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962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962A
KR20230173962A KR1020220074819A KR20220074819A KR20230173962A KR 20230173962 A KR20230173962 A KR 20230173962A KR 1020220074819 A KR1020220074819 A KR 1020220074819A KR 20220074819 A KR20220074819 A KR 20220074819A KR 20230173962 A KR20230173962 A KR 20230173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topper
optical axis
disposed
modul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아현
강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962A/ko
Priority to US18/097,734 priority patent/US20230408887A1/en
Priority to CN202320878263.7U priority patent/CN219625850U/zh
Priority to CN202310422671.6A priority patent/CN117270148A/zh
Publication of KR20230173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96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카메라 모듈은,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경로를 변경하는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유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는 유동 홀더를 포함하는 폴디드 모듈, 상기 반사 부재에서 반사된 광이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폴디드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대향하도록 상기 렌즈 모듈에 배치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마그넷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개시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전자기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기능들을 컨버전스(convergence)하여 제공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Auto Focus, AF) 기능, 이미지 안정화(Image Stabilizer, IS) 기능 및 줌(zoom) 기능 등이 부가되고 있다.
이미지 안정화 기능이란 카메라 떨림 보정 또는 손 떨림 보정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가 이동하는 상태 또는 고정된 상태에서, 촬영자가 의도하지 않은 손 떨림 또는 카메라 떨림 등이 발생하여, 촬영되는 피사체의 이미지가 진동(vibration)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동 초점 기능은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이미지 센서의 전방에 위치되는 렌즈를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이미지 센서의 결상면에서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자동 초점 기능은 고가의 전자 장치에 탑재되어 왔지만, 이제는 저렴한 보급형 전자 장치에도 탑재되는 필수 기능이 되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고성능화가 진행되면서 자동 초점 기능, 이미지 안정화 기능 및 줌 기능의 원활한 구현을 위해 렌즈와 상대 기구물 간의 충격 완화 및 이음 방지 등의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개시된 실시예의 일 측면은 모듈 내부에서 구동되는 렌즈 또는 반사 모듈과 상대 기구물 사이 또는 복수의 렌즈들 사이의 기구적 충돌 이음(annoying noise)과 이물 발생 위험을 감소시킨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경로를 변경하는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유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는 유동 홀더를 포함하는 폴디드 모듈, 상기 반사 부재에서 반사된 광이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폴디드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대향하도록 상기 렌즈 모듈에 배치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마그넷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렌즈 모듈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전단과 후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렌즈 배럴의 외관을 형성하는 몰드 구조물에 일측으로 개구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홈에 상기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 입사 방향과 상기 광축에 나란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측벽에 각각 인접하여 평면 상에서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한 쌍이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돌출벽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벽은 일측으로 개구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홈에 상기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이 상기 렌즈 모듈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전단과 후단에 각각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평면 상에서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상기 렌즈의 양쪽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모듈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 입사 방향과 상기 광축에 나란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측벽에 대향하도록 장착되는 초점 조정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초점 조정 마그넷일 수 있다.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렌즈 모듈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초점 조정 마그넷과 상기 광축 방향으로 대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경로를 변경하는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유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는 유동 홀더를 포함하는 폴디드 모듈, 상기 반사 부재에서 반사된 광이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폴디드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축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가 나뉘어서 구비된 적어도 2개의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렌즈 배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대향하도록 상기 적어도 2개의 렌즈 배럴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마그넷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2개의 렌즈 배럴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각각 상기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가 장착되는 제1 렌즈 배럴과 제2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1 렌즈 배럴의 상기 제2 렌즈 배럴 대향면에 가까이 배치되어 장착되고, 상기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2 렌즈 배럴의 상기 제1 렌즈 배럴 대향면에 가까이 배치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상기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평면 상에서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의 양쪽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경로를 변경하는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유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는 유동 홀더를 포함하는 폴디드 모듈, 상기 반사 부재에서 반사된 광이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폴디드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비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상기 광 입사 방향으로 상기 비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대향하도록 상기 유동 홀더에 배치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마그넷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평면 상에서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 부재의 양쪽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에 각각 대향하도록 한 쌍이 상기 하우징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모듈 내부에서 구동되는 렌즈 또는 반사 모듈과 상대 기구물 사이 또는 복수의 렌즈들 사이의 기구적 충돌 이음과 이물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과 렌즈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의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과 렌즈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의 두 개의 렌즈 배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의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과 폴디드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또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연결된다"라고 할 때, 이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또는 위치나 기능에 따라 상이한 명칭들로 지칭되었으나 일체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폴디드 모듈(110), 렌즈 모듈(120), 및 이미지 센서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디드 모듈(110) 및 렌즈 모듈(120)은 하우징(101)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커버(103)가 하우징(101) 상부와 측면을 일부 둘러싸면서 카메라 모듈(100)의 외관을 일부 구성한다.
폴디드 모듈(110)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103)의 개구부(103a)를 통해 카메라 내부로 들어온 광은 폴디드 모듈(110)에 의해 렌즈 모듈(120)을 향해 반사될 수 있다.
폴디드 모듈(110)은 반사 부재(111)가 장착된 유동 홀더(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반사 부재(111)는 가령 프리즘이나 미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유동 홀더(112)는 하우징(101)의 내벽면에 구비된 풀링 요크(1151)와 유동 홀더(112)에 구비되는 풀링 마그넷(1153)의 인력에 의해 하우징(101)의 내벽면에 밀착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1)의 내벽면과 유동 홀더(112)의 사이에는 제1 볼 베어링(1131), 회전판(113) 및 제2 볼 베어링(1133)이 구비되어 유동 홀더(112)가 하우징(101)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다.
렌즈 모듈(120)은 하우징(101)의 내부 공간에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122)을 포함한다. 폴디드 모듈(110)에서 반사된 광은 렌즈 모듈(120)을 통과하면서 굴절된다. 렌즈 모듈(120)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131)로 입사한다. 렌즈 모듈이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렌즈들은 광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미지 센서 모듈(130)은 이미지 센서(131), 및 이미지 센서(131)가 실장된 회로 기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31)의 결상면(또는 상면)에 상이 맺히게 되며, 이에 응답하여 이미지 센서(131)는 맺힌 상에 대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고, 이미지 신호는 회로 기판(132)을 통해 외부 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 모듈(130)은 렌즈 모듈(120)에서 입사되는 적외선을 필터링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자동 초점 조절 (Auto Focus, AF) 기능과 광학적 이미지 안정화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 모듈(120)은 광축을 따라 왕복운동 하면서 초점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렌즈 모듈(120)의 측부에는 초점 조정 구동부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120)에는 초점 조정 마그넷(126a)이 장착되고, 초점 조정 마그넷(126a)에 대향하는 위치에 초점 조정 코일(126c)이 배치될 수 있다. 초점 조정 코일(126c)과 초점 조정 마그넷(126a)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렌즈 모듈(120)은 광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초점 조정 코일(126c)은 하우징(101)에 부착되는 기판(105)에 실장되고, 하우징(101)은 초점 조정 코일(126c)과 초점 조정 마그넷(126a)이 서로 마주볼 수 있게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매끄러운 구동을 위해 렌즈 모듈(120)과 하우징(101)의 내부 바닥면 사이에 볼 부재들(123)이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120)과 하우징(101) 내부 바닥면은 볼 부재들(123)을 일부 수용하는 가이드 홈들(10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들(104)은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하며, 볼 부재들(123)의 운동방향은 가이드 홈(104)의 연장방향(즉, 광축 방향)으로 제한된다.
폴디드 모듈(110)이 광축에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회전함으로써 광학 이미지 안정화(OIS) 기능, 즉 흔들림 보정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즉, 폴디드 모듈(110)은 반사 부재(111)를 하우징(101)에 대해 광축에 수직인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흔들림 보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흔들림 보정 구동부는 반사 부재(111)를 광축에 수직인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제1 흔들림 보정 구동부, 및 광축에 수직하고 제1 축과 교차하는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제2 흔들림 보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축은 도면의 z축과 나란하고, 제1 축은 도면의 y축과 나란하고, 제2 축은 도면의 x축에 나란할 수 있다.
흔들림 보정 구동부가 반사 부재(111)를 제1 축 및/또는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 모듈(100)의 흔들림에 의해 이미지 센서(131)에 맺히는 상이 흔들리는 것을 광학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흔들림 보정 구동부는 유동 홀더(112)가 2개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흔들림 보정 구동부는 복수의 흔들림 보정 마그넷(116a, 117a) 및 이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흔들림 보정 코일(116c, 117c)을 포함한다. 복수의 흔들림 보정 코일(116c, 117c)에 전원을 인가하면, 복수의 흔들림 보정 마그넷(116a, 117a)과 복수의 흔들림 보정 코일(116c, 117c)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복수의 흔들림 보정 마그넷(116a, 117a)이 장착된 유동 홀더(112)를 제1 축(도면의 y축) 및 제2 축(도면의 x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복수의 흔들림 보정 마그넷(116a, 117a)은 유동 홀더(112)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의 흔들림 보정 마그넷(116a, 117a) 중 일부(116a)는 유동 홀더(112)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나머지(117a)는 유동 홀더(112)의 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흔들림 보정 코일(116c, 117c)은 하우징(201)에 장착된다. 일 예로, 복수의 흔들림 보정 코일(116c, 117c)은 기판(105)을 매개로 하우징(101)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흔들림 보정 코일(116c, 117c)은 기판(105)에 구비되며, 기판(105)은 하우징(101)에 장착된다. 여기서, 도면의 도시에서 기판(105)은 폴디드 모듈(110)용 코일과 렌즈 모듈(120)용 코일이 모두 실장되도록 전체적으로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기판(105)은 폴디드 모듈(110)용 코일과 렌즈 모듈(120)용 코일이 각각 실장되도록 2개 이상의 기판으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하우징(101)의 내부 공간은 폴디드 모듈(110)이 배치되는 공간과 렌즈 모듈(120)이 배치되는 공간이 돌출벽(107)에 의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돌출벽(107)을 기준으로 전방측에는 폴디드 모듈(110)이 구비되고 후방측에는 렌즈 모듈(1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벽(107)은 하우징(101)의 양쪽 내벽에서 내부 공간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1)의 내부 공간은 렌즈 모듈(120)이 배치되는 공간과 그 후방에 이미지 센서 모듈(130)이 배치되는 공간이 돌출벽(108)에 의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돌출벽(108)을 기준으로 전방측에는 렌즈 모듈(120)이 구비되고 후방측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1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벽(108)은 하우징(101)의 양쪽 내벽에서 내부 공간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1)의 돌출벽(107, 108)에는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 도 4 참조)가 배치되고, 렌즈 모듈(120)에는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 1282; 도 4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와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 1282)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와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 1282)는 각각의 대향면이 동일 극성으로 착자(magnetization)되면서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 스토퍼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마그넷 스토퍼에 의해 렌즈 모듈(120)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 시 구동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의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과 렌즈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모듈(120)과 하우징(101) 사이에 광축 방향으로의 렌즈 모듈(12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마그넷 스토퍼가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넷 스토퍼는 하우징(101)에 배치되는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와 렌즈 모듈(120)에 배치되는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 128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와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 1282)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와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 1282)는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서 동일한 극성으로 착자되어 서로 밀어내는 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척력은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와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 1282)가 서로 가까워질수록 강해지고 멀어질수록 약해진다.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 1282)는 렌즈 모듈(120)의 광축 방향에 따른 전단과 후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광축 방향에 따른 전단은 폴디드 모듈(110)에 가까운 쪽 단부이고, 광축 방향에 따른 후단은 이미지 센서 모듈(130)에 가까운 쪽 단부로 정의될 수 있다.
렌즈 모듈(120)의 상기 전단과 후단에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 1282)는 각각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렌즈 모듈(120)의 전단 부분에서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렌즈 모듈(120)의 양쪽에 대칭되게 한 쌍의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가 고정되고, 렌즈 모듈(120)의 후단 부분에서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렌즈 모듈(120)의 양쪽에 대칭되게 또 다른 한 쌍의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82)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 1282)는 평면상에서 볼 때 렌즈 모듈(120)의 네 모서리 부근에서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1)은 광 입사 축(도면의 y축)과 상기 광축(도면의 z축)에 나란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012)을 포함하고, 렌즈 모듈(120)은 하우징(101)의 한 쌍의 측벽(1012) 사이에서 상기 광축을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렌즈 모듈(120)은 광축을 따라 정렬된 복수의 렌즈들을 고정시켜 수용하는 렌즈 배럴(122)을 포함하고, 하우징(101)의 한 쌍의 측벽(1012)을 각각 마주하는 몰드 구조물의 양쪽 측면에 고정되는 초점 조정 마그넷(126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 1282)는 렌즈 모듈(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몰드 구조물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홈은 광축에 수직한 측방으로 개구되어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 1282)가 측부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초점 조정 마그넷(126a)은 렌즈 모듈(120)의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길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므로,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 1282)는 초점 조정 마그넷(126a)의 전방과 후방에 이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1271, 1282)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몰드 구조물에 형성된 홈은 상기 설명한 측방으로 개구되는 구조 이외에 다른 일측으로 개구되는 구조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광축 방향으로 개구되는 홈에 상기 광축 방향 일측으로부터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광축에 수직한 상방으로 개구되는 홈에 상부로부터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는 렌즈 모듈(120)의 광축 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에 각각 렌즈 모듈(12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광축 방향에 따른 전방은 폴디드 모듈(110)에 가까운 쪽 방향이고, 광축 방향에 따른 후방은 이미지 센서 모듈(130)에 가까운 쪽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는 하우징(101)의 한 쌍의 측벽(1012)에 각각 인접하여 광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한 쌍이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1)은 한 쌍의 측벽(1012) 각각으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벽(107, 108)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는 이러한 돌출벽(107, 108)에 고정될 수 있다.
돌출벽(107, 108)은 하우징(101)에 수용되는 렌즈 모듈(120)의 광축 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에서 하우징(101)의 양 측벽(1012)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돌출벽(107, 108) 각각에는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가 하나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돌출벽(107, 108)에는 광축에 수직한 상방으로 개구된 홈이 구비되고, 이 홈에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를 고정하기 위하여 돌출벽(107, 108)에 형성된 홈은 상기 설명한 상방으로 개구되는 구조 이외에 다른 일측으로 개구되는 구조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돌출벽(107, 108)에 광축 방향으로 개구되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광축 방향 일측으로부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광축에 수직한 측방으로 개구되는 홈에 측부로부터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과 렌즈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도 1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100)과 대부분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구성되며, 다만, 마그넷 스토퍼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하우징(101)은 광 입사 축(도면의 y축)과 상기 광축(도면의 z축)에 나란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012)을 포함하고, 렌즈 모듈(120')은 하우징(101)의 한 쌍의 측벽(1012)을 각각 마주하는 몰드 구조물의 양쪽 측면에 고정된 초점 조정 마그넷(126a)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마그넷 스토퍼는 하우징(101)에 광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한 쌍이 대칭되게 배치되는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를 포함하고,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는 하우징(101)의 측벽(1012)으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된 돌출벽(107, 108)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는 렌즈 모듈(120')의 광축 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에 각각 렌즈 모듈(12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돌출벽(107, 108)은 하우징(101)에 수용되는 렌즈 모듈(120')의 광축 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에서 하우징(101)의 양 측벽(1012)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돌출벽(107, 108) 각각에는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가 하나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돌출벽(107, 108)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홈이 각각 구비되고, 이 홈에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가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 모듈(120')에 배치된 초점 조정 마그넷(126a)은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와 광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는 초점 조정 마그넷(126a)의 광축 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므로, 초점 조정 마그넷(126a)은 이 전방과 후방으로 대향하는 면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1071, 1082)와 초점 조정 마그넷(126a)의 서로 대향하는 면들은 동일한 극성으로 착자되어 서로 밀어내는 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초점 조정 마그넷(126a)은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의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은 폴디드 모듈(210), 렌즈 모듈(220), 및 이미지 센서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디드 모듈(110) 및 렌즈 모듈(220)은 하우징(20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커버(203)가 하우징(201) 상부와 측면을 일부 둘러싸면서 카메라 모듈(200)의 외관을 일부 구성한다. 폴디드 모듈(210)은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경로를 변경하는 반사 부재(211)와, 이 반사 부재(211)가 장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하우징(201)의 내벽에 유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유동 홀더(212)를 포함한다. 폴디드 모듈(210)과 이미지 센서 모듈(23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의 반복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 모듈(220)은 하우징(201)의 내부 공간에서 폴디드 모듈(210)의 후방에 배치되어 광축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고 복수의 렌즈가 나뉘어서 구비된 두 개의 렌즈 배럴(221, 223)을 포함한다. 따라서 반사 부재(211)에서 반사된 광은 광축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렌즈를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 모듈(23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에서 두 개의 렌즈 배럴(221, 223)은 광축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렌즈 배럴(221)과 제2 렌즈 배럴(223)을 포함하고,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2211, 2212)는 제1 렌즈 배럴(221)에 장착되고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2231, 2232)는 제2 렌즈 배럴(223)에 장착된다.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2211, 2212)와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2231, 2232)는 광축을 기준으로 렌즈의 양쪽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2211, 2212)는 제1 렌즈 배럴(221)의 제2 렌즈 배럴(223) 대향면에 가까이 배치되어 장착되고,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2231, 2232)는 제2 렌즈 배럴(223)의 제1 렌즈 배럴(221) 대향면에 가까이 배치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의 두 개의 렌즈 배럴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2211, 2212)는 제1 렌즈 배럴(221)의 외관을 형성하는 몰드 구조물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2211, 2212) 중 하나(2211)는 상기 몰드 구조물에 측방으로 개구된 홈에 측방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고, 다른 하나(2212)는 상기 몰드 구조물에 상방으로 개구된 홈에 상부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2231, 2232)는 제2 렌즈 배럴(223)의 외관을 형성하는 몰드 구조물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2231, 2232) 중 하나(2231)는 상기 몰드 구조물에 측방으로 개구된 홈에 측방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고, 다른 하나(2232)는 상기 몰드 구조물에 상방으로 개구된 홈에 상부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2211, 2212)와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2231, 2232)는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서 동일한 극성으로 착자되어 서로 밀어내는 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척력은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2211, 2212)와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2231, 2232)가 서로 가까워질수록 강해지고 멀어질수록 약해진다.
한편, 초점 조정 마그넷(221a, 223a)은 제1 렌즈 배럴(221)과 제2 렌즈 배럴(223)에 각각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초점 조정 마그넷(221a)은 평면 상 광축을 기준으로 제1 렌즈 배럴(221)의 어느 한 쪽에 배치되고, 초점 조정 마그넷(223a)은 평면상 광축을 기준으로 제2 렌즈 배럴(223)의 다른 한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렌즈 배럴(221)과 제2 렌즈 배럴(223)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렌즈 모듈(220)은 평면 상 광축을 기준으로 양쪽 측면에 초점 조정 마그넷(221a, 223a)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초점 조정 마그넷(221a, 223a)은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2211, 2212)와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2231, 2232)의 광축 기준으로 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초점 조정 마그넷(221a, 223a)은 렌즈 모듈(220)의 양쪽 측면 최외곽에서 하우징(201)의 측벽 내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2211, 2212)와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2231, 2232)는 이러한 초점 조정 마그넷(221a, 223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렌즈 배럴이 구비되는 경우 이들 사이에서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충격을 완화하고 이음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1세트의 마그넷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렌즈 배럴이 구비되는 경우 서로 간의 사이에 각각 마그넷 스토퍼가 형성되어 2 세트 이상의 마그넷 스토퍼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커버를 제거하여 내부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카메라 모듈(200)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렌즈 배럴(321, 323)이 렌즈 모듈(320)을 구성하고 있다. 즉, 렌즈 모듈(320)은 광축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3 렌즈 배럴(321)과 제4 렌즈 배럴(323)을 포함한다. 이때 제3 마그넷 스토퍼 부재(3211)는 제3 렌즈 배럴(321)에 장착되고 제4 마그넷 스토퍼 부재(3232)는 제4 렌즈 배럴(323)에 장착되어 마그넷 스토퍼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렌즈 배럴(321)과 제4 렌즈 배럴(323)은 서로 대향하며 접촉하는 부분에서 마그넷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으며, 광축을 기준으로 렌즈의 어느 한 쪽에만 제3 마그넷 스토퍼 부재(3211)와 제4 마그넷 스토퍼 부재(323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과 폴디드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은 하우징(401)의 내부 공간에서 폴디드 모듈(410)이 수용되는 부분에서 구비되는 마그넷 스토퍼를 포함한다.
마그넷 스토퍼는 하우징(401)에 배치되는 비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4011)와 유동 홀더(412)에 배치되는 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4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4011)와 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4123)는 광 입사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4123)는 평면 상 광축을 기준으로 반사 부재(411)의 양쪽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으며, 비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4011)는 한 쌍의 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4123)에 각각 대향하도록 한 쌍의 비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4011)가 하우징(401)에 배치될 수 있다.
폴디드 모듈(410)의 광축 방향 후방으로는 렌즈 모듈과 이미지 센서 모듈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렌즈 모듈과 이미지 센서 모듈은 상기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폴디드 모듈과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마그넷 스토퍼는 앞서 설명한 렌즈 모듈과 하우징 사이 또는 렌즈 모듈의 복수의 렌즈 배럴들 사이에 구비되는 마그넷 스토퍼와 함께 제공되거나 별개로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 다양한 조합의 마그넷 스토퍼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200: 카메라 모듈
101, 201: 하우징
103, 203: 커버
107, 108: 돌출벽
1071, 1081: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
110, 210: 폴디드 모듈
111, 211: 반사 부재
112, 212: 유동 홀더
120, 220: 렌즈 모듈
122: 렌즈 배럴
126a: 초점 조정 마그넷
1271, 1282: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
130, 230: 이미지 센서 모듈
221, 223: 제1, 제2 렌즈 배럴
2211, 2212: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
2231, 2232: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

Claims (18)

  1.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경로를 변경하는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유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는 유동 홀더를 포함하는 폴디드 모듈;
    상기 반사 부재에서 반사된 광이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폴디드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대향하도록 상기 렌즈 모듈에 배치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마그넷 스토퍼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렌즈 모듈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전단과 후단에 각각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렌즈 배럴의 외관을 형성하는 몰드 구조물에 일측으로 개구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홈에 상기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 입사 방향과 상기 광축에 나란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측벽에 각각 인접하여 평면 상에서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적어도 한 쌍이 대칭되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벽으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돌출벽에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벽은 일측으로 개구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홈에 상기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이 상기 렌즈 모듈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전단과 후단에 각각 한 쌍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평면 상에서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상기 렌즈의 양쪽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모듈에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 입사 방향과 상기 광축에 나란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측벽에 대향하도록 장착되는 초점 조정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초점 조정 마그넷인, 카메라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렌즈 모듈의 상기 광축 방향에 따른 전방과 후방에 각각 상기 렌즈 모듈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초점 조정 마그넷과 상기 광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카메라 모듈.
  13.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경로를 변경하는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유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는 유동 홀더를 포함하는 폴디드 모듈;
    상기 반사 부재에서 반사된 광이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폴디드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축 방향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가 나뉘어서 구비된 적어도 2개의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렌즈 배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대향하도록 상기 적어도 2개의 렌즈 배럴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마그넷 스토퍼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렌즈 배럴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각각 상기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가 장착되는 제1 렌즈 배럴과 제2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1 렌즈 배럴의 상기 제2 렌즈 배럴 대향면에 가까이 배치되어 장착되고, 상기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제2 렌즈 배럴의 상기 제1 렌즈 배럴 대향면에 가까이 배치되어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상기 제2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평면 상에서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상기 렌즈의 양쪽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6.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경로를 변경하는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 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유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는 유동 홀더를 포함하는 폴디드 모듈;
    상기 반사 부재에서 반사된 광이 통과하도록 광축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내부 공간에서 상기 폴디드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광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비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상기 광 입사 방향으로 상기 비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와 대향하도록 상기 유동 홀더에 배치되어 서로 척력을 발생시키는 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마그넷 스토퍼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평면 상에서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상기 반사 부재의 양쪽에 한 쌍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는 상기 유동 마그넷 스토퍼 부재에 각각 대향하도록 한 쌍이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220074819A 2022-06-20 2022-06-20 카메라 모듈 KR20230173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819A KR20230173962A (ko) 2022-06-20 2022-06-20 카메라 모듈
US18/097,734 US20230408887A1 (en) 2022-06-20 2023-01-17 Camera module
CN202320878263.7U CN219625850U (zh) 2022-06-20 2023-04-19 相机模块
CN202310422671.6A CN117270148A (zh) 2022-06-20 2023-04-19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819A KR20230173962A (ko) 2022-06-20 2022-06-20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962A true KR20230173962A (ko) 2023-12-27

Family

ID=8777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819A KR20230173962A (ko) 2022-06-20 2022-06-20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408887A1 (ko)
KR (1) KR20230173962A (ko)
CN (2) CN117270148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08887A1 (en) 2023-12-21
CN219625850U (zh) 2023-09-01
CN117270148A (zh) 202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1854B2 (ja) 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
US10921552B1 (en) Autofocus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14149496A (ja) 撮像装置
JP2014149497A (ja) 撮像装置
JP2015099361A (ja) 撮像装置
KR102338257B1 (ko) 카메라 모듈
JP2015099360A (ja) 撮像装置
US11579397B2 (en) Periscope optical module
JP2015114400A (ja) 屈曲撮像装置
KR2020011963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30079320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20279105A1 (en) Camera module
CN213633958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US20230341654A1 (en) Optical system
KR20230074443A (ko) 카메라 모듈
KR20230173962A (ko) 카메라 모듈
EP4206778A1 (en) Camera module, photographing module and terminal
US20210286149A1 (en) Camera module
CN221008072U (zh) 相机模块和电子设备
KR20210088351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102574418B1 (ko) 카메라 모듈
KR102425752B1 (ko) 카메라 모듈
US20230185168A1 (en) Camera module
CN221101240U (zh) 相机模块
US20230400703A1 (en) Image stabiliza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