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279B1 - 액체 세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세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279B1
KR102369279B1 KR1020200075673A KR20200075673A KR102369279B1 KR 102369279 B1 KR102369279 B1 KR 102369279B1 KR 1020200075673 A KR1020200075673 A KR 1020200075673A KR 20200075673 A KR20200075673 A KR 20200075673A KR 102369279 B1 KR102369279 B1 KR 102369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valve
inlet
pisto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7633A (ko
Inventor
홍영문
Original Assignee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중천전화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279B1/ko
Publication of KR20210157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액체 세제 투입부에 고정 설치되고, 캠삽입부(110)가 관통 형성되면서 상방이 개구된 실린더(120)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120)의 하방에는 액체 세제의 유입구(130) 및 배출구(14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12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150)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캠삽입부(110)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된 모터(205)의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캠(cam, 200)과; 상기 캠(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실린더(120)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30)의 내부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흡입동작시 개방되는 유입개폐밸브(4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40)의 내부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토출동작시 개방되는 배출개폐밸브(500)와; 상기 유입구(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입개폐밸브(400)의 입력측에 결합된 유입구오링(610)에 의해 상기 유입구와 밀착 결합되면서 유입호스를 통하여 세제탱크와 연결되는 유입수단(600)과; 상기 배출구(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개폐밸브(500)의 출력측에 결합된 배출구오링(710)에 의해 상기 배출구와 밀착 결합되면서 배출호스를 통하여 상기 액체 세제 투입부와 연결되는 배출수단(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세제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liquid detergent}
본 발명은 액체 세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액체 세제 투입부에 액체 세제를 공급하도록 캠(cam)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이 직선 왕복운동하여 흡입 또는 토출 동작되고, 액체 세제의 유입 및 배출을 조절하는 유입개폐밸브 및 배출개폐밸브 각각이 모듈화된 액체 세제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나 식기세척기는 세탁물 또는 식기 등을 자동적으로 세척하기 위해 세제와 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기기로, 통상적으로 세제(세탁기의 경우에는 섬유 유연제나 정전기 방지제를 포함)는 분말 또는 액체 세제가 사용된다.
이러한 세제의 투입은 종래에는 사용자가 세제 제품에서 별도로 제공하는 스푼이나 정량용기 등을 이용하여 분말 세제나 액체 세제를 직접 투입하였는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세탁물의 양에 따라 세제의 투입량을 결정하여 적정하게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세탁기나 식기세척기에 액체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저장용기가 마련되고, 이 저장용기에 사용자가 액체 세제를 미리 저장함으로써 저장된 액체 세제가 세탁 또는 세척 동작에 따라 적정량을 자동으로 투입시키는 액체 세제 공급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3918호(2011. 03. 14)에는 본체(31)와, 이 본체(31)에 구비되어 액상세제가 담기도록 챔버(36)가 형성된 실린더(32)와, 상기 실린더(32) 내에서 직선적으로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챔버(36) 내외로 액상세제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도록 구비되는 피스톤(35)과, 상기 실린더(32)의 일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31)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35)을 구동하는 모터(50)와, 상기 모터(50)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피스톤(35)이 직선운동되도록 상기 피스톤(35)과 상기 모터(50) 사이에 개재되는 크랭크기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실린더(32)에는 액상세제가 충전되는 별도의 세제탱크에 연결되는 유입구(40)와 상기 챔버(36) 내의 액상세제가 배출되도록 배출구(4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40)와 배출구(41)에는 각각 상기 액상세제가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피스톤(35)은 상기 모터(50)의 1회전에 의해 그 스트로크에 상응하는 양의 액상세제를 정량적으로 흡입한 후에 배출하게 되고, 상기 모터(50)의 회전이 지속되는 동안에는 액상세제의 흡입과 배출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세제 투입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기술은 피스톤로드(61), 크랭크암(62) 및 커넥팅로드(63)를 포함하여 구성된 크랭크기구(60)로 인해 피스톤의 직선 왕복운동을 위하여 불필요하게 부품수가 늘어나고 구성이 복잡함에 따라 제조 원가의 상승과 설치 및 교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피스톤의 직선 왕복운동시 피스톤로드(61), 크랭크암(62) 및 커넥팅로드(63) 각각과 결합부분에 과부하가 걸려 부품이 쉽게 파손되며, 이러한 과부하가 큰 크랭크기구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모터(50)에는 더 큰 소비전력이 발생하고, 과부하에 따른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액체 세제 투입부에 액체 세제를 공급하도록 캠(cam)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이 직선 왕복운동하여 흡입 또는 토출 동작되고, 액체 세제의 유입 및 배출을 조절하는 유입개폐밸브 및 배출개폐밸브 각각이 모듈화됨으로써, 캠과 피스톤의 구성으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구조 및 부품수를 종래기술보다 간소화하며 부품 및 모터의 과부하를 줄여 파손을 방지하면서 전력소모를 줄이고, 유입개폐밸브 및 배출개폐밸브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액체 세제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액체 세제 투입부에 고정 설치되고, 캠삽입부(110)가 관통 형성되면서 상방이 개구된 실린더(120)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120)의 하방에는 액체 세제의 유입구(130) 및 배출구(14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12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150)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캠삽입부(110)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된 모터(205)의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캠(cam, 200)과; 상기 캠(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실린더(120)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30)의 내부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흡입동작시 개방되는 유입개폐밸브(4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40)의 내부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토출동작시 개방되는 배출개폐밸브(500)와; 상기 유입구(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입개폐밸브(400)의 입력측에 결합된 유입구오링(610)에 의해 상기 유입구와 밀착 결합되면서 유입호스를 통하여 세제탱크와 연결되는 유입수단(600)과; 상기 배출구(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개폐밸브(500)의 출력측에 결합된 배출구오링(710)에 의해 상기 배출구와 밀착 결합되면서 배출호스를 통하여 상기 액체 세제 투입부와 연결되는 배출수단(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제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상기 피스톤(300)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개구된 상기 실린더(120)의 상방에 실린더커버(16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캠(200)은, 상기 모터(20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피스톤(300)이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편심돌기(210)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300)은,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상방에는 상기 캠(200)의 편심돌기(210)가 삽입되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함몰 형성된 슬롯홈(310)과,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피스톤홈(321)에 결합된 피스톤오링(piston O-ring, 320)과, 개구된 하면에 결합된 피스톤커버(330)와, 상기 하우징(100)의 가이드홈(150)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가이드돌기(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개폐밸브(400)는, 상기 유입구(13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밸브오링(405)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제1 밸브케이스(410)와, 상기 피스톤의 흡입동작시 폐쇄된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중공부에 위치한 제1 밸브체(420)와, 상기 제1 밸브체(420)에 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 밸브체(420)에 결합된 제1 스프링(430)과, 상기 제1 스프링(430)의 타측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밸브케이스(410)에 결합된 제1 밸브커버(4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케이스(410), 제1 밸브체(420), 제1 스프링(430) 및 제1 밸브커버(440) 각각은 모듈화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개폐밸브(500)는, 상기 배출구(14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밸브오링(505)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제2 밸브케이스(510)와, 상기 피스톤의 토출동작시 폐쇄된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중공부에 위치한 제2 밸브체(520)와, 상기 제2 밸브체(520)에 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2 밸브체(520)에 결합된 제2 스프링(530)과, 상기 제2 스프링(530)의 타측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밸브케이스(510)에 결합된 제2 밸브커버(5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밸브케이스(510), 제2 밸브체(520), 제2 스프링(530) 및 제2 밸브커버(540) 각각은 모듈화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세제 공급장치는,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액체 세제 투입부에 액체 세제를 공급하도록 캠(cam)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이 직선 왕복운동하여 흡입 또는 토출 동작되고, 액체 세제의 유입 및 배출을 조절하는 유입개폐밸브 및 배출개폐밸브 각각이 모듈화됨으로써, 캠과 피스톤의 구성으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구조 및 부품수를 종래기술보다 간소화하며 부품 및 모터의 과부하를 줄여 파손을 방지하면서 전력소모를 줄이고, 유입개폐밸브 및 배출개폐밸브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상세제 투입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세제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액체 세제 공급장치의 일부 구성수단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내부가 보이도록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제작된 시제품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실시예 중 하우징의 가이드홈이 보이도록 시제품의 상방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의 실시예 중 피스톤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4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피스톤의 흡입 동작에 따른 액체 세제의 유입을 화살표로 표시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4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피스톤의 토출 동작에 따른 액체 세제의 배출을 화살표로 표시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세제 공급장치의 일 실시예는 도 2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ousing, 100), 캠(cam, 200), 피스톤(300), 유입개폐밸브(400), 배출개폐밸브(500), 유입수단(600) 및 배출수단(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housing, 100)은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액체 세제 투입부에 고정 설치되고, 캠삽입부(110)가 관통 형성되면서 상방이 개구된 실린더(120)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120)의 하방에는 액체 세제의 유입구(130) 및 배출구(14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12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15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삽입부(110)는 후술할 캠(cam, 200)이 하우징 내로 삽입되도록 형성된 것이고, 상기 실린더(120)는 후술할 피스톤(300)이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유입구(130)는 후술할 유입수단(600) 및 유입호스를 매개로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에 기설치된 세제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세재탱크로부터 액체 세제를 하우징(100) 내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 것이고, 상기 배출구(140)는 후술할 배출수단(700) 및 배출호스를 매개로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에 기설치된 액체 세제 투입부(미도시)로 상기 하우징(100) 내로 유입된 액체 세제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150)은 후술할 피스톤(300)이 회전하려는 것을 억제하고 순전히 직선 왕복운동하려는 힘만 작용하도록 하여 캠(200)의 회전운동 및 피스톤(300)의 직선운동 각각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상기 피스톤(300)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개구된 상기 실린더(120)의 상방에 실린더커버(16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은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통하여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우징고정수단(170)과, 후술할 모터(205)가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모터결합수단(180)이 더 구비된다.
캠(cam, 200)은 도 4 내지 6,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삽입부(110)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된 모터(205)의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수단으로서, 상기 모터(20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피스톤(300)이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편심돌기(210)가 돌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 크랭크암 및 커넥팅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크랭크기구를 통한 회전운동의 직선운동으로의 변환수단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액체 세제 공급장치는 상기 크랭크기구로 인해 피스톤의 직선 왕복운동을 위하여 불필요하게 부품수가 늘어나고 구성이 복잡함에 따라 제조 원가의 상승과 설치 및 교체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고, 피스톤의 직선 왕복운동시 피스톤로드, 크랭크암 및 커넥팅로드 각각과 결합부분 즉 관절부분에 과부하가 걸려 부품이 쉽게 파손되며, 이러한 과부하가 큰 크랭크기구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모터에는 더 큰 소비전력이 발생하고, 과부하에 따른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조 및 부품수가 간소화된 캠(200)을 구성시킨 것으로써, 구조 및 부품수가 간소화는 물론 부품 및 모터의 과부하를 줄여 파손을 방지하면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독특한 효과가 있다.
피스톤(piston, 300)은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실린더(120)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수단으로서, 이를 위해 슬롯홈(310), 피스톤오링(piston O-ring, 320), 피스톤커버(330) 및 가이드돌기(3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슬롯홈(310)은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의 상방에 상기 캠(200)의 편심돌기(210)가 삽입되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함몰 형성된다. 즉, 상기 캠(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캠의 편심돌기(210)가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는데 상기 슬롯홈(310)에 상기 편심돌기가 위치함에 따라 상기 편심돌기가 상기 슬롯홈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이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오링(piston O-ring, 320)은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된 피스톤홈(321)에 결합된 것으로서, 피스톤의 직선 왕복운동 즉, 흡입, 토출 동작시에 액체 세제가 상기 하우징 내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커버(330)는 개구된 하면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피스톤오링(piston O-ring, 320)과 함께 피스톤의 직선 왕복운동 즉, 흡입, 토출 동작시에 액체 세제가 상기 하우징 내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상기 피스톤오링(piston O-ring, 320) 및 피스톤커버(330)는 후술할 유입개폐밸브(400) 및 배출개폐밸브(500)를 통하여 유입구(130) 및 배출구(140)가 폐쇄된 경우 상기 실린더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의 흡입, 토출 동작시에 액체 세제가 상기 하우징 내로 용이하게 유입되고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340)는 상기 하우징(100)의 가이드홈(150)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것으로서, 상기 피스톤(300)이 상기 캠(200)의 편심돌기(2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려는 것을 억제하고 순전히 직선 왕복운동하려는 힘만 작용하도록 하여 캠(200)의 회전운동 및 피스톤(300)의 직선운동 각각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유입개폐밸브(400)는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30)의 내부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흡입동작시 개방되는 수단으로서, 이를 위해 제1 밸브케이스(410), 제1 밸브체(420), 제1 스프링(430) 및 제1 밸브커버(4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밸브케이스(410)는 상기 유입구(13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밸브오링(405)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오링(405)은 상기 제1 밸브체(420)에 의해 상기 유입구(130)가 폐쇄된 경우 상기 실린더의 진공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 밸브체(420)는 상기 피스톤의 흡입동작시 폐쇄된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중공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스프링(430)은 상기 제1 밸브체(420)에 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 밸브체(420)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밸브커버(440)는 상기 제1 스프링(430)의 타측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밸브케이스(4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밸브커버(440)는 상기 제1 밸브케이스(410)의 중공부 내부로 유입된 액체 세제가 상기 실린더 내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 스프링(430)의 타측이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개구된다.
즉, 상기 유입개폐밸브(40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와 상기 피스톤의 토출동작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1 밸브체(420)는 상기 제1 밸브케이스(410)의 중공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피스톤의 흡입동작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만 폐쇄된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키도록 동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밸브체(420)가 후술한 유입수단(600)의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 밸브커버(440)는 상기 피스톤(300)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스프링(430)에 의해 상기 제1 밸브체(420)에 스프링력을 작용시켜 상기 피스톤의 흡입동작에서 토출동작으로 전환시에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중공부를 폐쇄하도록 한다.
배출개폐밸브(500)는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40)의 내부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토출동작시 개방되는 수단으로서, 이를 위해 제2 밸브케이스(510), 제2 밸브체(520), 제2 스프링(530) 및 제2 밸브커버(5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밸브케이스(510)는 상기 배출구(14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밸브오링(505)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오링(505)은 상기 제2 밸브체(520)에 의해 상기 배출구(140)가 폐쇄된 경우 상기 실린더의 진공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 밸브체(520)는 상기 피스톤의 토출동작시 폐쇄된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중공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스프링(530)은 상기 제2 밸브체(520)에 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2 밸브체(520)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밸브커버(540)는 상기 제2 스프링(530)의 타측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밸브케이스(5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밸브커버(540)는 상기 제2 밸브케이스(510)의 중공부 내부에 유입된 액체 세제가 후술할 배출수단(700)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 스프링(530)의 타측이 결합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개구된다.
즉, 상기 배출개폐밸브(50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와 상기 피스톤의 흡입동작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2 밸브체(520)는 상기 제2 밸브케이스(510)의 중공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피스톤의 토출동작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만 폐쇄된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키도록 동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밸브체(520)가 상기 피스톤(300)의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 밸브커버(540)는 후술할 배출수단(700)의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링(530)에 의해 상기 제2 밸브체(520)에 스프링력을 작용시켜 상기 피스톤의 토출동작에서 흡입동작으로 전환시에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중공부를 폐쇄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입개폐밸브(400)의 상기 제1 밸브케이스(410), 제1 밸브체(420), 제1 스프링(430) 및 제1 밸브커버(440) 각각과, 상기 배출개폐밸브(500)의 상기 제2 밸브케이스(510), 제2 밸브체(520), 제2 스프링(530) 및 제2 밸브커버(540) 각각은 모듈화되어 서로 결합됨에 따라 상기 유입구(130) 및 배출구(140)에 설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더하여, 도 8은 상기 피스톤의 흡입 동작에 따른 액체 세제의 유입을 화살표로 표시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피스톤의 토출 동작에 따른 액체 세제의 배출을 화살표로 표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유입수단(600)은 도 2 내지 4,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입개폐밸브(400)의 입력측에 결합된 유입구오링(610)에 의해 상기 유입구와 밀착 결합되면서 유입호스를 통하여 세제탱크와 연결되는 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오링(610)을 통하여 상기 유입구(130)로 액체 세제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유입구(130)와 유입수단(600)과의 결합부분에 액체 세제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수단과 상기 유입구(130) 간의 탈착은 클립 방식, 나사 방식 등 탈착 작업이 용이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배출수단(700)은 도 2 내지 4,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개폐밸브(500)의 출력측에 결합된 배출구오링(710)에 의해 상기 배출구와 밀착 결합되면서 배출호스를 통하여 상기 액체 세제 투입부와 연결되는 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오링(710)을 통하여 상기 배출구(140)로 액체 세제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출구(140)와 배출수단(700)과의 결합부분에 액체 세제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구(140) 간의 탈착은 클립 방식, 나사 방식 등 탈착 작업이 용이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세제 공급장치는,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액체 세제 투입부에 액체 세제를 공급하도록 캠(cam)의 회전에 따라 피스톤이 직선 왕복운동하여 흡입 또는 토출 동작되고, 액체 세제의 유입 및 배출을 조절하는 유입개폐밸브 및 배출개폐밸브 각각이 모듈화됨으로써, 캠과 피스톤의 구성으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구조 및 부품수를 종래기술보다 간소화하며 부품 및 모터의 과부하를 줄여 파손을 방지하면서 전력소모를 줄이고, 유입개폐밸브 및 배출개폐밸브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캠삽입부
120 : 실린더 130 : 유입구
140 : 배출구 150 : 가이드홈
160 : 실린더커버 170 : 하우징고정수단
180 : 모터결합수단
200 : 캠 210 : 편심돌기
300 : 피스톤 310 : 슬롯홈
320 : 피스톤오링 330 : 피스톤커버
340 : 가이드돌기
400 : 유입개폐밸브 410 : 제1 밸브케이스
420 : 제1 밸브체 430 : 제1 스프링
440 : 제1 밸브커버
500 : 배출개폐밸브 510 : 제2 밸브케이스
520 : 제2 밸브체 530 : 제2 스프링
540 : 제2 밸브커버
600 : 유입수단 610 : 유입구오링
700 : 배출수단 710 : 배출구오링

Claims (6)

  1.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액체 세제 투입부에 고정 설치되고, 캠삽입부(110)가 관통 형성되면서 상방이 개구된 실린더(120)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120)의 하방에는 액체 세제의 유입구(130) 및 배출구(140)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120)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150)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캠삽입부(110)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결합된 모터(205)의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캠(cam, 200)과;
    상기 캠(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실린더(120)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3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유입구(130)의 내부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흡입동작시 개방되는 유입개폐밸브(400)와;
    상기 하우징(100)의 배출구(140)의 내부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토출동작시 개방되는 배출개폐밸브(500)와;
    상기 유입구(1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입개폐밸브(400)의 입력측에 결합된 유입구오링(610)에 의해 상기 유입구와 밀착 결합되면서 유입호스를 통하여 세제탱크와 연결되는 유입수단(600)과;
    상기 배출구(14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개폐밸브(500)의 출력측에 결합된 배출구오링(710)에 의해 상기 배출구와 밀착 결합되면서 배출호스를 통하여 상기 액체 세제 투입부와 연결되는 배출수단(70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실린더 내부에 상기 피스톤(300)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개구된 상기 실린더(120)의 상방에 실린더커버(16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캠(200)은,
    상기 모터(20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피스톤(300)이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편심돌기(21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300)은,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상방에는 상기 캠(200)의 편심돌기(210)가 삽입되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함몰 형성된 슬롯홈(310)과,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피스톤홈(321)에 결합된 피스톤오링(piston O-ring, 320)과,
    개구된 하면에 결합된 피스톤커버(330)와,
    상기 하우징(100)의 가이드홈(150)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가이드돌기(340)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개폐밸브(400)는,
    상기 유입구(13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밸브오링(405)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제1 밸브케이스(410)와,
    상기 피스톤의 흡입동작시 폐쇄된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중공부에 위치한 제1 밸브체(420)와,
    상기 제1 밸브체(420)에 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 밸브체(420)에 결합된 제1 스프링(430)과,
    상기 제1 스프링(430)의 타측이 결합되고, 상기 제1 밸브케이스(410)에 결합된 제1 밸브커버(4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케이스(410), 제1 밸브체(420), 제1 스프링(430) 및 제1 밸브커버(440) 각각은 모듈화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제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개폐밸브(500)는,
    상기 배출구(14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밸브오링(505)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된 제2 밸브케이스(510)와,
    상기 피스톤의 토출동작시 폐쇄된 상기 중공부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중공부에 위치한 제2 밸브체(520)와,
    상기 제2 밸브체(520)에 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2 밸브체(520)에 결합된 제2 스프링(530)과,
    상기 제2 스프링(530)의 타측이 결합되고, 상기 제2 밸브케이스(510)에 결합된 제2 밸브커버(5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밸브케이스(510), 제2 밸브체(520), 제2 스프링(530) 및 제2 밸브커버(540) 각각은 모듈화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세제 공급장치.
KR1020200075673A 2020-06-22 2020-06-22 액체 세제 공급장치 KR102369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673A KR102369279B1 (ko) 2020-06-22 2020-06-22 액체 세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673A KR102369279B1 (ko) 2020-06-22 2020-06-22 액체 세제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633A KR20210157633A (ko) 2021-12-29
KR102369279B1 true KR102369279B1 (ko) 2022-03-02

Family

ID=7917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673A KR102369279B1 (ko) 2020-06-22 2020-06-22 액체 세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2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2843A (ko) * 2022-06-30 2024-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 호스 및 가전기기
CN117297495B (zh) * 2023-11-29 2024-02-09 江苏威雅仕不锈钢制品有限公司 一种不锈钢餐具清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37A (ko) * 1998-07-27 2000-02-15 윤종용 세탁기
KR101023918B1 (ko) * 2009-01-29 2011-03-22 김학열 액상세제 투입장치
KR20120004208A (ko) * 2010-07-06 2012-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KR20150006260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세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633A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279B1 (ko) 액체 세제 공급장치
EP2829650B1 (en)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delivery pump assembly thereof
US20120006077A1 (en) Detergent feeding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6283528B (zh) 洗涤剂瓶、用于洗衣机的洗涤剂投放装置和洗衣机
KR102493966B1 (ko) 세탁기
US11634851B2 (en) Washing machine
KR101614165B1 (ko) 액체세제 공급장치
US1133287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19502070A (ja) 排水制御機構及び洗濯機
KR20170135237A (ko) 의류처리장치
KR101320203B1 (ko) 액체세제 공급펌프
CN110004668A (zh) 一种衣物处理剂投放结构及洗衣机
KR101023918B1 (ko) 액상세제 투입장치
KR102565746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세탁기
KR102304646B1 (ko) 세탁기용 세제자동투입장치
ES2443167T3 (es) Dispositivo de distribución de productos líquidos
CN211370697U (zh) 高压清洗设备
JP2021097754A (ja) 洗濯機
KR100434285B1 (ko) 세탁기의 액체세제 자동 투입장치
KR100434284B1 (ko) 세탁기의 액체세제 자동 투입장치
JP7233017B1 (ja) 洗濯機及びポンプ
CN215191310U (zh) 水箱组件及清洁装置
KR101462859B1 (ko) 세탁기 및 그 세척방법
CN217324648U (zh) 洗衣机用洗涤液供应装置
KR0128627Y1 (ko) 세탁기의 공기방울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