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351A -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351A
KR20210088351A KR1020200001661A KR20200001661A KR20210088351A KR 20210088351 A KR20210088351 A KR 20210088351A KR 1020200001661 A KR1020200001661 A KR 1020200001661A KR 20200001661 A KR20200001661 A KR 20200001661A KR 20210088351 A KR20210088351 A KR 20210088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plate
camera module
substrat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학
이성민
이현중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1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8351A/ko
Publication of KR20210088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04N5/2253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엑추에이터; 상기 제1 엑추에이터와 결합되는 제2 엑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엑추에이터의 측면 및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측면을 감싸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엑추에이터는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상기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1 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기판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는 카메라 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는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장치이며, 휴대용 디바이스, 드론, 차량 등에 장착되고 있다. 카메라 장치는 영상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방지하는 영상 안정화(Image Stabilization, IS) 기능,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싱(Auto Focusing, AF) 기능,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피사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주밍(zooming)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미지센서는 고화소로 갈수록 해상도가 높아져 화소(Pixel)의 크기가작아지게 되는데, 화소가 작아질수록 동일한 시간 동안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고화소 카메라일수록 어두운 환경에서 셔터속도가 느려지면서 나타나는 손떨림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 현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영상 안정화(IS) 기술 중 대표적인 것으로 빛의 경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움직임을 보정하는 기술인 광학식 영상 안정화(OP1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술이 있다.
일반적인 OIS 기술에 따르면, 자이로 센서(gyrosensor) 등을 통해 카메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을 바탕으로 렌즈를 틸팅 또는 이동시키거나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틸팅 또는 이동시킬 수 있다. 렌즈 또는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OIS를 위하여 틸팅 또는 이동할 경우, 렌즈 또는 카메라 모듈 주변에 틸팅 또는 이동을 위한 공간이 추가적으로 확보될 필요가 있다.
한편,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는 렌즈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는 광축에 대하여 수직하는 두 축에 대해 틸팅을 담당하는 엑추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초슬림 및 초소형의 카메라 장치의 니즈에 따라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 상의 제약이 크며, 렌즈 또는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자체가 OIS를 위하여 틸팅 또는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보장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고화소 카메라일수록 수광되는 빛의 양을 늘리기 위해 렌즈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OIS를 위한 엑추에이터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하여 렌즈의 사이즈를 키우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 내에 주밍 기능, AF 기능 및 OIS 기능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 OIS용 마그넷과 AF용 또는 Zoom용 마그넷이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어 자계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도 있다.
또한, 각 엑추에이터 간의 결합력 저하로 신뢰성 저하의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초슬림, 초소형 및 고해상 카메라에 적용 가능한 카메라 엑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엑추에이터; 상기 제1 엑추에이터와 결합되는 제2 엑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엑추에이터의 측면 및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측면을 감싸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엑추에이터는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상기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1 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기판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기판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 기판부가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상기 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 엑추에이터는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제2 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기판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 기판부가 상기 제2 기판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부는 상기 제2 기판부와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이외의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기판부의 외측면,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단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부는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엑추에이터의 폭이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엑추에이터의 측면과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측면을 덮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단차부 및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부와 상기 제2 기판부는 상기 관통홀에 의해 노출되고, 상기 제1 기판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기판부를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부는 상기 제2 기판부와 중첩 영역에서 이격 거리가 상기 연장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1 엑추에이터는 상기 제2 엑추에이터와 마주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엑추에이터는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제1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의 직경은 상기 제1 돌기의 직경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돌기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는 패턴 돌기부 및 패턴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 돌기부는 상면이 동일면을 이루고, 상기 패턴 홈부는 상기 제1 돌기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루프홈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홈은 폐루프일 수 있다.
상기 제1 면은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엑추에이터; 상기 제1 엑추에이터와 결합되는 제2 엑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엑추에이터의 측면 및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측면을 감싸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엑추에이터의 측면과 접하는 면에서 폭이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측면과 접하는 면에서 폭보다 크다.
상기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엑추에이터의 측면과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측면을 덮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초슬림, 초소형 및 고해상 카메라에 적용 가능한 카메라 엑추에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장치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OIS용 엑추에이터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X축 방향의 틸팅 및 Y축 방향의 틸팅이 서로 자계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안정적인 구조로 X축 방향의 틸팅 및 Y축 방향의 틸팅이 구현될 수 있고, AF용 또는 주밍용 엑추에이터와도 서로 자계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정밀한 OIS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의 사이즈 제한을 해소하여 충분한 광량 확보가 가능하며, 저소비 전력의 OIS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 간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1에서 AA'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1에서 BB'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4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5a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3에서 CC'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3에서 DD'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6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a는 도 6에서 EE'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6에서 FF'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9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K1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에서 K2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에서 GG'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부 및 제2 기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부 및 제2 기판부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홀딩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홀딩 플레이트의 상면도이고,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홀딩 플레이트의 측면도이고,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홀딩 플레이트의 다른 측면도이고,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차량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1에서 AA'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1에서 BB'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다른 카메라 모듈(1000)은 플레이트(1100),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 및 회로 기판(1400) 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 및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는 각각이 제1 엑추에이터 및 제2 엑추에이터로 혼용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0)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를 가압하여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 간의 결합력을 개선할 수 있다.
플레이트(1100)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의 측면과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플레이트(1100)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의 측면과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OIS(OP1tical Image Stabilizer) 엑추에이터일 수 있다.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소정의 경통(미도시)에 배치된 고정 초점거리 렌즈(fixed focal length les)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초점거리 렌즈(fixed focal length les)는“단일 초점거리 렌즈” 또는 “단(單) 렌즈”로 칭해질 수도 있다.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는 줌(Zoom) 엑추에이터 또는 AF(Auto Focus) 엑추에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를 지지하며 소정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렌즈를 움직여 오토포커싱 기능 또는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회로 기판(1400)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1400)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 및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140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단일 또는 복수의 카메라 모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복수의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 모듈과 제2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메라 모듈은 단일 또는 복수의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카메라 모듈은 소정의 하우징(미도시)에 배치되고, 렌즈부를 구동할 수 있는 엑추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엑추에이터는 보이스 코일 모터, 마이크로 엑추에이터, 실리콘 엑추에이터 등일 수 있고, 정전방식, 써멀 방식, 바이 모프 방식, 정전기력방식 등 여러 가지로 응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엑추에이터 등으로 언급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OIS 기능을 하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 및 주밍(zooming) 기능 및 AF 기능을 하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길이(W1)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길이(W2)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대한 추가 내용은 후술한다.
광은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의 상면의 개구 영역을 통해 광축 방향(예컨대, X축 방향)을 따라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의 내부로 입사되고, 광학 부재를 통해 광경로가 수직 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광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를 통과하고,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의 일단에 위치하는 이미지 센서(IS)로 입사될 수 있다(PATH).
다시 말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공간적 한계를 개선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의 경로 변경에 대응하여 카메라 모듈의 두께가 최소화하면서 광 경로를 확장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확장된 광 경로에서 초점 등을 제어하여 높은 범위의 배율을 제공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를 통해 광경로의 제어를 통해 OIS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센터(decent)나 틸트(tilt)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낼 수 있다.
나아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는 광학계와 렌즈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는 제1 렌즈 어셈블리, 제2 렌즈 어셈블리, 제3 렌즈 어셈블리, 및 가이드 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는 코일과 마그넷을 구비하여 고배율 주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 어셈블리와 제2 렌즈 어셈블리는 코일, 마그넷과 가이드 핀을 통해 이동하는 이동 렌즈(moving lens)일 수 있으며, 제3 렌즈 어셈블리는 고정 렌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 렌즈 어셈블리는 광을 특정 위치에 결상하는 집광자(focato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렌즈 어셈블리는 집광자인 제3 렌즈 어셈블리에서 결상된 상을 다른 곳에 재결상시키는 변배자(vari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 어셈블리에서는 피사체와의 거리 또는 상 거리가 많이 바뀌어서 배율변화가 큰 상태일 수 있으며,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는 광학계의 초점거리 또는 배율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에서 결상되는 상점은 위치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제2 렌즈 어셈블리는 변배자에 의해 결상된 상에 대한 위치 보상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렌즈 어셈블리는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에서 결상된 상점을 실제 이미지 센서 위치에 정확히 결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보상자(compens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 어셈블리와 제2 렌즈 어셈블리는 코일과 마그넷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자기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OIS용 엑추에이터와 AF 또는 Zoom용 엑추에이터가 배치될 경우, OIS 구동 시 AF 또는 Zoom용 마그넷과의 자계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의 제1 구동 마그넷이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와 분리되어 배치되므로,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 간 자계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OIS는 손떨림 보정, 광학식 이미지 안정화, 광학식 이미지 보정, 떨림 보정 등의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이하에서 후술한다.
도 4은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5a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3에서 CC'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5c는 도 3에서 DD'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는 제1 쉴드 캔(1210), 제1 하우징(1220), 무버(1230), 회전부(1240), 제1 구동부(1250)를 포함한다.
먼저, 무버(1230)는 홀더(1231)와 홀더(1231)에 안착하는 광학부재(1232)를 포함한다. 회전부(1240)는 회전 가이드부(1241), 회전 가이드부(1241)의 서로 다른 면과 접하는 제1 자성체(1242) 및 제2 자성체(1243)를 포함한다. 또한, 제1 구동부(1250)는 제1 구동 마그넷(1251), 제1 구동 코일(1252), 홀 센서부(1253), 결합부(1254) 및 제1 기판부(1255)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쉴드 캔(1210)은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의 일 영역(예컨대, 최외측)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회전부(1240)와 제1 구동부(1250)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쉴드 캔(1210)은 외부에서 발생한 전자기파를 차단 또는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1240) 또는 제1 구동부(1250)에서 오작동의 발생이 감소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20)은 제1 쉴드 캔(12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220)은 제1 기판부(1255)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20)은 제1 쉴드 캔(1210)과 서로 끼워지거나 맞춰져 체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220)은 복수 개의 하우징 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하우징(1220)은 제1 하우징 측부 내지 제5 하우징 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220)은 복수 개의 하우징 측부 사이에 캐비티인 수용부(1226)를 포함할 수 있다.
무버(1230)는 홀더(1231)와 홀더(1231)에 안착하는 광학부재(1232)를 포함한다.
홀더(1231)는 제1 하우징(1220)의 수용부(1226)에 안착할 수 있다. 홀더(1231)는 제1 하우징 측부, 제2 하우징 측부, 제3 하우징 측부, 제4 하우징 측부(1224)에 각각 대응하는 제1 홀더 외측면 내지 제4 홀더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광학부재(1232)는 홀더(1231)에 안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홀더(1231)는 안착면을 가질 수 있으며, 안착면은 수용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광학부재(1232)는 내부에 배치되는 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부재(1232)는 외부(예컨대,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을 카메라 모듈 내부로 반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광학부재(1232)는 반사된 광의 경로를 변경하여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공간적 한계를 개선할 수 있다. 이로써, 카메라 모듈은 두께가 최소화하면서 광 경로를 확장하여 높은 범위의 배율을 제공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광학부재(1232)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로 이루어진 프리즘(prism) 또는 미러(mirr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부(1240)는 회전 가이드부(1241), 제1 하우징(1220)(제4 하우징 측부)에 배치되는 제1 자성체(1242), 및 무버(1230)에 배치되는 제2 자성체(124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부(1241)는 무버(1230)와 제1 하우징(1220) 사이에서 제1 자성체(1242) 및 제2 자성체(1243)에 의해 무버(1230) 및 제1 하우징(1220)과 결합할 수 있다.
회전 가이드부(1241)는 베이스에서 제1 하우징(예컨대, 제4 하우징 측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 돌출부와 베이스에서 무버의 제4 홀더 외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와 제2 돌출부에 의해 무버는 제1 축 및 제2 축 틸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구동부(1250)는 제1 구동 마그넷(1251), 제1 구동 코일(1252), 홀 센서부(1253) 및 제1 기판부(1255)를 포함한다.
제1 구동 마그넷(1251)은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구동 마그넷(1251)은 제1 마그넷(1251a), 제2 마그넷(1251b) 및 제3 마그넷(125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그넷(1251a), 제2 마그넷(1251b) 및 제3 마그넷(1251c)은 각각 홀더(1231)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그넷(1251a)과 제2 마그넷(1251b)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마그넷(1251c)은 홀더(1231)의 외측면 중 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구동 코일(1252)은 복수 개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구동 코일(1252)은 제1 코일(1252a), 제2 코일(1252b) 및 제3 코일(125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1252a)은 제1 마그넷(1251a)과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1 코일(1252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측부(1221)의 제1 하우징 홀(1221a)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1252b)은 제2 마그넷(1251b)과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2 코일(1252b)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 측부(1222)의 제2 하우징 홀(1222a)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코일(1252a)은 제2 코일(1252b)과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코일(1252a)은 제2 코일(1252b)과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제1 마그넷(1251a)과 제2 마그넷(1251b)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코일(1252a)과 제1 마그넷(1251a) 간의 전자기력과 제2 코일(1252b)과 제2 마그넷(1251b) 간의 전자기력으로 X축 틸팅이 일측으로 기울어짐 없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코일(1252c)은 제3 마그넷(1251c)과 대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2 코일(1252c)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하우징 측부(1223)의 제3 하우징 홀(1223a)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코일(1252c)은 제3 마그넷(1251c)과 전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무버(1230) 및 회전부(1240)를 제1 하우징(1220)을 기준으로 Y축 틸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X축 틸팅은 X축을 기준으로 틸트되는 것을 의미하며, Y축 틸팅은 Y축을 기준으로 틸트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 방향은 도면 상 X축 방향이고 제2 축 방향, 제2 축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도면 상 Y축 방향이며 제1 축 방향, 제1 축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다. 또한, 제3 방향은 도면 상 Z축 방향이고, 제3 축 방향 등과 혼용될 수 있다. 또한, 제3 방향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모두 수직한 방향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은 광축의 방향에 대응하며, 제3 방향(Z축 방향)과 제2 방향(Y축 방향)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이며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에 의해 틸팅될 수 있다. 그리고 저면은 제1 방향에서 일측을 의미하며, 제1 하우징에서 제3 하우징 측부가 저면일 수 있으며, 내측은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중심을 향한 방향이고 외측은 이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내용을 기준으로 이해해야 한다. 다만,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에서는 광축이 제3 방향(Z축 방향)임을 이해해야 한다.
홀 센서부(1253)는 복수 개의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홀 센서부(1253)는 제1 홀 센서(1253a) 및 제2 홀 센서(125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 센서(1253a)는 제1 코일(1253a) 또는 제2 코일(1252b)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홀 센서(1253a)는 제1 코일(1253a) 또는 제2 코일(1252b) 내측에서 자속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2 마그넷(1251a, 1251b)과 제1 홀 센서(1253a) 간의 위치 센싱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이를 통해 X축 틸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홀 센서(1253b)는 제3 코일(1253c)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홀 센서(1253b)는 제3 코일(1253c) 내측에서 자속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3 마그넷(1251c)과 제2 홀 센서(1253b) 간의 위치 센싱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이를 통해 Y축 틸트를 제어할 수 있다.
결합부(1254)는 제1 결합부재(1254a), 제2 결합부재(1254b) 및 제3 결합부재(125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254a), 제2 결합부재(1254b) 및 제3 결합부재(1254c)는 각각이 홀더(1231)의 외측면에 형성된 안착홈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재(1254a)와 제2 결합부재(1254b)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결합부재(1254c)는 홀더(1231)의 외측면 중 저면(예, 제3 홀더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재(1254a), 제2 결합부재(1254b) 및 제3 결합부재(1254c)는 각각이 제1 마그넷(1251a) 내지 제3 마그넷(1251c)과 홀더(12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결합부재(1254a)는 제1 마그넷(1251a)과 홀더(1231) 사이에 위치하고, 제2 결합부재(1254b)는 제2 마그넷(1251b)과 홀더(1231) 사이에 위치하고, 제3 결합부재(1254c)는 제3 마그넷(1251c)과 홀더(12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1254a), 제2 결합부재(1254b) 및 제3 결합부재(1254c)는 요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결합부재(1254a), 제2 결합부재(1254b) 및 제3 결합부재(1254c)는 각각이 제1 마그넷(1251a), 제2 마그넷(1251b) 및 제3 마그넷(1251c)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재(1254a), 제2 결합부재(1254b) 및 제3 결합부재(1254c)는 각각이 제1 안착홈, 제2 안착홈 및 제3 안착홈 내에 배치되고, 제1 안착홈, 제2 안착홈 및 제3 안착홈에 형성된 홈을 통해 주입된 접착부재를 통해 제1 안착홈, 제2 안착홈 및 제3 안착홈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제1 마그넷(1251a), 제2 마그넷(1251b) 및 제3 마그넷(1251c)과 홀더(1231)는 제1 결합부재(1254a), 제2 결합부재(1254b) 및 제3 결합부재(1254c)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 마그넷(1251a), 제2 마그넷(1251b) 및 제3 마그넷(1251c)은 각각 홀더(1231)의 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그넷(1251a)과 제2 마그넷(1251b)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3 마그넷(1251c)은 홀더(1231)의 외측면 중 저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판부(1255)는 제1 구동부(125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판부(1255)는 제1 구동 코일(1252) 및 홀 센서부(12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부(1255)는 제1 구동 코일(1252), 홀 센서부(1253)와 SMT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판부(1255)는 제1 쉴드 캔(1210)과 제1 하우징(122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쉴드 캔(1210) 및 제1 하우징(1220)과 결합할 수 있다. 결합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결합을 통해 제1 구동 코일(1252)과 홀 센서부(1253)가 제1 하우징(1220)의 외측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기판부(1255)는 경성 인쇄 회로 기판(Rigid PCB),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CB), 경연성 인쇄 회로 기판(RigidFlexible PCB) 등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배선 패턴이 있는 회로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b를 참조하면, Y축 틸트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홀더(123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3 마그넷(1251c)은 제3 코일(1252c)과 전자기력을 형성하여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무버(1230)를 틸팅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가이드부(1241)는 제1 하우징(1220) 내의 제1 자성체(1242)와 무버(1230) 내의 제2 자성체(1243)에 의해 제1 하우징(1220) 및 무버(123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출부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 하우징(1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에서 제1 자성체(1242)와 제2 자성체(1243)는 서로 동일한 극성 또는 서로 다른 극성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1220) 내에서 무버(1230)가 제1 자성체(1242)와 제2 자성체(1243) 간의 인력/척력에 의해 제1 하우징과 결합하고 X축 틸트 또는 Y축 틸트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제1 자성체와 제2 자성체 없이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X축 틸트 또는 Y축 틸트를 수행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회전 가이드부(1241)는 무버(1230)를 향해 돌출된 제2 돌출부를 기준축(또는 회전축)으로 회전 또는 틸팅할 수 있다. 즉, 회전 가이드부(1241)는 제2 돌출부를 기준축으로 Y축 틸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안착홈에 배치된 제3 마그넷(1251c)과 제3 기판 측부 상에 배치된 제3 코일부(1252c) 간의 제1 전자기력(F1A, F1B)에 의해 무버(1230)를 X축 방향으로 제1 각도(θ1)로 회전(X1->X1a 또는 X1->X1b)하면서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각도(θ1)는 ±1° 내지 3°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c를 참조하면, X축 틸트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하여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Y축 방향으로 무버(1230)가 틸팅 또는 회전(또는 X축 틸트)하면서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홀더(1231)에 배치되는 제1 마그넷(1251a) 및 제2 마그넷(1251b)은 각각이 제1 코일(1252a)및 제2 코일(1252b)과 전자기력을 형성하여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 가이드부(1241) 및 무버(1230)를 틸팅 또는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 가이드부(1241)는 제1 돌출부를 기준축(또는 회전축)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 또는 틸팅(X축 틸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홈에 배치된 제1, 2 마그넷(1251a, 1251b)과 제1, 2 기판 측부 상에 배치된 제1, 2 코일부(1252a, 1252b) 간의 제2 전자기력(F2A, F2B)에 의해 무버(1230)를 Y축 방향으로 제2 각도(θ2) 회전(Y1->Y1a 또는 Y1->Y1b)하면서 OIS 구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각도(θ2)는 ±1° 내지 3°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홀더 내의 제1 구동 마그넷과 제1 하우징에 배치되는 제1 구동 코일 간의 전자기력에 의해 회전 가이드부(1241) 및 무버(1230)를 제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 제어함으로써, OIS 구현 시 디센터(decent)나 틸트(tilt)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최상의 광학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Y축 틸트’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회전 또는 틸트하는 것에 대응하고, ‘X축 틸트’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 또는 틸트하는 것에 대응한다.
도 6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a는 도 6에서 EE'로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8b는 도 6에서 FF'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6,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는 제2 쉴드 캔(1310), 렌즈부(1320), 제2 하우징(1330), 탄성부(1340), 제2 구동부(1350), 베이스부(1360), 제2 기판부(1370) 및 이미지 센서(IS)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쉴드 캔(1310)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의 일 영역(예컨대, 최외측)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구성요소(렌즈부(1320), 제2 하우징(1330), 탄성부(1340), 제2 구동부(1350), 베이스부(1360), 제2 기판부(1370) 및 이미지 센서(IS))를 감싸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쉴드 캔(1310)은 외부에서 발생한 전자기파를 차단 또는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구동부(1350)에서 오작동의 발생이 감소할 수 있다.
렌즈부(1320)는 제2 쉴드 캔(13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부(1320)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AF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부(1320)는 렌즈 어셈블리(1321) 및 보빈(1322)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132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어셈블리(1321)는 복수 개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하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렌즈 어셈블리(1321)는 보빈(1322)과 결합되어 보빈(1322)에 결합된 제4 마그넷(1352a) 및 제5 마그넷(1352b)에서 발생한 전자기력에 의해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빈(1322)은 렌즈 어셈블리(1321)를 감싸는 개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빈(1322)은 렌즈 어셈블리(1321)와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빈(1322)은 측면에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홈을 통해 제4 마그넷(1352a) 및 제5 마그넷(1352b)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홈에는 접착 부재 등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보빈(1322)은 상단 및 후단에 탄성부(13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보빈(1322)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탄성부(1340)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즉, 보빈(1322)의 위치가 유지되면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다. 탄성부(1340)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우징(1330)은 렌즈부(1320)와 제2 쉴드 캔(1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하우징(1330)은 렌즈부(13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330)은 측부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제4 코일(1351a) 및 제5 코일(1351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상술한 보빈(1322)의 홈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4 마그넷(1352a)은 제4 코일(1351a)과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5 마그넷(1352b)은 제5 코일(1351b)과 마주보게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1340)는 제1 탄성부재(1341) 및 제2 탄성부재(1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341)는 보빈(1322)의 상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1342)는 보빈(1322)의 하면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재(1341)와 제2 탄성부재(13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부재(1341)와 제2 탄성부재(1342)는 보빈(1322)의 이동에 대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구동부(1350)는 렌즈부(1320)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F3, F4)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구동부(1350)는 제2 구동 코일(1351) 및 제2 구동 마그넷(13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 코일(1351)및 제2 구동 마그넷(1352) 간에 형성된 전자기력으로 렌즈부(1320)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구동 코일(1351)은 제4 코일(1351a) 및 제5 코일(1351b)포함할 수 있다. 제4 코일(1351a) 및 제5 코일(1351b)은 제2 하우징(1330)의 측부에 형성된 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코일(1351a) 및 제5 코일(1351b)은 제2 기판부(13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4 코일(1351a) 및 제5 코일(1351b)은 제2 기판부(1370)를 통해 전류 등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2 구동 마그넷(1352)은 제4 마그넷(1352a) 및 제5 마그넷(135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마그넷(1352a) 및 제5 마그넷(1352b)은 보빈(1322)의 상술한 홈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코일(1351a) 및 제5 코일(1351b)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부(1360)는 렌즈부(1320)와 이미지 센서(IS)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부(1360)는 필터 등의 구성요소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360)는 이미지 센서(IS)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IS)는 이물질 등으로부터 자유로워지므로, 소자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줌(Zoom) 엑추에이터 또는 AF(Auto Focus) 엑추에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하나 또는 복수의 렌즈를 지지하며 소정의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렌즈를 움직여 오토포커싱 기능 또는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고정줌일 수 있다. 예컨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어셈블리(1321)의 이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복수 개의 렌즈 어셈블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제1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 제2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 제3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 및 가이드 핀(미도시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는 제2 구동부를 통해 고배율 주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와 제2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는 제2 구동부와 가이드 핀(미도시됨)을 통해 이동하는 이동 렌즈(moving lens)일 수 있으며, 제3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는 고정 렌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3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는 광을 특정 위치에 결상하는 집광자(focator)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는 집광자인 제3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에서 결상된 상을 다른 곳에 재결상시키는 변배자(vari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에서는 피사체와의 거리 또는 상거리가 많이 바뀌어서 배율변화가 큰 상태일 수 있으며,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는 광학계의 초점거리 또는 배율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에서 결상되는 상점은 위치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제2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는 변배자에 의해 결상된 상에 대한 위치 보상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는 변배자인 제1 렌즈 어셈블리(미도시됨)에서 결상된 상점을 실제 이미지 센서 위치에 정확히 결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보상자(compensato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K1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에서 K2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에서 GG'로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 후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는 서로 마주보는 면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의 제1 면(M1)과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의 제2 면(M2)이 서로 마주보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컨대, 제1 면(M1)은 상술한 제5 하우징 측부의 외측면에 대응하며,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의 후면이고, 제2 면(M2)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의 전면일 수 있다.
제1 면(M1)과 제2 면(M2)은 돌기 및 홀을 통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도면과 같이 제1 면(M1)에 돌기가 형성되고, 제2 면(M2)에 돌기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제1 면(M1)은 제1 개구부(O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를 통해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에서 경로가 변경된 광이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부(OP1)는 제3 방향으로 렌즈 어셈블리(1321)와 중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개구부(OP1)는 렌즈 어셈블리(1321)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제1 면(M1)은 제1 돌기(M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M1a)는 제1 면(M1)에서 제2 면(M2)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1 돌기(M1a)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2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돌기(M1a)는 제1 개구부(OP1)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M1a)는 제1 면(M1)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길이의 이등분선(HC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1200)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 간의 결합력을 균형있게 유지할 수 있다.
제1 돌기(M1a)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돌기(M1a)는 원형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M1a)는 제1 직경(r1)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1 홀(M2a)의 직경(r2)은 제1 직경(r1)이상일 수 있다. 이에, 제1 돌기(M1a)가 제1 홀(M2a)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면(M1)은 제1 돌기(M1a)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패턴부(M1b)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M1b)는 패턴 돌기부(PR) 및 패턴 홈부(GR)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턴 돌기부(PR)는 상면(PRa)이 모두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로, 패턴 돌기부(PR)의 상면과 패턴 돌기부(PR)의 저면 간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패턴 돌기부(PR)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h1)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패턴부(M1b)에 접착부재가 도포되어 제1 면(M1)과 제2 면(M2)이 결합하는 경우, 접착 면적이 향상되어 제1 면(M1)과 제2 면(M2)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접착부재가 패턴 돌기부(PR)와 제2 면(M2) 사이에 도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면(M1)과 제2 면(M2) 간의 이격 거리가 각 위치마다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에 의한 AF 기능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패턴 홈부(GR)는 제1 돌기(M1a)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루프홈(GRa)을 포함할 수 있다. 루프홈(GRa)은 폐루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 부재가 제1 돌기(M1a)에 인접한 영역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루프홈(GRa)은 접착부재의 오버플로우(overflow)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돌기(M1a)가 제1 홀(M2a)에 삽입되더라도 접착부재가 제1 홀(M2a)을 통해 투입되어 내부의 제1 탄성부재(1341) 등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AF 기능의 정확도를 유지하고, 소자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1 면(M1)의 하부에는 하단홈(M1c)이 배치될 수 있다. 하단홈(M1c)에는 접착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면(M1)과 제2 면(M2) 간의 결합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하단홈(M1c)은 하부를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단홈(M1c)에 도포된 접착부재가 패턴부(M1b)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접착부재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1300)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단홈(M1c)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제1 면(M1)의 상부에는 상단홈(M1d)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단홈(M1d)에는 접착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면(M1)과 제2 면(M2) 간의 결합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단홈(M1d)은 복수개일 수 있다.
제2 면(M2)은 제2 쉴드 캔(1310)의 일면일 수 있다. 제2 면(M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면(M1)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면(M2)은 제1 홀(M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M2a)은 제1 돌기(M1a)에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면(M2)은 정렬 홈(M2b)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 홈(M2b)을 통해 제1 면(M1)과 제2 면(M2) 간에 조립 정렬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2 면(M2)은 제2 개구부(O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는 상술한 제1 개구부(OP1)에 대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중심가 제1 개구부(OP1)의 중심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부(OP2)에는 렌즈 어셈블리(1321)가 위치할 수 있다. 렌즈즈 어셈블리(1321)는 상술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제2 개구부(OP2)를 관통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부 및 제2 기판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제1 기판부 및 제2 기판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1 기판부(1255)는 제2 기판부(137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기판부(1255)는 제2 기판부(1370)를 적어도 일부 덮을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기판부(1255)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폭(W3)은 제2 기판부(1370)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폭(W4)보다 클 수 있다. 이에, 제1 기판부(1255)와 제2 기판부(1370) 간의 전극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기판부(1255)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마주보는 제1-1 기판부(1255a), 제1-2 기판부(125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부(1255)는 제1-1 기판부(1255a)와 제1-2 기판부(1255b) 사이에 위치하고, 저면인 제1-3 기판부(125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기판부(1255a), 제1-2 기판부(1255b) 및 제1-3 기판부(1255c)는 기판홀(1255ah, 1255bh, 1255c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홀(1255ah, 1255bh, 1255ch)은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제1 하우징의 측부에 형성된 하우징 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기판부(1255)와 제1 하우징 간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부(1255)는 제2 기판부(1370)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 영역(S1)과 제2 기판부(1370)와 중첩되지 않는 제2 영역(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S1)에는 제1 전극(E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부(1255)의 제1 전극(E1)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1 기판부(1255)의 외측면(1255a-1), 제1 기판부(1255)의 내측면(1255a-2) 및 외측면(1255a-1)과 내측면(1255a-2) 사이에 배치되는 단부면(1255a-3)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제1 영역(S1)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제2 기판부(1370)의 외측면(1371a, 1372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은 전도부재(SD)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은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전극(E1)은 제2 전극(E2)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2 기판부(1370)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되므로, 제1 전극(E1)이 제1 기판부(1255)의 내측면에 배치되더라도 제2 기판부(1370)에 의해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 또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다른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현상이 용이하게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기판부(1255)는 전기적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E1)은 제1 기판부(1255)의 외측면(1255a-1), 내측면(1255a-2) 및 단부면(1255a-3)에 형성되므로, 제2 전극(E2)과의 연결이 용이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E1)은 제1 기판부(1255)의 3면에 위치하므로, 제2 전극(E2) 간의 통전율 및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다. 예컨대, 솔더링(soldering)에 의한 에러 발생율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상면도이고,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측면도이고,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1100)는 제1 플레이트(1110), 제2 플레이트(1120) 및 제3 플레이트(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10)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전면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1110)는 제2 플레이트(1120)와 제3 플레이트(1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10)는 제1 플레이트홀(111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홀(1110a)을 통해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저면에서 돌출된 돌기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120) 및 제3 플레이트(1130)는 제1 플레이트(111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120)와 제3 플레이트(1130)는 제3 방향(Z축 방향)에 대해 대칭을 배치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120) 및 제3 플레이트(1130)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120) 및 제3 플레이트(1130)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측면에서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측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0)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측면과 접하는 면에서 폭이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측면과 접하는 면에서 폭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와 접하는 면에서 제2 플레이트(1120)와 제3 플레이트(1130) 사이의 폭이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와 접하는 면에서 제2 플레이트(1120)와 제3 플레이트(1130) 사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120)는 제2-1 플레이트홀(1120a)과 제2-2 플레이트홀(1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플레이트홀(1120a)은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측부와 접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1 플레이트홀(1120a)에는 접착부재가 도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와 제2 플레이트(1120)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2 플레이트홀(1120b)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측부와 접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2 플레이트홀(1120b)에는 접착부재가 도포되거나,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제2-1 플레이트홀(1120a)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는 제2-2 플레이트홀(1120b)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크기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와 플레이트 간의 결합력을 크게 가져가,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이에, 플레이트(1100)와 제1,2 카메라 엑추에이터 간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플레이트(1130)는 제3-1 플레이트홀(1130a)과 제3-2 플레이트홀(1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1 플레이트홀(1130a)은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측부와 접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3-1 플레이트홀(1130a)에는 접착부재가 도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와 제3 플레이트(1130)가 결합할 수 있다.
제3-2 플레이트홀(1130b)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측부와 접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3-2 플레이트홀(1130b)에는 접착부재가 도포되거나,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측면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플레이트(1100)와 제1,2 카메라 엑추에이터 간의 결합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3-1 플레이트홀(1130a)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는 제3-2 플레이트홀(1130b)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크기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와 플레이트 간의 결합력을 크게 가져가, 카메라 모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크기에 따라, 상술한 제2-1 플레이트홀, 제3-1 플레이트홀, 제2-2 플레이트홀 및 제3-2 플레이트홀의 제3 방향으로 길이는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가 제2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이하므로, 제2 플레이트(1120) 및 제3 플레이트(1130)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단차부(S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1120) 및 제3 플레이트(1130)는 관통홀(TH)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TH)은 단차부(ST)와 일부 중첩될 수 있다.
관통홀(TH)을 통해 제1 기판부(1255)와 제2 기판부(1370)가 노출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기판부(1255)는 관통홀(TH)을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판부(1255)는 적어도 일부가 제2 플레이트(1120) 및 제3 플레이트(1130) 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S1)은 관통홀(TH)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즉, 제1 기판부(1255)의 단부는 관통홀(TH)을 관통하고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TH) 내에는 가압부(PS)가 위치할 수 있다. 가압부(PS)는 단차부(ST)에서 관통홀(TH) 내에서 제2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압부(PS)는 관통홀(TH)을 관통한 제1 기판부(1255)의 외측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기판부(1255)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내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에, 제1 기판부(1255)는 제3 방향(Z축 방향)을 향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길이(WL)가 상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기판부(1255)는 제1 영역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을 향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길이(WL)가 감소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기판부(1255)와 제2 기판부(1370) 간의 이격 거리가 감소하여 솔더링(soldering) 등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압부(PS)는 충격 등에 의해 제1 기판부(1255)와 제2 기판부(1370)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개방되는(open) 것이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TH)은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로, 관통홀(TH)은 중앙에 위치한 가압부(PS)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를 향해 연장된 돌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통홀(TH)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접하는 제1 관통 영역 및 제1 관통 영역에서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를 향해 연장되는 제2 관통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관통 영역은 복수 개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관통 영역은 가압부(PS)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관통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부(ST)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중첩되어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관통홀(TH)도 일부 영역(제2 관통 영역)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PS)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 제2 관통 영역에 의해, 가압부(PS)를 내측으로 굽히기 용이할 수 있다. 즉, 가압부(PS)의 제조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크기 변경에 따라 상술한 단차부는 외측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구성요소 예컨대, 이미지 센서의 크기가 변하면(예로, 증가하면) 제2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는 제2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기판부가 상술한 제1 기판부와 같이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부가 제1 카메라 엑추에이터의 측면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이동단말기(1500)는 후면에 제공된 카메라 모듈(1000), 플래쉬모듈(1530), 자동초점장치(151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이미지 촬영 기능 및 자동 초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1000)은 이미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촬영 모드 또는 화상 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소정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도 카메라(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0)은 제1 카메라 모듈(1000)과 제2 카메라 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카메라 모듈(1000A)에 의해 AF 또는 줌 기능과 함께 OIS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플래쉬모듈(1530)은 내부에 광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쉬모듈(1530)은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작동 또는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자동초점장치(1510)는 발광부로서 표면 광 방출 레이저 소자의 패키지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초점장치(1510)는 레이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초점장치(1510)는 카메라 모듈(1000)의 이미지를 이용한 자동 초점 기능이 저하되는 조건, 예컨대 10m 이하의 근접 또는 어두운 환경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자동초점장치(1510)는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VCSEL)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부와, 포토 다이오드와 같은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차량의 사시도이다.
예를들어, 도 20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이 적용된 차량 운전 보조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0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차량(7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3FL, 13FR), 소정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는 카메라센서(20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2000)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이 적용된 카메라 센서일 수 있다. 실시예의 차량(700)은, 전방 영상 또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센서(2000)를 통해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 미식별 상황을 판단하고 미식별시 가상 차선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센서(2000)는 차량(700)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획득하고, 프로세서(미도시)는 이러한 전방 영상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분석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센서(2000)가 촬영한 영상에 차선, 인접차량, 주행방해물, 및 간접 도로 표시물에 해당하는 중앙 분리대, 연석, 가로수 등의 오브젝트가 촬영된 경우, 프로세서는 이러한 오브젝트를 검출하여 영상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카메라센서(2000)를 통해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 정보를 더 보완할 수 있다.
영상 정보는 영상에 촬영된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센서(200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센서(200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센서(2000)는 오브젝트의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차량(700)과 오브젝트와의 거리 등의 정보를 더 확보할 수 있도록 스테레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제1 엑추에이터;
    상기 제1 엑추에이터와 결합되는 제2 엑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엑추에이터의 측면 및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측면을 감싸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엑추에이터는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상기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1 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기판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기판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 기판부가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상기 측면을 가압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엑추에이터는 상기 측면에 배치되는 제2 기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기판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상기 제1 기판부가 상기 제2 기판부와 접촉하도록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부는 상기 제2 기판부와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1 영역 및 제1 영역 이외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부는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기판부의 외측면,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과 상기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단면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부는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엑추에이터의 폭이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폭보다 큰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엑추에이터의 측면과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측면을 덮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단차부 및 관통홀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부와 상기 제2 기판부는 상기 관통홀에 의해 노출되고,
    상기 제1 기판부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기판부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부는 상기 제2 기판부와 중첩 영역에서 이격 거리가 상기 연장 방향으로 감소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엑추에이터는 상기 제2 엑추에이터와 마주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엑추에이터는 상기 제1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은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제1 홀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의 직경은 상기 제1 돌기의 직경 이상인 카메라 모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제2 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제1 돌기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패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패턴 돌기부 및 패턴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 돌기부는 상면이 동일면을 이루고,
    상기 패턴 홈부는 상기 제1 돌기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루프홈을 포함하고,
    상기 루프홈은 폐루프인 카메라 모듈.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개구부에 대응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1 엑추에이터;
    상기 제1 엑추에이터와 결합되는 제2 엑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엑추에이터의 측면 및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측면을 감싸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엑추에이터의 측면과 접하는 면에서 폭이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측면과 접하는 면에서 폭보다 큰 카메라 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엑추에이터의 측면과 상기 제2 엑추에이터의 측면을 덮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는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001661A 2020-01-06 2020-01-06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10088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661A KR20210088351A (ko) 2020-01-06 2020-01-06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661A KR20210088351A (ko) 2020-01-06 2020-01-06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351A true KR20210088351A (ko) 2021-07-14

Family

ID=7686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661A KR20210088351A (ko) 2020-01-06 2020-01-06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83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536A1 (ko) * 2021-12-27 2023-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렌즈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536A1 (ko) * 2021-12-27 2023-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렌즈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0396B1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30209162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ame
KR20210078104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078103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10088351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10135781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30011048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10150737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20091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10137719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20051620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10088352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EP4149107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including same
KR20210132992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20042628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22602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24606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22755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129455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12618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081022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114707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30077225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KR20210067419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99370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