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788A -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788A
KR20230171788A KR1020220072358A KR20220072358A KR20230171788A KR 20230171788 A KR20230171788 A KR 20230171788A KR 1020220072358 A KR1020220072358 A KR 1020220072358A KR 20220072358 A KR20220072358 A KR 20220072358A KR 20230171788 A KR20230171788 A KR 20230171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rear wall
bicycle
wall portion
comf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석
Original Assignee
박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석 filed Critical 박우석
Priority to KR1020220072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1788A/ko
Publication of KR2023017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7Saddles with specific anatomical adap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28Other additional equipment, e.g. back-rest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신체의 민감부위를 자극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주어 추진력을 얻는데 도움을 주는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안장바디(100)와 상기 안장바디(100)의 하면에 구비되는 고정레일(200)을 포함하는 자전거용 안장으로서, 상기 안장바디(100)는, 수평면을 이루고 전면에는 중앙리세스(111)가 형성되며 상시 중앙리세스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전면을 따라서 만곡하게 만곡돌출부(112)가 형성된 바닥부(110); 상기 바닥부(110)의 후면에는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구비된 후벽부(130); 상기 후벽부(130)의 양측과 상기 바닥부(110)의 양측을 연결하는 측벽부(120);를 구비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A COMPORT SEAT FOR BYCICLE}
본 발명은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신체의 민감부위를 자극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주어 편안한 착좌감과 함께 추진력을 얻는데 도움을 주는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의 이동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운동 및 레저활동의 수단으로서 자전거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자전거는 기타 다른 개인이동 수단에 비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기 때문에 남녀노소 막론하고 일상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신체의 둔부와 양 허벅지 사이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자전거 안장은 대략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앞 꼭지점 방향으로 부드럽게 돌출되고 양측 꼭지점 방향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자전거 안장은 양 다리를 자유자재로 회전시키는데 편리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자전거 안장은 가끔씩 자전거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는 허리와 둔부에 통증을 느끼게 한다. 또한, 이러한 자전거 안장은 신체의 성기능을 담당하는 중요한 부위를 과도하게 압박하게 되고, 남성과 여성에게 모두 불편하게 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신체의 중요부위(전립선 또는 회음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신체의 둔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자전거용 안장을 착안하게 되었다.
선행문헌 : 대한민국 특허 10-1945063 (2019.01.28.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민감부위를 자극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주어 편안한 착좌감을 제공하고 추진력을 얻는데 도움을 주는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은,
안장바디(100)와 상기 안장바디(100)의 하면에 구비되는 고정레일(200)을 포함하는 자전거용 안장에 있어서,
상기 안장바디(100)는,
수평면을 이루고 전면에는 중앙리세스(111)가 형성되며 전면을 따라서 만곡하여 돌출된 만곡돌출부(112)가 형성된 바닥부(110);
상기 바닥부(110)의 후면에는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구비된 후벽부(130);
상기 후벽부(130)의 양측과 상기 바닥부(110)의 양측을 연결하는 측벽부(120);를 구비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후벽부(130)는 중앙부가 상방향으로 가장 높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의 양측으로 이어지는 후벽경사부(132)를 구비하되, 상기 후벽경사부(132)는 양단에서 상기 측벽부(120)의 후단과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후벽경사부(132)는 양측단이 측벽부(120)의 후단과 연결되되, 상기 측벽부(120)는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후벽부(130)와 상기 바닥부(110)가 상호 만나는 내측모서리부는 부드럽게 만곡처리되어 후벽만곡부(133)를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은 전방 중심부에 리세스가 구비되어서 신체의 민감부위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은 후방에 상방향으로 후벽부(130)의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서 신체의 둔부와 허리사이를 지지하게 되므로 편안한 착좌감을 제공하고 강한 추진력을 얻어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은 양측에 측벽부(120)가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어서 신체의 힙측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자전거의 운행중 회전구간에서 안정성이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착좌한 상태의 하체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컴포트 안장 3D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안장바디(100)와 상기 안장바디(100)의 하면에 구비되는 고정레일(200)을 포함하는 자전거용 안장에 있어서,
상기 안장바디(100)는,
수평면을 이루고 전면에는 중앙리세스(111)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리세스(111)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는 전면을 따라서 만곡되어 돌출되는 만곡돌출부(112)이 형성된 바닥부(110);
상기 바닥부(110)의 후면에는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구비된 후벽부(130);
상기 후벽부(130)의 양측과 상기 바닥부(110)의 양측을 연결하는 측벽부(12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자전거 안장은 오랜만에 이용하는 자전거 이용자라도 편안한 착좌감을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자전거용 안장은 자전거 프레임(미도시)의 상단에 결합하기 위해서 하면에 고정레일(200)이 구비된다. 고정레일(200)은 통상적으로 안장바디(100)의 하부, 특히 하부의 요홈부에 나란하게 구비됨으로써 자전거 프레임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고정레일(200)은 고정구(210)와 레일(220)로 구성되고, 상기 안장바디의 저면부(140)에 마련된 장착요홈부(141)에 레일(220)을 결합하는 고정구(210)가 고정 결합된다. 본 발명의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은 전방 중심부에 중앙리세스(111)가 구비되어서 신체의 민감부위와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닥부(110)의 깊이는 약 15~25cm 정도가 바람직하고 중앙리세스는 후방으로 약 10cm 가량 요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전거용 안장은 오랜 시간을 사이클링하는 전문 사이클링 자전거보다는 일상적인 생활용 자건거 또는 전기자전거의 안장으로서 적합하다.
상기 후벽부(130)는 가운데 부위가 상방향으로 가장 높게 형성되고, 상기 가운데부위의 양측단으로 이어지면서 경사지도록 구비되는 후벽경사부(132)를 구비한다. 상기 후벽경사부(132)는 양측단에서 상기 측벽부(120)의 후단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120)는 자전가 탑승자가 중심을 잡는데 매우 긴요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측벽부(120)가 너무 높으면 둔부의 움직이에 방해가 되므로 측벽부(120)의 높이는 후단부가 4~10cm 정도가 바람직하고, 전방향을 향해서 높이가 낮아지면서 바닥부(110)와 만나도록 경사가 형성하게 된다.
상기 후벽경사부(132)의 양측단에 연결되는 상기 측벽부(120)는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후벽부(130)와 탑승자의 둔부가 접촉되는 상기 바닥부(110)가 상호 만나는 내측모서리부는 필렛처리되어 부드럽게 만곡됨으로써 후벽만곡부(133)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후벽만곡부(133)는 안장바디(100)와 신체 힙(ip)의 접촉면을 크게 하여 착좌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후벽부의 높이는 약 7~15cm 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은 후방에 상방향으로 후벽부(130)의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어서 신체의 둔부와 허리사이를 지지하게 되므로 강한 추진력을 얻어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은 양측에 측벽부(120)가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어서 신체의 힙(hip)측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자전거의 운행중 회전구간에서 안정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은 신체와의 접촉부위를 선택적으로 취사하여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편안함과 함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면서 동시에 우아한 형상의 자전거 안장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착좌상태의 하체
100 : 안장바디, 110 : 바닥부, 111 : 중앙리세스, 112 : 만곡면
120 : 측벽부, 121 : 측벽경사부, 131 : 후벽중앙부
130 : 후벽부, 131 : 후벽중앙부, 132 : 후벽경사부
140 : 저면부, 141 : 장착요홈부
200 : 고정레일, 210 : 고정구, 220 : 레일

Claims (3)

  1. 안장바디(100)와 상기 안장바디(100)의 하면에 구비되는 고정레일(200)을 포함하는 자전거용 안장에 있어서,
    상기 안장바디(100)는,
    수평면을 이루고 전면에는 중앙리세스(111)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리세스(111)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는 전면을 따라서 만곡되어 돌출되는 만곡돌출부(112)가 형성된 바닥부(110);
    상기 바닥부(110)의 후면에는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구비된 후벽부(130);
    상기 후벽부(130)의 양측과 상기 바닥부(110)의 양측을 연결하는 측벽부(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벽부(130)는 상방향으로 가장 높게 형성된 후벽중앙부(131), 상기 후벽중앙부(131)의 양측으로 이어지는 후벽경사부(132)를 구비하되, 상기 후벽경사부(132)는 양단에서 상기 측벽부(120)의 후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벽부(130)는 상기 후벽경사부(132)의 양측단에 연결되는 상기 측벽부(120)를 구비하되, 상기 측벽부(120)는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측벽경사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후벽부(130)와 상기 바닥부(110)가 상호 만나는 접합부는 부드럽게 필렛처리된 후벽만곡부(1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
KR1020220072358A 2022-06-14 2022-06-14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 KR20230171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358A KR20230171788A (ko) 2022-06-14 2022-06-14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358A KR20230171788A (ko) 2022-06-14 2022-06-14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788A true KR20230171788A (ko) 2023-12-21

Family

ID=8932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358A KR20230171788A (ko) 2022-06-14 2022-06-14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178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063B1 (ko) 2011-02-11 2019-02-01 셀르 에스엠피 에스. 에이. 에스 디 엠 시아폰 자전거 안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063B1 (ko) 2011-02-11 2019-02-01 셀르 에스엠피 에스. 에이. 에스 디 엠 시아폰 자전거 안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0229B1 (en) Bicycle saddle
US9802665B2 (en) Cruise saddle
ES2617552T3 (es) Sillín de bicicleta mejorado
JP4885135B2 (ja) 自転車のサドル
US5076642A (en) Saddle for cycles
ES2183679A1 (es) Mueble de asiento
MXPA03007373A (es) Un metodo y una silla para eliminar problemas de origen sedentario.
TW201524826A (zh) 自行車座墊
KR102109534B1 (ko) 자전거 안장
JP2014012130A (ja) 椅子用クッション及び椅子
US6361108B1 (en) Bicycle seat assembly
TWM442310U (en) Flight airfoil seat structure
ES2543466T3 (es) Asiento con función de apoyo para el cuerpo
KR20230171788A (ko) 자전거용 컴포트 안장
KR200408628Y1 (ko) 자전거 안장
JP3063421U (ja) 脊椎保護矯正式左右均衡座布団
KR102294647B1 (ko) 자전거용 안장
CN210581761U (zh) 一种适用于腰托座椅的功能性连接套和一种腰托座椅
KR20230000808U (ko) 자전거 건강 안장
KR200351308Y1 (ko) 척추교정용 방석
RU198906U1 (ru) Сиденье для мотоцикла
JP7191426B1 (ja) 椅子
JP2023118637A (ja) 左右独立可動型自転車用サドル
CH716883A2 (it) Reggisella ad albero ricurvo dotato di slitta di scorrimento e suo sellino per appoggio gluteo.
JP2024074716A (ja) 自転車用サドル及び自転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