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816A -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816A
KR20180121816A KR1020170055894A KR20170055894A KR20180121816A KR 20180121816 A KR20180121816 A KR 20180121816A KR 1020170055894 A KR1020170055894 A KR 1020170055894A KR 20170055894 A KR20170055894 A KR 20170055894A KR 20180121816 A KR20180121816 A KR 20180121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dapter
nozzle
rinsing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난희
Original Assignee
이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난희 filed Critical 이난희
Priority to KR102017005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1816A/ko
Publication of KR20180121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8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2Water discharge, e.g. opening or closure of discharge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3Water recirculation, e.g. control of distributing valves for redirection of water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과 급수배관을 연결하는 노즐어댑터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이를 체결방식으로 결합하여 조립공수 및 조립시간을 단축하면서, 식기 세척 작업에 필요한 세척수와 헹굼수가 노즐어댑터를 통해 노즐에 신속히 공급되어 세척 및 헹굼 작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식기세척기의 세척실(S) 내부에는 세척수노즐(N1)을 포함한 헹굼수노즐(N2)이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면서 상,하부 노즐어댑터(30,40)에 각각 조립되며, 세척수펌프(P1)와 헹굼수펌프(P2)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상,하부 노즐어댑터(30,40)에 세척수와 헹굼수를 공급하는 급수배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부 노즐어댑터(40)는, 제2세척수유입구(46)와 제2세척수배출구(47)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하부 세척수 및 헹굼수노즐과 상기 제2세척수배출구(47)를 통해 조립되며, 제1헹굼수유입구(42)와 제1헹굼수배출구(43)의 연결통로에 하부 헹굼수노즐(N2)로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분기구(44)가 형성되고, 상기 제1헹굼수배출구(43) 이전 연결통로에 상기 제1헹굼수유입구(42)의 내경지름 보다 더 작은 내경지름을 갖는 헹굼수오리피스부(45)를 형성하여, 상기 헹굼수분기구(44)를 거쳐 유량이 감소된 헹굼수가 헹굼수오리피스부(45)를 통과하면서 이동속도가 증가된 헹굼수를 상부 노즐어댑터(30)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다.
또, 세척수펌프(P1)와 상,하부 노즐어댑터(30,40)를 연결하는 배관 에는, 세척수를 상,하부로 분배하는 분기어댑터(50)가 더 장착되는데, 상기 분기어댑터(50)는 제1세척수유입구(52)와 제1세척수배출구(53)의 연결통로에 하부 세척수노즐(N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분기구(54)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분기구(54)와 제1세척수배출구(53) 사이의 연결통로에 상기 세척수분기구(54)의 내경지름 보다 더 작은 내경지름을 갖는 세척수오리피스부(55)를 형성하여, 상기 세척수분기구(54)에서 분배되어 유량이 감소된 세척수가 세척수오리피스부(55)를 통과하면서 이동속도가 증가된 세척수를 상부 노즐어댑터(30)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Water supply piping assembly for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과 급수배관을 연결하는 노즐어댑터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이를 체결방식으로 결합하여 조립공수 및 조립시간을 단축하면서, 식기 세척 작업에 필요한 세척수와 헹굼수가 노즐어댑터를 통해 노즐에 신속히 공급되어 세척 및 헹굼 작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각종 그릇을 자동적으로 닦아주는 기기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케이싱(1)의 상측부에 소정용적의 세척실(11)이 형성되고, 상기 세척실(11)의 전방부에는 여닫이도어(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척실(11)의 저부에는 세척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찌꺼기를 걸러주는 필터(2)와 일정깊이를 갖는 세척수환수통(3) 및 상기 세척수환수통(3) 내의 물을 세척수노즐(4)로 송수시켜 주는 세척수펌프(5)와 직수를 헹굼수노즐(6)로 송수시켜 주는 헹굼수펌프(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척실(11) 내의 중간부에는 각종 식기가 담겨지는 선반(8)이 설치되어 있고, 세척실(1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세척수 및 헹굼수를 상기 식기가 담겨져 있는 선반(8)에 분사시켜 주도록 세척수노즐(4) 및 헹굼수노즐(6)이 각각 한 쌍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세척수노즐(4)과 헹굼수노즐(6)은 세척작업시 급수기능을 하면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급수구(9)와 세척노즐가이드(10)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식기세척기는, 사용자가 여닫이도어(12)를 열고 선반(8) 위에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들을 올려놓고 다시 여닫이도어(12)를 닫은 다음, 식기세척기의 전원스위치를 켜면 세척수펌프(5)가 소정시간 동안 구동하게 되므로, 세척수 환수통(3)내의 물이 상기 세척수펌프(5)에 의해 강제적으로 송수되어 강력한 수압을 작용하게 되며, 세척수노즐(4)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된 분사공을 통하여 분사되는 물의 수압에 따른 반작용으로 세척수노즐(4)은 회전력이 발생되어 스스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골고루 분사하게 되어 선반(8)에 장착된 식기들은 세척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세척작업이 완료된 다음에는 세척수펌프(5)의 구동은 차단되고, 헹굼수펌프(7)가 일정시간 동안 구동하여, 직수가 상기 헹굼수펌프(7)에 의해 강제적으로 송수되어 헹굼수노즐(6)에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된 분사공을 통하여 분사되는 물의 수압에 따른 반작용으로 헹굼수노즐(6)은 회전력이 발생되어 스스로 회전하면서 헹굼수를 골고루 분사하여 선반(8)에 장착된 식기들은 세척 후 헹굼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식기세척기의 세척수노즐(4)과 헹굼수노즐(6)은, 급수배관에 급수구(9)와 세척노즐가이드(10)를 이용해 조립되면서, 세척실(11) 내에 노즐이 위치하게 설치하였지만, 상기 급수구(9)와 세척노즐가이드(10)의 결합면과 세척실 벽면과의 기밀유지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 상기 세척수노즐(4)과 헹굼수노즐(6)은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장착되는데, 상기 각각의 노즐에 세척수와 헹굼수를 공급하는 펌프는 하단에 위치하고 있어, 상기 세척수와 헹굼수의 공급 시 세척실 하단에 위치한 노즐과 상부에 위치한 노즐에 공급되는 세척수와 헹굼수의 유속이 서로 다르게 되어, 식기 세척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펌프에서 공급된 세척수와 헹굼수를 상부와 하부 노즐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어 금형제작의 어려움과 제품 생산 시 불량 발생률이 증가하는 등의 폐단과 함께 공급파이프의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실1990-0007533호 식기세척기 노즐의 누수방지 및 유로 안내장치(공고일자 1990년 08월 20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세척수노즐이 포함된 헹굼수노즐과 체결조립되면서 세척실 외벽면에 기밀되게 결합하는 상,하부 노즐어댑터를 이용하여, 세척수와 헹굼수의 급수배관을 단순화하여, 설치작업 및 교체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수를 상부와 하부의 노즐어댑터로 분배 공급하는 분기어댑터는 세척수공급관의 형상을 변경해 상부 노즐어댑터로 세척수의 공급이 증대되도록 구성하면서, 헹금수연결관이 분리가능하게 구성시켜 금형제작 및 성형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세척실(S) 내부에는 세척수노즐(N1)을 포함한 헹굼수노즐(N2)이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면서 상,하부 노즐어댑터(30,40)에 각각 조립되며, 세척수펌프(P1)와 헹굼수펌프(P2)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상,하부 노즐어댑터(30,40)에 세척수와 헹굼수를 공급하는 급수배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부 노즐어댑터(40)는, 제2세척수유입구(46)와 제2세척수배출구(47)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하부 세척수 및 헹굼수노즐과 상기 제2세척수배출구(47)를 통해 조립되며, 제1헹굼수유입구(42)와 제1헹굼수배출구(43)의 연결통로에 하부 헹굼수노즐(N2)로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분기구(44)가 형성되고, 상기 제1헹굼수배출구(43) 이전 연결통로에 상기 제1헹굼수유입구(42)의 내경지름 보다 더 작은 내경지름을 갖는 헹굼수오리피스부(45)를 형성하여, 상기 헹굼수분기구(44)를 거쳐 유량이 감소된 헹굼수가 헹굼수오리피스부(45)를 통과하면서 이동속도가 증가된 헹굼수를 상부 노즐어댑터(30)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다.
또, 세척수펌프(P1)와 상,하부 노즐어댑터(30,40)를 연결하는 배관 에는, 세척수를 상,하부로 분배하는 분기어댑터(50)가 더 장착되는데, 상기 분기어댑터(50)는 제1세척수유입구(52)와 제1세척수배출구(53)의 연결통로에 하부 세척수노즐(N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분기구(54)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분기구(54)와 제1세척수배출구(53) 사이의 연결통로에 상기 세척수분기구(54)의 내경지름 보다 더 작은 내경지름을 갖는 세척수오리피스부(55)를 형성하여, 상기 세척수분기구(54)에서 분배되어 유량이 감소된 세척수가 세척수오리피스부(55)를 통과하면서 이동속도가 증가된 세척수를 상부 노즐어댑터(30)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수펌프와 헹굼수펌프의 동작으로 공급되는 세척수와 헹굼수의 이동속도를 보다 증대시킴으로서, 식기세척기를 통한 식기의 세척 및 헹굼 작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세척수와 헹굼수를 공급 및 분해하는 어댑터를 세척실 하우징벽면에 기밀되게 장착하여 누수를 방지함과 더불어 어댑터의 설치 및 교체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분기어댑터의 구성을 일체 또는 분리형을 구성하고, 상기 분리형 구성에서도 세척실 하우징 벽면에 장착되면서 기밀부재가 분리형 헹굼관어댑터를 고정하여 조립 및 교체작업의 편의성 및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종래 식기 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2는 종래 세척수 및 헹굼수노즐이 결합된 상부 노즐어댑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의 평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하부 노즐어댑터의 사시도와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인 분기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단면도.
본 발명인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는, 노즐과 급수배관을 연결하는 노즐어댑터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이를 체결방식으로 결합하여 조립공수 및 조립시간을 단축하면서, 식기 세척 작업에 필요한 세척수와 헹굼수가 노즐어댑터를 통해 노즐에 신속히 공급되어 세척 및 헹굼 작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의 구성과 조립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식기세척기는 세척실(S) 내부에 식기를 적재한 랙(미도시)을 설치하고, 상기 세척실(S) 내부의 상,하부에 세척수노즐(N1)을 포함한 헹굼수노즐(N2)이 설치되어 분사되는 세척수와 헹굼수의 반발력에 노즐이 회전하며 적재된 식기를 세척하는 것으로, 상기 세척수노즐(N1)과 헹굼수노즐(N2)이 각각 조립되는 상부 노즐어댑터(30)와 하부 노즐어댑터(40)가 세척실(S)에 외벽에 고정 장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상,하부 노즐어댑터(30,40)에 세척수펌프(P1)와 헹굼수펌프(P2)를 통해 세척수와 헹굼수를 공급하는 급수배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부 노즐어댑터(30,40)에 세척수와 헹금수의 공급 유량 및 속도를 증대시켜 식기세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하부 세척수노즐(N1)과 헹굼수노즐(N2)에 결합하는 하부 노즐어댑터(40)는, 제2세척수유입구(46)와 제2세척수배출구(47)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하부 세척수 및 헹굼수노즐이 상기 제2세척수배출구(47)를 통해 조립되게 한다.
상기 하부 노즐어댑터(40)를 도 6 및 도 7을 참고해 설명하면, 제2세척수유입구(46)와 제2세척수배출구(47)는 "ㄴ"형상의 연통된 연결통로를 갖고, 제2세척수배출구(47) 방향에 세척실(S) 저면에 밀착되며 체결 고정되도록 기밀부재(77)가 포함된 노즐어댑터받침판(41)이 구비되는데, 상기 노즐어댑터받침판(41)의 상부는 개구되어 기밀부재(77)가 제2세척수배출구(47)의 외경을 감싸며 상기 개구된 공간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세척실(S) 저면과의 체결 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하부 노즐어댑터(40)의 하부에는 헹굼수펌프(P2)와 연결되어 헹굼수를 공급받는 제1헹굼수유입구(42)와, 상부 노즐어댑터(30)로 토출하는 제1헹굼수배출구(43) 및 상기 제1헹굼수유입구와 제1헹굼수배출구 사이의 연결통로에 하부 헹굼수노즐(N2)로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분기구(44)가 일체 형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하부 노즐어댑터(40)는 상기 헹굼수분기구(44)와 제1헹굼수배출구(43) 사이의 연결통로에 상기 제1헹굼수유입구(42)의 내경지름 보다 더 작은 내경지름을 갖는 헹굼수오리피스부(45)를 형성하여, 상기 헹굼수분기구(44)에서 분배되어 최초 공급된 헹굼수 보다 유량이 감소된 헹굼수가 상기 헹굼수오리피스부(45)를 통과하면서 이동속도가 증가된 상태로 상부 노즐어댑터(30)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하부 노즐어댑터(40)의 헹굼수분기구(44)의 일단은 제2세척수배출구(47)의 내부에서 제2세척수유입구(46) 보다 높게 형성되어, 세척수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하고, 상기 헹굼수분기구(44)의 단부에 금속재질의 암나사부재(75)가 포함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성형시켜, 양단에 나사산을 형성한 연결바(70)를 통해 헹굼수노즐(N2)의 하부와 상기 과 헹굼수분기구(44)를 상호 체결 조립한다.
이때, 상기 연결바(70)에는 하부 세척수노즐(N1)이 제2세척수배출구(47)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우선 조립되면서, 상기 하부 헹굼수노즐(N2)의 체결조립으로 연결바(70)를 축으로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하부 노즐어댑터(40)의 헹굼수분기구(44)에 암나사부재(75)를 인서트 사출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상부 노즐어댑터(30)와 상부 헹굼수노즐(N2)의 결합구성도 연결바(70)를 통해 동일하게 체결되는 방식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또, 상기 헹굼수분기구(44)는 제1헹굼수유입구(42)의 내경지름 보다 더 작은 내경지름을 갖는 분기구오리피스홀(44a)을 더 형성해 상기 연결바(70)를 통해 하부 헹굼수노즐(N2)에 이동속도가 증가된 헹굼수를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노즐어댑터(40)의 제2세척수유입구(46)와, 상부 노즐어댑터(30)의 세척수유입구(미부호)에 관 연결되어, 세척수펌프(P1)를 통해 공급된 세척수를 분배하는 분기어댑터(50)가 세척실(S)의 저면에 더 체결 장착된다.
상기 분기어댑터(50)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해 설명하면, 세척수펌프(P1)와 관 연결되는 제1세척수유입구(52)와 제1세척수배출구(53)의 연결통로에 하부 세척수노즐(N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분기구(54)가 "ㅓ"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세척수배출구의 외측에 상부가 개구되어 기밀수용공간이 형성된 분기어댑터받침판(51)이 일체 형성되어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분기어댑터받침판(51)의 개구된 상부에 기밀부재(77)가 제1세척수배출구(53)의 외경을 감싸며 상기 개구된 공간에 삽입하고, 상기 세척실(S) 저면에 받침판을 체결시키면 기밀이 유지되면서 분기어댑터(50)가 고정된다.
또, 상기 분기어댑터(50)는 도면 상 세척수분기구(54) 상부에서 제1세척수배출구(53) 사이의 연결통로에 상기 제1세척수유입구(52)의 내경지름 보다 더 작은 내경지름을 갖는 세척수오리피스부(55)를 형성하여, 상기 세척수분기구(54)에서 분배되어 유량이 감소된 세척수가 세척수오리피스부(55)를 통과하면서 이동속도가 증가된 세척수를 상부 노즐어댑터(30)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부 노즐어댑터(40)의 제2세척수유입구(46)와 분기어댑터(50)의 세척수분기구(54)는 세척수공급관(73)을 통해 연결해 세척수를 하부 노즐어댑터(40)에 공급하는데, 상기 세척수분기구(54)의 내경에 세척수공급관(73)을 체결시켜 세척수분기구(54)의 내경지름보다 작은 이동로를 갖게 함으로써, 세척수분기구(54)에서 하부 노즐어댑터(40) 방향으로 분배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공급관(73)을 통해 이동속도가 증가되어 하부 노즐어댑터(40)에 공급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기어댑터(50)의 실시 예로, 상부가 개구되어 기밀수용공간이 형성된 분기어댑터받침판(51)의 일측에 조립홀(51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조립홀(51a)에는 헹굼수펌프(P2)와 연결된 배관 또는 하부 노즐어댑터(40)의 제1헹굼수배출구(43)와 상부 노즐어댑터(30)의 제3헹굼수유입구(32)를 연결하는 배관이 상호 연결되는 헹굼관어댑터(60)가 조립된다.
상기 헹굼관어댑터(60)는 분기어댑터받침판(51)의 조립홀(51a)의 상부에서 삽입되는 제2헹굼수유입구(56)와 분기어댑터받침판(51) 상부에 걸려지는 걸림판(61) 및 상부 노즐어댑터(30)와 연결하는 제2헹굼수배출구(57)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헹굼관어댑터(60)를 분기어댑터받침판(51)의 조립홀(51a)에 삽입하고, 헹굼관어댑터(60) 상부의 기밀수용공간에 기밀부재(77)를 적층시키면, 상기 기밀부재(77)가 제1세척수배출구(53)와 제2헹굼수배출구(57)의 외경을 감싸 헹굼관어댑터(60)를 고정하면서 상기 세척실(S) 저면에 기밀이 유지되면서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기어댑터(50)에서 헹굼관어댑터(60)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조립 시에는 기밀부재(77)를 이용해 상호 고정 및 누수를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분기어댑터(50)의 제작이 용이하고, 헹굼관어댑터(60)의 파손 등에도 간편하게 교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용 예로 대용량의 세척수펌프(P1)와 헹굼수펌프(P2)를 통해 복수개의 식기세척기에 각각 세척수와 헹굼수가 공급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상기 펌프와 연결된 급수배관에 "ㅗ" 형상의 밸브가 설치되어 각각의 하부노즐어댑터(40) 및 분기어댑터(50)와 세척수와 헹굼수가 연결 및 공급되도록 하여 복수개의 식기세척기를 이용해 대량의 식기를 신속하게 세척할 수 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30. 상부 노즐어댑터
40. 하부 노즐어댑터 41. 노즐어댑터받침판
42. 제1헹굼수유입구 43. 제1헹굼수배출구
44. 헹굼수분기구 45. 헹굼수오리피스부
46. 제2세척수유입구 47. 제2세척수배출구
50. 분기어댑터 51. 분기어댑터받침판
52. 제1세척수유입구 53. 제1세척수배출구
54. 세척수분기구 55. 세척수오리피스부
56. 제2헹굼수유입구 56. 제2헹굼수배출구
60. 헹굼관어댑터 61. 걸림판
70. 연결바 77. 기밀부재

Claims (7)

  1. 식기세척기의 세척실(S) 내부에는 세척수노즐(N1)을 포함한 헹굼수노즐(N2)이 상,하부에 각각 위치하면서 상,하부 노즐어댑터(30,40)에 각각 조립되며, 세척수펌프(P1)와 헹굼수펌프(P2)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상,하부 노즐어댑터(30,40)에 세척수와 헹굼수를 공급하는 급수배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하부 노즐어댑터(40)는, 제2세척수유입구(46)와 제2세척수배출구(47)가 연통되게 형성되어, 하부 세척수 및 헹금수노즐과 상기 제2세척수배출구(47)를 통해 조립되며, 제1헹굼수유입구(42)와 제1헹굼수배출구(43)의 연결통로에 하부 헹굼수노즐(N2)로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분기구(44)가 형성되고, 상기 헹굼수분기구(44)와 제1헹굼수배출구(43) 사이의 연결통로에 상기 제1헹굼수유입구(42)의 내경지름 보다 더 작은 내경지름을 갖는 헹굼수오리피스부(45)를 형성하여, 상기 헹굼수분기구(44)를 거쳐 유량이 감소된 헹굼수가 헹굼수오리피스부(45)를 통과하면서 이동속도가 증가된 헹굼수를 상부 노즐어댑터(30)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세척수펌프(P1)와 상,하부 노즐어댑터(30,40)를 연결하는 배관 에는, 세척수를 상,하부로 분배하는 분기어댑터(50)가 더 장착되는데, 상기 분기어댑터(50)는 제1세척수유입구(52)와 제1세척수배출구(53)의 연결통로에 하부 세척수노즐(N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분기구(54)가 형성되고, 상기 제1세척수배출구(53) 이전 연결통로에 상기 세척수분기구(54)의 내경지름 보다 더 작은 내경지름을 갖는 세척수오리피스부(55)를 형성하여, 상기 세척수분기구(54)에서 분배되어 유량이 감소된 세척수가 세척수오리피스부(55)를 통과하면서 이동속도가 증가된 세척수를 상부 노즐어댑터(30)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부 노즐어댑터(40)의 제2세척수유입구(46)와 분기어댑터(50)의 세척수분기구(54)를 연결하는 세척수공급관(73)은, 상기 세척수분기구(54)의 내경에 체결시켜, 세척수분기구(54)에서 하부 노즐어댑터(40) 방향으로 분배된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공급관(73)을 통해 이동속도가 증가되어 하부 노즐어댑터(40)에 공급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분기어댑터(50)는 상부가 개구되어 기밀수용공간이 형성된 분기어댑터받침판(51)과, 상기 분기어댑터받침판(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세척수펌프(P1)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는 제1세척수유입구(52)와, 상기 분기어댑터받침판(51)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공급된 세척수를 상,하부 노즐어댑터(30,40)에 공급하는 제1세척수배출구(53)와 세척수분기구(54)와, 상기 분기어댑터받침판(51)의 일측에 관통 성형된 조립홀(51a)이 일체 형성되고, 상기 조립홀(51a)에는 헹굼수펌프(P2)와 연결된 배관과 상부 노즐어댑터(30)의 제3헹굼수유입구(32)를 연결하는 배관을 상호 연결하는 헹굼관어댑터(60)의 걸림판(61)이 기밀수용공간에서 조립홀(51a)에 걸려지게 조립하고, 상기 기밀수용공간에서 상부 노즐어댑터(30)와 연결되는 토출구를 감싸는 기밀부재(77)가 적층 삽입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5. 청구항 2에 있어서, 분기어댑터(50)는 상부가 개구되어 기밀수용공간이 형성된 분기어댑터받침판(51)과, 상기 분기어댑터받침판(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세척수펌프(P1)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는 제1세척수유입구(52)와, 상기 분기어댑터받침판(51)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공급된 세척수를 상,하부 노즐어댑터(30,40)에 공급하는 제1세척수배출구(53) 및 세척수분기구(54)와, 상기 분기어댑터받침판(51)의 일측에서 상기 하부 노즐어댑터(40)의 제1헹굼수배출구(43)와 상부 노즐어댑터(30)의 헹굼수유입구를 연결하는 제2헹굼수유입구(56)와 제2헹굼수배출구(57)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분기어댑터(50)의 분기어댑터받침판(51)에는 조립홀(51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조립홀(51a) 상부에 제2헹굼수유입구(56)와 걸림판(61) 및 제2헹굼수배출구(57)가 연속 형성된 헹굼관어댑터(60)를 삽입해 상기 걸림판(61)이 분기어댑터받침판(51)에 걸려져 조립되고, 상기 헹굼관어댑터(60) 상부의 기밀수용공간에 기밀부재(77)를 적층시켜, 상기 기밀부재(77)가 제1세척수배출구(53)와 제2헹굼수배출구(57)의 외경을 감싸면서 헹굼관어댑터(60)를 고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 노즐어댑터(40)의 헹굼수분기구(44)와 상부 노즐어댑터(30)의 제3헹굼수배출구(미부호)의 일단에는 암나사부재(75)가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세척수노즐(N1)을 포함하는 헹굼수노즐(N2)과 연결바(70)로 상호 체결 조립하여 세척수와 헹굼수의 혼합을 방지하면서 헹굼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KR1020170055894A 2017-05-01 2017-05-01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KR20180121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894A KR20180121816A (ko) 2017-05-01 2017-05-01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894A KR20180121816A (ko) 2017-05-01 2017-05-01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816A true KR20180121816A (ko) 2018-11-09

Family

ID=64426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894A KR20180121816A (ko) 2017-05-01 2017-05-01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18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3639B2 (en) Washing arm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US20080163904A1 (en)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KR101964646B1 (ko) 식기세척기
AU2017307893B2 (en) Dish washer
KR102334614B1 (ko) 식기세척기
KR100457574B1 (ko) 식기세척기의 분사노즐
KR101998571B1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
US20140224286A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744435B2 (en) Dishwasher
KR101980706B1 (ko) 식기세척기
AU2017307903B2 (en) Dish washer
KR20180121816A (ko) 식기세척기용 급수배관 어셈블리
KR20040095833A (ko) 업소용 식기세척방법 및 그 장치
AU2017307902B2 (en) Dish washer
KR102595650B1 (ko) 워터재킷 및 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58074B1 (ko) 식기세척기
KR101634173B1 (ko) 식기세척기
CN213696789U (zh) 洗臂和洗碗装置
KR100662156B1 (ko) 식기 세척기의 워터 가이드 결합 구조
CN211408944U (zh) 一种用于洗碗机的喷淋臂和洗碗机
KR100269386B1 (ko) 식기세척기의 사이펀(siphon) 방지장치
CN216602801U (zh) 液体投放装置和洗涤设备
KR102105963B1 (ko) 식기세척기
KR20190075618A (ko) 식기세척기
CN217852825U (zh) 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