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262A - Ptk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Ptk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262A
KR20230172262A KR1020220072914A KR20220072914A KR20230172262A KR 20230172262 A KR20230172262 A KR 20230172262A KR 1020220072914 A KR1020220072914 A KR 1020220072914A KR 20220072914 A KR20220072914 A KR 20220072914A KR 20230172262 A KR20230172262 A KR 20230172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u
ptk2
tauopathy
inhibitor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이신려
조명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20072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262A/ko
Publication of KR20230172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26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TK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타우병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PTK2 억제제를 타우병증이 유발된 개체 및 신경세포에 처리할 경우, 타우 축적에 의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손상에 따른 신경독성을 억제할 수 있고, 폴리 유비퀴틴화된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며 신경세포의 사멸억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타우에 의한 PTK2 및 p62의 인산화를 억제하고 타우 단백질 및 타우 인산화를 억제할 수 있어, 본 발명의 PTK2 억제제는 타우로 인한 타우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PTK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auopathy comprising PTK2 inhibitor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PTK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세관 관련 단백질(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의 하나인 타우(tau)는 신경섬유농축제(neurofibrillary tangle, NFT)의 주요 구성성분이다. 아밀로이드 증폭 가설에 의하면 타우가 NFT를 형성하는 것이 아밀로이드 형성 이후에 이차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하였으나 타우 유전자 돌연변이가 신경퇴행질환, 특히 전두측두엽 치매를 유발시키는 것이 확인되면서 “타우병증(tauopathy)”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따라서 타우병증은 뇌의 소위 신경섬유 엉킴 (NFT)에서 타우 단백질의 병리학적 응집으로부터 초래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부류이며, 타우병증으로는 진행성 핵상 마비, 알츠하이머병, 전두측두 치매 (FTD), 피질기저 퇴행 및 전두측두엽 퇴행과 같은 질환이 포함된다.
한편, 타우병증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타우에 대한 치료용 항체의 사용이 개발되었으나, 효과가 미비하며 이 외 다른 치료제의 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타우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18502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타우병증 신경세포주 및 타우병증 초파리 모델에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 억제제를 처리한 결과, 타우에 의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시스템 손상 및 신경독성을 감소시키며 신경세포의 세포사멸 억제, PTK2의 자가 인산화 및 p62 인산화 억제, 타우 단백질의 발현 및 인산화 억제 효과가 나타날 뿐만 아니라 타우병증 초파리 모델에서 PTK2 억제 시 등반운동 결손이 개선되고 단축된 수명도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PTK2 억제제를 타우병증의 새로운 치료제로서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우병증은 알츠하이머병(AD), 피크병, 진행성 핵상 마비(PSP), 전측두엽 치매(FTD), 염색체 17과 연관된 파킨슨증을 갖는 전측두엽 치매(FTDP-17), 탈억제-치매-파킨슨증-근위축증 복합증(DDPAC), 담창구-다리-흑질 변성(pallido-ponto-nigral degeneration; PPND), 괌-ALS 증후군, 담창구-흑질-루이체 변성(pallido-nigro-luysian degeneration; PNLD), 피질-기저 변성(CBD), 은친화성 입자 치매(AgD), 루이소체 치매(DLB),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SSPE), 약한 인지 손상(MCI), C형 뉴만 피크병(NPC), B형 산필리포 증후군, 점액성 다당류증 III B(MPS III B), 근긴장성 이영양증(DM) 및 만성 외상성 뇌병증(CT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 억제제는 PF-573228 (6-[4-(3-Methanesulfonyl-benzylamino)-5-trifluoromethyl-pyrimidin-2-ylamino]-3,4-dihydro-1H-quinolin-2-one) 화합물,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용매화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PTK2 억제제는, 타우 축적에 의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손상에 따른 신경독성 억제; 폴리 유비퀴틴화된 단백질의 수준 감소; 신경세포 사멸억제; 타우에 의한 PTK2 및 p62의 인산화 억제; 타우 단백질 발현 감소; 또는 타우 인산화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타우병증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로서 PTK2 억제제의 신규 용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타우병증이 유발된 개체에 PTK2 억제제를 처리할 경우, 타우 축적에 의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손상에 따른 신경독성을 억제할 수 있고, 폴리 유비퀴틴화된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며 신경세포의 사멸억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타우에 의한 PTK2 및 p62의 인산화를 억제하고 타우 단백질 및 타우 인산화를 억제할 수 있어, 본 발명의 PTK2 억제제는 타우로 인한 타우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N2a 신경세포주에서 타우 유도 UPS의 손상이 PTK2 억제제 처리에 의해 개선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C는 EGFP, Tau WT EGFP 또는Tau P301L-EGFP로 형질감염된 신경세포에서 Tau 단백질 수준, p-Tau(Ser396) 단백질 수준 및 폴리 유비퀴틴화된 단백질의 수준을 웨스턴 블롯으로 각각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D는 Tau P301L-EGFP 발현 신경세포주에서 PTK2 억제제 처리 여부에 따른 수용성 및 불용성 세포 분획물에서의 폴리 유비퀴틴화된 단백질의 수준을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PTK2 억제에 의한 타우 유도 세포사멸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GFP, Tau WT GFP 또는Tau P301L-GFP로 형질감염된 N2a 신경세포주에 PTK2 억제제(1 μM)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FACS 분석 결과(A) 및 FACS 분석에 의한 세포사멸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B)이다.
도 3은 PTK2 억제에 따른 타우 유도의 PTK2 인산화 및 p62 인산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A~C는 EGFP, Tau WT EGFP 또는 Tau P301L-EGFP로 형질감염된 N2a 신경세포에서 p-p62 (Ser403) 단백질 수준, LC3-I/II 단백질 수준 및 p-PTK2 (Ser397) 단백질 수준을 각각 나타낸 것이고, D 및 E는 EGFP 또는 Tau P301L-EGFP로 형질감염된 N2a 신경세포에 PTK2 억제제(1 μM)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p-PTK2 (Ser397) 단백질 수준 및 p-p62 (Ser403) 단백질 수준을 웨스턴 블롯으로 각각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타우병증 초파리 모델에서 타우 과발현에 의한 UPS 손상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정상 초파리 및 타우 V337M 초파리의 세포 용해물을 대상으로 타우 단백질 수준(A), CL1-GFP 단백질(UPS 활성 지표자) 수준(B), 불용성 세포 분획물에서의 폴리 유비퀴틴화 단백질 수준(C) 및 Atg8a-GFP와 유래 GFP 단백질 수준(D)을 각각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타우병증 초파리 모델에서 PTK2 억제에 의한 타우 유발 신경 독성 약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Tau V337M 돌연변이를 갖는 타우병증 초파리 및 정상 초파리에 PTK2 억제제(10 μM)를 처리한 후, 시간에 따른 등반능력(A) 및 수명(B)을 분석한 결과이다.
도 6은 타우병증 환자로부터 분리한 뇌조직을 대상으로 p-Tau(Ser396) 단백질 수준(A) 및 p-p62(Ser403) 단백질 수준(B)을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CNL은 정상 대조군 시료를 AD는 타우병증을 갖는 알츠하이머병 환자 유래 시료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타우병증 신경세포주에서 PTK2 억제에 따른 타우 단백질 수준 감소 및 타우 인산화 감소 효과를 확인한 결과로서, A 및 B는 타우 과발현 Na2 신경세포주에 PTK2 억제제(1 μM)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타우 인산화 및 타우 단백질 수준을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한 사진 및 정량적 분석 그래피를 나타낸 것이고, C 및 D는 Tau P301L-EGFP 과발현 Na2 신경세포주에 PTK2 억제제(1 μM)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타우 인산화 및 타우 단백질 수준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PTK2 억제제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PTK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는 세포의 증식, 생존 및 이동을 조절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PTK2의 티로신 인산화 부위는 Tyr397, 407, 576, 577, 861 및 925 잔기가 알려져 있다. PTK2 활성화의 시작은 Y397 부위에서의 자가인산화가 필요하며, 후속적으로 SRC 단백질 패밀리에 의한 PTK2의 다른 잔기에서의 인산화가 다운스트림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PTK2의 세포 내에서의 생리적인 작용에 대해서는 인테그린과 성장인자 수용체를 통해 전송된 세포외 신호와 세포 내 신호전달 물질사이의 링커로서 작용함이 알려져 있고, 활성화된 PTK2는 세포 생존, 증식 및 사멸 조절에 관여하며, 특히 PTK2의 억제는 암의 성장 및 전이형성을 억제할 수 있음이 알려져 있을 뿐, 아직까지 PTK2와 타우병증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PTK2와 타우병증과의 관련성을 세포 및 초파리 모델을 이용하여 규명하였고, 구체적으로 PTK2의 억제가 타우병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한편, 타우(tau) 단백질은 분자량이 50,000~70,000을 나타내는 미소관결합단백질의 일종으로서, 미소관의 안정성에 기여하고, 인산화에 의한 과도한 타우 단백질 응집은 다양한 뇌신경 질환을 유발하며, 이러한 타우로 기인하는 신경퇴행성 질병을 타우병증(taupathy)으로 일컫는다. 건강한 신경에서 타우는 축색돌기(axon)로부터의 성장 및 신경 세포 분극화(polarization)를 촉진함으로써 마이크로세관(microtubules)을 안정화하는데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병리학적으로 과인산화(hyperphosphorylation)되는 경우에, 타우는 마이크로세관으로부터 분리되어 불용성 응집물을 생성하며 불용성 필라멘트가 형성되고 이러한 필라멘트는 신경섬유매듭(neurofibrillary tangles, NFTs)이라 불리우는 고차원 구조로 결합된다. 뉴런 또는 신경교 세포 내에 PHF(paired helical filaments)와 NFT(neurofibrillary tangles)의 존재는 타우로 기인하는 신경퇴행성 질병의 병리학적 특징이다.
타우병증은 알츠하이머병(AD) 및 전두측두엽 치매(FTD)를 비롯한 신경퇴행성 질환과 관련성이 있는 단백병증 중 하나이며, 타우병증 질환 중 하나인 염색체 17과 연관된 파킨슨증을 갖는 전측두엽 치매(FTDP-17)는 과인산화된 타우로 구성된 섬유상 형태를 갖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타우병증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 발굴을 위해 PTK2를 타겟팅 하였고, PTK2를 억제할 경우, 타우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가 가능함을 하기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타우 단백질 및 타우병증 중 하나인 FTDP-17 환자에서 발견되는 돌연변이인 Tau P301L을 과발현시킨 신경세포주를 대상으로 PTK2 억제제를 처리한 결과, 타우 과발현 및 불용성 응집체 형성으로 인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시스템(UPS) 손상 및 신경독성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고(도 1), 타우로 인한 신경세포의 세포사멸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특히 UPS 손상의 지표가 되는 폴리 유비퀴틴화된 단백질의 축적이 PTK2 억제제 처리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PTK2의 억제가 타우로 유도되는 p62 단백질의 인산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p62는 폴리 유비퀴틴화 단백질 분해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유비퀴틴 결합 단백질로서, 폴리 유비퀴틴화 단백질을 자가포식소체(autophagosome) 안으로 운반한다. 한편, UPS와 자가포식경로(autophagy lysosomal pathway; ALP)는 서로 보완적인 시스템으로 작용하는데, 즉, UPS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보완책으로 세포 내에서 자가포식경로가 활성화된다. 따라서 자가포식경로의 활성화는 UPS가 손상되었음을 의미한다. 타우로 인한 UPS 손상은 보상 메커니즘에 따라 ALP가 활성화되며, ALP에 관여하는 p62는 Ser403 잔기가 인산화되어 활성화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타우가 과발현된 UPS 손상 신경세포주에 PTK2 억제제를 처리한 결과, p62의 인산화(p-p62(Ser403))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PTK2 억제제가 타우로 인한 UPS의 손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도 3).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PTK2 억제제가 타우 축적에 의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손상 및 신경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폴리 유비퀴틴화된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며,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고, 타우에 의한 PTK2 및 p62의 인산화를 억제하는 활성을 통해 타우로 인한 타우병증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PTK2 억제제의 타우병증 치료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타우병증을 보이는 초파리(Drosophila) 모델을 대상으로 확인하였는데, 타우 V337M 돌연변이를 갖는 타우병증 초파리의 경우, 타우병증 신경세포주와 유사하게 타우의 과발현, UPS의 손상, 폴리 유비퀴틴화 단백질의 축적 및 UPS의 손상에 따른 보상 메커니즘인 ALP의 활성화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반면, PTK2 억제제를 타우병증 투여한 결과, 타우병증 초파리 모델에서 나타나는 등반운동 결핍 및 수명 단축이 개선되어 타우병증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타우 단백질 또는 타우 P301L 돌연변이 단백질이 과발현된 타우병증 신경세포주에 PTK2 억제제를 처리한 결과, 타우 단백질의 발현 및 타우 단백질의 인산화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7).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PTK2 억제제는 타우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축적, 작용 또는 변형으로 인한 타우병증(tauopathy)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타우병증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알츠하이머병(AD), 피크병, 진행성 핵상 마비(PSP), 전측두엽 치매(FTD), 염색체 17과 연관된 파킨슨증을 갖는 전측두엽 치매(FTDP-17), 탈억제-치매-파킨슨증-근위축증 복합증(DDPAC), 담창구-다리-흑질 변성(pallido-ponto-nigral degeneration; PPND), 괌-ALS 증후군, 담창구-흑질-루이체 변성(pallido-nigro-luysian degeneration; PNLD), 피질-기저 변성(CBD), 은친화성 입자 치매(AgD), 루이소체 치매(DLB),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SSPE), 약한 인지 손상(MCI), C형 뉴만 피크병(NPC), B형 산필리포 증후군, 점액성 다당류증 III B(MPS III B), 근긴장성 이영양증(DM) 및 만성 외상성 뇌병증(CT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PTK2 억제제는 생체 내에서 또는 시험관 내에서 PTK2 의 발현 또는 기능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PF-573228 (6-[4-(3-Methanesulfonyl-benzylamino)-5-trifluoromethyl-pyrimidin-2-ylamino]-3,4-dihydro-1H-quinolin-2-one) 화합물,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용매화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들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타우병증 및/또는 이와 연관된 증상을 비롯한 질환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타우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우병증(tauopathy) 발병 의심 개체에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 억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PTK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타우병증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타우병증 증상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는 식품, 예컨대, 식품의 주원료, 부원료,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상기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식품, 식품 첨가제, 기능성 식품 및 음료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타우병증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기능성 식품 등이 있다. 추가로, 본원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빵류,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캔디류, 쵸코렛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 음료, 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건강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서 상기“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타우병증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 외에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술한 것 이외에 본원발명의 타우병증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타우병증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중량% 내지 90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내지 40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음료의 경우, 100ml를 기준으로 0.001g 내지 2g, 바람직하게는 0.01g 내지 0.1g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재료준비 및 실험방법>
세포주
Neuro-2a(N2a) 마우스 신경모세포종 세포주는 10% 열 불활성화 소태아혈청(FBS; Gibco, 16000-044) 및 50 ㎍/g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Gibco, 15140-122)이 보충된 DMEM 배지(Gibco, 11995-065)에서 배양하였다.
시약
디메틸 설폭사이드(DMSO, Sigma, D8418), 미페프리스톤(mifepristone)(RU-486; Sigma, M8046), MG132(Calbiochem/Merck-Millipore, 474791) 및 PTK2 억제제(PF573228; APExBIO, B1523)를 사용하였다.
항체
본 실험에서는 다음의 항체들을 면역블롯팅에 사용하였다: p-PTK2(Y397)(Cell Signaling Technology, 3283), PTK2(Cell Signaling Technology, 3285), HRP-접합 알파-튜불린(Cell Signaling Technology, 9099), 폴리유비퀴틴 (FK1, Enzo Life Science, BML-PW8805), JL-8(GFP, Clontech, 632380), p62(Sigma, P0067), p-p62(S403)(GeneTex, GTX128171), LC3(MBL, PM036), Tau (Invitrogen, 13-6400), p-Tau(S396)(Abcam, ab109390), 베타-액틴(Abcam, ab16039), HRP-접합 항마우스 IgM(Abcam, ab97230), HRP-접합 항토끼 IgG(Abcam, ab16039) Santa Cruz Biotechnology, sc-2004) 및 HRP-접합 항-마우스 IgG(Santa Cruz Biotechnology, sc-2005).
형질감염(Transfection)
N2a 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5μg EGFP(pRK5-EGFP), EGFP-인간 Tau WT(pRK5-EGFP-hTau(WT), Addgene, #46908) 또는 EGFP-인간 Tau(P301L)(pRK5-EGFP-hTau(P301L), Addgene, #46908) cDNA를 Lipofectamine 3000 시약(Invitrogen, L3000-015)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상기 세포에 형질감염시켰다.
웨스턴 블롯팅
총 단백질 추출을 위해, 세포 또는 20마리의 성충 플라이(fly) 헤드를 프로테아제 및 포스파타제 억제제 칵테일이 함유된 세포 용해 완충액(Cell Signaling Technology, 9803)으로 균질화하였다. 세포 용해물의 단백질 농도는 BCA 단백질 분석법(Thermo Fisher Scientific, 23225)에 의해 측정하였다. 단백질 추출물을 4x Bolt LDS 샘플버퍼(Invitrogen) 및 10x Bolt 샘플 환원제 버퍼(Invitrogen)와 혼합한 다음 95°C에서 5분 동안 가열하고, 각 샘플에서 동일한 양의 단백질을 Bolt 4-12% Bis-Tris젤(Invitrogen, NW04120BOX) 또는 NuPAGE 3-8% Tris-Acetate젤(Invitrogen, EA0378BOX)에서 전기영동한 후,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PVDF, Invitrogen LC2005) 막으로 단백질들을 이동시켰다. 그런 뒤 0.025% Tween 20(Sigma, P2287)이 포함된 TBS에서 5% 탈지유(BD Difco, 232100)로 블롯킹을 수행한 후, 항체와 반응시킨 다음 ECL Prime Kit(GE Healthcare, RPN2232)로 단백질들을 검출하였다. 3번의 독립적인 실험을 수행하였고 Fusion-FX(Viber Lourmat)를 사용하여 각 실험결과의 상대적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다.
용해성 또는 불용성 세포 추출물의 제조
세포는 프로테아제 및 포스파타제 억제제 칵테일(Roche, 11836153001, 04906837001)이 함유된 세포 용해 완충액(Cell Signaling Technology, 9803)으로 균질환시켰다. 가용성 및 불용성 분획은 4 °C에서 30분 동안 100,000 x g에서 세포 용해물을 원심분리하여 얻었는데, 가용성 분획은 원심분리 후 상층액으로 수득하였고, 불용성 분획은 원심분리 후, 펠렛을 2% SDS로 용해시켜 수득하였다. 초음파 처리 후, 세포 용해물은 4x Bolt LDS 샘플버퍼(Invitrogen, B0007) 및 10x Bolt 샘플 환원제 버퍼(Invitrogen, B0009)와 혼합한 다음 95°C에서 5분 동안 가열하였다.
유세포 분석(flow cytometry analysis)
N2a 세포를 트립신-EDTA로 분리하고 차가운 PBS로 두 번 세척한 다음, 세포를 250㎕의 결합 완충액(10mM HEPES, 140mM NaCl, 2.5mM CaCl2, pH 7.4)에 재현탁시켰다. 이후 20μg/ml 요오드화 프로피듐을 첨가하고 MoFlo Astrios(Beckman Coulter)를 사용하여 1시간 이내에 유세포 분석을 수행하였다.
초파리
초파리 스탁(Drosophila stocks)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24°C의 표준 옥수수 가루 한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UAS-TAU-V337M, UAS-Atg8a-GFP, UAS-CL1-GFP 초파리 균주는 Couthouis et al., 2011, S. Lee, Jeon, et al., 2020, S. Lee et al., 2021에서 사용한 것을 사용하였다. 다른 모든 초파리 스탁은 Bloomington Drosophila Stock Center에서 얻어서 사용하였다.
등반(climbing) 및 수명(lifespan) 분석
성체 수컷(0~1세)을 분리하여 RU-486(에탄올, 40μg/ml)이 있거나 없는 종이 또는 플라이 배지가 함유된 실험용 바이알에 각 바이알당 25마리의 밀도로 옮겼다(n > 100). 죽은 초파리의 수를 매일 기록하고 이틀에 한 번씩 새 배지나 종이로 옮겼다. 성체 운동 기능은 모든 실험에서 100마리를 대상으로 시간 당 유전자형을 이전에 설명한 방법(Feany & Bender, 2000; S. Lee, Kwon, et al., 2020)으로 분석하였고, 일관된 결과를 위해 두 번 실험을 반복수행하였다.
인간 뇌조직 준비
사후 조직 샘플은 네덜란드 뇌 은행(NBB), 네덜란드 신경과학 연구소, 암스테르담에서 얻어서 사용하였는데, 이 연구는 KBRI 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수행하였다(201610-BR-004-01). 알츠하이머병 환자(n=6)와 정상 대조군(n=4)의 뇌 조직을 사용하였다(표 1 참조).
통계분석
데이터는 표시된 대로 post hoc 분석(GraphPad Prism Software)과의 비교 변수에 따라 Student‘s unpaired t-test(Vassar Stats, www.vassarstats.net) 또는 일원 ANOVA로 분석하였다. p<0.05일 때 유의한 값으로 간주하였고 다음과 같이 표기하였다. *p<0.05; **p<0.005; ***p<0.001; n.s., 유의미하지 않음.
<실시예 1>
신경세포에서 PTK2 억제에 의한 타우 유도의 UPS 손상 및 신경독성 개선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병적 타우 단백질의 축적에 의한 타우병증 유발 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시스템(UPS) 손상 및 신경독성이 PTK2 억제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EGFP가 태깅된 Tau 또는 타우 돌연변이체인 Tau P301L로 형질감염된 N2a 신경세포에서 Tau 또는 Tau 인산화 수준을 웨스턴 블롯을 통해 분석하였다. 여기서 Tau P301L은 타우병증 중 하나인 FTDP-17(frontotemporal dementia and parkinsonism linked with chromosome 17) 환자에서 흔히 발견되는 돌연변이이다.
분석 결과, N2a 신경세포에 Tau 또는 Tau P301L이 형질감염된 세포에서는 모두 Tau 단백질이 EGFP만 도입된 대조군 세포에 비해 발현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고, Tau의 세린 396 부위(병리학적 Tau 마커)에서 인산화된 수준도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A, 1B).
또한, 본 발명자들은 Tau 또는 Tau P301L이 형질감염된 신경세포에서의 폴리 유비퀴틴화된 단백질의 수준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Tau 또는 Tau P301L이 과발현된 신경세포에서 폴리 유비퀴틴화된 단백질의 수준이 대조군 세포에 비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1C). 뿐만 아니라, Tau P301L이 과발현된 신경세포의 가용성 및 불용성 분획물에 대한 폴리 유비퀴틴화된 단백질 수준 분석을 관찰하였는데, 불용성 분획의 경우, 폴리 유비퀴틴화된 단백질 수준이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수용성 분획은 미비한 증가를 보였다(도 1D). 한편, 놀랍게도 PTK2 억제제를 처리한 경우, Tau P301L이 과발현된 불용성 및 가용성 분획물의 폴리 유비퀴틴화 단백질 수준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PTK2를 억제하는 경우, Tau 또는 Tau P301L에 의한 Tau 단백질의 수준 및 Tau 단백질의 인산화(p-Tau(Ser396))가 현저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세포 내에서 폴리 유비퀴틴화된 단백질의 축적은 UPS 손상을 확인할 수 있는 마커가 되며, 이는 세포의 독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타우병증이 유발된 신경세포에 대해 PTK2 억제제를 처리할 경우, Tau-유도에 의한 UPS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유세포 분석을 통해 PTK2가 타우 유도 신경독성을 조절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대조군(EGFP 형질감염된 세포)에 비해 Tau 또는 Tau P301L이 과발현된 N2a 신경세포에서 세포사멸 및 아팝토시스의 마커인 PI(propidium iodide)에 대해 양성을 띄는 세포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2A, 2B). 한편, PTK2 억제제를 처리한 군에서는 Tau 또는 Tau P301L에 의한 세포 사멸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A, 2B).
이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PTK2의 억제가 타우병증이 유발된 세포 모델에서 Tau 유도에 의한 UPS의 손상 및 신경 독성을 억제 및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타우 과발현 세포주에서 PTK2의 억제에 의한 p62 Ser403의 인산화 억제 확인
본 발명자들은 Tau 또는 Tau P301L 과발현이 자가포식을 유도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Tau 또는 Tau P301L 과발현 신경세포주에서 LC3-I/II의 수준을 웨스턴 블롯팅을 통해 분석하였다. LC3-I/II 비율은 자가포식 활성화의 지표로 알려져 있는데, 분석결과, Tau 또는 Tau P301L 과발현 세포주는 대조군(EGFP 과발현군)과 비교하여 LC3-I/II의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3B).
이러한 결과는 Tau 또는 Tau P301L 과발현이 신경세포에서 UPS 손상에 대한 보상 메커니즘으로 ALP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Tau 또는 Tau P301L 과발현된 신경세포주에서 대조군 세포에 비해 p62의 Ser 403에서의 인산화(p-p62(Ser403))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고, PTK2의 Tyr 397에서의 인산화(p-PTK2(Tyr397))도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3A, 3C).
PTK2의 Tyr 397 부위는 자가 인산화되는 부위로서 인산화에 의해 PTK2는 활성화되고 다운스트림의 신호경로가 유도된다. 또한, p-p62(Ser403)의 감소는 유비퀴틴화 단백질의 자가포식 매개를 통한 분해 촉진을 유도하는데, 타우병증이 유발되면 Tau 또는 Tau P301L의 축적에 의해 p-p62(Ser403)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유비퀴틴화된 단백질의 자가포식 매개를 통한 분해가 억제되며, 이는 신경독성을 유발하게 된다.
한편, PTK2가 p62의 Tau P301L 유도 인산화를 조절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Tau P301L을 발현하는 신경세포에 PTK2 억제제를 처리한 후, p-p62(Ser403)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PTK2 억제제를 처리한 군에서 Tau P301L 유도에 의한 p-PTK2(Tyr397)의 인산화가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D). 더욱이, p-p62(Ser403)의 수준도 PTK2 억제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E).
이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PTK2의 억제가 Tau P301L로 유도되는 신경독성을 p62 Ser403에서의 인산화 조절을 통해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초파리 모델에서 PTK2 억제에 의한 타우 유도 신경독성의 약화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들의 결과를 통해 PTK2가 타우 유도의 신경독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간 타우 V337M 돌연변이를 발현하는 타우병증 초파리 모델(elav-GAL4)을 이용하여 PTK2의 억제가 생체 내에서 타우 유도 독성을 억제하는지를 조사하였다. Tau V337M은 타우병증 중 하나인 FTDP-17 질병에서 확인된 돌연변이이다. 또한, 인간 타우 V337M을 발현하는 파리는 인간 타우병증 환자와 유사한 신경병리학적 특징을 보이는 동물모델로 알려져 있다(Hutton, 2000; Wittmann et al., 2001).
타우병증 동물모델인 Tau V337M 초파리에서 Tau의 단백질 수준을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한 결과, 정상 초파리 군에 비해 타우병증 초파리 군에서 Tau 단백질이 과발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4A).
또한, 타우병증 초파리에서 UPS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비퀴틴 의존성 프로테아좀 활성 평가를 위해 CL1 데그론(유비퀴틴 매개 프로테아좀 분해에 대한 신호 펩티드)에 GFP가 융합된 CL1-GFP 리포터 초파리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CL1-GFP의 단백질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타우병증 초파리에서 현저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도 4B), 폴리 유비퀴틴화 단백질도 타우병증 모델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4C). 따라서 타우병증 초파리의 신경계에서 UPS가 손상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Atg8a-GFP 리포터를 사용하여 ALP 활성을 분석하였다. Atg8a-GFP에 대한 유리 GFP의 비율은 ALP 활성화 수준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globular GFP가 Atg8a-GFP보다 산성 리소좀 조건에 훨씬 더 내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초파리 모델에서 유리 GFP/Atg8a-GFP 비율을 확인하였는데, 상기 비율이 대조군보다 Tau V337M 발현 초파리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4D). 이러한 결과는 ALP 활성화가 UPS 손상에 대한 보상 메커니즘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Tau 과발현으로 UPS 손상이 유도되면 이에 대한 보상 메커니즘으로 ALP 활성화가 유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Tau V337M이 발현되는 타우병증 초파리 모델에서 PTK2 억제제의 처리가 Tau V337M로 유발되는 타우병증의 증상을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PTK2 억제제 처리군과 미처리 군의 초파리들을 대상으로 등반 및 수명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PTK2 억제제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해 Tau V337M 유도 등반 결손을 유의하게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단축된 수명도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A, B).
이러한 결과는 PTK2 억제제가 Tau V337M로 유도되는 타우병증의 증상을 개선 및 약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며, PTK2 억제제를 타우병증의 예방,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제로서 사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실시예 4>
타우병증 환자 유래 뇌조직에서 타우 인산화 및 p62 Ser403 인산화 증가 확인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타우병증을 갖는 알츠하이머병 환자로부터 분리된 뇌조직을 대상으로 p-Tau(Ser396)(타우 병리의 마커) 및 p-p62(Ser403)의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p-Tau(Ser396)의 수준은 환자군에서 611±1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p-p62(Ser403)의 수준도 정상 대조군에 비해 타우병증 환자에서 152±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6A, 6B).
이러한 결과는 p-p62(Ser403)의 축적이 타우병증을 동반한 알츠하이머병의 진행과도 관련성이 있음을 의미하며, 궁극적으로 PTK2의 억제가 타우병증 및 타우병증과 관련성이 있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실시예 5>
타우병증 신경세포에서 PTK2 억제제 처리에 따른 타우 단백질의 발현 억제 및 인산화 억제 확인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신경세포주(EGFP 도입 대조군 N2a 세포, Tau WT-EGFP 도입 N2a 세포, Tau P301L-EGFP 도입 N2a 세포)를 대상으로, PTK2 억제제를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의 타우 단백질 발현수준과 타우 단백질의 인산화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Tau 및 Tau P301L 과발현 신경세포주 모두에서 PTK2 억제제 처리에 따른 Tau 단백질의 발현 감소 및 Tau 단백질의 인산화(p-Tau(Ser396) 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7A~7D).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PTK2 억제제를 타우병증 및 타우병증과 관련성이 있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새로운 치료제로서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병증은 알츠하이머병(AD), 피크병, 진행성 핵상 마비(PSP), 전측두엽 치매(FTD), 염색체 17과 연관된 파킨슨증을 갖는 전측두엽 치매(FTDP-17), 탈억제-치매-파킨슨증-근위축증 복합증(DDPAC), 담창구-다리-흑질 변성(pallido-ponto-nigral degeneration; PPND), 괌-ALS 증후군, 담창구-흑질-루이체 변성(pallido-nigro-luysian degeneration; PNLD), 피질-기저 변성(CBD), 은친화성 입자 치매(AgD), 루이소체 치매(DLB),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SSPE), 약한 인지 손상(MCI), C형 뉴만 피크병(NPC), B형 산필리포 증후군, 점액성 다당류증 III B(MPS III B), 근긴장성 이영양증(DM) 및 만성 외상성 뇌병증(CT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 억제제는 PF-573228 (6-[4-(3-Methanesulfonyl-benzylamino)-5-trifluoromethyl-pyrimidin-2-ylamino]-3,4-dihydro-1H-quinolin-2-one) 화합물,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용매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K2 억제제는,
    타우 축적에 의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손상에 따른 신경독성 억제;
    폴리 유비퀴틴화된 단백질의 수준 감소;
    신경세포 사멸억제;
    타우에 의한 PTK2 및 p62의 인산화 억제;
    타우 단백질 발현 감소; 또는
    타우 인산화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병증은 알츠하이머병(AD), 피크병, 진행성 핵상 마비(PSP), 전측두엽 치매(FTD), 염색체 17과 연관된 파킨슨증을 갖는 전측두엽 치매(FTDP-17), 탈억제-치매-파킨슨증-근위축증 복합증(DDPAC), 담창구-다리-흑질 변성(pallido-ponto-nigral degeneration; PPND), 괌-ALS 증후군, 담창구-흑질-루이체 변성(pallido-nigro-luysian degeneration; PNLD), 피질-기저 변성(CBD), 은친화성 입자 치매(AgD), 루이소체 치매(DLB), 아급성 경화성 범뇌염(SSPE), 약한 인지 손상(MCI), C형 뉴만 피크병(NPC), B형 산필리포 증후군, 점액성 다당류증 III B(MPS III B), 근긴장성 이영양증(DM) 및 만성 외상성 뇌병증(CTE)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TK2(protein tyrosine kinase 2) 억제제는 PF-573228 (6-[4-(3-Methanesulfonyl-benzylamino)-5-trifluoromethyl-pyrimidin-2-ylamino]-3,4-dihydro-1H-quinolin-2-one) 화합물, 상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입체 이성질체 또는 용매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TK2 억제제는,
    타우 축적에 의한 유비퀴틴 프로테아좀 손상에 따른 신경독성 억제;
    폴리 유비퀴틴화된 단백질의 수준 감소;
    신경세포 사멸억제;
    타우에 의한 PTK2 및 p62의 인산화 억제;
    타우 단백질 발현 감소; 또는
    타우 인산화 억제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우병증(tauopathy)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220072914A 2022-06-15 2022-06-15 Ptk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72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914A KR20230172262A (ko) 2022-06-15 2022-06-15 Ptk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914A KR20230172262A (ko) 2022-06-15 2022-06-15 Ptk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262A true KR20230172262A (ko) 2023-12-22

Family

ID=8930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914A KR20230172262A (ko) 2022-06-15 2022-06-15 Ptk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2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502A (ko) 2017-06-16 2020-02-19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타우병증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8502A (ko) 2017-06-16 2020-02-19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타우병증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727718A (zh) 用于使用化合物橄榄苦苷或其代谢物治疗或预防代谢疲劳的组合物和方法
JP2009511467A (ja) タンシンの根から単離の認知障害治療予防用タンシノン含有組成とその使用
JP5789339B2 (ja) アルツハイマー病等を含む神経疾患の1,25d3−marrsが関与する治療薬及び治療法
KR101910153B1 (ko) 타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레보시멘단 화합물
AU201932428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metal ion-bound ionic compound
KR20230172262A (ko) Ptk2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우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52326A (ko) 신규 화합물의 근위축성측색경화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
JP6000206B2 (ja) 抗アレルギー用経口組成物
KR101621162B1 (ko) 알파-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교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012829A (ko)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Bagheri et al. Kinase inhibition in Alzheimer’s disease
KR20210104412A (ko) 뼈 건강 증진 또는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2011093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or diseases caused by abnormality of rna binding protein and applications thereof
KR20140094962A (ko) 리코칼콘 a를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6198A (ko) 수소 흡장 금속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7594B1 (ko) 모루신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2169203B1 (ko) 암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cdk7 저해제 bs­181 및 사망수용체 리간드 trail의 병용 요법
JP2016169219A (ja) 抗アレルギー用経口組成物
KR20170106627A (ko) 프로토파낙사디올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교모세포종 치료 및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20180124538A (ko) 퇴행성 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7982B1 (ko) 파제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5985062B2 (ja) アルトカルプス・アルティリスの果実、葉、若しくは幹の抽出物、又はそれらの画分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がんの予防又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
JP2018002678A (ja) p21活性化キナーゼ阻害剤
O'Leary Induction of Heat Shock Proteins in Differentiated Human SH-SY5Y Neuronal Cells by Caffeine and Cafestol
KR101937435B1 (ko) 글리시리직애씨드 및 이의 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