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481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481A
KR20210003481A KR1020190079317A KR20190079317A KR20210003481A KR 20210003481 A KR20210003481 A KR 20210003481A KR 1020190079317 A KR1020190079317 A KR 1020190079317A KR 20190079317 A KR20190079317 A KR 20190079317A KR 20210003481 A KR20210003481 A KR 20210003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pe
washing water
tub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용
최용진
정규창
한신우
김필수
안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9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3481A/ko
Priority to EP20183486.8A priority patent/EP3763277B1/en
Priority to US16/918,566 priority patent/US11564552B2/en
Priority to AU2020204431A priority patent/AU2020204431B2/en
Publication of KR20210003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by introduc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into the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9Insulation arrangements, e.g. for sound damping or heat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4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3Pressurised, gaseous medium, also used for delivering of clean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배치되는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측에 배치되고,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모듈;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모듈로 공급하는 세척펌프; 및 상기 터브의 바닥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 일부를 공급받아 세척수에 에어버블을 형성하여 상기 터브의 세척공간으로 배출하는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젯 제너레이터는, 하측에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제1관, 상기 제1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제2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관의 유입단부에서 외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관의 둘레면에 공기유입홀이 형성된 공기분쇄관과, 상기 제2관의 상측으로 상기 제2관의 상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관에 형성된 유로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에어홀을 형성하는 에어탭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쇄관에는, 상기 제1관의 배출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관의 유입단부의 유로단면을 확장시키는 확장면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척수에 에어버블을 형성하는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 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형성되는 터브와, 터브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로 구성된다.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는, 세척 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해, 터브의 내측공간으로 이동되고, 터브 내측공간에 배치된 식기를 세척하고,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된 후, 섬프로 유입된다. 세척수는, 섬프와 터브를 순환하며,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8-0015929호는, 세척펌프에 의해 유동하는 세척수의 일부를 이용하여, 터브로 공급되는 물에 에어버블을 형성하는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에어젯 제너레이터는, 공기가 흡입될 때, 세척수와 마찰되어 발생하는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은, 식기세척기의 작동시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제공할 수 있는 문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에어젯 제너레이터에서 공기가 분쇄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에어젯 제너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복수의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구조로, 소음이 전파되는 경로상에 에어챔버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경우, 세척수가 유동하는 구조로써, 에어챔버에 세척수가 역류하는 경우, 에어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세척수가 유입되어 잔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배치되는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측에 배치되고,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모듈,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모듈로 공급하는 세척펌프, 및 상기 터브의 바닥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 일부를 공급받아 세척수에 에어버블을 형성하여 상기 터브의 세척공간으로 배출하는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젯 제너레이터는, 하측에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제1관, 상기 제1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제2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관의 유입단부에서 외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관의 둘레면에 공기유입홀이 형성된 공기분쇄관을 포함하여, 상측으로 유동하는 세척수에 형성되는 음압을 이용하여 공기를 외부에서 빨아들이고,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분쇄한다.
또한, 에어젯 제너레이터는, 상기 제2관의 상측으로 상기 제2관의 상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관에 형성된 유로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에어홀을 형성하는 에어탭을 포함하여,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2차적으로 분쇄한다.
상기 공기분쇄관에는, 상기 제1관의 배출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관의 유입단부의 유로단면을 확장시키는 확장면부가 형성되어, 공기유입홀을 통해 에어젯 제너레이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분쇄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홀은, 상기 제1관의 배출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공기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분쇄음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제2관의 유입단부의 직경은, 상기 공기유입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공기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분쇄음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확장면부는, 상기 세척수의 유동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홀은, 상기 제2관에서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유로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관은, 상기 공기분쇄관으로 유입된 세척수를 감압하도록, 유로단면적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제1관 하부와, 상기 제1관 하부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의 유속을 증가 또는 유지시키도록, 상기 유로단면적의 변경비율이 상기 제1관 하부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는 제1관 상부를 포함하여, 제1관 상부단에서 음압이 형성되고, 제1관에서 배출되는 세척수의 속도를 빠르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쇄관의 둘레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유입홀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에어챔버를 더 포함하여, 공기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한 소음이 에어챔버에 의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에어챔버에는, 상기 공기유입홀에서 상기 에어챔버의 내측 하부면을 따라 연장되는 공기가이드관이 형성되어, 에어챔버에 잔존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쇄관의 둘레면에서,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구된 챔버바디와, 상기 챔버바디의 개구된 일측을 커버하는 챔버하우징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분쇄관으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선회류를 형성시키도록, 상기 세척수의 유동방향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베인을 구비한 임펠러를 포함하여, 공기분쇄관으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선회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젯 제너레이터는, 상기 터브의 상측에서, 상기 공기분쇄관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공기분쇄관을 통해 상측으로 유동하는 세척수를 상기 터브의 세척공간으로 배출하는 노즐을 더 포함하여, 에어버블을 포함하는 세척수를 터브를 통해 섬프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에어탭의 상측에서, 상기 에어탭과 결합되고, 상기 노즐에는,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상기 터브의 바닥면 상측에 배치되어, 터브의 바닥면으로 에어버블을 포함하는 세척수를 배출하여, 터브 바닥면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노즐에 형성되는 토출구는,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공기분쇄관의 제1관의 상측단부와, 공기유입홀 간에 확장면부를 통해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공기분쇄관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공기분쇄관으로 유입되는 소음이 외부로 전파되는 경로상에 에어챔버를 배치하여, 공기분쇄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2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에어챔버의 하측으로 공기분쇄관과 연통하는 공기유입홀이 형성되어, 에어챔버로 세척수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전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수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가 터브에 장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측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와 비교되는 확장관부가 없는 에어젯 제너레이터에서의 공기의 유입과 세척수의 유동 및 마찰을 표시한 것으로, (a)는, 유로의 측단면에 따른 공기와 세척수의 표시이고, (b)는, (a)의 A부분을 자른 단면에 따른 세척수와 공기의 범위를 표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에서 공기의 유입과 세척수의 유동 및 마찰관계를 표시한 것으로, (a)는, 유로의 측단면에 따른 공기와 세척수의 표시이고, (b)는, (a)의 B부분을 자른 단면에 따른 세척수와 공기의 범위를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식기세척기 전체구조>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과 식기세척시 내부의 세척수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20), 캐비닛(20)에 결합되어 캐비닛(20) 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22), 캐비닛(20) 내부에 설치되고, 세척수 또는 스팀이 가해지는 세척공간(24s)을 형성하는 터브(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세제를 보관하고, 세척단계에서 터브(24) 내부로 세제를 투입하는 디스펜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도어(22)에 배치될 수 있다. 터브(24)는 식기를 세척하기 위해, 식기가 배치되는 세척공간(24s)을 형성한다.
식기세척기(10)는 상기 터브(24) 내부에서 식기를 수용하는 랙(30, 32), 상기 랙(30, 32)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모듈(33) 및 상기 분사모듈(33)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26) 및 상기 섬프(26)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모듈(33)로 압송시키기는 세척펌프(50)를 포함한다.
분사모듈(33)은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분사노즐(34, 36, 38)과, 상기 세척펌프(50)와 상기 분사노즐(34, 36, 38)을 연결하는 공급관(42, 44, 46)을 포함한다.
식기 세척기(10)는 상기 세척펌프(50)를 구동하는 세척모터(52)를 더 포함하고, 세척모터(52)는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BLDC 모터(Brusless Direct current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는 섬프(26) 또는 분사모듈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모듈(60), 섬프(26)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모듈(62), 섬프(26)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여과시키는 필터모듈(70) 및 섬프(26)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가열시키는 히팅모듈(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는 복수의 분사노즐(34, 36, 38)과, 세척펌프(50)로부터 압송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분사노즐(34, 36, 38) 각각으로 보내는 복수의 공급관(42, 44, 46)과, 세척펌프(50)에서 압송된 세척수를 적어도 하나의 분사노즐(34, 36, 38)로 보내는 유로절환부(40)를 포함한다.
급수모듈(60)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섬프(26)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급수유로(61) 상에 배치되는 급수밸브(61a)를 개폐하여 외부의 물을 섬프(26) 내부로 공급한다. 배수모듈(62)은 섬프(26)에 저장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배수유로(64) 및 배수펌프(66)로 구성된다.
필터모듈(70)는 세척수 중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서, 터브(24)에서 섬프(26)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된다.
식기세척기(10)는, 섬프(26)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노즐(34, 36, 38)로 압송하는 세척펌프(50)를 더 포함한다. 세척펌프(50)는, 세척펌프하우징(51), 세척펌프하우징(51)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하여 분사노즐(34, 36, 38)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펌프 임펠러(54), 세척펌프 임펠러(54)를 회전시키는 세척모터(52), 세척펌하우징(51)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56)를 포함한다.
세척펌프(50)는 세척수공급관(58a)을 통해 섬프(26)와 연결되고, 세척수유출관(58b)을 통해 유로절환부(40)와 연결된다. 세척수유출관(58b)에는 분기관(80)이 형성되어, 세척펌프(50)로부터 유동하는 세척수의 일부가 분기관(80)을 통해 에어제 제너레이터(100)로 유동할 수 있다.
세척펌프(50) 내부에 배치된 히터(56)에 의해 생성된 스팀은, 스팀배출관(58d)을 통해 스팀노즐(58c)로 유동하고, 스팀노즐(58c)을 통해 터브(24)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수에 미세한 크기의 공기버블을 형성하는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펌프(50)에 의해 유동하는 세척수의 일부가 분기관(80)을 통해 분사모듈(33) 이외에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에도 공급된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세척펌프(50)에서 분지된 유로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고, 공급된 세척수에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를 분쇄하여 미세한 에어버블을 발생시킨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터브(24) 또는 섬프(26)로 연결된다. 따라서, 펌프가 작동하면,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에 의해, 에어버블이 발생된 세척수가 섬프(26) 내로 공급되어, 분사모듈(33)로 압송되는 세척수는 에어버블을 포함한다.
터브(24)의 바닥에는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의 상측일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측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이하에서 설명할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의 공기분쇄관(110)의 상부가 하측홀을 관통한다. 따라서,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의 공기분쇄관(110)의 상부의 일부가 터브(24)의 상측에 배치되게 된다.
<식기세척기 내부의 세척수의 유동>
도 2를 참조하여, 세척수의 유동을 설명한다. 식기세척기(10)의 섬프(26)에 저장된 세척수는 세척펌프(50)를 통해 분사모듈(33)로 공급되고, 분사모듈(33)로 공급된 세척수는 터브(24) 내로 분사되며, 터브(24)로 분사된 세척수는 다시 섬프(26)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세척펌프(50)에서 압송되는 세척수의 일부가 세척수에 에어버블을 발생시키는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로 유입된다. 세척펌프(50)를 통해 유동하는 세척수의 일부는 분기관(80)을 통해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로 유동한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세척펌프(50)에서 배출된 세척수의 일부가 공급된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유입된 세척수를 임펠러(170)와, 공기유입홀(146), 제1관(120) 및 제2관(130)를 포함하는 공기분쇄관(110)와, 에어탭(180)을 통과시켜 세척수에 에어버블을 발생시킨다. 즉,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로 유입된 세척수는 임펠러(170)에 의해 나선형을 유동한다. 이후 세척수는 제1관(120)를 통과하면서, 속도가 빨라지고, 공기유입홀로 유입된 공기는 임펠러(170)와 제1관(120)에 의해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세척수에 의해 1차적으로 분쇄된다. 또한, 세척수는 제2관(130)를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분쇄된다. 또한, 세척수는 에어탭(180)을 통과하면서, 3차적으로 분쇄되어, 미세한 크기의 에어버블을 포함하게 된다.
에어버블을 포함하는 세척수는 다시 섬프(26)로 유입된다. 에어버블이 포함된 세척수는 터브(24)로 배출되어 섬프(26)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세척기(10)의 작동으로 세척펌프(50)가 작동하면, 세척수에 에어버블이 발생된다.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구성>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구성 및 배치를 설명한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터브(24)의 바닥면(25) 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는, 터브(24)의 바닥면(25) 모서리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24)의 바닥면(25)에는, 에어젯 제너레이터(100)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에어젯 제너레이터(100)의 일부구성이 관통하는 장착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장착홀 주위로는, 에어젯 제너레이터(100)가 장착되는 장착면(25b)이 형성된다.
장착면(25b)의 상측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고정링(190)이 배치된다. 장착면(25b)은, 고정링(190)의 하측과 밀착되도록,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터브(24) 바닥면(25) 또는 지면에 수직한 유로를 형성하고, 벤튜리관의 형상을 가지며, 일측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홀(146)이 형성되는 공기분쇄관(110), 공기분쇄관에서 토출된 세척수에 존재하는 공기를 분쇄하는 에어탭(180) 및 공기분쇄관 외측에서 배치되고,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하부일측에서 상기 공기분쇄관 내부와 연통하는 공기유입홀이 형성되는 에어챔버(15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는 공기분쇄관으로 유동하는 세척수에 원심력을 가하는 임펠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0)는 세척펌프(50)로부터 분사모듈(33)로 유동하는 세척수의 일부를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로 유동시키는 분기관(80)을 더 포함한다. 분기관(80)은 단부에서, 공기분쇄관(110)의 하부와 결합된다. 분기관(80)과 공기분쇄관(110)은 융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분기관(80)은 세척수유출관(58b)을 유동하는 세척수의 일부를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로 보낸다. 즉, 분기관(80)은 세척수유출관(58b)에서 분지되어,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로 연결된다.
분기관(80)의 단부에는 공기분쇄관(110)으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원심력을 가하는 임펠러(170)가 배치될 수 있다. 분기관(80)의 일측 내부에는 임펠러(170)가 장착되는 임펠러장착부(82)가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170)는 분기관(80)의 임펠러 장착부(82)에 융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임펠러(170)는 원통형의 임펠러둘레부(172)와, 임펠러둘레부(172)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수에 선회류를 형성시키는 베인(174)을 포함한다. 임펠러(170)는 임펠러둘레부(172)의 외측면이 분기관(80)의 배출단부의 내측에 맞닿게 배치된다. 임펠러(170)를 통과하는 세척수는 베인(174)을 통과함에 따라 회전하여 선회류를 발생시킨다.
임펠러(170)의 베인(174)은 제1관(120)로 유동하는 세척수에 원심력을 가한다. 임펠러(170)의 베인(174)은 고정되거나 회전될 수 있으며, 베인(174)을 통과한 세척수는 회전하며, 공기분쇄관(110)으로 유입된다.
공기분쇄관(110)은 벤튜리관 형상을 가지고, 내부를 유동하는 세척수로 공기유입홀(146)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분쇄한다.
공기분쇄관(110)은 내부에 유동하는 세척수를 감압하도록 세척수의 진행방향으로 유로의 단면적이 줄어드는 제1관(120)과, 공기가 포함된 세척수를 가압하도록 세척수의 진행방향으로 유로의 단면적이 늘어나는 제2관(130)이 형성된다. 제1관(120)과, 제2관(130)은,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유로를 형성한다. 제1관(120)은, 제2관(130)의 상류에 위치한다. 제1관(120)은, 제2관(130)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2관(130)의 하측단부의 둘레면에는, 관내에 발생하는 음압으로 외부의 공기를 공기분쇄관 내부로 유입하는 공기유입홀(146)이 형성된다. 제2관(130)의 상류단부에는, 공기유입홀(146)이 형성된다.
공기분쇄관(110)은 터브(24)의 바닥면(25)의 하측에 배치된다. 공기분쇄관(110)은 지면 또는 터브(24)의 바닥면(25)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공기분쇄관(110)은 세척수가 유동하는 방향으로, 제1관(120), 제2관(130) 및 에어탭 장착부(116) 순으로 배치된다.
공기분쇄관(110)은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단부에 에어탭(180)이 장착되는 에어탭장착부(116)를 더 포함한다. 에어탭 장착부(116)는 에어탭(180)이 삽입되도록 에어탭(180)을 감싸는 형상을 가진다. 에어탭장착부(116)는 공기분쇄관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관(120)의 유입단면의 크기는 제2관(130)의 배출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쇄관(110)은 지면 또는 터브(24) 바닥면(25)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쇄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는 지면 또는 터브(24) 바닥면(25)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1관(120)는 제2관(130)의 하측에 배치된다. 다만, 세척수의 유동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형성되므로, 제1관(120)는 제2관(130)의 상류에 배치된다. 제1관(120)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으로 유로의 단면적이 줄어든다. 제1관(120)가 형성하는 유로의 길이는 제2관(130)가 형성하는 유로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1관(120)의 하측단부(122a)에서의 유로직경(122d)의 크기는 제2관(130)의 상측단부(134a)에서의 유로직경(134d)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관(120)는 공기분쇄관(110)으로 유입된 세척수를 감압하도록 유로단면적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제1관 하부(122)와, 제1관 하부(122)의 하류에 배치되어, 제1관 하부(122)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의 유속을 증가 또는 유지시키는 제1관 상부(124)로 구분될 수 있다.
제1관 하부(122)는, 제1관 상부(124)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제1관 상부(124)의 유로단면적의 변경비율은, 제1관 하부(122)의 유로단면적의 변경비율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관 하부(122)는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유로단면적이 급격하게 줄어든다. 제1관 하부(122)는 제1관 상부(124)에 비해 유로단면적이 줄어드는 비율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분쇄관(110)의 제1관(120)를 유동하는 세척수는 제1관 하부(122) 및 제1관 상부(124)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낮아져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
제2관(130)는 제1관(1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관(130)는 제1관(120)의 하류에 배치된다. 제2관(130)는 세척수의 유동방향으로 유로의 단면적이 넓어져, 세척수를 가압한다. 제2관(130)를 따라 이동하는 세척수는 가압되어, 공기유입홀(146)을 통해 공기분쇄관(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2차적으로 분쇄된다.
제2관(130)는 제1관(120)에 비해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관(130)는 제1관에서 유입되어 유동하는 세척수를 1차적으로 가압하는 제2관 하부(132)와, 제2관 하부(132)를 통과하는 세척수를 2차적으로 가압하는 제2관 상부(134)로 구분될 수 있다. 제2관 하부(132)는 제2관 상부(134)에 비해 세척수를 서서히 가압한다. 제2관 하부(132)는 제2관 상부(134)보다 유로단면적의 변경비율이 작다. 즉,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관 하부(132)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유로길이는 제2관 상부(134)의 유로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2관 하부(132)의 상하방향의 양단부의 내부직경의 차이는 제2관 상부(134)의 상하방향 양단부의 내부직경의 차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관 하부(132)에서는 공기유입홀(146)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세척수의 유속 및 원심력에 의해 분쇄된다. 제2관 상부(134)에서는 유로단면의 급격한 확장으로, 세척수를 가압하여, 세척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제2관은 제2관 상부(134)를 통해 확장된 유로단면을 유지하는 확장관부(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확장관부(136)는 이하에서 설명할 에어탭 둘레면(184)의 내둘레면(185)으로 이어진다. 확장관부(136)와, 에어탭 둘레면(184) 내둘레면(185)은 공기유입홀(146)로부터 에어탭(180)이 이격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설명할 에어탭(180)에서 효과적으로 공기를 분쇄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홀(146)로부터 에어탭(180)이 이격된 거리(H1)는 에어탭(180)의 직경(180d)과 같거나,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관 하부(132), 제2관 상부(134), 확장관부(136) 및 에어탭 둘레면(184)의 내둘레면(185)이 형성하는 유로길이의 합(H1)은 에어탭(180)의 직경(180d)과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제2관(130)의 상류단부에는 공기유입홀(146)이 형성된다. 제2관(130)의 하측단부(132a)에는 공기유입홀(146)이 형성된다.
공기유입홀(146)은 제1관(120)와 제2관(1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홀(146)은 제1관(120)의 유로단면이 줄어든 부분에 형성된다. 공기유입홀(146)은 제2관(130)의 상류단부에서 형성된다. 공기유입홀(146)은 제1관(120)에 의한 감압이 끝나는 지점에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홀(146)은 제2관(130)에 의한 가압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홀(146)은 공기분쇄관(110)의 내부와 이하에서 설명할 에어챔버(150)를 통해 공기분쇄관(110) 외부를 연통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쇄관(110)은 공기유입홀(146)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분쇄관(110)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란, 공기분쇄관의 외부를 말하는 것으로, 캐비닛(20)의 외부뿐 아니라, 캐비닛(20)의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것으로, 터브(24)의 내부 공간일 수도 있다.
공기분쇄관(110)을 유동하는 세척수는 제1관(120)을 통과하면서, 압력이 강하된다. 제1관을 통과한 세척수는 감압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므로,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홀(146)을 통해 공기분쇄관(110) 내부로 빨려들어올 수 있다. 공기유입홀(146)을 통해 공기분쇄관(110)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관(120)를 따라 빠른 속도로 유동하는 회전류에 의해 1차적으로 분쇄된다.
공기분쇄관(110)은, 제1관(120)과 제2관(130) 사이에 배치되고, 제1관(120)의 배출단부(124a)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관(130)의 유입단부(132a)의 유로단면을 확장시키는 확장면부(126)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관(130)의 둘레면(131)에 형성되는 공기유입홀(146)은, 제1관(120)의 배출단부(124a)로부터 확장면부(126)가 형성되는 간격만큼 반경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확장면부(126)는, 제1관(120)과 제2관(130) 사이에 단턱을 형성한다. 확장면부(126)는, 공기유입홀(146)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제1관(120)을 통해 제2관(130)으로 유동하는 세척수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관(130)의 하측단부(132a)의 유로단면의 직경(132d)은, 제1관(120)의 상측단부(124a)의 유로단면의 직경(124d)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관(130)의 상류단부는, 제1관(120)의 하류단부보다 유로의 단면이 일정간격 이상 확장된다. 제2관(130)의 하측단부(132a)의 유로단면의 직경(132d)은, 공기유입홀(146)의 직경(146d)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관(120)의 상측단부(124a)는, 유로단면을 확장시키는 확장면부(126)를 통해 제2관(130)의 하측단부(132a)와 연결된다. 제2관(130)의 하측단부(132a)에 형성되는 확장면부(126)는, 공기유입홀(146)과 공기유입홀(146)에 대향하는 제2관(13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132d)을 확장시킨다.
따라서, 공기유입홀(146)을 통해 공기분쇄관(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공기유입홀(146)에 대향하는 제2관(130)의 내측면에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쇄관(110)의 일측에는 공기분쇄관(11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에어챔버(150)가 배치될 수 있다. 에어챔버(150)는 공기유입홀(146)을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을 저감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챔버(150)는 내부에 소음이 전파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챔버(150)는 공기유입홀(146)이 형성된 공기분쇄관(110)의 외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챔버(150)는 하단부의 일측에 공기분쇄관(110)의 내부와 연통 가능케하는 공기유입홀(146)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입홀(146)은 에어챔버(15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세척수가 에어챔버(150)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에어챔버(150)의 하단부에 형성된 공기유입홀(146)로 세척수가 빠지게 되어, 에어챔버(150) 내부에서 고이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챔버(150)에는 외부의 공기가 에어챔버(15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유입홀(168)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기유입홀(168)은 에어챔버(15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챔버(150)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에어챔버(150)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챔버(150)는 공기유입홀(146)이 형성된 공기분쇄관(110)의 외측에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챔버(150)는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구된 챔버바디(152)와, 챔버바디(152)의 개구된 일측을 커버하는 챔버커버(1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챔버바디(152)는 공기분쇄관(110)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내측의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로, 공기분쇄관(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챔버커버(154)는 챔버바디(152)와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챔버바디(152)와 챔버커버(154)는 공기분쇄관(110)의 내부유로와 연통되고, 내부에 소음이 전파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챔버바디(152)와 챔버커버(154)가 별개의 구성으로 제작되어 결합되어짐으로써, 에어챔버(150) 내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챔버커버(154)는 챔버바디(152)에 융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챔버바디(152)는 공기분쇄관(110)의 둘레를 형성하는 일측에 배치되어, 별도의 제공공정을 통한 결합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챔버바디(152)는 공기분쇄관(110)의 둘레를 형성하는 일측에 배치되어, 보강돌출부(112)와 함께 공기분쇄관(11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챔버바디(152)는 공기유입홀(146)이 형성된 공기분쇄관(110)의 외둘레에 형성된다. 공기유입홀(146)은 챔버바디(152)의 내측 하부면(155)과 접하는 공기분쇄관 둘레면의 일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챔버바디(152)에 고인 잔수는 공기유입홀(146)로 유동할 수 있다. 공기유입홀(146)과 대향하는 챔버바디의 일측면은 개구된다. 공기유입홀(146)과 대향하는 챔버바디(152)의 개구된 일측면에 챔버커버(154)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챔버커버(154)는 챔버바디(152)의 개구된 일측면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챔버커버(154)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홀(168)이 형성된다. 또한, 챔버커버(154)에는 외기유입홀(168)이 형성된 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외부연결관(166)을 포함한다. 외부연결관(166)에는 캐비닛(20)의 외부로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호스(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챔버(150)는 공기유입홀(146)에서 에어챔버(150)의 내측 하부면(155)을 따라 연장되는 공기가이드관(158)을 포함한다. 공기가이드관(158)은 에어챔버(150) 내부에서 소음이 전파되는 경로를 확장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공기가이드관(158)은 챔버바디(152)의 내측 하부면(155)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쇄관(110)은 확장관부(136)의 상측에 에어탭(180)이 장착되도록 형성된 에어탭 장착부(116)를 포함한다. 에어탭장착부(116)는 에어탭(180)을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탭장착부(116)는 에어탭(180)을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에어탭(180)은 에어탭장착부(116)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에어탭 장착부(116)는, 공기분쇄관(110)이 터브(24)에 장착될 때, 공기분쇄관(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에어탭 장착부(116)는 세척수가 유동되는 방향으로, 공기분쇄관(110)의 제2관(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에어탭 장착부(116)는 에어탭(180)와 결착된다. 에어탭 장착부(116)는 에어탭(180)의 체결돌기(186)에 대응되는 체결홈(117)이 형성된다. 에어탭 장착부(116)는 터브(24) 바닥면(25)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쇄관(110)은 터브(24)의 바닥면(25)과 결착되는 터브장착부를 포함한다. 터브장착부는 제2관(130)의 상측의 공기분쇄관(110) 외둘레에 형성된다. 터브장착부는 에어탭 장착부(116)의 외둘레면에 형성된다. 터브장착부는 공기분쇄관(110)의 외둘레면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하측고정판(138)과, 터브(24) 바닥면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이하에서 설명할 고정링(190)과 체결되는 상측고정부(140)를 포함한다.
하측고정판(138)은 공기분쇄관(110)의 외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링형상을 형성한다. 하측고정판(138)은 터브(24) 바닥면의 하측에 배치된다. 하측고정판(138)은 터브(24) 바닥면(25)과 대향하게 배치된다. 하측고정판(138)은 공기분쇄관(110)이 터브(24)의 바닥면(25)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측고정부(140)는 일부가 터브(24)의 바닥면 상측으로 배치된다. 상측고정부(140)는 공기분쇄관(110)의 외둘레면으로 고정링(190)과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형성한다. 터브(24)의 바닥면은 하측고정판(138)과 상측고정부(140)에 체결되는 고정링(190) 사이에 배치된다. 상측고정부(140)는 고정링(190)과 결합하여, 공기분쇄관(110)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고정링(190)은 링형상을 가지며, 공기분쇄관(110)의 상측고정부(140)에 체결된다. 고정링(190)의 내둘레면(192)은 상측고정부(140)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형성한다. 고정링(190)은 고정링(190)의 강성을 유지하고, 손잡이 기능을 하는 복수의 보강리브(194)가 외둘레에 형성된다. 보강리브(194)는 일정간격으로 고정링(190)의 외둘레면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공기분쇄관(110)은 터브(24)의 바닥면(25)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119)와, 터브(24)의 바닥면(25)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118)로 구분될 수 있다. 공기분쇄관(110)의 상부(119)와 하부(118)는 터브장착부의 하측고정판(138)을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기분쇄관(110)의 하부(118)에는 제1관(120), 공기유입홀(146) 및 제2관(130)가 배치된다. 공기분쇄관(110)의 상부(119)에는 에어탭 장착부(116)가 배치된다.
공기분쇄관(110)은 제2관(130)와 에어탭(180)이 장착된 에어탭장착부(116) 사이에서 터브(24)와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쇄관(110)은 제2관(130)와 에어탭(180)에서 많은 량의 공기가 분쇄되어,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진동이 발생하는 제2관(130)와 에어탭(180)에 인접한 부분에서 터브(24)에 고정되므로, 공기분쇄관(11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공기분쇄관(110)의 하측고정판(138)과 고정링(190) 사이에는 터브(24)의 바닥면(25)이 배치된다. 공기분쇄관(110)의 하측고정판(138)과 고정링(190) 사이에는 터브(24) 바닥면(25)을 유동하는 세척수가 터브(24)의 바닥면(25) 하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러(196)가 배치된다. 실러(196)는 터브(24)의 바닥면(25) 하측 및/또는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분쇄관(110)은 제1관(120)와 제2관(130)가 형성된 외둘레에 공기분쇄관(110)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돌출부(112)가 형성된다. 보강돌출부(112)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관(120)와 제2관(1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보강돌출부(112)는 제1관(120)와 제2관(130)가 유로를 형성하는 길이방향으로 공기분쇄관(110) 외둘레에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돌출부(112)는 공기분쇄관(110)의 외둘레면에 90° 간격으로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탭(180)은 원판형상을 가지며, 내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홀(182)이 형성된다. 제2관(130)를 통과한 세척수는 에어탭을 통과한다. 세척수 내의 공기는 에어탭(180)에 형성된 복수개의 홀(182)을 통과하면서 3차적으로 분쇄된다.
에어탭(180)에 형성된 홀(182)은 원판형태의 에어탭(180)에 일정간격으로 빽빽하게 배치된다. 에어탭(180)은 통공형의 홀 또는 좌우로 길게 형성된 장공형의 홀이 형성된 에어탭 일 수 있다. 또한, 아래위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과 좌우로 길게 형성된 타원형이 결합된 크로스 장공형도 가능하다.
에어탭(180)에 형성된 홀(182)은 에어버블과 접촉면적을 넓힐수록 에어버블에 작용하는 전단력이 증가하여 에어버블 발생량을 증가시키므로, 통공형에 비해 장공형이 바람직하다. 다만, 크로스 장공형과 같이 홀의 크기가 너무 증가하면, 에어탭의 신뢰성에 문제가 될 수 있어 장공형의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탭에 형성된 홀의 크기가 커지면 분쇄되는 공기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기 위해서, 에어탭에 형성된 홀은 일정크기 이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에어탭(180)은, 홀(182)이 형성되고, 세척수의 유동방향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는 에어탭판(181)과, 에어탭판(181)의 둘레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탭 둘레면(184)과, 에어탭 둘레면(184)의 일측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186)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탭 둘레면(184)은, 에어탭판(181)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에어탭판(181)과 에어탭 둘레면(184)은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에어탭 둘레면(184)은,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어탭 둘레면(184)의 상측에는, 에어탭판(181)이 배치된다. 에어탭 둘레면(184)의 내둘레면(185)은 공기분쇄관(110)에 장착되어 공기분쇄관(110) 내부의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에어탭 둘레면(184)의 내둘레면(185)은 공기분쇄관(110)의 확장관부(136)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86)는 에어탭 장착부(116)의 체결홈(117)과 맞물려 체결되고, 공기분쇄관(110) 내측에 에어탭(180)의 배치를 고정한다.
에어탭(180)은, 공기분쇄관(110)의 상측으로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탭에 오물이 쌓이는 등의 이유로 에어탭이 막히게 되는 경우, 에어탭(180)을 공기분쇄관(110)으로부터 탈착하여 오물을 제거할 수 있다.
에어탭(180)은, 상측에서 노즐(200)과 결합한다. 에어탭(180)과, 노즐(200)은 융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에어탭(180)은, 상측에 배치되는 노즐(200)과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188)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탭(180)의 체결부재(188)는 에어탭(180)의 상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노즐(200)에 형성되는 체결후크(202)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탭(180)의 체결부재(188)는 노즐(200)의 체결후크(202)와 체결되어, 노즐(200)과 에어탭(18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공기분쇄관(110) 상측에는 노즐(200)이 배치된다. 노즐(200)은 에어젯 제너레이터(100) 상측에 배치되어,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를 통과한 세척수를 터브(24) 내부로 배출한다. 노즐(200)은 에어탭(180)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200)은 에어탭(180)과 융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노즐(200)은 하측에서 에어탭(180)의 상측과 맞닿게 형성된다. 노즐(200)은 에어탭(180)의 체결부재(188)에 결합되는 체결후크(202)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200)은 에어탭(180)과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브(24)의 바닥면(25)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노즐을 회전하여, 에어탭을 공기분쇄관(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노즐(200)은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상을 가진다. 노즐(200)은, 하단부에서, 중심의 하측방향으로 개구된 유입홀(206)을 형성한다. 노즐(200)은, 유입홀(206)의 상측에서, 유입홀(206)의 반경방향의 외측에서, 하측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토출홀(204)을 형성한다. 복수의 토출홀(204)은, 터브(24)의 바닥면(25)을 향해 개구된다. 따라서, 에어제 제너레이터(100)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는, 터브(24)의 바닥면(25)으로 분사되어, 터브(24)의 바닥면(25)을 세척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204) 각각은, 서로 노즐(200)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노즐(200)은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토출홀(204)이 형성되어, 에어버블을 포함하는 세척수가 다양한 방면의 터브(24) 바닥면(25)으로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200)에는, 4개의 토출홀(204)이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토출홀(204)은, 노즐(200)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각도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를 통해 에어버블을 포함하는 세척수는 터브(24)의 바닥면으로 배출되어 섬프로 유동한다. 세척수가 터브(24)의 바닥면을 유동함에 따라 터브(24) 바닥면을 세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100)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로가 지면 또는 터브(24)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2관(130)를 유동하는 세척수가 제2관 상부(134)에서의 유로의 급격한 확장으로 인해 세척수의 유동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공기와 세척수의 마찰범위와, 확장관부가 없는 에어젯 제너레이터에서의 공기와 세척수의 마찰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와 같이, 확장관부가 없는 경우, 공기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제1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와 공기유입홀의 면에서 접촉한다. 이경우, 작은 범위에서 마찰이 일어나게 되므로, 마찰에 의한 소음도 크게 형성된다.
반면, 본 발명의 에어젯 제너레이터의 경우는, 도 9와, 같이, 공기유입홀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제1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와 직접 마찰되지 않고, 확장관부를 통해, 제1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의 주위로 공기층을 형성하여, 접촉한다.
이경우, 세척수와 공기가 접촉되어 마찰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되므로,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도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식기세척기 20 : 캐비닛
22 : 도어 24 : 터브
26 : 섬프 34, 36, 38 : 분사노즐
50 : 세척펌프 100 : 에어젯 제너레이터
110 : 공기분쇄관 120 : 제1관
130 : 제2관 126 : 확장면부
150 : 에어챔버 170 : 임펠러
180 : 에어탭 200 : 노즐

Claims (13)

  1. 식기가 배치되는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측에 배치되고,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모듈;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
    상기 섬프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모듈로 공급하는 세척펌프; 및
    상기 터브의 바닥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 일부를 공급받아 세척수에 에어버블을 형성하여 상기 터브의 세척공간으로 배출하는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젯 제너레이터는,
    하측에 유입구를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줄어드는 제1관, 상기 제1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개구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제2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관의 유입단부에서 외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관의 둘레면에 공기유입홀이 형성된 공기분쇄관과,
    상기 제2관의 상측으로 상기 제2관의 상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관에 형성된 유로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에어홀을 형성하는 에어탭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분쇄관에는, 상기 제1관의 배출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관의 유입단부의 유로단면을 확장시키는 확장면부가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홀은, 상기 제1관의 배출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된 식기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의 유입단부의 직경은, 상기 공기유입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면부는, 상기 세척수의 유동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홀은, 상기 제2관에서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형성된 유로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은,
    상기 공기분쇄관으로 유입된 세척수를 감압하도록, 유로단면적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제1관 하부와,
    상기 제1관 하부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의 유속을 증가 또는 유지시키도록, 상기 유로단면적의 변경비율이 상기 제1관 하부보다 완만하게 형성되는 제1관 상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쇄관의 둘레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유입홀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에어챔버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챔버에는, 상기 공기유입홀에서 상기 에어챔버의 내측 하부면을 따라 연장되는 공기가이드관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쇄관의 둘레면에서, 내측으로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구된 챔버바디와, 상기 챔버바디의 개구된 일측을 커버하는 챔버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쇄관으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선회류를 형성시키도록, 상기 세척수의 유동방향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베인을 구비한 임펠러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상기 에어젯 제너레이터는,
    상기 터브의 상측에서, 상기 공기분쇄관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공기분쇄관을 통해 상측으로 유동하는 세척수를 상기 터브의 세척공간으로 배출하는 노즐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에어탭의 상측에서, 상기 에어탭과 결합되고,
    상기 노즐에는, 상기 세척공간으로 세척수를 배출하는 토출구가 상기 터브의 바닥면 상측에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형성되는 토출구는, 상기 터브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KR1020190079317A 2019-07-02 2019-07-02 식기세척기 KR20210003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317A KR20210003481A (ko) 2019-07-02 2019-07-02 식기세척기
EP20183486.8A EP3763277B1 (en) 2019-07-02 2020-07-01 Dishwasher
US16/918,566 US11564552B2 (en) 2019-07-02 2020-07-01 Dish washer
AU2020204431A AU2020204431B2 (en) 2019-07-02 2020-07-02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317A KR20210003481A (ko) 2019-07-02 2019-07-02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481A true KR20210003481A (ko) 2021-01-12

Family

ID=7145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317A KR20210003481A (ko) 2019-07-02 2019-07-02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64552B2 (ko)
EP (1) EP3763277B1 (ko)
KR (1) KR20210003481A (ko)
AU (1) AU2020204431B2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404B1 (ko) * 2016-08-04 2023-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582692B1 (ko) * 2016-08-04 2023-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578678B1 (ko) * 2016-08-04 2023-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627981B1 (ko) * 2016-08-04 2024-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젯 제너레이터 및 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612819B1 (ko) * 2016-12-27 2023-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09645921B (zh) * 2019-01-10 2020-07-10 厦门米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清洗机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04431A1 (en) 2021-01-21
AU2020204431B2 (en) 2021-09-09
US20210000323A1 (en) 2021-01-07
EP3763277A1 (en) 2021-01-13
US11564552B2 (en) 2023-01-31
EP3763277B1 (en) 202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4432A1 (en) Rack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20240011225A (ko) 식기세척기
KR102582692B1 (ko)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626902B1 (ko) 에어젯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US11484178B2 (en) Dishwasher
AU2017307903B2 (en) Dish washer
KR102451315B1 (ko) 식기세척기
KR20210003481A (ko) 식기세척기
US11389044B2 (en) Dish washer
KR102595211B1 (ko) 소음저감챔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US20220233048A1 (en)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126694A (ko) 식기세척기
KR20040064746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