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462A -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462A
KR20240001462A KR1020220078135A KR20220078135A KR20240001462A KR 20240001462 A KR20240001462 A KR 20240001462A KR 1020220078135 A KR1020220078135 A KR 1020220078135A KR 20220078135 A KR20220078135 A KR 20220078135A KR 20240001462 A KR20240001462 A KR 20240001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lever
sector gear
pawl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엄석
장용성
주기웅
최강선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8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462A/ko
Publication of KR20240001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4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높이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매뉴얼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암레스트의 미사용시에는 암레스트가 시트쿠션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는 시트쿠션의 일측 위치에 배치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암레스트의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암레스트가 원하는 높이 및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ARMRES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높이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매뉴얼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암레스트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된 콘솔 암레스트, 좌우측 리어시트 사이에 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어 암레스트, 독립형 시트의 시트백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매뉴얼 암레스트 등이 있다.
상기 매뉴얼 암레스트는 사용시 사용자의 팔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위치까지 전방 회전시킬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시트백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까지 후방 회전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매뉴얼 암레스트는 사용 위치까지 회전 조작되거나 미사용 위치까지 회전 조작되는 등 단순한 회전 구조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 및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있고,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컨트롤 암레스트가 요구되고 있다.
더욱이, 자율주행차량의 출시를 대비하여, 승객 간의 대화 및 회의, 릴렉션 및 취침, 승하차 보조 등 다양한 자세 구현을 위한 시트 메카니즘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사용 및 미사용 조건에 따라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컨트롤 암레스트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암레스트의 미사용시에는 암레스트가 시트쿠션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는 시트쿠션의 일측 위치에 배치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암레스트의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암레스트가 원하는 높이 및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측부와 연결되는 제1힌지파이프에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암레스트 지지프레임;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제2힌지파이프에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암레스트; 상기 암레스트에 사용자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상기 제1힌지파이프에 고정 장착되는 제1섹터기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이 상하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레버의 잠금해제 조작시 제1섹터기어와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의 뒤쪽 부분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상기 암레스트의 제2힌지파이프와의 체결부분에 장착되는 제2섹터기어; 및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의 앞쪽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제2섹터기어를 암레스트와 함께 원하는 위치까지 전후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거나 제2섹터기어를 원하는 위치에서 잠금시키는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제1섹터기어와 맞물리는 잠금톱니를 갖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에 힌지 체결되는 제1포올; 상기 제1포올과 암레스트 지지프레임 간에 연결되어, 제1포올에 대하여 제1섹터기어와의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 상기 레버와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됨과 함께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에 힌지 체결되어, 상기 레버 조작에 따른 케이블의 당김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제1포올에 대하여 잠금톱니가 제1섹터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포올; 및 상기 제2포올과 암레스트 지지프레임 간에 연결되어, 제2포올에 대하여 케이블의 당김 반대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포올의 잠금톱니가 제1섹터기어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이 높이 조절을 위하여 상하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포올은, 상단부가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에 제1힌지핀에 의하여 힌지 체결되고, 제2포올의 가압단과 접촉하는 젖힘단이 제1힌지핀과의 힌지 체결점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하단부에 상기 제1섹터기어와 맞물리는 잠금톱니가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포올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단과 상기 제1포올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가압단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연결단과 가압단 사이 부분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에 제2힌지핀에 의하여 힌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는: 일단부에 상기 제1섹터기어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1가이드핀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포올의 힌지 체결점에 연결되는 제1가이드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는: 전단쪽 상면부에 상기 제2섹터기어에 맞물리는 제1경사 톱니부가 형성되고, 후단부는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에 제3힌지핀에 의하여 힌지 체결되는 포올 레버; 상기 포올 레버와 암레스트 지지프레임 간에 연결되어, 포올 레버에 대하여 제1경사 톱니부가 제2섹터기어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스프링; 상기 포올 레버의 전단부에 제4힌지핀에 의하여 힌지 체결되는 리버스 레버; 상기 리버스 레버의 힌지 체결점에 장착되어 리버스 레버의 후방 회전시 본래 위치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4스프링; 및 상기 제2섹터기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리버스 레버를 후방으로 밀어주거나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시핀;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올 레버의 제1경사 톱니부는 후방을 향하여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섹터기어에는 상기 제1경사 톱니부를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하여 경사진 형태의 제2경사 톱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암레스트 각도 조절을 위하여 제2섹터기어가 후방으로 회전될 때, 제2섹터기어의 푸시핀이 리버스 레버를 후방으로 밀어준 후 리버스 레버의 뒤쪽으로 지나가면, 상기 포올 레버의 제1경사 톱니부가 제2섹터기어의 제2경사 톱니부로부터 분리되어 제2섹터기어의 언락킹 구간에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리버스 레버가 제4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본래 위치로 전방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리버스 레버가 본래 위치로 전방 회전된 후, 상기 제2섹터기어가 다시 전방으로 회전될 때 푸시핀이 리버스 레버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리버스 레버 및 포올 레버가 하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푸시핀이 리버스 레버의 앞쪽으로 지나가면 상기 리버스 레버 및 포올 레버가 제3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포올 레버의 제1경사 톱니부가 제2섹터기어의 제2경사 톱니부의 후단부에 맞물림되는 락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는: 일단부에 상기 제2섹터기어에 형성되는 암레스트 각도 조절 제한용 제2가이드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2가이드핀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힌지핀에 연결되는 제2가이드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와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간에는 상기 레버의 잠금해제 조작시 제1섹터기어에 대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질 때, 상기 제2섹터기어에 대한 잠금도 해제시키기 위한 록킹해제 연동장치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해제 연동장치는: 상기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의 포올 레버에 회전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릴리즈 레버; 전단부는 상기 릴리즈 레버에 힌지 체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의 제1포올에 힌지 체결되는 커넥팅 레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릴리즈 레버의 하단부는 포올 레버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제3힌지핀에 함께 힌지 체결되고, 릴리즈 레버의 하단부에는 리버스 레버와 포올 레버 간에 연결된 제4힌지핀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락킹해제단이 전방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암레스트의 미사용시에는 암레스트가 시트쿠션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는 시트쿠션의 일측 위치에 배치되어 승객의 이동 편의성 및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둘째, 암레스트의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암레스트가 원하는 거치 높이 및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자율주행차량의 출시를 대비하여 다양한 자세 구현을 위한 시트 메카니즘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에 맞추어, 사용 및 미사용 조건에 따라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뉴얼 컨트롤 타입의 암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에 의한 암레스트의 작동 궤적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면도,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의 작동 흐름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에 의한 암레스트의 작동 궤적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1)의 측부에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이 상하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의 전단부에 암레스트(20)가 전후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에,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을 사용자가 상방향으로 회전 조작시키면 암레스트(2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암레스트(20)를 사용자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 조작시키면 암레스트(20)의 거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암레스트(20)의 미사용시에는 암레스트(10)가 시트쿠션(1)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는 시트쿠션의 일측 위치에 배치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반면 암레스트(20)의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암레스트(20)가 원하는 거치 높이 및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암레스트의 높이 및 각도를 매뉴얼 조작으로 조절하기 위한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을 각 실시예별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1실시예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의 후단부가 시트쿠션의 측부와 연결되는 제1힌지파이프(11)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암레스트(20)의 전단쪽 저면부가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에 장착되는 제2힌지파이프(12)에 전후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에,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이 높이 조절을 위하여 제1힌지파이프(11)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암레스트(20)가 각도 조절을 위하여 제2힌지파이프(12)를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20)에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 가능한 레버(30)가 장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레버(30)는 누름식 또는 젖힘식 구조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 가능한 위치인 암레스트(20)의 전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파이프(11)에는 외주부에 톱니부(42)가 형성된 구조의 제1섹터기어(40)가 고정 장착됨으로써,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제1섹터기어(40)는 움직이지 않고 제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의 뒤쪽 부분에는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의 높이 조절을 위한 상하 회전을 위하여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을 잠금 해제시키거나,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을 원하는 위치에서 잠금시키기 위한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100)가 장착된다.
즉, 상기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100)는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이 상하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레버(30)의 잠금해제 조작시 제1섹터기어(40)와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의 뒤쪽 부분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100)는,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에 힌지 체결되는 제1포올(110, Pawl), 제1포올(110)에 원위치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스프링(101),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에 힌지 체결되어 제1포올(110)에 접촉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포올(120), 제2포올(120)에 원위치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스프링(102)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포올(110) 상기 제1섹터기어(40)의 톱니부(42)와 맞물리는 잠금톱니(112)를 갖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에 힌지 체결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포올(110)은 그 상단부가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에 제1힌지핀(111)에 의하여 힌지 체결되고, 제2포올(120)의 가압단(123)과 접촉하는 젖힘단(113)이 제1힌지핀(111)과의 힌지 체결점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그 하단부에는 상기 제1섹터기어(40)의 톱니부(42)와 맞물리는 잠금톱니(112)가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다.
상기 제1스프링(101)은 상기 제1포올(110)과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 간에 연결되어, 제1포올(110)에 대하여 제1섹터기어(40)와의 맞물리는 회전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포올(120)은 상기 레버(30)와 케이블(32)에 의하여 연결됨과 함께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에 힌지 체결되고, 상기 레버(30) 조작에 따른 케이블(32)의 당김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제1포올(110)에 대하여 잠금톱니(112)가 제1섹터기어(40)의 톱니부(42)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2포올(120)은 상기 케이블(32)과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단(122)과 상기 제1포올(110)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가압단(123)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연결단(122)과 가압단(123) 사이 부분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에 제2힌지핀(121)에 의하여 힌지 체결된다.
상기 제2스프링(102)은 제2포올(120)과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 간에 연결되어, 제2포올(120)에 대하여 케이블(32)의 당김 반대방향으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에, 사용자가 레버(30)를 잠금해제방향으로 조작하면 도 3 내지 도 6에 순차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30)와 연결된 케이블(32)이 당겨지는 과정과, 케이블(32)과 연결된 케이블 연결단(122)이 당겨지면서 제2포올(120)이 제2힌지핀(121)을 중심으로 잠금해제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과, 제2포올(120)이 회전될 때 가압단(123)이 제1포올(110)의 젖힘단(113)을 밀어올리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젖힘단(113)에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하여 제1포올(110)이 제2포올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포올(110)의 잠금톱니(112)가 제1섹터기어(40)의 톱니부(42)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포올(110)의 잠금톱니(112)가 제1섹터기어(40)의 톱니부(42)로부터 분리되는 락킹 해제가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이 높이 조절을 위하여 제1힌지파이프(11)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을 원하는 높이까지 회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100)는 일단부에 상기 제1섹터기어(40)에 형성되는 원호형의 제1가이드 슬롯(4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1가이드핀(131)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포올(120)의 힌지 체결점에 연결되는 제1가이드 링크(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제1가이드 링크(130)는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의 상하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이 제1힌지파이프(11)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최대치에 도달하는 경우, 제1가이드 링크(130)의 제1가이드핀(131)이 제1섹터기어(40)의 제1가이드 슬롯(44)의 가장 위쪽에 걸리게 됨으로써,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의 상방향 회전각도가 최대치를 넘어서 회전되지 않게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암레스트(20)의 제2힌지파이프(12)와의 체결부분에 제2섹터기어(50)가 고정 장착되고,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의 앞쪽 부분에는 암레스트(20)의 거치 각도 조절을 위한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200)가 장착된다.
즉, 상기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200)는 상기 제2섹터기어(50)를 암레스트(20)와 함께 원하는 위치까지 전후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거나 제2섹터기어(50)를 원하는 위치에서 잠금시키도록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의 앞쪽 부분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200)는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에 힌지 체결되는 포올 레버(210), 포올 레버(210)에 힌지 체결되는 리버스 레버(220), 포올 레버(210)에 대하여 원위치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스프링(230), 리버스 레버(220)에 대하여 원위치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4스프링(2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올 레버(210)는 전단쪽 상면부에 상기 제2섹터기어(50)에 맞물리는 제1경사 톱니부(211)가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고, 그 후단부가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에 제3힌지핀(212)에 의하여 힌지 체결된다.
이때, 상기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는 후방을 향하여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섹터기어(50)에는 상기 제1경사 톱니부(211)를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하여 경사진 형태의 제2경사 톱니부(52)가 형성된다.
상기 제3스프링(230)은 상기 포올 레버(210)와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 간에 연결되어, 포올 레버(210)에 대하여 제1경사 톱니부(211)가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리버스 레버(220)는 타원 형상의 판체 구조로 구비되어, 그 하단부가 상기 포올 레버(210)의 전단부에 제4힌지핀(221)에 의하여 힌지 체결된다.
상기 제4스프링(240)은 상기 리버스 레버(220)의 힌지 체결점에 장착되는 코일스프링 타입으로 구비되어, 리버스 레버(220)의 후방 회전시 리버스 레버(220)에 대하여 본래 위치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섹터기어(50)에는 제2섹터기어(50)의 후방 회전시 리버스 레버(220)를 후방으로 밀어주거나, 제2섹터기어(50)의 전방 회전시 리버스 레버(220)를 전방으로 밀어주기 위한 푸시핀(56)이 돌출 형성된다.
이에, 사용자가 암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손으로 암레스트(20)의 전단부를 하방향으로 내리는 동시에 후단부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매뉴얼 조작을 하면 도 7 내지 도 9에 순차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섹터기어(50)가 후방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가 상기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를 타고 넘으면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암레스트(20)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레스트(20)의 전단부를 하방향으로 내리는 동시에 후단부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최대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로부터 상기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가 분리되는 언락킹이 이루어질 수 있고, 언락킹에 따라 사용자가 인지 가능하도록 암레스트가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암레스트(20)의 전단부를 하방향으로 내리는 동시에 후단부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최대치를 초과하는 경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섹터기어(50)의 푸시핀(56)이 리버스 레버(220)를 후방으로 밀어준 후 리버스 레버(220)의 뒤쪽으로 지나가면, 상기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가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로부터 분리되어 제2섹터기어(50)의 언락킹 구간(58)에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리버스 레버(220)가 제4스프링(2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본래 위치로 전방 회전된다.
이에, 상기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가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로부터 분리되어 제2섹터기어(50)의 언락킹 구간(58)에 접촉될 때, 언락킹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인지 가능하도록 암레스트(20)가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암레스트(20)를 다시 락킹시키기 위하여 상기 암레스트(20)의 전단부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는 동시에 후단부를 하방향으로 내려주는 조작을 하면, 상기 제2섹터기어(50)가 전방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푸시핀(56)이 리버스 레버(220)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버스 레버(220) 및 포올 레버(210)가 하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4스프링(240)은 일방향으로만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이므로, 푸시핀(56)이 리버스 레버(220)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리버스 레버(220) 만이 회전되지 않고, 리버스 레버(220) 및 포올 레버(210)가 함께 하방향으로 밀리면서 회전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푸시핀(56)이 리버스 레버(220)의 앞쪽으로 지나가면 상기 리버스 레버(220) 및 포올 레버(210)가 제3스프링(2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도 14에서 보듯이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가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의 후단부에 맞물림되는 락킹이 다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200)는 일단부에 상기 제2섹터기어(50)에 형성되는 암레스트 각도 조절 제한용 제2가이드 슬롯(5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2가이드핀(251)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힌지핀(212)에 연결되는 제2가이드 링크(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제2가이드 링크(250)는 암레스트(20)의 전후방향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암레스트(20)가 제2힌지파이프(12)를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되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최대치에 도달하는 경우, 제2가이드 링크(250)의 제2가이드핀(251)이 제2섹터기어(50)의 제2가이드 슬롯(54)의 양단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암레스트(20)의 전후 회전각도가 최대치를 넘어서 회전되지 않게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레버(30)를 잠금해제방향으로 조작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30)와 연결된 케이블(32)이 당겨지는 동시에 케이블(32)과 연결된 제2포올(120)이 당겨지며 잠금해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제2포올(120)이 제2힌지핀(121)을 중심으로 잠금해제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2포올(120)의 가압단(123)이 제1포올(110)의 젖힘단(113)과 접촉하면서 젖힘단(113)에 밀어올리는 가압력을 제공한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단(123)이 젖힘단(113)을 밀어올리는 가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포올(110)이 제2포올(12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포올(110)의 잠금톱니(112)가 제1섹터기어(40)의 톱니부(42)로부터 분리되는 언락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을 도 5에서 보듯이 제1힌지파이프(11)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이 후단부로부터 전단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열되는 동시에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에 제2힌지파이프(12)에 의하여 연결된 암레스트(20)가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레버(30)의 조작을 해제하여 케이블(32)의 당김력이 해제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스프링(102)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2포올(120)이 본래 위치로 회전함과 함께 상기 제1스프링(101)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1포올(110)이 잠금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포올(110)의 잠금톱니(112)가 제1섹터기어(40)의 톱니부(42)에 다시 맞물리는 락킹이 이루어짐으로써,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 및 암레스트(20)가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가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암레스트(20)가 원하는 높이로 조절되었지만,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이 그 후단부로부터 전단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열되고,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에 제2힌지파이프(12)에 의하여 연결된 암레스트(20)도 그 후단부로부터 전단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배열되는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암레스트(20)를 원하는 거치 각도로 조절해야 한다.
첨부한 도 7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의 암레스트 각도 조절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암레스트(20)를 원하는 거치 각도로 조절하기 위하여, 직접 손으로 암레스트(20)의 전단부를 가압하여 암레스트의 전단부를 하강시키면, 도 7 및 도 8에서 보듯이 암레스트(20)와 연결된 제2섹터기어(50)가 후방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가 상기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를 타고 넘으면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암레스트(20)의 전단부가 하강하는 동시에 후단부가 상승하면서 암레스트(20)의 거치 각도가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레스트(20)의 전단부를 하강시키는 동시에 후단부를 상승시키는 각도가 너무 과도하면, 상기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로부터 상기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가 분리되는 언락킹이 이루어져 암레스트가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써, 사용자는 암레스트가 마치 헛도는 느낌을 받게 되어 암레스트의 조절 각도가 조절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암레스트(20)의 전단부를 하강시키는 동시에 후단부를 상승시키는 각도가 너무 과도하면, 즉 상기 암레스트(20)의 전단부를 하강시키는 동시에 후단부를 상승시키는 각도가 미리 설정된 최대치를 초과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섹터기어(50)의 푸시핀(56)이 리버스 레버(220)를 후방으로 밀어준 후 리버스 레버(220)의 뒤쪽으로 지나가게 되어, 상기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가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로부터 분리되어 제2섹터기어(50)의 언락킹 구간(58)에 접촉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가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로부터 분리되어 제2섹터기어(50)의 언락킹 구간(58)에 접촉될 때, 암레스트(20)가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써, 사용자는 암레스트가 마치 헛도는 느낌을 받게 되어 암레스트의 조절 각도가 조절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버스 레버(220)는 도 11에서 보듯이 제4스프링(2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본래 위치로 전방 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암레스트(20)를 다시 락킹시키기 위하여 손으로 직접 암레스트(20)의 전단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후단부를 하강시키는 조작을 하면, 도 12에서 보듯이 상기 암레스트(10)와 연결된 제2섹터기어(50)가 전방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도 13에서 보듯이 제2섹터기어(50)의 푸시핀(56)이 리버스 레버(220)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리버스 레버(220) 및 포올 레버(210)가 함께 하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4스프링(240)은 일방향으로만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이므로, 상기 푸시핀(56)이 리버스 레버(220)를 전방으로 밀어주더라도 리버스 레버(220) 만이 회전되지 않고, 상기 제4힌지핀(221)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리버스 레버(220)와 포올 레버(210)가 함께 하방향으로 밀리면서 회전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푸시핀(56)이 리버스 레버(220)의 앞쪽으로 지나가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버스 레버(220) 및 포올 레버(210)가 제3스프링(2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다시 회전하게 되어,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가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의 후단부에 맞물림되는 락킹이 다시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가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의 후단부에 맞물림되는 락킹이 다시 이루어진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암레스트(20)의 전단부를 가압하여 암레스트의 전단부를 하강시키면, 도 7 및 도 8에서 보듯이 암레스트(20)와 연결된 제2섹터기어(50)가 후방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가 상기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를 타고 넘으면서 이동하게 됨으로써, 암레스트(20)의 전단부가 하강하는 동시에 후단부가 상승하면서 암레스트(20)의 거치 각도가 원하는 수준으로 다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암레스트(20)의 미사용시에는 암레스트(10)가 시트쿠션(1)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는 시트쿠션의 일측 위치에 배치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암레스트(20)의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암레스트(10)가 원하는 높이 및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2실시예
첨부한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한 제1실시예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100)와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200) 간에 록킹해제 연동장치(300)가 더 연결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록킹해제 연동장치(300)는, 상기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100)와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2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30)의 잠금해제 조작으로 제1섹터기어(40)에 대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질 때 상기 제2섹터기어(50)에 대한 잠금도 해제시키기 위한 구조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록킹해제 연동장치(3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200)의 포올 레버(210)에 회전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릴리즈 레버(320)와, 전단부는 상기 릴리즈 레버(320)에 힌지 체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100)의 제1포올(110)에 힌지 체결되는 커넥팅 레버(3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릴리즈 레버(320)의 하단부가 포올 레버(210)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제3힌지핀(212)에 함께 힌지 체결된다.
특히, 상기 릴리즈 레버(320)의 하단부에는 상기 리버스 레버(220)의 하단부와 포올 레버(210)의 전단부 간에 연결된 제4힌지핀(221)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락킹해제단(322)이 전방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넥팅 레버(310)는 그 전단부가 릴리즈 레버(320)의 상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제1포올(110)의 하단부에 힌지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의 암레스트 높이 및 각도 조절을 위한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의 작동 흐름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레버(30)를 잠금해제방향으로 조작하면,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레버(30)와 연결된 케이블(32)이 당겨지는 동시에 케이블(32)과 연결된 제2포올(120)이 당겨지며 잠금해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제2포올(120)이 제2힌지핀(121)을 중심으로 잠금해제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2포올(120)의 가압단(123)이 제1포올(110)의 젖힘단(113)을 밀어올리게 되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포올(110)이 제2포올(12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포올(110)의 잠금톱니(112)가 제1섹터기어(40)의 톱니부(42)로부터 분리되는 언락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을 제1힌지파이프(11)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과 암레스트(20)가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포올(110)이 제2포올(12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커넥팅 레버(310)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커넥팅 로드(310)가 전방을 향해 소정 거리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커넥팅 로드(31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로드(310)와 연결된 릴리즈 레버(320)가 제3힌지핀(212)을 중심으로 잠금해제방향(도 17의 방위 기준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릴리즈 레버(320)와 일체로 된 락킹해제단(322)이 제4힌지핀(221)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락킹해제단(322)이 제4힌지핀(221)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게 됨으로써, 도 17에서 보듯이 제4힌지핀(221)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 리버스 레버(220)와 포올 레버(210)가 함께 하방향으로 밀리면서 회전될 수 있고, 포올 레버(210)가 하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가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로부터 분리되는 언락킹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암레스트(20)의 전후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상기 암레스트(20)의 전단부를 하강시키는 동시에 후단부를 상승시키는 등의 암레스트 거치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암레스트(20)의 거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 상기 레버(30)의 조작을 해제하여 케이블(32)의 당김력이 해제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제1포올(110)이 제1스프링(101)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1포올(110)이 잠금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8에서 보듯이, 제1포올(110)의 잠금톱니(112)가 제1섹터기어(40)의 톱니부(42)에 다시 맞물리는 락킹이 이루어짐으로써, 암레스트 지지프레임(10) 및 암레스트(20)가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포올(110)이 제1스프링(101)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제1포올(110)이 잠금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커넥팅 레버(310)를 후방으로 다시 당겨주게 됨으로써, 커넥팅 로드(310)가 후방을 향해 소정 거리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커넥팅 로드(310)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커넥팅 로드(310)와 연결된 릴리즈 레버(320) 및 릴리즈 레버(320)에 일체로 된 락킹해제단(322)이 제3힌지핀(212)을 중심으로 다시 잠금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상기 리버스 레버(220) 및 포올 레버(210)가 제3스프링(2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도 18에서 보듯이 포올 레버(210)의 제1경사 톱니부(211)가 제2섹터기어(50)의 제2경사 톱니부(52)의 후단부에 맞물림되는 락킹이 다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암레스트(20)가 원하는 거치 각도로 조절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암레스트(20)의 미사용시에는 암레스트(10)가 시트쿠션(1)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루는 시트쿠션의 일측 위치에 배치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암레스트(20)의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암레스트(10)가 원하는 높이 및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하나 이상의 실시예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 : 시트쿠션 10 : 암레스트 지지프레임
11 : 제1힌지파이프 12 : 제2힌지파이프
20 : 암레스트 30 : 레버
32 : 케이블 40 : 제1섹터기어
42 : 톱니부 44 : 제1가이드 슬롯
50 : 제2섹터기어 52 : 제2경사 톱니부
54 : 제2가이드 슬롯 56 : 푸시핀
58 : 언락킹 구간 100 :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101 : 제1스프링 102 : 제2스프링
110 : 제1포올 111 : 제1힌지핀
112 : 잠금톱니 113 : 젖힘단
120 : 제2포올 121 : 제2힌지핀
122 : 케이블 연결단 123 : 가압단
130 : 제1가이드 링크 131 : 제1가이드 핀
200 :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210 : 포올 레버
211 : 제1경사 톱니부 212 : 제3힌지핀
220 : 리버스 레버 221 : 제4힌지핀
230 : 제3스프링 240 : 제4스프링
250 : 제2가이드 링크 251 : 제2가이드핀
300 : 록킹해제 연동장치 310 : 커넥팅 레버
320 : 릴리즈 레버 322 : 락킹해제단

Claims (13)

  1. 시트쿠션의 측부와 연결되는 제1힌지파이프에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암레스트 지지프레임;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에 장착되는 제2힌지파이프에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암레스트;
    상기 암레스트에 사용자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
    상기 제1힌지파이프에 고정 장착되는 제1섹터기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이 상하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레버의 잠금해제 조작시 제1섹터기어와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의 뒤쪽 부분에 장착되는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상기 암레스트의 제2힌지파이프와의 체결부분에 장착되는 제2섹터기어; 및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의 앞쪽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제2섹터기어를 암레스트와 함께 원하는 위치까지 전후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거나 제2섹터기어를 원하는 위치에서 잠금시키는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는:
    상기 제1섹터기어와 맞물리는 잠금톱니를 갖는 구조로 구비되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에 힌지 체결되는 제1포올;
    상기 제1포올과 암레스트 지지프레임 간에 연결되어, 제1포올에 대하여 제1섹터기어와의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
    상기 레버와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됨과 함께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에 힌지 체결되어, 상기 레버 조작에 따른 케이블의 당김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제1포올에 대하여 잠금톱니가 제1섹터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제2포올; 및
    상기 제2포올과 암레스트 지지프레임 간에 연결되어, 제2포올에 대하여 케이블의 당김 반대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포올은,
    상단부가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에 제1힌지핀에 의하여 힌지 체결되고, 제2포올의 가압단과 접촉하는 젖힘단이 제1힌지핀과의 힌지 체결점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하단부에 상기 제1섹터기어와 맞물리는 잠금톱니가 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포올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단과 상기 제1포올에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가압단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케이블 연결단과 가압단 사이 부분이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에 제2힌지핀에 의하여 힌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는:
    일단부에 상기 제1섹터기어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1가이드핀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포올의 힌지 체결점에 연결되는 제1가이드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는:
    전단쪽 상면부에 상기 제2섹터기어에 맞물리는 제1경사 톱니부가 형성되고, 후단부는 상기 암레스트 지지프레임에 제3힌지핀에 의하여 힌지 체결되는 포올 레버;
    상기 포올 레버와 암레스트 지지프레임 간에 연결되어, 포올 레버에 대하여 제1경사 톱니부가 제2섹터기어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스프링;
    상기 포올 레버의 전단부에 제4힌지핀에 의하여 힌지 체결되는 리버스 레버;
    상기 리버스 레버의 힌지 체결점에 장착되어 리버스 레버의 후방 회전시 본래 위치로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제4스프링; 및
    상기 제2섹터기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리버스 레버를 후방으로 밀어주거나 전방으로 밀어주는 푸시핀;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포올 레버의 제1경사 톱니부는 후방을 향하여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섹터기어에는 상기 제1경사 톱니부를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하여 경사진 형태의 제2경사 톱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 각도 조절을 위하여 제2섹터기어가 후방으로 회전될 때, 제2섹터기어의 푸시핀이 리버스 레버를 후방으로 밀어준 후 리버스 레버의 뒤쪽으로 지나가면, 상기 포올 레버의 제1경사 톱니부가 제2섹터기어의 제2경사 톱니부로부터 분리되어 제2섹터기어의 언락킹 구간에 접촉되는 동시에 상기 리버스 레버가 제4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본래 위치로 전방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레버가 본래 위치로 전방 회전된 후, 상기 제2섹터기어가 다시 전방으로 회전될 때 푸시핀이 리버스 레버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하여 리버스 레버 및 포올 레버가 하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푸시핀이 리버스 레버의 앞쪽으로 지나가면 상기 리버스 레버 및 포올 레버가 제3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포올 레버의 제1경사 톱니부가 제2섹터기어의 제2경사 톱니부의 후단부에 맞물림되는 락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는:
    일단부에 상기 제2섹터기어에 형성되는 암레스트 각도 조절 제한용 제2가이드 슬롯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제2가이드핀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3힌지핀에 연결되는 제2가이드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와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간에는 상기 레버의 잠금해제 조작시 제1섹터기어에 대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질 때, 상기 제2섹터기어에 대한 잠금도 해제시키기 위한 록킹해제 연동장치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 연동장치는:
    상기 암레스트 각도 조절장치의 포올 레버에 회전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는 릴리즈 레버;
    전단부는 상기 릴리즈 레버의 상단부에 힌지 체결되고, 후단부는 상기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의 제1포올에 힌지 체결되는 커넥팅 레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 레버의 하단부는 포올 레버의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제3힌지핀에 함께 힌지 체결되고, 릴리즈 레버의 하단부에는 리버스 레버와 포올 레버 간에 연결된 제4힌지핀을 하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락킹해제단이 전방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KR1020220078135A 2022-06-27 2022-06-27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KR20240001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35A KR20240001462A (ko) 2022-06-27 2022-06-27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35A KR20240001462A (ko) 2022-06-27 2022-06-27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462A true KR20240001462A (ko) 2024-01-03

Family

ID=8953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135A KR20240001462A (ko) 2022-06-27 2022-06-27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4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4547B2 (ja) 前後調整可能車両座席
US6631952B1 (en) Automobile seat
US7300109B2 (en) Seat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seat
US7959229B2 (en) Adjustable seat including operating members
US5052751A (en) Walk-in device of automotive seat having cooperating pivoted levers
JP4267833B2 (ja) 機械式ネックレスト引き降ろし装置
US20040164600A1 (en) Easy-entry motor vehicle seat whose seat back release when returning to a memory position
US20040026975A1 (en) Motor vehicle seat
US20040051361A1 (en) Motor vehicle seat
US7380885B2 (en) Motor vehicle seat
US20040169409A1 (en) Motor vehicle seat
JP2943977B2 (ja) 自動車の座席の折り畳み装置
US10434905B2 (en) Collapsible lift mechanism for H-point lift
KR20240001462A (ko) 자동차용 암레스트 컨트롤 장치
KR101529029B1 (ko) 메모리 장치를 갖춘 길이방향으로 조절가능한 차량 시트
EP1676744A1 (en) Height adjustable armrest for a vehicle door
JPS6310981Y2 (ko)
JPH0631958Y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238838Y2 (ko)
JP2594897Y2 (ja) シートトラック装置
JPS6346257Y2 (ko)
JP3121670B2 (ja) シート装置
JP35204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位置、姿勢可変装置
JPS6345956Y2 (ko)
JPS6119714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