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954A - 향미 흡인기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향미 흡인기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954A
KR20230170954A KR1020237039271A KR20237039271A KR20230170954A KR 20230170954 A KR20230170954 A KR 20230170954A KR 1020237039271 A KR1020237039271 A KR 1020237039271A KR 20237039271 A KR20237039271 A KR 20237039271A KR 20230170954 A KR20230170954 A KR 20230170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unting portion
engaging portion
engag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마스다
마나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7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9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70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ooke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하우징의 분할면을, 가장 큰 개구를 확보할 수 있는 면으로부터 비켜놓은 경우여도, 피수용물의 재치부를 하우징 내에 배치하여, 피수용물을 수용한다. 향미 흡인기는, 개구를 가지며, 내부에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수용부의 내면을 따른 외형을 갖는 동시에, 피수용물이 재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재치부를 구비하며, 개구의 개구 면적은, 개구에 평행한 평면으로 제1 하우징을 절단한 경우에 있어서의 수용부의 최대 단면적, 및 개구에 평행한 평면으로 재치부를 절단한 경우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재치부의 최대 단면적보다도 작으며, 재치부는, 제1 재치부와, 제1 재치부와 조합되는 제2 재치부를 갖는다.

Description

향미 흡인기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향미 흡인기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미 흡인기에서는, 일반적으로, 미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장치의 가장 외부에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된 하우징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금속제 하우징에 피수용물을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피수용물이 재치(載置)되는 재치부를 하우징 내에 배치하여 피수용물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향미 흡인기는, 꽉 쥐어 사용되는 것이 전제이므로, 꽉 쥐기 쉽도록, 전체적으로 둥그스름한 하우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향미 흡인기로서, 예를 들어, 둥그스름한 하우징에 있어서, 가장 큰 개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서 하우징을 분할하고, 이 개구로부터 피수용물의 재치부를 하우징 내에 삽입하여 배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2020/218885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향미 흡인기에 있어서, 하우징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서 하우징을 분할하면, 하우징끼리의 접합부가 눈에 띄는 동시에, 사용 시에 접합부가 손에 걸리거나, 예를 들어 가방에서 꺼낼 때에 접합부가 걸리거나 하여,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하우징의 분할면을, 가장 큰 개구를 확보할 수 있는 면으로부터 비켜서 형성하여, 대소 2개의 하우징으로 분할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것은 억제되지만, 피수용물의 재치부를 큰 쪽의 하우징 내에 어떻게 배치할지가 과제가 된다. 즉, 하우징의 분할면을, 가장 큰 개구를 확보할 수 있는 면으로부터 비켜놓음으로써, 개구가 작아지므로, 피수용물의 재치부를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삽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하우징의 분할면을, 가장 큰 개구를 확보할 수 있는 면으로부터 비켜놓은 경우여도, 피수용물의 재치부를 하우징 내에 배치하여, 피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향미 흡인기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서는, 향미 흡인기가 제공된다. 이 향미 흡인기는, 개구를 가지며, 내부에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수용부의 내면을 따른 외형을 갖는 동시에, 피수용물이 재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재치부를 구비하며, 개구의 개구 면적은, 개구에 평행한 평면으로 제1 하우징을 절단한 경우에 있어서의 수용부의 최대 단면적, 및 개구에 평행한 평면으로 재치부를 절단한 경우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재치부의 최대 단면적보다도 작으며, 재치부는, 제1 재치부와, 제1 재치부와 조합되는 제2 재치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피수용물이 재치되는 재치부를, 제1 재치부와, 제1 재치부와 조합되는 제2 재치부로 나눈 것에 의해, 하우징의 분할면을, 가장 큰 개구를 확보할 수 있는 면으로부터 비켜놓은 경우여도, 피수용물의 재치부를 하우징 내에 배치하여, 피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제1 재치부는, 제2 재치부와의 조합 개소에 형성된 제1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제2 재치부는, 조합 개소에 형성되어, 제1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추어지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제1 걸어맞춤부와 제2 걸어맞춤부를 서로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를 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서는, 제2 형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폭 방향, 두께 방향 및 높이 방향에 대하여, 제1 걸어맞춤부는, 폭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제2 걸어맞춤부는, 폭 방향 제2 걸어맞춤부,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 및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폭 방향 제1 걸어맞춤부와 폭 방향 제2 걸어맞춤부가 서로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가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며,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와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가 서로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가 두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며,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와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가 서로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가 높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의하면, 폭 방향 제1 걸어맞춤부와 폭 방향 제2 걸어맞춤부를 서로 걸어맞춤시키고,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와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를 서로 걸어맞춤시키고,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와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를 서로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제1 하우징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폭 방향, 두께 방향 및 높이 방향에 대하여,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를 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서는, 제3 형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바닥부와, 바닥부의 외연(外緣)으로부터 세워 형성되는 벽부를 가지며, 폭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폭 방향 제2 걸어맞춤부는, 바닥부와 대향하며,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는, 벽부와 대향하며,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는, 벽부와 대향한다.
본원의 제4 형태에 의하면, 폭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폭 방향 제2 걸어맞춤부가 바닥부와 대향하며,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 그리고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가 벽부와 대향함으로써, 제1 하우징의 폭 방향, 두께 방향 및 높이 방향에 대하여,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를 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제5 형태에서는, 제4 형태에 있어서,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 각각에 형성되며,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 각각에 형성된다.
본원의 제5 형태에 의하면,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 그리고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 각각에 형성함으로써,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를 보다 강고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제6 형태에서는, 제4 형태 또는 제5 형태에 있어서,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와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와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본원의 제6 형태에 의하면,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와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하며,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와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를 일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간소한 구성으로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의 위치 결정을 실현할 수 있다.
본원의 제7 형태에서는, 제2 형태 내지 제6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걸어맞춤부는, 조합 개소에 있어서, 제1 재치부에 형성된 볼록부 및 오목부 중 한 쪽이며, 제2 걸어맞춤부는, 조합 개소에 있어서, 제2 재치부에 형성된 볼록부 및 오목부 중 다른 쪽이며, 오목부는, 볼록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다.
본원의 제7 형태에 의하면, 제1 걸어맞춤부에 형성된 볼록부 및 오목부 중 한 쪽과 제2 걸어맞춤부에 형성된 볼록부 및 오목부 중 다른 쪽을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를 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제8 형태에서는, 제2 형태 내지 제7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바닥부의 외연으로부터 세워 형성되는 벽부에 수용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을 가지며, 제1 재치부 및 제2 재치부 중 적어도 한 쪽은, 연통공과 걸어맞춤 가능한 돌출부를 갖는다.
본원의 제8 형태에 의하면, 제1 재치부 및 제2 재치부 중 적어도 한 쪽에 형성된 돌출부를 제1 하우징의 벽부에 형성된 연통공과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제1 재치부 및 제2 재치부 중 적어도 한 쪽을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제9 형태에서는, 제8 형태에 있어서, 돌출부는, 제1 재치부에 있어서 제2 재치부측의 단부(端部)에 형성된 제1 걸어맞춤부와는 반대측의 단부, 및 제2 재치부에 있어서 제1 재치부측의 단부에 형성된 제2 걸어맞춤부와는 반대측의 단부 중 적어도 한 쪽에 형성된다.
본원의 제9 형태에 의하면, 돌출부를, 제1 재치부의 제1 걸어맞춤부와는 반대측의 단부, 및 제2 재치부의 제2 걸어맞춤부와는 반대측의 단부 중 적어도 한 쪽에 형성함으로써, 제1 재치부 및 제2 재치부 중 적어도 한 쪽을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보다 강고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제10 형태에서는, 제8 형태 또는 제9 형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 각각에, 수용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을 가지며, 제1 재치부는, 연통공의 한 쪽과 걸어맞춤 가능한 제1 돌출부를 가지며, 제2 재치부는, 연통공의 다른 쪽과 걸어맞춤 가능한 제2 돌출부를 갖는다.
본원의 제10 형태에 의하면, 제1 재치부에 형성된 제1 돌출부 및 제2 재치부에 형성된 제2 돌출부를, 제1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벽부 각각에 형성된 연통공과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제1 재치부 및 제2 재치부를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제11 형태에서는, 제2 형태 내지 제10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된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의 동작을 검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며, 슬라이드 부재는, 제1 재치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되며, 센서는, 제2 재치부에 고정된다.
본원의 제11 형태에 의하면, 제1 걸어맞춤부와 제2 걸어맞춤부를 서로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가 서로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센서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부재의 동작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본원의 제12 형태에서는, 제1 형태 내지 제11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하우징의 개구를 덮는 제2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부를 더 구비하며, 제2 하우징의 외면에는, 향미 흡인기에 관련되는 표시가 기재되며, 덮개부는, 표시 전부를 덮는다.
본원의 제12 형태에 의하면, 제2 하우징의 외면에 기재된 표시를 덮개부로 덮음으로써, 향미 흡인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의 제13 형태에서는,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은, 개구를 가지며, 내부에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수용부의 내면을 따른 외형을 가지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피수용물이 재치되는 재치부이며, 제1 재치부와, 제1 재치부와 조합되는 제2 재치부를 갖는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제1 재치부를 삽입하고, 제1 재치부를 회전시켜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과, 제2 재치부를 변형시킨 상태에서,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제2 재치부를 삽입하여,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갖는다.
본원의 제13 형태에 의하면, 피수용물이 재치되는 재치부를, 제1 재치부와, 제1 재치부와 조합되는 제2 재치부로 나누어,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제1 재치부를 삽입하고, 제1 재치부를 회전시켜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동시에, 제2 재치부를 변형시킨 상태에서, 하우징의 개구로부터 제2 재치부를 삽입하여,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하우징의 분할면을, 가장 큰 개구를 확보할 수 있는 면으로부터 비켜놓은 경우여도, 피수용물의 재치부를 하우징 내에 배치하여, 피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향미 흡인기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1c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2는, 향미 발생 물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b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서 본 3-3에 있어서의 향미 흡인기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B-4B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A-5A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B-5B에 있어서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챔버 및 가열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챔버 내의 원하는 위치에 향미 발생 물품이 배치된 상태인 도 5b에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아우터 하우징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아우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1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재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재치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1 하우징의 바닥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의 조합 개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제1 하우징의 X축 음방향측의 벽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의 조합 개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1 하우징의 X축 양방향측의 벽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의 조합 개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1 하우징의 X축 음방향측의 벽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의 조합 개소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1 재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2 재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1 하우징에 대한 제1 재치부 및 제2 재치부의 부착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제1 하우징에 대한 제1 재치부 및 제2 재치부의 부착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상당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1b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1c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의 개략 저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X-Y-Z 직교 좌표계를 첨부하는 경우가 있다. 이 좌표계에 있어서, Z축은 연직 상방을 향하고 있으며, X-Y 평면은 향미 흡인기(100)을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Y축은 향미 흡인기(100)의 정면으로부터 이면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X축은, 후술하는 제1 하우징(120)의 폭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Y축은, 제1 하우징(120)의 두께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Z축은, 후술하는 무화부(霧化部)(30)의 챔버(50)에 수용되는 향미 발생 물품의 삽입 방향, 챔버(50)의 축 방향, 또는 제1 하우징(120)의 높이 방향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은, 둥그스름한 외장을 갖는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어, 에어로졸원을 포함한 향미원을 갖는 스틱형의 향미 발생 물품을 가열함으로써, 향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은, 아우터 하우징(101)과, 슬라이드 커버(102)와, 스위치부(103)과, 단자(104)를 갖는다. 아우터하우징(101)은, 향미 흡인기(100)의 가장 외부의 하우징을 구성하며, 사용자의 손에 들어가는 사이즈를 갖는다. 사용자가 향미 흡인기(100)을 사용할 때는, 향미 흡인기(100)을 손으로 유지하여, 에어로졸을 흡인할 수 있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후술하는 복수의 부재를 조립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하우징(101)은, 수지제,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된 부재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아우터 하우징(101)은, 향미 발생 물품을 받아들이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입구부를 가지며, 슬라이드 커버(102)(슬라이드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는, 이 입구부를 닫도록 아우터 하우징(10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드 커버(102)는, 아우터 하우징(101)의 상기 입구부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위치)와, 상기 입구부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아우터 하우징(101)의 외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슬라이드 커버(102)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102)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슬라이드 커버(102), 향미 흡인기(100)의 내부로의 향미 발생 물품의 액세스를 허가 또는 제한할 수 있다.
스위치부(103)은, 향미 흡인기(100)의 작동의 온과 오프를 전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향미 발생 물품을 향미 흡인기(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스위치부(103)을 조작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가열부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향미 발생 물품을 연소시키지 않고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103)은, 아우터 하우징(101)의 외부에 설치되는 스위치여도 되며,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스위치여도 된다. 스위치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아우터 하우징(101) 표면의 스위치부(103)을 누름으로써, 간접적으로 스위치가 눌러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부(103)의 스위치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예를 설명한다.
단자(104)는, 향미 흡인기(100)을 예를 들어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USB 등의 인터페이스이다. 향미 흡인기(100)이 구비하는 전원이 충전식 배터리인 경우는, 단자(104)에 외부 전원을 접속함으로써, 외부 전원이 전원에 전류를 흘려, 전원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향미 흡인기(100)은, 단자(104)에 데이터 송신 케이블을 접속함으로써, 향미 흡인기(100)의 작동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향미 흡인기(100)에서 사용되는 향미 발생 물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향미 흡인기(100)과 향미 발생 물품(110)에 의해 흡연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향미 발생 물품(110)은, 흡연 가능물(111)과, 통형 부재(114)와, 중공 필터부(116)과, 필터부(115)를 갖는다.
흡연 가능물(111)은, 제1 권지(卷紙)(112)에 의해 권장(卷裝)된다. 통형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는, 제1 권지(112)와는 상이한 제2 권지(113)에 의해 권장된다. 제2 권지(113)은, 흡연 가능물(111)을 권장하는 제1 권지(112)의 일부도 권장한다. 이로써, 통형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와 흡연 가능물(111)이 연결된다. 다만, 제2 권지(113)이 생략되고, 제1 권지(112)를 사용하여 통형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와 흡연 가능물(111)이 연결되어도 된다. 제2 권지(113)의 필터부(115)측의 단부 근방의 외면에는, 사용자의 입술을 제2 권지(113)으로부터 떼어내기 쉽게 하기 위한 립 릴리스제(117)이 도포된다. 향미 발생 물품(110)의 립 릴리스제(117)이 도포되는 부분은, 향미 발생 물품(110)의 물부리로서 기능한다.
흡연 가능물(111)은, 예를 들어 담배 등의 향미원과, 에어로졸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연 가능물(111)을 감는 제1 권지(112)는, 통기성을 갖는 시트 부재일 수 있다. 통형 부재(114)는, 지관(紙管) 또는 중공 필터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향미 발생 물품(110)은, 흡연 가능물(111), 통형 부재(114), 중공 필터부(116) 및 필터부(115)를 구비하고 있지만, 향미 발생 물품(110)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공 필터부(116)이 생략되고, 통형 부재(114)와 필터부(115)가 서로 인접 배치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향미 흡인기(10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b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에서 본 3-3에 있어서의 향미 흡인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0)의 아우터 하우징(101)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전원부(20)이나 무화부(30) 등의 피수용물이 재치되는 재치부(10)이 형성된다. 재치부(10)은, 예를 들어 수지제이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재치부(10)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내열성이나 가공성, 강도의 관점에서, 재치부(10)은,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재치부(10)의 내부 공간(11)에는, 전원부(20)과, 무화부(30)이 형성된다. 또한, 전원부(20) 및 무화부(30)은, 향미 흡인기(100)이 조립된 후에는, 교환 불가능하다. 또한, 아우터 하우징(101)과 재치부(10)을 합쳐서 케이싱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전원부(20)은 전원(21)을 갖는다. 전원(21)은, 예를 들어, 충전식 배터리 또는 비충전식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21)은, 무화부(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전원(21)은, 향미 발생 물품(110)을 적절히 가열하도록, 무화부(3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무화부(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향미 발생 물품(110)의 삽입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챔버(50)과, 챔버(50)의 일부를 덮는 가열부(40)과, 단열부(32)와, 대략 통형의 삽입 가이드 부재(34)를 갖는다. 챔버(50)은 향미 발생 물품(11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가열부(40)은 챔버(5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챔버(50)에 수용된 향미 발생 물품(110)을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챔버(50)의 바닥부에는, 바닥 부재(36)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바닥 부재(36)은, 챔버(50)에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110)을 위치 결정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바닥 부재(36)은, 향미 발생 물품(110)이 맞닿는 면에 요철을 가지며, 향미 발생 물품(110)이 맞닿는 면에 공기를 공급 가능한 공간을 획정할 수 있다. 바닥 부재(36)은, 예를 들어 수지제이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 혹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36)은, 단열부(32) 등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부(32)는, 전체적으로 대략 통형이며, 챔버(50)을 덮도록 배치된다. 단열부(32)는, 예를 들어 에어로겔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폐쇄 위치에 있는 슬라이드 커버(102)와 챔버(50) 사이에 형성된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아우터 하우징(101)의 개구로부터 케이싱 내에 질러넣으면, 클로(claw)가 케이싱에 걸어맞추어져, 케이싱 외로 탈출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예를 들어 수지제이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수지,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또는 복수 종류의 폴리머를 함유하는 폴리머 알로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금속이나 유리,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내열성의 관점에서,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PEEK인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가이드 부재(34)는, 슬라이드 커버(102)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향미 흡인기(100)의 외부와 연통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을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관통공(34a)에 삽입함으로써, 챔버(50)으로의 향미 발생 물품(110)의 삽입을 안내한다. 슬라이드 커버(102)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관통공(34a)를 외부로 노출시키면서, 챔버(50)의 축 방향에 있어서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슬라이드 커버(102)가 삽입 가이드 부재(34)의 관통공(34a)의 전체를 덮도록 닫혀 있는 상태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향미 흡인기(100)은, 추가로, 챔버(50) 및 단열부(32)의 양단을 유지하는, 제1 유지부(37)와, 제2 유지부(38)을 갖는다. 제1 유지부(37)은, 챔버(50) 및 단열부(32)의 Z축 음방향측의 단부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제2 유지부(38)은, 챔버(50) 및 단열부(32)의 슬라이드 커버(102)측(Z축 양방향측)의 단부를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챔버(5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챔버(50)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4B-4B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A-5A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에서 본 5B-5B에 있어서의 챔버(5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챔버(50) 및 가열부(40)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은, 향미 발생 물품(110)이 삽입되는 개구(52)와, 향미 발생 물품(110)을 수용하는 통형의 측벽부(60)을 포함하는 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챔버(50)의 개구(52)를 획정하는 단부에는, 플랜지부(52a)가 형성된다. 챔버(50)은, 바닥부(56)의 반대측에 형성된 플랜지부(52a)가 아우터 하우징(101)의 개구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챔버(50)은 내열성을 가지며, 열팽창률이 작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챔버(50)은, 금속 외에, PEEK 등의 수지나, 유리, 세라믹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로써, 챔버(50)으로부터 향미 발생 물품(110)으로 효과적인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챔버(50)는, 통형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컵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60)는, 접촉부(62)와, 이간부(66)을 포함한다.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접촉부(62)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일부와 접촉 또는 가압하고, 이간부(66)은, 향미 발생 물품(110)으로부터 이간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란, 향미 발생 물품(110)이 적절히 가열되는 위치, 또는 사용자가 흡연할 때의 향미 발생 물품(110)의 위치를 말한다. 접촉부(62)는, 내면(62a)과, 외면(62b)을 갖는다. 이간부(66)은, 내면(66a)와 외면(66b)를 갖는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부(40)은, 접촉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된다. 가열부(40)은, 접촉부(62)의 외면(62b)에 간극없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부(40)은 접착층을 포함해도 된다. 그 경우, 접착층을 포함하는 가열부(40)이, 접촉부(62)의 외면(62b)에 간극없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62)의 외면(62b)는 평면이다. 접촉부(62)의 외면(62b)가 평면임으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62)의 외면(62b)에 배치되는 가열부(40)에 띠형상의 전극(48)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띠형상의 전극(48)이 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62)의 내면(62a)는 평면이다. 또한,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62)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4a,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은 접촉부(62)를 챔버(50)의 둘레 방향으로 2개 가지며, 2개의 접촉부(62)는 서로 평행이 되도록 대향한다. 2개의 접촉부(62)의 내면(62a) 사이의 적어도 일부의 거리는, 챔버(50)에 삽입되는 향미 발생 물품(110)의 접촉부(62) 사이에 배치되는 개소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간부(66)의 내면(66a)는, 챔버(50)의 길이 방향(Z축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원호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간부(66)은, 접촉부(62)와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은 도 3에 나타낸 바닥 부재(36)이 관통하여 챔버(50) 내부에 배치되도록, 그 바닥부(56)에 구멍(56a)를 가질 수 있다. 바닥 부재(36)은, 챔버(50)의 바닥부(56)의 내부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부재(36)과 바닥부(56)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것 대신에, 시멘트나 용접 등, 무기 접착제도 사용될 수 있다. 바닥부(56)에 형성되는 바닥 부재(36)은,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도록, 챔버(50)에 삽입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56)은, 노출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이 후술하는 공극(67)(도 7 참조)과 연통하도록, 향미 발생 물품(11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은, 개구(52)와 측벽부(60) 사이에 통형의 비유지부(54)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된 상태에 있어서, 비유지부(54)와 향미 발생 물품(1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챔버(50)은, 비유지부(54)의 내면과 접촉부(62)의 내면(62a)를 접속하는 테이퍼면(58a)를 구비한 제1 가이드부(58)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부(40)은 가열 요소(42)를 갖는다. 가열 요소(42)는, 예를 들어 히팅 트랙(heating track)이어도 된다.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이간부(66)에 접촉하지 않고, 접촉부(62)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가열 요소(42)는, 접촉부(62)의 외면에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이간부(66)을 가열하는 부분과, 접촉부(62)를 가열하는 부분에서, 가열 능력에 차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요소(42)는, 이간부(66)보다도 접촉부(62)를 높은 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접촉부(62)와 이간부(66)에 있어서의 가열 요소(42)의 히팅 트랙의 배치 밀도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요소(42)는, 챔버(50)의 전체 둘레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가열 능력을 가지며, 챔버(50)의 외주에 감겨도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열부(40)은, 가열 요소(42)에 더하여, 가열 요소(42)의 적어도 일면을 덮는 전기 절연 부재(44)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기 절연 부재(44)는 가열 요소(42)의 양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도 7은,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향미 발생 물품(110)이 배치된 상태인 도 5b에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발생 물품(110)이 챔버(50) 내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면, 향미 발생 물품(110)은 챔버(50)의 접촉부(62)와 접촉하여 가압될 수 있다. 한편, 향미 발생 물품(110)과 이간부(66) 사이에는 공극(67)이 형성된다. 공극(67)은 챔버(50)의 개구(52)와, 챔버(50) 내에 위치 부여된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과 연통될 수 있다. 이로써, 챔버(50)의 개구(52)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공극(67)을 통과하여, 향미 발생 물품(110)의 내부로 유입할 수 있다. 환언하면, 향미 발생 물품(110)과 이간부(66) 사이에 공기 유로(공극(67))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아우터 하우징(101)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아우터 하우징(101)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하우징(101)은, 개구(121)을 갖는 제1 하우징(120)과, 제1 하우징(120)의 개구(121)을 덮는 제2 하우징(130)과, 제2 하우징(13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부(140)을 갖는다. 제1 하우징(120), 제2 하우징(130) 및 덮개부(140) 각각은, 이음매가 없는 단일 구조물이다. 제2 하우징(130)은, 임의의 체결 수단에 의해 제1 하우징(120)에 고정된다. 덮개부(140)은, 자석 등에 의해 제2 하우징(130)에 고정되며, 사용자에 의해 탈착 가능하다. 여기서, 제1 하우징(120)의 개구(121)의 외연과, 제2 하우징(130)의 외연과, 덮개부(140)의 외연은,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1 하우징(120)과 제2 하우징(130)과 덮개부(140)을 조합했을 때의 접합부를 1개소로 할 수 있어, 향미 흡인기(10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아우터 하우징(10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서는, 제1 하우징(120)에 제2 하우징(130)이 고정된 상태를 덮개부(140)과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30)의 외면에는, 향미 흡인기(100)에 관련되는 성능 표시나 주의 사항이 기재된 표시 기재부(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30)에 덮개부(140)을 장착한 상태라면, 표시 기재부(131)을 외부에서 시인(視認)할 수 없게 되므로, 향미 흡인기(100) 사용 시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덮개부(140)은, 사용자가 떼어낼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표시 기재부(131)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제1 하우징(12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제1 하우징(12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1 하우징(12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1 하우징(12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20)은, 바닥부(122)와, 바닥부(122)의 외연으로부터 세워 형성되어, 개구(121)을 형성하는 벽부(123)으로 구성된다. 제1 하우징(120)은, Z축 양방향으로부터 Z축 음방향을 향하여, 폭 방향(X축 방향) 길이가 짧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제1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전원부(20)이나 무화부(30) 등의 피수용물을 재치부(10)과 함께 수용하는 수용부(124)가 형성된다. 제1 하우징(120)의 Z축 양방향측의 벽부(123)에는, 수용부(124)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으로서, 슬라이드 커버(102)에 의해 개폐되는 연통공(125)가 형성된다. 또한, 제1 하우징(120)의 Z축 음방향측의 벽부(123)에는, 수용부(124)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으로서, 단자(104)(도 1c 참조)를 외부에 노출하는 연통공(126)이 형성된다.
여기서, 개구(121)의 개구 면적은, 개구(121)에 평행한 평면으로 제1 하우징(120)을 절단한 경우에 있어서의 수용부(124)의 최대 단면적보다도 작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있어서, 개구(121)의 X축 방향 길이는, 제1 하우징(120)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짧고, 도 12에 있어서, 개구(121)의 Z축 방향 길이는, 제1 하우징(120)에 있어서의 Z축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짧다. 즉, 아우터 하우징(101)의 분할면은, 가장 큰 개구를 확보할 수 있는 면으로부터 비켜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재치부(1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재치부(1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재치부(1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도 15에 있어서, 재치부(10)은, 제1 하우징(120)의 수용부(124)의 내면을 따른 외형을 갖는다. 또한, 제1 하우징(120)의 개구(121)의 개구 면적은, 개구(121)에 평행한 평면으로 재치부(10)을 절단한 경우에 있어서의, 내부 공간(11)을 포함하는 재치부(10)의 최대 단면적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재치부(10)을 단일 부재로 하면, 재치부(10)을 제1 하우징(120)의 개구(121)로부터 삽입할 수 없다. 그래서, 도 14,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치부(10)은, 제1 재치부(150)과, 제1 재치부(150)과 조합되는 제2 재치부(160)으로 분할되어 있다.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20) 내에 삽입된 후, 서로 조합된다. 재치부(10)을, 제1 재치부(150)과, 제1 재치부(150)이 조합되는 제2 재치부(160)으로 나눈 것에 의해, 아우터 하우징(101)의 분할면을, 가장 큰 개구를 확보할 수 있는 면으로부터 비켜놓은 경우여도, 전원부(20)이나 무화부(30) 등의 피수용물이 재치되는 재치부(10)을 제1 하우징(120) 내에 배치하여, 피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재치부(150)에는, 슬라이드 커버(102)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제2 재치부(160)에는, 슬라이드 커버(102)의 개폐 동작을 검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가 고정된다. 센서가 슬라이드 커버(102)의 개폐 동작을 검지함으로써, 가열부(40)의 온오프가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치부(10)은, 내열성이나 가공성을 고려하여,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 재치부(150)은, 슬라이드 커버(102)의 슬라이딩 저항을 저하시키기 위해, 제2 재치부(160)보다도 슬라이딩성이 높은 재료가 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POM(폴리옥시메틸렌)이나 슬라이딩성이 높은 등급의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재치부(150) 및 제2 재치부(160)은, 제1 하우징(120)에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고정되지만, 접착제 등의 접착성을 고려하면, 슬라이딩성이 높은 등급의 폴리카보네이트(P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은, 재치부(10)의 Z축 방향 중앙보다도, Z축 양방향측으로 크게 치우친 위치에서 분할되어 있다. 이는, 제1 재치부(150)의 쪽이 제2 재치부(160)보다도 슬라이딩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 재료비가 비싸지는 점에서, 제1 재치부(150)을 작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을 분할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재치부(150)을 제1 하우징(120) 내에 삽입한 후, 제1 재치부(150)을 회전시켜 제1 하우징(120)의 소정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추가로, 이와 같이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을 분할함으로써,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의 조합 개소로서, 가열부(40)의 발열량이 많은 부분에, 열을 빼내기 위한 폐열구(17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은, 서로 위치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재치부(150)의 제2 재치부(160)과의 조합 개소에는, 제1 걸어맞춤부(151)이 형성되며, 제2 재치부(160)의 제1 재치부(150)과의 조합 개소에는, 제1 걸어맞춤부(151)과 걸어맞추어지는 제2 걸어맞춤부(161)이 형성된다. 제1 걸어맞춤부(151)과 제2 걸어맞춤부(152)를 서로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을 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이 서로 위치 결정함으로써, 슬라이드 커버(102)와 센서의 위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센서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커버(102)의 개폐 동작을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은, 제1 하우징(120)의 폭 방향, 두께 방향 및 높이 방향 각각에 대하여 서로 위치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제1 걸어맞춤부(151) 및 제2 걸어맞춤부(16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제1 하우징(120)의 바닥부(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의 조합 개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제1 하우징(120)의 X축 음방향측의 벽부(123)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의 조합 개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1 하우징(120)의 X축 양방향측의 벽부(123)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의 조합 개소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재치부(150)은, 제1 걸어맞춤부(151)로서 폭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2)를 가지며, 제2 재치부(160)은, 제2 걸어맞춤부(161)로서 폭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2)를 갖는다. 폭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2) 및 폭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2)는, 제1 하우징(120)의 바닥부(122)와 대향한다. 또한, 폭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2)는, 제1 재치부(150)으로부터 연장되는 볼록부이며, 폭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2)는, 볼록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오목부이다. 여기서, 볼록부와 오목부는 서로 교체되어도 된다. 폭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2)와 폭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2)가 서로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제1 하우징(120)의 폭 방향에 대하여,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을 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재치부(150)은, 제1 걸어맞춤부(151)로서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3) 및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4)를 가지며, 제2 재치부(160)은, 제2 걸어맞춤부(161)로서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3) 및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4)를 갖는다.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3) 및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4), 그리고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3) 및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4)는, 제1 하우징(120)의 X축 음방향측의 벽부(123)과 대향한다. 또한,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3) 및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4)는, 제2 재치부(160)으로부터 연장되는 볼록부이며,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3) 및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4)는, 볼록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오목부이다. 여기서, 볼록부와 오목부는 서로 교체되어도 된다.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3)과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3)이 서로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제1 하우징(120)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을 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4)와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4)가 서로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제1 하우징(120)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을 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재치부(150)은, 제1 걸어맞춤부(151)로서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3) 및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4)를 가지며, 제2 재치부(160)은, 제2 걸어맞춤부(161)로서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3) 및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4)를 갖는다.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3) 및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4), 그리고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3) 및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4)는, 제1 하우징(120)의 X축 양방향측의 벽부(123)과 대향한다. 또한,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3) 및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4)는, 제2 재치부(160)으로부터 연장되는 볼록부이며,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3) 및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4)는, 볼록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오목부이다. 여기서, 볼록부와 오목부는 서로 교체되어도 된다.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3)과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3)이 서로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제1 하우징(120)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을 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4)와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4)가 서로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제1 하우징(120)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을 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3) 및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4), 그리고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3) 및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4)는, 서로 대향하는 제1 하우징(120)의 X축 양방향측의 벽부(123) 및 X축 음방향측의 벽부(123)에 각각 형성된다. 이로써,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을 보다 강고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서는,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3) 및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4), 그리고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3) 및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4)를 나타냈지만,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3)과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3)과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도 19는, 제1 하우징의 X축 음방향측의 벽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의 제1 재치부와 제2 재치부의 조합 개소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재치부(160)은, 제2 걸어맞춤부(161)로서 제2 재치부(160)으로부터 경사 방향(YZ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5)를 가지며, 제1 재치부(150)은, 제1 걸어맞춤부(151)로서 경사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5)를 갖는다. 경사 방향 제1 걸어맞춤부(155)와 경사 방향 제2 걸어맞춤부(165)가 서로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제1 하우징(120)의 두께 방향 및 높이 방향에 대하여, 간소한 구성으로 제1 재치부(150)과 제2 재치부(160)을 서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20)과 제1 재치부(150)은, 서로 위치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제1 재치부(15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재치부(150)에는, Z축 양방향측으로 제1 재치부(150)으로부터 돌출한 제1 돌출부(156)이 형성된다. 제1 돌출부(156)은, 제1 하우징(120)의 연통공(125)(도 13 참조)의 내주면과 걸어맞추어진다. 이로써, 제1 재치부(150)을 제1 하우징(120)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20)과 제2 재치부(160)은, 서로 위치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제2 재치부(16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재치부(160)에는, Z축 음양 방향측으로 제2 재치부(160)으로부터 돌출한 제2 돌출부(166)이 형성된다. 제2 돌출부(166)은, 제1 하우징(120)의 연통공(126)(도 13 참조)의 내주면과 걸어맞추어진다. 이로써, 제2 재치부(160)을 제1 하우징(120)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166) 내에는, 단자(104)(도 1c 참조)가 수용되어도 된다. 단자(104)를 수용하는 구조를 제2 돌출부(166)으로 실현함으로써, 연통공(126)과의 걸어맞춤만을 위해서 제2 돌출부(166)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향미 흡인기(100)의 구조를 간소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재치부(150)에 있어서, 제1 걸어맞춤부(151)이 제2 재치부(160)측의 단부에 형성되며, 제1 돌출부(156)이 제2 재치부(160)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로써, 제1 재치부(150)의 양단의 위치가 정해져, 위치 어긋남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2 재치부(160)에 있어서, 제2 걸어맞춤부(161)이 제1 재치부(150)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제2 돌출부(166)이 제1 재치부(150)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로써, 제2 재치부(160)의 양단의 위치가 정해져, 위치 어긋남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제1 재치부(150) 및 제2 재치부(160)을, 제1 하우징(120)에 대하여 보다 강고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156) 및 제2 돌출부(166)은, 어느 한 쪽만이 형성되어도 된다.
다음으로, 제1 하우징(120)에 대한 제1 재치부(150) 및 제2 재치부(160)의 부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 도 23은, 제1 하우징(120)에 대한 제1 재치부(150) 및 제2 재치부(160)의 부착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우선, 제1 재치부(150)을 횡방향으로 제1 하우징(120) 내에 삽입하고, 제1 하우징(120) 내에서 제1 재치부(150)을 회전시킨다. (b) 다음으로, 제1 재치부(150)의 제1 돌출부(156)을, 제1 하우징(120)의 연통공(125)와 걸어맞춤시켜, 제1 재치부(150)을 위치 결정한다. (c) 이어서, 제2 재치부(160)을 제1 하우징(120) 내에 삽입한다. 이 때, 제1 하우징(120)은, Z축 양방향으로부터 Z축 음방향을 향하여, 폭 방향(X축 방향) 길이가 짧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도 10 참조), 제2 재치부(160)을 제1 하우징(120) 내에 삽입할 때, 제2 재치부(160)의 좁은 쪽을 먼저 삽입하여 Z축 음방향측으로 미끄러지게 하고, 제2 재치부(160)의 X축 방향 양측의 세워 형성된 부분을 잡아 내측으로 넘어뜨려 제1 하우징(120)에 삽입한다.
이 때,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 제2 재치부(160)의 X축 방향 양측의 세워 형성된 부분을 잡아 내측으로 넘어뜨림으로써, 제2 재치부(160)이 변형되어, 제1 하우징(120) 내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b) 다음으로, 제2 재치부(160)을 제1 하우징(120)에 완전히 삽입한다. (c) 이어서, 제2 재치부(160)을 해방함으로써, 판스프링의 원리에 따라, 제2 재치부(160)이 넓어져, 제1 걸어맞춤부(151)과 제2 걸어맞춤부(161)이 서로 걸어맞추어진다. 또한, 그 후, 제1 재치부(150) 및 제2 재치부(160)은, 접착제에 의해 제1 하우징(120)에 접착 고정되어도 된다. 이로써, 아우터 하우징(101)의 분할면을, 가장 큰 개구를 확보할 수 있는 면으로부터 비켜놓은 경우여도, 전원부(20)이나 무화부(30) 등의 피수용물이 재치되는 재치부(10)을 제1 하우징(120) 내에 배치하여, 피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 및 명세서와 도면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직접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가 없는 어느 형상이나 재질이어도, 본원 발명의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이상,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의 향미 흡인기(100)은, 챔버(50)의 개구(52)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향미 발생 물품(110)의 단면에 공급되는, 이른바 카운터 플로우(counter flow)식의 공기 유로를 갖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챔버(50)의 바닥부(56)으로부터 챔버(50) 내에 공기가 공급되는, 이른바 보텀 플로우(bottom flow)식의 공기 유로를 가져도 된다. 또한, 가열 요소(42)는 저항 가열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유도 가열형이어도 된다. 그 경우, 가열 요소(42)는, 유도 가열에 의해 챔버(50)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향미 발생 물품(110)이 서셉터(susceptor)를 갖는 경우에는, 가열 요소(42)가 유도 가열에 의해 향미 발생 물품(110)의 서셉터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챔버(50)의 주위에 가열 요소(42)를 배치하여, 챔버(50) 내의 향미 발생 물품(110)을 승온시키는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챔버(50) 내의 향미 발생 물품(110)을 승온시키는 방법은, 가열 요소(42)를 향미 발생 물품(110)에 직접 닿게 하거나, 향미 발생 물품(110) 중의 물질끼리의 진동에 의해 마찰열을 발생시키거나 해도 된다.
10: 재치부
11: 내부 공간
20: 전원부
30: 무화부
100: 향미 흡인기
101: 아우터 하우징
102: 슬라이드 커버
110: 향미 발생 물품
120: 제1 하우징
121: 개구
122: 바닥부
123: 벽부
124: 수용부
125: 연통공
126: 연통공
130: 제2 하우징
131: 표시 기재부
140: 덮개부
150: 제1 재치부
151: 제1 걸어맞춤부
152: 폭 방향 제1 걸어맞춤부
152: 제2 걸어맞춤부
153: 방향 제1 걸어맞춤부
154: 방향 제1 걸어맞춤부
155: 방향 제1 걸어맞춤부
156: 제1 돌출부
160: 제2 재치부
161: 제2 걸어맞춤부
162: 폭 방향 제2 걸어맞춤부
163: 방향 제2 걸어맞춤부
164: 방향 제2 걸어맞춤부
165: 방향 제2 걸어맞춤부
166: 제2 돌출부
170: 폐열구

Claims (13)

  1. 개구를 가지며, 내부에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의 내면을 따른 외형을 갖는 동시에, 상기 피수용물이 재치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재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의 개구 면적은, 상기 개구에 평행한 평면으로 상기 제1 하우징을 절단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수용부의 최대 단면적, 및 상기 개구에 평행한 평면으로 상기 재치부를 절단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상기 재치부의 최대 단면적보다도 작으며,
    상기 재치부는,
    제1 재치부와,
    상기 제1 재치부와 조합되는 제2 재치부를 갖는,
    향미 흡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치부는, 상기 제2 재치부와의 조합 개소에 형성된 제1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재치부는, 상기 조합 개소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추어지는 제2 걸어맞춤부를 갖는,
    향미 흡인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폭 방향, 두께 방향 및 높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걸어맞춤부는, 폭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제2 걸어맞춤부는, 폭 방향 제2 걸어맞춤부,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 및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폭 방향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폭 방향 제2 걸어맞춤부가 서로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제1 재치부와 상기 제2 재치부가 상기 폭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며,
    상기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가 서로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제1 재치부와 상기 제2 재치부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며,
    상기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가 서로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제1 재치부와 상기 제2 재치부가 상기 높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는,
    향미 흡인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연(外緣)으로부터 세워 형성되는 벽부를 가지며,
    상기 폭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상기 폭 방향 제2 걸어맞춤부는, 상기 바닥부와 대향하며,
    상기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상기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는, 상기 벽부와 대향하며,
    상기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상기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는, 상기 벽부와 대향하는,
    향미 흡인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상기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벽부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 및 상기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벽부 각각에 형성되는,
    향미 흡인기.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높이 방향 제1 걸어맞춤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두께 방향 제2 걸어맞춤부와 상기 높이 방향 제2 걸어맞춤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향미 흡인기.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어맞춤부는, 상기 조합 개소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치부에 형성된 볼록부 및 오목부 중 한 쪽이며,
    상기 제2 걸어맞춤부는, 상기 조합 개소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치부에 형성된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 중 다른 쪽이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향미 흡인기.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바닥부의 외연으로부터 세워 형성되는 벽부에 상기 수용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 재치부 및 상기 제2 재치부 중 적어도 한 쪽은, 상기 연통공과 걸어맞춤 가능한 돌출부를 갖는,
    향미 흡인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재치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치부측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는 반대측의 단부, 및 상기 제2 재치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치부측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2 걸어맞춤부와는 반대측의 단부 중 적어도 한 쪽에 형성되는,
    향미 흡인기.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벽부 각각에, 상기 수용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 재치부는, 상기 연통공의 한 쪽과 걸어맞춤 가능한 제1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2 재치부는, 상기 연통공의 다른 쪽과 걸어맞춤 가능한 제2 돌출부를 갖는,
    향미 흡인기.
  11.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된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동작을 검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재치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재치부에 고정되는,
    향미 흡인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개구를 덮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덮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향미 흡인기에 관련되는 표시가 기재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표시 전부를 덮는,
    향미 흡인기.
  13. 개구를 가지며, 내부에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의 내면을 따른 외형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피수용물이 재치되는 재치부이며, 제1 재치부와, 상기 제1 재치부와 조합되는 제2 재치부를 갖는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제1 재치부를 삽입하고, 상기 제1 재치부를 회전시켜 상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과,
    상기 제2 재치부를 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제2 재치부를 삽입하여, 상기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갖는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
KR1020237039271A 2021-04-28 2021-04-28 향미 흡인기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 KR202301709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16899 WO2022230086A1 (ja) 2021-04-28 2021-04-28 香味吸引器および香味吸引器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954A true KR20230170954A (ko) 2023-12-19

Family

ID=83847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271A KR20230170954A (ko) 2021-04-28 2021-04-28 향미 흡인기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65319A1 (ko)
EP (1) EP4331398A1 (ko)
JP (1) JPWO2022230086A1 (ko)
KR (1) KR20230170954A (ko)
CN (1) CN117355230A (ko)
WO (1) WO20222300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25227A1 (en) * 2011-06-24 2012-12-27 Alexander Robinson Portable vaporizer
CN106413440B (zh) * 2014-04-14 2019-05-17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烟
PT3386323T (pt) * 2015-12-18 2021-03-16 Jt Int Sa Dispositivo de vaporização pessoal
GB201717476D0 (en) * 2017-10-24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provision system and removable member
KR102253048B1 (ko) * 2019-04-25 2021-05-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65319A1 (en) 2024-02-29
EP4331398A1 (en) 2024-03-06
TW202241286A (zh) 2022-11-01
CN117355230A (zh) 2024-01-05
WO2022230086A1 (ja) 2022-11-03
JPWO2022230086A1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22687A1 (en) Aerosol provision systems
US10492529B2 (en) Electronic smoking device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reof
JP7463556B2 (ja) 香味吸引器
TW202222176A (zh) 香味吸嚐器及香味吸嚐器的製造方法
JP2024057043A (ja) 香味吸引器
KR20230170954A (ko) 향미 흡인기 및 향미 흡인기의 제조 방법
TW202239344A (zh) 香味吸嚐器
TW202241290A (zh) 香味吸嚐器
EP4260726A1 (en) Flavor inhaler and pressure reduction method
EP4260725A1 (en) Flavor inhaler
TWI851928B (zh) 香味吸嚐器及香味吸嚐器的製造方法
KR20230173693A (ko) 향미 흡인기
WO2022230087A1 (ja) 香味吸引器および喫煙システム
US20240041130A1 (en) Flavor inhaler and flavor inhaler manufacturing method
EP4260735A1 (en) Flavor inhaler and flavor inhaler manufacturing method
EP4260727A1 (en) Flavor inhaler
EP4321041A1 (en) Flavor inhaler
EP4260723A1 (en) Flavor inhaler
CN211379639U (zh) 采用磁性连接的电子烟杆和电子烟
EP4260721A1 (en) Flavor aspirator
KR20230172557A (ko) 향미 흡인기 및 흡연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