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274A - 리필형 냅킨 케이스 - Google Patents

리필형 냅킨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274A
KR20230171274A KR1020220071633A KR20220071633A KR20230171274A KR 20230171274 A KR20230171274 A KR 20230171274A KR 1020220071633 A KR1020220071633 A KR 1020220071633A KR 20220071633 A KR20220071633 A KR 20220071633A KR 20230171274 A KR20230171274 A KR 20230171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pkin
side wall
cover
base
refil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646B1 (ko
Inventor
이현지
Original Assignee
이현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지 filed Critical 이현지
Priority to KR102022007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646B1/ko
Publication of KR20230171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47K10/42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means for urging the whole stack upwards towards the dispensing opening, e.g. a spring, a counter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리필형 냅킨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는 서로 겹쳐지게 접힌 복수의 냅킨으로 이루어진 냅킨 적층체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개방된 커버; 및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커버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커버는 토출구가 형성된 상판; 및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하 방향을 따라 그 하단으로부터 상기 토출구까지의 수직 거리가 상기 냅킨 적층체의 높이보다 작게 하는 높이로 형성된 커버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냅킨 적층체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상하 방향을 따라 그 상단으로부터 상기 바닥판의 상면까지의 수직 거리가 상기 냅킨 적층체의 높이보다 작게 하는 높이로 형성된 베이스측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에 상기 냅킨 적층체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커버측벽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측벽의 일부와 중첩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리필형 냅킨 케이스{REFILLABLE NAPKIN CASE}
본 발명은 냅킨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하기 편리한 리필형 냅킨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가정과 음식점에서는 사용자가 음식을 취하는 중 또는 취한 후 입 주위를 닦을 수 있도록 식탁에 냅킨을 구비하고 있다. 일부 음식점에서는 냅킨을 냅킨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로 제공하는데, 이는 사용하지 않은 냅킨이 음식물 등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냅킨의 위생 상태를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현재 흔히 사용되고 있는 냅킨 케이스는 정해진 크기의 육면체 형상을 갖고,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는 나머지 부분에 힌지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음식점의 직원 등은 이러한 케이스의 상부를 개방하여 냅킨을 넣어두고, 사용자는 상부에 형성된 토출구를 통해 노출된 냅킨을 한 장씩 인출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냅킨은 매 장이 접혀져 있고 다음 장과 겹쳐져 있어 하나의 냅킨을 인출하면 다음 냅킨의 일부가 토출구 밖으로 노출된다.
위와 같은 냅킨 케이스는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직관적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케이스의 크기가 정해져 있음으로 인해 사용에 불편이 따른다. 가장 대표적으로, 냅킨 케이스 내에 수납된 냅킨이 하나하나 사용되어 냅킨 케이스 내에서 어느 정도 높이 아래로 내려간 후에는 냅킨과 토출구 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더 이상 냅킨의 일부가 토출구 밖에 노출되는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좁은 토출구를 통해 손가락을 집어넣어 어렵게 냅킨을 잡아 이끌어내야 하고,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다음 냅킨은 다시 토출구 아래로 떨어진다.
위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탄성부재를 이용하는 냅킨 케이스가 개발된 바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냅킨 케이스 내부에서 냅킨이 안착되는 바닥면을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 지지하여 냅킨이 상당량 소모된 후에도 가장 위에 위치한 냅킨이 토출구로부터 과도하게 멀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냅킨 케이스는 케이스의 나머지 부분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를 포함하기 때문에 그 제조가 더 까다로워지고, 장기간의 사용 또는 부식에 의해 탄성 부재가 탄력을 잃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단점 이외에도, 탄성 부재는 냅킨을 과도한 힘으로 냅킨 케이스의 상면에 가압함으로써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한다. 즉, 탄성부재가 냅킨을 케이스의 상면에 강하게 가압하게 되면, 이로 인해 냅킨과 냅킨 케이스의 상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냅킨을 당겨도 냅킨이 쉽게 인출되지 않을 수 있고, 냅킨을 당기는 힘과 냅킨 케이스에 대한 마찰력으로 인해 냅킨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냅킨을 다수 사용하여 내부에 보관된 냅킨의 양이 적어진 후에도 냅킨을 쉽게 인출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리필형 냅킨 케이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냅킨과 커버의 상면 사이의 마찰력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어 사용이 편리한 리필형 냅킨 케이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는 서로 겹쳐지게 접힌 복수의 냅킨으로 이루어진 냅킨 적층체를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개방된 커버; 및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커버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커버는 토출구가 형성된 상판; 및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하 방향을 따라 그 하단으로부터 상기 토출구까지의 수직 거리가 상기 냅킨 적층체의 높이보다 작게 하는 높이로 형성된 커버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냅킨 적층체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상하 방향을 따라 그 상단으로부터 상기 바닥판의 상면까지의 수직 거리가 상기 냅킨 적층체의 높이보다 작게 하는 높이로 형성된 베이스측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에 상기 냅킨 적층체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커버측벽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측벽의 일부와 중첩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냅킨 각각은 절곡선에서 접혀져 상기 절곡선 양측의 미절곡표면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토출구까지의 수직 거리 및 상기 베이스측벽의 높이는 모두 상기 미절곡표면의 길이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상판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냅킨 적층체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상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지거나 굴곡된 단면을 가져, 상기 경사지거나 굴곡된 단면의 부분에서 상기 냅킨 적층체의 상부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커버측벽에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측벽 및 상기 베이스측벽이 각각 원형 단면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커버측벽과 상기 베이스측벽 중 어느 하나는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측벽과 상기 베이스측벽 중 나머지 하나는 외주면에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돌기 또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는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을 따라 그 수직 거리가 상기 냅킨 적층체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된 중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버는 상기 중간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편리한 방법으로 냅킨을 공급 및 교체할 수 있고, 부주의로 커버와 베이스가 분리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냅킨과 커버의 상면 사이의 마찰력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보관된 냅킨의 양이 적어진 후에도 냅킨으로부터 토출구까지의 거리가 가깝게 유지되어 사용이 편리한 리필형 냅킨 케이스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필형 냅킨 케이스가 사용되는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가 사용되는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는 커버(100)와 베이스(500)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냅킨 적층체(50)를 수납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냅킨 적층체(50)는 서로 겹쳐지게 접힌 복수의 냅킨(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냅킨(10)은 절곡선(20)에서 접혀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냅킨(10)의 절곡선(20) 양측에서 접히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면을 미절곡표면(30)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냅킨 적층체(50)에서 각 냅킨(10)은 절곡선(20)에서 접혀져 2장의 미절곡표면(30)이 서로 중첩되는데, 이 2장의 미절곡표면(30) 사이에 인접한 다른 2장의 냅킨(10) 각각의 미절곡표면(30)이 배치되어 냅킨 케이스(1100)의 토출구(130)를 통해 한 장의 냅킨(10)을 인출하면 그 다음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이 토출구(130) 밖에 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냅킨(10)이 아직 하나도 사용되지 않은 상태의 냅킨 적층체(50)의 높이를 hs라 하고 각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의 길이를 x라 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 수납되는 냅킨 적층체(50)의 냅킨(10)이 1:2의 장단비를 갖고 절곡선(20)이 중간에 형성되어 절곡선(20) 양측의 미절곡표면(30)이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미절곡표면(30)의 폭은 길이(x)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냅킨(10)의 폭과 길이는 특정한 값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커버(10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판(110)과 커버측벽(15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는 베이스(5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서는 상판(110)이 편평하고,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 즉 각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엄격히 말하자면, 베이스(500)의 바닥판(510)이 냅킨 적층체(50)의 하면 혹은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커버(100)의 상판(110)은 바닥판(510)보다 약간 큰 치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판(110)과 바닥판(510)이 반드시 냅킨 적층체(50) 또는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판(110)에는 토출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30)는 냅킨(10)이 통과하는 개구부로서, 냅킨 적층체(50)의 양측에서 냅킨(10)이 쉽게 인출될 수 있도록 상판(110)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토출구(130)는 그 연장되는 길이가 냅킨(10) 한 장의 폭보다 짧은 것이 유리할 수 있는데, 이로써 토출구(130) 밖으로 냅킨(10)의 일부가 노출될 때 냅킨(10)이 약간 구겨지며 토출구(130)에 걸쳐질 수 있다.
커버측벽(150)은 커버(100)의 상판(110)으로부터 하향 연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판(110)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커버측벽(150)은 상판(110)의 사각형 형상의 각 변으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아래로 연장되어 수직벽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베이스(50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바닥판(510)과 베이스측벽(55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500)는 커버(1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500)의 바닥판(510)은 냅킨 적층체(50)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냅킨 적층체(50)의 하면, 즉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보다 동일하거나 큰 크기의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510)이 반드시 냅킨 적층체(50) 또는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측벽(550)은 베이스(500)의 바닥판(510)으로부터 상향 연장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바닥판(510)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측벽(550)은 바닥판(510)의 사각형 형상의 각 변으로부터 상하 방향을 따라 위로 연장되어 수직벽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서는 커버(100)가 베이스(500)에 결합될 때 커버측벽(150)의 내면이 베이스측벽(550)의 외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커버측벽(150)의 내면과 베이스측벽(550)의 외면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할 정도로 커버측벽(150)의 내면과 베이스측벽(550)의 외면이 밀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다만, 커버측벽(150)의 내면이 베이스측벽(550)의 외면을 따라 하강하지 못할 정도로 높은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범위에서 커버측벽(150)의 내면과 베이스측벽(550)의 외면의 치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측벽(150)의 높이는, 상하 방향을 따라 커버측벽(150)의 하단으로부터 상판(110)에 형성된 토출구(130)까지의 수직 거리(hc)가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보다 작게 하는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측벽(550)의 높이는 상하 방향을 따라 베이스측벽(550)의 상단으로부터 바닥판(510)의 상면까지의 수직 거리(hb)가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보다 작게 하는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커버측벽(150)과 베이스측벽(550)의 높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510)에 냅킨 적층체(50)가 안착된 상태에서 커버(100)와 베이스(500)가 결합될 때 커버측벽(150)의 일부가 베이스측벽(550)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커버측벽(150)의 높이(hc)와 베이스측벽(550)의 높이(hb)의 합은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커버측벽(150)과 베이스측벽(550)이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커버측벽(150)의 높이(hc)와 베이스측벽(550)의 높이(hb)가 서로 동일하게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의 1/2에 근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측벽(150)의 높이(hc)와 베이스측벽(550)의 높이(hb)가 각각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의 1/2보다 1cm 더 크게 설정되거나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의 10% 더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냅킨 적층체(50)가 수납되도록 커버(100)와 베이스(500)가 결합될 때 커버(100)가 베이스(500)에 대해 견고히 고정되도록 커버측벽(150)의 일부가 베이스측벽(550)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가 각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의 길이(x)와 유사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커버측벽(150)의 높이는 상하 방향을 따라 커버측벽(150)의 하단으로부터 상판(110)에 형성된 토출구(130)까지의 수직 거리(hc)가 한 장의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의 길이(x)보다 작게 하는 높이로 설정되고, 베이스측벽(550)의 높이는 상하 방향을 따라 베이스측벽(550)의 상단으로부터 바닥판(510)의 상면까지의 수직 거리(hb)가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보다 작게 하는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 새로 냅킨을 공급할 때, 음식점 직원 등의 공급자는 먼저 베이스(500)의 바닥판(510) 상에 냅킨 적층체(50)를 안착할 수 있다. 베이스측벽(550)은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 냅킨 적층체(50)는 쉽게 베이스측벽(55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냅킨 적층체(50)가 바닥판(5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냅킨 적층체(50) 위로 커버(100)를 씌울 수 있다. 커버(100)의 상판(110)은 베이스(500)의 바닥판(510)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베이스측벽(550)의 상단은 커버측벽(150)의 하단이 이루는 커버(100)의 개방된 하부를 통과해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커버측벽(150)은 베이스측벽(550)의 외측에 위치하고 냅킨 적층체(50)는 베이스측벽(550)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냅킨 적층체(50)는 커버측벽(15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2의 (a) 및 도 3의 (a)는 이와 같이 냅킨 적층체(50)를 사이에 두고 커버(100)가 베이스(50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은 커버(100)의 상판(110) 상에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베이스측벽(550)의 상단이 커버측벽(150)의 하단 내측에 위치하면서 커버측벽(150)의 일부가 베이스측벽(550)의 일부가 중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버(100)가 베이스(50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 수납된 냅킨(10)이 소모되면서,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은 점차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냅킨 케이스가 정해진 크기를 유지하는 경우와는 달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냅킨 케이스(1100)에서는 커버(100)의 상판(110)이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고 커버측벽(150)이 베이스측벽(550)의 어느 부분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이 하강할수록 그 위에 안착된 커버(100)도 함께 하강할 수 있다.
냅킨 케이스(1100)에서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으로부터 토출구(130)까지의 거리가 과도하게 커지면 냅킨(10)이 토출구(130)에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내측으로 낙하하여 사용자가 냅킨(10)을 인출하기 어려워지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서는 냅킨 적층체(50)의 높이가 커버측벽(150)의 높이(hc) 미만으로 감소하기 전에는 커버(100)의 상판(110)이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어 냅킨(10)과 토출구(130)의 거리가 짧게 유지될 수 있다.
냅킨 적층체(50)의 높이가 커버측벽(150)의 높이(hc) 미만으로 감소한 후에도, 커버측벽(150)의 높이(hc)는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의 1/2에 근접한 값을 가져 냅킨(10)과 토출구(130)의 거리가 과도하게 커지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가 각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의 길이(x)와 유사한 값을 가져 커버측벽(150)의 하단으로부터 상판(110)에 형성된 토출구(130)까지의 수직 거리(hc)가 한 장의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의 길이(x)보다 작게 설정된 경우에는 특히 그러하다.
즉, 냅킨 적층체(50)의 냅킨(10)이 소모됨에 따라 냅킨 적층체(50)의 높이가 커버측벽(150)의 높이(hc) 미만으로 감소하더라도,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냅킨(10)으로부터 토출구(130)까지의 거리는 과도히 커지지 않아 냅킨(10)이 토출구(13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냅킨 적층체(50)의 마지막 냅킨(10)은 바닥판(510) 상면에 위치할 것인데, 커버(100)가 끝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바닥판(510)으로부터 토출구(130)까지의 거리는 대략 커버측벽(150)의 높이(hc)에 해당하고, 이는 한 장의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의 길이(x)보다 작으므로, 냅킨(10)이 토출구(130)에 걸려 그 일부가 토출구(130)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3의 (b) 및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 적용가능한 몇 가지 특징을 더 묘사한다.
우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서 베이스(500)는 플랜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520)는 베이스측벽(55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고, 바닥판(51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520)는 바닥판(510)의 연장으로 볼 수도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플랜지(520)가 바닥판(510)과 연속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냅킨 적층체(50)의 냅킨(10)이 소모되면서 커버(100)는 하강할 수 있는데, 플랜지(520)는 커버(100)가 최대로 하강가능한 위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플랜지(520)는 커버측벽(150)의 하단 및/또는 베이스측벽(550)의 상단이 불규칙한 형상을 가진 경우 유용할 수 있다. 물론, 도 3의 (a) 및 (c)에서와 같이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서 플랜지(520)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의 (b) 및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서 커버(100)는 접촉부(160, 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는 상판(110)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냅킨 적층체(50)의 높이가 커버측벽(150)의 높이(hc) 미만으로 감소하기 전까지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서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냅킨(10)은 커버(100)의 상판(110)에 접촉하고, 커버(100)는 자체 하중에 의해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냅킨(10)을 가압하므로,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냅킨(10)과 커버(100)의 상판(110) 사이의 접촉 면적이 클수록 냅킨(10)에 더 큰 마찰력이 작용한다. 냅킨(10)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과도히 큰 경우, 사용자는 냅킨(10)을 인출하는 데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판(110)의 하면에 접촉부(160, 170)를 구비하여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냅킨(10)과 상판(110)의 하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제한하고 냅킨(10)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의 (b)에는 커버(100)의 접촉부(160)가 사각형 단면을 가진 단순한 돌기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이러한 사각형 접촉부(160)는 토출구(130)의 양측에 선형의 형태로 연장될 수도 있고, 토출구(130)를 에워싸는 폐곡선을 따라 선형의 형태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위치의 특정 지점에서만 아래로 돌출할 수도 있다. 즉, 접촉부(160)는 단순히 상판(110)의 하면에서 하향 돌출하게 하여 제조 비용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냅킨(10)과 상판(110)의 하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의 (c)에는 커버(100)의 접촉부(170)가 굴곡된 하면을 갖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이러한 굴곡형 접촉부(170)는 토출구(130)의 양측에 선형의 형태로 연장될 수도 있고, 토출구(130)를 에워싸는 폐곡선을 따라 선형의 형태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위치의 특정 지점에서만 아래로 돌출할 수도 있다. \
굴곡형 접촉부(170)는 굴곡된 하면을 가질 수 있고, 하면이 매끄럽게 처리될 수 있다.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냅킨(10)은 편평하게 배치되어 있는 반면 접촉부(170)는 굴곡된 하면을 가지므로, 이들 사이의 접촉 면적은 접촉부(170)가 없이 상판(110)이 편평한 경우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더해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냅킨(10)이 접촉부(170)의 매끄러운 굴곡면을 접촉할 때 큰 마찰력이 작용하지 않고 토출구(130)를 향해 굴곡이 형성되므로,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편리하게 냅킨(10)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매우 쉬운 방법으로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 냅킨 적층체(50)를 공급할 수 있다.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 냅킨 적층체(50)가 공급된 후에는, 냅킨(10)이 소모되면서 냅킨 적층체(50)의 높이가 감소하더라도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냅킨(10)과 토출구(130)는 짧은 거리를 유지할 수 있고, 냅킨(10)의 일부가 토출구(130)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냅킨(10)이 토출구(130) 아래로 낙하하여 사용자가 좁은 토출구(130)를 통해 냅킨(10)을 어렵게 꺼내야 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2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2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와 다수의 유사점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2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200)는 커버(100)와 베이스(500)가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냅킨 적층체(50)를 수납하는 구조를 갖되, 커버(100)의 커버측벽(150)이 베이스측벽(55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와 같이 커버측벽(150)이 베이스측벽(550)의 외측에 위치한 경우, 냅킨 적층체(50)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고, 냅킨 적층체(50)가 커버측벽(15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베이스(500)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한 커버(100)가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의 외표면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를 들어올리면, 베이스(500) 부분이 커버(100)로부터 이탈하여 냅킨 적층체(50)가 쏟아지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냅킨 적층체(50)의 냅킨(10)이 절반 이상 소진되면(즉, 냅킨 적층체(50)의 높이가 베이스측벽(550)의 상단 아래로 감소하면), 커버(100)는 하강하여 베이스측벽(550)이 커버측벽(150)에 의해 가려지게 되고, 여기서 커버(100)는 베이스(500)에 걸리지 않고 베이스(500)에 대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커버(100)가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의 외표면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예를 들어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를 다른 위치로 옮기기 위해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를 들어올리면, 사용자는 커버(100)를 파지할 것이고, 커버(100)와 베이스(500)는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베이스(500) 부분이 커버(100)로부터 이탈하여 냅킨 적층체(50)가 쏟아지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200)에서와 같이 커버측벽(150)이 베이스측벽(55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가 리필형 냅킨 케이스(1200)를 파지할 때 커버(100)가 아닌 베이스(500)를 파지하게 하여 베이스(5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200)에서는 커버(100)가 베이스(500)에 결합될 때 커버측벽(150)의 외면이 베이스측벽(550)의 내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버측벽(150)의 외면과 베이스측벽(550)의 내면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못할 정도로 커버측벽(150)의 외면과 베이스측벽(550)의 내면이 밀착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다만, 커버측벽(150)의 외면이 베이스측벽(550)의 내면을 따라 하강하지 못할 정도로 높은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범위에서 커버측벽(150)의 외면과 베이스측벽(550)의 내면의 치수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필형 냅킨 케이스(1200)에 수납된 냅킨(10)이 소모되면서,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은 점차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냅킨 케이스(1200)에서 커버(100)의 상판(110)이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고 커버측벽(150)이 베이스측벽(550)의 어느 부분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이 하강할수록 그 위에 안착된 커버(100)도 함께 하강할 수 있다.
도 4의 (b) 및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200)에서 베이스(500)는 가이드(530, 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는 바닥판(510)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냅킨 적층체(50)의 하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530, 540)가 냅킨 적층체(50) 주위를 에워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커버(100)의 하강시 커버측벽(150)이 베이스측벽(550)과 가이드(530, 54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도 4의 (b)에는 베이스(500)의 가이드(530)가 베이스측벽(550)보다 낮은 높이의 돌출부로 구현되어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구조는 냅킨 적층체(50)가 크게 흔들리지 않게 구성되는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가이드(530)는 냅킨 적층체(50)의 위치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냅킨 적층체(50)가 베이스(500)에 안착될 때, 냅킨 적층체(50)의 하부는 가이드(5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냅킨 적층체(50)는 그 자체가 크게 좌우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냅킨 적층체(50)의 상부에 커버(100)가 안착되면, 냅킨 적층체(50)는 커버(100)와 베이스(500) 사이에서 이들에 의해 가압되며 고정될 수 있고, 냅킨(10)이 소모되면서 냅킨 적층체(50)의 높이가 감소하여 커버(100)가 하강할 때 커버측벽(150)은 냅킨 적층체(50)에 의해 방해받는 일 없이 하강할 수 있다. 도 4의 (b)와 같은 구조에서는 커버측벽(150)의 하단이 가이드(530)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가이드(530)와 베이스측벽(550) 사이에 반드시 간격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c)에는 베이스(500)의 가이드(540)가 베이스측벽(550)에 대응하는 높이의 돌출부로 구현되어 있다. 도 4의 (c)에 도시된 구조에 의하면, 커버(100)가 베이스(500)에 결합될 때 커버측벽(150)이 베이스측벽(550)과 가이드(54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냅킨(10)이 소모되면서 냅킨 적층체(50)의 높이가 감소하여 커버(100)가 하강할 때 커버측벽(150)은 베이스측벽(550)과 가이드(540) 사이의 공간을 따라 하강할 수 있다.
도 4의 (c)에서와 같이 가이드(540)가 베이스측벽(550)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경우 커버측벽(150)과 베이스측벽(55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적어지므로, 이 경우 커버측벽(150)이 반드시 가이드(540) 및/또는 베이스측벽(550)에 강하게 밀착되지 않아도 된다. 커버측벽(150)은 가이드(540)와 베이스측벽(550) 사이에서 하강하지 못할 정도로 높은 마찰력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측벽(150)이 가이드(540)와 베이스측벽(550) 모두에 비교적 높은 기밀도로 밀착되는 경우, 바닥판(510)에는 가이드(540)와 베이스측벽(550) 사이의 위치에 하나 이상의 환기홀(560)이 형성되어 가이드(540)와 베이스측벽(550) 사이의 기압이 커버측벽(150)의 하강을 방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커버(100)에 플랜지(140)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100)의 플랜지(140)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1200) 내의 냅킨 적층체(50)를 교체하기 위해 작업자가 커버(100)와 베이스(500)를 분리할 때 커버(100)를 더 파지하기 쉽게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리필형 냅킨 케이스(1200)를 파지할 때 커버(100)가 아닌 베이스(500)를 파지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베이스(500)가 아래에서 커버(100)를 지지하므로 커버(100)와 베이스(5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3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3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 1200)와 다수의 유사점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3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300)는 커버(100)의 상판(12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지거나 굴곡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서는 상판(110)이 편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판(110)과 냅킨 적층체(50) 상면의 냅킨(10)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접촉부(160, 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300)에서는 상판(120)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경사지거나 굴곡된 단면을 갖도록 하여 상판(120) 자체가 냅킨 적층체(50) 상면의 냅킨(10)에 대해 작은 접촉 면적을 갖게 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300)에서는 커버(100)의 상판(120)이 경사진 형상을 갖는데, 특히 냅킨 적층체(5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그러하다.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냅킨(10)은 편평하게 배치되어 있는 반면 상판(120)은 토출구(1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아래를 향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상판(120)은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가장자리에서만 냅킨 적층체(50)에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소된 접촉 면적으로 인해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냅킨(10)과 상판(120)의 하면 사이에는 마찰력이 감소될 수 있고,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편리하게 냅킨(10)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커버(100)의 상판(12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지거나 굴곡된 단면을 가진 경우, 커버(100)의 상판(120)이 냅킨 적층체(50)를 접촉하는 상태에서도 토출구(130)는 냅킨 적층체(50)의 상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냅킨 적층체(50)와 토출구(130) 사이에 약간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는 토출구(130) 외부로 노출되는 냅킨(10)의 길이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고 냅킨(10)이 노출된 리필형 냅킨 케이스(1300)의 외관을 더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경사지거나 굴곡된 단면을 가진 상판(120)도 접촉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b)에는 커버(100)의 상판(120)이 경사진 단면을 갖고, 이에 형성된 접촉부(180)는 편평한 하면을 갖는 단턱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단턱형 접촉부(180)는 냅킨 적층체(50)의 일부만을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하면이 매끄럽게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커버(100)의 상판(120)이 냅킨 적층체(50)를 접촉하는 상태에서 냅킨 적층체(50)의 상부와 토출구(130) 사이에 적정 간격이 유지될 것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고, 그 하면이 큰 마찰력을 가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편리하게 냅킨(10)을 인출할 수 있게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냅킨(10)이 소모되면서 냅킨 적층체(50)의 높이가 감소하더라도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냅킨(10)과 토출구(130) 사이에는 과도하게 길지도 과도하게 짧지도 않은 적정한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커버(100)의 상면을 이루는 상판(11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지거나 굴곡된 형상을 갖고 토출구(130) 외부로 노출되는 냅킨(10)의 길이가 적정 수준으로 유지됨에 따라 리필형 냅킨 케이스(1300)의 외관을 더 미려하게 하기 위한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4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4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 1200, 1300)와 다수의 유사점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4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4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1400)의 커버(100)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400)는 커버(100)의 상판(120)에 형성된 접촉부가 롤러(200)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냅킨(10)과 커버(100)의 상판(120) 사이에 큰 마찰력이 작용하면, 사용자는 냅킨(10)을 인출하는 데 불편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커버(100)가 상판(120)의 하면에 롤러고정부(190)를 포함하고, 양측의 롤러고정부(19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롤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200)는 작은 직경을 갖고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롤러(200)는 롤러고정부(19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자리에서 회전운동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판(120)이 굴곡된 단면을 가지며, 롤러(200)는 상판(120)의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는 위치에서 토출구(13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물론, 롤러(200)가 반드시 상판(120)의 하면을 따라 장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롤러(200)의 배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상판(120)에 2개의 롤러(200)가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상판(120)에 다른 개수의 롤러(2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는 토출구(130) 주위로 4개의 롤러(200)가 구비될 수 있다.
냅킨 적층체(50)가 수납된 상태에서 커버(100)와 베이스(500)가 결합되면, 롤러(200)의 형태로 구현된 커버(100)의 접촉부가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커버(100)가 냅킨 적층체(50)에 안착될 수 있고, 냅킨 적층체(50)의 냅킨(10)이 소모됨에 따라 커버(100)는 함께 하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토출구(130)에 노출된 냅킨(10)을 인출할 때, 냅킨(10)이 접촉하고 있던 롤러(200)가 회전되면서 냅킨(10)이 이동하므로, 커버(100)가 냅킨(10)에 가하는 마찰력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5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5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 1200, 1300, 1400)와 다수의 유사점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5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5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15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500)는 커버측벽(150)에 관통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측벽(150)이 베이스측벽(550)의 외측에 위치한 경우, 냅킨 적층체(50)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고, 냅킨 적층체(50)가 커버측벽(15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냅킨 적층체(50)의 냅킨(10)이 절반 이상 소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를 들어올릴 때 사용자는 커버(100)를 파지할 것이므로 커버(10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500) 부분은 커버(100)로부터 이탈하고 냅킨 적층체(50)가 쏟아질 우려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500)에서는 커버측벽(150)에 관통홀(210)이 형성될 수 있고, 커버측벽(150)이 베이스측벽(550)과 중첩된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측벽(550)의 외측 표면이 관통홀(2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필형 냅킨 케이스(1500)를 파지할 때, 사용자는 커버측벽(150)을 파지하더라도 손의 일부는 관통홀(210)을 통해 베이스측벽(550)을 접촉하여 사용자의 손과 베이스측벽(55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베이스(500)가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관통홀(210)이 커버측벽(150)의 모서리에 형성되면, 사용자가 관통홀(210)을 통해 노출된 부위를 파지할 때 더 쉽게 베이스측벽(550)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관통홀(210)이 커버측벽(150)의 모서리가 이외의 위치, 예를 들면 커버측벽(150)의 편평한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커버측벽(150)에 관통홀(210)이 형성된 실시예의 경우, 커버측벽(150)에서 관통홀(210)이 형성된 부분이 베이스측벽(550)과 중첩될 때에는 베이스측벽(550)이 외부로 노출되지만, 커버측벽(150)에서 관통홀(210)이 형성된 부분이 베이스측벽(550)과 중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즉 냅킨 적층체(50)가 많이 소진되지 않아 냅킨 적층체(50)의 높이가 베이스측벽(550)의 상단 아래로 감소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버측벽(150)의 관통홀(210)을 통해 베이스측벽(550)이 아닌 냅킨 적층체(50)가 노출될 수 있으며, 관통홀(210)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어 냅킨 적층체(50)가 오염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500)에서 커버(100)는 차폐막(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막(220)은 약간의 강도를 유지하되 탄력적으로 이동 및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막(220)은 그 상단이 관통홀(210)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판(110) 및/또는 커버측벽(150)에 결합될 수 있고, 그 하단은 고정되지 않은 채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가 리필형 냅킨 케이스(1500)에 냅킨 적층체(50)를 공급할 때, 작업자는 베이스(500)의 바닥판(510)에 냅킨 적층체(50)를 안착한 후 베이스(500) 위로 커버(100)를 씌울 수 있는데, 이 때 커버측벽(150)의 내면은 베이스측벽(550)의 외면에 접촉하고, 차폐막(220)은 베이스측벽(550)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다. 즉, 베이스측벽(550)이 커버측벽(150)과 차폐막(220) 사이에 삽입되도록 커버(100)가 베이스(5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냅킨 적층체(50)가 많이 소진되지 않아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이 베이스측벽(550)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때에는 관통홀(210)이 차폐막(220)으로 가려져 리필형 냅킨 케이스(1500)의 내부로 오염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때에는 커버(100)가 하강하지 않아 베이스측벽(550)의 상당 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베이스측벽(550)을 파지하여 리필형 냅킨 케이스(1500)를 옮길 수 있다.
한편, 냅킨 적층체(50)가 소모되어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이 베이스측벽(550)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한 때에는 차폐막(220)이 베이스측벽(550)의 내측에 위치하여 관통홀(210)을 통해 베이스측벽(550)이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는 관통홀(210)을 통해 노출된 베이스측벽(550)을 커버측벽(150)과 함께 파지하거나 관통홀(210)을 통해 노출된 베이스측벽(550)만을 파지하여 리필형 냅킨 케이스(1500)를 옮길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6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6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 1200, 1300, 1400, 1500)와 다수의 유사점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6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6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16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600)에서는 커버측벽(155)와 베이스측벽(555)이 원형 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측벽(150)과 베이스측벽(550)이 다각형 단면을 가진 경우, 커버측벽(150)과 베이스측벽(550)이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커버(100)를 파지하면 베이스(500) 부분이 커버(100)로부터 이탈하고 냅킨 적층체(50)가 쏟아질 우려가 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600)의 커버측벽(155)와 베이스측벽(555)이 원형 단면을 형성하게 하고, 커버측벽(155)와 베이스측벽(555) 중 하나에 걸림돌기(260)를 형성함으로써 커버측벽(155)과 베이스측벽(555)이 서로에 대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즉, 커버측벽(155)과 베이스측벽(555) 중 어느 하나는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260)를 포함할 수 있고, 커버측벽(155)과 베이스측벽(555) 중 나머지 하나는 외주면에 걸림돌기(260)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돌기 또는 홈(57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커버측벽(155)과 베이스측벽(555)이 모두 원형 단면을 갖되, 커버측벽(155)의 내주면이 베이스측벽(555)의 외주면을 따라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커버측벽(155)의 내주면에는 내측을 향하는 걸림돌기(260)가 형성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베이스측벽(555)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260)에 대응하는 홈(570)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베이스측벽(555)의 홈(570)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지만, 베이스측벽(555)의 상단에서는 홈(570)의 나머지 부분과 어긋나게 형성된 진입구(572)가 형성되어 있고, 진입구(572)의 하부에는 진입구(572)와 홈(570)의 나머지 부분을 연결하는 수평홈(574)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가 리필형 냅킨 케이스(1600)에 냅킨 적층체(50)를 공급할 때, 작업자는 베이스(500)의 바닥판(510)에 냅킨 적층체(50)를 안착한 후 베이스(500) 위로 커버(100)를 씌울 수 있다. 커버(100)가 처음 베이스(500)에 결합될 때에는 걸림돌기(260)가 홈(570)의 진입구(572)를 통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의 바닥판(510)에서 베이스측벽(555)의 내측은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냅킨 적층체(50)는 원형 형상의 바닥판(51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냅킨 적층체(50)의 냅킨(10)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것이며, 바닥판(510) 및 베이스측벽(555)의 원형 형상은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바닥판(510)에 사각형으로 배치된 가이드(530; 도 4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돌기(260)가 진입구(572)의 하부까지 내려온 후에는 작업자가 커버(100)를 옆으로 돌려 걸림돌기(260)가 수평홈(574)을 통과하여 홈(570)의 주요 부분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커버(100)를 베이스(500)에 대해 잠그는 동작에 대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커버측벽(155)과 베이스측벽(555)의 맞닿는 표면이 원형 단면을 가질 때 가능한 동작이다.
걸림돌기(260)가 홈(570)의 주요 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커버(100)를 놓을 수 있고, 커버(100)는 자체 하중에 의해 상판(120)이 냅킨 적층체(50)의 상단에 다다를 때까지 하강할 수 있다. 이 때 걸림돌기(26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570)의 주요 부분에 위치하므로 커버(100)는 베이스(500)에 대해 걸림 없이 하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러한 구조를 가진 리필형 냅킨 케이스(1600)를 예를 들어 다른 위치로 옮기기 위해 커버(100)를 들어올리면, 커버(100)와 베이스(500)는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베이스(500)가 커버(100)에 대해 하강하지만, 커버(100)로부터 이탈하기 전에 걸림돌기(260)가 홈(570)의 상부에 걸리게 되어 베이스(50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홈(570)의 진입구(572)는 홈(570)의 주요 부분에 대해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베이스(500)가 하강하는 것만으로는 걸림돌기(260)가 홈(570)의 진입구(572)를 통과하지 못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커버(100)를 들어올리더라도 베이스(500)는 커버(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리필형 냅킨 케이스(1600) 내부에 수납된 냅킨 적층체(50)가 외부로 쏟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7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7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 1200, 1300, 1400, 1500, 1600)와 다수의 유사점을 가질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7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특징들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7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의 (b) 및 (c)는 각각 리필형 냅킨 케이스(1700)에서 커버(100)와 베이스(500)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와 결합된 후 커버(100)가 하강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700)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간부재(300)는 커버(100)와 베이스(500) 중 적어도 하나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중간부재(30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하 방향을 따라 그 수직 거리(hm)가 냅킨 적층체의 높이(hs)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예에서는 중간부재(300)가 커버(100)와 베이스(500)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커버측벽(150)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베이스측벽(550)에는 이동가능하지 않게 견고히 결합되어 있다. 중간부재(300)는 예를 들어 중간부재측벽(350)과 베이스측벽(550) 사이의 억지끼움에 의해 베이스(500)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측벽(150)의 하단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270)가 구비되고 중간부재(30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부(370)가 구비되어, 중간부재(300)가 커버측벽(15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못하게 제한할 수 있다.
작업자가 리필형 냅킨 케이스(1700)에 냅킨 적층체(50)를 공급할 때, 작업자는 베이스(500)의 바닥판(510)에 냅킨 적층체(50)를 안착한 후 베이스(500) 위로 커버(100)를 씌울 수 있다. 이 때 커버측벽(150)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중간부재(300)를 베이스측벽(550)에 결합할 수 있는데, 중간부재(300)의 내측에 베이스측벽(550)을 압입하여 억지끼움에 의해 중간부재(300)를 베이스측벽(550)에 결합할 수 있다.
냅킨 적층체(50)가 소모되어 냅킨 적층체(50)의 상면이 베이스측벽(550)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할 때, 커버(100)는 고정된 중간부재(300)의 외면을 따라 하강하여 냅킨 적층체(50) 상부의 냅킨(10)과 토출구(130) 사이의 거리를 짧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이러한 구조를 가진 리필형 냅킨 케이스(1700)를 예를 들어 다른 위치로 옮기기 위해 커버(100)를 들어올리면, 중간부재(300)와 베이스(500)는 커버(100)에 대해 하강하지만, 중간부재(300)는 걸림부(270, 370)에 의해 커버(100)로부터 이탈하지 못하고 베이스(500)는 중간부재(300)에 억지끼움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간부재(300)와 베이스(500)가 커버(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못한다. 결국, 사용자가 커버(100)를 들어올리더라도 베이스(500)는 커버(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리필형 냅킨 케이스(1700) 내부에 수납된 냅킨 적층체(50)가 외부로 쏟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9에는 중간부재(300)가 커버측벽(150)과 베이스측벽(500)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간부재(300)가 커버(1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베이스(500)에 이동가능하지 않게 결합되는 경우에도, 중간부재(300)가 커버측벽(150)의 외측에 위치하거나 베이스측벽(50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간부재(300)가 베이스(5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커버(100)에 이동가능하지 않게 결합되는 경우에도, 중간부재(300)가 커버측벽(150)의 외측에 위치하거나 베이스측벽(50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중간부재(300)가 커버(100)와 베이스(500) 모두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예에서 중간부재(300)가 커버(100)에 대해서는 느슨하게 결합되되 걸림부(270, 370)에 의해 이탈되지 못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중간부재측벽(350)은 베이스측벽(550)에 접촉하되 중간부재(300)가 베이스(5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100)에서 커버측벽(150)이 베이스측벽(55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중간부재(300)가 베이스(5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측벽(150)의 하단으로부터 토출구(130)까지의 수직 거리, 중간부재측벽(350)의 높이 및 베이스측벽(550)의 높이 각각은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에 비해 더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커버측벽(150)의 높이(hc)와 베이스측벽(550)의 높이(hb)가 서로 동일하게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의 1/2에 근접한 값을 가질 수 있다고 언급되었으나, 중간부재(300)의 추가로 인해 커버측벽(150)의 높이(hc), 중간부재측벽(350)의 높이(hm) 및 베이스측벽(550)의 높이(hb)는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의 약 1/3에 근접한 값으로 낮춰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1700)가 복수의 중간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부재(300) 중 일부는 상단과 하단 모두에 걸림부(37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측벽(150)과 베이스측벽(550) 사이에 n개(n은 자연수)의 중간부재(300)가 구비된 실시예에서는, 가장 내측의 중간부재가 베이스측벽(550)에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고, 나머지 중간부재는 상단과 하단 모두에 걸림부(370)를 포함하여 커버(100) 및 인접한 중간부재(30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가장 외측의 중간부재가 커버측벽(150)에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고, 나머지 중간부재는 상단과 하단 모두에 걸림부(370)를 포함하여 베이스(500) 및 인접한 중간부재(30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리필형 냅킨 케이스(1700)가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냅킨 적층체(50)는 다양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가 각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의 길이(x)와 유사한 것으로 가정하고, 따라서 커버(100)가 가장 아래까지 하강한 상태에서도 바닥판(510)으로부터 토출구(130)까지의 수직 거리가 냅킨(10)을 인출하기에 불편하지 않은 거리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리필형 냅킨 케이스(1700)에서는 냅킨 적층체(50)의 높이(hs)가 냅킨(10)의 미절곡표면(30)의 길이(x)보다 더 크더라도, 하나 이상의 중간부재(300)를 이용해 커버측벽(150), 중간부재측벽(350) 및 베이스측벽(550)의 높이 제한을 제거할 수 있으며, 커버(100)가 가장 아래까지 하강한 상태에서 바닥판(510)으로부터 토출구(130)까지의 수직 거리가 냅킨(10)을 인출하기에 불편하지 않은 거리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리필형 냅킨 케이스
10: 냅킨 50: 냅킨 적층체
100: 커버 110, 120: 상판
130: 토출구 150, 155: 커버측벽
160, 170, 180: 접촉부 200: 롤러
300: 중간부재 350: 중간부재측벽
500: 베이스 510: 바닥판
530, 540: 가이드 550, 555: 베이스측벽

Claims (8)

  1. 서로 겹쳐지게 접힌 복수의 냅킨으로 이루어진 냅킨 적층체를 수납하기 위한 리필형 냅킨 케이스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개방된 커버; 및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커버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토출구가 형성된 상판; 및
    상기 상판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되, 상하 방향을 따라 그 하단으로부터 상기 토출구까지의 수직 거리가 상기 냅킨 적층체의 높이보다 작게 하는 높이로 형성된 커버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냅킨 적층체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되, 상하 방향을 따라 그 상단으로부터 상기 바닥판의 상면까지의 수직 거리가 상기 냅킨 적층체의 높이보다 작게 하는 높이로 형성된 베이스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에 상기 냅킨 적층체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가 결합되면 상기 커버측벽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측벽의 일부와 중첩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냅킨 각각은 절곡선에서 접혀져 상기 절곡선 양측의 미절곡표면을 포함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측벽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토출구까지의 수직 거리 및 상기 베이스측벽의 높이는 모두 상기 미절곡표면의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상판의 하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냅킨 적층체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상판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사지거나 굴곡된 단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지거나 굴곡된 단면의 부분에서 상기 냅킨 적층체의 상부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측벽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측벽 및 상기 베이스측벽은 각각 원형 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측벽과 상기 베이스측벽 중 어느 하나는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측벽과 상기 베이스측벽 중 나머지 하나는 외주면에 상기 걸림돌기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돌기 또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하 방향을 따라 그 수직 거리가 상기 냅킨 적층체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로 형성된 중간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중간부재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형 냅킨 케이스.
KR1020220071633A 2022-06-13 2022-06-13 리필형 냅킨 케이스 KR102638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633A KR102638646B1 (ko) 2022-06-13 2022-06-13 리필형 냅킨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633A KR102638646B1 (ko) 2022-06-13 2022-06-13 리필형 냅킨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274A true KR20230171274A (ko) 2023-12-20
KR102638646B1 KR102638646B1 (ko) 2024-02-27

Family

ID=8937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633A KR102638646B1 (ko) 2022-06-13 2022-06-13 리필형 냅킨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6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338A (ja) * 2000-08-31 2002-03-08 Yoshino Kogyosho Co Ltd ロール紙用ケース
KR20070019751A (ko) * 2004-06-02 2007-02-1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조절 가능한 시트 디스펜서
JP3132545U (ja) * 2007-03-28 2007-06-14 王子ネピア株式会社 衛生用紙収納容器
KR20140106489A (ko) * 2014-08-08 2014-09-03 오슬기 향기 메모지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2545B2 (ja) * 1995-10-04 2001-02-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エンジン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338A (ja) * 2000-08-31 2002-03-08 Yoshino Kogyosho Co Ltd ロール紙用ケース
KR20070019751A (ko) * 2004-06-02 2007-02-1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조절 가능한 시트 디스펜서
JP3132545U (ja) * 2007-03-28 2007-06-14 王子ネピア株式会社 衛生用紙収納容器
KR20140106489A (ko) * 2014-08-08 2014-09-03 오슬기 향기 메모지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646B1 (ko)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2271A (en) Dispenser for roll of material
US8210393B1 (en) Tissue dispensing device
US9901221B2 (en) Dispenser for interfolded napkins
US10398265B2 (en) Dispenser for a stack of web material
WO2011114927A1 (ja) 薄葉紙の供給ケース
CA2959211C (en) Dispenser for interfolded napkins
CN106913266B (zh) 抽纸盒
KR102638646B1 (ko) 리필형 냅킨 케이스
JP5964022B2 (ja) 卓上型ペーパータオル用ディスペンサー
KR101745417B1 (ko)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JP3217558U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ケース
RU2639975C1 (ru) Диспенсер для стопы салфеток
JP2016030192A (ja) ハンドタオルディスペンサ用アタッチメント
JP3221407U (ja) 紙類の収容ケース
KR200420723Y1 (ko) 식판
JP6812026B1 (ja) ロール紙ホルダ
JP3142244U (ja) 玉箱
JP2016222263A (ja) ディスペンサー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アタッチメントを備えるディスペンサー
JP4228083B2 (ja) ペーパーディスペンサ用紙支え補助装置
CA2062594C (en) Folded sheet product dispenser system
US20200268218A1 (en) Dispenser of web material from rolls
KR200324745Y1 (ko) 상부 인출식 담배 인출장치
KR20220011391A (ko) 티슈 케이스
KR100526712B1 (ko) 상부 인출식 담배 인출장치
KR20230020137A (ko) 티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