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9751A - 조절 가능한 시트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시트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9751A
KR20070019751A KR1020067025373A KR20067025373A KR20070019751A KR 20070019751 A KR20070019751 A KR 20070019751A KR 1020067025373 A KR1020067025373 A KR 1020067025373A KR 20067025373 A KR20067025373 A KR 20067025373A KR 20070019751 A KR20070019751 A KR 20070019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sidewall
height
panel
botto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4527B1 (ko
Inventor
홍시아 가오
게리 더글라스 윌리엄스
패트리시아 안 사모린스키
스콧 알렌 바움
사라 마리 에더리지
다프네 린 반부렌
타미 조 발지르
신시아 와츠 헨더슨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70019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시트 재료(22)를 위한 디스펜서(20)는 상부 부분(30), 바닥 부분(24) 및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한 부재(46)를 포함한다.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은 끼워넣어질 수 있어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를 변화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대략 동일한 길이의 바닥 측벽(28)과 상부 측벽(34)을 갖는 디스펜서를 설계함으로써 노출된 시트로의 접근 또는 디스펜서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위한 과도한 조작의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트 재료가 소모됨에 따라 디스펜서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감소할 수 있도록 또는 디스펜서의 상부(32)를 단순히 누름으로써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디스펜서를 설계함으로써 디스펜서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Figure 112006089388433-PCT00001
디스펜서, 상부 패널, 바닥 패널, 제한 부재, 시트, 티슈, 와이프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시트 디스펜서{ADJUSTABLE SHEET DISPENSER}
티슈지 및 습윤 와이프(wet wipe)와 같은 시트 재료는 흔히 적층체 또는 클립(clip) 형태로 맞접혀지며 디스펜서 내로 위치하여 하나의 시트의 제거에 따라 디스펜서의 개구를 통하여 연장된 노출된 부분을 갖는 후속 시트가 부분적으로 분배된다. 다음 시트가 신속한 접근을 위하여 손쉽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 "팝-업(pop-up)" 시트 분배 방법은 많은 용도를 위하여 편리하다. 그러나, 디스펜서의 높이가 증가하고 그리고/또는 나머지 시트의 적층 높이가 감소함에 따라서 팝-업 시트 분배 특징은 신뢰할 수 없는 것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때, 부분적으로 분배된 시트는 집기에 불편한 디스펜서의 내부로 "다시 떨어진다(fall-back)". 분배 개구의 설계는 빈번하게 팝-업 분배 특징을 재시작하기 위한 기재로의 용이한 접근을 방해한다. 화장 티슈 디스펜서에서, 떨어진 시트를 잡아당기기 위하여 손이 디스펜서 내로 도달할 때 특정 위치 내의 팝-업된 시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 폴리 윈도우(poly window) 및 개구가 손상되거나 훼손될 수 있다. 손상은 추가적인 다시 떨어지는 현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분배되려고 하는 기재가 특정 위치에 머무르는 것을 방해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디스펜서들이 설계되었다. 일부 디스펜서는 개구를 향하여 시트 재료를 들어올리기 위한 바이어싱 스프링(biasing spring), 시트 재료를 들어올리는 이동 가능한 바닥부, 또는 보다 신뢰성 있는 분배를 보장하기 위하여 클립을 분배 개구에 대하여 가압하는 다른 방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법이 다시 떨어짐으로 인한 분배 실패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디스펜서들은 고가이거나 다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동안 디스펜서의 불편한 조작을 요구하기 쉽다. 또한, 시트가 소모됨에 따라 시트 제거를 위하여 일부 실행은 디스펜서의 바닥 또는 측부로의 추가적인 개구를 가지며, 이는 디스펜서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하여 비위생적인 것으로 부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사용 중에 디스펜서를 조절 또는 조작하지 않는 것을 선호한다. 디스펜서를 조절하지 않고서도 처음부터 모든 시트가 분배될 때까지 사용자들은 단지 시트가 확실하게 분배되는 것을 원한다.
화장 티슈를 위한 접을 수 있는 박스가 발명의 명칭이 "화장 티슈용 접을 수 있는 박스"인 1965년 12월 21일자로 알렌(Allen)에게 혀여된 미국 특허 제3,224,633호에 개시되어 있다.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를 줄이기 위하여 박스의 상부 부분은 수 개의 찢겨진 부분 또는 스트립을 갖고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의 높이를 줄이기 위하여, 박스의 상부 부분은 찢겨 나가야만 하는 반면에, 하부 트레이는 박스의 상단에 더욱 인접하게 점진적으로 배치된다. 이는 다시 떨어지는 현상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이러한 디스펜서는 사용하기 편리하지 않다. 하부 트레이가 이동할 때마다 찢겨 나가는 상부 부분 상의 보다 긴 측벽과 비교할 때 하부 트레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측벽을 갖기 때문에 하부 트레이를 연속적인 작은 단계들로 점진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과도한 조작이 요구된다.
적층된 시트를 위한 다른 디스펜서가 발명의 명칭이 "적층된 시트 분배를 위한 박스"인 1967년 10월 31일자로 왓킨스(Watkin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349,95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펜서에서, 시트 적층체가 소모됨에 따라 분배 개구를 갖는 디스펜서의 덮개 부분은 제거되어 바닥 부분으로 눌려질 수 있다. 이는 다시 떨어지는 현상을 줄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바닥 부분의 측벽과 비교할 때 덮개는 비교적 짧은 측벽을 갖는다. 그 결과, 적층체가 거의 소모된 때, 보다 긴 바닥 측벽이 덮개 위에서 상당히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들은 바닥 부분의 영역 내로부터 분배된다. 팝-업된 시트가 더 이상 측부에 도달될 수 없거나 측부로부터 잡을 수 없기 때문에 이는 팝-업된 시트로의 접근을 감소시키나, 대신 바닥 부분으로 도달함으로써 단지 상부로부터 잡혀져야 한다. 또한, 덮개가 잔해물을 포획할 수 있는 공동을 형성하는 바닥 부분 내로 떨어짐에 따라 바닥 측벽이 덮개 상으로 충분하게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디스펜서는 바닥 부분 내의 오물, 먼지 또는 보플을 포획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것은 다시 떨어지는 현상을 줄이고 종래의 디스펜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경제적인 디스펜서이다. 또한, 필요한 것은 자체 조절되는 또는 최소한의 조작으로 조절될 수 있는 디스펜서이다.
시트 재료를 위한 디스펜서는 상부 부분, 바닥 부분 및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한다.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은 끼워넣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바닥 측벽과 상부 측벽을 갖는 디스펜서를 설계함으로써 노출된 시트로의 접근 또는 디스펜서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위한 과도한 조작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시트 재료가 소모됨에 따라 디스펜서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감소할 수 있도록 또는 디스펜서의 상부를 단순히 누름으로써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디스펜서를 설계함으로써 디스펜서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바닥 패널 및 바닥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바닥 측벽 높이를 갖는 바닥 측벽을 포함하는 바닥 부분; 상부 패널 및 상부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상부 측벽 높이를 갖는 상부 측벽을 포함하는 상부 부분; 상부 패널 내에 위치한 분배 개구; 및 바닥 부분과 상부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이며, 여기서 상부 부분이 바닥 부분에 대하여 이동함에 따라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가 감소될 수 있도록 바닥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부 부분 내에 포개지며, 상부 측벽 높이에 대한 바닥 측벽 높이의 비는 약 0.7 내지 약 1.3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바닥 패널 및 바닥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바닥 측벽 높이를 갖는 바닥 측벽을 포함하는 바닥 부분; 상부 패널 및 상부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상부 측벽 높이를 갖는 상부 측벽을 포함하는 상부 부분; 상부 패널 내에 위치한 분배 개구; 및 바닥 부분과 상부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이며, 여기서 상부 부분이 바닥 부분에 대하여 이동함에 따라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가 감소될 수 있도록 상부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닥 부분 내에 포개지며, 상부 측벽 높이에 대한 바닥 측벽 높이의 비는 약 0.7 내지 약 1.3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바닥 패널 및 바닥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바닥 측벽 높이를 갖는 바닥 측벽을 포함하는 바닥 부분; 상부 패널 및 상부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상부 측벽 높이를 갖는 상부 측벽을 포함하는 상부 부분; 상부 패널 내에 위치한 분배 개구; 및 바닥 부분과 상부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이이며, 여기서 바닥 부분과 상부 부분은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끼워넣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바닥 패널 및 바닥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바닥 측벽 높이를 갖는 바닥 측벽을 포함하는 바닥 부분; 상부 패널 및 상부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상부 측벽 높이를 갖는 상부 측벽을 포함하는 상부 부분; 상부 패널 내에 위치한 분배 개구; 및 바닥 부분과 상부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 측벽 상의 하부 돌기와 상부 측벽 상의 상부 돌기를 포함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펜서이며, 여기서 바닥 부분과 상부 부분은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끼워넣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태양 및 다른 특징, 태양 및 이점은 하기의 설명, 첨부된 청구의 범위 및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1은 기재를 위한 디스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선 2-2에서 취한 도1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3은 접혀진 이후의 선 2-2에서 취한 도1의 단면도이다.
도4A는 도2의 점선 원형 부분으로부터 취한 제한 부재의 일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4B는 도2의 점선 타원 부분으로부터 취한 제한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5는 선 2-2에서 취한 도1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6은 선 6-6에서 취한 도1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의 도면 부호의 반복된 사용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 또는 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정의
본 설명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어 "포함하다", "구비하다" 및 "함유하다"의 형태는 법적으로 동등하며 제한이 없다. 따라서, 추가적인 비-재인용된 요소, 기능, 단계 또는 제한은 재인용된 요소, 기능 단계 또는 제한에 더하여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 사용된 바와 같은, "제한 부재(restraining member)"는 디스펜서 및 그 내용물이 상부 부분에 의해서만 표면 위로 들어 올려질 때 제한 부재의 작용으로 인하여 디스펜서의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이 서로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이다. 제한 부재는, 디스펜서가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할 때와 같이 사용시 디스펜서의 수직 이동 동안에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된 반면에 디스펜서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허용한다. 과도한 흔들림, 떨어지는 동안 다른 물체에 의한 강렬한 충격과 같은 과격한 취급 상황 동안에 또는 온도 또는 습도 변화가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을 함께 계속 유지시키는 제한 부재의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곳에서 장시간 동안 상부 부재에 의하여 디스펜서가 매달려 있을 때 제한 부재는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없다. 제한되지는 않지만, 제한 부재는 연장되거나 다른 돌기 또는 구멍과 상호 맞물리는 물리적 돌기, 측벽과 같은 디스펜서의 다른 부분과 압축 접촉 상태에 있는 상부 부분 또는 하부 부분 상의 코일 스프링,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부착하는 스트랩(strap) 또는 다른 가요성 기판,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을 이동시키는 반면에 서로 유지시키는 접착 또는 점착성 접합, 양 부분들 사이의 활주 마찰을 증가시키는 코팅막 또는 양 부분을 서로 유지하기에 충분한 마찰을 발생시키는 활주 억지 끼워맞춤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시트 재료"는 가요성 기판이며, 이는 가사(household chores), 세척, 개인 관리, 건강 관리, 음식 포장 및 화장품 바름 또는 제거에 유용하다. 디스펜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기재의 비제한적인 예들은 부직포 기재; 부직포 기재; 습식 엉킴된 기재(hydro-entangled substrate); 건식 엉킴된 기재(air-entangled substrate); 티슈지, 휴지 또는 종이 타올과 같은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종이 기재; 파라핀 종이 기재; 셀룰로오스 섬유 및 폴리머 섬유를 포함한 코폼 기재(coform substrate); 습윤 와이프, 수분 세척 와이프, 수분 휴지 와이프 및 유아용 와이프와 같은 습윤 기재; 음식을 포장하기 위하여 사용 되는 것과 같은 필름 또는 플라스틱 기재; 매장 타올(shop towel); 및 알루미늄 포일과 같은 금속 기재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기재들 중 임의의 기재의 2개 이상 층의 적층된 또는 겹쳐진 기재 또한 적절하다.
본 명세서 내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습윤 시트 재료"는 적절한 액체에 의하여 젖은 또는 미리 적셔진 기재, 적절한 액체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적셔진 기재, 또는 초기에는 건조 상태이지만 물 또는 용매와 같은 적절한 액체 내로 담겨짐으로써 사용 전에 적셔질 것으로 의도된 기재를 포함한다. 적절한 습윤 기재의 비제한적인 예는 거품형성 계면활성제 및 기재 내로 스며들거나 기재에 발라진 컨디셔닝제를 함유(물의 10 중량% 이하의)한 실질적으로 마른 기재를 포함하여 사용 전에 물로 기재를 적시는 것으로 개인적인 세정 제품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기재들이 발명의 명칭이 "실질적으로 마른 기재를 갖는 세정 제품"인 1999년 11월 9일자로 포울러(Fowl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980,931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적절한 습윤 시트 재료는 캡슐화된 성분을 가질 수 있어 이 캡슐이 분배 또는 사용 동안에 터지게 된다. 캡슐화된 재료의 예들은 발명의 명칭이 "캡슐화된 재료"인 1993년 6월 1일자로 엘-노칼리(El-Nokal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215,757호 및 발명의 명칭이 "캡슐화된 화장 성분"인 1997년 2월 4일자로 엘-노칼리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599,555호에 개시된 재료들을 포함한다. 다른 적절한 습윤 시트 재료는 사용중(in-use) 전단력 또는 압축력을 받을 때 액체를 분출하는 마른 기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재는 발명의 명칭이 "습윤형 세척 물품"인 2000년 9월 19일자로 맥케이(Mackay)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121,165호에 개시된 기재를 포함 한다.
상세한 설명
본 설명이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일 뿐 본 발명의 보다 넓은 태양을 제한하려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며 보다 넓은 태양이 예시적인 구성 내에서 구현된다는 것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하여 이해될 것이다.
도1, 도2 및 도3을 참고하면, 시트 재료(22)를 위한 디스펜서(2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다. 디스펜서는 건식 또는 습윤 시트 재료를 분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서는 접혀진 시트 재료의 적층체(23)를 수용한다.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화장 티슈 시트를 위한 팝-업 분배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의 리치-인(reach-in) 또는 팝-업(pop-up) 분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접혀진 적층체는 접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펜서는 티슈 시트의 접혀진 적층체를 수용하며 시트 재료가 팝-업되지 않는 리치-인 디스펜서이다. 디스펜서는 바닥 부분(24)을 포함하며, 바닥 부분은 바닥 패널(26) 및 바닥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바닥 측벽(28)을 갖는다. 디스펜서는 또한 상부 패널(32) 및 상부 패널로부터 연장된 상부 측벽(34)을 갖는 상부 부분(30)을 포함한다. 분배 개구(36)는 상부 패널에 위치한다. 필요하다면, 안으로 절개된 슬릿(56)을 갖는 분배 윈도우(54)가 분배 개구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분배 윈도우는 플라스틱, 필름, 종이, 부직포 또는 노출된 시트가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돕는 다른 가요성 기판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습윤 시트 재료를 분배하면, 분배 개구를 밀폐하기 위 하여 적절한 덮개 또는 캡이 이용될 수 있어 기재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적절한 감압 접착제를 갖는 가요성 덮개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강성 플립 형태(rigid flip type)의 덮개 또는 캡이 디스펜서에 부착될 수 있다. 시트 재료가 분배되는 동안 습기를 유지하기 위한 대안적인 덮개들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알려져 있다.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은 서로 포개져 있어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 H(37)는 초기 높이 Hi(38)에서 최종 높이 Hf(40)로 조절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바닥 부분(24)이 상부 부분(30) 내로 끼워넣어지거나 포개질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30)이 바닥 부분(24) 내로 끼워넣어지거나 포개질 수 있다. 측벽의 형상 또는 전체 디스펜서의 형상은 결정적인 것은 아니며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은 서로 끼워넣어지거나 포개질 수 있다.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를 줄임으로써 디스펜서의 내부로 시트가 다시 떨어지는 것이 감소 또는 제거되는 개선된 티슈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분배된 시트가 분배 개구를 통하여 다음 시트를 부분적으로 잡아당길 만큼 오랫동안 다음 시트와 마찰 접촉 상태에 남아 있을 가능성을 상호 접혀진 시트의 적층체와 분배 개구 사이의 보다 짧은 거리가 증가시키기 때문에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조절 가능한 높이를 갖는 디스펜서를 위한 부가적인 이점들은 디스펜서가 그의 가장 낮은 위치로 조절되기 때문에 디스펜서가 소모에 가까워졌음을 사용자에게 신호를 보내는 것, 초기에는 높은 사용 속도를 갖는 일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고 후에는 다른 사용 속도를 갖는 다른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또는 사용자의 가정에서 사용자의 차로 디스펜서를 이동하는 것과 같은 보다 작은 디스펜서를 원하는 경우의 디스펜서에 대비하는 것, 시트 재료가 소모됨에 따라 더욱 콤팩트한 디스펜서의 제공에 의한 미적 유리함, 또는 시트 재료가 제거됨에 따라 리치-인 분배를 위한 디스펜서의 빈/소모된 외관 감소를 포함한다.
바닥 측벽은 바닥 측벽 높이 Hb(42)를 가지며, 상부 측벽은 상부 측벽 높이 Ht(44)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서가 조절될 필요가 있는 회수를 줄이기 위하여 바닥 측벽 높이 Hb와 상부 측벽 높이 Ht는 대략 동일하다. 시트의 약 1/2이 분배되고 그로 인하여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가 약 1/2까지 감소할 때 디스펜서는 초기 높이 Hi에서 최종 높이 Hf까지 단지 한 차례 조절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이 바닥 부분 내에 포개어질 때, 디스펜서가 가장 낮은 높이에 있을 때 바닥 측벽은 상부 패널과 대략 같은 높이로 될 수 있으며, 시트 재료로의 접근이 개선된다. 디스펜서가 그의 가장 낮은 높이로 조절될 때 바닥 측벽이 상부 패널을 지나 연장된다면, 이는 상부 패널 위에서의 공동 형성을 제거한다. 이 공동은 먼지 또는 다른 잔해물을 수집할 수 있으며 노출된 시트로의 접근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에서, 상부 측벽 높이 Ht에 대한 바닥 측벽 높이 Hb의 비 Hb/Ht은 약 0.6 내지 약 2, 약 0.7 내지 약 1.3, 약 0.8 내지 약 1.2, 약 0.9 내지 약 1.1 또는 약 0.95 내지 약 1.05이다. 소정 실시예에서, 디스펜서 가 조작될 필요가 있는 회수를 최소화하는 반면에 전체 높이 감소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1.0에 보다 근접한 비를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여러 가지 형태의 제한 부재를 적응시키고 또는 디스펜서의 높이가 한번 이상 조절되게 하도록 측벽들은 높이 면에서 보다 큰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측벽 높이 Ht는 바닥 측벽 높이 Hb와 동일하다. 여러 실시예들에서, 상부 패널 및 바닥 패널의 두께를 위하여 적응하기 위해 그리고 후술할 바와 같은 바닥 부분에 대하여 상부 부분을 밀봉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측벽 높이 면에서의 일부 변화는 허용될 수 있다.
디스펜서의 초기 높이 Hi는 원하는 시트의 수를 위한 디스펜서의 필요한 용량에 따라 필요로 하는 어떠한 크기 및 시트의 두께 및 시트가 접혀지는 방법에 따라 요구되는 부피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펜서는 약 1 인치 내지 약 24인치, 약 1 인치 내지 약 18 인치 또는 약 1 인치 내지 약 6 인치의 초기 높이 Hi 를 가질 수 있다. 디스펜서의 최종 높이 Hf는 디스펜서의 가장 낮은 위치에서 상부 부분 또는 바닥 부분이 다른 부분 내에서 얼마큼 포개져있는지 그리고 측벽 높이들의 비에 좌우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펜서는 약 1/2 인치 내지 약 12인치, 약 1/2 인치 내지 약 9 인치 또는 약 1/2 인치 내지 약 3 인치의 최종 높이 Hf를 가질 수 있다.
디스펜서는 또한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이 서로에 대하여 끼워넣어지게 하는 반면에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한 부재(46)를 포함한다. 제한 부재는 상부 및 하부 측벽으로부터 연장된 돌기들, 하나의 부분 상의 탭(tab) 및 결합부 상의 슬롯(slot), 상부 부분 및 바닥 부분에 부착된 가요성 기판, 또는 측벽의 접착제 또는 점착성 코팅 또는 처리, 후크와 루프 재료와 같은 기계적인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기계적인 고정구는 루프 작용을 나타내는 하나의 측벽 및 루프 재료와의 결합을 위한 돌기를 갖는 다른 측벽을 갖는다. 돌기를 형성하기 위하여 측벽의 부분을 펀칭함으로써 형성된 돌기와 같은 제한 부재는 디스펜서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또는 제한 부재는 추가된 요소 또는 마찰 코팅 또는 가요성 스트랩(strap)과 같은 다른 재료일 수 있다.
제한 부재(46)를 위한 2개의 가능한 실시예가 도4A 및 도4B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제한 부재는 바닥 측벽 상의 하부 돌기(48) 및 상부 측벽 상의 상부 돌기(50)를 포함한다. 상부 돌기 및 하부 돌기는 각 측벽으로부터 연장되고 서로 결합하며, 그로 인하여 디스펜서를 이동시키거나 재위치시키기 위하여 디스펜서를 들어올릴 때,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펜서를 새로운 시트 재료로 다시 채우기 위해 상부 부분 및 바닥 부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측벽들 중 어느 하나를 압착함으로써 돌기들은 결합 해제될 수 있다. 돌기의 단면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L" 형태일 수 있거나,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돌기를 위하여 반 만곡형(half-round), 타원형, 또는 사각형과 같은 다른 단면이 사용될 수 있다. 측벽의 자유단 근처의 각 측벽의 주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제한 부재를 부착함으로 써 돌기는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른 측벽과 결합하기 위하여 측벽 자체의 부분들이 펀칭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어느 부분이 끼워넣어지도록 의도되었는가에 따라 부가적인 돌기들이 상부 측벽 또는 하부 측벽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B에서의 상부 돌기는 상부 측벽을 따라서 적어도 2개의 상부 돌기를 포함하며, 어떠한 2개의 돌기 사이에는 간격(52)이 존재한다. 다수의 돌기를 제공하는 목적은 상부 부분 또는 바닥 부분이 다양한 중간 높이로 신속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돌기 및 하부 돌기가 한 방향으로 서로를 지나 활주되도록 하는 반면에 반대 방향으로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 부재를 위한 삼각형 프로파일 또는 다른 프로파일이 이용될 수 있다. 하부 돌기(48)가 2개의 상부 돌기(50) 사이의 간격(52)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상부 부분 및 바닥 부분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부 부분을 낮추고자 할 때, 상부 패널에 힘을 가하며, 이 힘은 하부 돌기로 하여금 하나의 상부 돌기를 지나 활주되게 하고 다음 간격 내로 활주되게 한다. 다음 간격 내에서 잡혀있는 하부 돌기로 인하여 박스의 높이는 낮아지며, 상부 부분이 위로 들어 올려질 때 바닥 부분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는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정하는 방법을 위하여 제공된다. 상부 부분을 누름으로써 상부 부분은 일련의 단계들로 빠르게 "하향 래칫(ratcheted downward)"될 수 있다. 이는 디스펜서의 높이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디스펜서를 들어올려야만 하는 것을 또는 디스펜서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다른 과도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예방한다.
도1 및 도5를 참고하면, 디스펜서를 위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상부 부분(30)과 바닥 부분(24)은 가요성 기판(58)을 포함하는 제한 부재(46)에 의하여 서로 지지되어 있다. 가요성 기판은 플라스틱, 필름, 종이, 부직포, 직포 기재, 스트링(strings), 밴드(bands) 또는 압축력이 가해질 때 쉽게 접혀질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은 폴리 필름 분배 윈도우(54)의 연장부를 포함한다. 분배 윈도우 제한 부재는 상부 패널(32)에 부착되고 바닥 측벽(28)에 부착된다. 가요성 기판을 디스펜서 내의 여러 위치들에 부착하기 위하여 접착제(60)가 사용될 수 있다. 가요성 기판이 상부 측벽(34)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바닥 부분은 상부 부분 내로 끼워넣어질 수 있으며, 힘이 상부 패널에 가해질 때, 가요성 기판은 접혀질 것이다. 가요성 기판이 상부 부분을 바닥 부분에 연결하기 때문에 디스펜서를 이동 또는 재위치시킬 때 가요성 기판은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이 완전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1 및 도6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가요성 기판 제한 부재(58)는 상부 패널(32) 근처의 상부 측벽(34) 및 바닥 측벽(28)에 부착된다. 필요한 경우, 분배 윈도우(54)를 형성하기 위하여 별개의 가요성 기판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 부분은 상부 부분 내로 끼워넣어질 수 있다. 디스펜서가 완전하게 접어질 때 하부 측벽이 점유하기에 유용한 공간의 양적인 면에서의 근소한 감소에 맞추기 위하여 상부 측벽 높이에 대한 바닥 측벽 높이의 비는 조절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도1 내지 도6 내의 디스펜서들 중 어떠한 것도 상부 측벽과 바닥 측벽 사이에 밀봉재(seal)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밀봉 부재가 파손될 때까지 밀 봉재는 바닥 부분에 대한 상부 부분의 이동을 초기에 방지한다. 밀봉재는 절단 접착제(break away adhesive), 점착성 밀봉재(cohesive seal; 도5) 또는 디스펜서로부터 벗겨질 수 있는 제거 가능한 인열 스트립(tear strip; 도6)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 재료를 갖는 디스펜서의 자동화된 적재를 위한 절차를 밟을 때 디스펜서에 추가적인 완전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또는 선적 동안에 디스펜서의 접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재가 이용될 수 있다. 그 후 디스펜서의 높이 조절 직전에 또는 제1 시트가 처음에 분배될 때 밀봉재는 부러질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도1 내지 도6의 디스펜서들 중 어떠한 것도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 사이에 피트(64; fit)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피트는 디스펜서의 끼워넣는 동작을 제어하는 크기로 만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트는 상부 측벽과 바닥 측벽 사이의 간극을 포함하여 시트 적층체가 소모됨에 따라서 디스펜서의 상부 부분이 자동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시트 분배 동안에 상부 부분이 적층체에서 과도하게 들어 올려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부 부분의 무게는 조절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상부 부분을 형성하는 재료의 부가적인 층, 보다 고밀도의 재료 또는 무게가 상부 부분에 추가될 수 있어 신뢰성 있는 동작을 보장한다. 시트 분배 동안에 적층체와 접촉하는 중량(重量)의 상부 부분을 가짐으로써 적층체 내의 연속적인 시트들의 마찰 결합이 증가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팝업-분배 특징의 신뢰도가 증가하며, 반면에 시트와 디스펜서 사이의 마찰 접촉이 분배 동안에 시트 재료의 찢어짐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만큼 충분히 낮아지는 것을 보장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피트(64)는 상부 측벽과 바닥 측벽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 부 또는 활주 마찰 끼워맞춤부를 포함하며, 디스펜서를 위한 단독 제한 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거나 가요성 기판(58)과 같은 다른 제한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억지 끼워맞춤부로 인하여, 시트 적층체가 소모됨에 따라 힘이 상부 패널에 가해져 상부 부분이 낮아질 때까지 디스펜서의 상부 부분은 적당한 위치에 체류할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상부 패널이 디스펜서 내에서 적층체에 접촉할 때 적절하게 분배될 수 없는 보다 약한 그리고/또는 보다 경직된 시트를 위하여 바람직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도1 내지 도6의 디스펜서들 중 임의의 디스펜서가 상부 부분에 부착된 스페이서(들)(도6의 66)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스페이서는 적층체(23)의 단지 일부분 상에 얹혀지거나 접촉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적층체(23)의 상부와 상부 패널(32) 사이에 간극 높이(Hc)를 유지할 수 있다. 적층체(23)와 분배 개구(36) 사이에 작은 갭(gap)을 제공함으로써 이 간극은 많은 시트 재료가 분배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리치-인 분배 동안에 또는 팝-업 분배를 위하여 시트 재료를 끌어당길 때, 갭은 유용할 수 있어 더 큰 신뢰도를 보장한다. 상부 부분이 조절됨에 따라 시트 재료가 완전히 소모될 때까지 스페이서(들)은 최소 갭을 유지할 것이다. 적층체의 길이를 따라서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들이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스페이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중 하나의 스페이서는 상부 부분(30) 내의 분배 개구(36) 바로 밖의 적층체의 각 종단에 가깝게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페이서들은 상부 부분과 동일한 상자 재료로 형성되었으며, 상부 패널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간극 높이(Hc)는 약 1 mm 내지 약 30 mm, 또는 약 1 mm 내지 약 20 mm, 또는 약 1 mm 내지 약 10 mm일 수 있다.
디스펜서의 상부 측벽 및 바닥 측벽은 끼워넣어지거나 포개지는 어떤 형상 또는 크기일 수 있다. 어떤 적절한 기하학적인 포개지는/끼워넣어지는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적절한 형상들은 삼각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타원형, 원형, 별 형상(star shaped) 또는 홈 형상(fluted)을 포함한다. 디스펜서의 전체 크기 및 측벽의 형상은 디스펜서 내에 위치한 시트 재료를 적절하게 분배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대로 설계될 수 있다. 디스펜서의 크기와 형상은 분배된 시트 재료의 크기, 디스펜서 내에 위치하기 전에 시트들이 어떻게 접혀지는지, 디스펜서 내로 위치된 시트의 수, 적층체의 방향 및 디스펜서 내의 적층체의 형상 및 분배된 재료의 특성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시트 재료를 적절하게 분배하기 위하여 하나의 용인될 수 있는 형상이 사용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패널과 바닥 패널은, 상부 부분이 바닥 부분 내로 포개지는지 또는 그 대신 바닥 부분이 상부 부분 내로 포개지는지 여부에 따라 패널들이 서로에 대하여 다소 넓거나 좁을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약 24 cm 길이×12 cm 폭의 크기를 갖는 사각 형상을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상부 측벽과 바닥 측벽은 상부 패널 및 바닥 패널에 부착된 2쌍의 대향 패널을 포함한다. 한 쌍의 대향 측벽들은 약 5.5 cm의 높이와 약 12 cm의 깊이를 갖는 패널들을 포함한다. 다른 쌍의 대향 측벽들은 약 5.5 cm의 높이와 약 24 cm의 길이를 갖는 패널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크기는 적층체 형태로 접혀지고 디스펜서 내에 위치할 때 평평한 상자 내의 표준 크기의 화장 티슈 시트를 분배하는 데에 유 용하다. 디스펜서의 초기 높이는 약 11 cm이고 최종 높이는 약 5.5cm이다. 서로 부착된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으로 인해 디스펜서는 사각 박스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패널과 바닥 패널은 상부 부분이 바닥 부분 내로 포개지는지 또는 그 대신 바닥 부분이 상부 부분 내로 포개지는지 여부에 따라 패널들이 서로에 대하여 다소 넓거나 좁을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약 11 cm 길이×12 cm 폭의 크기를 갖는 정사각 형상을 포함한다. 한 쌍의 대향 측벽들은 약 6.5 cm의 높이와 약 11 cm의 깊이를 갖는 패널들을 포함한다. 다른 쌍의 대향 측벽들은 약 6.5 cm의 높이와 약 11 cm의 길이를 갖는 패널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크기는 적층체 형태로 접혀지고 디스펜서 내에 위치할 때 수직 상자 내의 표준 크기의 화장 티슈 시트를 분배하는 데에 유용하다. 1/2로 한번 접고 그 후 1/2로 다시 한번 접음으로써 휴지 또는 시트 재료는 1/4 시트 크기로 접혀질 수 있다. 팝-업 분배를 제공하기 위하여 1/4 시트 크기의 티슈들은 끼워져 있을 수 있다. 내부 체적이 보다 적은 불필요한 공간으로 더 효과적으로 채워지기 때문에 적층체가 U 형태로 접혀지는 경우에 이는 표준 수직 디스펜서보다 더 많은 티슈를 유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디스펜서의 초기 높이는 약 13 cm이고 최종 높이는 약 6.5cm이다. 서로 부착된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으로 인하여 디스펜서는 입방체 형상(cube)을 포함한다.
제한 부재(46) 및/또는 밀봉재(62)는 상부 측벽 및 바닥 측벽의 임의의 부분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부재 또는 양 부재들이 상부 측벽 및 바닥 측벽의 전체 주변을 따라서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밀봉재가 제거될 수 있으며, 주변의 단지 일부분을 따라, 이를테면 도1에서 측벽들을 형성하는 보다 긴 대향 패널의 상부 패널을 따라서 제한 부재가 위치한다. 대안적으로, 밀봉재가 전체 주변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으며, 제한 부재는 단지 일부분을 따라 연장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재는 주변의 일부분을 따라 위치할 수 있으며, 제한 부재는 다른 부분을 따라 위치한다. 예를 들어, 도1에서, 제한 부재는 보다 긴 측벽 부분을 따라서 위치할 수 있는 반면에, 밀봉재는 대향 측벽 패널의 보다 짧은 측벽 부분을 따라 위치한다. 대안적으로, 제한 부재는 보다 짧은 측벽 부분을 따라 위치할 수 있으며, 밀봉재는 보다 긴 측벽 부분을 따라서 위치한다.
습윤 시트 재료를 수용할 때, 가요성 제한 부재(58)는 수 불침투성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사이의 전체 주변을 따라서 위치할 수 있고 또한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에 부착 또는 밀봉되어 디스펜서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허용하는 반면에 수분 손실을 방지한다. 대안적으로, 피트(64)는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활주 부재 또는 억지 끼워맞춤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돌기들(48, 50)을 위하여 탄성 재료 또는 신축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어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와 유사하게 돌기들은 대향 측벽에 접촉하며, 그로 인하여 수분 손실이 방지된다.
디스펜서의 여러 가지 요소들은 최소한으로 가해진 힘으로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는 어떤 적절한 가요성 재료 또는 강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가요성 재료는 다른 적절한 대안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아미드, 아세테이트, 셀로판, 고무,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금속 포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은 단일 층, 상기 재료들의 얇은 적층체 또는 금속 포일층을 갖는 적층체일 수 있다. 적절한 강성 재료는 다른 적절한 대안들 중에서도 보드지(cardboard), 상자 스톡(carton stock), 판지(paper board),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ABS 플라스틱, 플라스틱, 금속, 목재 및 글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는 가요성 재료 및 강성 재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내구성을 고려하여 디스펜서를 형성하는 재료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디스펜서는 임의적으로 재충전 가능성을 갖는 내구재 및 일회용 물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구성이 있는 재충전 가능한 디스펜서를 제조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2개의 부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측벽들을 굽히거나 고정함으로써 상부 및 하부 돌기와 같은 제한 부재의 작용을 무기력하게 함으로써 상부 부분 및 바닥 부분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다른 변형 및 여러 가지 변화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보다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여러 가지 실시예들의 태양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호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모든 인용된 참고 문헌, 특허 또는 특허를 위한 상기 출원 내의 특허출원들은 일관된 방법으로 본 명세서 내에서 참조로 포함된다. 본 출원에 포함된 참고 문헌 사이의 불일치 또는 모순의 경우에는, 본 출원 내에 존재하는 정보가 우세하게 적용되어야 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청구된 본 발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로서 주 어진 앞선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으며, 이는 청구의 범위 및 그에 대한 모든 등가물에 의하여 한정된다.

Claims (23)

  1. 바닥 패널 및 바닥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바닥 측벽 높이를 갖는 바닥 측벽을 포함하는 바닥 부분과,
    상부 패널 및 상부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상부 측벽 높이를 갖는 상부 측벽을 포함하는 상부 부분과,
    상부 패널 내에 위치한 분배 개구 및
    바닥 부분과 상부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상부 부분이 바닥 부분에 대하여 이동함에 따라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가 감소될 수 있도록 바닥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부 부분 내에 포개지며,
    상부 측벽 높이에 대한 바닥 측벽 높이의 비는 약 0.6 내지 약 2인 디스펜서.
  2. 바닥 패널 및 바닥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바닥 측벽 높이를 갖는 바닥 측벽을 포함하는 바닥 부분,
    상부 패널 및 상부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상부 측벽 높이를 갖는 상부 측벽을 포함하는 상부 부분,
    상부 패널 내에 위치한 분배 개구 및
    바닥 부분과 상부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상부 부분이 바닥 부분에 대하여 이동함에 따라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가 감 소될 수 있도록 상부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닥 부분 내에 포개지며,
    상부 측벽 높이에 대한 바닥 측벽 높이의 비는 약 0.6 내지 약 2인 디스펜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측벽과 바닥 측벽 각각은 적어도 2쌍의 대향 측벽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측벽과 바닥 측벽 각각은 원형 또는 타원 형상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한 부재는 상부 측벽과 바닥 측벽 모두의 적어도 일부분에 적용되는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한 부재는 상부 패널에 부착되고 상부 측벽을 지나 연장되어 바닥 측벽에 부착된 분배 윈도우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한 부재는 바닥 측벽 상의 하부 돌기 및 상부 측벽 상의 상부 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는 삼각형 형상인 디스펜서.
  9. 제7항에 있어서,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는 L자 형상인 디스펜서.
  10. 제7항에 있어서, 상부 돌기는 갭에 의하여 분리된 적어도 2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하부 돌기는 돌기들 사이의 갭 내에 있는 디스펜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한 부재는 상부 측벽과 바닥 측벽 사이에 억지 끼워맞춤부를 포함하여,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이 마찰 접촉에 의하여 함께 유지되며 외력이 가해질 때에만 상부 부분이 낮게 이동하는 디스펜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측벽과 바닥 측벽 사이에 헐거운 끼워맞춤부를 포함하여, 가해진 외력 없이도 상부 부분이 자동적으로 낮아지는 디스펜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 H는 초기 높이 Hi에서 최종 높이 Hf까지 약 1/2만큼 감소하는 디스펜서.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측벽과 바닥 측벽 사이에 밀봉재를 더 포함하며, 밀봉 부재가 파손될 때까지 밀봉재는 바닥 부분에 대한 상부 부분의 이동을 초기에 방지하는 디스펜서.
  15. 제14항에 있어서, 밀봉재는 제거 가능한 스트립을 포함하는 디스펜서.
  16. 제14항에 있어서, 밀봉재는 상부 부분과 바닥 부분 사이에 접착제 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스펜서 내에 수용되는 시트 재료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스펜서 내에 수용되는 습윤 시트 재료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19. 제18항에 있어서, 제한 부재는 바닥 부분에 대하여 상부 부분을 밀봉하여, 습윤 시트 재료의 수분 손실을 감소시키는 디스펜서.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부 측벽 높이에 대한 바닥 측벽 높이의 비는 약 0.8 내지 약 1.2인 디스펜서.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디스펜서 내에서 상부 패널과 시트 재료의 적층 체 사이의 간격 높이 Hc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부 부분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디스펜서.
  22. 바닥 패널 및 바닥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바닥 측벽 높이를 갖는 바닥 측벽을 포함하는 바닥 부분과,
    상부 패널 및 상부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상부 측벽 높이를 갖는 상부 측벽을 포함하는 상부 부분과,
    상부 패널 내에 위치한 분배 개구 및
    바닥 부분과 상부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바닥 부분과 상부 부분은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끼워넣어질 수 있는 디스펜서.
  23. 바닥 패널 및 바닥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바닥 측벽 높이를 갖는 바닥 측벽을 포함하는 바닥 부분과,
    상부 패널 및 상부 패널로부터 연장되고 상부 측벽 높이를 갖는 상부 측벽을 포함하는 상부 부분과,
    상부 패널 내에 위치한 분배 개구 및
    바닥 부분과 상부 부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 측벽 상의 하부 돌 기와 상부 측벽 상의 상부 돌기를 포함하는 제한 부재를 포함하며,
    바닥 부분과 상부 부분은 디스펜서의 전체 높이를 변화시키도록 끼워넣어질 수 있는 디스펜서.
KR1020067025373A 2004-06-02 2005-04-25 조절 가능한 시트 디스펜서 KR101174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60,357 US7273156B2 (en) 2004-06-02 2004-06-02 Adjustable sheet dispenser
US10/860,357 2004-06-02
PCT/US2005/014170 WO2005120986A1 (en) 2004-06-02 2005-04-25 Adjustable sheet dispens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751A true KR20070019751A (ko) 2007-02-15
KR101174527B1 KR101174527B1 (ko) 2012-08-16

Family

ID=3496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373A KR101174527B1 (ko) 2004-06-02 2005-04-25 조절 가능한 시트 디스펜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73156B2 (ko)
EP (1) EP1765692B1 (ko)
KR (1) KR101174527B1 (ko)
AU (1) AU2005252164B2 (ko)
DE (1) DE602005012104D1 (ko)
MX (1) MXPA06013974A (ko)
WO (1) WO20051209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70U (ko) * 2021-11-05 2023-05-12 이재광 인출이 용이한 티슈박스
KR20230171274A (ko) * 2022-06-13 2023-12-20 이현지 리필형 냅킨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22478D0 (en) * 2003-09-25 2003-10-29 Agahi Arjang Cover device for a medical instrument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same
US8757432B2 (en) * 2004-11-12 2014-06-24 Sca Tissue North America Llc Top-dispensing absorbent sheet dispenser
ATE432817T1 (de) 2005-04-01 2009-06-15 Ranpak Corp Manuelles polstersystem und verfahren
US20070119858A1 (en) * 2005-11-29 2007-05-31 Ihab Ayoub Multifunctional dispenser
US20070131705A1 (en) * 2005-12-09 2007-06-14 Behravesh Casey B Object dispenser
WO2007071273A1 (en) * 2005-12-22 2007-06-28 Sca Hygiene Products Ab Package for distribut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sanitary products
US20070194035A1 (en) * 2006-02-17 2007-08-23 Michael Kivatisky Tissue housing and dispens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US20070215629A1 (en) * 2006-03-16 2007-09-20 Arthur Wong Sheets having inverting dispensing pattern, dispenser therefor and method of dispensing
US20080142539A1 (en) * 2006-12-19 2008-06-19 Ari Tao Adler Personal care product dispenser
US20080142535A1 (en) * 2006-12-19 2008-06-19 Ari Tao Adler Personal care product dispenser
DE202007013517U1 (de) * 2007-09-27 2007-12-20 Pöppelmann Holding GmbH & Co. KG Spender o.dgl. Ausgabebehälter
JP4572228B2 (ja) * 2007-12-10 2010-11-04 大王製紙株式会社 衛生薄葉紙収納箱
US7665628B1 (en) * 2008-07-24 2010-02-23 Loren Milligan Tissue box cover
US20100078444A1 (en) * 2008-09-30 2010-04-01 Thomas Gerard Shannon Compressed tissue product
ES2429797T3 (es) * 2008-12-17 2013-11-15 Actherm Inc. Recipiente para la distribución de cubre-sondas de termómetros para oídos
TWI425929B (zh) * 2008-12-19 2014-02-11 Actherm Inc 耳溫槍護套配置盒及其製作方法
EP2292532B1 (en) 2009-09-08 2013-01-09 Future Holding B.V. Dispenser for dispensing cigarette paper
US20110297694A1 (en) * 2010-06-02 2011-12-08 Conway Simon M Cloth Dispenser
US20120116278A1 (en) * 2010-09-10 2012-05-10 Mark Louis Donald Bandage Pack and Method of Packaging
US8210393B1 (en) 2011-01-24 2012-07-03 Prodius, LLC Tissue dispensing device
US10696469B2 (en) * 2011-03-04 2020-06-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ressed tissue carton
US10442594B2 (en) 2011-03-04 2019-10-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ressed tissue carton with tear strip
BR112013030215A2 (pt) * 2011-05-25 2016-12-06 Antonio Domit distribuidor de canudos de refrigerente
US9004314B2 (en) * 2011-05-25 2015-04-14 Belle L. Chou Glove dispenser
US8205769B1 (en) * 2011-07-12 2012-06-26 Seda Gaspari Compartmented dispensing container
WO2013103664A1 (en) * 2012-01-03 2013-07-11 Csp Technologies, Inc. Dispenser
CA2899397A1 (en) * 2013-03-14 2014-09-18 Kikuo Yamada Wet tissue package
WO2015034999A2 (en) 2013-09-05 2015-03-12 Domit Antonio Multi-flap box for soda straws
PL3079547T3 (pl) * 2013-12-09 2021-04-06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Dozownik do złożonych ze sobą serwetek
US10349790B2 (en) 2014-01-31 2019-07-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illable, flexible dispenser with handle for stacked moist wipes
USD784039S1 (en) 2015-10-16 2017-04-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per product dispenser
US9873550B2 (en) * 2016-06-08 2018-01-23 Maurice LaMee Dispensing container ballast
KR101923708B1 (ko) * 2017-02-16 2018-11-29 주식회사 디바스 Vr기기용 위생패드 디스펜서
TN2019000262A1 (en) * 2017-04-03 2021-01-07 Essity Hygiene & Health Ab Dispensing box comprising a stack of sheet products
US10617233B2 (en) * 2017-07-10 2020-04-14 Westrock Container, Llc Product display
US10196198B1 (en) * 2017-08-03 2019-02-05 Kleen Test Products Corporation Stacked article retrieval apparatus
CA3060467C (en) 2018-12-20 2023-08-01 Cascades Canada Ulc Sheet product dispenser and method and kit to convert a sheet product dispenser
KR102408366B1 (ko) * 2020-08-28 2022-06-13 신여섭 티슈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144A (en) 1898-03-22 Paper-delivering device
US1218196A (en) 1915-09-07 1917-03-06 Holyoke Paper Products Company Dispensing apparatus.
US2083868A (en) * 1932-10-01 1937-06-15 Rottman George Receptacle
US2011403A (en) 1933-08-29 1935-08-13 Harry C Gessler Paper napkin dispenser carton
US2253742A (en) 1940-05-08 1941-08-26 Crown Zellerbach Corp Dispenser for interfolded paper
US2287420A (en) 1940-10-30 1942-06-23 Riegel Paper Corp Paper sheet dispensing carton
US2501357A (en) 1947-01-24 1950-03-21 Samuel S Speckman Pocket-size tissue container
US2522427A (en) 1948-03-19 1950-09-12 Earl N Borden Napkin dispenser
US2598050A (en) 1948-06-10 1952-05-27 Waldorf Paper Prod Co Tissue dispensing carton
US2634855A (en) 1951-09-04 1953-04-14 Mandel Jacob Tissue dispensing device
US2636599A (en) 1951-09-10 1953-04-28 Kalamazoo Vegets Le Parchment Dispensing carton
US2849152A (en) 1954-11-15 1958-08-26 Rhinelander Paper Company Dispenser carton
US2802567A (en) 1955-05-13 1957-08-13 Covel Ralph Paper dispenser
US2858045A (en) 1955-12-06 1958-10-28 Joseph P Loeb Tissue dispenser
US3197062A (en) 1962-09-27 1965-07-27 Kimberly Clark Co Expandable tissue dispensing package
US3221928A (en) * 1963-03-19 1965-12-07 Martin E Horn Tissue dispenser and disposal
US3145840A (en) * 1963-05-09 1964-08-25 Lawrence A Wright Boxlike dispenser
US3202316A (en) 1963-09-24 1965-08-24 Electro Nite Inc Biased stack facial tissue dispenser
US3224633A (en) 1964-09-23 1965-12-21 Allen Dayton Collapsible box for facial tissues
US3349959A (en) 1966-09-14 1967-10-31 Int Paper Canada Box for dispensing stacked sheets
US3459329A (en) 1967-08-25 1969-08-05 Katsumasa Mochizuki Tissue paper container set
US3425595A (en) 1967-09-11 1969-02-04 Cartiera Cairate Spa Container for small paper napkins
US3606082A (en) 1969-06-04 1971-09-20 American Can Co Dispensing control member for interfolded tissues
US3604562A (en) 1969-06-24 1971-09-14 Amicon Corp Dispensing package
US3647114A (en) 1969-12-01 1972-03-07 Keith T Bleuer Tissue dispenser having resiliently biased follower
US3603452A (en) 1970-06-12 1971-09-07 Irving Singer Tissue box with adjustable auxiliary bottom
US3765565A (en) 1971-08-30 1973-10-16 American Can Co Dispenser carton and holder
US3784055A (en) 1972-12-04 1974-01-08 Anderson Packaging Inc Reclosable package
US3942682A (en) 1974-08-15 1976-03-09 Mckay Douglas H Elevating device for a facial tissue box
USD278684S (en) * 1981-11-02 1985-05-07 Howard Sussman Telescoping dispenser for cotton balls or the like
JPS59193180U (ja) 1983-06-09 1984-12-21 清藤 三津郎 テイツシユペ−パ−ボツクス
US4586631A (en) 1984-04-02 1986-05-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spensing package for sheets
JPH0646401Y2 (ja) 1986-10-08 1994-11-30 美菜子 小林 薄葉紙の供給ケ−ス
US4913312A (en) 1988-04-13 1990-04-03 Boutin Sean L Single fold toilet tissue dispensing container
US5065936A (en) 1989-06-01 1991-11-19 King Charles S Collapsible box for tissues/papers
US5129545A (en) 1990-05-29 1992-07-14 Parks Lance K Container for dispensing and disposing of tissues
IE920324A1 (en) 1991-02-12 1992-08-12 Robert G Cornell Paper article dispenser
US5215757A (en) 1991-03-22 1993-06-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ncapsulated materials
US5197631A (en) 1991-12-06 1993-03-30 Eiichi Mishima Mechanism for automatically pushing up tissues
JPH0680173A (ja) 1992-08-31 1994-03-22 Masatoshi Shimojo 高さが低くなる箱
US5332117A (en) 1993-03-03 1994-07-26 Iraj Yadegar Adjustable tissue box
US5390820A (en) 1994-02-25 1995-02-21 Wright; Kenneth E. Elevating dispensing device for flexible sheet material
CH690363A5 (it) 1995-08-09 2000-08-15 Soremartec Sa Contenitore per prodotti quali pastiglie e simili.
ATE232380T1 (de) 1996-10-25 2003-02-15 Procter & Gamble Reinigungsmittel
JP3381552B2 (ja) 1997-05-19 2003-03-04 裕道 栄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ボックス、およびその折畳方法
ID24605A (id) 1997-07-31 2000-07-27 Procter & Gamble Bahan-bahan pembersih seperti basah
US5979699A (en) 1997-10-09 1999-11-09 Simpson; Raymond Dispenser box
US5979700A (en) 1997-12-30 1999-11-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ip lift for tissue dispensing system
US5967321A (en) 1998-03-06 1999-10-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sumer-activated clip lift feature for tissue cartons
US5992683A (en) 1998-08-31 1999-11-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ip lift for sheet dispensing system
US6068583A (en) 1999-04-15 2000-05-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sumer-activated clip lift feature for tissue cartons
US6390820B1 (en) 1999-04-19 2002-05-21 Chana Landman System for treatment of developmental verbal apraxia
NZ505041A (en) 1999-06-22 2001-09-28 Maged Ghabriel Tissue box having a top and a side dispensing hole
US6672475B1 (en) 1999-08-05 2004-0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ing carton for paper sheet products
AUPQ519300A0 (en) 2000-01-20 2000-02-10 Leighton, Angela Mary A tissue box
US6283295B1 (en) 2000-04-25 2001-09-04 Donald Akutagawa Container with elevating floor
GB2363372A (en) 2000-06-15 2001-12-19 Andrew Kephalas Container of adjustable volume
US6550636B2 (en) 2001-01-15 2003-04-22 Menasha Corporation Sheet dispenser
US6520371B2 (en) 2001-03-29 2003-02-18 Mark Cheng Tissue box supplemental adap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70U (ko) * 2021-11-05 2023-05-12 이재광 인출이 용이한 티슈박스
KR20230171274A (ko) * 2022-06-13 2023-12-20 이현지 리필형 냅킨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69343A1 (en) 2005-12-08
EP1765692B1 (en) 2008-12-31
MXPA06013974A (es) 2007-05-15
AU2005252164B2 (en) 2011-05-26
US7273156B2 (en) 2007-09-25
KR101174527B1 (ko) 2012-08-16
DE602005012104D1 (de) 2009-02-12
WO2005120986A1 (en) 2005-12-22
AU2005252164A1 (en) 2005-12-22
EP1765692A1 (en)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527B1 (ko) 조절 가능한 시트 디스펜서
JP3124161U (ja) 拭き布分配用容器
EP1278687B1 (en) Refillable towelette dispensing article
KR100855830B1 (ko) 습식 와이프의 롤
US7293738B2 (en) Freestanding dispenser for dispensing two different substrates
CA2863580C (en) Hanging bag
NZ209315A (en) Moist-towelette dispenser: adhesive strip seals opening
US6283295B1 (en) Container with elevating floor
RU2415795C2 (ru) Ограничитель и система для выдачи
KR101627986B1 (ko) 티슈 보관 및 분배 용기
AU2004231458A1 (en) Container and cartridge for dispensing paper products
KR20150099553A (ko) 적층된 물티슈를 위한 리필가능한 분배 용기
WO2022260671A1 (en) Adjustable height carton
JPH0422567B2 (ko)
US6070759A (en) Container with dispensing feature in overcap
EP2627587B1 (en) Tissue paper dispensing container
US20030111481A1 (en) Cartridge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JPH09240758A (ja) シート収納箱のシート取り出し補助装置
JPH0575181U (ja) ウエットティシュ容器
RU2575000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изделий личной гигиен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