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723A -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 Google Patents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723A
KR20230171723A KR1020220072222A KR20220072222A KR20230171723A KR 20230171723 A KR20230171723 A KR 20230171723A KR 1020220072222 A KR1020220072222 A KR 1020220072222A KR 20220072222 A KR20220072222 A KR 20220072222A KR 20230171723 A KR20230171723 A KR 20230171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entering
wall
centering body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0825B1 (ko
Inventor
김희재
이종배
구자용
Original Assignee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주식회사 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주식회사 부성 filed Critical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2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825B1/ko
Publication of KR2023017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3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provided exclusively with fluid jets as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36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provided with mechanical cleaning tools, e.g. scrapers, with or without additional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having internal motors, e.g. turbines for powering clea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에 삽입되어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와이어가 일단 또는 타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일단 또는 타단 중 다른 하나에 관 내벽에 이루어지는 작동을 진행하는 작동부가 연결되는 센터링본체; 상기 센터링본체 둘레면에 배치되어 관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센터링본체로부터 먼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작동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 내벽 측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센터링본체는 관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이동되고, 상기 센터링본체와 연결되는 상기 작동부도 관의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작동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CENTERING DEVICE INSIDE PIPE AND ROTARY NOZZLE DEVICE FOR CLEANING PIPE THEREWITH}
본 발명은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 내부를 세척하거나 관 내부에 내시경 촬영을 진행할 때에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가 관 내부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관의 굴곡부위를 통과할 때에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를 당기는 와이어가 관의 굴곡부위를 지나면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가 관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로 이동되면서 관 세척작동 및 촬영작동이 관 내부 전체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와 별물로 제작되어 와이어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하나의 센터링 장치를 다양한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에 센터링 장치를 분리하여 새로운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에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송수관이나 하수를 이송하는 하수관로를 비롯하여 오일과 같은 각종 유체를 이송하는 송유관 등은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노후화되면서 부식, 누수, 파손 등의 영향을 미치게 되고 관의 내부면에는 이물질이 부착되어 고형화된 스케일(Scale)층 및 오염물질층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관의 내부면에 생성되는 스케일층 및 오염물질층은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스케일층 및 오염물질층의 이물질이 유체에 녹아들면서 유체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한국등록특허 제10-1867006호에서 관로에 투입되는 세척몸체에 세척노즐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관로 세척장치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관로 세척장치는 세척노즐이 일방향으로만 분사되기 때문에 관로의 내면이 부분적으로 세척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전분사 방식의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세척장치는,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관로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외면을 감싸면서 지지부재(100)의 외면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재와, 슬라이딩부재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관로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높이를 조절하면서 지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부재와, 지지부재의 후단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회전방식으로 분사하여 관로의 내주면을 세척하고, 지지부재의 전방에 설치되는 카메라로 연장된 케이블을 지지하는 세척수 분사부재와, 지지부재의 전단에 고정되며 관로의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88129호(2020년 12월 07일 공고, 발명의 명칭 : 회전부사 방식의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세척장치는, 세척장치 또는 다른 장치에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다양한 장치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면서 다양한 작업에 적용할 수 없고, 세척장치 또는 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일체로 형성되는 세척장치 및 이동부재를 동시에 교체해야 하므로 세척장치의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관 내부를 세척하거나 관 내부에 내시경 촬영을 진행할 때에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가 관 내부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관의 굴곡부위를 통과할 때에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를 당기는 와이어가 관의 굴곡부위를 지나면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가 관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로 이동되면서 관 세척작동 및 촬영작동이 관 내부 전체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와 별물로 제작되어 와이어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하나의 센터링 장치를 다양한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에 센터링 장치를 분리하여 새로운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에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관에 삽입되어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와이어가 일단 또는 타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일단 또는 타단 중 다른 하나에 관 내벽에 이루어지는 작동을 진행하는 작동부가 연결되는 센터링본체; 상기 센터링본체 둘레면에 배치되어 관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센터링본체로부터 먼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작동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 내벽 측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센터링본체는 관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이동되고, 상기 센터링본체와 연결되는 상기 작동부도 관의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작동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센터링본체는, 일단에 제1연결고리가 결합되는 제1연결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연결고리가 연결되는 제2연결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고리가 상기 센터링본체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상기 제2연결홀부와 상기 제2연결고리 사이에는 연결축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센터링본체 일단에는 상기 가압부가 연결되는 고정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링본체 타단에는 상기 연결축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블록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과,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상기 가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센터링본체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복수 개가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센터링본체로부터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링크부재; 및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센터링본체의 연결부위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 내벽에 구비되는 단차 또는 돌출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간섭방지부는, 관 내벽에 형성되는 단차 또는 돌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간섭방지부는, 관 내벽에 형성되는 단차 또는 돌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에 구비되는 바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에 삽입되어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와이어가 일단 또는 타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일단 또는 타단 중 다른 하나에 관 내벽에 이루어지는 작동을 진행하는 작동부가 연결되는 센터링본체; 상기 센터링본체 둘레면에 배치되어 관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센터링본체로부터 먼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작동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 내벽 측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센터링본체는 관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이동되고, 상기 센터링본체와 연결되는 상기 작동부도 관의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작동이 진행되는 관 내부 센터링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는, 관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를 관 내벽에 밀착시키는 가압부가 구비되므로 복수 개의 가압부에 의해 지지되는 센터링본체가 관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될 수 있어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의 이동을 위해 연결되는 와이어가 관 중앙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가 관 중앙에 위치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세척작동 또는 촬영작동을 관 전체에 고르게 진행하면서 이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는, 관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가 관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부가 구비되므로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는 센터링본체가 관의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관을 따라 이동하여 센터링장치와 연결되는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가 관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하고, 관 내벽에 고르게 세척작동 또는 촬영작동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는, 관 내벽에 형성되는 단차 또는 관 이음부에 의해 형성되는 돌출부위를 센터링장치가 통과할 때에 가이드부재와 단차 또는 돌출부위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가 구비되므로 관 내벽에 형성되는 단차 또는 돌출부위에 의해 센터링장치가 관 내벽을 따라 이동되지 않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관 세척작동 또는 관 촬영작동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내부 센터링장치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내부 센터링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내부 센터링장치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내부 센터링장치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내부 센터링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내부 센터링장치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 내부 센터링장치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와이어가 일단 또는 타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일단 또는 타단 중 다른 하나에 관 내벽에 이루어지는 작동을 진행하는 작동부가 연결되는 센터링본체(10)와, 센터링본체(10) 둘레면에 배치되어 관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30)와, 가이드부재(30)를 센터링본체(10)로부터 먼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가이드부재(30)가 관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부(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센터링본체(10) 일단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관 외부로 연장시켜 인장력을 제공하는 별도의 구동장치에 연결하고, 센터링본체(10)의 타단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세척용 노즐장치나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작동부에 연결하여 센터링장치와 작동부를 동시에 관에 삽입하면 작동부를 당기는 와이어가 센터링장치에 의해 관의 중앙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동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와이어가 관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로 작동부에 인장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작동부 또한 관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세척작동 또는 촬영작동을 진행하여 관의 내벽 전체에 고른 작동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가압부(50)의 작동에 의해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30)가 관 내벽 측으로 가압되므로 센터링본체(10)는 관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이동되고, 센터링본체(10)와 연결되는 작동부도 관의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작동이 진행된다.
본 실시예의 작동부는, 관 내벽에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관 내벽을 세척하는 회전 노즐장치를 포함하고, 작동부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동부가 내시경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센터링본체(10)는, 일단에 제1연결고리(18)가 결합되는 제1연결홀부(16)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연결고리(19)가 연결되는 제2연결홀부(17)가 형성되며, 제2연결고리(19)가 센터링본체(10)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제2연결홀부(17)와 제2연결고리(19) 사이에는 연결축(19a)이 개재된다.
여기서, 센터링본체(10)는, 관의 길이 방향으로 긴 봉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에 축 방향으로 오목하게 제1연결홀부(16) 및 제2연결홀부(17)가 형성되고, 제1연결홀부(16)에는 제1연결고리(18)가 체결되며, 제2연결홀부(17)에는 연결축(19a)이 체결되고, 연결축(19a)의 외측 단부에 연결홀부가 형성되어 제2연결고리(19)가 설치된다.
따라서 센터링본체(10) 일단에는 제1연결고리(18)가 돌출된 상태로 결합되고, 센터링본체(10) 타단에는 연결축(19a)이 축 방향으로 돌출된 후에 연결축(19a)으로부터 제2연결고리(19)가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제2연결고리(19)는 제1연결고리(18)와 비교하여 센터링본체(10)로부터 측 방향으로 더 먼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센터링본체(10) 일단에는 가압부(50)가 연결되는 고정블록(12)이 구비되고, 센터링본체(10) 타단에는 연결축(19a)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블록(14)이 구비되며, 고정블록(12) 및 이동블록(14)과, 가이드부재(30) 사이에 가압부(50)가 설치된다.
여기서, 가압부(50)는, 센터링본체(10)와 가이드부재(30) 사이에 복수 개가 힌지부(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이드부재(30)를 센터링본체(10)로부터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링크부재(52)와,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링크부재(52)와 센터링본체(10)의 연결부위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6)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센터링본체(10) 일단에 고정블록(12)이 일체로 형성되고, 센터링본체(10) 타단에 이동블록(14)이 연결축(19a)까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링크부재(52)의 하단이 고정블록(12) 및 이동블록(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링크부재(52) 중앙부가 힌지부(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탄성부재(56)의 작동에 의해 이동블록(14)이 고정블록(12) 측으로 이동되면 한 쌍의 링크부재(52) 하단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한 쌍의 링크부재(52)가 힌지부(54)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한 쌍의 링크부재(52) 외측 단부는 센터링본체(10)로부터 먼 방향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부재(30)를 센터링본체(10)로부터 먼 방향, 즉 관의 내벽 측으로 전진시키면서 가이드부재(30)가 관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한 쌍의 링크부재(52)의 외측 단부는 가이드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한 쌍의 링크부재(52) 중 어느 하나의 링크부재(52) 외측 단부는 가이드부재(30)에 형성되는 장공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한 쌍의 링크부재(52) 외측 단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때에 링크부재(52)의 외측 단부가 장공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가이드부재(30)와 센터링본체(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탄성부재(56)는 고정블록(12)의 힌지 및 이동블록(14)의 힌지 사이에 설치되므로 가이드부재(30)와 센터링본체(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30) 사이의 거리와 비교하여 직경이 좁은 관에 본 실시예의 센터링장치가 삽입되면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30)가 관 내벽에 밀착되면서 가이드부재(30)를 관의 중앙부 측으로 가압하므로 가이드부재(30)가 센터링본체(10) 측으로 가압되면서 링크부재(52)가 힌지부(54)를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이동블록(14)이 센터링본체(10) 및 연결축(19a)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링크부재(52)의 내측 단부 사이의 멀어지면서 탄성부재(56)를 인장시키게 되므로 탄성부재(56)는 원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어 가이드부재(30)를 관 내벽 방향으로 가압하고, 센터링장치에 설치되는 와이어가 인장되면서 센터링장치가 관을 따라 이동될 때에 가이드부재(30)가 관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가이드부재(30)가 관 내벽에 구비되는 단차 또는 돌출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70)를 더 포함하고, 본 실시예의 간섭방지부(70)는, 관 내벽에 형성되는 단차 또는 돌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부재(3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곡면부(72)를 포함하므로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30)가 관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면 관 내벽에 구비되는 단차 또는 돌출부가 곡면부(72)와 접촉되어 슬라이딩되면서 가이드부재(30)가 단차 또는 돌출부와 간섭되지 않고 통과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간섭방지부(70)는, 관 내벽에 형성되는 단차 또는 돌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부재(30)에 구비되는 바퀴부재(74)를 포함하므로 가이드부재(30)가 관 내벽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되다가 단차 및 돌출부와 간섭되는 경우에 곡면부(72)가 단차 또는 돌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가이드부재(30)의 단부가 통과되고, 가이드부재(3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바퀴부재(74)의 회전운동에 의해 단차 또는 돌출부가 통과되어 가이드부재(30)가 단차 또는 돌출부와 간섭되지 않고 통과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가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인 경우에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장치는, 작동유체가 흐르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되도록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114)가 형성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재(150)와, 회전부재(150)에 연결되고, 관을 따라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본체(110)가 전진될 때에 본체(110)의 전진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회전부재(150)을 회전시키는 회전유도블록(170)과, 회전부재(150)과 함께 회전되면서 관 내벽과 마찰되는 브러시(156, 158)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수도관과 같이 유체가 흐르는 관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관의 단부에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장치를 삽입하고, 관의 단부로부터 수돗물로 이루어지는 작동유체를 공급하면 작동유체의 수압에 의해 노즐장치가 관을 따라 이동되면서 관 내벽에 누적된 이물질을 가압하면서 관 내벽으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고,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150)가 회전유도블록(17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회전부재(150)에 구비되는 브러시(156, 158)가 관 내벽과 마찰되고, 본체(110)에 구비되는 실링부재(130)에 의해 본체(110) 내부로 공급되지 않고 본체(110)와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작동유체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동유체의 수압이 유실되지 않고 본체(110)를 가압하면서 원활한 세척작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본체(110)는, 관에 삽입되어 전진될 수 있도록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고, 배면으로부터 전면까지 작동유체가 유입되는 공급홀부(114)가 형성되며, 회전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획돌출부(112)가 형성되고, 공급홀부(114)에 유입되지 않고 본체(110) 외측으로 유실되는 작동유체가 본체(110)와 관 내벽 사이의 간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재(13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실링부재(130)는, 본체(1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마감링부재(116)와 제2마감링부재(117) 사이에 개재되고,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관 내벽에 마찰되면서 관 내벽과 본체(110) 사이의 간격으로 작동유체 및 이물질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실링재(132)와, 본체(110)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마감링부재(117)와 제3마감링부재(118) 사이에 개재되는 제2실링재(134)와, 본체(110)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3마감링부재(118)와 결합링부재(119) 사이에 개재되는 제3실링재(136)를 포함한다.
결합링부재(119)의 배면에는 제1와이어(119b)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제1결합홈부(119a)가 형성되므로 노즐장치를 관의 입구 측으로 후진시킬 때에는 제1와이어(119b)에 인장력을 제공하여 노즐장치를 후진시키면서 관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실링부재(130) 및 제1와이어(119b)는 본체(110) 중앙부에 형성되는 구획돌출부(112)로부터 후방에 배치되고, 구획돌출부(112)로부터 전방에는 회전부재(150), 회전유도블록(170) 마감플레이트(180) 및 제2와이어(184)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회전유도블록(170)은 제1베어링(174) 및 제2베어링(178)에 의해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1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변환홀부(114a)에 대향되도록 회전유도블록(170)의 둘레면에 굴곡토출관(176)이 형성되므로 본체(110)의 공급홀부(114)를 통해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변환홀부(114a)를 통해 본체(110)의 둘레면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되어 토출되고, 변환홀부(114a)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체는 굴곡토출관(176)을 따라 회전유도블록(170) 외측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굴곡토출관(176)은 회전유도블록(170)으로부터 다수 개가 방사형으로 연장된 후에 단부가 일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블레이드 모양을 이루게 되므로 굴곡토출관(176)으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회오리 모양으로 토출되면서 회전유도블록을 회전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회전유도블록(170)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각각 제1돌기(172) 및 제2돌기(177)가 형성되므로 제1회전부재(152)와 제2회전부재(154)가 제1돌기(172)와 제2돌기(177)에 지지되도록 회전유도블록(170)에 설치되고, 제1회전부재(152)에는 제1브러시(156)가 구비되며, 제2회전부재(154)에는 제2브러시(158)가 구비된다.
따라서 작동유체가 굴곡토출관(176)을 따라 토출되면서 회전유도블록(170)을 회전시키면 제1회전부재(152) 및 제2회전부재(154)가 회전되면서 제1브러시(156) 및 제2브러시(158)가 관 내벽에 마찰되어 관 세척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회전유도블록(170) 전면에는 마감플레이트(180)가 설치되고, 마감플레이트(180)에는 방사형으로 다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블레이드(186)가 설치되어 토출되는 작동유체와 간섭되면서 회전유도블록(170)의 회전운동을 가속시키게 된다.
블레이드(186)의 전면에는 마감링(188)이 설치되어 블레이드(186)를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마감플레이트(180)의 전면에는 돌출부재(182)가 설치되어 제2와이어(184)와 연결되므로 관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와이어(184)에 인장력을 제공하면서 본체(110)의 전진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관 내벽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은 브러시(156, 158)에 의해 관을 따라 전진하면서 배출되고, 브러시(156, 158)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유실되는 이물질은 제1실링재(132) 내지 제3실링재(136)에 의해 가압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관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회전유도블록(170)에는 측면토출구(176a)가 구비되는 굴곡블록(176)이 설치되므로 변환홀부(114a)으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체는 굴곡블록(176)의 저면으로 유입되어 이동방향이 측 방향으로 변환되어 측면토출구(176a)를 통해 회전유도블록(170) 외측으로 토출되면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굴곡블록(176)은 단면 형상이 'ㅗ'모양으로 형성되어 저면으로부터 상부까지 홀부가 형성되고, 상부의 일측면에는 측면토출구(176a)가 형성되므로 변환홀부(114a)를 지나 굴곡블록(176)으로 유입되는 작동유체는 진행방향이 굴곡되면서 토출되고, 다수 개의 굴곡블록(176)으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체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면서 회전유도블록(170)의 회전운동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로써, 관 내부를 세척하거나 관 내부에 내시경 촬영을 진행할 때에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가 관 내부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관의 굴곡부위를 통과할 때에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를 당기는 와이어가 관의 굴곡부위를 지나면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가 관의 중앙부에 위치한 상태로 이동되면서 관 세척작동 및 촬영작동이 관 내부 전체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와 별물로 제작되어 와이어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하나의 센터링 장치를 다양한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에 센터링 장치를 분리하여 새로운 세척장치 또는 카메라에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노즐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센터링본체 12 : 고정블록
14 : 이동블록 16 : 제1연결홀부
17 : 제2연결홀부 18 : 제1연결고리
19 : 제2연결고리 19a : 연결축
30 : 가이드부재 50 : 가압부
52 : 링크부재 54 : 힌지부
56 : 탄성부재 70 : 간섭방지부
72 : 곡면부 74 : 바퀴부재
110 : 세척본체 130 : 실링부재
132 : 제1실링재 134 : 제2실링재
156 : 브러시 170 : 회전유도블록

Claims (8)

  1. 관에 삽입되어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와이어가 일단 또는 타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일단 또는 타단 중 다른 하나에 관 내벽에 이루어지는 작동을 진행하는 작동부가 연결되는 센터링본체;
    상기 센터링본체 둘레면에 배치되어 관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센터링본체로부터 먼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작동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 내벽 측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센터링본체는 관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이동되고,
    상기 센터링본체와 연결되는 상기 작동부도 관의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작동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부 센터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본체는,
    일단에 제1연결고리가 결합되는 제1연결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연결고리가 연결되는 제2연결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고리가 상기 센터링본체로부터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상기 제2연결홀부와 상기 제2연결고리 사이에는 연결축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부 센터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본체 일단에는 상기 가압부가 연결되는 고정블록이 구비되고, 상기 센터링본체 타단에는 상기 연결축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이동블록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과,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상기 가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부 센터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센터링본체와 상기 가이드부재 사이에 복수 개가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센터링본체로부터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링크부재; 및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센터링본체의 연결부위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부 센터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 내벽에 구비되는 단차 또는 돌출부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부 센터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부는,
    관 내벽에 형성되는 단차 또는 돌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부 센터링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방지부는,
    관 내벽에 형성되는 단차 또는 돌출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에 구비되는 바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내부 센터링장치.
  8. 관에 삽입되어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와이어가 일단 또는 타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일단 또는 타단 중 다른 하나에 관 내벽에 이루어지는 작동을 진행하는 작동부가 연결되는 센터링본체;
    상기 센터링본체 둘레면에 배치되어 관의 내벽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센터링본체로부터 먼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작동에 의해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 내벽 측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센터링본체는 관의 중앙부에 위치되어 이동되고,
    상기 센터링본체와 연결되는 상기 작동부도 관의 중앙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작동이 진행되는 관 내부 센터링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KR1020220072222A 2022-06-14 2022-06-14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KR102620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222A KR102620825B1 (ko) 2022-06-14 2022-06-14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222A KR102620825B1 (ko) 2022-06-14 2022-06-14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723A true KR20230171723A (ko) 2023-12-21
KR102620825B1 KR102620825B1 (ko) 2024-01-03

Family

ID=89320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222A KR102620825B1 (ko) 2022-06-14 2022-06-14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8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277A (ko) * 2004-06-29 2006-05-18 정영진 하수관 유지보수장치 및 공법
KR102380681B1 (ko) * 2022-01-04 2022-04-01 오문택 워터제트식 관로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277A (ko) * 2004-06-29 2006-05-18 정영진 하수관 유지보수장치 및 공법
KR102380681B1 (ko) * 2022-01-04 2022-04-01 오문택 워터제트식 관로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825B1 (ko)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1395B2 (ja) 管路内面の洗浄装置およびその案内治具および洗浄装置を用いた洗浄方法
US5018545A (en) Apparatus for cleaning interior of a lateral pipeline
CA2302565C (en) The device for pipeline interior cleaning
KR102278567B1 (ko)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KR20120102699A (ko) 필터 근접 노즐
JP4671847B2 (ja) 管路内面の洗浄装置
KR101705845B1 (ko) 배관용 스케일 제거장치
KR102620825B1 (ko) 관 내부 센터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관 세척용 회전 노즐장치
GB2287767A (en) Apparatus for cleaning the interiors of pipes
KR102129460B1 (ko) 관로 세척기
JP2011036790A (ja) 配管内作業装置および方法
CN101618376A (zh) 涂装装置以及用于清洗涂装装置的方法
CN113649366A (zh) 一种管道清洁的专用疏通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50071115A (ko) 배관라인 내부 또는 협소한 공간의 연마 및 세척이 가능한 세척기구
JPH0722743B2 (ja) 配管内面の自動洗浄装置
JP2006088002A (ja) 管内面の洗浄装置
KR20190087782A (ko) 고압 세척용 고압펌프를 구비한 관로 세척기
US5741094A (en) Pipe shunt for pheumatically fed bulk goods
JP4231488B2 (ja) 家庭用排水管内部洗浄ノズル
KR20230054148A (ko) 나선형 세척구조를 갖는 관로 세척장치
KR0123920Y1 (ko) 분사노즐이 부착된 배관 청소기구
KR20040054910A (ko) 세정설비용 회전축 연결부의 실링장치
KR102466163B1 (ko) 튜브형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
JP2004283680A (ja) 管内クリーニング装置
CN214972223U (zh) 一种叠螺机的污泥脱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