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778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778A
KR20240002778A KR1020220080784A KR20220080784A KR20240002778A KR 20240002778 A KR20240002778 A KR 20240002778A KR 1020220080784 A KR1020220080784 A KR 1020220080784A KR 20220080784 A KR20220080784 A KR 20220080784A KR 20240002778 A KR20240002778 A KR 20240002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close contact
main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웰킵스홀딩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킵스홀딩스(주) filed Critical 웰킵스홀딩스(주)
Priority to KR1020220080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778A/ko
Publication of KR20240002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접히거나 펼쳐지며 형상이 가변되는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본체부에 구비되고, 본체부의 펼침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밀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안면과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용도와 기능에 따라서 보온용 마스크, 보건용 마스크, 방진마스크, 방독면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 중 보건용 마스크는 보건위생상 병균, 먼지의 흡입 및 비산을 막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을 말하며, 최근 미세먼지의 증가와 더불어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가 자주 발생함에 따라, 미세먼지와 바이러스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건용 마스크는 평면 구조로 인해 착용자의 안면부에 내측면이 밀착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원활한 호흡이나 대화가 어려워지고, 루즈나 화장이 묻게 되어 마스크를 벗을 때 화장 등을 고쳐야 하는 불편이 있을 뿐 아니라 피부와의 직접 접촉으로 인해 피부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702678호(1998. 08. 05 공개, 발명의 명칭: 개인용호흡보호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면과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접히거나 펼쳐지며 형상이 가변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펼침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밀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귀걸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제1주름선을 기준으로 제1방향으로 접혀지는 제1메인커버; 및 상기 제1메인커버와 연결되고, 제2주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으로 접혀지는 제2메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메인커버와 상기 제2메인커버는 제3주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접혀진다.
또한, 상기 제1메인커버는 상기 제1방향으로 접혀지며 상기 제1주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내측면이 서로 맞닿고, 상기 제2메인커버는 상기 제1방향으로 접혀지며 상기 제2주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내측면이 서로 맞닿는다.
또한, 상기 제1메인커버와 상기 제2메인커버는 제2방향으로 접혀지며 상기 제3주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외측면이 서로 맞닿는다.
또한, 상기 제1메인커버와 상기 제2메인커버는 접힘 동작 시 상기 본체부의 전후 방향을 따라 적층된다.
또한, 상기 제1메인커버와 상기 제2메인커버는 상기 본체부를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주름선, 상기 제2주름선 및 상기 제3주름선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중심선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가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펼쳐지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가 돔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메인커버와 상기 제2메인커버를 상호 고정하여 상기 제1메인커버와 상기 제2메인커버의 펼침 동작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메인커버와 상기 제2메인커버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선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밀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코에 밀착되는 제1밀착커버; 및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턱에 밀착되는 제2밀착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밀착커버와 상기 제2밀착커버는 제4주름선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펼쳐진다.
또한, 상기 제1밀착커버와 상기 제2밀착커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4주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방향으로 접혀지고, 상기 제1밀착커버와 상기 제2밀착커버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4주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으로 펼쳐지며 내측면이 서로 맞닿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본체부가 제1주름선, 제2주름선 및 제3주름선을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상이 가변 가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크기, 부피 등이 자유롭게 조절되며 보관, 포장 및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본체부의 변형 동작을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부에 의해 본체부의 펼침 동작 시 본체부가 돔 형상을 이루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본체부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안면과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제1밀착커버와 제2밀착커버가 제4주름선을 기준으로 내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접힘 및 펼침 동작됨에 따라 청결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보관 및 포장 시 공간 활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가 접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밀착커버와 제2밀착커버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가 펼쳐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가 접혀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본체부(100), 밀착부(200), 가이드부(300), 귀걸이부(4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의 중앙부 외관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는 사용자의 입, 코와 같은 호흡기를 커버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거나, 사용자의 타액, 비말 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는 공기의 통과를 허용함과 동시에 분진, 비말, 타액, 병원균, 바이러스 등으로 예시될 수 있는 이물질의 통과는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체부(100)는 외피, 필터, 내피가 전후 방향(도 2 기준 X축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외피, 내피는 서로 다른 공극을 갖는 통기성의 부직포 등이 여러장으로 겹쳐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외피, 내피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필터는 정전기가 부여된 멜트블로운 필터 또는 미세 공극을 갖는 필름 필터로 예시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후술하는 제1주름선(101), 제2주름선(102) 및 제3주름선(103)을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형상이 가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크기, 부피 등이 자유롭게 조절되며 보관, 포장 및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제1메인커버(110), 제2메인커버(12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서술되는 본체부(100) 및 밀착부(200) 등의 외측면은 사용자의 착용 시 외부 공간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부분, 즉 도 2에 도시된 부분을 의미하며, 본체부(100) 및 밀착부(200) 등의 내측면은 사용자의 착용 시 사용자의 안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부분, 즉 도 3에 도시된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서술되는 제1방향은 제1주름선(101), 제2주름선(102), 제3주름선(103) 및 제4주름선(104)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두 구성의 내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접혀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제2방향은 제1방향과 반대 방향 즉, 제1주름선(101), 제2주름선(102), 제3주름선(103) 및 제4주름선(104)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두 구성의 외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접혀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제1메인커버(110)는 본체부(10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한다. 제1메인커버(110)는 일단부가 본체부(100)를 좌우 방향(도 2 기준 Y축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선(C)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제1메인커버(110)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00)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제1메인커버(110)는 일단부가 별도의 봉제선 없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제작될 수 있고, 별물로 제작된 뒤 봉제선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메인커버(110)는 접힘 동작 시 본체부(100)의 중심선(C)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주름선(101)을 기준으로 양측이 제1방향으로 접혀진다. 즉, 제1메인커버(110)는 접힘 동작 시 제1주름선(101)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내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접혀진다.
제2메인커버(120)는 제1메인커버(110)와 연결되고, 본체부(100)의 타측 외관을 형성한다. 제2메인커버(120)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00)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게 배치된다. 즉, 한 쌍의 제1메인커버(110)와 제2메인커버(120) 중 서로 연결된 어느 하나의 제1메인커버(110)와 제2메인커버(120)는 본체부(100)의 상측 외관을 형성하고, 한 쌍의 제1메인커버(110)와 제2메인커버(120) 중 서로 연결된 나머지 하나의 제1메인커버(110)와 제2메인커버(120)는 본체부(100)의 하측 외관을 형성한다.
제2메인커버(120)는 접힘 동작 시 본체부(100)의 중심선(C)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주름선(102)을 기준으로 양측이 제1방향으로 접혀진다. 즉, 제2메인커버(120)는 접힘 동작 시 제2주름선(102)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내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접혀진다.
제2메인커버(120)는 일단부가 본체부(100)의 중심선(C)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주름선(103)에 의해 제1메인커버(110)의 타단부와 연결된다. 제1메인커버(110)와 제2메인커버(120)는 제3주름선(103)을 기준으로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접혀진다. 즉, 제1메인커버(110)와 제2메인커버(120)는 접힘 동작 시 제3주름선(103)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외측면이 서로 맞닿도록 접혀진다.
이 경우, 제1메인커버(110)와 제2메인커버(120)는 접힘 동작 시 본체부(100)의 전후 방향(도 2 기준 X축 방향)을 따라 계단 형태로 적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접힘 동작 시 상하 방향(도 2 기준 Z축 방향)으로의 높이가 축소되어 휴대 및 보관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밀착부(200)는 본체부(100)로부터 연장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의 상측 및 하측 외관을 형성한다. 밀착부(200)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됨으로써 본체부(100)를 사용자의 안면상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본체부(100)의 내측 공간을 밀폐시키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밀착부(200)는 본체부(10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200)는 제1밀착커버(210), 제2밀착커버(220)를 포함한다.
제1밀착커버(210)는 본체부(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코에 밀착된다. 제1밀착커버(210)는 일단부가 한 쌍의 제2메인커버(120) 중 상측에 위치한 제2메인커버(120)의 타단부와 연결된다. 제1밀착커버(210)는 본체부(100)의 중심선(C)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4주름선(104)을 매개로 제2메인커버(120)의 타단부와 연결된다. 제1밀착커버(210)는 제4주름선(104)을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사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함에 따라, 제1밀착커버(210)는 내측면이 사용자의 콧등, 광대 부분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배치된다. 제1밀착커버(210)는 사용자의 콧등, 광대 부분의 형상에 따라 형태가 굴곡지게 변형되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된다. 제1밀착커버(210)의 상단 중앙부에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금속 재질의 밀착클립(211)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제2밀착커버(220)는 본체부(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턱에 밀착된다. 제2밀착커버(220)는 일단부가 한 쌍의 제2메인커버(120) 중 하측에 위치한 제2메인커버(120)의 타단부와 연결된다. 제2밀착커버(220)는 본체부(100)의 중심선(C)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4주름선(104)을 매개로 제2메인커버(120)의 타단부와 연결된다. 제2밀착커버(220)는 제4주름선(104)을 기준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진다. 사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함에 따라, 제2밀착커버(220)는 내측면이 사용자의 턱 부분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배치된다. 제1밀착커버(210)는 사용자의 턱 부분의 형상에 따라 형태가 굴곡지게 변형되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된다.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밀착커버와 제2밀착커버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스크(1)의 보관 및 포장 시 제1밀착커버(210)와 제2밀착커버(220) 중 어느 하나는 제4주름선(104)을 기준으로 제2방향으로 접혀지며 외측면이 제2메인커버(120)의 외측면과 접촉된다. 또한, 제1밀착커버(210)와 제2밀착커버(220) 중 나머지 하나는 제4주름선(104)을 기준으로 제1방향으로 펼쳐지며 내측면이 제1밀착커버(210)와 제2밀착커버(220)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과 서로 맞닿는다. 이에 따라 제1밀착커버(210)와 제2밀착커버(220)는 내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내측면의 청결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마스크(1)의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를 축소시킴으로써 보관 및 포장 시 공간 활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제1밀착커버(210)가 제2방향으로 접혀지고, 제2밀착커버(220)가 제1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제1밀착커버(210)와 제2밀착커버(220)는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밀착커버(220)가 제2방향으로 접혀지고, 제1밀착커버(210)가 제1방향으로 펼쳐지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부(300)는 본체부(100)에 구비되고, 본체부(100)의 펼침 동작을 안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300)는 본체부(100)의 펼침 동작 시 본체부(100)가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펼쳐지도록 유도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300)는 본체부(100)가 대략 반구형의 돔(dome)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300)는 본체부(100)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본체부(100)의 내측면이 사용자의 안면과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300)는 가이드부재(31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310)는 제1메인커버(110)와 제2메인커버(120)의 일부 영역을 상호 고정하여 제1메인커버(110)와 제2메인커버(120)의 펼침 동작을 부분적으로 제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310)는 본체부(100)의 펼침 동작 시 제1메인커버(110)와 제2메인커버(120)의 모서리 부분이 펼쳐지지 않고 일체로 고정되도록 지지함으로써 제1메인커버(110)와 제2메인커버(120)의 외측면이 돔 형태를 갖고 소정 곡률로 볼록하게 변형되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31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제1메인커버(110)와 제2메인커버(120)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배치된다. 제1메인커버(110)와 제2메인커버(120)는 본체부(100)의 전후 방향(도 2 기준 X축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모서리 부위가 가이드부재(310)에 의해 일체로 접합된다. 이 경우, 가이드부재(310)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310)는 본체부(100)의 중심선(C)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가이드부재(310)는 본체부(100)의 둘레를 따라 대략 마름모꼴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가이드부재(310)의 경사 각도, 길이 등은 본체부(100)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귀걸이부(400)는 밀착부(200)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쳐져 본체부(100)와 밀착부(200)를 사용자의 안면 상에서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부(400)는 신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띠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귀걸이부(4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밀착부(2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귀걸이부(400)는 대략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일단부가 제1밀착커버(210)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2밀착커버(220)의 모서리 부분에 고정된다. 이 경우, 귀걸이부(400)의 양단부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제1밀착커버(210) 및 제2밀착커버(22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마스크 100 : 본체부
101 : 제1주름선 102 : 제2주름선
103 : 제3주름선 104 : 제4주름선
110 : 제1메인커버 120 : 제2메인커버
200 : 밀착부 210 : 제1밀착커버
220 : 제2밀착커버 300 : 가이드부
310 : 가이드부재 400 : 귀걸이부

Claims (15)

  1. 사용자의 안면을 커버하고, 접히거나 펼쳐지며 형상이 가변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펼침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밀착부로부터 연장되고, 사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귀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제1주름선을 기준으로 제1방향으로 접혀지는 제1메인커버; 및
    상기 제1메인커버와 연결되고, 제2주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으로 접혀지는 제2메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메인커버와 상기 제2메인커버는 제3주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커버는 상기 제1방향으로 접혀지며 상기 제1주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내측면이 서로 맞닿고,
    상기 제2메인커버는 상기 제1방향으로 접혀지며 상기 제2주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내측면이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커버와 상기 제2메인커버는 제2방향으로 접혀지며 상기 제3주름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외측면이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커버와 상기 제2메인커버는 접힘 동작 시 상기 본체부의 전후 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커버와 상기 제2메인커버는 상기 본체부를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름선, 상기 제2주름선 및 상기 제3주름선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중심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가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펼쳐지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가 돔 형상으로 펼쳐지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메인커버와 상기 제2메인커버를 상호 고정하여 상기 제1메인커버와 상기 제2메인커버의 펼침 동작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메인커버와 상기 제2메인커버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선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코에 밀착되는 제1밀착커버; 및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턱에 밀착되는 제2밀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착커버와 상기 제2밀착커버는 제4주름선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착커버와 상기 제2밀착커버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4주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방향으로 접혀지고, 상기 제1밀착커버와 상기 제2밀착커버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4주름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방향으로 펼쳐지며 내측면이 서로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220080784A 2022-06-30 2022-06-30 마스크 KR20240002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784A KR20240002778A (ko) 2022-06-30 2022-06-30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784A KR20240002778A (ko) 2022-06-30 2022-06-30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778A true KR20240002778A (ko) 2024-01-08

Family

ID=89533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784A KR20240002778A (ko) 2022-06-30 2022-06-30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7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3125B1 (en) Device for protecting the face of a wearer
JP6408708B2 (ja) 呼吸マスク用のタブ
JP5038169B2 (ja) 呼吸器保護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KR100478666B1 (ko) 투명 쉴드가 있는 보호 용품
RU2145507C1 (ru) Плоскоскладывающиеся индивидуальные защитные дыхательные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CZ20012983A3 (cs) Naplocho sloľitelné osobní respirační ochranné zařízení a způsob jeho výroby
US11497260B2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JP2020002510A (ja) マスク
KR20170093560A (ko) 마스크
KR20240002778A (ko) 마스크
JP2015009151A (ja) 医療用フェースマスク
KR200433854Y1 (ko) 일회용 방진 마스크
KR102387116B1 (ko) 와이어리스 보건 의료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WO2021230183A1 (ja) マスクシールド及び多重マスクシールド
JP2020002511A (ja) マスク
KR102624660B1 (ko) 마스크
JP3101212U (ja) マスク
JP3232483U (ja) 折り畳み式フェースマスク
US20230337763A1 (en) Mask
KR102556624B1 (ko) 일체형 마스크
CN214047657U (zh) 一种折叠式面罩
KR102347594B1 (ko) 점착부를 포함하는 방역 및 방진 마스크
KR20220000097U (ko) 평판형 접이식 마스크
KR20220012500A (ko) 마스크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 마스크
JP2022116653A (ja) マスクおよびフィルタパッ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