가이드 랙(13b)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간 가이드 랙(13a) 및 하부 가이드 랙(13b)은 터브(12)의 개방부(12a)를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터브(12)의 내벽(14)에 설치될 수 있다. 터브(12)의 내벽(14)은 터브(12)의 우측벽의 내면 및 좌측벽의 내면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수납용기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바스켓(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스켓(53)은 랙 어셈블리(rack assembly) 형태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바스켓(53)에는 국자, 칼, 뒤집개 등과 같은 조리 도구 내지 커트러리(cutlery)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랙 어셈블리(100)에는 에스프레소 잔과 같은 작은 컵이 수납될 수도 있다. 다만, 상부 바스켓(53)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않고 터브(12)의 크기에 따라 상부 바스켓(53)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수납용기는 중간 바스켓(52)과 하부 바스켓(51)으로만 구현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섬프(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터브(12)의 내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인 워싱 챔버(C)를 포함할 수 있다.
워싱 챔버(C)는 세척수에 의해 바스켓(51,52,53)에 거치된 식기가 세척되고 건조될 수 있는 공간이고, 워싱 챔버(C)와 섬프(20) 내부에서 순환되는 세척수는 섬프(20) 외 구성을 통해 워싱 챔버(C)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실링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41,42,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사유닛(41,42,43)은,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으로 하부 바스켓(5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분사유닛(41)과,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으로 중간 바스켓(52) 하부에 배치되는 제 2분사유닛(42)과,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으로 상부 바스켓(53)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3분사유닛(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분사유닛(41)은 회전축(4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 2분사유닛(42)은 회전축(42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 3분사유닛(43)은 회전축(43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1분사유닛(41)은 제 2분사유닛(42)과 제 3분사유닛(43)과 달리 워싱 챔버(C)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 1분사유닛(41)은 고정된 노즐에 의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고, 제1분사유닛(41)의 노즐에서 수평방향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워싱 챔버(C) 내부에 배치되는 전환 어셈블리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측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전환 어셈블리는 홀더에 의해 레일에 설치되며, 레일을 따라 병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3분사유닛(43)은 상부 바스켓(53) 및 중간, 하부 바스켓(52,51)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고, 제 2분사유닛(42)은 중간 바스켓(52) 및 상부 바스켓(53)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 1분사유닛(41)은 제 2분사유닛(42) 및 제 3분사유닛(43)과 달리 터브(12)의 하측, 자세하게는 섬프(20) 내측에서부터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는 섬프(20)에는 저장된 물을 분사유닛(41,42,43)으로 펌핑하는 순환 펌프(30)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펌프(21)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순환 펌프(21)와 연결되는 교번 장치(200)를 통해 제 1분사 유닛(41)으로 공급되거나 후술할 덕트(10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 2분사 유닛(42) 또는 제 3 분사 유닛(43)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섬프(20)에 저수된 세척수 또는 외부에서 식기세척기(1)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순환 펌프(30)에 의해 교번 장치(200)로 유동될 수 있다.
교번 장치(200)는 제 1분사유닛(41)과 연결되는 제 1유로(61)를 통해 제 1분사유닛(41)에 세척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덕트(100)와 연결되는 제 2유로(62)를 통해 덕트(100)로 세척수를 제공할 수 있다.
교번 장치(200)는 제 1분사유닛(41)과 덕트(100) 중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 1유로(61)와 제 2유로(62)는 워싱 챔버(C)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수는 제 1유로(61)와 제 2유로(62)를 통해 워싱 챔버(C) 내부에 배치되는 제 1분사유닛(41)과 덕트(100)로 유동될 수 있다.
세척수는 덕트(100)를 통해 제 2분사유닛(42)과 제 3분사유닛(43)으로 유동될 수 있다. (분사유닛의 제 1분사유닛, 제 2분사유닛 제 3분사유닛은 각각 분사유닛의 제 1로터부, 제 2로터부, 제 3로터부로 명명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 1분사유닛, 제 2분사유닛 제 3분사유닛으로 명명한다. 또한 제 1분사유닛, 제 2분사유닛 제 3분사유닛의 명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대로 상측에 배치되는 구성에서부터 제 1분사유닛, 제 2분사유닛 및 제 3분사유닛으로 반대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덕트(1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일부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중간 로터부와 중간 바스켓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중간 로터부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중간 로터부와 덕트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일부의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제 1하우징의 일부에 대한 후방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제 1하우징의 일부에 대한 전방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바디부(110)와 제 2바디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 2”의 서수가 그 구성을 한정하지 않고 제 2바디부(120)와 제 1바디부(110)로 반대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 또한 “제 1”, “제 2”의 서수가 그 구성을 한정하지 않고 제 2하우징(140)과 제 1하우징(150)으로 반대로 명명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10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으로 상측으로 향하는 제 1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제 1바디부(110, 또는 연장부로 명명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제 1바디부로 명명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워싱 챔버(C) 하측에 배치되는 순환 펌프(30)에서 펌핑되는 세척수는 제 1바디부(110)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제 2분사유닛(52) 또는 제 3분사유닛(53)으로 흐를 수 있다.
제 1바디부(110)는 제 1바디부(11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세척수가 유출되도록 마련되는 제 1유출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유출홀(111)을 통해 유출되는 세척수는 제 2분사 유닛(42)로 이동될 수 있다.
덕트(100)는 세척수가 유입되고 제 1방향(D1)에 대해 식기세척기(1)의 전후 방향으로 향하는 제 2방향(D2)으로 연장되는 제 2바디부(120, 또는 유입부로 명명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제 2바디부로 명명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바디부(120)는 터브(12)의 하면(12a)을 관통하여 워싱 챔버(C) 하측으로 연장되고 터브(12)의 하면(12a)에 덕트가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유입 도크(122)와 유입 도크(122)의 하단에 배치되고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 도크(122)는 터브(12)에 덕트(100)를 지지하면서 유입홀(121)을 통해 제 2바디부(120)로 세척수를 유입시킬 수 있다.
유입홀(121)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는 제 2바디부(120)와 제 1바디부(110) 내부에 형성되는 덕트 유로(101)를 통해 덕트(100) 내부에서 이동되어 제 1유출홀(111)로 유출될 수 있다.
덕트 유로(101)는 제 1바디부(110)와 제 2바디부(120)를 따라 덕트(100) 내측에 배치되고 세척수가 흐르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덕트 유로(101)는 제 1방향(D1)과 제 2방향(D2)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D3)으로 연장되는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제 1바디부(110)는 제 1바디부(11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세척수가 유출되도록 마련되는 제 2유출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유출홀(112)을 통해 유출되는 세척수는 제 3분사 유닛(43)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 1바디부(110)를 통해 흐르는 세척수는 제 1유출홀(111) 또는 제 2유출홀(112)을 통해 제 2분사 유닛(42) 또는 제 3분사 유닛(43)으로 유출될 수 있다.
덕트(100)는 제 3분사 유닛(43)과 제 2유출홀(112)을 연결하는 상부 덕트(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덕트(160)는 제 2유출홀(112)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부 덕트(160)의 하단은 제 2유출홀(112)에 삽입되어 제 2유출홀(112)과 연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덕트(160)의 하단 내부로 제 2유출홀(112)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덕트(160)는 2개의 구성으로 각각 후술할 제 1하우징(140)과 제 하우징(1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덕트가 제 1방향과 제 2방향 및 제 3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즉 덕트가 3dimension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블로우(Blow) 공법에 의해 덕트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의할 시 제 1바디부(110)는 제 1방향(D1)으로 연장되면서 제 2바디부(120)는 제 1바디부(110)에 대해 제 2방향(D2)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2바디부(110,120)는 각각 덕트 유로(101)를 형성하기 위해 제 3방향(D3)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블로우 공법에 의해 덕트를 제조할 시 덕트를 제조하는 제작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며 상대적으로 많은 제작 단계를 통해 덕트가 형성되어 비효율적이다.
자세하게는 덕트가 블로우 공법에 의해 제조될 시 호수 압출 과정, 덕트를 3dimension 방향으로 형성하는 L-벤딩 과정 또는 U-벤딩 과정, 이 후 금형을 통해 형상을 형성하는 과정, 이 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커팅 과정을 거치게 된다.
덕트의 형상이 복잡해질수록 제작 단계가 증가하고 복잡해짐에 따라 제조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덕트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의 진행 방향이 변경될 시 덕트를 벤딩하는 과정이 증가하여 제작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제 1유출홀(111)을 포함하고 제 2분사 유닛(42)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킹부(146) 또는 제 2분사 유닛(42)이 도킹부(146)에 결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56)와 같은 구성이 추가적으로 덕트에 형성되기 위해서는 이를 형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제조 단계가 필요하거나, 블로우 공법에서는 덕트의 세밀한 형상을 구현하기 힘들기 때문에 도킹부(146) 또는 가이드부(156) 구성을 별도의 구성으로 형성하여 덕트에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100)는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이 결합되어 덕트(1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100)는 블로우 공법에 의해 제조하지 않고 필요에 따른 형상으로 사출된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이 각각 사출되고 각각의 구성이 단순 결합을 통해 덕트(100)가 형성되는 바 제조 단계가 축소되고 제조 시간 또한 축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에도 2개의 구성을 열 융착하는 제조 공법을 통해 덕트를 형성할 수 있었다. 다만 열 융착 제조 공법의 경우 덕트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만 가능한 제조 공법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덕트가 제 1방향(D1)과 제 2방향(D2) 및 제 3방향(D3)과 같이 적어도 3방향 이상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시, 덕트는 열 융착에 의한 제조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100)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추가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이 후크 결합되어 덕트(100)가 적어도 3방향(D1,D2,D3) 이상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져도 2개의 구성(제 1하우징, 제 2하우징)으로 덕트(100)를 형성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하우징(140)은 제 2하우징(150)과 후크 결합되는 후크(145)를 포함하고, 제 2하우징(150)는 후크(145)가 결합되는 후크 홈(1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40)은 제 1바디부(110)에 해당되는 제 1하우징(140)의 제 1영역(141)과 제 2바디부(120)에 해당되는 제 1하우징(140)의 제 2영역(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하우징(150)은 제 1바디부(110)에 해당되는 제 2하우징(150)의 제 1영역(151)과 제 2바디부(120)에 해당되는 제 2하우징(150)의 제 2영역(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40)의 제 1영역(141)과 제 2하우징(150)의 제 1영역(151)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후크(145)와 후크 홈(155)의 결합에 의해 각각 마주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하우징(140)의 제 2영역(142)과 제 2하우징(150)의 제 2영역(152)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후크(145)와 후크 홈(155)의 결합에 의해 각각 마주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덕트(100)는 제 1바디부(110) 상에 마련되고 제 3방향(D3)으로 연장되는 절곡부(130, 제 3바디부로도 명명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절곡부로 명명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130)는 제 1분사 장치(41)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도록 제 1바디부(110)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절곡되는 부분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분사 유닛(41)은 회전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는데 워싱 챔버(C) 내부의 크기에 의해 덕트(100)가 제 1분사 유닛(4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덕트(100)는 절곡부(130)를 통해 제 1분사 유닛(41)의 회전 반경 외측에 배치되어 제 1분사 유닛(41)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워싱 챔버(C) 내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40)은 절곡부(130)에 해당되는 제 1하우징(140)의 제 3영역(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하우징(150)은 절곡부(130)에 해당되는 제 2하우징(150)의 제 3영역(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방향(D3)은 제 1방향(D1) 또는 제 2방향(D2)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절곡부(130)는 제 3방향(D3)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제 1바디부(110) 또는 제 2바디부(120)와 직교되게 연장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제 3방향(D3)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절곡부(130)는 제 1바디부(110) 상의 어느 일 지점에 형성되는 바 절곡부(130)의 양단에는 제 1바디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덕트(100)는 제 2바디부(120)에서부터 제 2방향(D2)으로 연장되다가 제 1방향(D1)으로 연장되는 방향이 전환되고 이 후 제 3방향(D3)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 방향이 전환된 후 다시 제 1방향(D1)으로 연장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절곡부(130)는 바람직하게 터브(12)의 하면(12a)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분사 유닛(41)이 터브(12)의 하면(12a)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바 터브(12)의 하면(12a)과 인접한 위치에서 제 1분사 유닛(41)이 회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덕트(100)의 절곡부(130)는 제 1바디부(110) 상에 배치되지 않고 제 2바디부(120)에서부터 바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덕트(100)는 제 2바디부(120)에서부터 제 2방향(D2)으로 연장되다가 제 1 제 3방향(D3)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 방향이 전환된 후 제 1방향(D1)으로 연장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은 각각 제 1,2,3영역(141,142,143,151,152,153)을 포함하여 3개의 다른 방향을 통해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은 사출 등과 같은 제법을 통해 제조되는 바 복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포함하여도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은 사출을 통해 성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하우징(1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바디부(110), 제 2바디부(120), 및 절곡부(130)에 해당되는 제 1영역(141)과 제 2영역(142) 및 제 3영역(1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하우징(140)은 제 2하우징(150)과 후크 결합하기 위한 후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40)의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하우징(140)의 개방된 일측이 제 2하우징(150)과 결합되어 덕트(100)의 덕트 유로(101)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40)의 제 1영역(141)의 상단부에는 제 2분사 유닛(42)으로 세척수를 유출시키는 제 1유출 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유출 홀(111)은 덕트 유로(101)와 연통되어 덕트(10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는 세척수가 제 1유출 홀(111)을 통해 덕트(100) 외부로 흐를 수 있다.
도 5 내지 도시된 도 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 1하우징(140)의 제 1영역(141)의 상단부에는 제 1유출 홀(111)이 형성되고 제 2분사 유닛(42)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킹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분사 유닛(42)은 도킹부(146)와 도킹되어 덕트(100)의 세척수가 제 2분사 유닛(4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도크(4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크(42b)는 중간 바스켓(52)이 외부로 인출될 시 제 2분사 유닛(42)과 함께 외부로 인출되어 도킹부(146)와의 도킹이 해제될 수 있으며, 중간 바스켓(52)이 다시 워싱 챔버(C) 내부로 인입될 시 제 2분사 유닛(42)과 함께 내부로 인입되면서 도킹부(146)와 도킹될 수 있다.도킹부(146)는 제 2방향(D2)으로 돌출되는 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관 형상의 단부에는 제 1유출 홀(111)이 마련될 수 있다.
도크(42b)는 제 1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도킹부(146)와 도크(42b)가 도킹될 시 도킹부(146)가 수용되는 수용부(42c)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42c)는 도킹부(146)가 수용될 수 있도록 도킹부(146)의 원주보다 큰 원주를 포함하는 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킹부(146)는 수용부(42c) 내측으로 삽입되어 덕트(100)와 제 2분사 유닛(42)의 내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도킹부(146)의 단부에는 도크(42b)와 결합 시 도크(42b) 내부에 마련되는 체크 밸브(42d)를 개폐하도록 제 2방향(D2)으로 돌출되는 개폐 돌기(146a)가 마련될 수 있다.개폐 돌기(146a)는 도크(42b)가 워싱 챔버(C) 내부로 인입되면서 도킹부(146)와 도킹될 시 도크(42b) 내부에 배치되는 체크 밸브(42d)를 가압하여 제 2분사 유닛(42)과 덕트(100)를 연통시킬 수 있다.
체크 밸브(42d)는 제 2분사 유닛(42)의 내부와 수용부(42c)가 연통되는 것을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체크 밸브(42d)는 제 2분사 유닛(42)이 중간 바스켓(52)과 함께 외부로 인출될 시 제 2분사 유닛(42) 내부에 잔존한 세척수가 수용부(42c)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체크 밸브(42d)는 제 2분사 유닛(42)과 덕트(100)가 도킹될 시에만 개폐 돌기(146a)에 의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킹부(146)의 관 형상의 외주면에는 수용부(42c)와 도킹부(146)가 도킹될 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조립되는 실링 조립부(146b)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 조립부(146b)는 도킹부(146)의 관 형상의 외주면을 따라 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는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링 조립부(146b)에 안착되어 도킹부(146)와 수용부(42c)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제 2하우징(1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부(110), 유입부(120), 및 절곡부(130)에 해당되는 제 1영역(151)과 제 2영역(152) 및 제 3영역(15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하우징(145)은 후크(145)와 결합하기 위한 후크 홈(15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하우징(150)의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하우징(150)의 개방된 일측이 제 1하우징(140)의 개방된 일측과 결합되어 덕트(100)의 덕트 유로(101)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하우징(150)의 제 1영역(151)의 상단부에는 제 3분사 유닛(43)으로 세척수를 유출시키는 제 2유출 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유출 홀(112)은 덕트 유로(101)와 연통되어 덕트(100)를 따라 상측으로 유동되는 세척수가 제 2유출 홀(112)을 통해 덕트(100) 외부로 유동될 수 있다.
제 2유출 홀(112)은 상부 덕트(160)와 결합될 수 있다. 제 2유출 홀(112)에서 유출된 세척수는 상부 덕트(160)를 따라 제 3분사 유닛(43)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덕트(160)는 제 1하우징(140) 또는 제 2하우징(150)과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에서 연장되는 형상으로 후크(145)와 후크 홈(155)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하우징(150)의 제 1영역(151)의 상단부에서 상방으로는 제 2유출 홀(112)이 형성되고 전방으로는 제 2분사 유닛(42)이 도킹부(146)와 도킹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56)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56)는 제 2분사 유닛(42)이 제 2방향(D2)으로 인출되고 이 후 제 2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인입될 시 제 2분사 유닛(42)에 연동되어 덕트(100) 측으로 진행되는 도크(42b)가 정확하게 도킹부(146)와 도킹될 수 있도록 도크(42b)를 가이드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부(156)는 제 2방향(D2)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제 2하우징(150)에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56)는 제 2하우징(150)의 양측면에서부터 제 2방향(D2)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돌기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크(42b)는 가이드부(156)와 대응되도록 도크(42b)의 양측면에 배치되고 한 쌍의 돌기 형상으로 마련되는 가이드부(156)의 돌기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되는 가이드 면(42e)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면(42e)은 각각 도크(42b)의 양측면에서 제 3방향(D3)과 제 3방향(D3)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면(42e)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면과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가이드부(156)가 삽입되면서 도크(42b)가 가이드될 수 있다.
가이드 면(42e)의 상면은 제 2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면은 제 2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면(42e)의 상면과 하면 사이의 거리는 제 2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향할수록 멀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크(42b)가 제 2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시 가이드부(156) 방향으로 가이드 면(42e)가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면(42e)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가이드부(156) 측으로 이동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 사이의 거리는 제 2방향(D2)을 향할수록 좁게 형성되는 바 이동 시에 가이드 면(42e)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어도 가이드부(156)에 의해 안정적으로 제 2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가이드부(15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1하우징(14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킹부(146)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2하우징(15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도킹부(146)와 가이드부(156) 및 도킹부(146)에 형성되는 개폐 돌기(146a)와 실링 조립부(146b)과 같은 구성은 블로어 공법에 의한 시 성형될 수 없는 구성이다. 블로어 공법은 세밀한 성형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사출된 구성이 후크 결합으로 덕트(100)를 형성함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 사출 가능한 바 도킹부(146)와 가이드부(156) 및 도킹부(146)에 형성되는 개폐 돌기(146a)와 실 조립부(146b)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보다 세밀한 구성들도 용이하게 형성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하우징(140)의 제 2영역(14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방향(D2)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하우징(140)의 제 2영역(142)에 있어서 제 2방향(D2)으로 연장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 1방향(D1)에서 제 2방향(D2)으로 곡면(R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40)의 제 2영역(142)의 곡면(R1)에 의해 제 2바디부(120) 내부에서 유동되는 세척수의 유동의 흐름이 개선될 수 있다.
유입 홀(121)에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는 제 1방향(D1)으로 유입되어 제 2바디부(120) 내부에서 제 2방향(D2)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되는데 이 때 곡면(R1)에 의해 세척수의 유동 방향이 부드럽게 가이드되어 제 1하우징(140)의 제 2영역(142)과 세척수와의 충돌에 의한 유속 감소에 의해 발생하는 효율성 저하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하우징(150)의 제 2영역(15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방향(D2)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하우징(150)의 제 2영역(152)에 있어서 제 2방향(D2)으로 연장되는 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 1방향(D1)에서 제 2방향(D2)으로 곡면(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하우징(150)의 제 2영역(152)의 곡면(R2)에 의해 유입부(120) 내부에서 유동되는 세척수의 유동의 흐름이 개선될 수 있다.
유입 홀(121)에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는 제 1방향(D1)으로 유입되어 유입부(120) 내부에서 제 2방향(D2)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되는데 이 때 곡면(R2)에 의해 세척수의 유동 방향이 부드럽게 가이드되어 유입부(120) 내부의 덕트 유로(101) 상의 세척수의 흐름이 좋아질 수 있다.종래와 같이 블로우 공법에 의해 덕트를 형성할 시 제 1하우징(140)의 제 2영역(142)에 형성되는 곡면(R1) 및 제 2하우징(150)의 제 2영역(152)에 형성되는 곡면(R2)과 유사한 구성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시 제 1하우징(140)의 제 2영역(142)에 형성되는 곡면(R1)은 사출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정확하게 세척수와 제 2영역(142)이 충돌이 가장 많은 영역에 곡면(R1)을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하우징(150)의 제 2영역(152)에 형성되는 곡면(R2)은 사출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분석을 통해 제 2바디부(120) 내부의 세척수의 흐름 상 가장 가이드가 용이한 영역에 곡면(R2)을 배치시킬 수 있다.
곡면(R1, R2)에 따라 덕트 유로(101)에서 유동되는 세척수는 압력 손실 없이 제 2바디부(120)에서 제 1바디부(110)로 유동될 수 있다.
제 2바디부(120)는 제 1하우징(140)의 제 2영역(142)과 제 2하우징(150)의 제 2영역(15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2바디부(120)의 유입 도크(122)는 제 2하우징(150)의 제 2영역(15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유입 도크(122)는 터브(12)의 하면(12a)을 관통하여 워싱 챔버(C) 외측으로 연장되도독 배치될 수 있다. 워싱 챔버(C) 외측으로 배치된 유입 도크(122)는 제 2유로(62)와 연결되어 세척수가 덕트(100)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바디부(120)에서 터브(12)의 하면(12a)과 접하는 부분은 환형의 실 부재(180) 배치되어 워싱 챔버(C)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워싱 챔버(C) 외측으로 배치된 유입 도크(122)는 고정 부재(170)와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부재(170)는 관 형상의 유입 도크(122)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유입 도크(122)를 터브(12)의 하측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유입 도크(122)의 외주면에는 결합 부재(170)와 결합되는 회전 돌기(123)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 부재(170)는 유입 도크(122)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을 통해 회전 돌기(123)와 결합 가능하다. 결합 부재(170)는 유입 도크(122)와 결합되는 동시에 터브(12)의 하면(12a)의 하단을 지지함에 따라 덕트(100)가 터브(12)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덕트(100)는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의 후크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덕트 유로(101) 외부로 세척수가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종래의 제조 공법과 같이 블로우 공법이나 열 융착 공법으로 덕트를 제조할 시 덕트 외부로 세척수가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2개의 구성이 후크 결합될 시 2개의 구성 사이로 형성되는 미세한 틈으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덕트(100)는 제 1하우징(140)에 형성되는 제 1실링면(144)와 제 2하우징(150)에 형성되는 제 2실링면(1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54)의 제 2방향(D2)에 대한 단부는 폐 루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 참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54)은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이 결합될 시 덕트 유로(101) 외측에서 서로 접하게 배치되어 덕트 유로(101) 외부로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54)는 각각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에서 덕트 유로(101)를 형성하는 영역보다 외측에 폐 루프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이 결합될 시 덕트 유로(101)에 대해 제 3방향(D3) 및 제 3방향(D3)의 반대 "?향으?* 덕트 유로(101) 외측에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54)이 서로 접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 2하우징(150)은 제 2방향(D2)을 향해 돌출되고 제 2방향(D2)에 대해 폐 루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결합 돌기(15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40)은 제 2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결합 돌기(157)가 삽입되는 결합 홈(147a)을 포함하는 결합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47)는 제 2방향(D2)으로 오목한 결합 홈(147a)을 형성하도록 제 2방향(D2)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월(148)과 제 2월(149)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홈(147a)은 제 1월(148)과 제 2월(149)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월(149)은 제 1월(148)보다 덕트 유로(101)와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하우징(140)과 제 2하우징(150)이 결합될 시 결합 돌기(157)는 결합 홈(147a)에 삽입되어 결합부(147)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돌기(157)와 결합부(147)가 결합될 시 결합 돌기(157)의 내측면은 제 2월(149)의 외측면과 접하고 결합 돌기(157)의 외측면은 제 1월(148)의 내측면과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실링면(144)는 제 2월(149)의 외측면에 배치되도록 마련되고 제 2실링면(154)은 결합 돌기(157)의 내측면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돌기(157)가 결합부(147)와 결합될 시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54)은 서로 접하게 마련되어 덕트 유로(101)를 실링할 수 있다.
제 2월(149)의 외측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실링면(154)으로 형성되고 제 2월(149)의 내측면(149a)는 덕트 유로(101)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월(148)의 내측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돌기(157)와 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월(148)의 외측면 상에는 후크(1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54)은 덕트 유로(101)에 대해 제 3방향(D3)과 제 3방향(D3)의 반대 방향으로 덕트 유로(10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 유로(101) 상에 세척수가 유입될 시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덕트 유로(101)는 덕트 유로(101)의 외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 때, 덕트 유로(101)는 제 3방향(D3)과 제 3방향(D3)의 반대 방향으로도 가압되어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54)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54)이 덕트 유로(101)에 의해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45)이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이 증가하여 덕트 유로(101)에 대한 실링이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100)는 제 1방향(D1)과 제 2방향(D2) 및 제 3방향(D3)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100)의 덕트 유로(101)의 완벽한 실링을 위해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45) 또한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45)은 제 2방향(D2)에 대해 폐 루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바 3Dimension으로 덕트 유로(101)를 실링하기 위해 그 형상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하우징(140)의 제 1영역(141)과 제 3영역(143) 상에 배치되는 제 1실링면(144)의 제 1구간(144a)에서는 제 1실링면(144)이 제 3방향(D3) 및 제 3방향(D3)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 2영역(142) 상에 배치되는 제 1실링면(144)의 제 2구간(144b)에서는 제 1실링면(144)이 제 1방향(D1)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실링면(144)의 제 1구간(144a)과 제 2구간(144b) 사이에서 제 1실링면(144)의 연장 방향이 전환되는 바 제 1실링면(144)은 제 1구간(144a)과 제 2구간(144b) 사이를 연결하는 곡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실링면(144)의 곡면은 유입부(12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하우징(150)의 제 1영역(151)과 제 3영역(153) 상에 배치되는 제 2실링면(154)의 제 1구간(154a)에서는 제 2실링면(154)이 제 3방향(D3) 및 제 3방향(D3)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 2영역(152) 상에 배치되는 제 2실링면(154)의 제 2구간(154b)에서는 제 2실링면(154)이 제 1방향(D1)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실링면(154)의 제 1구간(154a)과 제 2구간(154b) 사이에서 제 2실링면(154)의 연장 방향이 전환되는 바 제 2실링면(154)은 제 1구간(154a)과 제 2구간(154b) 사이를 연결하는 곡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실링면(154)의 곡면은 유입부(12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실링면(154)의 곡면은 제 1실링면(144)의 곡면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54)은 각각 제 1구간(144a,154a)와 제 2구간(144b,154b)를 포함하여 3Dimension으로 덕트 유로(101)를 실링하기 용이하다.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54)의 제 1구간(144a,154a)은 각각 제 3방향(D3)으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54)의 제 2구간(144b,154b)은 각각 제 1방향(D1)으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덕트(100)가 제 2바디부(120)와 제 1바디부(110) 및 절곡부(130) 형상을 포함하여도 제 1실링면(144)과 제 2실링면(145)은 완벽하게 덕트 유로(101)에서 세척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덕트(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덕트(300) 구성 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덕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덕트(300)는 제 1하우징(1340)과 제 2하우징(350)의 후크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덕트(30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으로 상측으로 향하는 제 1방향 (D1)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워싱 챔버(C) 하측에 배치되는 순환 펌프(30)에서 펌핑되는 세척수는 연장부(110)를 통해 상측으로 유동되어 제 2분사유닛(52)으로 유동될 수 있다.
연장부(310)는 연장부(310)를 따라 상측으로 유동되는 세척수가 유출되도록 마련되는 유출홀(311)을 포함할 수 있다. 유출홀(311)을 통해 유출되는 세척수는 제 2분사 유닛(42)로 유동될 수 있다.
제 1하우징(340)은 유출홀(311)이 배치되고 제 2분사유닛(42)과 도킹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킹부(34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분사유닛(42)이 도킹부(346)와 도킹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4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와 달리 제 3분사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300)를 통해 유동되는 세척수는 제 2분사 유닛(42)으로만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하우징(3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하우징(150)과 달리 제 2유출홀(112)을 포함하지 않는다.
제 2하우징(350)의 상단은 덕트(100)의 상단을 실링하도록 폐쇄되는 상부(357)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300)의 유입부(320)는 유입홀을 포함하는 유입 도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도크(322)는 제 2하우징(350)의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입 도크(322)는 제 1하우징(340)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덕트(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덕트(400) 구성 외의 구성은 상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덕트(400)는 제 1하우징과 제 2하우징의 후크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덕트(400)는 식기세척기(1)의 높이방향으로 상측으로 향하는 제 1방향 (D1)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10)와 제 2방향(D2)으로 연장되는 유입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420)는 덕트(400)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공간으로 유입부(420)의 일단은 연장부(410)와 연결되고 일단에서부터 제 2방향(D2)으로 연장되는 유입부(420)의 타단은 섬프(2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부(420)의 타단이 터브(120)의 일측에 배치될 시 세척수가 터브(120)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입부(420)의 타단이 섬프(20) 내측에 마련되어 덕트(400)에서의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식기세척기 10: 본체
11: 도어 12: 터브
20: 섬프 30: 순환 펌프
41: 제 1분사유닛 42: 제 2분사유닛
43: 제 3분사유닛 51: 하부 바스켓
52: 중간 바스켓 53: 상부 바스켓
100: 덕트 101: 덕트 유로
110: 연장부 120: 유입부
130: 절곡부 140: 제 1하우징
144: 제 1실링면 145: 후크
150: 제 2하우징 154: 제 2실링면
155: 후크 홈 160: 상부 덕트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마련되어 식기를 저장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식기를 세척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
    세척수를 상기 분사 유닛에 제공하고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바디부와, 세척수가 유입되고 상기 제 1바디부에서부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바디부를 포함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제 1바디부와 상기 제 2바디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 1하우징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되는 후크와, 상기 제 1바디부와 상기 제 2바디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하우징에 형성된 후크 홈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제 1바디부 및 상기 제 2바디부 내측에 마련되고 제 3방향으로 너비를 가지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유로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3방향으로 연장되는 식기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제 2하우징과 밀착 결합되는 제 1실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제 1실링면과 접하는 제 2실링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실링면과 상기 제 2실링면은 상기 제 1바디부에서 상기 제 2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바디부에서는 상기 제 1방향과 직교되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1실링면과 상기 제 2실링면의 단부는 각각 상기 제 1방향에 대해 폐 루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의 상기 후크와 상기 제 2하우징의 상기 후크 홈은 상기 제 1방향으로 후크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제 1실링면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하우징과 후크 결합되는 식기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홈은 상기 제 2실링면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크와 결합되는 식기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은 세척수를 상기 제 1바디부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바디부에 배치되는 제 1곡면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은 세척수를 상기 제 1바디부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2바디부에 배치되는 제 2곡면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은 세척수가 상기 덕트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분사 유닛에 세척수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유닛은 상기 터브 내부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중간 로터부와 상기 터브 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 로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중간 로터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상측 로터부에 세척수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보조 유출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보조 유출구와 상기 상측 로터부를 연결하는 상부 덕트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중간 로터부와 상기 유출구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제 1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와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 1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바디부는 상기 제 2방향과 직교되는 상기 제 3방향으로 상기 덕트가 절곡되도록 마련되는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마련되어 식기를 저장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의 식기를 세척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 및
    제 1하우징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된 후크와 제 2하우징에 형성된 후크 홈의 결합을 통해 형성되고 세척수를 상기 분사 유닛에 제공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하우징은 세척수를 상기 분사 유닛에 제공하는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덕트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제 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바디부와, 상기 제 1바디부에서부터 제 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바디부와 상기 제 1방향 및 상기 제 2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제 3방향으로 너비를 가지는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제 1바디부와 상기 제 2바디부 및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 및 상기 제 3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제 1바디부와 상기 제 2바디부 및 상기 유로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1방향과 상기 제 2방향 및 상기 제 3방향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유로를 실링하도록 폐 루프 형상으로 돌출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돌기의 내면은 상기 결합부와 접하는 제 1실링면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유로가 실링되도록 상기 제 1실링면과 접하는 제 2실링면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0.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에 세척수를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유출구;
    세척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출구가 배치되고, 각각 직교되는 적어도 3개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일면에서 돌출형성된 후크를 구비하는 제 1하우징;과,
    상기 유입구가 배치되고, 상기 제 1하우징과 결합되고 후크 홈을 구비하는 제 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 1하우징의 상기 후크와 상기 제 2하우징의 상기 후크 홈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덕트.
KR1020180160324A 2018-12-12 2018-12-12 식기세척기 KR102641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324A KR102641369B1 (ko) 2018-12-12 2018-12-12 식기세척기
CN201980082434.1A CN113194805A (zh) 2018-12-12 2019-12-12 洗碗机
PCT/KR2019/017585 WO2020122630A1 (en) 2018-12-12 2019-12-12 Dishwasher
US16/712,099 US11484176B2 (en) 2018-12-12 2019-12-12 Dishwasher
EP19215641.2A EP3666156B1 (en) 2018-12-12 2019-12-12 Dish washer
US17/952,771 US11744435B2 (en) 2018-12-12 2022-09-26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324A KR102641369B1 (ko) 2018-12-12 2018-12-12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298A KR20200072298A (ko) 2020-06-22
KR102641369B1 true KR102641369B1 (ko) 2024-02-28

Family

ID=68887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324A KR102641369B1 (ko) 2018-12-12 2018-12-12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484176B2 (ko)
EP (1) EP3666156B1 (ko)
KR (1) KR102641369B1 (ko)
CN (1) CN113194805A (ko)
WO (1) WO2020122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16967A (zh) * 2021-09-28 2022-01-11 中山大学 一种次表面成像和检测的方法
KR20240002844A (ko) * 2022-06-30 2024-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3095A1 (en) * 2006-07-28 2008-01-31 James Burrows Dishwasher Manifold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2098A (ja) * 1998-03-30 1999-12-14 Toto Ltd 食器洗い機
JP2000033067A (ja) 1998-05-13 2000-02-02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ノズル
JP2002315713A (ja) 2001-04-20 2002-10-29 Hitachi Ltd 配管方法およびその配管方法を用いた食器洗浄機
KR100786069B1 (ko) 2001-11-30 2007-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사장치
ITBO20030607A1 (it) 2003-10-17 2005-04-18 Premark Feg Llc Braccio di lavaggio per una macchina lavastoviglie.
DE202006020709U1 (de) 2006-02-16 2009-10-2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Sprühvorrichtung
KR20080012427A (ko) * 2006-08-03 2008-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분사 장치
US20080142056A1 (en) * 2006-12-15 2008-06-19 John Edward Dries Fluid Coupling Assembly for a Dishwasher
US7753062B2 (en) 2007-05-04 2010-07-1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pray arm for a dishwasher, and associated method
DE102010042576A1 (de) 2010-10-18 2012-04-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zumindest einer Sprüheinrichtung
KR101938710B1 (ko) * 2012-11-12 2019-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EP3040011B1 (en) 2014-12-31 2019-07-24 Whirlpool EMEA S.p.A Household dish-washing machine
KR102640867B1 (ko) 2016-06-08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627717B1 (ko) * 2016-09-01 202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612819B1 (ko) * 2016-12-27 202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3095A1 (en) * 2006-07-28 2008-01-31 James Burrows Dishwasher Manifold Assembly and Associate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44435B2 (en) 2023-09-05
EP3666156A1 (en) 2020-06-17
EP3666156B1 (en) 2021-02-17
WO2020122630A1 (en) 2020-06-18
US20230027235A1 (en) 2023-01-26
US11484176B2 (en) 2022-11-01
KR20200072298A (ko) 2020-06-22
CN113194805A (zh) 2021-07-30
US20200187746A1 (en)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4435B2 (en) Dishwasher
KR102661071B1 (ko)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101054186B1 (ko) 식기 세척기의 랙 구조
US9241607B2 (en) Silverware basket with integral spray jets for a dishwasher
EP2805662B1 (en) Dishwasher having a nozzle assembly
EP3254601B1 (en) Dishwasher
US10939797B2 (en) Dishwasher
EP3040011B1 (en) Household dish-washing machine
CN113677249A (zh) 洗碗机
US9179818B2 (en) Spray arm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EP3040010B1 (en) Household dish-washing machine
KR20230103444A (ko) 식기세척기
KR102671682B1 (ko) 식기세척기
US11737639B2 (en) Dishwasher
CN108024686A (zh) 洗碗机
KR20240002844A (ko) 식기세척기
KR20200083113A (ko) 식기세척기
KR102641377B1 (ko) 식기세척기
US11751749B2 (en) Dishwasher and silverware basket thereof
WO2019086108A1 (en) Dishwasher spray arm assembly
KR20240002845A (ko) 식기세척기
KR20240002847A (ko) 식기 세척기
EP3040012B1 (en) Dishwashing machine
KR20180121816A (ko)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