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679A - 강 스트립 또는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 스트립 또는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679A
KR20230173679A KR1020237038770A KR20237038770A KR20230173679A KR 20230173679 A KR20230173679 A KR 20230173679A KR 1020237038770 A KR1020237038770 A KR 1020237038770A KR 20237038770 A KR20237038770 A KR 20237038770A KR 20230173679 A KR20230173679 A KR 20230173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rip
sheet
les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 호벤 욥 안쏘니우스 반
벨트하이젠 헨드릭 바르트 반
Original Assignee
타타 스틸 이즈무이덴 베.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타 스틸 이즈무이덴 베.뷔. filed Critical 타타 스틸 이즈무이덴 베.뷔.
Publication of KR2023017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67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2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coated, e.g. for 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12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23C2/28Thermal after-treatment, e.g. treatment in oil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2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4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light metals
    • C25D3/44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간압연 및 어닐링 된 베이크-경화성 강 용융 아연도금 또는 전기 아연 도금 스트립 또는 시트 및 상기 스트립 또는 시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 스트립 또는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냉간압연 어닐링된 베이크-경화성 강 용융 아연도금 스트립 또는 시트와, 이러한 스트립 또는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용 시, 특히 차량 적용 시 강의 중량 감소 요구의 증가는 강의 기계적 특성들을 개선하는 해결책을 제공하도록 철강 업계를 압박해 왔다.
여기에 제한되지 않지만, 어닐링 후 조질 압연 감소율 증가, 화학적 조성 변경, 스트립 또는 시트에 부과되는 냉간압연 감소율들과 같은 공정 조건들 또는 냉간압연 강 스트립 또는 시트의 어닐링 조건들의 변경과 같은 다양한 강화 수단들이 철강 업계에서 이용된다.
다양한 수단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끼치며, 어떤 특성은 개선하고 다른 특성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질 압연 감소는 항복 강도를 개선하지만, 균일한 신장 값들은 감소시킨다.
따라서, 모든 개선 시, 일부 적용들을 위해 가장 중요한 특성들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덜 중요한 특성들을 가능한 한 적게 희생시키는 것 사이에서 세심하게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관련 특성을 악화시키지 않고 강도를 증가시키는 가능한 방법은 화학 성분을 조정하는 것이다. 문헌을 통해 (예를 들어, S. Hoile, "재료 과학 및 기술" 2000년 10월 16호, 1079) 베이크-경화성 등급들에 흔히 사용되는 극저 탄소강의 강도는 합금의 화학적 조성에 좌우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화학 성분 변경 시에는, 특성들 사이의 세심한 균형 유지 뿐만 아니라 공정 매개변수들 사이의 세심한 균형 유지 또한 필요하다.
JP06-322441은 0.003 내지 0.010%의 C를 포함하는 강 구성에 기초하여 성형성 및 베이크-경화성을 갖는 고강도 냉간압연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소 270 MPa//RD의 항복 강도를 제공하는 냉간압연 및 어닐링 된 베이크-경화성 강 용융(hot-dip) 아연도금 스트립 또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최소 360 MPa//RD의 인장 강도를 제공하는 냉간압연 및 어닐링 된 베이크-경화성 강 용융 아연도금 스트립 또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80mm의 표점 길이에서 최소 28%//RD의 신장도를 제공하는 냉간압연 및 어닐링 된 베이크-경화성 강 용융 아연도금 스트립 또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최소 30 MPa//RD의 베이크-경화성 BH2를 갖는 냉간압연 및 어닐링 된 베이크-경화성 강 용융 아연도금 스트립 또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다음 화학적 조성을 가지는 냉간압연 어닐링된 베이크-경화성 강 용융 아연도금 또는 전기 아연 도금 스트립 또는 시트로서:
C: 0.0022 내지 0.0042 중량 %;
Al_sol: 0.027 내지 0.066 중량 %;
Nb: 0.004 내지 0.028 중량 %;
B: 0.0004 내지 0.0017 중량 %;
Ti: 0.004 내지 0.014 중량 %;
N: 0.0004 내지 0.0033 중량 %;
S: 0.022 중량 % 이하;
Cr: 0.045 중량 % 이하;
V: 0.005 중량 % 이하;
Cu: 0.045 중량 % 이하;
Ni: 0.045 중량 % 이하;
Mo: 0.011 중량 % 이하;
1.445 ≤ Mn + 10 * P + Si ≤ 1.925 중량 %;
Ca: 0 내지 0.0100 중량 %;
여기서, 실리콘 함량은 최소 0.148 및/또는 최대 0.248 중량 %이며;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이고,
항복 강도(Rp)//RD는 270 내지 330 MPa, 인장 강도(Rm)//RD는 360 내지 460, 총 변형률(A80)//RD은 최소 28%, n0 값은 최소 0.13, rO 값은 최소 1.10, 그리고 베이크-경화 지수(BH2)는 최소 30 MPa이며, Rp, Rm, A80, n0, r0는 VDA239-100:2016에 따라, BH2는 EN10325:2002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RD는 압연 방향과 평행한 길이 방향을 갖는 인장 표본에서 특성이 측정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중량 % 단위로 다음의 화학적 조성을 가지는 냉간압연 어닐링된 베이크-경화성 강 용융 아연도금 또는 전기 아연도금 스트립 또는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 중량 % 단위로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강 용융물을 제조하고 슬라브 또는 스트립을 연속 주조하는 단계:
C: 0.0022 내지 0.0042;
Al_sol: 0.027 내지 0.066;
Nb: 0.004 내지 0.028;
B: 0.0004 내지 0.0017;
Ti: 0.004 내지 0.014;
N: 0.0004 내지 0.0033;
S: 0.022 이하;
Cr: 0.045 이하;
V: 0.005 이하;
Cu: 0.045 이하;
Ni: 0.045 이하;
Mo: 0.011 이하;
1.445 ≤ Mn + 10 * P + Si ≤ 1.925 중량 %;
Ca: 0 내지 0.0100;
여기서, 실리콘 함량은 최소 0.148 및/또는 최대 0.248 중량 %;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
- 상기 슬라브를 최소 1050℃의 온도까지 가열 또는 재가열한 후, 상기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여 최대 5.0 mm의 두께를 갖는 열간 압연 스트립을 제조하고(여기서, 마무리 압연 온도는 Ar3을 초과함), 상기 열간 압연 스트립을 650℃보다 낮지 않은 코일링 온도까지 최소 40℃/s의 냉각 속도로 냉각시키는 단계;
- 산세척을 이용해 상기 열간 압연 스트립을 후처리하는 단계;
- 65 내지 90%의 냉간압연 감소율로 상기 후처리 된 열간 압연 스트립을 냉간압연하는 단계;
- 상기 냉간압연 스트립을 연속 어닐링하여 냉간압연된 미세구조를 재결정화 미세구조로 변태시킨 후, 상기 어닐링 된 스트립에 아연 도금 단계에서 금속 코팅을 제공하는 단계;
- 최소 0.2%의 조질 압연 감소율로 상기 아연 도금된 강 스트립을 조질 압연하는 단계; 및
- 선택적으로, 상기 조질 압연된 강 스트립을 후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항복 강도(Rp)는 270 내지 330 MPa, 인장 강도(Rm)는 360 내지 460, 총 변형율(A80)은 최소 28%, n0 값은 최소 0.13, r0 값은 최소 1.10, 그리고 베이크-경화 지수(BH2)는 최소30 MPa이며, 모두 //RD로 측정된다.
본 발명은 이제 다음의 비제한적 도면들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개략적 제조 공정을 도시하고,
도 2는 Σ(Mn + Si + 10P)(중량 %)의 함수로서 Rp(MPa)을 보여주고,
도 3은 U-유형의 런아웃 테이블(run-out table) 냉각을 보여준다.
다음 화학적 조성을 갖는 냉간압연 및 어닐링 된 베이크-경화성 강 용융 아연도금 스트립 또는 시트로 하나 이상의 상기 목적이 달성되며(중량 %):
C: 0.0022 내지 0.0042;
Al_sol: 0.027 내지 0.066;
Nb: 0.004 내지 0.028;
B: 0.0004 내지 0.0017;
Ti: 0.004 내지 0.014;
N: 0.0004 내지 0.0033;
S: 0.022 이하;
Cr: 0.045 이하;
V: 0.005 이하;
Cu: 0.045 이하;
Ni: 0.045 이하;
Mo: 0.011 이하;
Ca: 0 내지 0.0100;
1.445 ≤ Mn (중량 %) + 10 * P (중량 %) + Si (중량 %) ≤ 1.925;
여기서, 실리콘 함량은 최소 0.148 및/또는 최대 0.248 중량 %이며;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이고,
항복 강도(Rp)//RD는 270 내지 330 MPa, 인장 강도(Rm)//RD는 360 내지 460, 총 변형률(A80)//RD은 최소 28%, n0 값은 최소 0.13, rO 값은 최소 1.10, 그리고 베이크-경화 지수(BH2)는 최소 30 MPa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화학적 조성 요소들은 중량 %로 제시된다. 상기 강은 바람직하게 순산소 제강(Basic Oxygen Steelmaking, BOS) 공정으로 제조된 강 용융물을 기반으로 제조되며, 또한 바람직하게 진공 가스 제거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BOS 공정은 낮은 불순물 수준을 갖는 강들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공정은 흔히 이용되는 다른 제강 공정, 전기 아크로(Electric Arc Furnace, EAF) 공정 이상으로 바람직하다. EAF 공정은 스크랩 용융(scrap melting)을 기초로 하는 데 반해, BOS 공정은 원래 그대로의 선철에서 시작하며, 선철을 연속 주조 공정에서 두꺼운 슬라브(t: 150 - 350 mm) 또는 얇은 슬라브(t: 50 - 150 mm)로 또는 스트립 주조 공정에서 스트립(t < 20 mm)으로 주조될 준비가 된 강 용융물로 제련하는 공정 동안, 냉각재로 적은 양의 그리고 주의 깊게 선택된 스크랩만을 선철에 추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조 슬라브 또는 스트립은 열간 압연 공정에 대한 투입물이며, 그 결과물인 열간 압연 스트립은 후속 냉간압연 공정에 대한 투입물이다.
발명자들은 Mn, Si 및 P에 대하여 다음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1.445 ≤ (Mn (중량 %) + 10 * P (중량 %) + Si (중량 %)) ≤ 1.925 중량 %. Mn이 높은 수준일 경우 C 수준 제어가 안 좋아지고, 따라서, 베이크-경화성 반응을 포함하는 기계적 특성들에서 큰 변화들이 발생한다. 높은 수준의 Si는 원치 않는 산화물 유형들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코팅 접착 문제로 이어질 것이다. 높은 수준의 P는 벌징(bulging) 때문에 주조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으며, 또한, 압연 실린더들의 높은 압연력들 및 높은 마모로 이어질 수 있다. 높은 P는 또한 용접 문제들로 이어질 수 있다. 만일 값들이 너무 낮으면, 강도 요건들이 충족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Mn (중량 %) + 10 * P (중량 %) + Si (중량 %)는 최대 1.825 및/또는 최소 1.525 중량 %이다.
발명자들은, 세심하게 균형잡힌 공정과 결합하여 원소들 Mn, Si 및 P 사이 세심한 균형을 이루면, 270 MPa//RD의 최소 항복 강도와, 360 MPa//RD의 최소 인장 강도와, 최소 28%//RD의 최소 신장도 A80과, 최소 30 MPa//RD의 (EN10325:2002에 따른) 최소 베이크-경화성 반응 BH2를 갖는 Ti 안정화 극저 탄소강 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냉간압연 동안 상대적으로 높은 압연력들에도 불구하고, 압연 코일의 폭이 2000 mm까지도 될 수 있다.
청구된 Rp, Rm, A80, n0, r0는 VDA239-100:2016에 따라, BH2는 EN10325:2002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표기 //RD는 압연 방향과 평행한 길이 방향을 갖는 인장 표본에서 특성이 측정되었음을 의미한다. n 및 r 뒤의 0은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0은 압연 방향에 대한 각도이다).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A80은 80 mm의 표점 길이에 걸쳐 측정된 총 신장도임에 유의해야 한다. BH2는, EN10325:2006에 따라, 170℃에서 20분의 도장-베이킹 주기(paint-baking cycle) 후 냉간압연, 어닐링 및 용융 아연도금된 재료를 가열한 후 Rp의 증가를 측정하여 결정되었다. 인장 테스트들은 EN10002-1:2001에 따라 수행되었다.
일 실시예에서, A80//RD는 최소 30%이고, 바람직하게는 최소 32%이다. 일 실시예에서, n0는 최소 0.15이며, 바람직하게는 최소 0.16이다. 일 실시예에서, r0 값은 최소 1.20이며, 바람직하게는 최소 1.30이다. r0과 n0 모두 매개변수일 경우, 값이 높을수록 더 나은 성형성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BH2//RD는 최소 40 MPa이며, 바람직하게는 최소 45 MPa이다. 바람직하게, Rp//RD는 최소 280 MPa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290 MPa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들에서, 티타늄(Ti)은 주로, 모든 N이 TiN으로 석출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첨가된다. 유리 N은 기계적 특성들에 해롭다. 모든 초과 Ti는 TiC 또는 Ti4C2S2로 석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들에서, 니오븀(Nb)은 대부분의 C가 NbC로 석출되도록 추가된다. 그러나, 요구되는 BH 반응을 얻기 위해 고용체 내 적은 양의 C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강들에서, 알루미늄(Al)은 탈산제로 이용된다. 그러나, 모든 N이 TiN으로 석출되지 않은 경우, Al은 딥-드로잉(deep-drawing)을 향상시키기 위해 질화 알루미늄 형성을 촉진시키는 합금 원소로 추가되기도 한다. 그 결과, Al은 강 내에서 산화알루미늄 (탈산화로부터의 잔여물), 금속성 Al 및 AlN으로 발견될 수 있다. Al 및 AlN은 모두 산에서 용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공동으로 Al_sol로 지칭된다. 따라서, 강의 총 알루미늄 함량은 Al_tot = Al_ox + Al_sol로 정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P 함량은 최소 0.054이며, 바람직하게는 최소 0.065 중량 %이다. 바람직하게, P 함량은 최대 0.099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0.085 중량 %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범위는 0.065-0.085 중량 %이다.
일 실시예에서, Mn 함량은 최소 0.610이며, 바람직하게는 최소 0.660 중량 %이다. 바람직하게 Mn 함량은 0.880 미만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800 중량 %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에서, Si 함량은 최소 0.148이다. 일 실시예에서, Si 함량은 최소 0.165 중량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에서, Si 함량은 최대 0.248이다. 일 실시예에서, Si 함량은 최대 0.225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 함량은 최소 0.0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0.005 중량 %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SEP1941 및 SEP1942에 따른) 5%의 변형 후 최대 파상도(waviness) Wsa(1-5)는 0.37 ㎛이다. 이 값은 재현 가능하고 확실한 방식으로 얻어진다. Wsa(1-5)의 값은 냉간압연기의 최종 냉간압연 스탠드(stand) 작업 롤의 거칠기(roughness)에 상당 부분 좌우된다.
일 실시예에서, 강 스트립 또는 시트는 0.80 내지 1.50 ㎛의 거칠기 값(Ra)과, 최대 0.37 ㎛의, 5% 변형 후 파상도 값(Wsa(1-5))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5% 변형 후 파상도 값 Wsa(1-5)는 최대 0.35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0.34 ㎛이며 그리고/또는 Ra는 최대 1.45 ㎛이다.
본 발명의 추가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강 스트립 또는 시트는 냉간압연 및 어닐링 후, 아연 층과 같은 금속 코팅 층을 갖는다. 이 아연 층은, 기판에 대한 상기 아연 층의 적절한 접착을 보장하기 위해 대략 45%의 Al, 35%의 Fe 및 20-35%의 Zn으로 구성된 매우 얇은 3원 합금(Fe2Al5 - XZnX) 층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적은 양의 Al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0.10 내지 1.0 중량 %의 Al이 아연 조(zinc bath)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코팅 층은 0.3 - 4.0 중량 %의 Mg과 0.3 - 6.0 중량 %의 Al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최대 0.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추가 원소들과, 불가피한 불순물들; 나머지로 아연을 포함하는 아연 합금 코팅 층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아연-합금 코팅 층 내 합금 원소 함량은 마그네슘 1.0 - 2.0 중량 %와 알루미늄 1.0 - 3.0 중량 %이며, 선택적으로, 최대 0.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추가 원소들과, 불가피한 불순물들; 나머지는 아연이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연 합금 코팅은 최대 1.0 내지 2.0 중량 %의 Mg과 1.5 내지 2.5 중량 %의 Al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최대 0.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추가 원소들과, 불가피한 불순물들; 잔여물로 아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 스트립 또는 시트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상기 스트립은 본 발명에 따라 연속적으로 어닐링 되며, 그 후 전기 아연 도금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강 스트립 또는 시트는 (상업용 순) 알루미늄 층 또는 알루미늄 합금 층과 같은 금속 코팅 층을 갖는다. 상업용 순 알루미늄은 최소 99 중량 %의 Al을 함유한다 (AA 1XXX 시리즈). 알루미늄 합금 층 용융 코팅을 위한 전형적인 금속 조는 실리콘과 합금된 알루미늄, 예를 들어, 8 내지 11 중량 %의 실리콘과 합금된 알루미늄과 최대 4 중량 %의 철, 선택적으로, 최대 0.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칼슘과 같은 추가 원소들, 불가피한 불순물들, 잔여물로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실리콘은 접착성 및 성형성을 감소시키는 두꺼운 철-금속간 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존재한다. 철은 바람직하게 1 내지 4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2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한다.
냉간압연 스트립 또는 시트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강 스트립 또는 시트의 두께는 0.50 내지 1.2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간압연 강 스트립 또는 시트 내 페라이트 입자들의 입도(grain size)는 9 내지 13 ASTM이며, 바람직하게는 9.5 내지 12 ASTM,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 10 ASTM이다.
바람직하게, Cr, V, Cu, Ni 및/또는 Mo 중 하나, 그 이상 또는 모두가 본 발명에 따른 강에 불가피한 불순물들로서만 존재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r, V, Cu, Ni 및/또는 Mo 중 하나, 그 이상 또는 모두가 완전히 부재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중량 %로 일 화학적 조성을 갖는 냉간압연 및 어닐링 된 베이크-경화성 강 용융 아연도금 스트립 또는 시트를 제조하는,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구현되며:
- 중량 %로 다음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 강 용융물을 제조하고 슬라브 또는 스트립을 연속 주조하는 단계:
C: 0.0022 내지 0.0042;
Al_sol: 0.027 내지 0.066;
Nb: 0.004 내지 0.028;
B: 0.0004 내지 0.0017;
Ti: 0.004 내지 0.014;
N: 0.0004 내지 0.0033;
S: 0.022 이하;
Cr: 0.045 이하;
V: 0.005 이하;
Cu: 0.045 이하;
Ni: 0.045 이하;
Mo: 0.011 이하;
1.445 ≤ Mn(중량 %) + 10 * P(중량 %) + Si(중량 %) ≤ 1.925;
여기서, 실리콘 함량은 최소 0.148 및/또는 최대 0.248 중량 %;
Ca: 0 내지 0.0100;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
- 상기 슬라브를 최소 1050℃의 온도까지 가열 또는 재가열한 후, 상기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여 최대 5.0 mm의 두께를 갖는 열간 압연 스트립을 제조하고(여기서, 마무리 압연 온도는 Ar3을 초과함), 상기 열간 압연 스트립을 650℃보다 낮지 않은 코일링 온도까지 최소 40℃/s의 냉각 속도로 냉각시키는 단계;
- 산세척을 이용해 상기 열간 압연 스트립을 후처리하는 단계;
- 65 내지 90%의 냉간압연 감소율로 상기 후처리 된 열간 압연 스트립을 냉간압연하는 단계;
- 상기 냉간압연 스트립을 연속 어닐링하여 냉간압연된 미세구조를 재결정화 미세구조로 변태시킨 후, 상기 어닐링 된 스트립에 용융 아연도금 단계에서 금속 코팅을 제공하는 단계;
- 최소 0.2%의 조질 압연 감소율로 상기 용융 아연도금된 강 스트립을 조질 압연하는 단계;
- 선택적으로, 상기 조질 압연된 강 스트립에 대해, 코일링, 시트들로 절단, 성형 등과 같은 후처리를 하는 단계;
여기서, 항복 강도(Rp)는 270 내지 330 MPa, 인장 강도(Rm)는 360 내지 460, 총 변형율(A80)은 최소 28%, n0 값은 최소 0.13, r0 값은 최소 1.10, 그리고 베이크-경화 지수(BH2)는 최소30 MPa이며, 모두 //RD로 측정되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공정 조건들은 다음과 같이 선택된다:
- 최소 1100℃, 심지어 최소 1150℃의 온도까지 상기 슬라브를 가열 또는 재가열;
- 마무리 압연 온도는 900 내지 945℃;
- 스트립 중간의 코일링 온도는 710℃보다 낮지 않고 및/또는 750℃보다 높지 않음;
- 냉간압연 감소율은 최소 68%, 바람직하게는 70%,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소75% 및/또는 최대 90%;
- 0.2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2.10%로 상기 용융 아연도금된 강 스트립을 조질 압연.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이 상기 공정 조건들 중 하나, 그 이상 또는 모두를 구현할 수 있도록, 이 공정 조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코일링 후 앞과 뒤의 더 빠른 냉각 속도를 보상하도록, 앞 끝단(head end) 및 뒤 끝단(tail end)의 코일링 온도는 스트립 중간의 코일링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보상은 AlN 또는 NbC의 석출과 같은 일정 야금 반응들을 촉진시키는 데 중요하다. 그 경우, 상기 앞과 뒤가 더 높은 온도에서 코일링 되는, 소위 U-유형의 냉각이 사용될 수 있다(도 3 참조). 앞/뒤 효과들의 보상이 필요한 이러한 냉각에서 앞/뒤 및 중각 구역 간의 온도 차는 당업자가 쉽게 결정할 수 있으나, 일반적 지표로서, 앞과 뒤의 코일링 온도는 스트립 중간보다 약 30℃ 더 높을 수 있다. 중간 구역과 비교하여 앞 끝단과 뒤 끝단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중간 구역과 비교할 때 앞 끝단과 뒤 끝단의 최적의 길이, 앞/뒤 및 중간 사이 이송 길이, 그리고 스트립 길이 전체에 걸친 온도 차이는 코일 내 모든 지점의 냉각을 계산하는 열 모델로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최적의 온도 경로는 얻어낼 수 있는, 예를 들어 AlN의 석출을 위한 야금 모델과 결합될 수 있다(주석판을 위한 Hoogovens의 새로운 CA 라인용 야금학, Th.M. Hoogendoorn, A.J. van den Hoogen, 1991 TMS 가을 회의, 신시네티 (OH), 1991년 10월 22-24일).
예시들
이제 본 발명이 다음의 비제한적 예시들로 더 설명될 것이다. 표 1은 테스트 재료들의 화학적 조성 및 주요 공정 설정을 보여준다.
합금 A 내지 J는 본 발명에 따른 것이다. 합금 O 내지 T는 본 발명의 청구항 범위 외의 것이며 화학 구성과 처리의 효과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강들은 모두 순산소 제강 시설에서 제조되었으며 두꺼운 슬라브들(~225 mm)로 연속적으로 주조되었다. 상기 강들은, 주조 슬라브의 두께가 보통 50 내지 100 mm인, 얇은 슬라브 주조 및 직접 열간 압연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는 최종 발명 제품의 특성들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생산의 비제한적 개략 개요도가 도 1에 묘사된다.
상기 강 슬라브들은 최소 1050℃의 온도까지 슬라브 재가열 로(slab reheating furnace, SRF)에서 재가열되었으며, 이후 2.8, 3.1 및 3.5 mm의 두께까지 열간 압연되었다. 상기 열간 압연이 정확한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마무리 열간 압연 온도(FRT)는 Ac3을 초과하였다. 약 910℃ 내지 930℃의 목표 FRT가 이용되었다. 상기 열간 압연 스트립을 런아웃 테이블(ROT)에서 냉각시킨 후, 상기 스트립들을 730℃의 목표 코일링 온도에서 코일링 하였다. 이후, 상기 열간 압연 코일들(HRC)을 산세척하고 0.70 mm의 두께까지 냉간압연하여, (HRC의 두께에 따라) 75, 77 및 80%의 냉간압연 감소율을 얻었다. 이후, 상기 냉간압연 코일들(CRC)을 연속적으로 어닐링하여 완전 재결정화하였으며, 1.4 내지 2.0%로 조질 압연하였다. 상기 어닐링과 조질 압연 사이에서, 상기 코일들을 용융 아연도금하여 상기 스트립에 금속 코팅 층을 제공하여, 냉간압연 금속 도금 코일(CRCC)을 제조하였다.
상기 냉간압연 금속 도금 코일들의 미세구조들은 10 내지 10.5 ASTM의 입도를 갖는 완전히 재결정화된 미세구조이다. 테스트 재료들의 기계적 특성들이 표 2에 제시된다.
결과들에 대한 분석은, 강도가 확실히 Mn, Si 및 P의 수준에 좌우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청구된 범위들 외의 구성을 갖는 코일들은 요구되는 최소 강도 270 MPa를 보장하지 않는다.
냉간압연 감소율의 함수로서의 인장 특성들에 대한 추가적 분석은 Rp02, Rm, Ag, A80 및 n 값이 냉간압연 감소율에 좌우되지 않으며, r 값만 냉간압연 감소율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2의 결과들은, 항복 강도(Rp), 인장 강도(Rm), 신장도(A80) 및 r 값은 조질 압연기 설정에 영향을 받지 않거나 거의 받지 않지만, 균일 신장도(Ag) 및 n 값(변형 경화 지수(strain hardening exponent))은 조질 압연 감소율이 높을수록 어느 정도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질 압연 감소율이 높을수록 재료 내 더 많은 가공 경화로 이어지며, 이는 결과적으로, 더 낮은 초기 Ag 및 n 값으로 이어진다. 조질 압연 감소율을 1.5에서 2.0%로 증가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항복 강도의 증가는 ~3 MPa 밖에 되지 않는다.
상기 냉간압연 금속 도금 코일들은 표준 완전 가공(FF)으로 제조되었다. 냉간압연기의 최종 스탠드(#5) 압연 실린더들의 거칠기는 약 5.8 ㎛ EDT였다. 거칠기 및 파상도는 SEP1942(초안, 2017년 5월)에 기재된 바에 따른 변형 후 SEP1941(2012년 5월)에 따라 (길이 전체에 걸쳐) 코일의 중간에서 측정되었다. 코일링 온도, 거칠기 및 파상도 값들을 포함하는 일부 관련 공정 설정들을 포함하는 결과들이 표 3에 요약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제조 공정이 개략적으로 나타난다. 공정은 주조로 시작되고 냉간압연 아연 도금 코일(CRGC)로 끝난다. 중간 단계들이 개략적으로 나타난다.
도 2는 Σ(Mn + Si + 10P)(중량 %)의 함수로서의 기계적 특성들 중 하나(MPa 로 Rp) 간의 관계를 보여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강과 공정이 제공하는 개선을 보여준다. 세로 파선들은 1.445 및 1.925 중량 %에 대한 값들을 보여주고, 가로 파선들은 Rp = 270 MPa를 보여준다.
도 3은 U-유형 냉각의 개략도 및 스트립의 앞 구역, 중간 구역 및 뒤 구역의 상세 설명을 보여준다. 앞 구역은 처음으로 열간 압연되는 구역이므로, 코일의 "눈" 내에서 내부 랩(wrap)들로서 끝나며, 뒤 구역은 마지막으로 열간 압연되는 구역이므로, 코일의 외부 랩들로서 끝난다. 중간 구역의 길이는 스트립의 두께, 스트립의 폭, 코일의 무게에 좌우된다.

Claims (16)

  1. 다음 화학적 조성을 가지는 냉간압연 어닐링된 베이크-경화성 강 용융 아연도금 또는 전기 아연 도금 스트립 또는 시트로서:
    C: 0.0022 내지 0.0042 중량 %;
    Al_sol: 0.027 내지 0.066 중량 %;
    Nb: 0.004 내지 0.028 중량 %;
    B: 0.0004 내지 0.0017 중량 %;
    Ti: 0.004 내지 0.014 중량 %;
    N: 0.0004 내지 0.0033 중량 %;
    S: 0.022 중량 % 이하;
    Cr: 0.045 중량 % 이하;
    V: 0.005 중량 % 이하;
    Cu: 0.045 중량 % 이하;
    Ni: 0.045 중량 % 이하;
    Mo: 0.011 중량 % 이하;
    1.445 ≤ Mn + 10 * P + Si ≤ 1.925 중량 %;
    Ca: 0 내지 0.0100 중량 %;
    여기서, 실리콘 함량은 최소 0.148 및/또는 최대 0.248 중량 %이며;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이고,
    항복 강도(Rp)//RD는 270 내지 330 MPa, 인장 강도(Rm)//RD는 360 내지 460, 총 변형률(A80)//RD은 최소 28%, n0 값은 최소 0.13, rO 값은 최소 1.10, 그리고 베이크-경화 지수(BH2)는 최소 30 MPa이며, Rp, Rm, A80, n0, r0는 VDA239-100:2016에 따라, BH2는 EN10325:2002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RD는 압연 방향과 평행한 길이 방향을 갖는 인장 표본에서 특성이 측정되었음을 의미하는, 강 스트립 또는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0.80 내지 1.50 ㎛의 거칠기 값(Ra)을 가지며, SEP 1941 및 1942에 기술된 5% 변형 후 파상도 값(Wsa(1-5))이 최대 0.37 ㎛인, 강 스트립 또는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 함량이 최소 0.054 중량 %이며 및/또는 최대 0.099 중량 %인, 강 스트립 또는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망간 함량이 최소 0.610 중량 %이며 및/또는 최대 0.880 중량 %인, 강 스트립 또는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n(중량 %) + 10*P(중량 %) + Si(중량 %)가 최대 1.825 및/또는 최소 1.525인, 강 스트립 또는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연 도금 층은 아연 또는 아연합금 코팅층과 같은 금속 코팅층이거나, 상기 아연 도금 층은 최소 99 중량 %의 Al을 함유하는 상업용 순 알루미늄 층 또는 알루미늄합금 층과 같은 금속 코팅층인, 강 스트립 또는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합금 코팅층이 0.3-4.0 중량 %의 Mg과 0.3-6.0 중량 %의 Al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최대 0.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추가 원소들을 포함하며, 나머지는 불가피한 불순물들 및 아연을 포함하는, 강 스트립 또는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 스트립 또는 시트의 두께가 0.50 내지 1.20 mm인, 강 스트립 또는 시트.
  9. 중량 % 단위로 다음의 화학적 조성을 가지는 냉간압연 어닐링된 베이크-경화성 강 용융 아연도금 또는 전기 아연도금 스트립 또는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 중량 % 단위로 다음을 포함하는 조성을 가지는 강 용융물을 제조하고 슬라브 또는 스트립을 연속 주조하는 단계:
    C: 0.0022 내지 0.0042;
    Al_sol: 0.027 내지 0.066;
    Nb: 0.004 내지 0.028;
    B: 0.0004 내지 0.0017;
    Ti: 0.004 내지 0.014;
    N: 0.0004 내지 0.0033;
    S: 0.022 이하;
    Cr: 0.045 이하;
    V: 0.005 이하;
    Cu: 0.045 이하;
    Ni: 0.045 이하;
    Mo: 0.011 이하;
    1.445 ≤ Mn + 10 * P + Si ≤ 1.925 중량 %;
    Ca: 0 내지 0.0100;
    여기서, 실리콘 함량은 최소 0.148 및/또는 최대 0.248 중량 %;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들;
    - 상기 슬라브를 최소 1050℃의 온도까지 가열 또는 재가열한 후, 상기 슬라브를 열간 압연하여 최대 5.0 mm의 두께를 갖는 열간 압연 스트립을 제조하고(여기서, 마무리 압연 온도는 Ar3을 초과함), 상기 열간 압연 스트립을 650℃보다 낮지 않은 코일링 온도까지 최소 40℃/s의 냉각 속도로 냉각시키는 단계;
    - 산세척을 이용해 상기 열간 압연 스트립을 후처리하는 단계;
    - 65 내지 90%의 냉간압연 감소율로 상기 후처리 된 열간 압연 스트립을 냉간압연하는 단계;
    - 상기 냉간압연 스트립을 연속 어닐링하여 냉간압연된 미세구조를 재결정화 미세구조로 변태시킨 후, 상기 어닐링 된 스트립에 아연 도금 단계에서 금속 코팅을 제공하는 단계;
    - 최소 0.2%의 조질 압연 감소율로 상기 아연 도금된 강 스트립을 조질 압연하는 단계; 및
    - 선택적으로, 상기 조질 압연된 강 스트립을 후처리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항복 강도(Rp)는 270 내지 330 MPa, 인장 강도(Rm)는 360 내지 460, 총 변형율(A80)은 최소 28%, n0 값은 최소 0.13, r0 값은 최소 1.10, 그리고 베이크-경화 지수(BH2)는 최소30 MPa이며, 모두 //RD로 측정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도금 단계는 용융(hot-dip) 아연도금 단계인,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따라 제조된 강 스트립 또는 시트로서, P, Mn 및 Si 중 하나 이상을 다음 양으로 갖는, 강 스트립 또는 시트:
    - 인 함량은 최소 0.054 및/또는 최대 0.099 중량 %;
    - 망간 함량은 최소 0.610 및/또는 최대 0.880 중량 %;
    - Mn + 10 * P + Si는 최대 1.825 및/또는 최소 1.525 중량 %.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조건들 중 하나 이상은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
    - 최소 1100℃, 심지어 최소 1150℃의 온도까지 상기 슬라브를 가열 또는 재가열함;
    - 마무리 압연 온도는 900 내지 945℃;
    - 코일링 온도는 710℃보다 낮지 않고 및/또는 750℃보다 높지 않음;
    - 냉간압연 감소율은 최소 75% 및/또는 최대 83%;
    - 0.2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2.10%로 상기 용융 아연도금된 강 스트립을 조질 압연함.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중간 구역의 코일링 온도는 710℃보다 낮지 않고 및/또는 750℃보다 높지 않으며, 상기 스트립의 앞과 뒤 끝단들이 더 높은 온도에서 코일링 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립의 앞과 뒤 끝단들이 스트립 중간 구역의 코일링 온도보다 최소 10℃ 및 최대 50℃ 높은 온도에서 코일링 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립의 앞과 뒤 끝단들이 스트립 중간 구역의 코일링 온도보다 최소 20℃ 및/또는 최대 40℃ 높은 온도에서 코일링 되는,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연도금 층이 아연 또는 아연합금 코팅층과 같은 금속 코팅층이거나, 상기 아연도금 층이 최소 99 중량 %의 Al을 함유하는 상업용 순 알루미늄 층 또는 알루미늄 합금 층과 같은 금속 코팅층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합금 코팅층이 0.3-4.0 중량 %의 Mg과 0.3-6.0 중량 %의 Al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최대 0.2 중량 %의 하나 이상의 추가 원소들을 포함하며, 나머지는 불가피한 불순물들 및 아연을 포함하는, 방법.
  16. 몸체 부품 및 외부 몸체 부품을 포함하여 자동차 적용을 위한 부품들의 제조을 위한,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생산된 강 스트립 또는 시트의 사용.
KR1020237038770A 2021-04-21 2022-04-21 강 스트립 또는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736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69708 2021-04-21
EP21169708.1 2021-04-21
PCT/EP2022/060599 WO2022223719A1 (en) 2021-04-21 2022-04-21 Steel strip or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679A true KR20230173679A (ko) 2023-12-27

Family

ID=75639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8770A KR20230173679A (ko) 2021-04-21 2022-04-21 강 스트립 또는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26913A1 (ko)
JP (1) JP2024515363A (ko)
KR (1) KR20230173679A (ko)
CN (1) CN117178065A (ko)
WO (1) WO2022223719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641B2 (ja) * 1993-04-14 2000-05-2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著しく高い塗装焼付硬化性能を有する常温非時効性冷延鋼板
JP3404798B2 (ja) 1993-05-11 2003-05-1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焼付硬化性を有する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JPH11335781A (ja) * 1998-03-25 1999-12-07 Kobe Steel Ltd プレス成形後の表面性状および材質安定性に優れた深絞り用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67055B1 (ko) * 2012-10-31 2014-12-01 현대제철 주식회사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DE202017007170U1 (de) * 2016-10-17 2019-11-15 Tata Steel Ijmuiden B.V. Stahlsubstrat für lackierte Teile
CN107815591A (zh) * 2017-10-23 2018-03-20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热镀锌钢板及其制备方法
CN108486491A (zh) * 2018-05-23 2018-09-04 山东钢铁集团日照有限公司 一种热镀锌汽车外板烘烤硬化钢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26913A1 (en) 2024-02-28
WO2022223719A1 (en) 2022-10-27
JP2024515363A (ja) 2024-04-09
CN117178065A (zh)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5443B2 (en) Lacquered baked steel sheet for can
CN114686777B (zh) 具有良好耐老化性的扁钢产品及其制造方法
KR20060090809A (ko) 가공용 열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N113195755A (zh) 钢板、构件和它们的制造方法
TW201315819A (zh) 深擠壓性及鋼卷內材質均勻性優異之高強度冷軋鋼板及其製造方法
CN113227415B (zh) 钢板、构件和它们的制造方法
CN104726768A (zh) 表面质量优异的高强度热轧钢板及其制造方法
JP7482231B2 (ja) 低炭素低コスト超高強度多相鋼板/鋼帯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4086362A1 (en) Low-silicon and low-carbon equivalent gpa grade multi-phase steel plate/steel stri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8502213A (ja) 冷間圧延高強度低合金鋼
US20060207692A1 (en) Ultrahigh strength hot-rolled steel and method of producing bands
JP3449003B2 (ja) 缶用鋼板とその製造方法
CN113166837B (zh) 高强度钢板及其制造方法
KR20230173679A (ko) 강 스트립 또는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4137554A (ja) 加工性に優れた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60883A (ko) 선영성이 우수한 고강도 아연계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3872595B2 (ja) 面内異方性が小さく成形性に優れた冷延鋼板
JP3291639B2 (ja) 加工性の均一性に優れた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93728B2 (ja) 成形性の優れた極低炭素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6658708B2 (ja) 低降伏比を有する鋼板の製造方法
KR20220064621A (ko)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아연계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2003994A (ja) 高強度薄鋼板および高強度亜鉛系めっき鋼板
JP3273383B2 (ja) 深絞り性の優れた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68310A (ko) 강도, 성형성 및 표면 품질이 우수한 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3793254B2 (ja) 成形性に優れた冷延鋼板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