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277A -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 - Google Patents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277A
KR20230170277A KR1020220070594A KR20220070594A KR20230170277A KR 20230170277 A KR20230170277 A KR 20230170277A KR 1020220070594 A KR1020220070594 A KR 1020220070594A KR 20220070594 A KR20220070594 A KR 20220070594A KR 20230170277 A KR20230170277 A KR 20230170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ide end
glass
door frame
show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길
Original Assignee
박수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길 filed Critical 박수길
Priority to KR1020220070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0277A/ko
Publication of KR20230170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2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47F3/0434Glass or transparent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2Clamps or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fastening, or connecting glass plates, panels or the like
    • A47F3/125Doors for show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7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side U-shaped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05Y2900/2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for display cabinets, e.g. for refrigerated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개시되는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가 쇼케이스를 구성하는 쇼케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쇼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도어 유리 부재와, 도어 프레임 부재 및 도어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유리 부재가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가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에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쇼케이스의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쇼케이스의 가시 범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그 구성도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작업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Showcase door with improved visibility}
본 발명은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쇼케이스는 그 내부에 주류, 음료 등의 수용 대상체가 수용되고, 외부에서 상기 수용 대상체가 보일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말한다.
상기 쇼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수용 대상체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고, 상기 수용 대상체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 유리를 포함하는 쇼케이스용 도어가 배치된다.
이러한 쇼케이용 도어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들이다.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쇼케이스용 도어에 의하면, 쇼케이스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도어 유리 부재와, 상기 도어 유리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도어 유리 부재에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유리 부재가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데, 상기 도어 유리 부재 중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에 삽입되는 부분이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에 의해 가려지게 됨으로 인해 상기 쇼케이스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가시 범위가 줄어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552611 호, 등록일자: 2015.09.07, 발명의 명칭: 쇼케이스용 슬림베젤 다중유리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쇼케이스 등록특허 제 10-1196261 호, 등록일자: 2012.10.25, 발명의 명칭: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
본 발명은 쇼케이스의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쇼케이스의 가시 범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그 구성도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작업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는 쇼케이스에 적용되고, 상기 쇼케이스를 구성하는 쇼케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쇼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쇼케이스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도어 유리 부재; 및 상기 도어 유리 부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도어 유리 부재에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 부재; 상기 쇼케이스 프레임에 대해 상기 도어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이 가해지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도어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유리 부재는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는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에 의하면, 쇼케이스를 구성하는 쇼케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쇼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도어 유리 부재와, 도어 프레임 부재 및 도어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유리 부재가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가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에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쇼케이스의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쇼케이스의 가시 범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그 구성도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작업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조립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 부재에 적용된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 부재에 적용된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 부재에 적용된 상단 도어 프레임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 부재에 적용된 하단 도어 프레임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구성하는 프레임 연결 부재 및 도어 힌지 부재가 상단 도어 프레임부에서 분리된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구성하는 프레임 연결 부재 및 도어 힌지 부재가 하단 도어 프레임부에서 분리된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구성하는 개스킷 부재에 적용된 제 1 측단 개스킷부를 확대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조립하기 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 부재에 적용된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 부재에 적용된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 부재에 적용된 상단 도어 프레임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 부재에 적용된 하단 도어 프레임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구성하는 프레임 연결 부재 및 도어 힌지 부재가 상단 도어 프레임부에서 분리된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구성하는 프레임 연결 부재 및 도어 힌지 부재가 하단 도어 프레임부에서 분리된 모습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를 구성하는 개스킷 부재에 적용된 제 1 측단 개스킷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100)는 쇼케이스에 적용되고, 상기 쇼케이스를 구성하는 쇼케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쇼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도어 유리 부재(110)와, 도어 프레임 부재(115)와, 도어 손잡이 부재(1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100)는 개스킷 부재(165)와, 프레임 연결 부재(180) 및 도어 힌지 부재(18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는 상기 쇼케이스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는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후측 유리(111)와, 전측 유리(112)와, 전측 확장 유리(113)와, 유리 연결체(114)를 포함한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 전측은 상기 쇼케이스의 외곽 쪽이 되고, 후측은 상기 쇼케이스의 내부 공간 쪽이 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후측 유리(111)는 소정 면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후측 유리(111)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전측 유리(112)는 상기 후측 유리(111)에서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전측 확장 유리(113)는 상기 전측 유리(112)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측 유리(112)의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전측 유리(112)의 크기에 비해 상기 전측 확장 유리(113)의 폭만큼 더 크게 형성되고, 후술되는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대해 상기 전측 확장 유리(113)가 노출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가시 범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유리 연결체(114)는 상기 후측 유리(111)와 상기 전측 유리(11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측 유리(111)와 상기 전측 유리(112) 사이를 연결시키고, 그 양측면이 상기 후측 유리(111) 및 상기 전측 유리(112)와 접하게 되어 상기 후측 유리(111)와 상기 전측 유리(112)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유리 연결체(114)는 상기 후측 유리(111)와 상기 전측 유리(112)의 테두리부에 배치되고 합성 수지 또는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측 유리(111), 상기 상측 유리와 상기 유리 연결체(114)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되어 그 내부가 기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측 유리(111)와 상기 상측 유리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단열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아르곤 가스, 건조 공기, 크립톤 가스 중의 적어도 하나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는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에 결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는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접착제로 결합되고, 상기 접착제는 경화형 접착제인 실리콘 계열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거나,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는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와,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와,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 및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의 폭은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는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일 측단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는 압출 방식 등에 의해 동일한 단면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는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121)와, 제 1 측단 프레임 관통홀(121a)과, 제 1 측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21b)과, 제 1 측단 전면 돌기(122)와, 제 1 측단 측면 돌기(123)와,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24)와, 제 1 측단 개스킷 삽입홀(124a)과, 한쌍의 제 1 측단 개스킷 걸림 돌기(125)와, 제 1 측단 유리 지지측 돌출체(126)와, 제 1 측단 유리 지지체(127)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121)는 사각 단면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길이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관통홀(121a)은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121)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21b)은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121)의 내부 중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관통홀(121a)과 전방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21b)은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관통홀(121a)에 비해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121)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측단 전면 돌기(122)는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121)의 전면에서 복수 개의 톱니(sawtooth) 형태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단 측면 돌기(123)는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121)의 전면과 수직되게 연결되는 측면에서 복수 개의 톱니 형태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결합될 때, 상기 제 1 측단 전면 돌기(122)와 상기 제 1 측단 측면 돌기(123)에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측단 전면 돌기(122) 및 상기 제 1 측단 측면 돌기(123)의 각 홈들 사이에 상기 접착제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대한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24)는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121)의 후측부에 배치되고, 후술되는 제 1 측단 개스킷부(166)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24)의 폭은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121)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되, 그 외측의 표면은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24)의 일부가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121)의 내측 표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121)의 내측은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121)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의 내부 공간 즉,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 및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가 결합될 때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측면과 대면되는 쪽을 말한다.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삽입홀(124a)은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24)의 표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부(166)의 일부이고 후술되는 제 1 측단 삽입체(173)가 삽입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걸림 돌기(125)는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24)의 표면과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삽입홀(124a)이 만나는 부분에서 대면되게 배치되고 서로 근접되는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삽입홀(124a)에 삽입된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부(166)의 삽입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단 유리 지지측 돌출체(126)는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24)의 내측 측면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단 유리 지지체(127)는 상기 제 1 측단 유리 지지측 돌출체(126)의 말단에서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121)을 향해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연장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결합될 때 상기 후측 유리(111)의 후면과 접하여 상기 후측 유리(111)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를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결합시킬 때, 상기 전측 확장 유리(113)의 후면은 상기 제 1 측단 전면 돌기(122)에 접하게 되고, 상기 후측 유리(111)의 후면은 상기 제 1 측단 유리 지지체(127)에 접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이격된 두 군데의 지점에서 지지됨에 따라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한 군데의 지점에서 지지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외력에 대해서도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제 1 측단 유리 지지체(127) 및 상기 제 1 측단 전면 돌기(122)의 첨두 부분이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에 직접 접하게 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 사이의 열전도가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의 표면에 대한 결로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는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타 측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131)와, 제 2 측단 프레임 관통홀(131a)과, 제 2 측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31b)과, 제 2 측단 전면 돌기(132)와, 제 2 측단 측면 돌기(133)와, 제 2 측단 유리 고정측 돌출체(138)와, 제 2 측단 유리 고정체(139)와, 제 2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34)와, 제 2 측단 개스킷 삽입(134a)홀과, 한 쌍의 제 2 측단 개스킷 걸림 돌기(135)와, 제 2 측단 유리 지지측 돌출체(136)와, 제 2 측단 유리 지지체(137)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131)는 사각 단면 형태를 가지면서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관통홀(131a)은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131)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31b)은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131)의 내부 중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관통홀(131a)과 전방을 향해 이격된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31b)은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관통홀(131a)에 비해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131)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측단 전면 돌기(132)는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131)의 전면에서 복수 개의 톱니 형태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결합될 때, 상기 제 2 측단 전면 돌기(132)의 표면은 상기 전측 확장 유리(113)의 후면과 접한다.
상기 제 2 측단 측면 돌기(133)는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131)의 전면과 수직되게 연결되는 측면에서 복수 개의 톱니 형태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결합될 때, 상기 제 2 측단 전면 돌기(132) 및 상기 제 2 측단 측면 돌기(133)에는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다. 그러면, 상기 제 2 측단 전면 돌기(132) 및 상기 제 2 측단 측면 돌기(133)의 각 홈들 사이에 상기 접착제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대한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측단 유리 고정측 돌출체(138)는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131) 중 상기 제 2 측단 전면 돌기(132)가 형성된 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측단 유리 고정측 돌출체(138)는 상기 전측 확장 유리(113)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측단 유리 고정체(139)는 상기 제 2 측단 유리 고정측 돌출체(138)의 말단에서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131)를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결합될 때 상기 전측 확장 유리(113)에 걸려 상기 전측 확장 유리(113)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34)는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131)의 후측부에 배치되고, 후술되는 제 2 측단 개스킷부(167)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34)의 폭은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131)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되, 그 외측의 표면은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24)의 일부가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131)의 내측 표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131)의 내측은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131)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의 내부 공간 즉,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 및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가 결합될 때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측면과 대면되는 쪽을 말한다.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 삽입(134a)홀은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34)의 표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부(167)의 일부가 삽입되는 것이다.
한 쌍의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 걸림 돌기(135)는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34)의 표면과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 삽입(134a)홀이 만나는 부분에서 대면되게 배치되고 서로 근접되는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 삽입(134a)홀에 삽입된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부(167)의 삽입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측단 유리 지지측 돌출체(136)는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34)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측단 유리 지지체(137)는 상기 제 2 측단 유리 지지측 돌출체(136)의 말단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연장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결합될 때 상기 후측 유리(111)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를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결합시킬 때, 상기 전측 확장 유리(113)의 후면은 상기 제 2 측단 전면 돌기(132)에 접하게 되고, 상기 후측 유리(111)의 후면은 상기 제 2 측단 유리 지지체(137)에 접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이격된 두 군데의 지점에서 지지됨에 따라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한 군데의 지점에서 지지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외력에 대해서도 파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제 2 측단 유리 지지체(137) 및 상기 제 2 측단 전면 돌기(132)의 첨두 부분이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에 직접 접하게 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 사이의 열전도가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의 표면에 대한 결로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는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의 일측 말단과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의 일측 말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는 상단 프레임 몸체(141)와, 상단 프레임 관통홀(141a)과, 상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41b)과, 상단 전면 돌기(142)와, 상단 측면 돌기(143)와, 상단 유리 고정측 돌출체(148)와, 상단 유리 고정체(149)와, 상단 개스킷 연결 몸체(144)와, 상단 개스킷 삽입홀(144a)과, 한 쌍의 상단 개스킷 걸림 돌기(145)와, 상단 유리 지지측 돌출체(146)와, 상단 유리 지지체(147)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는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의 타측 말단과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의 타측 말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는 하단 프레임 몸체(151)와, 하단 프레임 관통홀(151a)과, 하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51b)과, 하단 전면 돌기(152)와, 하단 측면 돌기(153)와, 하단 유리 고정측 돌출체(158)와, 하단 유리 고정체(159)와, 하단 개스킷 연결 몸체(154)와, 하단 개스킷 삽입홀(154a)과, 한 쌍의 하단 개스킷 걸림 돌기(155)와, 하단 유리 지지측 돌출체(156)와, 하단 유리 지지체(15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 및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는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와 구성 및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 및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의 상세 설명은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의 폭은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가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를 가리는 면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를 통한 가시 범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160)는 상기 쇼케이스 프레임에 대해 상기 도어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이 가해지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것으로, 도어 손잡이 몸체(161)와, 도어 손잡이 굽힘체(163)와, 도어 손잡이 연결체(162)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160)는 합성 수지재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어 손잡이 몸체(161)는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의 전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 손잡이 굽힘체(163)는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의 전면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도어 손잡이 몸체(161)에 대해 소정 각도 굽혀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 손잡이 연결체(162)는 상기 도어 손잡이 몸체(161)와 상기 도어 손잡이 굽힘체(163)를 연결시키는 것이다.
상기 도어 손잡이 연결체(162)는 소정 곡률의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도어 손잡이 몸체(161) 및 상기 도어 손잡이 굽힘체(163)에 대해 각각 경사진 형태인 모따기(chamfer)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 손잡이 연결체(162)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쇼케이스의 개폐를 위해 사용자가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160)에 외력을 인가할 때 상기 도어 손잡이 몸체(161)와 상기 도어 손잡이 굽힘체(163)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응력이 집중도어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160)는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 더 자세하게는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160)는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와 함께 하나의 금형에서 압출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160)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와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는 상기 쇼케이스에 대해 좌우측의 위치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에서 상기 쇼케이스를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가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가 우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160)에 외력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100)는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외부에서 상기 쇼케이스를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가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가 좌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160)에 외력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100)는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프레임 연결 부재(180)는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 중 서로 이웃하면서 수직되게 배치되는 두 개를 각각 연결시키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 연결 부재(180)는 소정 면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판(181)과, 상기 프레임 연결판(181)의 말단에서 수직으로 굽혀지게 형성된 굽힘 연결판(182)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는 'ㄱ'자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연결 부재(180)는 네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프레임 연결 부재(180)는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와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와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와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와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를 각각 연결시킨다.
상세히, 네 개의 상기 프레임 연결 부재(180) 중 하나에서 상기 프레임 연결판(181) 및 상기 굽힘 연결판(18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21b)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 연결판(181) 및 상기 굽힘 연결판(182)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를 구성하는 상기 상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41b)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 및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가 서로 연결된다.
또한, 네 개의 상기 프레임 연결 부재(180)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프레임 연결판(181) 및 상기 굽힘 연결판(18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21b)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 연결판(181) 및 상기 굽힘 연결판(182) 중 다른 하나가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를 구성하는 상기 하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51b)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 및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가 서로 연결된다.
또한, 네 개의 상기 프레임 연결 부재(180) 중 또 다른 하나에서 상기 프레임 연결판(181) 및 상기 굽힘 연결판(18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31b)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 연결판(181) 및 상기 굽힘 연결판(182)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를 구성하는 상기 상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41b)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 및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가 서로 연결된다.
또한, 네 개의 상기 프레임 연결 부재(180) 중 또 다른 하나에서 상기 프레임 연결판(181) 및 상기 굽힘 연결판(18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31b)에 삽입되고, 상기 프레임 연결판(181) 및 상기 굽힘 연결판(182) 중 다른 하나가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를 구성하는 상기 하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151b)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 및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 및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에 네 개의 상기 프레임 연결 부재(180)가 각각 삽입되는 형태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의 연결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 힌지 부재(185)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와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와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쇼케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의 회전축이 되는 것이다.
상기 각 도어 힌지 부재(185)는 도어 힌지 몸체(186)와, 도어 힌지 굽힘체(189)와, 도어 힌지축(188)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 힌지 몸체(186)는 사각 바아(bar) 형태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를 구성하는 상기 상단 프레임 관통홀(141a) 또는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를 구성하는 상기 하단 프레임 관통홀(151a)에 삽입된다.
상기 도어 힌지 굽힘체(189)는 상기 도어 힌지 몸체(186)의 말단에서 수직으로 굽혀지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관통홀(131a)에 삽입된다.
상기 도어 힌지 몸체(186)와 상기 도어 힌지 굽힘체(189)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로 형성된다.
한 쌍의 상기 도어 힌지 부재(185) 중 상기 도어 힌지 몸체(186)가 상기 상단 프레임 관통홀(141a)에 삽입된 것과 연결되는 상기 도어 힌지 굽힘체(189)는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관통홀(131a)의 일측 말단에 삽입되고, 한 쌍의 상기 도어 힌지 부재(185) 중 상기 도어 힌지 몸체(186)가 상기 하단 프레임 관통홀(151a)에 삽입된 것과 연결되는 상기 도어 힌지 굽힘체(189)는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관통홀(131a)의 타측 말단에 삽입된다.
상기 도어 힌지축(188)은 그 하부가 상기 도어 힌지 몸체(186)에 삽입되고, 그 상부는 상기 쇼케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83은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와 상기 도어 힌지 부재(185)를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으로,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수단(183)이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에 형성된 상단 프레임측 관통홀(184)을 관통한 후 상기 도어 힌지 몸체(186)의 상측에 형성되고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 고정홀(187)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에 대한 상기 도어 힌지 부재(185)의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도시되었지만, 상기 연결 수단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와 상기 도어 힌지 부재(185)의 연결,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와 상기 도어 힌지 부재(185)의 연결에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부는 상기 쇼케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서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10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스킷 부재(165)는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의 후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상기 쇼케이스용 도어가 상기 쇼케이스를 닫을 때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상기 쇼케이스용 도어와 상기 쇼케이스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개스킷 부재(165)는 제 1 측단 개스킷부(166)와, 제 2 측단 개스킷부(167)와, 상단 개스킷부(168)와, 하단 개스킷부(169)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부(166)와,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부(167)와, 상기 상단 개스킷부(168)와, 상기 하단 개스킷부(169)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와 동일한 사각형의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고, 그 일부가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의 후면에 각각 삽입된다.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부(166)는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의 후측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 1 측단 개스킷 몸체(171)와, 제 1 측단 전방 돌출체(172)와, 제 1 측단 삽입체(173)와, 제 1 측단 후방 돌출체(174)와, 제 1 측단 확장체(175)와, 제 1 측단 쇼케이스 밀착체(176)와, 제 1 측단 충격 감쇄체(177)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몸체(171)는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24)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24)의 후측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단 전방 돌출체(172)는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몸체(171)의 전면에서 한 쌍이 대면되면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단 삽입체(173)는 단면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면서 한 쌍의 상기 제 1 측단 전방 돌출체(172)의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삽입홀(124a)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단 삽입체(173)는 상기 제 1 측단 전방 돌출체(172)에 비해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측단 삽입체(173)가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삽입홀(124a)에 삽입될 때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걸리 돌기가 상기 제 1 측단 전방 돌출체(172)에 걸려 상기 제 1 측단 삽입체(173)가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삽입홀(124a)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측단 후방 돌출체(174)는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몸체(171)의 후방에서 한 쌍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단 확장체(175)는 상기 각 제 1 측단 후방 돌출체(174)의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단 쇼케이스 밀착체(176)는 그 내부가 빈 사각 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100)가 상기 쇼케이스를 밀폐시킬 때 상기 쇼케이스의 전면부에 탄성 변형되면서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측단 충격 감쇄체(177)는 소정 곡률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측단 쇼케이스 밀착체(176)와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몸체(171)를 연결시키고, 그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100)가 상기 쇼케이스를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외력이 전달될 때 탄성 변형되어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100)에서 상기 쇼케이스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부(167)는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의 후측부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상단 개스킷부(168)는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의 후측부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하단 개스킷부(169)는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의 후측부에 연결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부(167), 상기 상단 개스킷부(168), 상기 하단 개스킷부(169)는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부(166)와 구성 및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부(166)의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으로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부(167), 상기 상단 개스킷부(168), 상기 하단 개스킷부(169)의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을 갈음한다.
한편,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결합될 때,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일측 말단부 사이에는 제 1 측단 측면 접착 수용 공간(123a)과, 제 1 측단 후측 접착 수용 공간(127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측단 측면 접착 수용 공간(123a) 및 상기 제 1 측단 후측 접착 수용 공간(127a)에는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에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일측 말단부를 결합시기키 위한 상기 접착제가 수용된다.
상기 제 1 측단 측면 접착 수용 공간(123a)은 상기 제 1 측단 측면 돌기(123),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24), 상기 후측 유리(111)의 측면, 상기 유리 연결체(114)의 측면 및 상기 전측 확장 유리(113)의 후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되고, 상기 제 1 측단 후측 접착 수용 공간(127a)은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124), 상기 제 1 측단 유리 지지측 돌출체(126), 상기 제 1 측단 유리 지지체(127) 및 상기 후측 유리(111)의 저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제 1 측단 전면 돌기(122)에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전측 확장 유리(113)의 저면이 밀착되고, 상기 제 1 측단 측면 접착 수용 공간(123a) 및 상기 제 1 측단 후측 접착 수용 공간(127a)에 수용된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일측 말단부가 결합됨으로써 종래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내삽되는 것에 비해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일측 말단부에 대한 결합은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타측 말단부,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상측 말단부,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하측 말단부의 결합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결합될 때,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타측 말단부 사이에는 제 2 측단 측면 접착 수용 공간(133a)과, 제 2 측단 후측 접착 수용 공간(137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측단 측면 접착 수용 공간(133a) 및 상기 제 2 측단 후측 접착 수용 공간(137a)에는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에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타측 말단부를 결합시기키 위한 상기 접착제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결합될 때,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상측 말단부 사이에는 상단 측면 접착 수용 공간(143a)과, 상단 후측 접착 수용 공간(147a)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 측면 접착 수용 공간(143a) 및 상기 상단 후측 접착 수용 공간(1437)에는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에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상측 말단부를 결합시기키 위한 상기 접착제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결합될 때,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하측 말단부 사이에는 하단 측면 접착 수용 공간(153a)과, 하단 후측 접착 수용 공간(157a)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 측면 접착 수용 공간(153a) 및 상기 하단 후측 접착 수용 공간(157a)에는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에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의 하측 말단부를 결합시기키 위한 상기 접착제가 수용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 및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를 연결한다.
이 때, 네 개의 상기 프레임 연결 부재(180)는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 및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 중 서로 이웃하면서 수직되게 배치되는 두 개에 내삽되어 연결된다.
또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도어 힌지 부재(185) 중 하나는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와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 사이에 내삽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도어 힌지 부재(185)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와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 사이에 내삽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부(166),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부(167), 상기 상단 개스킷부(168), 상기 하단 개스킷부(169)를 서로 연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120),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130),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140) 및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150)에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부(166),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부(167), 상기 상단 개스킷부(168), 상기 하단 개스킷부(169)를 각각 삽입한다.
그런 다음,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를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100)가 쇼케이스에 적용되고, 상기 쇼케이스를 구성하는 쇼케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쇼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와,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 및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16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유리 부재(110)가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160)가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115)에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쇼케이스의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쇼케이스의 가시 범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그 구성도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작업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에 의하면, 쇼케이스의 내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쇼케이스의 가시 범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그 구성도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작업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
110 : 도어 유리 부재
115 : 도어 프레임 부재
120 :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
130 :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
140 : 상단 도어 프레임부
150 : 하단 도어 프레임부
160 : 도어 손잡이 부재
165 : 개스킷 부재
180 : 프레임 연결 부재
185 : 도어 힌지 부재

Claims (5)

  1. 쇼케이스에 적용되고, 상기 쇼케이스를 구성하는 쇼케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쇼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쇼케이스의 전면부에 배치되는 도어 유리 부재;
    상기 도어 유리 부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도어 유리 부재에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쇼케이스 프레임에 대해 상기 도어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이 가해지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도어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유리 부재는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는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유리 부재는
    소정 면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후측 유리와,
    상기 후측 유리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측 유리와,
    상기 전측 유리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측 유리의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측 확장 유리와,
    상기 후측 유리와 상기 전측 유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측 유리와 상기 전측 유리 사이를 연결시키는 유리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는
    상기 도어 유리 부재의 일 측단에 결합되는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의 타 측단에 결합되는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와,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의 일측 말단과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의 일측 말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도어 유리 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도어 프레임부와,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의 타측 말단과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의 타측 말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도어 유리 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 도어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의 폭은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는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의 후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상기 쇼케이스용 도어가 상기 쇼케이스를 닫을 때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상기 쇼케이스용 도어와 상기 쇼케이스 사이를 밀폐시키는 개스킷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 부재는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의 후측부에 연결되는 제 1 측단 개스킷부와,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의 후측부에 연결되는 제 2 측단 개스킷부와,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의 후측부에 연결되는 상단 개스킷부와,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의 후측부에 연결되는 하단 개스킷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는
    사각 단면 형태를 가지면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와,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측단 프레임 관통홀과,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의 내부 중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관통홀과 이격된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1 측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과,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의 전면에서 복수 개의 톱니(sawtooth) 형태로 돌출되는 제 1 측단 전면 돌기와,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의 전면과 수직되게 연결되는 측면에서 복수 개의 톱니 형태로 돌출되는 제 1 측단 측면 돌기와,
    상기 제 1 측단 프레임 몸체의 후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부가 연결되는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와,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의 표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 1 측단 개스킷 삽입홀과,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의 표면과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삽입홀이 만나는 부분에서 대면되게 배치되고 서로 근접되는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부의 삽입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 1 측단 개스킷 걸림 돌기와,
    상기 제 1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제 1 측단 유리 지지측 돌출체와,
    상기 제 1 측단 유리 지지측 돌출체의 말단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연장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가 결합될 때 상기 후측 유리를 지지하게 되는 제 1 측단 유리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는
    사각 단면 형태를 가지면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와,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측단 프레임 관통홀과,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의 내부 중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관통홀과 이격된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 2 측단 프레임 이격 관통홀과,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의 전면에서 복수 개의 톱니 형태로 돌출되는 제 2 측단 전면 돌기와,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의 전면과 수직되게 연결되는 측면에서 복수 개의 톱니 형태로 돌출되는 제 2 측단 측면 돌기와,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 중 상기 제 2 측단 전면 돌기가 형성된 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는 제 2 측단 유리 고정측 돌출체와,
    상기 제 2 측단 유리 고정측 돌출체의 말단에서 상기 제 2 측단 측면 돌기 를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에 상기 도어 유리 부재가 결합될 때 상기 전측 확장 유리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제 2 측단 유리 고정체와,
    상기 제 2 측단 프레임 몸체의 후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부가 연결되는 제 2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와,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의 표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 2 측단 개스킷 삽입홀과,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의 표면과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 삽입홀이 만나는 부분에서 대면되게 배치되고 서로 근접되는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부의 삽입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제 2 측단 개스킷 걸림 돌기와,
    상기 제 2 측단 개스킷 연결 몸체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제 2 측단 유리 지지측 돌출체와,
    상기 제 2 측단 유리 지지측 돌출체의 말단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연장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와 상기 도어 유리 부재가 결합될 때 상기 후측 유리 를 지지하게 되는 제 2 측단 유리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는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 부재 중 서로 이웃하면서 수직되게 배치되는 두 개를 각각 연결시키는 프레임 연결 부재; 및
    상기 상단 도어 프레임부와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 상기 하단 도어 프레임부와 상기 제 2 측단 도어 프레임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쇼케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도어 프레임 부재의 회전축이 되는 도어 힌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연결 부재는
    소정 면적의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 연결판과,
    상기 프레임 연결판의 말단에서 수직으로 굽혀지게 형성된 굽힘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힌지 부재는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도어 힌지 몸체와,
    상기 도어 힌지 몸체의 말단에서 수직으로 굽혀지게 형성된 도어 힌지 굽힘체와,
    그 하부가 상기 도어 힌지 몸체에 삽입되고, 그 상부는 상기 쇼케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손잡이 부재는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의 전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는 도어 손잡이 몸체와,
    상기 제 1 측단 도어 프레임부의 전면에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도어 손잡이 몸체에 대해 소정 각도 굽혀진 형태로 형성되는 도어 손잡이 굽힘체와,
    상기 도어 손잡이 몸체와 상기 도어 손잡이 굽힘체를 연결시키는 도어 손잡이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손잡이 연결체는 소정 곡률의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기 도어 손잡이 몸체 및 상기 도어 손잡이 굽힘체에 대해 각각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
KR1020220070594A 2022-06-10 2022-06-10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 KR20230170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594A KR20230170277A (ko) 2022-06-10 2022-06-10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594A KR20230170277A (ko) 2022-06-10 2022-06-10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277A true KR20230170277A (ko) 2023-12-19

Family

ID=8938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594A KR20230170277A (ko) 2022-06-10 2022-06-10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027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61B1 (ko) 2010-12-29 2012-11-05 권상우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
KR101552611B1 (ko) 2015-01-21 2015-09-11 주식회사 크리콤 쇼케이스용 슬림베젤 다중유리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쇼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261B1 (ko) 2010-12-29 2012-11-05 권상우 쇼케이스용 착탈식 자동 회전 도어
KR101552611B1 (ko) 2015-01-21 2015-09-11 주식회사 크리콤 쇼케이스용 슬림베젤 다중유리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쇼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50552B (zh) 定位装置、定位方法、壳体和移动通信终端
CN103671444B (zh) 将附件固定在车辆车身上的固定部件和相应的固定结构
KR20230170277A (ko) 가시 범위가 향상된 쇼케이스용 도어
JP2007202992A (ja) 遊技盤の前面扉
KR101903120B1 (ko) 창호프레임 연결 장치
KR20030057087A (ko) 냉장고의 데코도어 장치
KR20100099634A (ko) 프로젝트 창호 및 이에 사용되는 암플레이트
JP4840279B2 (ja) ガラス窓部付きドア枠
KR200486025Y1 (ko) 창틀 프레임 연결용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창틀
KR102583642B1 (ko) 도어 손잡이의 결합구조
JP3584675B2 (ja) 車両のドア構造
CN214740791U (zh) 包含玻璃窗的柜部件结构及柜
JP7179676B2 (ja) 建具、及び、網材の固定方法
JP4225441B2 (ja) 自動製氷機のドア構造
JPH108841A (ja) フラッシュドア
CN218096829U (zh) 冰箱门体以及冰箱
KR101066910B1 (ko) 스틸월
JP4359137B2 (ja) 格子パネル
WO2020241635A1 (ja) 障子及び建具
JP3828110B2 (ja) キャビネット
JP2012021273A (ja) ドア体
KR20230111060A (ko) 창호용 연결 브라켓
CN112727310A (zh) 包含玻璃窗的柜部件结构及柜
KR200161543Y1 (ko) 창틀골재 연결구
KR940004879Y1 (ko) 단일창호의 창틀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