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302A -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302A
KR20240002302A KR1020220079354A KR20220079354A KR20240002302A KR 20240002302 A KR20240002302 A KR 20240002302A KR 1020220079354 A KR1020220079354 A KR 1020220079354A KR 20220079354 A KR20220079354 A KR 20220079354A KR 20240002302 A KR20240002302 A KR 20240002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osed
main body
exhaust device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메이어 세바스찬
양 선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9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302A/ko
Priority to DE202023102325.8U priority patent/DE202023102325U1/de
Publication of KR20240002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메인 바디 내부의 배기유로를 메인 바디의 외부로 개방시키는 흡입구가 메인 바디에 형성되고, 이 흡입구는 조리영역에 비해 메인 바디의 측방향 중앙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본 발명은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고온의 열을 음식물에 가하여 끓이거나 굽는 등 요리를 하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기구가 배치되는 조리대가 구비된다.
이때 조리대 위에 배치된 가열기구의 고열에 의해 가열되는 피조리물은, 가열되는 과정에서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열에 의해 부유하여 주방 또는 실내 전체에 확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산된 오염물질은, 불쾌한 악취를 제공하여 혐오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특히 밀폐된 주방에서는, 이러한 오염물질이 작업자의 집중력을 떨어뜨리고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주방에는 음식물 조리시 발생되는 연기, 냄새, 기름증기 등의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해 레인지 후드가 설치된다.
이러한 레인지 후드는, 레인지 후드의 외관을 이루며 하부면에 흡입구가 형성된 후드본체, 및 후드본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인지 후드는, 후드본체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필터를 통과하여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레인지 후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리대에서 피조리물이 가열기구에 의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은, 주변 공기보다 높은 온도로 인하여 자체 부력으로 상승하거나 레인지 후드의 송풍기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승된다. 이처럼 상승된 오염물질은, 필터를 통과하여 외부덕트로 연결된 배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레인지 후드는, 후드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흡입구 근처의 공기 및 오염물질은 어느 정도 흡입할 수 있으나, 흡입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 공기 및 오염물질은 제대로 흡입하기 어렵다. 흡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흡입구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형태로 흡입 기류의 유속 감소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즉 종래 레인지 후드에서는, 흡기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흡입성능이 빠르게 감소되며, 흡입팬의 흡입 유속을 증가시킨다고 해서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 효율이 그에 비례하여 증가되지는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흡입팬의 흡입 유속을 증가시킴으로써 레인지 후드의 흡입력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있겠으나, 흡입팬의 흡입 유속을 2배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흡입팬의 소비전력을 23배, 즉 8배로 올려주어야 하므로, 전력 소모량이 지나치게 증가되고 이에 따라 소음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레인지 후드의 흡입구가 오염물질의 발생원에 가깝게 위치하여야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즉 오염물질에 대한 포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피조리물의 가열이 이루어지는 위치와 최대한 가까운 곳에 레인지 후드의 흡입구가 위치할 수 있도록, 최대한 낮은 위치에 레인지 후드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오염물질의 포집 효율 향상이라는 목적과 조리의 효율 향상이라는 목적을 함께 달성할 수 있게 레인지 후드의 설치 높이를 설정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예컨대, 레인지 후드의 설치 높이가 낮아질수록 레인지 후드의 오염물질 포집 효율은 향상될 수 있지만, 그만큼 가열기구에 올려질 수 있는 조리기구에 대한 제약이 많아지게 된다. 즉 레인지 후드의 설치 높이가 낮아질수록, 좀 더 낮은 높이의 조리기구만이 이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레인지 후드의 설치 높이가 높아질수록 키가 더 큰 조리기구를 이용한 조리가 가능해지지만, 그만큼 오염물질 발생원과 레인지 후드의 흡입구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레인지 후드의 오염물질 포집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최근에는, 공간 활용도 및 디자인적 측면에서 천장에 설치되는 레인지 후드 대신 다운드래프트 후드(Downdraft hood)의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다운드래프트 후드는, 천장에 설치되지 않고, 전기레인지와 같은 가열기기 또는 아일랜드 주방 자체에 설치된다. 이러한 다운드래프트 후드는, 공간 활용도 및 디자인적 측면에서, 천장에 설치되는 레인지 후드 대비 우수한 면이 있다.
선행문헌1(유럽 공개특허 제3553388호)에는, 다운드래프트 후드의 일례가 개시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선행문헌1에 개시된 다운드래프트 추출기(21)는 호브(22)가 마련된 조리대(4)에 설치될 수 있다. 다운드래프트 추출기(21)는, 호브(22)에 설치되거나, 호브(22)에 인접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운드래프트 추출기(21)는 후드본체(2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드본체(213)의 전면에는 흡입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후드본체(213)는, 평면을 형성하는 호브(22)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박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후드본체(213)는 전후방향 치수가 폭방향 치수보다 짧은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구(212)는, 후드본체(213)의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호브(22)에 올려진 조리기구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은, 그 조리기기의 후방에 배치된 흡입구(212)를 통해 후드본체(213)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후드본체(213)의 내부에서, 오염물질은 하방으로 흡입될 수 있다.
선행문헌1에 개시된 다운드래프트 추출기(21)는, 호브(22)를 상대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운드래프트 추출기(21)는, 조리대(4)의 하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승하여 조리대(4)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고, 이처럼 조리대(4)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오염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다운드래프트 추출기(21)는, 조리대(4)의 하부로 하강하여 조리대(4)의 하부에 다시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다운드래프트 추출기(21)는, 디스플레이장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선행문헌1에 개시된 주방기기(2)는, 다운드래프트 추출기(21)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장치(20)일 수도 있으며, 다운드래프트 추출기(21)의 기능과 디스플레이장치(20)의 기능을 모두 갖는 장치일 수도 있다.
선행문헌1의 디스플레이장치(20)는 연장요소(201)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요소(201)는, 후드본체(213)에 마련될 수도 있고, 후드본체(213) 자체가 연장요소(201)일 수도 있다.
연장요소(201)에는, 이미징표면요소(20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미징표면요소(207)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판의 표면 처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연장요소(201) 사이에 배치된 투명한 굴절성 필름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연장요소(201)에 배열된 스크린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호브(22)에는 프로젝터(3)가 설치될 수 있다. 프로젝터(3)는 이미징표면요소(207)를 향해 이미지를 출력하며, 프로젝터(3)에 의해 출력된 이미지는 이미징표면요소(207)에 투영될 수 있다. 프로젝터(3)에 의해 출력된 이미지가 이미징표면요소(207)에 투영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20)에 디지털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선행문헌1에서는, 흡입구(212) 및 이미징표면요소(215)가 후드본체(213)에 함께 마련된다. 즉 흡입구(212)는 후드본체(213)의 전면 하단부에 배치되고, 이미징표면요소(215)는, 흡입구(212)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 일례로, 이미징표면요소(215)는 후드본체(213)에 마련되되, 흡입구(212)의 상측 영역 전체를 덮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호브(22)에 올려진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증기는, 흡입구(212)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하고, 흡입구(212)를 통해 다운드래프트 추출기(21)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구(212)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증기는, 디스플레이장치(2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전방측에서 가리는 방해 요소가 될 수 있다.
즉 흡입구(212)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증기가 디스플레이장치(20)를 전방에서 가리거나 프로젝터(3)의 이미지 출력을 전방에서 방해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2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흡입구(212)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증기가 후드본체(213)의 전면과 접촉되면서 후드본체(213)의 전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후드본체(213)의 전면에 맺힌 물방울은, 디스플레이장치(20)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왜곡시키고, 해당 화면의 시인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선행문헌1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호브(22)의 후방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호브(22)의 후방에서 화면이 출력된다. 이에 따라 호브(22)에 조리기구가 올려진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20)에서 출력된 화면의 일부가 조리기구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20)에 출력된 화면이 제대로 보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선행문헌1: 유럽 공개특허 제3553388호
본 발명은,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기능과 조리 정보 제공이나 미관 향상을 위한 텍스트나 이미지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면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시인성이 더 향상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시인성이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나 오염물질로 인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기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조리기구로 인해 가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배기장치는, 메인 바디 내부의 배기유로를 메인 바디의 외부로 개방시키는 흡입구가 메인 바디에 형성되고, 이 흡입구는 조리영역에 비해 메인 바디의 측방향 중앙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오염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가열장치의 가열부에 비해 메인 바디의 측방향 중앙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오염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메인 바디에 마련되고, 흡입구가 디스플레이에 비해 메인 바디의 측방향 중앙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측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흡입구가 가열장치의 조리영역 또는 가열부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조리기구의 위치에 따라 흡입 지점 및 영상 출력 영역이 변화될 수 있게 됨으로써, 오염공기 포집 성능 및 디스플레이의 영상 시인성이 함께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영역이 마련되는 탑플레이트 및 상기 조리영역에 배치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가열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배기장치로서, 상기 조리영역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부 영역과 연결되는 배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부측에서 상기 배기유로를 상기 메인 바디의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상기 메인 바디에 형성하는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조리영역에 비해 상기 메인 바디의 측방향 중앙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흡입구가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사이에 상기 조리영역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흡입구는,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사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가열부가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중 동작 중인 상기 가열부와 더 인접한 어느 하나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중 동작 중인 상기 가열부와 더 인접한 어느 하나만 개방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사이에 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조리영역 중 조리기구가 배치된 조리영역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흡입구 중 조리기구와 더 인접한 어느 하나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텍스트와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을 상기 메인 바디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비해 상기 메인 바디의 측방향 중앙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흡입구가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사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가열부가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측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출력영역으로 구분되며, 복수개의 상기 출력영역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동작 중인 상기 가열부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은 출력영역에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흡기구 중 동작 중인 상기 가열부와 더 인접한 어느 하나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중 동작 중인 상기 가열부와 더 인접한 어느 하나만 개방되며, 나머지 다른 하나는 폐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복수개의 상기 출력영역 중 폐쇄된 상기 흡입구와 동작 중인 상기 가열부 사이에 배치된 영역에서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측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출력영역으로 구분되며, 복수개의 상기 출력영역 중 조리기구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은 출력영역에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배기유로의 전방에 배치되는 바디전면 및 상기 배기유로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디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바디전면 또는 상기 바디배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바디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과 배면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배기유로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바디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배기유로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따르면,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기능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오염공기 흡입 위치, 영상 출력 위치 조절 등의 방법을 종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공기와 메인 바디 전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오염공기를 측방향 양측에서 흡입함으로써, 배기장치의 외관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및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품질 및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구의 위치에 따라 영상 출력 영역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더 향상된 오염공기 포집 성능을 제공하는 효과, 및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기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동작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운드래프트 후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기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가열장치(20) 및 배기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장치(20)는, 조리기기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기레인지 형태의 가열장치(20)가 예시된다. 여기서 예시되는 조리기기는, 전기 저항 방식의 전기레인지 및 유도 가열 방식의 전기레인지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워킹코일이 가열부로서 구비되는 전기레인지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서, 가열장치(20)는 케이스(21) 및 탑플레이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는, 상부가 개방된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21)는, 가열장치(20)를 구성하는 각종 내부 부품들을 수용하며, 이들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서, 케이스(21)는 알루미늄 재질의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케이스(21)는, 워킹코일에 의해 발생된 열로 인해 케이스(21)의 외부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단열 처리될 수 있다.
탑플레이트(23)는, 케이스(2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탑플레이트(23)는, 케이스(21)의 상부를 차폐하며, 가열장치(2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23)는, 세라믹 글라스로 구성될 수 있고, 두께가 있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탑플레이트(23)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영역(23a,23b)이 마련될 수 있다. 이 조리영역(23a,23b)에는, 가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가열부는 탑플레이트(23)의 하부에 배치되는 워킹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23)에는, 복수개의 조리영역(23a,23b)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조리영역(23a,23b)에 배치되는 모든 가열부가 워킹코일을 포함할 수도 있고, 가열부들 중 일부는 워킹코일을, 다른 일부는 열선으로 금속판을 가열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핫플레이트 또는 열선으로 세라믹 판을 가열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하이라이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탑플레이트(23)의 상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조리영역(23a,23b)의 상부에는,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조리기구 등과 같은 피가열체가 배치될 수 있다.
탑플레이트(23)의 상부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제공받는 입력 인터페이스(24)가 마련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4)는, 탑플레이트(23)의 상부면에 평평하게 매립되도록 설치되고, 특정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24)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가열장치(20)는 수신된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20)는,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소정의 캐비닛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의 내부에는, 가열장치(20) 및 배기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체(10)는 주방가구,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장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처럼 주방가구 형태로 제공된 본체(10)의 상부에는, 조리대(11)가 마련될 수 있다. 가열장치(20) 및 배기장치(100)는, 조리대(1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가열장치(20)는 적어도 일부분이 조리대(11)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이 조리대(11)의 하측으로 삽입된 형태로 조리대(1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탑플레이트(23)가 조리대(11)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케이스(21) 및 가열부가 조리대(1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체(10)는 오븐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체(10)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가열장치(20) 및 배기장치(100)는, 오븐의 조리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장치(100)는, 배기장치(100) 주변에 발생된 연기, 증기, 오염물질 등(이하, "오염공기"라 통칭하기로 한다)을 포집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배기장치(100)는, 가열장치(20)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장치(20) 및 배기장치(100)가 조리대(11) 상에 설치되고, 배기장치(100)는 가열장치(20)의 배후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배기장치(100)는, 가열장치(20)에 올려진 조리기구 등과 같은 피가열체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를 포집할 수 있다. 배기장치(100)에 의해 포집된 공기는, 배기장치(100)의 내부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이송될 수 있다.
배기장치(100)는, 본체(10)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장치(100)는, 조리대(11) 상부로 돌출되거나 본체(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장치(100)는, 배기장치(100) 주변에 발생된 오염공기를 포집할 수 있게 마련되며,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장치(100)는, 조리대(11)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오염공기를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배기장치(100)는, 본체(10) 내부를 향해 하강하여 본체(10)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다.
[배기장치의 전반적인 구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배기장치(100)는 메인 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110)는 배기장치(10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바디(110)는, 가열장치(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조리영역(23a,23b)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바디(110)는, 조리대(11) 및 이 조리대(11)에 설치된 탑플레이트(23)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메인 바디(110)에는, 배기유로(110a)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유로(110a)는, 메인 바디(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기유로(110a)는, 메인 바디(110)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가 메인 바디(110) 내부를 이동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메인 바디(110)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기유로(110a)는, 메인 바디(110)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탑플레이트(23)의 하부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바디(110)에는, 흡입구(112)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12)는, 탑플레이트(23)의 상부측에서 배기유로(110a)를 메인 바디(110)의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메인 바디(110)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112)는, 메인 바디(110)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배기유로(110a)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흡입구(112)는 메인 바디(1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112)는, 메인 바디(110)의 전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유로(110a)는 메인 바디(110)의 전면에 배치된 흡입구(112)를 통해 배기장치(10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흡입구(112)는 메인 바디(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112)는, 메인 바디(110)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유로(110a)는 메인 바디(110)의 측면에 배치된 흡입구(112)를 통해 배기장치(100)의 측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배기장치(100)는, 배기덕트(140) 및 팬(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덕트(140)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덕트(140)는, 탑플레이트(23)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배기덕트(140)는 조리대(11)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140)는, 본체(10)의 내부에서 배기유로(110a)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바디(110)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배기유로(110a)는, 탑플레이트(23)의 하부 영역에서 배기덕트(140)와 연결될 수 있다.
흡입구(112)를 통해 메인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공기는, 배기유로(110a)를 통해 메인 바디(110)의 하부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메인 바디(110)에서 하방으로 배출된 오염공기는, 조리대(11)의 하부측에서 배기덕트(1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오염공기의 유동은, 팬(150)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일례로서, 팬(150)은 배기덕트(140)의 하부측에서 배기덕트(14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배기장치(100) 외부의 오염공기는 흡입구(112)를 통해 배기유로(110a)로 흡입된 후, 하방으로 이동하여 배기덕트(1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기덕트(140)로 유입된 오염공기는, 실외와 연결된 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될 수도 있고, 배기덕트(140)에서 곧바로 실내로 배출될 수도 있다.
오염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경우, 배기장치(100)에는 필터(14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필터(145)는, 배기덕트(140)의 내부 또는 출구측에 설치되어 배기덕트(140)로 유입된 오염공기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필터(145)는, 프리 필터(Pre-filter), 오일미스트 필터(Oil-mist filter/Grease filter), 탈취 필터(Oder filter), 집진 필터(Dust filter), 탈취 필터, 제균 필터, 플라즈마 필터(Plasma filter), UV 필터(UV filter) 및 활성 필터(Active filt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프리 필터는 큰 먼지와 오일 입자를 잡아 주며, 오일미스트 필터는 조리시 발생되는 유증기를 제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탈취필터는 냄새를 제거하는 활성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집진필터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는데 이용되는 필터이다.
또한 활성 필터는, 오존과 같은 오염 물질을 방출하지 않으면서 냄새 분자를 더 많이 분해하는 플라즈마, 자외선 등을 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필터(145)는, 상기 필터들 중 어느 하나이거나, 상기 필터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바디(110)는, 바디전면(111) 및 바디배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전면(111)은, 바디전면(111)과 바디배면(113) 중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메인 바디(1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배면(113)은, 바디전면(111)과 바디배면(113) 중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메인 바디(110)의 배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전면(111)과 바디배면(113)은, 배기유로(110a)를 사이에 두고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바디전면(111)은 배기유로(110a)의 전방에 배치되며, 바디배면(113)은 배기유로(110a)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바꾸어 설명하면, 배기유로(110a)는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바디전면(111)과 바디배면(1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유로(110a)의 상부측은 바디상면(115)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바디상면(115)은, 바디전면(111) 및 바디배면(113)의 상부측에서 이들과 결합되며 배기유로(110a)를 상부측에서 덮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메인 바디(110)는,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바디(11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조리대(11) 및 탑플레이트(23)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하방으로 이동하여 조리대(11) 및 탑플레이트(23)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될 수도 있다.
조리대(11) 및 탑플레이트(23)의 하부측, 즉 본체(10)의 내부에는, 배기덕트(140) 및 메인 바디(110)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 부피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대(11) 및 탑플레이트(23)의 하부측으로 하강한 메인 바디(110)는, 본체(10) 내부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하강한 메인 바디(110)의 상단은, 조리대(11)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본체(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본체(10)의 내부로 하강한 메인 바디(110)의 적어도 일부분은, 배기덕트(14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바디(110)는 메인 바디(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배기덕트(14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다. 이때 배기유로(110a)의 하단은 배기덕트(140)의 내부에서 배기덕트(140)와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기유로(110a)와 배기덕트(14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배기장치(100)는, 디스플레이(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영상을 메인 바디(110)에 출력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20)에 출력되는 영상은, 텍스트와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메인 바디(110)가 승강됨에 따라, 흡입구(112) 및 디스플레이(120)의 위치도 함께 변화될 수 있다. 메인 바디(110)가 상승하여 조리대(11) 및 탑플레이트(23)의 상방으로 돌출되었을 때, 흡입구(112) 및 디스플레이(120)도 조리대(11) 및 탑플레이트(23)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바디(110)가 하강하여 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흡입구(112) 및 디스플레이(120)도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흡입구 배치 구조]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구(112)는 메인 바디(11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112)는, 메인 바디(110)의 전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메인 바디(110)의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112)가 메인 바디(110)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메인 바디(110)의 전면에 배치되는 흡입구(112)는, 바디전면(11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구(112)는, 바디전면(111)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흡입구(112)의 후방측은 메인 바디(110)의 내부에서 배기유로(110a)와 연결될 수 있으며, 흡입구(112)의 전방측은 메인 바디(11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구(112)는 메인 바디(110)의 전면에 배치되되, 측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흡입구(112)는 메인 바디(110)의 측방향 중앙보다 메인 바디(110)의 측방향 단부에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구(112)는 조리영역(23a,23b)에 비해 메인 바디(110)의 측방향 중앙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0)의 전면에는, 한 쌍의 흡입구(112)가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흡입구(112) 중 어느 하나는 조리영역(23a,23b)보다 측방향 일측으로 더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흡입구(112) 중 다른 하나는 조리영역(23a,23b)보다 측방향 타측으로 더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측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흡입구(112) 사이에 조리영역(23a,23b)이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흡입구(112)는 메인 바디(110)의 측방향 일측 단부와 조리영역(23a,23b) 사이 또는 메인 바디(110)의 측방향 타측 단부와 조리영역(23a,2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흡입구(112)는, 조리영역(23a,23b)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된다고 설명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흡입구(112)는, 디스플레이(120)에 비해 메인 바디(110)의 측방향 중앙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흡입구(112) 사이에 디스플레이(120)가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흡입구(112)는, 메인 바디(110)의 측방향 일측 단부와 조리영역(23a,23b) 사이 또는 메인 바디(110)의 측방향 타측 단부와 디스플레이(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흡입구(112)는, 디스플레이(120)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된다고 설명될 수 있다.
가열장치(20)에 올려진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는, 그 후방측에 배치된 배기장치(100)에 의해 포집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입구(112)가 조리영역(23a,23b) 및 디스플레이(120)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됨에 따라, 오염공기는 배기장치(100)의 측방향 외측보다는 배기장치(100)의 측방향 단부에 치우친 위치에서 배기장치(100)에 포집될 수 있다.
예컨대, 가열장치(20)에 올려진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는 측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게 후방으로 이동하며 배기장치(100)에 흡입될 수 있고, 양측으로 갈라지며 배기장치(100)에 흡입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장치(20) 중 좌측에 치우친 위치에 올려진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는, 좌측방향 및 후방 사이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기장치(100)의 좌측에 배치된 흡입구(112)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가열장치(20) 중 우측에 치우친 위치에 올려진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는, 우측방향 및 후방 사이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기장치(100)의 우측에 배치된 흡입구(112)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가열장치(20)의 측방향 중앙에 올려진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는, 양측으로 갈라져 이동하며 배기장치(100)의 양측에 배치된 흡입구(112)로 각각 유입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오염공기는, 배기장치(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 바디(110)의 전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배기장치(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오염공기의 포집이 이루어짐에 따라, 오염공기가 배기장치(100), 특히 디스플레이(120)를 전방측에서 가리는 상황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즉 배기장치(100)의 좌측 인근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는 배기장치(100)의 좌측에서 포집되고 배기장치(100)의 우측 인근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는 배기장치(100)의 우측에서 포집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120)가 오염공기에 의해 가려지는 문제가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태로 오염공기의 포집이 이루어지면, 메인 바디(110)의 전면에 오염공기가 접촉되기 어려워지게 된다.
메인 바디(110)와 오염공기의 접촉이 많아질수록, 메인 바디(110) 전면의 오염도가 증가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오염공기에 포함된 그을음, 기름 등은, 메인 바디(110)와 접촉되면서 메인 바디(110)를 오염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메인 바디(110) 전면의 오염도가 증가되고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0)의 전면과 오염공기 간의 접촉은, 메인 바디(110) 전면에 발생되는 결로의 원인이 된다. 메인 바디(110)의 전면에 발생된 결로는, 배기장치(100)의 외관을 더럽힐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왜곡시키고, 해당 영상의 시인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형태로 오염공기의 포집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메인 바디(110)의 전면에 오염공기가 접촉되기 어려워지게 되면, 배기장치(100)의 외관이 청결하게 유지되기 용이해질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품질 및 시인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의 구조]
도 5는 도 1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0)는 메인 바디(11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20)는, 메인 바디(110)와 별물로 마련되어 메인 바디(110)에 설치될 수도 있고, 메인 바디(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메인 바디(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20)는, 바디전면(111) 또는 바디배면(113)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20)가 바디전면(111)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0)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20)는, 별도로 마련된 프로젝터(130)로부터 송출된 빛을 영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글라스보드(Glass board)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OLED 또는 마이크로 LED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20)가 바디전면(111)에 배치되었을 때, 디스플레이(120)는 메인 바디(110)의 전면에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20)는 바디배면(113)보다 전방에 배치되며, 디스플레이(120)와 바디배면(113) 사이에 배기유로(110a)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배기장치(100)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디스플레이(120)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덮을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커버는 투명한 필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는 디스플레이(120)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덮으며 디스플레이(120)를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120)의 전방 및 후방에 커버(122,124)가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커버(122,124)는, 디스플레이(120)의 전면과 배면을 덮으며 디스플레이(120)를 보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전면을 덮는 커버(122; 이하, "전면커버"라 한다)는, 배기장치(100)의 전방측에서 디스플레이(120)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122)는, 배기장치(100)의 전방측에서 발생된 오염공기, 조리기구에서 튀어나온 오염물질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120)가 오염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12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122)는, 조리기구 등에 의해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120)를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의 후방에 배치된 커버(124; 이하, "배면커버"라 한다)는, 디스플레이(120)와 배기유로(110a) 사이에서 디스플레이(120)의 배면을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배면커버(124)는, 배기유로(110a)를 통과하는 오염공기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120)가 오염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120)를 보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20a)가 바디배면(113)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20a)는 메인 바디(110)의 배면에서 전방을 향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전면(111)은 디스플레이(120a)의 전방에 배치되는 바디전면(111)은, 디스플레이(120a)에서 출력된 영상이 바디전면(111)의 전방측에서 선명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바디전면(111)은 투명한 강화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커버(126)는, 디스플레이(120a)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26)는, 디스플레이(120a)와 배기유로(110a) 사이에서 디스플레이(120a)의 전면을 덮을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120a)의 전방에 배치된 커버(126)는, 디스플레이(120a)의 전면을 덮으며 디스플레이(120a)를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26)는, 배기유로(110a)를 통과하는 오염공기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120a)가 오염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120a)를 보호할 수 있다.
[배기장치의 배기 동작]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동작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배기장치(100)의 측부에 배치된 각각의 흡입구(112)는,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되게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12)의 개폐를 위해, 배기장치(100)에는 흡입구의 개폐를 위해, 배기장치()에는 개폐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부(160)는, 각각의 흡입구(112)를 각각 개폐하는 복수개의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개폐부재는 흡입구(112) 상에 배치되어 흡입구(112)를 직접 개폐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개폐부재는 배기유로(110a)의 하단에 배치되거나 배기유로(110a)의 하단과 흡입구(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는, 배기유로(110a)를 개폐함으로써 흡입구(112)를 간접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유로(110a)는, 측방향 일측에 배치된 흡입구(112)와만 연결된 구간과 측방향 타측에 배치된 흡입구(112)와만 연결된 구간으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개폐부(160)는, 개폐부재의 개폐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개폐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개폐구동부는 각 개폐부재를 각각 동작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감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70)는, 가열장치(20)에 마련된 복수개의 조리영역(23a,23b) 중 조리기구가 배치된 조리영역(23a,23b)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부(170)는, 복수개의 조리영역(23a,23b) 중 어느 조리영역(23a,23b)에 조리기구가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감지부(170)는 로드셀, 근접센서, 카메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를 포함하거나, 조리기구의 위치와 치수를 식별할 수 있는 기타 센서 또는 시각적 검사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조리영역(23a,23b)마다 근접센서 또는 로드셀이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근접센서가 조리기구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감지부(170)는 각 조리영역(23a,23b)에 배치된 가열부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리영역(23a,23b)에 별도의 센서가 설치될 필요 없이,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0)의 제어신호가 가열부의 동작 여부 파악을 위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흡입구(112)는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되며, 각 흡입구(112)의 개폐는 감지부(17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열부 중 어느 하나만 동작 중이거나 어느 하나의 가열부에만 조리기구가 배치되었을 때, 측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흡입구(112) 중 동작 중인 가열부 또는 조리기구가 배치된 가열부와 더 인접한 어느 하나의 흡입구(112)만이 개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치우치게 배치된 조리영역(23a; 이하, "좌측 조리영역"이라 한다)의 가열부만 동작 중이거나 좌측 조리영역(23a)에만 조리기구가 배치되었을 때, 한 쌍의 흡입구(112) 중 좌측에 배치된 흡입구(110b; 이하, "좌측 흡입구"라 한다)만이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측 흡입구(112)만이 개방되면,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의 흡입은, 좌측 흡입구(112)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치우치게 배치된 조리영역(23b; 이하, "우측 조리영역"이라 한다)의 가열부만 동작 중이거나 우측 조리영역(23b)에만 조리기구가 배치되었을 때, 한 쌍의 흡입구(112) 중 우측에 배치된 흡입구(110b; 이하, "우측 흡입구"라 한다)만이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측 흡입구(112)만이 개방되면,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의 흡입은, 우측 흡입구(112)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흡입구(112)의 개폐가 이루어지면, 오염공기의 발생 지점과 가장 가까운 흡입구(112)를 통해 오염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짐으로써, 오염공기의 포집 효율이 매우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태로 흡입구(112)의 개폐가 이루어지면, 오염공기의 발생 지점과 가까운 흡입구(112)만이 개방되고 나머지 흡입구(112)는 폐쇄된다. 즉 폐쇄된 흡입구(112)가 차지하는 단면적만큼 배기장치(10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작용하는 단면적이 감소됨으로써, 개방된 흡입구(112)를 통해 작용하는 흡입력이 매우 효과적으로 상승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흡입이 이루어지는 지점과 오염공기의 발생 지점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동시에, 배기장치(100)의 흡입력 또한 증가될 수 있게 됨으로써, 배기장치(100)의 오염공기 포집 성능이 매우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태로 흡입구(112)의 개폐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오염공기의 발생 지점과 가장 가까운 흡입구(112)를 통해 오염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면, 메인 바디(110)의 전면과 오염공기의 접촉 발생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즉 좌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 조리기구(이하, 좌측 조리기구"라 한다)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는 배기장치(100)의 좌측에 배치된 좌측 흡입구(112)로 흡입되고, 우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 조리기구(이하, "우측 조리기구"라 한다)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는 배기장치(100)의 우측에 배치된 흡입구(112)로 흡입되는 등,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가 메인 바디(110)의 측방향 중앙을 거치지 않고 메인 바디(110)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흡입구(112)로 흡입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모두의 가열부가 동작 중이거나 좌우측 모두의 가열부에 조리기구가 배치되었을 때, 양측의 흡입구(112)가 모두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측의 흡입구(112)가 모두 개방되면,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의 흡입은, 양측에 배치된 흡입구(112) 모두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배기장치(100)의 전방측에서 발생된 오염공기가 양측으로 갈라지며 후방으로 이동한 후, 배기장치(100)의 양측에서 포집될 수 있다.
[배기장치의 영상 출력 동작]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영상 출력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0)는, 측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출력영역(A,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20)는, 복수개의 출력영역(A,B)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120)가 두 개의 출력영역(A,B)으로 구분된 형태를 예로 들어 디스플레이(12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감지부(170)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두 출력영역(A,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열부 중 어느 하나만 동작 중이거나 어느 하나의 가열부에만 조리기구가 배치되었을 때, 디스플레이(120)는 동작 중인 가열부 또는 조리기구가 배치된 조리영역(23a,23b)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은 출력영역(A,B)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중인 가열부가 없거나 어떤 가열부에도 조리기구가 배치되지 않았을 때, 디스플레이(120)는 두 출력영역(A,B) 모두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20)의 전방측에서 디스플레이(120)를 가리는 장애물이 없으므로, 모든 출력영역(A,B)에서 출력된 영상이 전방으로 효과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조리영역(23b)의 가열부만 동작 중이거나 우측에 치우치게 조리영역(23b)에만 조리기구가 배치되었을 때, 디스플레이(120)는 두 출력영역(A,B) 중 좌측에 배치된 출력영역(A; 이하, "좌측 출력영역"이라 한다)에만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조리기구에 의해 가려지거나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로 인해 시야가 가려질 가능성이 높은 우측 출력영역(B)에서는 영상이 출력되지 않고, 조리기구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염공기의 영향을 적게 받는 좌측 출력영역(A)에서만 영상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조리영역(23a)의 가열부만 동작 중이거나 좌측 조리영역(23a)에만 조리기구가 배치되었을 때, 디스플레이(120)는 두 출력영역(A,B) 중 우측에 배치된 출력영역(B; 이하, "좌측 출력영역"이라 한다)에만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조리기구에 의해 가려지거나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로 인해 시야가 가려질 가능성이 높은 좌측 출력영역(A)에서는 영상이 출력되지 않고, 조리기구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염공기의 영향을 적게 받는 우측 출력영역(B)에서만 영상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일부 출력영역에만 영상이 출력되면, 조리기구에 의해 가려지거나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로 인해 시야가 가려질 가능성이 높은 출력영역에서는 영상이 출력되지 않고, 오로지 사용자의 눈에 잘 띄기 쉬운 출력영역에서만 영상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배기장치의 작용, 효과]
이하,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배기장치(100)에서, 흡입구(112)가 메인 바디(11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고, 디스플레이(120)는 측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개의 출력영역(A,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구(112)는 메인 바디(110)의 하부측이 상부측에 배치되지 않고 메인 바디(11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다.
흡입구(112)가 메인 바디(110)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경우, 조리기기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흡입이 이루어지는 지점과 오염공기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처럼 흡입이 이루어지는 지점과 오염공기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배기장치(100)의 오염공기 포집 성능은 저하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흡입구(112)가 메인 바디(110)의 상부측이나 양측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는 있다. 그러나 조리기기의 높이 증가 대비 상기 거리 증가 폭은, 흡입구(112)가 메인 바디(110)에 하부측에 배치되는 경우 가장 크게 나타나게 된다.
또한 흡입구(112)가 메인 바디(110)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가 하강하며 흡입구(112)로 흡입된다.
조리기구의 높이가 메인 바디(110)의 높이와 유사하다고 할 때,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는 메인 바디(110)의 상단측으로부터 하강하며 흡입구(112)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매우 넓은 영역에서 오염공기와 메인 바디(110)의 접촉이 발생될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메인 바디(110) 전면의 오염도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오염공기의 유동은, 디스플레이(120) 전면을 오염시키거나 디스플레이(120)를 전방측에서 가리는 역할을 함으로써,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흡입구(112)가 메인 바디(110)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가 상승하며 흡입구(112)로 흡입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조리기구의 높이가 메인 바디(110)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는 메인 바디(110)의 상부측으로 상승하며 흡입구(112)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오염공기의 유동으로 인해 메인 바디(110) 전면의 오염도가 증가되고,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구(112)가 메인 바디(11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흡입구(112)가 메인 바디(110)의 양측부에 배치되면,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가 그 오염공기 발생원과 가까운 흡입구(112)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우측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는 우측 흡입구(112) 측으로 이동하여 그 흡입구(112)로 유입될 수 있고, 좌측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는 좌측 흡입구(112) 측으로 이동하여 그 흡입구(112)로 유입될 수 있다.
오염공기의 유동이 이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면, 오염공기는 메인 바디(110) 전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배기장치(10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오염공기의 포집이 이루어짐에 따라, 오염공기가 배기장치(100), 특히 디스플레이(120)를 전방측에서 가리는 상황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배기장치(100)의 외관이 청결하게 유지되기 용이해질 뿐 아니라,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품질 및 시인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120)는, 조리기구에 의해 가려지거나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로 인해 시야가 가려질 가능성이 높은 출력영역(A,B)을 통해서는 영상을 출력하지 않고, 조리기구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오염공기의 영향을 적게 받는 출력영역(A,B)을 통해서만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우측 조리영역(23b)의 가열부에만 조리기구가 배치되었을 때, 디스플레이(120)는 두 출력영역(A,B) 중 좌측 출력영역(A)에만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흡입구(112) 중 우측에 배치된 우측 흡입구(112)만이 개방되고,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의 흡입은 우측 흡입구(112)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오염공기는, 우측 조리영역(23b)에 배치된 조리기구로부터 그보다 더 우측에 배치된 우측 흡입구(112)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즉 우측 조리영역(23b)에 배치된 조리기구에서 발생된 오염공기의 유동은, 좌측 출력영역(A)을 전방측에서 가로지르지 않고, 우측 흡입구(112)를 향해 곧바로 진행할 수 있다.
그 결과로, 디스플레이(120)가 출력하는 영상은, 조리기구에 의해서도 가려지지 않고 오염공기에 의해서도 가려지지 않은 상태로 사용자에게 보여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120)가 출력하는 영상의 시인성은, 매우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배기장치(100)는, 흡입이 이루어지는 지점과 오염공기 간의 거리를 단축시킴으로써 더 향상된 오염공기 포집 성능을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120)가 출력하는 영상이 조리기구 및 오염공기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120)가 출력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기장치(100)는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기능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오염공기 흡입 위치, 영상 출력 위치 조절 등의 방법을 종합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기장치(100)는, 오염공기와 메인 바디(110) 전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오염공기를 측방향 양측에서 흡입함으로써, 배기장치(100)의 외관이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및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품질 및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기장치(100)는, 조리기구의 위치에 따라 영상 출력 영역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기장치(100)는, 더 향상된 오염공기 포집 성능을 제공하는 효과, 및 디스플레이(120)가 출력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조리대
20 : 가열장치
21 : 케이스
23 : 탑플레이트
23a,23b : 조리영역
24 : 입력 인터페이스
100 : 배기장치
110 : 메인 바디
110a : 배기유로
111 : 바디전면
112 : 흡입구
113 : 바디배면
115 : 바디상면
120 : 디스플레이
122,124,126 : 커버
130 : 프로젝터
140 : 배기덕트
150 : 팬
160 : 개폐부
170 : 감지부
180 : 제어부
A,B : 출력영역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조리영역이 마련되는 탑플레이트 및 상기 조리영역에 배치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가열장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배기장치로서,
    상기 조리영역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게 마련되며, 상기 탑플레이트의 하부 영역과 연결되는 배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메인 바디; 및
    상기 탑플레이트의 상부측에서 상기 배기유로를 상기 메인 바디의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상기 메인 바디에 형성하는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조리영역에 비해 상기 메인 바디의 측방향 중앙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흡입구가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사이에 상기 조리영역이 배치되는 배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흡입구는,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되게 마련되는 배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사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가열부가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중 동작 중인 상기 가열부와 더 인접한 어느 하나가 개방되는 배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중 동작 중인 상기 가열부와 더 인접한 어느 하나만 개방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폐쇄되는 배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사이에 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조리영역 중 조리기구가 배치된 조리영역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흡입구 중 조리기구와 더 인접한 어느 하나가 개방되는 배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텍스트와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을 상기 메인 바디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비해 상기 메인 바디의 측방향 중앙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배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흡입구가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배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사이에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가열부가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측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출력영역으로 구분되며, 복수개의 상기 출력영역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마련되는 배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동작 중인 상기 가열부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은 출력영역에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배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흡기구 중 동작 중인 상기 가열부와 더 인접한 어느 하나가 개방되는 배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중 동작 중인 상기 가열부와 더 인접한 어느 하나만 개방되며, 나머지 다른 하나는 폐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복수개의 상기 출력영역 중 폐쇄된 상기 흡입구와 동작 중인 상기 가열부 사이에 배치된 영역에서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배기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흡입구 사이에 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조리영역 중 조리기구가 배치된 조리영역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측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출력영역으로 구분되며, 복수개의 상기 출력영역 중 조리기구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은 출력영역에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배기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배기유로의 전방에 배치되는 바디전면, 및 상기 배기유로의 후방에 배치되는 바디배면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바디전면 또는 상기 바디배면에 배치되는 배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전방 또는 후방에서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배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바디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과 배면을 덮는 배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배기유로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덮는 배기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바디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을 덮는 배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배기유로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을 덮는 배기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220079354A 2022-06-29 2022-06-29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240002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354A KR20240002302A (ko) 2022-06-29 2022-06-29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DE202023102325.8U DE202023102325U1 (de) 2022-06-29 2023-04-28 Abluftvorrichtung und Kocheinrichtung mit derselb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354A KR20240002302A (ko) 2022-06-29 2022-06-29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302A true KR20240002302A (ko) 2024-01-05

Family

ID=87518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354A KR20240002302A (ko) 2022-06-29 2022-06-29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2302A (ko)
DE (1) DE202023102325U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23102325U1 (de)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6618B2 (en) Smoke exhaust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US9474412B2 (en) Smoke filter system for a cooking appliance
US20120204855A1 (en) Cooking Device with Ventilation and Filtration System
CN105698234A (zh) 供气排气兼用感应换气系统
JP5878003B2 (ja)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KR20140030020A (ko) 무연 그릴
JP2008082634A (ja) レンジフード
KR20210090474A (ko) 환기장치와 이를 포함한 환기 시스템
KR20200000306U (ko) 환기구와 유리창이 구비된 렌지후드
ITUB20155990A1 (it) Cappa di aspirazione per ambienti domestici.
KR20180053857A (ko) 쿡탑 일체형 주방후드
US5967136A (en) Island countertop stove hood
JP5577059B2 (ja) 整流板および整流板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KR100608704B1 (ko) 주방용 후드의 월제트 배기장치
KR20240002302A (ko)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ITTO20080292A1 (it) Apparato di cottura domestico comprendente un'unita' pensile
KR20240002305A (ko)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240002304A (ko)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381708B1 (ko) 주방 스마트 후드
KR20240002303A (ko)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EP3557141A1 (en) Cooker of the freestanding type with a integrated fume extraction and filtration system
KR20220044997A (ko) 가변 팬 구동부를 지닌 이동식 재순환 그릴
JP3953012B2 (ja) レンジフード
IT202000015112A1 (it) Cappa di aspirazione comprendente un sistema anticondensa.
KR200495257Y1 (ko) 주방 스마트 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