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4418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4418B1
KR102574418B1 KR1020210082115A KR20210082115A KR102574418B1 KR 102574418 B1 KR102574418 B1 KR 102574418B1 KR 1020210082115 A KR1020210082115 A KR 1020210082115A KR 20210082115 A KR20210082115 A KR 20210082115A KR 102574418 B1 KR102574418 B1 KR 102574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mera module
lens module
module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0118A (ko
Inventor
이상진
손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4418B1/ko
Publication of KR20230000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0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4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4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광축 방향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이미지 센서의 제2광축 방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광경로변환수단; 상기 광경로변환수단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렌즈 모듈; 상기 제1렌즈 모듈과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2렌즈 모듈; 및 상기 제1렌즈 모듈의 위치를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초점배율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용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 기능(AF), 손떨림 보정 기능(OIS) 및 줌 기능(Zoom) 등을 부가되고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카메라 모듈의 제조공정이 늘어나면서 카메라 모듈의 제조수율이 낮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제조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형태의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광축 방향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이미지 센서의 제2광축 방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광경로변환수단; 상기 광경로변환수단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렌즈 모듈; 상기 제1렌즈 모듈과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2렌즈 모듈; 및 상기 제1렌즈 모듈의 위치를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렌즈모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제1변형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제2변형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제3변형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의 제4변형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자제품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등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용범위가 전술된 전자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동작감지, 화상촬상, 얼굴인식, 홍채인식, 가상현실구현, 증강현실구현 등 화면촬상 및 동영상촬영이 필요한 모든 전자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카메라 모듈은 제조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 모듈의 견고한 고정 및 가동부재(예를 들어, 광경로변환수단 및 제2렌즈 모듈)들로 인해 야기되는 소음의 방지를 하나의 부품 또는 하나의 공정을 통해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제조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카메라 모듈은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및 고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 모듈과 제1렌즈 모듈의 전방(물체 측) 및 후방(상 측)에 위치한 부품들(광경로변환수단 및 제2렌즈 모듈) 간의 충돌에너지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카메라 모듈의 내부 고장 및 파손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하우징(100), 광경로변환수단(300), 제1렌즈모듈(500), 고정부재(560), 제2렌즈모듈(6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의 구성이 전술된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기판(200), 제1구동수단(400), 제3렌즈모듈(620), 제2구동수단(700), 이미지 센서(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카메라 모듈(10)의 주요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광경로변환수단(300), 제1렌즈모듈(500), 고정부재(560), 제2렌즈모듈(610), 제3렌즈모듈(620), 제1구동수단(400), 제2구동수단(7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당한 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대체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00)의 상부면은 전술된 부품들의 탑재가 용이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기판(200)의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양 측면에는 기판(200)에 탑재된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개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에는 렌즈모듈(500, 610, 620)을 통해 굴절된 빛을 외부로 투사될 수 있는 투사창(14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후면에는 렌즈모듈(500, 610, 620) 및 이미지 센서(800)를 연결하는 광경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투사창(140)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제1렌즈모듈(5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하우징(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기둥부재(110) 및 제2기둥부재(120)가 형성될 수 있다. 기둥부재(110, 120)는 제1렌즈모듈(50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둥부재(110)는 제1렌즈모듈(500)의 제1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제2기둥부재(120)는 제1렌즈모듈(500)의 제2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가공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성형이 용이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00)의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강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기판(200)은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200)은 하우징(100)의 외측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기판(200)의 배치 위치가 하우징(100)의 외측 측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판(200)을 하우징(100)의 내측 측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기판(200)에는 카메라 모듈(10)의 구동에 필요한 전자부품들이 탑재될 수 이다. 예를 들어, 기판(200)에는 구동수단(400, 700)의 일부 부품들이 탑재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기판(200)에는 구동수단(400, 700)의 구동코일들(414, 424, 714, 724)이 탑재될 수 있다. 그러나 기판(200)에 배치되는 부품이 구동코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판(200)에는 광경로변환수단(300) 및 렌즈모듈(610, 620)의 이동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이 추가로 탑재될 수 있다.
광경로변환수단(300)은 카메라 모듈(10)로 입사되는 광경로를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경로변환수단(300)은 제1광축(C1)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제2광축(C2) 방향으로 반사 또는 굴절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경로변환수단(300)은 빛의 반사 또는 굴절이 가능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경로변환수단(300)은 프리즘 또는 반사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광경로변환수단(300)은 손떨림보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경로변환수단(300)은 제1구동수단(400)에 의해 가상의 제1축(P1)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가상의 제2축(P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제1축(P1)은 제1광축(C1)과 대체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2축(P2)은 제1광축(C1) 및 제2광축(C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가상의 제1축(P1)과 제2축(P2)은 하우징(100)과 광경로변환수단(30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모듈(5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모듈(500)은 제1기둥부재(110)와 제2기둥부재(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렌즈모듈(500)은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모듈(500)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1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모듈(5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모듈(500)은 제1기둥부재(110)과 제2기둥부재(120) 사이에 끼워져 제2광축(C2)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렌즈모듈(61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모듈(610)은 제2기둥부재(120)와 투사창(1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렌즈모듈(610)은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모듈(610)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1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모듈(62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모듈(620)은 제2렌즈모듈(610)과 투사창(1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렌즈모듈(620)은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모듈(620)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1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초점조정(AF) 및 초점배율조정(Zoom)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1렌즈모듈(500) 내지 제3렌즈모듈(620) 중 하나 이상을 구동시켜 초점조정(AF) 및 초점배율조정(Zoom)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에서는 제2렌즈모듈(610) 및 제2렌즈모듈(620)이 제2광축(C2)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광경로변환수단(300) 및 렌즈모듈(610, 620)을 구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제1구동수단(400) 및 제2구동수단(7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수단(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경로변환수단(300)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구동수단(400)은 제1축(P1)과 제2축(P2)을 중심으로 광경로변환수단(3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구동수단(400)은 구동자석(412, 422)과 구동코일(414, 4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자석(412, 422)은 광경로변환수단(300)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구동코일(412, 424)은 기판(200)에 배치될 수 있다. 제1구동수단(400)은 광경로변환수단(30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자석(412)과 구동코일(414)은 제2축(P2)을 중심으로 광경로변환수단(30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구동자석(422)과 구동코일(424)은 제1축(P1)을 중심으로 광경로변환수단(30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구동수단(700)은 제2렌즈모듈(610) 및 제3렌즈모듈(620)의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동수단(700)은 제2렌즈모듈(610) 및 제3렌즈모듈(620)을 제2광축(C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구동수단(700)은 구동자석(712, 722) 및 구동코일(714, 724)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자석(712, 722)은 제2렌즈모듈(610)의 제1측면 및 제3렌즈모듈(630)의 제2측면에 배치되고, 구동코일(714, 724)은 하우징(100)의 제1내측면 및 제2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구동자석(712)은 구동코일(714)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구동자석(722)은 구동코일(724)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부연 설명하면, 구동자석(712)과 구동코일(714)은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고, 구동자석(722)과 구동코일(724)은 하우징(100)의 내부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2구동수단(700)은 제2렌즈모듈(610) 및 제3렌즈모듈(620)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제2렌즈모듈(610) 및 제3렌즈모듈(620)을 서로 다른 변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된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쉴드 캔(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쉴드 캔(900)은 하우징(100)의 개방된 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900)은 하우징(100)의 양 측면 및 상부면을 폐쇄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쉴드 캔(900)은 외부 충격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90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쉴드 캔(900)의 재질이 금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쉴드 캔(900)은 빛의 입사를 가능케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900)의 상부에는 입사창(910)이 형성될 수 있다. 입사창(910)은 광경로변환수단(30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광경로변환수단(300)으로 빛의 입사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제1렌즈모듈의 구성을 추가로 설명한다.
제1렌즈모듈(500)은 렌즈수용부(510)와 플랜지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수용부(510)은 렌즈(L1)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수용부(510)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2광축(C2) 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부(520)는 하우징(100)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520)는 하우징(100)의 기둥부재(110, 120)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플랜지부(520)의 제1측면은 제1기둥부재(110)와 접촉하고, 플랜지부(520)의 제2측면은 제2기둥부재(12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렌즈모듈(500)은 카메라 모듈(10)의 박형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모듈(500)은 제2광축(C2)과 교차하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렌즈모듈(500)의 제1방향의 길이(X)는 제2렌즈 모듈(500)의 제2방향의 길이(Y)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로, 렌즈(L1)의 제1방향 길이(Lx)는 렌즈(L1)의 제2방향 길이(Ly)보다 클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른 예로, 렌즈수용부(510)의 제1방향 길이는 렌즈수용부(510)의 제2방향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는 제1렌즈모듈(500)만이 제2광축(C2)과 교차하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2렌즈모듈(610) 및 제3렌즈모듈(620)도 제1렌즈모듈(500)과 마찬가지로 제2광축(C2)과 교차하는 제1방향과 제2방향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렌즈모듈(500) 내지 제3렌즈모듈(620)은 카메라 모듈(10)의 박형화를 가능케 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고정부재의 구성을 추가로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렌즈모듈(5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고정부재(56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560)는 복수의 연장부(562, 564)와 연결부(566)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연장부(562) 및 제2연장부(564)는 제2광축(C2)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연장부(562, 564)는 대체로 하우징(100)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66)는 제2광축(C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연장부(562) 및 제2연장부(564)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560)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560)는 탄성변형을 통해 하우징(100)의 제1기둥부재(110) 및 제2기둥부재(120)에 끼워질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연장부(562)의 말단으로부터 제2연장부(564)의 말단까지의 거리(D)는 제1기둥부재(110)의 일 측면(전면)으로부터 제2기둥부재(120)의 일 측면(배면)까지의 거리보다 작으나, 연장부(562, 564) 또는 연결부(566)의 탄성변형에 의해 연장부(562, 564)와 기둥부재(110, 120) 간의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재(560)의 연장부(562, 564)는 기둥부재(110, 120)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연장부(562) 및 제2연장부(564)의 내측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562a, 564a)이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형성된 고정부재(560)는 하우징(100)이 기둥부재(110, 120)와의 견고한 결합을 통해 제1렌즈모듈(500)이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고정부재의 변형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56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형태로 변형될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제1변형 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설명한다.
본 변형 예에 따른 고정부재(560a)는 완충부재(582, 584, 58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560a)의 연장부(562, 564) 및 연결부(566)에는 각각 완충부재(582, 584, 586)가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582, 584, 586)는 연장부(56, 564) 및 연결부(566)의 내측 및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582, 584, 586)는 외력에 의한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부재(582, 584, 586)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고정부재(560a)는 완충부재(582, 584, 586)를 통해 기둥부재(110, 120)와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예에 따른 고정부재(560a)는 완충부재(582, 584, 586)를 통해 광경로변환수단(300) 및 제2렌즈모듈(610)에 가해지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연장부(562)에 형성되는 제1완충부재(582)는 광경로변환수단(300)의 회전구동 시 야기될 수 있는 광경로변환수단(300)과 제1기둥부재(110) 간의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연장부(564)에 형성되는 제2완충부재(584)는 제2렌즈모듈(620)의 구동 시 야기될 수 있는 제2렌즈모듈(620)과 제2기둥부재(120) 간의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연결부(566)에 형성되는 제3완충부재(586)는 제1렌즈모듈(500)의 이탈 시 야기될 수 있는 제1렌즈모듈(500)과 쉴드 캔(900) 간의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3완충부재(586)는 제1렌즈모듈(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렌즈모듈(500)의 플랜지부(520)를 하우징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고정부재의 다른 변형 예를 설명한다.
고정부재(560b, 560c, 560d)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굴곡부(568)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변형 예에 따른 고정부재(560b)는 연결부(566)에 굴곡부(566a)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변형 예에 따른 고정부재(560c)는 연장부(562, 564)에 굴곡부(562a, 564a)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4변형 예에 따른 고정부재(560d)는 연장부(562, 564) 및 연결부(566)에 굴곡부(562a, 564a, 566a)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 내지 도 7에 따른 굴곡부(562a, 564a, 566a)는 고정부재(560b, 560c, 560d)의 내측으로 돌출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고정부재(560b, 560c, 560d)의 내측 및 외측으로 모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형성된 고정부재(560b, 560c, 560d)는 굴곡부(562a, 564a, 566a)를 통해 기둥부재(110, 120) 및 제1렌즈모듈(500)과의 결합력 또는 가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 예에 따른 고정부재(560b, 560c, 560d)는 하우징(100) 및 제1렌즈모듈(50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렌즈모듈(500)의 이탈현상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변형 예에 따른 고정부재(560b, 560c, 560d)는 굴곡부(562a, 564a, 566a)의 탄성변형을 통해 기둥부재(110, 120) 또는 제1렌즈모듈(500) 측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4 내지 7에 도시된 형태 중 2개 이상을 병합한 형태로 고정부재를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0)의 고정부재는 도 4 내지 7에 도시된 형태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다른 카메라 모듈(10)은 외부 충겨에 의해 제1렌즈모듈(500)이 이탈되는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렌즈모듈(500)과 광경로변환수단(300) 또는 제1렌즈모듈(500)과 제2렌즈모듈(610) 간의 충격 및 충격음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전자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1000)에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0)은 휴대용 전화기(1000)에 탑재된 다른 카메라 모듈(20)과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카메라 모듈(20)보다 긴 초점거리를 가지거나 또는 좁은 화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 카메라 모듈
100 하우징
110 제1기둥부재
120 제2기둥부재
200 기판
300 광경로변환수단
400 제1구동수단
500 제1렌즈 모듈
510 렌즈 수용부
520 플랜지부
560 고정부재
562 제1연장부
564 제2연장부
566 연결부
568 굴곡부
582 제1탄성변형부재
584 제2탄성변형부재
586 제3탄성변형부재
600 제2렌즈 모듈
700 제2구동수단
800 이미지 센서

Claims (10)

  1. 제1광축 방향을 따라 입사되는 빛을 이미지 센서의 제2광축 방향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광경로변환수단;
    상기 광경로변환수단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고, 렌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렌즈 수용부 및 상기 렌즈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광축 및 상기 제2광축과 교차하는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제1렌즈 모듈;
    상기 제1렌즈 모듈과 상기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2렌즈 모듈;
    상기 제1렌즈 모듈의 위치를 하우징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제1측면 및 제2측면을 각각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기둥부재 및 제2기둥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기둥부재의 일 측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연장부;
    상기 제2기둥부재의 일 측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를 연결하고, 상기 플랜지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수용부 및 상기 렌즈는,
    상기 제2광축과 교차하는 제1방향 및 제2방향의 길이가 상이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에 형성되고, 상기 광경로변환수단과 상기 제1기둥부재 간의 충격에너지를 흡수 또는 경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 모듈과 상기 제2기둥부재 간의 충격에너지를 흡수 또는 경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2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랜지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를 향해 돌출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제3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 모듈을 상기 제2광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10082115A 2021-06-24 2021-06-24 카메라 모듈 KR102574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115A KR102574418B1 (ko) 2021-06-24 2021-06-24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115A KR102574418B1 (ko) 2021-06-24 2021-06-2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18A KR20230000118A (ko) 2023-01-02
KR102574418B1 true KR102574418B1 (ko) 2023-09-04

Family

ID=8492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115A KR102574418B1 (ko) 2021-06-24 2021-06-2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441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411B1 (ko) * 2017-07-03 2022-1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423363B1 (ko) * 2018-05-08 2022-07-21 자화전자(주) 줌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20200125221A (ko) * 2019-04-26 2020-11-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102357533B1 (ko) * 2019-04-30 2022-02-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0118A (ko) 202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1854B2 (ja) 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
CN211955955U (zh) 自动聚焦装置和照相机模块
KR101349589B1 (ko) 카메라 모듈
KR102460756B1 (ko) 카메라 모듈
CN113572918B (zh) 潜望式连续光变模组及相应的多摄模组
CN111474680A (zh) 光学镜头、相机模组及电子装置
CN211206941U (zh) 潜望式光学模块以及光学系统
US20220100058A1 (en) Camera module
KR102354161B1 (ko)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74418B1 (ko) 카메라 모듈
US20230221537A1 (en) Lens module, camera module, and terminal
KR20210147588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JP202250960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215813690U (zh) 相机模块及包括相机模块的电子设备
CN213633958U (zh) 光学元件驱动机构
KR20230114508A (ko) 카메라 모듈
KR102550161B1 (ko) 카메라 모듈
KR102488750B1 (ko) 카메라 모듈
CN219625850U (zh) 相机模块
KR102312300B1 (ko)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1609404B2 (en) Camera module
JP7478220B2 (ja) カメラレンズバレ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装置
KR20230099325A (ko) 카메라 모듈
CN111953895B (zh) 可对焦成像装置
US20240069409A1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