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1186A -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1186A
KR20230171186A KR1020220071451A KR20220071451A KR20230171186A KR 20230171186 A KR20230171186 A KR 20230171186A KR 1020220071451 A KR1020220071451 A KR 1020220071451A KR 20220071451 A KR20220071451 A KR 20220071451A KR 20230171186 A KR20230171186 A KR 20230171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rdycepin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cordyceps sinen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최동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쎌텍 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쎌텍 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쎌텍 생명과학
Priority to KR102022007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1186A/ko
Publication of KR20230171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18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 표면에 거미줄 형태의 동충하초 균사체가 존재하여 약리 효과가 우수한 코디세핀이 높은 함량으로 함유된 쌀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of rice extract containing cordycepin}
본 발명은 고함량의 코디세핀이 함유된 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코디세핀(cordycepin, 3'-deoxyadenosine)은 코디세핀이 NO 생성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 이에 코디세핀으로 인한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보습 또는 항염증 등의 효과를 이용한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이 제안된 바 있다(KR 공개특허 제10-2018-0000828호).
코디세핀은 화장료에 사용하는 오일류에 대한 낮은 용해도와 물과 혼합시 석출되는 문제가 있어 다양한 화장품 제형의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안정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이 다각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한편, 식품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쌀은 최근들어 당뇨를 비롯해 항산화 방지, 다이어트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진 신품종 쌀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품종 개발과 함께 일반 쌀에 특수한 기능을 첨가한 '기능성 쌀'에 대한 연구 개발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쌀에 성장에 도움을 주는 라이신 성분을 추가하면 ‘키 크는 기능성 쌀’이 된다. 시중에는 키 크는 쌀, 다이어트쌀, 고영양쌀, 뇌활성쌀 등 다양한 기능성 쌀이 출시되어 있다.
KR 등록특허 제10-1160069호는 코디세핀 성분이 다량 함유된 쌀 및 그 생산방법을 제시하면서, 상기 코디세핀이 지닌 면역증강 및 천연 항생 효과를 갖는 쌀의 제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는 도정된 쌀에 코디세핀을 다량 함유한 동충하초균을 접종 후 배양함으로써 코디세핀의 함량을 높일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또한, 코디세핀의 함량을 높이기 위해 해양 심층수, 용기 내 식물성 탄소 섬유의 사용 및 배양시 램프의 조도를 한정하였다.
이 특허에서 얻어진 코디세핀이 높은 함량으로 함유된 쌀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정된 쌀의 표면에 존재한다. 그러나 코디세핀의 함량이 보다 높을 경우 상기 코디세핀이 지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어, 본 발명은 거미줄 형태로 쌀의 표면에 코디세핀이 거의 코팅 수준으로 존재한다.
KR 공개특허 제10-2018-0000828호 (2018.01.04 공개) KR 등록특허 제10-1160069호(2012.06.26 공고)
본 발명은 거미줄 형태의 동충하초 균사체 배양을 통해 코디세핀 함량이 매우 높은 쌀을 제조하고, 이의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시 피부미백, 주름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확보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함량으로 코디세핀을 포함하는 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코디세핀이 함유된 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코디세핀이 함유된 쌀 추출물은 (S1) 도정된 쌀에 해양 심층수의 혼합 단계; (S2) 멸균 및 냉각 단계; (S3) 얻어진 쌀에 배지에 주입한 후 동충하초의 발효 추출물의 접종 단계; (S4) 배양 단계; (S5) 건조 단계를 거쳐 코디세핀이 함유된 쌀을 얻고; (S6) 상기 코디세핀 함유된 쌀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얻는다.
이때 상기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은 쌀 100 g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종균 1 내지 10 g을 첨가한 후 20 내지 30℃, 5 내지 15 일간 1차 발효하는 단계; 얻어진 쌀을 열수 추출 후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 추출물 100 g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종균 1 내지 10 g을 접종 후 30 내지 40℃, 5일 내지 15일간 2차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코디세핀이 함유된 쌀은 쌀 표면에 거미줄 형태의 동충하초 균사체가 존재하고, 코디세핀 함량이 515 내지 1,013mg/kg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코디세핀이 함유된 쌀 추출물은 상기 (S6)에서 증류수,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연고, 에센스, 로션, 크림, 젤,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썬 크림, 및 썬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코디세핀이 함유된 쌀 추출물 0.0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코디세핀을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는 쌀을 추출하여 얻어진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코디세핀이 함유된 쌀은 쌀 표면에 거미줄 형태의 동충하초 균사체가 촘촘히 존재하여 자연산 또는 인공 재배된 동충하초의 코디세핀 함량이 140 내지 370 mg/kg인 것 대비 최대 9배 수준의 높은 함량으로 코디세핀을 함유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쌀에서 추출된 쌀 추출물은 화장품에 적용되어 피부미백, 주름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고급화된 제품으로 생산되어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코디세핀 쌀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2는 비교예 1의 코디세핀 쌀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코디세핀 쌀 내 코디세핀의 함량 분석 결과이다.
본 발명은 코디세핀이 고함량으로 포함된 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코디세핀이 고함량으로 포함된 쌀은 코디세핀 쌀이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코디세핀이 고함량으로 포함된 쌀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은 코디세핀 쌀 추출물이라 한다.
본 발명의 코디세핀 쌀은 동충하초의 발효 추출물을 접종함으로써 쌀 표면에 거미줄 형태의 동충하초 균사체가 존재하고, 이를 추출 용매로 추출한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서 사용하여 여러 가지 기능적 효과를 확보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코디세핀 쌀 추출물
본 발명의 코디세핀 쌀 추출물은 코디세핀 쌀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추출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코디세핀 쌀의 미강 부분을 추출하여 제조된 코디세핀 쌀 미강 추출물일 수 있다.
코디세핀 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피부 미백 효과, 주름 및 탄력 개선 효과를 갖는다.
코디세핀 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피부에 안 좋은 활성산소의 농도를 줄여주고 막아주어 피부 노화를 예방 또는 지연시킨다.
코디세핀 쌀 추출물의 피부 미백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나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한다.
코디세핀 쌀 추출물의 피부 주름 또는 피부 탄력의 개선은 피부가 쳐지거나 늘어지는 정도를 완화시켜주는 것, 또는 피부에 주름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피부 표피의 세포 간 간결과 진피의 결체 조직에 분포하는 엘라스틴, 콜라겐 또는 히알루론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피부 탄력이 유지되고 그에 따라 주름 생성이 완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코디세핀 쌀 추출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코디세핀 쌀 추출물은,
(S1) 도정된 쌀에 해양 심층수의 혼합 단계;
(S2) 멸균 및 냉각 단계;
(S3) 얻어진 쌀에 배지에 주입한 후 동충하초의 발효 추출물의 접종 단계;
(S4) 배양 단계;
(S5) 건조 단계; 및
(S6) 추출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한다.
상기 (S1) 내지 (S5)는 코디세핀 쌀의 제조를, (S6)는 코디세핀 쌀 추출물의 제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코디세핀 쌀 추출물은 쌀의 원료 준비, 멸균 및 냉각, 접종, 배양, 건조 및 추출의 단계를 거쳐 수행하며,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S1) 원료 준비 단계
먼저, 도정된 쌀에 해양 심층수를 혼합한 후 멸균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해양 심층수(심층수)는 수심 200미터 아래의 깊은 바다에 있는 물로, 표층에 있는 바닷물과는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다. 상기 해양 심층수는 미네랄을 비롯 영양 염류가 풍부하며, 살균을 하지 않고 그대로 마실 수 있을 정도로 깨끗하다.
도정된 쌀 100 중량부 대비 해양 심층수는 20 내지 100 중량부로 사용한다. 최종 배양된 코디세핀 쌀의 코디세핀 함량이 도정된 쌀과 해양 심층수 혼합 비율이 100: 60 내지 80 중량비인 경우 가장 우수하였다.
(S2) 멸균 및 냉각 단계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의 멸균 및 냉각 공정을 수행한다.
멸균은 상기 쌀과 해양 심층수의 혼합물을 식물성 탄소 섬유를 넣은 유리 삼각 프라스크 용기(1,000밀리리터)를 고압 살균 솥에서 121℃, 10 내지 30분간 살균 후 끄집어내어서 자연 냉각 방법으로 내용물 온도가 20 내지 25℃를 유지 하도록 한다.
숯을 이용한 천연 식물성 탄소섬유는 진공에 가까운 상태에서 소성하여 탄화시킨 섬유로 섬유의 형상은 필터 형상의 부직포 타입은 원단 두께가 2mm, 유공면적은 일반 목탄의 4.5배이며 또한 면실은 짠 직불타입도 있다. 특징으로 탈취효과 항균,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발생, 전자파 차단효과 등의 효과를 지니고 있다.
(S3) 접종 단계
다음으로, 냉각된 쌀을 배지에 주입한 후 동충하초의 발효 추출물을 접종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배지는 무균상태의 감자배지(PDA배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실온의 암실에서 쌀 100 중량부 대비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을 5 내지 20 중량부로 접종한다. 만약 상기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균주가 불충분하여 거미줄 상태로 자실체가 쌀 표면에 형성이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더 이상의 효과가 없어 비 경제적이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쌀 표면에 거미줄 형태의 동충하초 균사체가 존재하도록 종래 동충하초 종균이 아닌 동충하초의 발효 추출물을 접종한다.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은 쌀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종균을 접종 후 두 번의 발효 공정을 거쳐 얻어진 것으로, 종래 사용하던 동충하초 종균 대비 코디세핀 함량이 매우 높고, 배양 공정에서 쌀 표면에 거미줄 형태로 균사체가 촘촘히 성장하여 각각의 쌀알이 지닌 코디세핀의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은,
(a) 쌀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종균을 접종 후 1차 발효하는 단계;
(b) 얻어진 쌀을 추출 후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종균을 추가 접종 후 2차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밀리타리스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는 자연 상태에서 주로 나비목 곤충의 번데기를 기주로 하여 다발로 자실체를 형성하는 버섯으로서 이미 중국에서는 3000∼4000년간 식용으로 복용하여 왔고 그 약효 또한 오랫동안 인정되어 왔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외국에서 각광을 받아 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용하면 허약 체질을 튼튼히 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분명한 효과가 있고 폐질환이나 신장질환에 사용하였다고 예로부터 전해져 오고 있다.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주요성분중의 하나인 코디세핀(cordycepin)은 100mg에 317.10$(SIGMA사)로서 국제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각 단계별로 설명한다.
먼저, 단계 (a)에서는 쌀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종균을 접종 후 1차 발효한다.
이때 쌀은 도정된 쌀 또는 현미가 사용될 수 있다.
쌀 100 g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종균 1 내지 10 g을 첨가한 후, 1차 발효를 수행한다. 상기 1차 발효는 20 내지 30℃, 5 내지 15 일간의 배양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 조건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충분한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단계 (b)에서는 얻어진 쌀을 추출 후 여과하여 열수 추출물을 수득한다.
추출 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9% 에탄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로 추출한다. 추출 시 실온에서 함침하거나 가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이때 추출물은 액상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감압 후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사용한다.
다음으로, 단계 (c)에서는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배지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의 종균을 추가 접종 후 2차 발효를 수행한다. 2차 발효는 추출물 100 g에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종균 1 내지 10 g을 첨가하여 수행한다.
2차 발효는 30 내지 40℃, 5일 내지 15일간의 배양조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양 조건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발효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배지는 균주가 생장할 수 있는 배지라면 어떠한 종류라도 무방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천연 배지, 합성 배지 및 반합성 배지를 포함하고, 구체적으로는 효모 추출물 배지, 무아미노산 효모 질소원 배지, 맥아추출물 배지, 펩톤 배지, 폴리펩톤 배지, 트립톤 배지, 탈지분유 배지, 카사미노산 배지, 소이톤 배지, 밀기울 배지, 탈염간장 배지, 콘스팁리쿼 배지, 육즙 추출물 배지, 메주가루 배지, 청국장가루 배지, 고춧가루 배지, 영양 배지, 감자 배지, 사브로드포도당 배지, 트립틱콩 배지, 크자펙-독스(Czapek-Dox) 배지, TSA (Trypticase Soy Agar) 배지, BHI (Brain heart infusion) 배지, LB (Luria-Bertani) 배지, TBS (Tris-Buffered Saline) 배지, SD (Sabouraud Dextrose) 배지, MRS (de Man, Rogosa and Sharpe) 배지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LB (Luria Bertani) 배지이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얻어진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은 코디세핀 쌀의 제조에 사용하여 쌀 표면에 거미줄 형태의 동충하초 균사체가 존재하도록 함으로써 코디세핀의 함량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추가로, 추출 공정시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초음파 및/또는 마이크로파를 인가하는 병행 추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인가는 약 10 내지 15분간 수행하고, 상기 마이크로파는 50 내지 150W의 마이크로파를 1 내지 5분간 인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병행 추출 공정을 통해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 내 균사체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S4) 배양 단계
다음으로, 접종 후 배양을 수행하며, 상기 배양은 암실 배양 및 명실 배양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20 내지 25℃ 정도의 온도와 70%이상의 습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청정한 배양실에서 암실 상태로 2 내지 8일 배양 후 다음 단계로 20 내지 25℃ 정도의 온도와 70%이상의 습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명실 배양으로 배양실의 조도를 1000룩스 이상으로 밝게 해주고 10일간 배양하면 빛을 받는 윗부분이 버섯균사 고유의 붉은색 또는 노란색을 띄는데 이때 1일 2회 뒤집어 주어 아랫부분이 위로 올라오도록 배양하여 균사가 완전히 고유의 색을 띄면 배양을 중단하도록 한다.
(S5) 건조 단계
본 단계에서는 배양이 완료된 쌀을 용기에서 쏟아내어서 쌀 입자들이 서로 붙지 않게 적당하게 흔들어 주어 열풍 건조기(EPD-360R, 한국)를 이용하여 50 내지 70℃에서 15 내지 30시간 건조하여 코디세핀이 고함량으로 함유된 코디세핀 쌀을 얻는다.
(S6) 추출 단계
본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얻어진 코디세핀 쌀을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얻는다.
이때 추출은 코디세핀 쌀은 그대로 사용하거나 미분화하거나 미강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디세핀 쌀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에 따라 추출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타올 또는 에탄올로 추출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 추출한 이후, 여과 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으며, 감압농축 및/또는 동결건조하여 분말 화 할 수 있다. 상기 추출시 용매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추출물질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00 중량부로 가하여 추출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코디세핀 쌀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 성분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함량은 제형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그외 성분의 함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장료 조성물 내 코디세핀 쌀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 화장료 조성물에서 실질적인 미백 등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20 중량% 초과하는 경우 원가 상승에 따른 효능 대비 비경제적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0.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이외에, 통상의 화장품에 사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부형제, 희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바디 화장품, 두발용 화장품, 두피용 화장품, 면도용 화장품 또는 구강용 화장품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화장품의 예로는 크림,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으며, 상기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새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며, 바디 화장품으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 오일 등이 있으며, 두발용 화장품으로는 샴푸,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무쓰, 헤어 리퀴드, 포마드, 헤어 칼라제, 헤어 블릿치제, 칼라 린스가 있으며, 두피용 화장품으로는 헤어 토닉, 스칼프 트리트먼트가 있으며, 면도용 화장품으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셰이빙 크림 등이 있으며, 구강용 화장품으로는 치약, 마우스 워셔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연고, 에센스, 로션, 크림, 젤,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썬크림, 및 썬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에 물성 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예컨대, 피부외용 연고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코디세핀 쌀 추출물 이외에 바셀린 50.0 내지 97.0 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포스페이트 0.1 내지 5.0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유연화장수로 적용되는 경우,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콜류 1.0 내지 10.0 중량% 및 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등의 계면활성제 0.05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또는 영양크림으로 적용되는 경우, 상기 코디세핀 쌀 추출물 이외에 스쿠알렌, 바셀린, 옥틸도데칸올과 같은 오일류 5.0 내지 20.0 중량% 및 에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의 왁스성분 3.0 내지 15.0중량%을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있다. 또한, 에센스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 다가알콜류 5.0 내지 30.0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마사지크림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코디세핀 쌀 추출물 이외에 유동 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을 30.0 내지 70.0 중량%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팩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알콜을 5.0 내지 20.0 중량% 함유하는 필오프 팩 또는 일반 유화형 화장료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0 내지 30.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 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개선용 조성물은 일반 화장료에 배합되는 통상적인 성분,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필요한 만큼 적용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코디세핀 쌀 추출물의 제조
(1)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의 제조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쌀 100 중량부에 동충하초 종균 5 중량부를 접종한 후, 24 ℃에서 10 일간 1차 발효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쌀 700 g에 80% 에탄올 5리터를 가하고,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거름종이로 여과하였다. 이어 얻어진 추출물을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동충하초 1차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동충하초 1차 발효 추출물을 LB배지에 주입하고, 상기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동충하초 종균을 1 중량부의 농도로 접종하고, 37 ℃에서 10일간 배양하여 2차 발효하였다. 이를 실린지 필터하여 여과한 후, 최종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2) 코디세핀 쌀 제조
청정미를 백미로 도정 후 도정된 쌀 100 중량부에 해양 심층수 60 중량부를 첨가한 후, 얻어진 혼합물 500g을 멸균 용기(1,000밀리 리터 삼각 프라스크 유리 용기)에 담아서 멸균할 때 삼각 플라스크 용기내 식물성 탄소섬유 부직포가 가로2센티×세로2센티 조각을 함유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고압 살균 솥에서 121℃, 25분간 살균 후 끄집어내어서 자연 냉각 방법으로 내용물 온도가 20 내지 25℃를 유지 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무균상태의 감자배지(PDA배지)에 냉각된 백미 100 중량부 대비 제조예 1의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2차) 5 중량부를 접종하였다.
다음으로, 25℃/70% 이상의 습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청정한 배양실에서 암실 상태로 5일 배양 후 다음 단계로 25℃/70% 이상의 습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명실 배양으로 배양실의 조도를 4000룩스로 밝게 해주고 10일간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배양이 완료된 쌀을 용기에서 쏟아내어서 쌀 입자들이 서로 붙지 않게 적당하게 흔들어 주어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50℃에서 24시간 건조 하여 코디세핀 쌀을 제조하였다.
(3) 코디세핀 쌀 추출물 제조
코디세핀 쌀을 분쇄하여 시료의 20배량에 해당하는 70% 에탄올을 가하여 진탕배양기(KMC-8480 SF, Vision, Korea)에서 30℃, RPM 170, 12시간 조건으로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이 후 3번의 여과 과정을 거쳤는데 g-force 8,000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종이필터로 1차로 여과한 후 Advantec No 2로 2차 여과를 거친 다음 02um advantec menbrane filter로 3차 여과한 여액을 만들었다.
여액은 50℃에서 회전감압농축기(N-1000, Eyela, Japan)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한 후 동결 건조기에서(FD-1, Eyela, Japan) 건조하고 분쇄하여 -80℃에서 보관하며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 1의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 대신 동충하초 종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동충하초 1차 발효 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일반 백미를 사용하여 쌀 추출물을 얻었다. 구체적인 추출 방법은 실시예 1에서 제시한 추출물의 제조 공정을 따른다.
시험예 1: 코디세핀 성상 분석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코디세핀 쌀 표면에 동충하초 균사체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표면을 관찰하였다.
도 1은 실시예 1의 코디세핀 쌀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고, 도 2는 비교예 1의 코디세핀 쌀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1 및 도 2를 보면, 종래 동충하초 종균을 접종하여 제조된 쌀 대비 실시예 1의 코디세핀 쌀의 표면에 동충하초 균사체가 거미줄 형태로 촘촘히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동충하초 종균 보다는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을 접종할 경우 균사체 배양이 더욱 용이하며, 상기 균사체 내 핵심 물질인 코디세핀을 보다 많이 함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시험예 2: 코디세핀 쌀 내 코디세핀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코디세핀 쌀 내 코디세핀의 함량을 한국고분자연구소에 의뢰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코디세핀 함량(mg/kg)
실시예 1 515
비교예 1 38
비교예 2 227
비교예 3 0
상기 표 1을 보면, 실시예 1의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접종한 경우 코디세핀의 함량이 비교예 1 및 2의 쌀 대비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실시예 1 및 비교예 2를 비교할 경우, 2차 발효까지 수행하여 얻어진 동충하초 발효 추출물이 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비교예 3의 경우 코디세핀이 전혀 함유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코디세핀 쌀은 코디세핀의 함량이 높아, 자연산 또는 인공 재배된 동충하초의 코디세핀 함량이 140 내지 370 mg/kg인 것 대비 약 4배 수준의 높은 함량으로 코디세핀을 함유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코디세핀 쌀 추출물 분석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코디세핀 쌀 추출물 내 코디세핀의 함량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통해 측정하였다.
코디세핀 함량(%)
실시예 1 5.45
비교예 1 0.25
비교예 2 0.37
상기 표를 보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코디세핀 쌀의 경우 쌀 추출물 내 코디세핀의 함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항산화 활성 측정
코디세핀 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측정을 통해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50㎕의 코디세핀 쌀 추출물 시료에 100mM Tris-HCl완충액 (pH 7.4) 450㎕ 및 0.1mM DPPH 용액 1ml을 혼합한 다음 어두운 조건에서 30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그 후,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판독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의 백분율은 하기 [식 1]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식 1]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 = (공시료 흡광도 -(시료 흡광도/공시료 흡광도) ×100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실시예 1 76.8
비교예 1 25.4
비교예 2 31.6
비교예 3 12.2
상기 표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코디세핀 쌀 추출물은 비교예의 쌀 추출물 대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5: 미백 활성 측정
코디세핀 쌀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측정을 통해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pH 6.5 및 40 ㎕의 티로시나제 (240 U/ml)에 용해된 40㎕의 발효 미강 추출물 시료와 5% DMSO,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buffer) 80㎕을 혼합한 다음 25 ℃에서 10 분 동안 배양하고, 0.85 mM L-3,4-dihydroxyphenylalanine (L-DOPA) 40㎕를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25℃에서 5분간 연속 배양하고 microplate spectrophotometer(Bio-Tek)를 사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은 하기 [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식 2]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 = (((A-B)-(C-D))/(A-B))×100
A = 티로시나제가 포함된 공시료
B = 티이시나제가 포함되지 않은 공시료
C = 티로시나제가 포함된 시료
D = 티로시나제가 포함되지 않은 시료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
실시예 1 98.7
비교예 1 35.2
비교예 2 47.5
비교예 3 25.4
상기 표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코디세핀 쌀 추출물은 비교예의 쌀 추출물 대비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미백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6: 주름 개선 측정
코디세핀 쌀 추출물의 주름개선 능력을 엘라스타아제 억제 활성(Elastase inhibition activity) 측정을 통해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30㎕의 발효 미강 추출물 시료에 2mM Tris 완충액 (pH 8.0) 100㎕ 및 엘라스타아제 (1.1U / ml) 10㎕을 혼합한 다음 25℃에서 10분간 배양하고, 3mg/ml N-Succ-Ala-Ala-Ala-p-nitroanilide(SANA) 40㎕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25℃에서 20분 동안 연속 배양하고,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Bio-Tek)를 사용하여 4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엘라스타아제 억제 활성(%)은 하기 [식 3]에 따라 계산하였다.
[식 3]
엘라스타아제 억제 활성(%) = (((A-B)-(C-D))/(A-B))×100
A = 엘라스타아제가 포함된 공시료
B = 엘라스타아제가 포함되지 않은 공시료
C = 엘라스타아제가 포함된 시료
D = 엘라스타아제가 포함되지 않은 시료
엘라스타아제 억제 활성(%)
실시예 1 95.6
비교예 1 32.7
비교예 2 42.0
비교예 3 22.4
상기 표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코디세핀 쌀 추출물은 비교예의 쌀 추출물 대비 엘라스타아제 억제 활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피부 주름 개선에 유효함을 알 수 있다.
제형예: 영양크림 제조
하기 표 6의 조성을 갖도록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10, 12, 15를 교반, 혼합하면서 80~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1 을 80~85℃ 사이로 가열하여 투입한 뒤 유화한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 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하고 45℃ 까지 냉각한 뒤 13번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되면 1번을 투입한다.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킨다.
제형예1 비교제형예1
1 코디세핀쌀추출물 1 0
2 밀납 1 1
3 폴리솔베이트 1.5 1.5
4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0.5
5 유동파라핀 20 20
6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1 1
7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0.5 0.5
8 스테아린산 1.5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스테아레이트 1 1
10 프로필렌글리콜 6 6
11 트리에탄올아민 0.2 0.2
12 방부제 미량 미량
13 색소 미량 미량
14 향료 미량 미량
15 정제수 잔부 잔부
시험예 7: 피부 탄력 효과 확인 실험
제형예 1과 비교 제형예 1의 영양크림에 대한 피부 탄력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30~40대 여성 80명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동일인에게 왼쪽 손에는 제형예 3의 영양크림을, 오른쪽 손에는 비교제형예 1의 영양크림을 매일 저녁 세정 후, 피부에 1일 1회 7일간 도포한 후 피부 탄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12주 뒤 피부탄력을 측정할수 있는 큐토미터(cutometer; SEM474,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각 그룹의 피부탄력을 측정하고 그 평균을 구하였다.
제형예 1 비교제형예1
피부탄력 향상도(%) 62 32
비교 향상율(%) 30 0
상기 표를 보면,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형예 1의 영양크림의 경우 피부 탄력 향상도가 비교제형예1의 영양크림 대비 30% 이상 향상됨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코디세핀이 함유된 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 추출물은 코디세핀이 함유된 쌀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지며,
    이때 상기 코디세핀이 함유된 쌀은 하기 (S1) 내지 (S5)의 단계를 거쳐 얻어지는, 화장료 조성물:
    (S1) 도정된 쌀에 해양 심층수의 혼합 단계;
    (S2) 멸균 및 냉각 단계;
    (S3) 얻어진 쌀에 배지에 주입한 후 동충하초의 발효 추출물의 접종 단계;
    (S4) 배양 단계; 및
    (S5) 건조 단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세핀이 함유된 쌀은 쌀 표면에 거미줄 형태의 동충하초 균사체가 존재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디세핀이 함유된 쌀은 코디세핀 함량이 515 내지 1,013mg/kg인, 화장료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용매는 증류수,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외용연고, 에센스, 로션, 크림, 젤,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썬 크림, 및 썬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쌀 추출물 0.001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071451A 2022-06-13 2022-06-13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71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451A KR20230171186A (ko) 2022-06-13 2022-06-13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451A KR20230171186A (ko) 2022-06-13 2022-06-13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186A true KR20230171186A (ko) 2023-12-20

Family

ID=8937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451A KR20230171186A (ko) 2022-06-13 2022-06-13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118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069B1 (ko) 2011-02-08 2012-06-26 팜스코리아영농조합법인 코디세핀 성분이 다량 함유된 기능성 쌀 및 그 생산방법
KR20180000828A (ko) 2016-06-24 2018-0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 지질 나노입자로 안정화한 코디세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069B1 (ko) 2011-02-08 2012-06-26 팜스코리아영농조합법인 코디세핀 성분이 다량 함유된 기능성 쌀 및 그 생산방법
KR20180000828A (ko) 2016-06-24 2018-0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고형 지질 나노입자로 안정화한 코디세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447B1 (ko) 비타민나무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61733A (ko)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828B1 (ko)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미백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77362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36804B1 (ko) 버섯을 이용한 전복 버섯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437997B1 (ko)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KR20190063549A (ko)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5455A (ko) 갈대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235B1 (ko) 피부보습 및 피부미백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7708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백복령 발효 추출물, 율무 발효 추출물 및 초석잠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30102712A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KR101931654B1 (ko) 항산화 및 피부미백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67283B1 (ko) 곰보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곰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1627A (ko) 소라 유래 펩타이드 분말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9471B1 (ko) 앵무새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9679A (ko) 콩 발효액으로 발효시킨 한방약재 추출물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230171186A (ko) 코디세핀 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1816B1 (ko) 월귤 열매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월귤 열매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7560B1 (ko) 빗죽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7507A (ko) 녹두·강낭콩·흑콩 발효-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4240B1 (ko) 회향 추출물 및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기능성 조성물
KR102618301B1 (ko) 프로바이오틱스 배양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59125B1 (ko) 도고온천수를 이용하여 배양된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