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843A -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843A
KR20240002843A KR1020220080946A KR20220080946A KR20240002843A KR 20240002843 A KR20240002843 A KR 20240002843A KR 1020220080946 A KR1020220080946 A KR 1020220080946A KR 20220080946 A KR20220080946 A KR 20220080946A KR 20240002843 A KR20240002843 A KR 20240002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holder
connector
port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뷔징요하네스
고관철
양지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0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843A/ko
Priority to PCT/KR2023/004724 priority patent/WO2024005317A1/ko
Priority to US18/143,439 priority patent/US20240000289A1/en
Publication of KR20240002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3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comprising parts outside the hos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는, 터브, 터브의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되는 배수 하우징, 배수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척수를 펌핑하도록 마련되는 배수 펌프, 배수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수 포트로서, 배수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포트 바디와 포트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배수 포트, 및 배수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도록 마련되는 배수 호스로서, 호스 바디와, 호스 바디의 일단에 마련되어 배수 포트에 연결 가능한 배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수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커넥터는, 포트 바디에 삽입됨에 따라, 걸림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DRAIN HOSE, DRAIN DEVICE AND HOME APPLIANCE}
개시된 발명은 개선된 구조를 갖는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는 내부의 물을 배수하도록 배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배수 기능을 갖는 가전기기에는, 식기를 세척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와, 의류를 세탁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 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세척수는, 배수 포트와 배수 호스를 통해 가전기기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배수 호스는 배수 포트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수 호스가 배수 포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프(clamp)와 같은 고정 부재가 필요할 수 있다.
한편, 배수 호스의 단부에는 실링 부재 등과 같은 구성을 고정하기 위해 언더컷(undercut)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수 호스는 분할되는 금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금형에서 취출된 배수 호스의 표면에는, 금형의 분할면에 대응되는 파팅 라인(parting line)이 형성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개선된 구조의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별도의 고정 부재 없이도 배수 포트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배수 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파팅 라인 없이 제작 가능한 배수 호스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립성이 향상된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터브, 상기 터브의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되는 배수 하우징, 상기 배수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척수를 펌핑하도록 마련되는 배수 펌프, 상기 배수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수 포트로서, 상기 배수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포트 바디와 상기 포트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배수 포트, 상기 배수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도록 마련되는 배수 호스로서, 호스 바디와, 상기 호스 바디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 포트에 연결 가능한 배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수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커넥터는, 상기 포트 바디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제1 경사부를 타고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호스는, 상기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체크 밸브와, 상기 체크 밸브를 상기 배수 커넥터의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홀더로서, 상기 배수 커넥터의 일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배수 커넥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홀더 바디와, 상기 홀더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수 커넥터의 일단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홀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커넥터는, 상기 배수 커넥터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플랜지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돌기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배수 커넥터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밸브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배수 커넥터 내부에 형성된 배수 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마련되는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배수 커넥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홀더 바디와, 상기 홀더 바디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홀더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플랜지는, 상기 밸브 바디와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제1 실링 연장부와, 상기 플랩과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제2 실링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플랜지는, 상기 제1 실링 연장부와 상기 제2 실링 연장부 사이에서 함몰되도록 마련되는 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밸브 바디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실링 연장부의 단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실링 연장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실링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호스는, 상기 배수 포트와 상기 배수 커넥터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실링 부재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실링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사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커넥터는, 상기 실링 부재의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실링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사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홀더를 향하는 일 측 하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결합부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밸브 바디와 상기 플랩을 연결하는 힌지로서,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일 측의 반대 측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포트는, 상기 배수 커넥터가 상기 포트 바디에 삽입되는 중에 상기 배수 커넥터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배수 커넥터가 상기 포트 바디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수 커넥터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배수 커넥터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 실링 돌기, 또는 상기 홀더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2 실링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포트 바디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포트 바디와 상기 포트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배수 포트 및 상기 배수 포트 내의 세척수를 외부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배수 호스로서, 호스 바디와 상기 호스 바디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 포트에 제1 방향으로 결합되는 배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수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커넥터는, 상기 배수 포트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 기기는, 상기 배수 커넥터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하도록 마련되는 체크 밸브 및 상기 체크 밸브를 상기 배수 커넥터에 고정시키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홀더 바디와, 상기 홀더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 커넥터의 일단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수 커넥터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커넥터는, 상기 배수 커넥터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장부에 형성되는 돌기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상이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상기 세척수의 유동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배수 커넥터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사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사이드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수 커넥터의 외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는 개선된 배수 호스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클램프 없이 배수 호스를 배수 포트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수 호스의 표면에는 파팅 라인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르면, 배수 호스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섬프 어셈블리의 저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 하우징과, 배수 호스와, 배수 펌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일 예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수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배수 장치의 절개 분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호스의 호스 바디와 배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호스의 체크 밸브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호스의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배수 호스의 홀더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와 홀더가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체크 밸브와 홀더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체크 밸브와 홀더의 조립체가 호스 바디와 배수 커넥터의 조립체에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부재가 도 17에 도시된 호스 바디, 배수 커넥터, 체크 밸브 및 홀더의 조립체에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호스가 배수 포트에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배수 호스가 배수 포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호스가 배수 포트에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배수 호스가 배수 포트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배수 호스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수 포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와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후 방향", "전방", "후방", "상측", "하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하 방향", "높이 방향" 및 "수직 방향"은 Z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수평 방향"은 X-Y 평면에 따른 모든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내용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는 배수 호스(420) 및 배수 호스(420)를 갖는 가전기기(1)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1)에는, 식기세척기, 세탁기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3에서, 식기세척기의 일 예(1a)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도 24에서, 세탁기의 일 예(1b)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에 따른 배수 호스(420)는, 배수 기능을 갖는 모든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배수 호스(420)는, 본체 내부에 남아있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측면에서 실외기, 실내기, 가습기, 건조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a)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식기세척기(1a)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a)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12)를 포함할 수 있다. 터브(12)는 대략 박스(box)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브(12)의 일 측은 개방될 수 있다. 즉, 터브(12)는 개방부(12a)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브(12)의 전방은 개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a)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는 터브(12)의 개방부(12a)를 개폐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11)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어(11)는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a)는 식기가 수납되도록 터브(12)의 내부에 마련되는 수납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용기는 복수의 바스켓(51, 52, 5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 52, 53)은 다양한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납용기는 단일의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용기는, 식기세척기(1a)의 높이 방향으로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바스켓(52)과, 식기세척기(1a)의 높이 방향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바스켓(51)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바스켓(52)은 중간 가이드랙(13b)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부 바스켓(51)은 하부 가이드랙(13a)에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간 가이드랙(13b) 및 하부 가이드랙(13a)은 터브(12)의 개방부(12a)를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터브(12)의 측면(12c)에 설치될 수 있다. 터브(12)의 측면(12c)은 터브(12)의 우측벽의 내면 및/또는 좌측벽의 내면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복수의 바스켓(51, 52)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바스켓(51, 52)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바스켓(51, 52)에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식기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 또한 수납될 수 있다.
수납용기는 식기세척기(1a)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바스켓(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스켓(53)은 랙 어셈블리(rack assembly) 형태로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바스켓(53)에는 국자, 칼, 뒤집개 등과 같은 조리 도구 내지 커트러리(cutlery)가 수납될 수 있다. 상부 바스켓(53)에는 에스프레소 잔과 같은 작은 컵이 수납될 수 있다. 다만, 상부 바스켓(53)에 수납되는 식기의 종류는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부 바스켓(53)은 상부 가이드랙(13c)에 의해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랙(13c)은 터브(12)의 측면(12c)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바스켓(53)은 상부 가이드랙(13c)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세척실(C)로 인입되거나 세척실(C)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a)는 터브(12)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인 세척실(C)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실(C)은 터브(12)의 내측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세척실(C)은 세척수에 의해 수납용기에 거치된 식기가 세척되고 건조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1a)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장치(40)는 세척실(C)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 장치(40)는 수납용기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 장치(40)는 후술할 섬프 어셈블리(7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분사 장치(40)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장치(40)는 하나의 분사 유닛 또는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은, 식기세척기(1a)의 높이 방향으로 하부 바스켓(5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분사 유닛(41)과, 식기세척기(1a)의 높이 방향으로 중간 바스켓(5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분사 유닛(42)과, 식기세척기(1a)의 높이 방향으로 상부 바스켓(53)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3 분사 유닛(4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분사 유닛은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 각각은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분사 유닛(41), 제2 분사 유닛(42), 제3 분사 유닛(43) 각각은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유닛(41, 42, 43)은 복수의 분사 로터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분사 유닛(41), 제2 분사 유닛(42) 및 제3 분사 유닛(43) 각각은, 제1 분사 로터(41), 제2 분사 로터(42) 및 제3 분사 로터(43)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분사 장치(40)는 상술한 예와 다른 방식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사 유닛(41)은, 제2 분사 유닛(42) 및 제3 분사 유닛(43)과 달리, 터브(12)의 하면(12b)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분사 유닛(41)은 고정된 노즐에 의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고, 제1 분사 유닛(41)의 노즐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실(C) 내부에 배치되는 전환 어셈블리(미도시)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측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전환 어셈블리는 레일(미도시) 상에 설치되며, 레일을 따라 병진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 분사 유닛(41)에 대한 예로서 설명했으나, 제2 분사 유닛(42)과 제3분사 유닛(43) 역시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고정된 노즐을 이용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a)는 보조 분사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분사 장치(30)는 세척실(C)의 하부 일측에 배치되어 세척실(C)의 일부 영역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보조 분사 장치(30)는 분사 장치(40)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압인 물을 분사하도록 설계되어 오염이 심한 식기를 집중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보조 분사 장치(30)는 보조 분사 유닛(30)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보조 분사 장치(30)는 생략 가능하다.
식기세척기(1a)는 섬프 어셈블리(70)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세척실(C)의 세척수를 집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프 어셈블리(70)의 원활한 집수를 위해 터브(12)의 하면(12b)은 섬프 어셈블리(7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세척실(C)의 세척수는, 터브(12)의 하면(12b)의 경사를 타고 흘러 섬프 어셈블리(7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a)는 섬프 어셈블리(70)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 장치(40)로 펌핑하는 순환 펌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펌프(500)는 섬프 어셈블리(7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a)는 섬프 어셈블리(70)에 남아 있는 세척수 및/또는 이물질(예를 들어, 음식물 찌꺼기 등)을 배수하는 배수 펌프(6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펌프(600)는 섬프 어셈블리(7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집수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분사 장치(40)로 제공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집수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보조 분사 장치(30)로 제공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분사 장치(40) 및/또는 보조 분사 장치(30)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분사 장치(40)와 연결되는 연결 포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포트(310)는 후술할 섬프 커버(300, 도 3 참조)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연결 포트(310)는 제1 분사 유닛(41)과 연결되는 제1 연결 포트(311), 제2 분사 유닛(42)과 연결되는 제2 연결 포트(312), 제3 분사 유닛(43)과 연결되는 제3 연결 포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포트(312)는 제1 덕트에 의해 제2 분사 유닛(42)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연결 포트(313)는 제2 덕트에 의해 제3 분사 유닛(43)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덕트와 제2 덕트는, 상호 개별적인 덕트로 마련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덕트(14)로 마련될 수 있다. 덕트(14)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포트(310)는 보조 분사 장치(30)와 연결되는 제4 연결 포트(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연결 포트(314)는 보조 분사 장치(30)의 유무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식기세척기(1a)는 터브(12)의 아래에 마련되는 공간인 기계실(L)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L)은 세척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구성이 배치되는 곳일 수 있다. 식기세척기(1a)는 기계실(L)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1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프 어셈블리(70)의 적어도 일부는 기계실(L)에 배치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의 대부분은 기계실(L)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섬프 어셈블리(70)의 면적 중 세척실(C)에 위치하는 면적은, 섬프 어셈블리(70)의 면적 중 기계실(L)에 위치하는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세척실(C)을 차지하는 섬프 어셈블리(70)의 면적을 줄임으로써, 세척실(C)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세척실(C)의 용량이 증가되어, 식기 수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1a)는 필터 어셈블리(6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60)는 섬프 어셈블리(70)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60)는 섬프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60)는 저수 챔버(111, 도 3 참조)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 어셈블리(60)는 파인 필터(fine filter), 코스 필터(coarse filter) 또는 마이크로 필터(micro fil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섬프 어셈블리의 저면도이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섬프 본체(71)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본체(71)는 섬프 어셈블리(7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섬프 본체(71)에는 세척수를 집수, 순환, 공급하기 위한 구성들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프 본체(71)는 섬프 하우징(100)과 섬프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하우징(100)은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 하우징(100)은 세척수를 저수하도록 마련되는 저수 챔버(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저수 챔버(111)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저수 챔버(111)는, 급수관(미도시)으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수용하거나, 터브(12)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 하우징(100)은 분사 장치(40)로 제공되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분배 챔버(121)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챔버(121)는 저수 챔버(111)로부터 구획될 수 있다. 분배 챔버(121)는, 저수 챔버(111)에 저수된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분배 챔버(121)에 수용된 세척수는, 분배 장치(200, 도 4)를 통해, 분사 장치(40)로 분배될 수 있다. 분배 장치(200)는 복수의 분사 유닛에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배 장치(200)는 섬프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배 장치(200)는 섬프 어셈블리(7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배 장치(200)는 섬프 어셈블리(70)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섬프 하우징(100)은, 저수 챔버(111)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1 섬프 바디(110)와, 분배 챔버(121)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제2 섬프 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프 하우징(100)은 제3 섬프 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섬프 바디(130)는, 제1 섬프 바디(110)와 제2 섬프 바디(120)를 제외한 섬프 하우징(100)의 외관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섬프 바디(130)는, 제1 섬프 바디(110)와 제2 섬프 바디(120)를 연결하는 베이스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섬프 바디(130)는, 베이스부(13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커버(300)는 섬프 하우징(100)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 커버(300)는 섬프 하우징(100)의 상부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 커버(300)는 연결 포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순환 펌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 펌프(500)는 섬프 하우징(100)에 저수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분사 장치(40)로 전달할 수 있다. 순환 펌프(500)는 섬프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순환 펌프(500)는 섬프 하우징(100)의 순환 펌프 연결부(1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순환 펌프(500)는 저수 챔버(111)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순환 펌프(500)는 기계실(L)에 배치될 수 있다.
섬프 어셈블리(70)는 배수 펌프(6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펌프(600)는 섬프 하우징(100)에 저수된 세척수와 이물질을 배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 펌프(600)는 섬프 하우징(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수 펌프(600)는 섬프 하우징(100)의 배수 펌프 연결부(14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수 펌프(600)는 저수 챔버(111)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 펌프(600)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섬프 어셈블리(70)의 구성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배수 펌프(600)는 기계실(L)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펌프(600)는 후술할 배수 장치(40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펌프 연결부(142)는 후술할 배수 장치(40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a)(또는, 가전기기(1))는 배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하우징은 터브(12)의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하우징은 섬프 어셈블리(7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하우징은 섬프 하우징(10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하우징은 배수 펌프 연결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펌프 연결부(142)에는 배수 펌프(60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배수 펌프 연결부(142)는 저수 챔버(111)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배수 펌프 연결부(142)가 저수 챔버(1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수 펌프 연결부(142)는 저수 챔버(111)와 별개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펌프 연결부(142)는 중간 부재(예를 들어, 연결 호스 등)에 의해 저수 챔버(111)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하우징은 후술할 배수 포트(4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포트(410)에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 호스(4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배수 포트(410)는 저수 챔버(111)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배수 포트(410)가 저수 챔버(1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수 포트(410)는 저수 챔버(111)와 별개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포트(410)는 중간 부재(예를 들어, 연결 호스 등)에 의해 저수 챔버(111)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 펌프 연결부(142)와 배수 포트(4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 펌프 연결부(142)와 배수 포트(410)는 별개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상호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배수 하우징은 식기세척기(1a) 뿐만 아니라 후술할 세탁기(1b)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섬프 하우징과, 배수 호스와, 배수 펌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일 예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수 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배수 장치의 절개 분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호스의 호스 바디와 배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호스의 체크 밸브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호스의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배수 호스의 홀더의 절개 사시도이다.
식기 세척기(1a)는 배수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장치(400)는 식기 세척기(1a) 내부의 세척수를 배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 장치(400)는 터브(12) 내부의 세척수를 배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 장치(400)는 저수 챔버(111) 내부의 세척수를 배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장치(400)는 배수 포트(410)와 배수 호스(4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장치(400)는 배수 호스 어셈블리(400), 배수 가이드(400)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배수 호스(420)가 배수 포트(410)에 결합되는 방향을 제1 방향(A)으로 지칭하고, 제1 방향(A)의 반대 방향을 제2 방향(B)으로 지칭할 수 있다. 제2 방향(B)은 세척수가 배수 호스(420)를 따라 유동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축 방향은, 제1 방향(A) 및 제2 방향(B)을 포함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 장착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수 포트(410)는 배수 호스 연결부(410)로 지칭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배수 포트(410)가 섬프 하우징(100)과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수 포트(410)는 섬프 하우징(100)과 별개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포트(410)는 섬프 하우징(100)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배수 포트(410)는 섬프 하우징(100)의 제1 섬프 바디(110)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수 포트(410)는 섬프 하우징(100)과 분리된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포트(410)는 터브(12)에 연결되어, 터브(12) 내의 세척수를 배수 호스(420)로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배수 포트(410)는 터브(12)에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중간 부재 등을 통해 터브(12)에 간접 연결될 수 있다.
배수 포트(410)는 터브(12)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포트(410)는 저수 챔버(111)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포트(410)는, 배수 펌프 연결부(142)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 펌프(600)가 펌프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저수 챔버(111)에 남아있는 세척수와 이물질은, 배수 펌프 연결부(142)를 통과하여 배수 포트(410)로 유입될 수 있다. 배수 포트(410)로 유입된 세척수와 이물질은, 배수 호스(420)를 통해, 식기세척기(1a)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 포트(410)는 저수 챔버(111)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저수 챔버(111)에 남아있는 세척수와 이물질은, 저수 챔버(111)보다 하측에 배치된 배수 포트(41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즉, 식기세척기(1a)의 배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 포트(410)는 포트 바디(411)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 바디(411)는 배수 포트(4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 바디(411)는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포트 바디(411)는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 바디(411)는 배수 펌프(600)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브(12)의 세척수는 저수 챔버(111)에 저수되고, 저수 챔버(111)에 저수된 세척수는 포트 바디(411)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배수 포트(410)는 걸림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412)는 포트 바디(411)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412)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걸림부(412)는 2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걸림부(412)는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배수 포트(410)는 제1 경사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사부(413)는 걸림부(412)에 형성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제1 경사부(413)를 따라 배수 포트(41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걸림부(412)의 제1 경사부(413)에 의해 배수 포트(410)에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배수 포트(410)는 제1 가이드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414)는 배수 커넥터(422)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414)는 배수 커넥터(422)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부(414)는 배수 커넥터(422)가 포트 바디(411)에 삽입되는 중에 배수 커넥터(42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414)는 배수 커넥터(422)가 포트 바디(41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배수 커넥터(42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414)는, 배수 커넥터(422)가 배수 포트(4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배수 커넥터(42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부(414)는, 배수 커넥터(422)가 포트 바디(4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수 커넥터(422)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부(414)는 일종의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로써, 배수 커넥터(422)는 배수 포트(4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배수 호스(420)의 조립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부(414)는 배수 호스(420)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부(414)는 배수 호스(420)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414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414)는 제1 가이드 돌기(414)로 지칭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 제1 방향(A)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로부터 제2 방향(A)으로 분리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호스 바디(421)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 바디(421)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 바디(421) 의 적어도 일부는 세척수의 유동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 바디(421)는 주름관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휘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호스 바디(421)는 세척수를 제2 방향(B)으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호스 바디(421)의 일단(421a)은 후술할 배수 커넥터(42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 바디(421)의 일단(421a)은 배수 커넥터(4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호스 바디(421)의 일단(421a)은 배수 커넥터(422)의 타단(422b)과 인서트 사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호스 바디(421)의 일단(421a)은 배수 커넥터(422)의 타단(422b)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호스 바디(421)의 타단(421b)은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호스 바디(421)의 타단(421b)은 식기세척기(1a)(또는 가전기기(1))의 외부로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호스 바디(421)의 타단(421b)은, 식기세척기(1a)(또는 가전기기(1))의 내부에 마련된 물통(미도시)에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배수 호스(420)는 배수 커넥터(4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는 호스 바디(421)의 일단(421a)에 마련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는 호스 바디(421)의 일단(421a)에 연결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의 타단(422b)은 호스 바디(421)의 일단(421a) 외주면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커넥터(422)는 호스 바디(42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수 커넥터(422)와 호스 바디(421)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는 커넥터 바디(422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바디(4221)는 배수 커넥터(42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바디(4221)는 배수 포트(41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아우터 커넥터부(4221a)와 배수 포트(41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이너 커넥터부(4221b)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는, 배수 포트(410)의 외측면과 배수 포트(410)의 내측면 모두에 결합될 수 있는 바, 배수 포트(4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는 걸림 후크(422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후크(4222)는 배수 포트(410)의 외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걸림 후크(4222)는 배수 포트(410)의 걸림부(412)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 후크(4222)는 아우터 커넥터부(4221a)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걸림 후크(4222)는, 배수 커넥터(422)가 배수 포트(410)의 포트 바디(411)으로 삽입됨에 따라, 배수 포트(410)의 걸림부(412)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 후크(4222)는, 배수 커넥터(422)가 포트 바디(411)에 제1 방향(A)으로 삽입됨에 따라, 걸림부(412)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 후크(4222)는, 배수 커넥터(422)가 포트 바디(411)에 제1 방향(A)으로 결합됨에 따라, 걸림부(412)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걸림 후크(4222)는 후크 바디(4222a)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바디(4222a)는 커넥터 바디(42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후크 바디(4222a)는 배수 커넥터(422)의 외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후크 바디(4222a)는 배수 포트(4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후크(4222)는 걸림 돌기(4222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4222b)는 후크 바디(4222a)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돌기(4222b)는 상기 걸림부(41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걸림 돌기(4222b)는 걸림부(412)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 돌기(4222b)는 걸림부(412)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 돌기(4222b)는 걸림부(412)에 체결될 수 있다. 걸림 돌기(4222b)가 걸림부(412)에 걸린 상태에서, 배수 커넥터(422)는 배수 포트(4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는 제2 경사부(422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후크(4222)는 제2 경사부(422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의 제2 경사부(4223)가 배수 포트(410)의 제1 경사부(413)를 따라 조립됨에 따라,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경사부(4223)는 제1 경사부(413)를 타고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경사부(4223)는 제1 경사부(413) 상에서 제1 방향(A)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경사부(4223)는 제1 경사부(413)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후크(4222)는, 제2 경사부(4223)가 제1 경사부(413) 상에서 슬라이딩함에 따라 벌려지도록 마련되고, 걸림 돌기(4222b)가 걸림부(412)에 걸림에 따라 오므라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는 제2 가이드부(4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224)는 배수 포트(410)의 제1 가이드부(414)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부(4224)는 제1 가이드부(414)의 돌기(414a)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수용홈(422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224)는 제2 가이드 홈(4224)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가이드부(4224)가 돌기를 포함하고 제1 가이드부(414)가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 포트(410)의 제1 가이드부(414)와 배수 커넥터(422)의 제2 가이드부(4224)는, 하방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414)는 배수 포트(4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4224)는 배수 커넥터(42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작업자 등은, 제1 가이드부(414)와 제2 가이드부(4224)를 대응시킴으로써, 배수 커넥터(422)를 배수 포트(410)에 올바른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배수 호스(420)를 배수 포트(410)에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수 포트(410)의 제1 가이드부(414)와 배수 커넥터(422)의 제2 가이드부(4224)는, 상방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의 실링 부재 장착부(422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 장착부(4224)는 배수 커넥터(422)의 일단(422a)에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 장착부(4225)에는 후술할 실링 부재(425)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실링 부재 장착부(4225)에는 후술할 실링 부재(425)가 끼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 장착부(4225)는 대략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 장착부(4225)에는 언더컷(undercut)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 장착부(4225)는 스무스(smooth)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수 커넥터(422)는 분할되는 금형에 의해 제작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배수 커넥터(422)의 표면에는 파팅 라인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배수 커넥터(422)는 파팅 라인 없이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커넥터(422)는 강제 취출의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수 커넥터(422)는, 파팅 라인 없이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언더컷 형상을 갖는 부품 제작 시에 고가의 금형이 필요할 수 있으며, 부품 표면에 파팅 라인이 남을 수 있다. 파팅 라인에는 단차 및/또는 버(burr)가 형성될 수 있고, 단차 및/또는 버(burr)가 형성된 부분에서 세척수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 따르면, 배수 커넥터(422)의 표면에는 파팅 라인이 형성되지 않는 바, 파팅 라인에서 발생하는 세척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는 사이드부(422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부(4226)는 실링 부재 장착부(4225)에 결합된 실링 부재(425)의 제2 방향(B)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사이드부(4226)는, 실링 부재 장착부(4225)와 단차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부(4226)는 실링 부재 장착부(422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사이드부(4226)는 제2 사이드부(4226)로 지칭될 수 있다. 사이드부(4226)는 제2 사이드월(4226)로 지칭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는 결합 돌기(4227)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돌기(4227)는 배수 커넥터(422)의 일단(422a)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결합 돌기(4227)는 배수 커넥터(422)의 일단(422a)으로부터 배수 포트(410)를 향해 제1 방향(A)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결합 돌기(4227)는 배수 커넥터(422)의 일단(422a)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결합 돌기(4227)는 후술할 홀더(424)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돌기(4227)는 홀더(424)의 돌기 삽입부(424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돌기(4227)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4227)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상이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결합 돌기는, 제1 결합 돌기(4227a)와 제2 결합 돌기(422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4227a)의 원주 방향에 따른 길이는, 제2 결합 돌기(4227b)의 원주 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4227a)는 후술할 홀더(424)의 제1 돌기 삽입부(4243a)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4227b)는 후술할 홀더(424)의 제2 돌기 삽입부(4243b)에 대응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 커넥터(422)와 홀더(424)는 올바르게 정렬된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는 커넥터 고정부(422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고정부(4228)에는 후술할 홀더(424)가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 고정부(4228)는 후술할 홀더(424)의 홀더 고정부(4245)와 대응될 수 있다. 커넥터 고정부(4228)는 배수 커넥터(42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고정부(4228)는 배수 커넥터(422)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고정부(4228)은 배수 커넥터(422)의 내측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고정부(4228)는 고정 홈(4228)으로 지칭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체크 밸브(423)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423)는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체크 밸브(423)는 세척수의 제2 방향(B)으로의 유동만을 허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체크 밸브(423)는 배수 커넥터(42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크 밸브(423)는 고무 또는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크 밸브(423)가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기만 한다면, 체크 밸브(423)은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423)는 밸브 바디(4231)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바디(4231)는 배수 커넥터(42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바디(4231)는 배수 커넥터(422)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밸브 바디(4231)는 홀더(424)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바디(4231)는 홀더(424)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바디(4231)은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423)는 플랩(423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랩(4232)은 밸브 바디(4231)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플랩(4232)은 배수 커넥터(422) 내부에 형성된 배수 유로(422c)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플랩(4232)은 세척수가 제2 방향(B)으로 유동하도록 배수 유로(422c)를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랩(4232)은 밸브 바디(4231)에 대해 회동함으로써 배수 유로(422c)를 개폐할 수 있다.
체크 밸브(423)는 힌지(4233)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4233)는 밸브 바디(4231)와 플랩(4232)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플랩(4232)의 상측 일부는, 힌지(4233)를 통해, 밸브 바디(4231)에 연결될 수 있다. 플랩(4232)은, 힌지(4233)를 중심으로, 밸브 바디(4231)에 대해 회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체크 밸브(423)는 제1 결합부(42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4236)은 후술할 홀더(424)의 제2 결합부(4246)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4236)와 제2 결합부(4246)가 대응됨에 따라,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는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4236)는 홈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4236)는 밸브 바디(4231)의 홀더(424)를 향하는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236)는 밸브 바디(423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4233)는 밸브 바디(4231)의 일 측의 반대 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4236)가 하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힌지(4233)는 상방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부(4236)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힌지(4233)는 하방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체크 밸브(423)는 안착부(4234)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4234)는 후술할 홀더(424)의 제2 홀더 플랜지(4244)의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단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4234)는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단부와 밀착될 수 있다.
체크 밸브(423)는 실링 경사부(42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경사부(4235)는 안착부(4234)로부터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경사부(4235)는 안착부(4234)로부터 제1 방향(A)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링 경사부(4235)는 후술할 홀더(424)의 제2 홀더 플랜지(4244)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 경사부(4235)는 후술할 홀더(424)의 제2 홀더 플랜지(4244)의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 경사부(4235)는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외측면와 밀착될 수 있다. 실링 경사부(4235)는 제1 방향(A)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링 경사부(4235)는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424)는 실링 경사부(4235)에 의해 체크 밸브(423)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424)의 제2 홀더 플랜지(4244)는 실링 경사부(4235)를 따라 체크 밸브(423)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가 완전히 결합한 경우,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단부는 안착부(4234)에 안착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가 완전히 결합한 경우,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단부는 안착부(4234)와 접촉할 수 있다.
체크 밸브(423)는 제1 실링 돌기(42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돌기(4237)는 배수 커넥터(422)와 밸브 바디(4231)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실링 돌기(4237)는 배수 커넥터(422)와 밸브 바디(4231) 사이 세척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 돌기(4237)는 배수 커넥터(422)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밸브 바디(423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체크 밸브(423)는 제2 실링 돌기(42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링 돌기(4238)는 홀더(424)와 밸브 바디(4231)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실링 돌기(4238)는 홀더(424)와 밸브 바디(4231) 사이 세척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링 돌기(4238)는 홀더(424)의 제2 홀더 플랜지(4244)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밸브 바디(423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홀더(424)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424)는, 체크 밸브(423)를 배수 커넥터(422)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424)는 배수 커넥터(422)의 일단(422a)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홀더(424)의 일부는, 배수 커넥터(422)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홀더(424)는 홀더 바디(4241)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바디(4241)는 배수 커넥터(42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바디(4241)는 배수 커넥터(422)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홀더(424)는 홀더 바디(4241)의 일단에 마련되는 제1 홀더 플랜지(4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 플랜지(4242)는 홀더 바디(4241)의 배수 포트(410)를 향하는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홀더 플랜지(4242)는 홀더 바디(424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수 커넥터(422)의 일단(422a)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홀더 플랜지(424)는 고리(ring)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홀더 플랜지(4242)는, 제1 연장부(4242a)와 제2 연장부(424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4242a)는 배수 커넥터(422)의 일단(422a)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장부(4242a)는 홀더 바디(4241)의 일단(422a)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4242b)는 제1 연장부(4242a)로부터 연장되어 배수 커넥터(422)의 외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연장부(4242b)는 제1 연장부(4242a)로부터 제2 방향(B)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제2 연장부(4242b)는 실링 부재(425)의 제1 방향(A)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장부(4242b)는 실링 부재 장착부(4225)에 결합된 실링 부재(425)의 제1 방향(A)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424), 실링 부재(425) 및 배수 커넥터(422)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연장부(4242b)는 실링 부재(425)의 제1 방향(A)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장부(4242b)는 실링 부재 장착부(422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제2 연장부(4242b)는 제1 사이드부(4242b)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연장부(4242b)는 제1 사이드월(4242b)로 지칭될 수 있다.
홀더(424)는 돌기 삽입부(424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 삽입부(4243)는 배수 커넥터(422)의 결합 돌기(4227)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의 결합 돌기(4227)는 돌기 삽입부(4243)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424)와 체크 밸브(423)가 결합된 상태에서, 홀더(424)의 돌기 삽입부(4243)는 배수 커넥터(422)의 결합 돌기(4227)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홀더(424)는 체크 밸브(423)를 배수 커넥터(422)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돌기 삽입부(4243)는 배수 커넥터(422)의 결합 돌기(4227)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 삽입부(4243)는 제1 연장부(4242a)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 삽입부(4243)는 제1 방향(A)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 삽입부(4243)는 제1 연장부(4242a)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 삽입부(4243)는 홀(hole)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기 삽입부(4243)는 배수 커넥터(422)의 결합 돌기(4227)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돌기 삽입부(4243)는 홈(groov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 삽입부(4243)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삽입부(4243)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상이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돌기 삽입부(4243)는, 제1 돌기 삽입부(4243a)와 제2 돌기 삽입부(424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 삽입부(4243a)는 제1 결합 돌기(4227a)와 대응될 수 있다. 제2 돌기 삽입부(4243b)는 제2 결합 돌기(4227b)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 등은 복수의 돌기 삽입부(4243)와 복수의 결합 돌기(4227)를 매칭시킴으로써, 배수 커넥터(422)와 홀더(424)의 조립 방향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 결국, 배수 커넥터(422)와 홀더(424)는 올바르게 정렬된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으며, 배수 호스(420)의 조립성은 향상될 수 있다.
홀더(424)는 홀더 바디(4241)의 타단에 마련되는 제2 홀더 플랜지(42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더 플랜지(4244)는 홀더 바디(4241)의 배수 커넥터(422)를 향하는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홀더 플랜지(4244)는 홀더 바디(4241)의 체크 밸브(423)를 향하는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홀더 플랜지(4244)는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홀더 플랜지(4244)는, 체크 밸브(423)와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제2 홀더 플랜지(4244)는, 제1 실링 연장부(4244a)와 제2 실링 연장부(424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링 연장부(4244a)는 체크 밸브(423)의 밸브 바디(4231)와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실링 연장부(4244a)는 체크 밸브(423)의 실링 경사부(4235)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링 연장부(4244a)는 제1 방향(A)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실링 연장부(4244a)는 경사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경사 영역은, 후술할 제1 직경(d1)을 갖는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일측과 제2 직경(d2)을 갖는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타측 사이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경사 영역의 경사도는 크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홀더(424)의 제2 홀더 플랜지(4244)는 강제 취출 방식으로 제작 가능하며, 홀더(424)의 표면에는 파팅 라인이 남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일측은 제1 직경(d1)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타측은 제1 직경(d1)보다 큰 제2 직경(d2)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타측은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단부일 수 있다.
제2 실링 연장부(4244b)는 체크 밸브(423)의 플랩(4232)과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실링 연장부(4244b)의 단부는 제3 직경(d3)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직경(d3)은 제1 직경(d1)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직경(d3)은 제2 직경(d2)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홀더 플랜지(4244)는 제1 실링 연장부(4244a)와 제2 실링 연장부(4244b) 사이에서 함몰된 홈부(4244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부(4244c)는 제1 방향(A)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부(4244c)는 홀더(424)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홈부(4244c)는 제4 직경(d4)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직경(d4)은 제1 직경부(d1)보다 작을 수 있다. 제4 직경(d4)은 제2 직경(d2)보다 작을 수 있다. 제4 직경(d4)은 제3 직경(d3)보다 클 수 있다.
상술한 제2 홀더 플랜지(4244)는, 제1 실링 연장부(4244a), 제2 실링 연장부(4244b) 및 홈부(4244c)를 포함함으로써, 체크 밸브(423)에 보다 밀착될 수 있다. 즉, 제2 홀더 플랜지(4244)의 밀봉력이 향상될 수 있다.
홀더(424)는 홀더 고정부(4245)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고정부(4245)는 커넥터 고정부(4228)에 고정될 수 있다. 홀더 고정부(4245)는 커넥터 고정부(4228)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 고정부(4245)는 홀더 바디(4241)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홀더 고정부(4245)는 홀더 바디(421)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 고정부(4245)는 고정 돌기(4245)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와 도시된 바와 반대로, 홀더 고정부(4245)가 홈으로 형성되고, 커넥터 고정부(4228)가 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424)는 제2 결합부(42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4246)는 체크 밸브(423)의 제1 결합부(4236)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4236)와 제2 결합부(4246)가 대응됨에 따라,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는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4246)는 돌기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부(4246)는 홀더 바디(4241)의 체크 밸브(423)를 향하는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부(4246)는 제1 결합부(4236)와 대응되도록 홀더 바디(4241)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와 도시된 바와 반대로, 제1 결합부(4236)가 돌기로 형성되고, 제2 결합부(4246)가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실링 부재(425)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425)는 배수 호스(420)와 배수 포트(410) 사이의 세척수 누수를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425)는 고리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링 부재(425)는 고무 또는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링 부재(425)는 다양한 형상 및/또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 부재(425)는 배수 커넥터(422)에 장착될 수 있다. 실링 부재(425)는 배수 커넥터(422)의 실링 부재 장착부(422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실링 부재(425)는 배수 커넥터(422)의 실링 부재 장착부(4225)에 끼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장치의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 결합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 삽입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의 커넥터 바디(4221)의 적어도 일부는 배수 포트(4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바디(4221)의 아우터 커넥터부(4221a)는 배수 포트(410)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의 커넥터 바디(4221)의 적어도 일부는 배수 포트(4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 바디(4221)의 이너 커넥터부(4221b)는 배수 포트(41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의 내부에는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424)는 체크 밸브(423)를 배수 커넥터(422)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체크 밸브(423)의 밸브 바디(4231)는, 배수 커넥터(422)를 측방으로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랩(4232)은 밸브 바디(4231)의 밀봉력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링 돌기(4237)는 밸브 바디(4231)의 반경 방향으로 배수 커넥터(422)의 내측면을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체크 밸브(423)의 밸브 바디(4231)는, 홀더(424)의 제2 홀더 플랜지(4244)를 측방으로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랩(4232)은 밸브 바디(4231)의 밀봉력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링 돌기(4238)는 밸브 바디(4231)의 반경 방향으로 제2 홀더 플랜지(4244)의 외측면을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424)의 홀더 바디(4241)는 배수 커넥터(424)의 내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홀더(424)의 홀더 고정부(4245)는 배수 커넥터(424)의 커넥터 고정부(4228)와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424)의 제1 홀더 플랜지(4242)는 배수 커넥터(422)의 일단(422a)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424)의 제1 홀더 플랜지(4242)는 배수 커넥터(422)의 일단(422a)을 측방으로 잡아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424)의 제1 홀더 플랜지(4242)는 배수 커넥터(422)의 일단(422a)을 배수 커넥터(422)의 반경 방향으로 잡아주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홀더 플랜지(4242)의 돌기 삽입부(4243)에는 배수 커넥터(424)의 결합 돌기(4227)가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 커넥터(422)와 홀더(424)는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홀더(424)의 제2 홀더 플랜지(4244)는 체크 밸브(423)와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424)와 체크 밸브(423)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실링 연장부(4244a)의 단부는 안착부(4234)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홀더(424)와 체크 밸브(423)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실링 연장부(4244b)의 단부는 플랩(4232)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425)는 배수 커넥터(422)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실링 부재(425)는 홀더(424)의 제1 사이드부(4242b)에 의해 제1 방향(A)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실링 부재(425)는 홀더(424)는 제2 사이드부(4226)에 의해 제2 방향(B)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실링 부재(425)는, 배수 포트(410)의 내측면과, 배수 커넥터(422)의 외측면과, 제1 사이드부(4242b)와, 제2 사이드부(4226)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실링 부재(425)는 외부 충격, 내부 수압 등에 의해서도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425)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와 홀더가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체크 밸브와 홀더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체크 밸브와 홀더의 조립체가 호스 바디와 배수 커넥터의 조립체에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 부재가 도 17에 도시된 호스 바디, 배수 커넥터, 체크 밸브 및 홀더의 조립체에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는 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크 밸브(423)의 제1 결합부(4236)과 홀더(424)의 제2 결합부(4246)는 서로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236)와 제2 결합부(4246)이 서로 대응됨에 따라, 제1 결합부(4236)와 제2 결합부(4246)는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4236)와 제2 결합부(4246)는 축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힌지가 하방을 향하는 경우에는, 체크 밸브는 중력 등에 의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를 통해 밸브 바디와 연결되지 않은 플랩의 일 부분은, 상방을 향하도록 마련되며 중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는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좋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크 밸브(423)의 제1 결합부(4236)와 힌지(4233)는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 등은,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를 조립시킨 후, 제1 결합부(4236)와 제2 결합부(4246)의 결합 부분이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킴으로써, 힌지(4233)가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제1 결합부(4236)와 제2 결합부(4246)를 통해, 힌지(4233)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4233)는 중력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도록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의 조립체는 배수 커넥터(422)에 정확히 결합될 수 있다. 결국, 배수 호스(420)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의 조립체(C1) 및 호스 바디(421)와 배수 커넥터(422)의 조립체(C2)는, 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조립체(C1)는 제1 조립체(C1)로 지칭될 수 있다. 조립체(C2)는 제2 조립체(C2)로 지칭될 수 있다.
홀더(424)의 홀더 고정부(4245)는 배수 커넥터(422)의 커넥터 고정부(4228)에 고정될 수 있다. 홀더(424)의 돌기 삽입부(4243)에는 배수 커넥터(422)의 결합 돌기(4227)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기 삽입부(4243a)가 제1 결합 돌기(4227a)과 대응되고, 제2 돌기 삽입부(4243b)가 제2 결합 돌기(4227b)와 대응됨에 따라, 제1 조립체(C1)와 제2 조립체(C2)는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조립체(C1)와 제2 조립체(C2)는 축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호스 바디(421), 배수 커넥터(422), 체크 밸브(423) 및 홀더(424)의 조립체(C3)와, 실링 부재(425)는, 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조립체(C3)는 제3 조립체(C3)로 지칭될 수 있다. 실링 부재(425)는 배수 커넥터(422)의 실링 부재 장착부(425)에 장착될 수 있다. 실링 부재 장착부(425)의 일측에는 홀더(424)의 제1 사이드부(4242b)가 마련되고, 실링 부재(425)의 타측에는 홀더(424)의 제2 사이드부(4226)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425)는, 제1 사이드부(4242b)와 제2 사이드부(4226)에 의해, 실링 부재 장착부(425)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호스 바디(421), 배수 커넥터(422), 체크 밸브(423), 홀더(424) 및 실링 부재(425)의 조립체(C4)는, 배수 포트(410)에 대해 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조립체(C4)는 배수 호스(420)로 지칭될 수 있다. 배수 포트(410)의 제1 가이드부(414)와 배수 호스(420)의 제2 가이드부(4224)는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이로써, 배수 포트(410)와 배수 호스(420)의 결합 방향이 설정됨에 따라, 배수 포트(410)와 배수 호스(420)의 결합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배수 호스(420)가 배수 포트(410)에 조립 시, 실링 부재(425)는 홀더(424)의 제1 홀더 플랜지(4242)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호스(420)가 배수 포트(410)에 조립 시, 실링 부재(425)보다 제1 홀더 플랜지(424)가 배수 포트(410)와 먼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호스(420)가 배수 포트(4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실링 부재(425)가 배수 포트(410)의 내측면과의 마찰에 의해 배수 포트(410)와 오조립되거나 실링 부재 장착부(422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배수 커넥터(422)와,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호스의 구성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배수 호스의 조립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일체로 형성된 구성들 중 일부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전체의 구성들을 교체해야 하고, 문제가 없는 다른 구성들을 폐기해야 할 수 있다. 또한, 배수 호스의 구성들을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 인서트 사출하는 경우 제작 과정이 복잡해지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배수 호스(420)의 구성들은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커넥터(422)와,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는 일체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커넥터(422)와,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는 인서트 사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서트 사출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배수 커넥터(422)와,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의 조립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배수 커넥터(422)와, 체크 밸브(423)와, 홀더(424) 중 일부 구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일부 구성만을 교체할 수 있으며, 문제가 없는 다른 구성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도 20을 참조하면,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 결합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 제1 방향(A)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는 포트 바디(411)에 제1 방향(A)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커넥터(422)의 걸림 후크(4222)는 배수 포트(410)의 걸림부(412)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호스(420)가 배수 포트(4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배수 커넥터(422)의 제2 경사부(4223)는, 배수 포트(410)의 제1 경사부(413)를 타고 제1 방향(A)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경사부(4223)는 제1 경사부(413)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경사부(4223)가 제1 경사부(413)를 타고 이동한 후, 걸림 돌기(4222b)는 걸림부(412)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 돌기(4222b)는 걸림부(412)에 걸림에 따라,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 대해 제2 방향(B)으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배수 호스(420)는 별도의 고정 부재 없이 배수 포트(41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호스(420)는 별도의 클램프 없이 배수 포트(4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프 사용으로 인한 오조립 등의 품질 이슈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작업을 위한 넓은 공간이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클램프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호스(420)는 별도의 지지 브래킷 등에 의해 다른 구성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배수 펌프(600)의 진동이 배수 호스(420)가 고정되는 상대물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호스가 배수 포트에 정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배수 호스가 배수 포트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배수 호스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배수 포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3에 따르면,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 호스(420)가 배수 포트(410)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배수 커넥터(422)는 배수 포트(410)의 포트 바디(411)에 결합될 수 있다. 배수 커넥터(422)의 걸림 후크(4222)는 배수 포트(410)의 걸림부(412)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 고정되어 배수 포트(4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배수 호스(420)와 배수 포트(4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스토퍼(415)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415)는 배수 호스(42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스토퍼(415)는, 배수 호스(420)의 회전 범위를 설정함에 따라, 배수 호스(420)가 배수 포트(410)에 정확히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스토퍼(415)가 배수 포트(410)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스토퍼(415)가 배수 호스(42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면, 그 형상 및/또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4에서는 전방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세탁기(1b)를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세탁기(1b)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는 탑 로딩(top loading) 세탁기일 수 있으며, 세탁기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따른 배수 어셈블리는, 다양한 방식의 세탁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세탁기(1b)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캐비닛(2)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3)와, 터브(3)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4)과, 드럼(4)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2)은 본체(2)로 지칭될 수 있다.
캐비닛(2)의 전방에는 드럼(4)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7)가 형성될 수 있다. 투입구(11)는 캐비닛(2)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8)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드럼(4)은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4a)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4)은 회전 시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4b)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4)과 구동 모터(5)는 연결부(6)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6)는 구동 모터(5)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드럼(4)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6)는, 샤프트, 풀리, 벨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b)는 배수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장치(400)는 배수 포트(410)와 배수 호스(4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브(3)와 배수 포트(410)는 연결 호스(9)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수 포트(410)는 터브(3)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배수 포트(410)는 터브(3)의 일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배수 호스(420)는 배수 포트(410)에 제1 방향(A)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수 행정 시, 터브(3) 내의 세척수는 배수 포트(410) 및 배수 호스(420)를 통해 제2 방향(B)으로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브(3) 내의 세척수는 배수 포트(410) 및 배수 호스(420)를 통해 캐비닛(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탁기(1b)의 배수 장치(40)는, 상술한 식기세척기(1a)의 배수 장치(40)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가전기기
1a: 식기세척기
1b: 세탁기
10: 본체
410: 배수 포트
420: 배수 호스

Claims (20)

  1. 터브;
    상기 터브의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되는 배수 하우징;
    상기 배수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세척수를 펌핑하도록 마련되는 배수 펌프;
    상기 배수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수 포트로서, 상기 배수 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포트 바디와, 상기 포트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배수 포트; 및
    상기 배수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도록 마련되는 배수 호스로서, 호스 바디와, 상기 호스 바디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 포트에 연결 가능한 배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수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커넥터는, 상기 포트 바디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 후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제1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제1 경사부를 타고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호스는,
    상기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체크 밸브와,
    상기 체크 밸브를 상기 배수 커넥터의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홀더로서, 상기 배수 커넥터의 일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배수 커넥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홀더 바디와,
    상기 홀더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수 커넥터의 일단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홀더 플랜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커넥터는, 상기 배수 커넥터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 플랜지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돌기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배수 커넥터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밸브 바디와,
    상기 배수 커넥터 내부에 형성된 배수 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밸브 바디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마련되는 플랩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배수 커넥터의 내부에 배치되는 홀더 바디와,
    상기 홀더 바디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홀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 플랜지는,
    상기 밸브 바디와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제1 실링 연장부와,
    상기 플랩과 밀착되도록 마련되는 제2 실링 연장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플랜지는,
    상기 제1 실링 연장부와 상기 제2 실링 연장부 사이에서 함몰되도록 마련되는 홈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밸브 바디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실링 연장부의 단부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로부터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 실링 연장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실링 경사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호스는, 상기 배수 포트와 상기 배수 커넥터 사이를 실링하도록 마련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실링 부재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실링 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사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 커넥터는, 상기 실링 부재의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실링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사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홀더를 향하는 일 측 하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결합부와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밸브 바디와 상기 플랩을 연결하는 힌지로서, 상기 밸브 바디의 상기 일 측의 반대 측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포트는, 상기 배수 커넥터가 상기 포트 바디에 삽입되는 중에 상기 배수 커넥터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배수 커넥터가 상기 포트 바디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배수 커넥터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배수 커넥터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1 실링 돌기, 또는
    상기 홀더의 외측면과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제2 실링 돌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후크는, 상기 포트 바디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6.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연결되는 포트 바디와, 상기 포트 바디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배수 포트; 및
    상기 배수 포트 내의 세척수를 외부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배수 호스로서, 호스 바디와, 상기 호스 바디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배수 포트에 제1 방향으로 결합되는 배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수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커넥터는, 상기 배수 포트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 후크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커넥터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하도록 마련되는 체크 밸브; 및
    상기 체크 밸브를 상기 배수 커넥터에 고정시키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홀더 바디와,
    상기 홀더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 커넥터의 일단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수 커넥터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커넥터는, 상기 배수 커넥터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장부에 형성되는 돌기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상이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가전기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상기 세척수의 유동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배수 커넥터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사이드부와,
    상기 사이드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수 커넥터의 외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KR1020220080946A 2022-06-30 2022-06-30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 KR20240002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946A KR20240002843A (ko) 2022-06-30 2022-06-30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
PCT/KR2023/004724 WO2024005317A1 (ko) 2022-06-30 2023-04-07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
US18/143,439 US20240000289A1 (en) 2022-06-30 2023-05-04 Drain hose and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946A KR20240002843A (ko) 2022-06-30 2022-06-30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843A true KR20240002843A (ko) 2024-01-08

Family

ID=8938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946A KR20240002843A (ko) 2022-06-30 2022-06-30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00289A1 (ko)
KR (1) KR20240002843A (ko)
WO (1) WO20240053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597B1 (ko) * 2011-01-05 2015-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호스와 이를 가지는 세척장치
DE102014207562A1 (de) * 2014-04-22 2015-10-22 E.G.O. Elektro-Gerätebau GmbH Pumpe
KR20200124976A (ko) * 2019-04-25 2020-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20210082809A (ko) * 2019-12-26 2021-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369279B1 (ko) * 2020-06-22 2022-03-02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액체 세제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0289A1 (en) 2024-01-04
WO2024005317A1 (ko)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435B1 (ko) 식기 세척기용 섬프 조립체 및 이와 관련된 방법
EP2059160B1 (en) Household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 dishwasher, comprising an upper hydraulic circuit
US20140216507A1 (en) Dishwasher
EP3613893B1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EP3582373A1 (en) Brushless dc motor and drain pump having the same
KR20130064624A (ko) 벽걸이형 미니 드럼세탁기
US20230027235A1 (en) Dishwasher
KR101861338B1 (ko) 벽걸이형 미니 드럼세탁기
KR102273290B1 (ko) 세탁기
KR20240002843A (ko)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
CN113226146A (zh) 餐具清洗机
KR102557404B1 (ko) 세탁기
KR100686118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US7640940B2 (en) Drive unit for dish washing machines
KR20200124976A (ko) 식기세척기
KR20240002849A (ko) 배수 어셈블리 및 가전기기
KR20240002845A (ko) 식기세척기
KR102493160B1 (ko) 세탁기
EP3682787B1 (en) Dishwasher
KR20240002847A (ko) 식기 세척기
CN218062690U (zh) 泵组件和电机组件
KR101861339B1 (ko) 벽걸이형 미니 드럼세탁기
KR102655311B1 (ko) 세탁기
KR101861336B1 (ko) 벽걸이형 미니 드럼세탁기
KR102456382B1 (ko) 세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