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819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819B1
KR102612819B1 KR1020160180227A KR20160180227A KR102612819B1 KR 102612819 B1 KR102612819 B1 KR 102612819B1 KR 1020160180227 A KR1020160180227 A KR 1020160180227A KR 20160180227 A KR20160180227 A KR 20160180227A KR 102612819 B1 KR102612819 B1 KR 102612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shing water
tub
jet generato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103A (ko
Inventor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2819B1/ko
Priority to EP17888636.2A priority patent/EP3563751B1/en
Priority to AU2017384861A priority patent/AU2017384861B2/en
Priority to US16/474,413 priority patent/US11076741B2/en
Priority to PCT/KR2017/015521 priority patent/WO2018124717A1/ko
Publication of KR20180076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103A/ko
Priority to US17/379,226 priority patent/US1186470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introduc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into the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02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 A47L15/0015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other treatment phases, e.g. steam or sterilizing pha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0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application of a pressure effect produced by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 B01F23/21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 B01F23/21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using rotating elements, e.g. rolls or brushes
    • B01F23/2131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liquids into gaseous media by spraying or atomising of the liquids using rotating elements, e.g. rolls or brushes for spraying the liquid radially by centrifugal for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3Pressurised, gaseous medium, also used for delivering of clean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서 식기를 수용하는 랙; 상기 랙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노즐로 압송시키기는 펌프; 상기 섬프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이 형성하는 공급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관을 유동하는 세척수에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분쇄하여 에어버블을 형성하는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공급유로 상에서 에어버블을 형성하여 분사노즐로 분사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와, 터브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섬프 내부에 장착된 세척 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해, 세척수가 분사 노즐로 이동되고, 상기 분사노즐로 이동된 세척수는 분사 노즐 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 표면에 부딪혀서,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오물이 터브 바닥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섬프 및 터브 사이에는 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킨다.
식시세척기는 식기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세척수를 세척기 암의 노즐을 통하여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계력과 세제와 오염의 화학적 반응을 이용한 세제의 오염 제거력을 이용한다.
공개특허 10-2013-0071355는 별도의 전기분해부를 두어 전기분해과정에서 기체의 미세한 버블을 발생시켜 세척력을 높이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별도의 전기분해장치를 두어야 하는 문제점과 펌프와 별개로 전기분해장치 작동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3-007135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에어버블을 포함하는 세척수가 분사노즐로 분사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섬프에서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에어버블을 발생시키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서 식기를 수용하는 랙; 상기 랙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노즐로 압송시키기는 펌프; 상기 섬프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이 형성하는 공급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관을 유동하는 세척수에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분쇄하여 에어버블을 형성하는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여, 분사노즐로 공급되는 세척수에 에어버블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에어젯 제너레이터는, 유동하는 세척수에 원심력을 가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세척수의 압력을 낮추는 감압부; 상기 감압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개구된 공기흡입부; 상기 공기흡입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분쇄하도록 압력을 증가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를 통과한 세척수에 포함된 공기를 분쇄하도록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에어탭을 포함하여, 펌프로 공급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세척수에 음압으로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분쇄하여 미세한 크기의 에어버블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공급관은 상기 에어젯 제너레이터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유로 단면이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유로 단면과 같은 형태로 변형되는 변형연결부를 포함하고, 변형연결부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 베인이 설치하여, 세척수가 유동하는 관의 형태가 변형되어도 세척수의 유동을 균일하게 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분사노즐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에어버블을 포함하고 있어, 식기세척기의 세척력이 상승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에어버블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 등을 요하지 않고 기존의 구성인 공급유로 상에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설치만으로 에어버블을 형성하여 재료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공급유로 상의 유로단면이 변형되어도 가이드 베인 등의 구성을 통해 세척수 유동을 균일하게 하여 안정적으로 에어버블을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가 설치된 공급관 및 공급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와 공급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베인이 배치된 변형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공급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식기세척기(10)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가 설치된 공급관 및 공급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20), 캐비닛(20)에 결합되어 캐비닛(20) 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22), 캐비닛(20) 내부에 설치되고, 세척수 또는 스팀이 가해지는 터브(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상기 터브(24) 내부에서 식기를 수용하는 랙(30), 상기 랙(30)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40), 상기 분사노즐(4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26), 상기 섬프(26)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노즐(40)로 압송시키기는 펌프(28), 상기 펌프(28)와 상기 분사노즐(40)을 연결하는 공급관(50) 및 상기 공급관(50)이 형성하는 공급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관(50)을 유동하는 세척수에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분쇄하여 에어버블을 형성하는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섬프(26) 또는 분사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모듈(60), 섬프(26)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모듈(62), 섬프(26)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여과시키는 필터어셈블리(70) 및 섬프(26)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가열시키는 히터모듈(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브(24) 내부에는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이 수용되는 랙(3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식기세척기(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랙(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랙(30)은 터브(24) 내부에서 하부에 배치된 하부랙(32)과 하부랙(32)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랙(3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터브(24)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랙(32)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하부노즐(42), 상부랙(34)에 수납된 세척대상을 세척하는 상부노즐(44), 상기 터브(24)의 최상부에 위치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노즐(4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관(50)은 섬프(26)와 분사노즐(40)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공급관(50)이 형성하는 공급유로 상에 에어젯 제너레이터(10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관(50)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40)에 에어버블을 포함하는 세척수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관(50)는 펌프(28)와 분배노즐(48)을 연결하는 제1관(52)와, 분배노즐(48)과 탑노즐(46) 또는 상부노즐(44)을 연결하는 제2관(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노즐(44)은 제2유로 연결관(59)을 통해 제2관(54)에 연결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관(50)은 분배노즐(48)과 하부노즐(42)을 연결하는 제3관(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하부노즐(42)은 분배노즐(48)과 연통되도록 설치하여 제3관(58)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펌프(28)를 통해 섬프(26)에서 배출된 세척수는 제1관(52)을 통해 분배노즐(48)로 공급되고, 분배노즐(48)로 공급된 세척수 중 일부는 하부노즐(42)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제2관(5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제2관(54)이 형성하는 공급유로 상에 에어젯 제너레이터(100)가 배치된다.
제2관(54)은 터브(24) 내부에서 가능한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납작한 형태의 단면적을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관(54)은 납작한 직사각형에 가까운 단면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관(54)은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와 연결되는 변형연결부(55)를 포함한다. 변형연결부(55)는 유로 단면이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의 유로 단면과 같은 형태로 변형된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의 상류측에서의 변형연결부(55a)의 유로 단면은 직사각형에서 원형으로 변형된다. 또한,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로부터 세축수가 배출되는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의 하류측에서의 변형연결부(55b)의 유로단면은 원형에서 직사각형으로 변형된다.
제2관(54)을 유동하는 세척수 중 일부는 제2유로 연결관(59)을 통해 상부노즐(44)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탑 노즐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부노즐(44) 또는 탑 노즐로 분사되는 세척수에는 에어버블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노즐(44)은 상부랙(3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노즐(44)은 상부랙(34)의 하측에 위치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상부노즐(44)이 상부랙(34)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노즐(44)은 세척수의 분사 시 세척수의 반발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유로 연결관(5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탑노즐(46)은 상부암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탑노즐(46)은 터브(24)의 상측에 배치된다. 탑노즐(46)은 제2관(54)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 상부랙(34)과 하부랙(32)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노즐(40)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26)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분사시키도록 구성되나, 본 실시예와 달리 급수모듈(60)을 통해 직접 물을 공급받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급수모듈(60)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섬프(26)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어셈블리(70)를 거쳐 섬프(26)에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배수모듈(62)은 섬프(26)에 저장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유로(64) 및 배수펌프(66)로 구성된다.
필터어셈블리(70)는 세척수 중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서, 터브(24)에서 섬프(26)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 섬프(26)에는 필터어셈블리(70)가 설치되는 필터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고, 필터장착부와 섬프(26) 내부를 연결시키는 필터유로가 배치될 수 있다.
섬프(26)는 내부에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26)저장부가 형성되고,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모듈로 압송시키기 위한 펌프(28)를 더 포함한다.
펌프(28)는 섬프(26) 내부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모듈로 압송한다. 펌프(28)는 펌프(28)유로를 통해 분사모듈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공급관(50)이 형성하는 공급유로 상을 유동하는 세척수에 에어버블을 발생시킨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공급관(50)을 유동하는 세척수에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분쇄하여 미세한 에어버블을 발생시킨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제2관(54)이 형성하는 공급유로 상에 배치된다. 펌프(28)가 작동하면,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에 의해, 에어버블이 발생된 세척수가 분사모듈을 통해 식기로 분사된다.
섬프(26)는 히터모듈(72)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터브(24) 내부로 분출시키는 스팀유로 및 스팀노즐과 연결되고, 스팀유로에는 스팀을 단속시키는 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밸브를 통해 터브(24)로 분사되는 스팀을 단속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팀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섬프(26) 내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노즐이 아닌 필터유로 및 필터장착부를 통해서 터브(24) 내부로 공급될 수도 있다. 섬프(26)는 스팀유로 및 필터유로를 통해 터브(24)와 양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유동하는 세척수에 원심력을 가하는 임펠러(170), 상기 임펠러(170)를 통과한 세척수의 압력을 낮추는 감압부(120), 상기 감압부(120)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부(140), 상기 공기흡입부(14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분쇄하도록 압력을 증가시키는 가압부(130) 및 상기 가압부(130)를 통과한 세척수에 포함된 공기를 분쇄하도록 복수개의 홀(182)이 형성된 에어탭(180)을 포함한다.
감압부(120)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으로 유로의 단면적이 줄어들고, 가압부(130)는 유로 길이당 유로 단면이 증가하는 비율이 상기 감압부(120)의 유로 길이당 유로 단면이 줄어드는 비율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공기흡입부(140)는 감압부(120)의 유로면적이 줄어든 부분에서 배치된다.
상기 감압부(120) 및 상기 가압부(130)는 하나의 공기분쇄관(110)을 형성한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섬프(26)와 분사노즐(40)을 연결하는 공급관(50)이 형성하는 공급유로 상에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임펠러(170)는 이하에서 설명할 공기분쇄관(110)의 임펠러 장착부(150)에 장착된다. 임펠러(170)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공기분쇄관(110)의 감압부(120) 이전에 배치된다. 따라서, 임펠러(170)는 공기분쇄관(110)의 임펠러 장착부(150)에 장착되지 않고, 제2관(54)의 내측 또는 감압부(120)와 제2관(54)이 결합되는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170)는 임펠러 장착부(150)에 장착되어 고정된다. 임펠러(170)는 고리형상의 외형을 이루는 임펠러 둘레부(172)와 임펠러 둘레부(172)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수에 원심력을 가하는 베인(174)를 포함한다. 임펠러 둘레부(172)는 임펠러 장착부(150)에 맞닿아 고정된다.
임펠러(170)를 통과하는 세척수는 베인(174)을 통과함에 따라 회전하여 선회류를 발생시킨다. 임펠러(170)의 베인(174)은 감압부(120)로 유동하는 세척수에 원심력을 가한다. 임펠러(170)의 베인(174)은 고정되거나 회전될 수 있으며, 임펠러(170)를 통과하는 세척수에 원심력을 가한다.
공기분쇄관(110)은 세척수를 감압하고, 세척수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감압부(120)와 유로의 단면적이 급격히 늘어나는 가압부(130)를 포함하고, 감압부(120)는 세척수가 감압되어 음압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부(140)가 형성된다
공기분쇄관(110)은 임펠러(170)가 장착되는 임펠러 장착부(150) 및 에어탭(180)이 장착되는 에어탭 장착부(160)를 더 포함한다.
공기분쇄관(110)은 세척수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임펠러 장착부(150), 감압부(120), 가압부(130) 및 에어탭 장착부(160) 순으로 배치된다. 공기흡입부(140)는 감압부(120)의 유로 단면적이 줄어든 부분에 형성된다. 공기흡입부(140)는 감압부(120)의 감압이 끝나는 부분에서 일측으로 수직하게 개구된 흡입구(142)를 형성한다.
임펠러 장착부(150)는 유입관의 단부와 연결되고, 임펠러 장착부(150)의 내둘레는 임펠러 둘레부(172)의 외둘레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임펠러(170)가 임펠러 장착부(150)에 장착 및 고정된다.
감압부(120)는 세척수가 유동되는 방향으로, 공기분쇄관(110)의 임펠러 장착부(150) 다음부분에 배치된다. 감압부(120)는 임펠러(170)를 통과한 세척수가 유입되는 공기분쇄관(110)의 부분이다. 감압부(120)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으로 유로의 단면적이 줄어든다. 감압부(120)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으로 유로의 단면적이 줄어들어, 감압부(120)를 유동하는 세척수는 압력이 감소되고, 속도가 증가한다.
감압부(120)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으로, 유로의 단면이 서서히 줄어든다. 감압부(120)는 감압이 끝나는 부분에서 공기흡입부(140)를 형성한다. 공기흡입부(140)는 감압부(120)의 유로 단면이 줄어든 부분에서 형성된다.
공기흡입부(140)는 감압부(120) 일측에서 개구된 흡입구(142)를 형성한다. 공기흡입부(140)는 감압부(120) 일측에서 돌출되어 내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흡입관(144)을 포함한다. 공기흡입관(144)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도록 연결되는 연결관(미도시)과 연결된다. 연결관은 식기세척기(10)의 외부로 연결되거나, 터브(24) 내로 연결된다. 연결관은 공기흡입관(144)과 융착 방식으로 결합된다.
공기흡입관(144)은 연결관과 일체로 형성되어 식기세척기(10)의 외부 또는 터브(24)로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연결관이 생략되어 공기흡입관(144)만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감압부(120)는 세척수진행 방향으로 갈수록 유로면적이 줄어들어 세척수의 압력이 낮아지고, 공기흡입부(140)의 흡입구(142)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이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스스로 흡입된다. 공기분쇄관(110)으로 흡입된 공기는 감압부(120) 내부를 흐르는 세척수의 속도 및 선회력으로 1차적으로 분쇄된다.
1차적으로 분쇄된 공기를 포함하는 세척수는 가압부(130)로 유동한다.
가압부(130)는 세척수가 유동되는 방향으로, 공기분쇄관(110)의 감압부(120) 다음부분에 배치된다. 가압부(130)는 감압부(120)를 통과한 세척수가 유입된다.
가압부(130)는 공기흡입부(14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분쇄할 정도로 압력을 증가시킨다. 가압부(130)는 세척수에 포함된 공기를 분쇄할 수 있도록, 세척수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유로의 단면적이 급격히 늘어난다. 가압부(130)는 유로 길이당 유로 단면의 반지름이 증가하는 비율(ΔH2/L2)이 상기 감압부(120)의 유로 길이당 유로 단면의 반지름이 줄어드는 비율(ΔH1/L1)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가압부(130)의 배출단부의 유로단면적은 감압부(120)의 유입단부의 유로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가압부(130)는 압력차이를 통한 공기분쇄가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유입관의 유로 단면보다 더 크게 확장된다.
유로의 단면적이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세척수의 속도가 줄어들고, 압력이 급격히 증가된다. 압력의 급격한 증가로, 세척수내의 공기는 2차적으로 분쇄된다.
가압부(130)는 세척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유로의 측단면이 2차함수의 곡선과 같이 증가하고, 이후, 계단형식으로 절곡되며 유로의 측단면이 넓어진다. 가압부(130)는 좁은 구간에서 단계적으로 유로의 단면이 확장되므로, 압력차이를 통한 세척수 내의 공기분쇄가 효과적으로 진행된다.
에어탭 장착부(160)는 세척수가 유동되는 방향으로, 공기분쇄관(110)의 가압부(130) 다음부분에 배치된다. 에어탭 장착부(160)는 가압부(130)에서 확장된 유로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내부에 에어탭(180)이 장착된다.
에어탭(180)은 공기분쇄관(110)의 에어탭 장착부(160)에 장착된다. 에어탭(180)은 에어탭 장착부(160)에 고정된다. 에어탭(180)은 가압부(130)와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에어탭(180)은 원판형상을 가지며, 내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182)이 형성된다. 가압부(130)를 통과한 세척수는 에어탭(180)을 통과한다. 세척수 내의 공기는 에어탭(180)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182)을 통과하면서 3차적으로 분쇄된다.
에어탭(180)에 형성된 홀(182)은 원판형태의 에어탭(180)에 일정간격으로 빽빽하게 배치된다. 에어탭(180)은 통공형의 홀이 형성된 에어탭(180)이거나, 좌우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의 홀이 형성된 에어탭(180) 일 수 있다. 또한, 아래위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과 좌우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이 결합된 크로스 장공형일 수 있다.
에어탭(180)에 형성된 홀(182)은 에어버블과 접촉면적을 넓힐수록 에어버블에 작용하는 전단력이 증가하여 에어버블 발생량을 증가시키므로, 통공형에 비해 장공형이 바람직하다.
세척수는 가압부(130)를 통과하면서, 흡입된 공기가 2차적으로 분쇄된다. 에어탭(180)은 가압부(130)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흡입된 공기가 가압부(130)를 통해 2차적으로 충분히 분쇄된 후, 다시 에어탭(180)을 통과하게 되어 에어버블의 발생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에어버블의 발생량을 극대화하도록 에어탭(180)이 가압부(130)로부터 이격된 거리(L3)는 에어탭(180) 단면의 직경크기(D)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와 공급관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베인이 배치된 변형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공급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배치 및 에어젯 제너레이터와 연결되는 공급관의 형태 등을 설명한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유동하는 세척수에 선회류를 발생시키면서 감압하여 공기를 분쇄하고 다시 가압하여 미세하고 많은 량의 에어버블을 형성하도록 공기분쇄관(110)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의 공급관(50)의 단면은 터브(24) 내에서 비교적 적은 공간을 사용하기 위해 납작한 형태로 형성된다. 터브(24)의 바닥면과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2관(54)의 단면은 납작한 형태로 형성된다.
공급관(50)은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유로의 단면이 원형으로 변형되어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관(54)은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유로의 단면이 원형으로 변형되는 변형연결부(55)를 포함한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와 연결되는 공급관(50)의 내부에는 가이드 베인(56)이 설치된다. 변형연결부(55) 내부에는 가이드 베인(56)이 설치된다. 가이드 베인(56)은 세척수가 흐르는 공급관(50)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베인(56)은 유로 단면이 변형되는 공급관(50)를 유동하는 세척수의 유동을 균일하게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분배노즐(48)과 상부노즐(44) 또는 탑노즐(46)을 연결하는 제2관(54)이 형성하는 공급유로 상에 배치된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제2관(54) 중 터브(24)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부분에서 형성된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의 공기흡입관(144)은 터브(24) 외측 방향으로 개구되는 흡입구(142)를 형성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제2관(54) 중 터브(24)의 바닥면을 따라 형성된 부분에 배치된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의 공기흡입관(144)은 터브(24)의 외측방향으로 개구되는 흡입구(142)를 형성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터브(24)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는 흡입구(14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 식기세척기 20 : 캐비닛
24 : 터브 26 : 섬프
28 : 펌프 40 : 분사노즐
50 : 공급관 52 : 제1관
54 : 제2관 100 : 에어젯 제너레이터
110 : 공기분쇄관 120 : 감압부
130 : 가압부 140 : 공기흡입부
170 : 임펠러 180 : 에어탭

Claims (8)

  1. 세척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서 식기를 수용하는 랙;
    상기 랙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노즐로 압송시키기는 펌프;
    상기 섬프와 상기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이 형성하는 공급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급유로를 유동하는 세척수에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분쇄하여 에어버블을 형성하는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에어젯 제너레이터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유로 단면이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유로 단면과 같은 형태로 변형되는 변형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형연결부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베인이 설치된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젯 제너레이터는,
    유동하는 세척수에 원심력을 가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세척수의 압력을 낮추는 감압부;
    상기 감압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개구된 공기흡입부;
    상기 공기흡입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분쇄하도록 압력을 증가시키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를 통과한 세척수에 포함된 공기를 분쇄하도록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에어탭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랙에 수납된 식기를 세척하는 하부노즐; 및
    상기 터브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랙에 수납된 식기를 세척하는 상부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젯 제너레이터는 상기 상부노즐로 연결되는 상기 공급관이 형성하는 공급유로 상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노즐로 연결되는 공급관은 상기 터브의 측면과 바닥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에어젯 제너레이터는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따라 형성된 상기 공급관이 형성하는 공급유로 상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노즐로 연결되는 공급관은 상기 터브의 측면과 바닥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에어젯 제너레이터는 상기 터브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상기 공급관이 형성하는 공급유로 상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공기흡입부는 상기 터브의 외측으로 개구된 식기세척기.
KR1020160180227A 2016-12-27 2016-12-27 식기세척기 KR102612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227A KR102612819B1 (ko) 2016-12-27 2016-12-27 식기세척기
EP17888636.2A EP3563751B1 (en) 2016-12-27 2017-12-27 Dishwasher
AU2017384861A AU2017384861B2 (en) 2016-12-27 2017-12-27 Dishwasher
US16/474,413 US11076741B2 (en) 2016-12-27 2017-12-27 Dishwasher
PCT/KR2017/015521 WO2018124717A1 (ko) 2016-12-27 2017-12-27 식기세척기
US17/379,226 US11864709B2 (en) 2016-12-27 2021-07-19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227A KR102612819B1 (ko) 2016-12-27 2016-12-27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103A KR20180076103A (ko) 2018-07-05
KR102612819B1 true KR102612819B1 (ko) 2023-12-11

Family

ID=6271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227A KR102612819B1 (ko) 2016-12-27 2016-12-27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076741B2 (ko)
EP (1) EP3563751B1 (ko)
KR (1) KR102612819B1 (ko)
AU (1) AU2017384861B2 (ko)
WO (1) WO20181247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2267A1 (zh) * 2018-09-12 2020-03-19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和操作该洗碗机的方法
KR102641369B1 (ko) * 2018-12-12 2024-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10003481A (ko) 2019-07-02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181438B1 (ko) * 2019-09-30 2020-11-23 주식회사 더블유피 휴대용 태양광패널 세척장치
US11445884B2 (en) 2020-11-30 2022-09-2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er appliance main conduit with pressure relief hole
AU2022291458B2 (en) * 2021-12-24 2024-05-09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KR20230132309A (ko) * 2022-03-08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994B1 (ko) * 2006-12-28 2008-01-28 동양매직 주식회사 미세 기포 발생 모듈을 장착한 식기 세척기
JP2016129634A (ja) * 2015-01-15 2016-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洗浄水生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22A (zh) * 1991-07-05 1992-06-03 陈明 家庭厨房用洗涤机
JP2002186840A (ja) 2000-12-19 2002-07-02 Sys Yoshida:Kk 微細気泡生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4915962B2 (ja) 2008-06-25 2012-04-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イクロバブル洗浄ノズル
KR101938705B1 (ko) 2011-12-20 2019-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8151B1 (ko) * 2012-09-11 2020-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JP2014147901A (ja) 2013-02-01 2014-08-21 Micro-Bub Kk マイクロバブル生成器及びマイクロバブル生成管路構造
JP5692258B2 (ja) 2013-03-05 2015-04-01 三菱電機株式会社 微細気泡発生装置および風呂給湯装置
KR20160116878A (ko) * 2015-03-31 2016-10-10 김용주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994B1 (ko) * 2006-12-28 2008-01-28 동양매직 주식회사 미세 기포 발생 모듈을 장착한 식기 세척기
JP2016129634A (ja) * 2015-01-15 2016-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洗浄水生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84861A1 (en) 2019-08-15
US11864709B2 (en) 2024-01-09
AU2017384861B2 (en) 2020-09-10
US20190343366A1 (en) 2019-11-14
WO2018124717A1 (ko) 2018-07-05
KR20180076103A (ko) 2018-07-05
US20210345852A1 (en) 2021-11-11
EP3563751A1 (en) 2019-11-06
EP3563751B1 (en) 2023-04-12
EP3563751A4 (en) 2020-06-24
US11076741B2 (en) 202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2819B1 (ko) 식기세척기
KR102627981B1 (ko) 에어젯 제너레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582692B1 (ko)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626902B1 (ko)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578678B1 (ko)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200124382A (ko) 식기세척기
KR102451315B1 (ko) 식기세척기
KR102595211B1 (ko) 소음저감챔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20210003481A (ko) 식기세척기
KR20200126694A (ko) 식기세척기
CN109394123A (zh) 一种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