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658A - 회계 장치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회계 장치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658A
KR20240001658A KR1020230002649A KR20230002649A KR20240001658A KR 20240001658 A KR20240001658 A KR 20240001658A KR 1020230002649 A KR1020230002649 A KR 1020230002649A KR 20230002649 A KR20230002649 A KR 20230002649A KR 20240001658 A KR20240001658 A KR 20240001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coup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2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노부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09Details of the software in the checkout register, electronic cash register [ECR] or point of sale terminal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4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interface for record bearing medium or carrier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or payment credi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2Verify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PI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8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1Details for indica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회계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회계 장치는, 상품의 거래에 관한 회계 처리를 실행하는 회계 처리부와, 상기 거래를 행하는 고객을 식별하는 고객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고객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고객의 회원 종별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가 취득한 회원 종별에 따라, 표시부에 다른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회계 장치 및 프로그램 {ACCOUNTING DEVICE AND PROGRAM}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회계 장치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품이나 서비스(이하, 총칭하여 「상품」이라고 함)를 판매하는 점포에서는, 고객 확보를 도모하기 위해, 회원 등록을 행한 고객에 대하여 특전을 부여하는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점포는, 구입 금액에 대한 소정 비율의 포인트를 회원에게 부여하는 서비스 등을 전개하고 있다.
또한, 근년에는 고객의 특성에 맞춘 프로모션을 실행하기 위해, 서비스가 다른 복수 종류의 회원 제도를 채용하는 기업이나 점포(이하, 총칭하여 「점포」라고도 함)도 증가하게 되었다. 점포는, 고객의 요망에 따라, 회원 ID를 유지한 카드를 보유하는 카드 회원이나,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에 회원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인스톨한 애플리케이션 회원 등을 설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가 다른 복수 종류의 회원 제도를 채용하고 있는 경우, 상품을 구입하는 고객에 따라 회계 장치의 조작이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회원에게만 쿠폰이 배신되면, 고객이 당해 애플리케이션 회원인 경우에는 쿠폰 정보의 입력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회계 장치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점원이나 고객)의 조작이 번잡하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22-47262호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회계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회계 장치는, 상품의 거래에 관한 회계 처리를 실행하는 회계 처리부와, 상기 거래를 행하는 고객을 식별하는 고객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고객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고객의 회원 종별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가 취득한 회원 종별에 따라, 표시부에 다른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점포 시스템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의 주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의 기억부에 기억되는 상품 마스터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의 기억부에 기억되는 식별 정보 관리 테이블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의 기억부에 기억되는 회원 종별 관리 테이블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의 제어부의 주된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의 주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의 기억부에 기억되는 회원 마스터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의 기억부에 기억되는 쿠폰 관리 파일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의 제어부의 주된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한 거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의 표시부가 표시하는 회원 ID 입력 안내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의 표시부가 표시하는 쿠폰 ID 입력 안내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회원 종별 선정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의 회계 장치 및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고객이 상품 등록 및 회계 처리에 관한 조작을 행하는 셀프 POS(Point Of Sales) 단말기를 회계 장치로 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계 장치는, 점원이 상품 등록 및 회계 처리에 관한 조작을 행하는 POS 단말기, 점원이 등록 장치로 상품 등록에 관한 조작을 행하고 고객이 회계 장치로 회계 처리에 관한 조작을 행하는 세미셀프 POS의 회계 장치, 고객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기를 조작하여 상품 등록된 정보를 취득하여 회계 처리를 행하는 회계 장치 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회원 종별을 회원 제도의 종류로 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회원 종별은, 동일한 회원 제도의 회원에 설정되는 회원 랭크의 종류로 해도 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점포 시스템(1)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점포 시스템(1)은, 예를 들어 어패럴 상품 등 특정 장르의 상품을 중심으로 판매하는 전문점이나, 슈퍼마켓 등의 양판점에 적용된다. 점포 시스템(1)은, 복수의 POS 단말기(2)와, 서버 장치(3)를 갖는다. 각 POS 단말기(2)와 서버 장치(3)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POS 단말기(2)는, 고객이 상품 등록 및 회계 처리에 관한 조작을 행하는 셀프 POS 단말기이다. POS 단말기(2)는, 상품을 구입하는 고객 자신의 조작에 의해, 당해 고객이 구입하는 상품의 상품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한 상품 코드에 기초하여 취득한 상품 정보를 기억함으로써 상품 등록을 실행한다. 또한, POS 단말기(2)는, 상품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회계 처리를 실행한다.
회계 처리는, 고객이 지불을 행하기 위한 처리로서, 산출 처리, 결제 처리, 영수증 발행 처리를 포함한다. 산출 처리는, 거래 금액을 산출하는 처리 등이다. 결제 처리는, 산출 처리에서 산출된 거래 금액의 지불을 완료시키기 위한 처리로, 현금 결제에 있어서는 거스름돈의 산출 및 불출 등, 캐시리스 결제에 있어서는 결제용 서버와의 통신 등을 포함한다. 영수증 발행 처리는, 종이 영수증 혹은 전자 영수증을 발행하기 위한 처리이다. POS 단말기(2)는, 회계 장치의 일례이다.
POS 단말기(2)는, 회계 처리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게 조작을 안내하는 각종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POS 단말기(2)는, 회계 처리에 있어서, 고객의 회원 ID를 접수하고, 당해 회원 ID로 특정되는 고객의 회원 종별, 환언하면 당해 고객이 이용하는 회원 제도의 종류를 취득한다. POS 단말기(2)는, 접수한 회원 ID에 기초하여 서버 장치(3)로부터 회원 종별을 취득해도 되고, 회원 ID가 기억된 카드 등의 매체로부터 회원 종별을 취득해도 된다. POS 단말기(2)는, 취득한 고객의 회원 종별에 따라, 오퍼레이터에게 조작을 안내하는 화면을 다르게 한다.
또한, POS 단말기(2)는, 회계 처리가 완료된 거래의 거래 데이터를 서버 장치(3)에 송신한다. 거래 데이터는, 거래 일시, 거래 No, 거래 금액, 구입된 상품의 상품 정보, 고객의 회원 ID, 거래에 있어서 사용된 쿠폰의 쿠폰 ID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쿠폰이란 고객이 특전을 얻기 위한 쿠폰 정보가 표시된 매체이며, 예를 들어 쿠폰 정보가 인자된 종이 쿠폰, 고객의 단말기에 쿠폰 정보가 표시된 디지털 쿠폰 등이 있다. 또한, 쿠폰 ID란 쿠폰을 특정하는 정보이다. 유저가 쿠폰에 의해 얻어지는 특전으로서는, 판매 가격에서 일정 금액을 차감하는 가격 인하나 판매 가격에서 일정 비율의 금액을 차감하는 할인(이하, 총칭하여 「가격 인하」라고도 함), 조품(粗品)이나 굿즈 등의 무상으로의 수령, 금전 가치를 갖는 포인트의 수령 등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쿠폰에 의해 유저가 얻어지는 특전은 가격 인하인 것으로 한다.
서버 장치(3)는, 회계 처리에서 결제된 거래 데이터를 POS 단말기(2)로부터 수신하여 관리한다. 서버 장치(3)는, POS 단말기(2)로부터 수신한 거래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자신이 발행한 쿠폰의 사용 상황도 관리한다. 또한, 서버 장치(3)는, 점포에서 취급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를 기억한 상품 마스터를 적절하게 갱신하여, 각 POS 단말기(2)에 송신한다.
다음에, POS 단말기(2)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POS 단말기(2)의 주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POS 단말기(2)는, 제어부(20)와, 기억부(21)와, 표시부(22)와, 조작부(23)와, 스캐너(24)와, 프린터(25)와, 카드 리더(26)와, 거스름돈기(27)와, 통신부(28)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0), 기억부(21), 표시부(22), 조작부(23), 스캐너(24), 프린터(25), 카드 리더(26), 거스름돈기(27) 및 통신부(28)는, 버스(29) 등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0)는, CPU(201)(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202), RAM(Random Access Memory)(203)을 구비한 컴퓨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CPU(201), ROM(202) 및 RAM(203)은, 버스(29)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201)는 POS 단말기(2)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ROM(202)은, CPU(201)의 구동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203)은, CPU(20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며, ROM(202)이나 기억부(21)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전개한다. 제어부(20)는, CPU(201)가 ROM(202)이나 기억부(21)에 기억되고 RAM(203)에 전개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POS 단말기(2)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RAM(203)은, 상품 정보부(2031) 및 회원 종별 정보부(2032)를 구비한다. 상품 정보부(2031)는, 고객이 구입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를 기억한다. 상품 정보부(2031)에 기억되는 상품 정보는, 예를 들어 스캐너(24)가 상품에 첨부된 코드 심볼로부터 판독한 상품 코드에 기초하여 기억부(21)로부터 읽어내어진다. 상품 정보부(2031)에 상품 정보가 기억(등록)되는 것을 상품 등록이라고도 한다.
회원 종별 정보부(2032)는, 고객이 회원인 경우에 당해 고객의 회원 종별 등을 기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회원 종별 정보부(2032)에는, 카드 회원, 애플리케이션 회원, 쿠폰 없는 회원 중 어느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억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카드 회원, 애플리케이션 회원, 쿠폰 없는 회원을 총칭하여 회원 종별 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카드 회원은, 회원 ID가 보유된 회원 카드를 소유하는 고객으로서, 상품 구입 시에 구입 금액에 따른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포인트는, 차회 이후의 점포에서의 쇼핑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금전 상당의 가치를 갖는 것으로, 점포가 카드 회원에게 부여하는 특전이다. 애플리케이션 회원은, 회원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인스톨한 스마트폰을 소유하는 고객으로서, 상술한 포인트를 얻을 수 있는 것에 추가하여 디지털 쿠폰(이하, 간단히 「쿠폰」이라고도 함)의 발행을 받을 수 있다. 쿠폰 없는 회원은, 발행된 쿠폰 모두를 사용하여 이용 가능한 쿠폰을 소유하고 있지 않은 애플리케이션 회원이다.
회원 종별 정보부(2032)에 기억되는 회원 종별 등은, 예를 들어 거래 개시 시에 스캐너(24)가 고객의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코드 심볼로부터 판독한 회원 ID에 기초하여 서버 장치(3)로부터 취득된다. 혹은, 회원 종별 정보부(2032)에 기억되는 회원 종별은, 거래 개시 시에 카드 리더(26)가 고객의 회원 카드로부터 판독한 회원 ID에 기초하여 서버 장치(3)로부터 취득된다.
기억부(21)는, HDD(Hard Disk Drive)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로 구성되어 있고, 전원을 차단해도 기억 내용을 유지한다. 기억부(21)는, 제어 프로그램(211), 상품 마스터(212), 식별 정보 관리 테이블(213) 및 회원 종별 관리 테이블(214)을 기억한다.
제어 프로그램(211)은, 스캐너(24)로 판독된 상품 코드에 기초하여 상품 등록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상품 정보부(2031)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1 거래의 회계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회원 종별 정보부(2032)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22)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서버 장치(3)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다.
상품 마스터(212)는, 점포가 판매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를 기억한 마스터 파일이며, 서버 장치(3)로부터 송신되어 기억부(21)에 기억된다. 점포에서 취급하는 상품은 매일 변화하기 때문에, 상품 마스터(212)는 적절하게 갱신된다. 도 3은, 상품 마스터(212)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품 마스터(212)는, 상품 코드에 대응지어, 상품 정보를 기억한다. 기억되는 상품 정보는 상품명, 가격, 화상 등이다.
상품 코드는,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 정보이다. 상품명은, 상품의 명칭이다. 가격은, 상품의 가격이다. 가격에 등록되는 금액은, 세금 포함 가격이어도 되고 세금 별도 가격이어도 된다. 화상은, 상품의 외관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이다.
식별 정보 관리 테이블(213)은, 스캐너(24)의 판독 대상의 바코드가 무엇을 나타내는 것인지를 인식하기 위해 설정된 플래그를 관리하는 테이블이다. 식별 정보 관리 테이블(213)은, 점포의 운용, 상세하게는 스캐너(24)로 판독하는 바코드가 나타내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임의로 설정된다. 도 4는, 식별 정보 관리 테이블(213)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식별 정보 관리 테이블(213)은, 바코드 플래그와 정보 종별을 대응지어 기억한다.
바코드 플래그는, 스캐너(24)의 판독 대상인 각종 바코드의 말미에 설정된 플래그이다. 각종 바코드란, 고객이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회원 ID를 나타내는 바코드(이하, 「회원 바코드」라고도 함), 고객이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쿠폰 ID를 나타내는 바코드(이하, 「쿠폰 바코드」라고도 함), 상품에 첨부된 바코드(이하, 「상품 바코드」라고도 함)이다. 또한, 회원 바코드나 쿠폰 바코드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 및 상품 바코드를 나타내는 상품은, 코드 심볼을 나타내는 매체의 일례이다. 모든 회원 바코드의 말미는 플래그 「1」을 나타내고, 모든 쿠폰 바코드의 말미는 플래그 「2」를 나타내고, 모든 상품 바코드의 말미는 플래그 「3」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정보 종별은, 바코드가 나타내는 정보의 종별이다.
이에 의해, POS 단말기(2)는, 스캐너(24)가 인식한 바코드가 회원 ID를 나타내는 것인지, 쿠폰 ID를 나타내는 것인지, 상품 코드를 나타내는 것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표시부(22)가 회원 바코드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일 때, 환언하면 회원 바코드가 입력되어야 할 타이밍일 때, 상품 바코드나 쿠폰 바코드를 인식한 경우, POS 단말기(2)는, 인식한 바코드의 종류에 따른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정보 관리 테이블(213)에 등록되는 정보는 도시된 예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 관리 테이블(213)에는, 점원이 POS 단말기(2)를 조작하는 경우에 입력되는 점원 ID(점원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바코드 등에 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어도 된다.
회원 종별 관리 테이블(214)은, 특정 회원 종별을 설정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회원 종별 관리 테이블(214)은, 점포의 운용, 상세하게는 점포가 어느 회원 종별을 특정 회원 종별로 설정하는지에 따라 임의로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쿠폰의 발행을 받는 애플리케이션 회원을 특정 회원 종별로 하고 있다. 도 5는, 회원 종별 관리 테이블(214)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회원 종별 관리 테이블(214)은, 회원 종별 등과 특정 회원 종별 플래그를 대응지어 기억한다.
회원 종별 등은, 점포가 채용하는 회원 제도의 종별 등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회원 종별 등은, 카드 회원, 애플리케이션 회원 및 쿠폰 없는 회원이다. 특정 회원 종별 플래그는, 대응하는 회원 종별 등이 특정 회원 종별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카드 회원, 쿠폰 없는 회원에는 특정 회원 종별이 아님을 나타내는 정보가 등록되고, 애플리케이션 회원에는 특정 회원 종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등록된다. 애플리케이션 회원은 특정 회원 종별의 일례이다.
여기서, 상품 마스터(212), 식별 정보 관리 테이블(213) 및 회원 종별 관리 테이블(214)은, 기억부(21)가 아니라 예를 들어 서버 장치(3) 등의 외부 장치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POS 단말기(2)는, 외부 장치에 기억된 상품 마스터, 식별 정보 관리 테이블 및 회원 식별 관리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상품 마스터(212), 식별 정보 관리 테이블(213) 및 회원 종별 관리 테이블(214)을 기억부(21)에 기억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2로 되돌아가서, POS 단말기(2)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표시부(22)는, 표시 디바이스이며,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된다. 표시부(22)는, 제어부(20)의 제어 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2)는, 상품 등록된 상품의 상품 정보나, 거래 금액(1 거래의 합계 금액) 등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2)는, 오퍼레이터에게 각종 정보의 입력을 안내하는 가이던스 화면을 표시한다.
조작부(23)는, 입력 디바이스이며, 표시부(22)의 표면에 마련된 터치 패널, 표시부(22)와는 별도로 마련된 키보드 등으로 구성된다. 조작부(23)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각종 정보를 제어부(20)에 입력한다. 예를 들어, 조작부(23)는, 회계 처리의 개시를 지시하는 거래 개시 입력을 제어부(20)에 입력한다.
스캐너(24)는, 매체에 표시된 각종 코드 심볼로부터 정보를 판독한다. 예를 들어, 스캐너(24)는, 상품 등에 첨부된 상품 바코드로부터 상품 코드를 판독한다. 또한, 스캐너(24)는, 애플리케이션 회원의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회원 바코드로부터 회원 ID를 판독한다. 또한, 스캐너(24)는, 애플리케이션 회원의 휴대 단말기에 표시된 쿠폰 바코드로부터 쿠폰 ID를 판독한다. 스캐너(24)는, POS 단말기(2)에 고정적으로 마련된 것이어도 되고, 오퍼레이터가 손에 들고 조작 가능한 핸디식의 것이어도 된다.
프린터(25)는, 제어부(20)의 제어 하, 1 거래에 관한 영수증을 인자하여 발행한다. 프린터(25)는, 영수증에 거래 금액을 포함하는 거래 정보나 각종 메시지를 인자한다. 프린터(25)는, 영수증에 회원 종별을 인자해도 된다.
카드 리더(26)는, 각종 카드로부터 정보를 판독한다. 예를 들어, 카드 리더(26)는, 고객의 신용 카드로부터 신용 카드 결제에 필요한 고객 정보를 판독한다. 또한, 카드 리더(26)는, 카드 회원이 소유하는 회원 카드로부터 회원 ID를 판독한다. 카드 리더(26)는, 자기 카드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자기 카드 리더여도 되고, IC 칩을 내장한 카드로부터 정보를 판독하는 IC 카드 리더여도 된다.
거스름돈기(27)는, 고객이 구입 대금을 현금으로 지불하였을 때, 고객이 지불한 지폐와 동전을 접수하고, 필요에 따라 거스름돈을 불출한다.
통신부(28)는, 서버 장치(3)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제어부(20)는, 통신부(28)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접속됨으로써, 당해 외부 장치와 정보(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POS 단말기(2)의 제어부(20)의 기능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POS 단말기(2)의 제어부(20)의 주된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어부(20)는, CPU(201)가 ROM(202)이나 기억부(21)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송수신부(2001), 입력부(2002), 등록부(2003), 회계 처리부(2004), 판정부(2005) 및 표시 제어부(2006)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들 각 기능을 전용 회로 등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성해도 된다.
송수신부(2001)는, 서버 장치(3)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2001)는, 입력부(2002)에 입력된 회원 ID를 서버 장치(3)에 송신한다. 그리고, 송수신부(2001)는, 송신한 회원 ID로 식별되는 회원의 회원 종별 등을 서버 장치(3)로부터 수신한다. 송수신부(2001)는, 입력부(2002)에 입력된 고객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고객의 회원 종별을 취득하는 취득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송수신부(2001)는, 회원 종별만을 수신, 환언하면 애플리케이션 회원 또는 카드 회원 중 어느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만을 수신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서버 장치(3)는, 애플리케이션 회원이 쿠폰을 소유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송수신부(2001)는, 입력부(2002)에 입력된 쿠폰 ID로 특정되는 쿠폰의 특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2001)는, 쿠폰의 특전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가격 인하액을 수신한다.
입력부(2002)에는, 거래를 행하는 고객을 식별하는 고객 식별 정보가 입력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부(2002)에는, 스캐너(24)로부터 애플리케이션 회원의 회원 ID가 입력되고, 카드 리더(26)로부터 카드 회원의 회원 ID가 입력된다. 또한, 입력부(2002)에는, 스캐너(24)로부터 쿠폰 ID나 상품 코드가 입력된다. 또한, 입력부(2002)에는, 조작부(23)로부터 회계 처리의 개시를 지시하는 거래 개시 입력 등이 입력된다. 입력부(2002)에는, 스캐너(24)로부터 바코드 플래그도 입력된다.
등록부(2003)는, 상품 등록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등록부(2003)는, 입력부(2002)에 입력된 상품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상품 마스터(212)로부터 읽어내어 상품 정보부(2031)에 등록(기억)한다. 또한, 등록부(2003)는, 송수신부(2001)가 서버 장치(3)로부터 수신한 회원 종별 등을 회원 종별 정보부(2032)에 등록한다.
회계 처리부(2004)는, 상품의 거래에 관한 회계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회계 처리부(2004)는, 상품 정보부(2031)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1 거래의 거래 금액을 산출한다. 회계 처리부(2004)는, 산출한 거래 금액의 지불을 완료시키기 위한 결제 처리를 실행한다. 고객이 현금 결제에 의한 지불을 행하는 경우, 회계 처리부(2004)는, 거스름돈기(27)에 투입된 금액에서 거래 금액을 차감하여 거스름돈을 산출하고, 산출한 거스름돈을 거스름돈기(27)로부터 불출시킨다. 또한, 고객이 캐시리스 결제에 의한 지불을 행하는 경우, 회계 처리부(2004)는, 송수신부(2001)를 통하여 결제 서버와 통신한다. 회계 처리부(2004)는, 거래의 결제가 완료되면, 프린터(25)를 제어하여 영수증을 발행시킨다.
판정부(2005)는, 송수신부(2001)가 수신한 회원 종별 등이 특정 회원 종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2005)는, 회원 종별 관리 테이블(214)을 참조하여, 송수신부(2001)가 수신한 회원 종별 등에 대응하는 특정 회원 종별 플래그에 특정 회원 종별임을 나타내는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정부(2005)는, 입력부(2002)에 입력된 코드 플래그에 기초하여 스캐너(24)가 인식한 바코드가 무엇을 나타내는 정보인지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2005)는, 식별 정보 관리 테이블(213)을 참조하여, 입력부(2002)에 입력된 바코드 플래그에 대응하는 정보 종별을 추출한다.
표시 제어부(2006)는, 표시부(22)에 각종 정보를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2006)는, 상품 등록된 상품의 상품 정보나 1 거래의 거래 금액 등을 표시부(22)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2006)는, 오퍼레이터에게 각종 정보의 입력을 안내하는 가이던스 화면을 표시부(22)에 표시시킨다.
표시 제어부(2006)는, 송수신부(2001)가 수신한 회원 종별 등에 따라 표시부(22)에 다른 화면을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2001)가 수신한 회원 종별 등이 애플리케이션 회원인 경우, 표시 제어부(2006)는, 쿠폰 ID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시킨다. 또한, 송수신부(2001)가 수신한 회원 종별 등이 카드 회원 혹은 쿠폰 없는 회원인 경우, 표시 제어부(2006)는, 쿠폰 ID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시키지 않고, 지불 방법 선택 화면 등을 표시시킨다.
다음에, 서버 장치(3)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서버 장치(3)의 주된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서버 장치(3)는, 제어부(30)와, 기억부(31)와, 표시부(32)와, 조작부(33)와, 통신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0), 기억부(31), 표시부(32), 조작부(33) 및 통신부(34)는, 버스(35) 등을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30)는, CPU(301), ROM(302), RAM(303)을 구비한 컴퓨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CPU(301), ROM(302) 및 RAM(303)은, 버스(35)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서버 장치(3)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ROM(302)은, CPU(301)의 구동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303)은, CPU(30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며, ROM(302)이나 기억부(31)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전개한다. 제어부(30)는, CPU(301)가 ROM(302)이나 기억부(31)에 기억되고 RAM(303)에 전개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서버 장치(3)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기억부(31)는, HDD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로 구성되어 있고, 전원을 차단해도 기억 내용을 유지한다. 기억부(31)는, 제어 프로그램(311), 회원 마스터(312), 쿠폰 관리 파일(313) 및 상품 마스터(314)를 기억한다.
제어 프로그램(311)은, POS 단말기(2)로부터 거래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프로그램, 취득한 거래 데이터에 기초하여 쿠폰의 사용 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POS 단말기(2)로부터 수신한 회원 ID에 대응하는 회원 종별 등을 선정하여 당해 POS 단말기(2)에 송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다.
회원 마스터(312)는, 점포 회원의 정보 즉 고객의 정보를 기억하는 마스터 파일이다. 도 8은, 회원 마스터(312)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회원 마스터(312)는, 회원 ID에 대응지어, 성명, 성별, 연령, 통지처 및 회원 종별을 기억한다. 통지처는, 예를 들어 회원이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의 메일 어드레스이다. 회원 종별은, 카드 회원 또는 애플리케이션 회원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쿠폰 관리 파일(313)은, 애플리케이션 회원에게 발행한 쿠폰의 정보를 관리하는 파일이다. 쿠폰 관리 파일(313)은, POS 단말기(2)로부터 수신한 거래 데이터에 포함되는 쿠폰 정보에 기초하여 갱신된다. 쿠폰 정보는, 쿠폰이 사용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9는, 쿠폰 관리 파일(313)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쿠폰 관리 파일(313)은, 쿠폰 ID에 대응지어, 특전, 회원 ID 및 사용 플래그를 기억한다.
쿠폰 ID는, 발행된 쿠폰을 식별하는 쿠폰 식별 정보이다. 특전은, 쿠폰의 특전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격 인하액이 기억된다. 가격 인하액은, 쿠폰을 사용함으로써 거래 금액으로부터 가격 인하되는 금액이다.
회원 ID는, 회원인 고객을 식별하는 고객 식별 정보이다. 회원 ID의 항목에는, 쿠폰이 발행된 애플리케이션 회원의 회원 ID가 등록된다. 점포는, 통상 애플리케이션 회원에게 쿠폰을 일제히 배신하므로, 쿠폰 ID에 대하여 복수의 회원 ID가 등록된다. 사용 플래그는, 쿠폰이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용 플래그는, 회원 ID에 1:1로 대응하여 등록된다.
도 7로 되돌아가서 서버 장치(3)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부(32)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32)는, 예를 들어 회원 마스터(312), 쿠폰 관리 파일(313), 상품 마스터(314)에 기억된 정보를 필요에 따라 표시한다.
조작부(33)는, 제어부(3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 터치 패널, 마우스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부(34)는, POS 단말기(2)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제어부(30)는, 통신부(34)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접속됨으로써, 당해 외부 장치와 정보(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서버 장치(3)의 제어부(30)의 기능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서버 장치(3)의 제어부(30)의 주된 기능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어부(30)는, CPU(301)가 ROM(302)이나 기억부(31)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송수신부(3001), 입력부(3002) 및 데이터 관리부(3003)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들 각 기능을 전용 회로 등의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된다.
송수신부(3001)는, POS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송수신부(3001)는, POS 단말기(2)로부터 거래를 행하는 회원의 회원 ID를 수신하고, 당해 회원 ID로 식별되는 회원의 회원 종별 등을 당해 POS 단말기(2)에 송신한다. 이때, 송수신부(3001)는, POS 단말기(2)로부터 수신한 회원 ID의 회원이 소유하는 쿠폰의 쿠폰 정보도 함께 POS 단말기(2)에 송신한다. 송신되는 쿠폰 정보에는, 쿠폰 ID 및 특전이 포함된다. 또한, 송수신부(3001)는, 거래의 종료 시에 POS 단말기(2)로부터 거래 데이터를 수신한다.
입력부(3002)에는, 조작부(33)로부터 각종 정보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입력부(3002)에는, 회원 마스터(312), 쿠폰 관리 파일(313), 상품 마스터(314)를 수동으로 갱신하는 경우에, 갱신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된다.
데이터 관리부(3003)는, 기억부(31)에 기억되는 각종 데이터의 등록, 갱신을 행한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3003)는, 기억부(31)에 기억된 정보를 필요에 따라 읽어낸다. 예를 들어, 데이터 관리부(3003)는, 송수신부(3001)가 POS 단말기(2)로부터 거래 데이터를 수신하면, 당해 거래 데이터에 기초하여 쿠폰 관리 파일(313)을 갱신한다. 또한, 데이터 관리부(3003)는, 송수신부(3001)가 POS 단말기(2)로부터 회원 ID를 수신하면, 당해 회원 ID에 대응하는 회원 종별을 회원 마스터(312)로부터 추출한다. 데이터 관리부(3003)는, 송수신부(2001)가 수신한 회원 ID의 회원 종별이 애플리케이션 회원인 경우, 쿠폰 관리 파일(313)을 참조하여 당해 회원 ID에 대응하는 미사용의 쿠폰의 쿠폰 정보를 읽어낸다.
상기 구성의 점포 시스템(1)에 있어서, 거래 시에 POS 단말기(2)가 실행하는 거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POS 단말기(2)의 제어부(20)에 의한 거래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제어부(20)는, 입력부(2002)에 거래 개시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1),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1의 "아니오"), 스텝 S1의 처리로 복귀하여 대기한다.
입력부(2002)에 거래 개시 입력이 이루어지면(스텝 S1의 "예"), 제어부(20)는, 입력부(2002)에 상품 코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2),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2의 "아니오"), 스텝 S2의 처리로 복귀하여 대기한다.
입력부(2002)에 상품 코드가 입력되면(스텝 S2의 "예"), 등록부(2003)는, 상품 등록을 실행한다(스텝 S3). 구체적으로는, 등록부(2003)는, 입력부(2002)에 입력된 상품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상품 마스터(212)로부터 읽어내어, 상품 정보부(2031)에 기억한다.
표시 제어부(2006)는, 표시부(22)에 등록 화면을 표시시킨다(스텝 S4). 등록 화면은, 상품 등록된 상품의 상품명, 가격, 화상 등의 상품 정보를 표시함과 함께,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표시되는 가이던스는, 구입하는 상품 모두에 대하여 상품 바코드의 판독을 완료시키는 것, 상기 상품 바코드의 판독이 완료된 경우에는 회계 지시의 입력을 행하는 것 등을 안내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제어부(20)는, 입력부(2002)에 회계 지시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5), 입력되지 않으면(스텝 S5의 "아니오"), 스텝 S2의 처리로 복귀한다. 입력부(2002)에 회계 지시 입력이 이루어지면(스텝 S5의 "예"), 제어부(20)는, 입력부(2002)에 회원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 이때, 표시 제어부(2006)는, 예를 들어 표시부(22)에 「포인트 카드를 갖고 계십니까?」라는 메시지, "예" 버튼, "아니오" 버튼 등을 표시시킨다. 제어부(20)는, "예" 버튼이 조작되었음을 인식하면 회원 입력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여, "아니오" 버튼이 조작되었음을 인식하면 회원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입력부(2002)에 회원 입력이 이루어지면(스텝 S6의 "예"), 표시 제어부(2006)는, 표시부(22)에 회원 ID 입력 안내 화면을 표시시킨다(스텝 S7). 회원 ID 입력 안내 화면은, 고객 식별 정보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여기서, 표시부(22)가 표시하는 회원 ID 입력 안내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표시부(22)가 표시하는 회원 ID 입력 안내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회원 ID 입력 안내 화면은, 메시지 표시 영역(221) 및 가이던스 표시 영역(222)을 갖는다.
메시지 표시 영역(221)에는, 일시와 메시지가 표시된다. 일시는, 그 시점의 연월일 및 시각을 나타낸다. 메시지는, 고객이 애플리케이션 회원 혹은 카드 회원임을 문의하는 메시지, 예를 들어 「회원 카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바코드를 판독시켜 주세요.」 등의 메시지이다.
가이던스 표시 영역(222)은, 애플리케이션 회원용 가이던스부(2221), 카드 회원용 가이던스부(2222), 캔슬 버튼(2223) 및 점원 호출 버튼(2224)을 갖는다.
애플리케이션 회원용 가이던스부(2221)는, 애플리케이션 회원에 대한 조작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애플리케이션 회원용 가이던스부(2221)는, 회원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고객의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바코드 중, 회원 바코드를 빨간 테두리로 둘러쌈과 함께 빨간 화살표로 지정하는 표시를 행한다. 이에 의해, 고객은 지정된 회원 바코드를 스캐너(24)로 스캔하면 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회원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고객의 휴대 단말기의 표시에 있어서, 상단에 회원 바코드, 하단에 쿠폰 바코드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고객은, 거래 처리에 있어서 스캐너(24)로 스캔할 가능성이 있는 회원 바코드 및 쿠폰 바코드를 한 번의 조작으로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시킬 수 있다. 한편, POS 단말기(2)는, 회원 바코드를 판독하는 타이밍에는, 회원 바코드를 스캔시키기 위한 조작 가이던스의 표시를 행한다.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의 바코드의 표시 및 POS 단말기(2)에 있어서의 가이던스의 표시에 의해, 고객이 스캐너(24)로 회원 바코드를 스캔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카드 회원용 가이던스부(2222)는, 카드 회원에 대한 조작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카드 회원용 가이던스부(2222)는, 카드 리더(26)에 회원 카드를 삽입하는 것을 안내하는 표시를 행한다. 이에 의해, 고객은 회원 카드를 카드 리더(26)에 삽입시키면 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캔슬 버튼(2223)은, 회원 ID의 입력을 캔슬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회원으로 되어 있지 않은 고객이 잘못해서 회원 입력을 해 버린 경우, 당해 고객은, 캔슬 버튼(2223)을 조작함으로써 회원 ID의 입력을 캔슬할 수 있다. 점원 호출 버튼(2224)은, 점원을 호출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고객은, POS 단말기(2)의 조작을 알지 못하는 경우나 POS 단말기(2)에 트러블이 발생한 경우에 점원 호출 버튼(2224)을 조작하여 점원을 호출할 수 있다.
도 11로 되돌아가서, 거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객은, 도 12에 도시하는 회원 ID 입력 안내 화면의 조작 가이던스에 따라 조작함으로써, 스캐너(24) 혹은 카드 리더(26)에 회원 ID를 판독시킨다. 판정부(2005)는, 스캐너(24) 혹은 카드 리더(26)로부터 입력부(2002)에 회원 ID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8).
입력부(2002)에 회원 ID가 입력되면(스텝 S8의 "예"), 송수신부(2001)는, 회원 ID를 서버 장치(3)에 송신한다(스텝 S9). 다음에, 제어부(20)는, 송수신부(2001)가 서버 장치(3)로부터 회원 종별 등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10), 수신하지 않으면 스텝 S10의 처리로 복귀하여 대기한다.
송수신부(2001)가 회원 종별 등을 수신하면(스텝 S10의 "예"), 판정부(2005)는, 수신한 회원 종별 등이 특정 회원 종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 즉, 판정부(2005)는, 송수신부(2001)가 수신한 회원 종별 등이, 쿠폰을 소유하는 애플리케이션 회원임을 나타내는 회원 종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송수신부(2001)가 수신한 회원 종별 등이 특정 회원 종별이면(스텝 S11의 "예"), 표시 제어부(2006)는, 표시부(22)에 쿠폰 ID 입력 안내 화면을 표시시킨다(스텝 S12). 쿠폰 ID 입력 안내 화면은, 쿠폰을 식별하는 쿠폰 식별 정보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여기서, 표시부(22)가 표시하는 쿠폰 ID 입력 안내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표시부(22)가 표시하는 쿠폰 ID 입력 안내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쿠폰 ID 입력 안내 화면은, 메시지 표시 영역(223) 및 가이던스 표시 영역(224)을 갖는다.
메시지 표시 영역(223)에는, 일시와 메시지가 표시된다. 일시는, 그 시점의 연월일 및 시각을 나타낸다. 메시지는, 고객에 대하여 쿠폰 ID의 판독을 촉구하는 메시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쿠폰을 판독시켜 주세요. 이용할 쿠폰을 갖고 계시지 않은 분은 「갖고 계시지 않은 분」 버튼을 눌러 주세요」 등의 메시지이다.
가이던스 표시 영역(224)은, 가이던스부(2241), 갖고 계시지 않은 분 버튼(2242) 및 점원 호출 버튼(2243)을 갖는다.
가이던스부(2241)는, 스캔시킬 쿠폰 바코드를 안내하는 조작 가이던스를 표시한다. 가이던스부(2241)는, 회원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고객의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복수의 바코드 중, 쿠폰 바코드를 빨간 테두리로 둘러쌈과 함께 빨간 화살표로 지정하는 표시를 행한다. 이에 의해, 고객은 지정된 쿠폰 바코드를 스캐너(24)로 스캔하면 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갖고 계시지 않은 분 버튼(2242)은, 쿠폰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조작되는 조작자이다. 고객은, 소유하고 있는 쿠폰을 이용할 의사가 없는 경우, 갖고 계시지 않은 분 버튼(2242)을 조작한다.
본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2)는, 고객의 회원 종별 등이 쿠폰 없는 회원인 경우, 즉 쿠폰 회원이기는 하지만 현시점에서는 쿠폰을 소유하고 있지 않은 고객인 경우에는, 쿠폰 ID 입력 안내 화면을 표시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표시시켜도 된다. 이 경우, 쿠폰 없는 회원은, 이용 가능한 쿠폰을 소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메시지 표시 영역(223)에 표시된 메시지에 따라, 갖고 계시지 않은 분 버튼(2242)을 조작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쿠폰 없는 회원에 대하여 쿠폰 ID 입력 화면을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쿠폰 없는 회원의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점원 호출 버튼(2223)은, 점원을 호출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고객은, POS 단말기(2)의 조작을 알지 못하는 경우나 POS 단말기(2)에 트러블이 발생한 경우에 점원 호출 버튼(2223)을 조작하여 점원을 호출할 수 있다.
도 11로 되돌아가서, 거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객은, 도 13에 도시하는 쿠폰 ID 입력 안내 화면의 조작 가이던스에 따라 조작함으로써, 스캐너(24)에 쿠폰 ID를 판독시킨다. 판정부(2005)는, 스캐너(24)로부터 입력부(2002)에 쿠폰 ID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3).
입력부(2002)에 쿠폰 ID가 입력되면(스텝 S13의 "예"), 회계 처리부(2004)는, 송수신부(2001)가 서버 장치(3)로부터 수신한 쿠폰 정보에 기초하여 가격 인하 회계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4). 가격 인하 회계 처리는, 쿠폰의 특전에 기초하여 거래 금액으로부터 가격 인하를 행하고, 또한 고객에게 포인트를 부여하기 위한 회계 처리이다. 계속해서, 송수신부(2001)는 결제가 완료된 거래의 거래 데이터를 서버 장치(3)에 송신한다(스텝 S15). 그리고, 제어부(20)는 거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6의 처리에 있어서, 고객이 회원이 아닌 경우(스텝 S6의 "아니오"), 회계 처리부(2004)는, 비회원에 대한 통상 회계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6). 비회원에 대한 통상 회계 처리는, 가격 인하 및 포인트 부여를 수반하지 않는 회계 처리이다. 비회원에 대한 통상 회계 처리 후, 제어부(20)는, 스텝 S15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8의 처리에 있어서, 회원 ID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스텝 S8의 "아니오"), 판정부(2005)는, 입력부(2002)에 쿠폰 ID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7). 구체적으로는, 판정부(2005)는, 스캐너(24)가 인식한 바코드의 바코드 플래그가 2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부(2002)에 쿠폰 ID가 입력된 경우(스텝 S17의 "예"), 제어부(20)는, 스텝 S8의 처리로 복귀한다. 환언하면, 표시부(22)에 회원 ID 입력 안내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쿠폰 ID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20)는, 특별한 제어를 행하지 않고 회원 ID의 입력을 기다린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는 회원 바코드와 쿠폰 바코드가 동일 화면에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회원 ID의 스캔 시에 잘못해서 쿠폰 ID가 스캔되는 일이 발생하기 쉽다. 이 경우, 그 때마다 표시부(22)에 에러 표시 등을 행하면, 오퍼레이터가 에러 해제의 조작을 행할 필요가 생겨, 당해 오퍼레이터의 조작이 번잡하게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회원 ID 입력 안내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쿠폰 ID가 입력된 경우, 에러 표시 등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입력부(2002)에 쿠폰 ID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스텝 S17의 "아니오"), 판정부(2005)는, 입력부(2002)에 상품 코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8). 구체적으로는, 판정부(2005)는, 스캐너(24)가 인식한 바코드의 바코드 플래그가 3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부(2002)에 상품 코드가 입력되지 않으면(스텝 S18의 "아니오"), 제어부(20)는, 스텝 S8의 처리로 복귀한다.
입력부(2002)에 상품 코드가 입력되면(스텝 S18의 "예"), 표시 제어부(2006)는, 표시부(22)에 에러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19). 예를 들어, 표시부(22)는, 에러 정보로서 회원 ID의 입력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상품 코드가 입력되었다고 하는 것은, 고객이 스캐너(24)에 상품을 접근시켜 상품 바코드를 스캔하였다고 하는 것이다. 이 경우, 고객이 착각에 의한 스캔을 행하고 있는 것이 명확하므로, 표시 제어부(2006)는, 표시부(22)에 에러 표시를 행하게 함으로써 고객에게 올바른 조작을 촉구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스텝 S8의 처리로 복귀한다.
스텝 S11의 처리에 있어서, 특정 회원 종별이 아닌 경우(스텝 S11의 "아니오"), 회계 처리부(2004)는, 고객이 쿠폰을 이용하지 않는 회원이라고 판단하여 회원에 대한 통상 회계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20). 회원에 대한 통상 회계 처리는, 포인트 부여를 수반하는 회계 처리이다. POS 단말기(2)는, 쿠폰을 소유하지 않는 고객의 거래에 대해서는, 쿠폰 ID 입력 안내 화면을 표시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 점에 있어서도 오퍼레이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회원에 대한 통상 회계 처리 후, 제어부(20)는, 스텝 S15의 처리로 이행한다.
스텝 S13의 처리에 있어서, 쿠폰 ID의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스텝 S13의 "아니오"), 판정부(2005)는, 입력부(2002)에 회원 ID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1).
입력부(2002)에 회원 ID가 입력된 경우(스텝 S21의 "예"), 제어부(20)는, 스텝 S13의 처리로 복귀한다. 환언하면, 표시부(22)에 쿠폰 ID 입력 안내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원 ID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20)는, 특별한 제어를 행하지 않고 쿠폰 ID의 입력을 기다린다. 이 점은, 표시부(22)에 회원 ID 입력 안내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쿠폰 ID가 입력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퍼레이터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이다.
입력부(2002)에 회원 ID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스텝 S21의 "아니오"), 판정부(2005)는, 입력부(2002)에 상품 코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2). 입력부(2002)에 상품 코드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스텝 S22의 "아니오"), 제어부(20)는, 스텝 S20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경우, 쿠폰을 이용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조작부(23)로부터 입력부(2002)에 입력된 것을 조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쿠폰을 이용하지 않음이 선언된 후에, 회계 처리부(2004)는, 회원에 대한 통상 회계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2002)에 상품 코드가 입력되면(스텝 S22의 "예"), 표시 제어부(2006)는, 표시부(22)에 에러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 S23). 이 점은, 표시부(22)에 회원 ID 입력 안내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품 코드가 입력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객에게 올바른 조작을 촉구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스텝 S13의 처리로 복귀한다.
상기 거래 처리에 의해, POS 단말기(2)는, 고객의 회원 종별에 따라 조작 가이던스를 표시하거나 당해 조작 가이던스의 표시를 생략하거나 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서버 장치(3)가 실행하는 회원 종별 선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서버 장치(3)의 제어부(30)에 의한 회원 종별 선정 처리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제어부(30)는, 송수신부(3001)가 회원 ID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31), 수신하고 있지 않으면(스텝 S31의 "아니오"), 스텝 S31의 처리로 복귀하여 대기한다.
송수신부(3001)가 회원 ID를 수신하면(스텝 S31의 "예"), 데이터 관리부(3003)는, 회원 종별의 선정을 행한다(스텝 S32).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관리부(3003)는, 회원 마스터(312)를 참조하여, 송수신부(3001)가 수신한 회원 ID에 대응하는 회원 종별을 읽어낸다.
계속해서, 제어부(30)는, 데이터 관리부(3003)가 읽어낸 회원 종별이 특정 회원 종별 즉 애플리케이션 회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3). 특정 회원 종별이면(스텝 S33의 "예"), 데이터 관리부(3003)는, 고객이 이용 가능한 쿠폰을 소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4).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관리부(3003)는, 쿠폰 관리 파일(313)을 참조하여, 송수신부(3001)가 수신한 회원 ID에 대응하는 쿠폰 ID로서 사용 플래그에 미사용을 나타내는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쿠폰 ID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용 가능한 쿠폰이 있으면(스텝 S34의 "예"), 송수신부(3001)는 회원 종별을 POS 단말기(2)에 송신한다(스텝 S35). 이 경우, 송수신부(3001)가 송신하는 회원 종별은 애플리케이션 회원으로 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회원 종별 선정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3의 처리에 있어서, 고객이 특정 회원 종별이 아닌 경우(스텝 S33의 "아니오") 즉 고객이 애플리케이션 회원이 아니라 카드 회원인 경우, 제어부(30)는, 스텝 S34의 처리를 스킵하고 스텝 S35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경우, 스텝 S35의 처리에서 송수신부(3001)가 송신하는 회원 종별은 카드 회원으로 된다.
스텝 S34의 처리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쿠폰이 없는 경우(스텝 S34의 "아니오"), 송수신부(3001)는, 쿠폰 없는 회원이라는 취지의 정보를 POS 단말기(2)에 송신한다(스텝 S36). 그리고, 제어부(30)는 회원 종별 선정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회원 종별 선정 처리에 의해, 서버 장치(3)는, 수신한 회원 ID의 회원이 애플리케이션 회원인지 카드 회원인지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 쿠폰을 소유한 애플리케이션 회원인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환언하면, 서버 장치(3)는, 수신한 회원 ID의 회원의 회원 종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2)는, 상품의 거래에 관한 회계 처리를 실행하는 회계 처리부(2004)와, 상기 거래를 행하는 고객을 식별하는 회원 ID가 입력되는 입력부(2002)와, 입력부(2002)에 입력된 회원 ID에 의해 식별되는 고객의 회원 종별을 취득하는 송수신부(2001)와, 송수신부(2001)가 취득한 회원 종별에 따라, 표시부(22)에 다른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2006)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POS 단말기(2)는, 거래를 행하는 고객의 회원 종별에 적합한 화면을 표시부(22)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POS 단말기(2)를 조작하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2)는, 송수신부(2001)가 취득한 회원 종별이 쿠폰의 발행 대상으로 된 애플리케이션 회원인 경우, 쿠폰을 식별하는 쿠폰 ID의 입력을 안내하는 쿠폰 ID 입력 안내 화면을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POS 단말기(2)는, 쿠폰이 발행되어 있는 회원 종별의 고객의 거래인 경우, 당해 고객에게 쿠폰을 이용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고객이 소유하고 있는 쿠폰 이용을 잊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쿠폰의 활용이 촉진된다. 또한, POS 단말기(2)는, 쿠폰이 발행되어 있지 않은 회원 종별의 고객의 거래에 대해서는 쿠폰 ID 입력 안내 화면을 표시시키지 않음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2)는, 매체에 표시된 코드 심볼로부터 회원 ID, 쿠폰 ID, 및 구입 대상의 상품의 상품 코드 중 어느 것을 판독하여 입력부(2002)에 대하여 출력하는 스캐너(24)를 더 구비하고, 표시 제어부(2006)는, 표시부(22)에 회원 ID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스캐너(24)에 의해 쿠폰 ID 또는 상품 코드가 스캔된 경우, 당해 화면의 표시를 유지시킨다.
이에 의해, 고객의 휴대 단말기의 1 화면(매체)에 회원 ID와 쿠폰 ID가 표시되는 경우, 즉 회원 ID를 판독할 때 쿠폰 ID를 판독해 버릴 가능성이 높은 사용 형태인 경우, POS 단말기(2)는, 당해 쿠폰 ID를 판독해도 에러 표시 등을 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에러 표시의 해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더불어,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2)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006)는, 표시부(22)에 회원 ID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스캐너(24)에 의해 상품 코드가 스캔된 경우, 표시부(22)에 에러 정보를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POS 단말기(2)는, 회원 ID가 입력되는 타이밍에 다른 정보가 입력된 경우, 필요로 인식하였을 때 에러 표시를 행하고, 불필요로 인식하였을 때에는 에러 표시를 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POS 단말기(2)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필요 이상으로 번잡하게 하지 않아, 당해 오퍼레이터가 올바른 조작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2)는, 매체에 표시된 코드 심볼로부터 회원 ID, 쿠폰 ID 및 구입 대상의 상품의 상품 코드 중 어느 것을 판독하여 입력부(2002)에 대하여 출력하는 스캐너(24)를 더 구비하고, 표시 제어부(2006)는, 표시부(22)에 쿠폰 ID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스캐너(24)에 의해 회원 ID 또는 상품 코드가 스캔된 경우, 당해 화면의 표시를 유지시킨다.
이에 의해, 고객의 휴대 단말기의 1 화면(매체)에 회원 ID와 쿠폰 ID가 표시되는 경우, 즉 쿠폰 ID를 판독할 때 회원 ID를 판독해 버릴 가능성이 높은 사용 형태인 경우, POS 단말기(2)는, 당해 회원 ID를 판독해도 에러 표시 등을 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에러 표시의 해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실시 형태의 POS 단말기(2)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006)는, 표시부(22)에 쿠폰 ID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스캐너(24)에 의해 상품 코드가 스캔된 경우, 표시부(22)에 에러 정보를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POS 단말기(2)는, 쿠폰 ID가 입력되는 타이밍에 다른 정보가 입력된 경우, 필요로 인식하였을 때 에러 표시를 행하고, 불필요로 인식하였을 때에는 에러 표시를 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POS 단말기(2)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필요 이상으로 번잡하게 하지 않아, 당해 오퍼레이터가 올바른 조작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POS 단말기(2) 및 서버 장치(3)의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은, CD-ROM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 상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경유로 다운로드시킴으로써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나아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경유로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 실시 형태는, 그 밖의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2: POS 단말기(회계 장치)
22: 표시부
24: 스캐너
2001: 송수신부(취득부)
2002: 입력부
2004: 회계 처리부
2006: 표시 제어부

Claims (7)

  1. 상품의 거래에 관한 회계 처리를 실행하는 회계 처리부와,
    상기 거래를 행하는 고객을 식별하는 고객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고객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고객의 회원 종별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가 취득한 회원 종별에 따라, 표시부에 다른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하는, 회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취득부가 취득한 회원 종별이 쿠폰의 발행 대상으로 된 특정 회원 종별인 경우, 쿠폰을 식별하는 쿠폰 식별 정보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시키는,
    회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매체에 표시된 코드 심볼로부터 상기 고객 식별 정보, 상기 쿠폰 식별 정보, 및 구입 대상의 상품의 상품 식별 정보 중 어느 것을 판독하여 상기 입력부에 대하여 출력하는 스캐너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고객 식별 정보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캐너에 의해 상기 쿠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상품 식별 정보가 스캔된 경우, 당해 화면의 표시를 유지시키는,
    회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고객 식별 정보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캐너에 의해 상기 상품 식별 정보가 스캔된 경우, 상기 표시부에 에러 정보를 표시시키는,
    회계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매체에 표시된 코드 심볼로부터 상기 고객 식별 정보, 상기 쿠폰 식별 정보, 및 구입 대상의 상품의 상품 식별 정보 중 어느 것을 판독하여 상기 입력부에 대하여 출력하는 스캐너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쿠폰 식별 정보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캐너에 의해 상기 고객 식별 정보 또는 상기 상품 식별 정보가 스캔된 경우, 당해 화면의 표시를 유지시키는,
    회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쿠폰 식별 정보의 입력을 안내하는 화면을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캐너에 의해 상기 상품 식별 정보가 스캔된 경우, 상기 표시부에 에러 정보를 표시시키는,
    회계 장치.
  7. 회계 장치를 컴퓨터로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를,
    상품의 거래에 관한 회계 처리를 실행하는 회계 처리부와,
    상기 거래를 행하는 고객을 식별하는 고객 식별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고객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고객의 회원 종별을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가 취득한 회원 종별에 따라, 표시부에 다른 화면을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30002649A 2022-06-27 2023-01-09 회계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400016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102912 2022-06-27
JP2022102912A JP2024003635A (ja) 2022-06-27 2022-06-27 会計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658A true KR20240001658A (ko) 2024-01-03

Family

ID=8527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2649A KR20240001658A (ko) 2022-06-27 2023-01-09 회계 장치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419289A1 (ko)
EP (1) EP4300453A1 (ko)
JP (1) JP2024003635A (ko)
KR (1) KR20240001658A (ko)
CN (1) CN1173144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47262A (ja) 2020-09-11 2022-03-24 デンカ株式会社 ユウロピウム賦活β型サイアロン蛍光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8951B2 (en) * 2004-12-01 2019-04-02 Metavante Corporation E-coupon settlement and clearing process
JP6407121B2 (ja) * 2015-09-25 2018-10-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会計機、及び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47262A (ja) 2020-09-11 2022-03-24 デンカ株式会社 ユウロピウム賦活β型サイアロン蛍光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0453A1 (en) 2024-01-03
US20230419289A1 (en) 2023-12-28
JP2024003635A (ja) 2024-01-15
CN117314415A (zh)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829B2 (en) Checkout system and method
JP6924916B1 (ja) 決済処理方法及び決済処理装置
US20170017945A1 (en) Check-out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thereof
US20170017946A1 (en) Check-out system, payment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thereof
EP2998915A1 (en) Checkout system, settl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ettlement by settlement apparatus
JP2017062672A (ja)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
JP2018166006A (ja)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
JP6407121B2 (ja)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会計機、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240001658A (ko) 회계 장치 및 프로그램
JP7335576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230419293A1 (en) Checkout device and program
US20230410141A1 (en)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sales data processing system
US20240070712A1 (en) Point of sale system
US20240054523A1 (en) Point of sale terminal
US202401611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20101699A1 (en) Voucher dispensing device and voucher dispensing method
US10055724B2 (en) Sales processing apparatus, sales processing method and sales processing system
JP7336560B2 (ja) 商品データ処理装置、プログラム
US20230267441A1 (en) Payment machine and payment machine method
US20240037528A1 (en) Settlement device and settlement method
US20230071944A1 (en) Payment apparatus and payment method for the same
JP6652598B2 (ja)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決済装置、チェックアウト処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23159528A (ja) 会計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4003509A (ja) 会計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107378A (ja) 登録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