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730A -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730A
KR20230169730A KR1020220070217A KR20220070217A KR20230169730A KR 20230169730 A KR20230169730 A KR 20230169730A KR 1020220070217 A KR1020220070217 A KR 1020220070217A KR 20220070217 A KR20220070217 A KR 20220070217A KR 20230169730 A KR20230169730 A KR 20230169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block
shaped reinforcement
hole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2477B1 (ko
Inventor
정재형
황성필
김형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오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오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7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477B1/ko
Publication of KR20230169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토옹벽에서 블럭(20)에 결합되어 보강토층(30) 내에 위치되는 띠형 보강재(35)가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35)는 상기 보강토층(30)의 전후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그 일단부(37)가 상기 블럭(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와 이에 인접한 영역이 상기 블럭(20)의 관통공(27) 내부에서 걸이구(40)를 둘러 연장되고 상기 블럭(20)의 일측에서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와 상기 일단부(37)에 인접한 띠형보강재(35)의 영역이 겹쳐져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띠형 보강재(35)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를 고정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띠형 보강재(35)를 사용하여 보강토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Reinforced earth wall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지와 같이 평탄하지 않은 곳에 도로를 만들고 택지를 조성하는 과정에서는 사면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토 또는 성토되어 발생하는 사면은 토사의 유실과 붕괴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경관을 개선하기 위해 보강토옹벽을 만들게 된다. 보강토옹벽의 전면은 블럭이나 판넬로 형성하게 된다. 이에 더해 옹벽의 후방에 채워지는 뒷채움흙에는 보강재를 두고 상기 보강재의 일단이 전면을 형성하는 블럭이나 판넬과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보강재로는 지오그리드가 사용되기도 하고 최근에는 띠형 보강재가 많이 사용된다.
띠형 보강재는 띠형상으로 되며 어느 정도 유연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데,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여기에 폴리에틸렌 피복이 씌워져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띠형 보강재는 뒷채움흙 내에 정확하게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야 뒷채움흙과의 마찰력을 주동토압의 방향으로 스킨과 완전 수직으로 배치시켜 최대로 만들어 보강토옹벽의 스킨을 형성하는 블럭이나 판넬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띠형 보강재는 급격하게 꺽이는 부분이 발생하면 내부의 보강부가 파손되어 외력이 작용하면 쉽게 손상되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공개특허 제10-2018-0066926호에는 상기 띠형 보강재를 블럭이나 판넬과 연결하기 위해 블럭이나 판넬에 설치홈을 두고, 상기 설치홈에 걸어지도록 하거나 가이드봉을 블럭이나 판넬에 두고 상기 가이드봉을 둘러 띠형 보강재가 걸어지도록 하였다. 하지만 여기서는 띠형 보강재가 일부 부분에서 트위스트되어서 띠형 보강재의 넓은 표면이 중력방향과 중력 반대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된다. 이와 같이 띠형 보강재가 설치되면 뒷채움흙의 하중을 받지 못하게 되어 그 부분에서 띠형 보강재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는 띠형보강재는 흙을 수평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하기 때문으로, 일부의 구간이라도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간이 없어야 한다.
그리고, 띠형 보강재를 소정의 길이로 잘라서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블럭이나 판넬을 상하로 관통하여 걸어지고 뒷채움흙 내에 양측이 상하로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보강토옹벽을 형성하는 것이, 공개특허 제10-2020-0024981호에 잘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띠형 보강재는 일정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굽혀져야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데, 블럭의 하면에 해당되는 부분에서는 시공상태에 따라서는 띠형 보강재가 급격하게 절곡되어서 내부의 보강부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위의 종래 기술들에서는 띠형 보강재를 블럭이나 판넬에 걸어지도록 하면,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부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해당부분에서 뒷채움흙과의 사이에서 마찰력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의 선행기술들에서는 띠형 보강재가 뒷채움흙의 후단에서 시작해서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블럭이나 판넬에 걸어진 후 다시 뒷채움흙의 후단까지 연장된다. 이런 경우 하나의 띠형 보강재의 길이가 길어져서 작업자들이 띠형 보강재를 취급하기가 어려워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692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49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891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토옹벽을 시공함에 있어서 사용되는 띠형 보강재의 길이가 뒷채움흙 영역의 전후방향 길이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띠형 보강재가 뒷채움흙 내에서 전체적으로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띠형 보강재가 뒷채움흙 내부나 보강토 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스킨(블럭이나 판넬)을 통과하면서 급격하게 꺽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띠형 보강재가 보강토 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스킨 내에서 일정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절곡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띠형 보강재가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스킨(블럭)의 전면에 대해서 직교하게 후방으로 연장되어 뒷채움흙 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띠형보강재와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스킨에 완전히 결속되어 띠형보강재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강해질수록 띠형보강재와 스킨 사이가 더욱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형성된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기초대와, 상기 기초대에 적층되어 설치되고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을 구비하고 블럭몸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된 블럭과, 상기 블럭의 후방에 위치되고 보강토가 다져져 형성되는 보강토층과, 일단부가 상기 블럭에 고정되고 상기 블럭의 후방을 거쳐 상기 보강토층으로 연장된 타단부가 상기 보강토층에 고정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띠형 보강재는 상기 블럭의 관통공 내에서 걸이구를 둘러 연장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단부가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단부에 인접한 영역과 상기 블럭의 일측에 겹쳐져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 중에서 상기 관통공에 있는 부분의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관통공 외부에서 상기 블럭에 밀착되는 부분의 띠형 보강재의 가상의 연장선은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이구는 상기 블럭의 관통공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띠형 보강재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단부에 인접한 부분을 상기 블럭의 관통공 내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블럭의 후면판 상면은 상기 블럭의 전면판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상기 블럭의 후면판 상면 중에서 상기 관통공의 내면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걸이곡면이 형성될 수 있어 상기 띠형 보강재가 겹쳐져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걸이구는, 걸이구몸체, 상기 걸이구몸체의 일측 표면으로 상기 전면판의 내면과 마주보는 제1표면, 상기 걸이구몸체의 타측 표면으로 상기 후면판의 내면과 마주보는 제2표면, 상기 제1표면과 제2표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표면, 제2표면, 연결면에 상기 띠형 보강재가 걸어져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제1표면에서 관통공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띠형 보강재를 안내하는 안내면이 있을 수 있고, 상기 제2표면에는 상기 후면판의 걸이곡면에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구는 원기둥형상을 가져 상기 띠형 보강재가 둘러 감아질 수 있고, 상기 관통공은 상부로 갈수록 상기 블럭의 전후방향으로의 폭이 작아져서 상기 걸이구의 직경보다 작은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럭의 후면판 하면은 상기 블럭의 전면판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수 있고, 상기 블럭의 후면판 하면 중에서 상기 관통공의 내면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걸이곡면이 형성될 수 있어 상기 띠형 보강재가 겹쳐져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걸이구는 원기둥형상을 가져 상기 띠형 보강재가 둘러 감아질 수 있고, 상기 관통공은 하부로 갈수록 상기 블럭의 전후방향으로의 폭이 작아져서 상기 걸이구의 직경보다 작은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절토나 성토된 사면의 전방에 터파기를 수행하여 바닥면을 형성하는 터파기 단계와, 상기 터파기된 영역의 선단을 따라 상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기초대를 형성하는 기초대 형성단계와, 상기 기초대의 상면에 블럭을 놓는 블럭 안착단계와, 상기 블럭 후방의 바닥면 상에 보강토를 쌓고 압력을 가해 다져서 보강토층을 형성하는 보강토층 형성단계와, 상기 보강토층의 전후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잘라진 띠형 보강재의 일단부를 상기 블럭의 관통공에 설치되는 걸이구를 둘러감아 상기 블럭에 고정하는 띠형 보강재 설치단계와, 상기 적층된 블럭의 후방에 보강토를 쌓고 압력을 가해 다져서 추가로 적층되는 보강토층을 형성하는 보강토층 적층형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층된 블럭 상에 추가로 블럭을 적층하고, 추가의 보강토층을 형성하면서 띠형 보강재를 위치시키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는 상기 블럭의 관통공 내에 상기 걸이구에 걸어져 설치된 부분의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블럭의 관통공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의 가상의 연장선이 180도 보다 작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는 상기 블럭에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걸이구에 걸어지도록 상기 관통공 내부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블럭의 일측에 겹쳐져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띠형 보강재가 보강토층의 전후방향 길이 정도의 길이가 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한 줄의 띠형보강재 만으로도 스킨을 구성하는 블록이나 판넬과 결합되어 보강토층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띠형 보강재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어 작업자들이 취급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어 보강토옹벽을 형성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띠형 보강재의 일단부가 블럭에 걸이구로 고정된 상태에서 보강토층의 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토층 내에서 띠형 보강재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토사와 마찰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토층의 전후방향 길이 정도되는 띠형 보강재를 사용하면서 띠형 보강재가 전체적으로 보강토층 상에 수평으로 놓여지게 되고 단지 일단부 만이 블럭에 걸이구에 의해 걸어지는데, 상기 걸이구에 띠형 보강재가 둘러 지게 되면 띠형 보강재에서 급격하게 꺽이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띠형 보강재의 강도가 설계된 대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걸이구는 그 외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띠형 보강재를 안내하므로 띠형 보강재가 항상 일정 이상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띠형 보강재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띠형 보강재의 일단부가 블럭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나올 때 전면판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후면판의 걸이곡면에 안내되어 보강토층의 후방으로 연장되므로, 블럭의 전면에 대해 띠형 보강재가 직교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보강토층 내에서 최대의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옹벽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에서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의한 보강토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블럭을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블럭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걸이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걸이구가 블럭의 관통공 내에 띠형 보강재와 함께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상태로 걸이구를 관통공 내에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옹벽을 구성하는 블럭과 띠형 보강재의 배치의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띠형 보강재의 일례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블럭과 걸이구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블럭과 걸이구의 또 다른 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례의 보강토옹벽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면(10)에 터파기하여 형성된 바닥면(12)에 기초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초대(14)에 블럭(20)이 다수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블럭(20)의 후방에 보강토층(30)이 형성되어 보강토옹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초대(14)의 상면(16) 상에는 보강지지대(1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지지대(18)는 아래에서 설명될 블럭(20)의 층 중에서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것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기초대(14)의 상면(16) 상에는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블럭(20)이 다수의 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블럭(20)의 후방에 해당되는 상기 지면(10)의 바닥면(12) 상에는 보강토층(30)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토층(30)의 내부에는 상기 블럭(20)에 일단부(37)가 고정된 띠형 보강재(3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럭(20)과 상기 보강토층(30)의 사이에는 완충층(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층(32)은 상기 블럭(20)이 적층된 상태가 상기 보강토층(30)의 다짐공정에서 훼손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블럭(20)으로 형성된 보강토옹벽의 최상단에는 마무리블럭(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무리블럭(20')은 상기 블럭(20)보다는 높이가 낮은 것으로, 최상층의 블럭(20) 상면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토층(30)의 최상단에는 토사다짐층(52)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토층(30)으로 지표수와 침투수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토사다짐층(52)에서, 상기 블럭(20)에 인접한 위치를 따라서는 지표수를 배수하기 위한 측구(5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보강토옹벽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 2에서 도 9를 참고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토옹벽이 형성될 사면 전방의 지면(10)에 터파기를 실시한다. 터파기에 의해 형성된 바닥면(12)에는 기초대(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초대(14)는 잡석 또는 무근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초대(14)의 후방에 해당되는 상기 바닥면(12)은 상기 보강토층(30)이 적층되는 부분이다. 상기 바닥면(12)은 상기 보강토층(30)과 같은 정도의 평탄도와 다짐정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바닥면(12) 상에 적층되는 보강토층(30)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바닥면(12)은 평탄하게 되도록 지반고르기를 시행하고, 과다 터파기 된 부분은 표준쌓기 재료 또는 기초용 잡석 등을 사용하여 원 지반과 동일한 밀도가 되도록 다져야 한다.
상기 기초대(14)는 상기 블럭(20)이 적층되는 부분이다. 상기 기초대(14)의 상면(16)은 수평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상면(16)이 수평으로 되어야 위치되는 블럭(20)들이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기초대(14)의 상면(16)이 상기 바닥면(12)과 같은 높이로 될 수 있다. 상기 기초대(14)는 보강토옹벽의 전면이 되는 블럭(20)이 놓여지는 위치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초대(14)는 좌우로 직선으로 되거나 전방으로 돌출되는 우각부를 가지거나 내측으로 들어가는 열각부를 가지도록 현장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선형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대(14) 상에 블럭(20)을 놓는다. 상기 블럭(20)을 상기 기초대(14)의 상면(16)에 놓기 전에 상기 상면(16)을 깨끗하게 청소하여 블럭(20)이 정확하게 수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블럭(20)은 하나가 하나의 층으로 될 수도 있지만, 2장을 적층하여 한꺼번에 놓을 수도 있다. 도 3에는 2장의 블럭(20)을 적층해 두었다. 이렇게 함에 의해 상대적으로 하층의 블럭(20)의 관통공(27) 내에 이물이 들어가는 등의 문제가 없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블럭(20)을 2층으로 적층하지 않고 한 층으로만 설치한 상태에서 보강토층(30)을 형성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블럭(20)의 전면을 지지하도록 보강대(1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대(18)는 상기 블럭(20)이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보강대(18)는 상기 블럭(20)들의 제1층과 제2층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기초대(14)를 따라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바닥면(12) 상에 보강토층(30)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강토층(3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바닥면(12) 상에 보강토를 쌓는다. 상기 보강토는 한층의 보강토층(30)이 0.2 ~ 0.3m 사이의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로 쌓아진다. 보강토를 다져서 보강토층(30)을 형성하므로, 바닥면(12) 상에 쌓아지는 보강토의 높이는 0.2 ~ 0.3m보다는 더 높게 될 수 있다. 상기 보강토층(30)의 높이는 상기 블럭(20) 하나의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상기 보강토층(30)을 형성하기 위한 보강토의 다짐은 내부에서 흙의 상대 이동을 감소시키고 그 내구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균일하고 충분한 다짐이 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보강토층(30)의 형성을 위한 다짐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블럭(20)에서 1.0m 이내에 대해서는 포설 및 고르기를 인력으로 시행하는 것이 좋다. 다짐 작업도 소형 진동 다짐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대형 장비의 사용에 의해 상기 블럭(20)의 유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강토층(30)을 형성함에 있어서 보강토층(30)은 최대건조밀도의 95% 이상이 되도록 다져야 한다. 다짐장비가 주행할 때는 상기 블럭(20)의 전면과 평행이 되도록 경로를 잡아야 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기초대(14) 상에 놓여 있는 블럭(20)과 그 바로 위의 블럭(20)에 대응되는 보강토층(30)의 다짐작업 시에는 상기 블럭(20)들을 보강지지대(18)로 고정하므로 상기 블럭(20) 후단 근처의 다짐을 소형 진동 다짐기계만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블럭(20)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면 대형 장비를 사용하여 최하층의 보강토층(30) 형성을 할 수 있다. 상기 보강지지대(18)는 아래에서 설명될 완충층(32)이 없이 보강토층(30)을 형성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 보강재(35)를 최하층의 보강토층(30) 상에 위치시킨다. 이때, 도시된 도면에서는 위에 있는 블럭(20)을 제거하고 보강토층(30)의 높이와 같은 높이의 상면을 가진 블럭(20)에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띠형 보강재(35)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데, 일단부(37)는 상기 블럭(20)에 고정될 수 있고, 타단부(37')는 예를 들면 고정핀(50)에 의해 보강토층(3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띠형 보강재(35)는 상기 블럭(20)에서 시작해서 블럭(20)의 후방으로 블럭(20)에 대해 직교하게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길이는 상기 블럭(20)에서 시작해서 보강토층(30)의 뒤쪽 부분까지에 대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길이는 상기 보강토층(30)의 전후 방향 길이와 거의 같을 수 있다.
상기 블럭(20)에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가 고정되는 것은 걸이구(40)와 블럭(20)의 일측을 따라 띠형 보강재(35)가 지나감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블럭(20)과 걸이구(40)의 구성 및 걸이구(40)에 의해 블럭(20)에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가 고정되는 것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일단부(37)가 블럭(20)에 결합된 띠형 보강재(35)는 상기 보강토층(30) 표면에 안착되어 보강토층(30)의 뒤쪽을 향해 상기 블럭(20)에 대해 직교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타단부(37')는 고정핀(50)에 의해 보강토층(30)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블럭(20) 상에 다시 블럭(20)을 적층하고, 새로 적층된 블럭(20)의 후방에 보강토층(30)을 형성한다. 도 6에서는 2 층의 블럭(20)이 적층되어 있고 , 각각의 블럭(20)에 대응되는 보강토층(30)이 형성되어 있으나, 한층의 블럭(20)을 쌓고 보강토층(30)을 형성하고, 띠형 보강재(35)를 설치하는 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도 6 이후의 도면들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층의 블럭(20)마다 하나 씩의 띠형 보강재(35)를 사용하고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블럭(20)의 층마다 띠형 보강재(35)를 사용할 수도 있고, 한 층씩 또는 몇 개의 층 씩 걸러서 띠형 보강재(35)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에는 첫번째 층에 띠형 보강재(35)를 설치한 후에 한 개의 층을 건너 뛰고 다음의 층에 띠형 보강재(35)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3번째 층에 해당되는 보강토층(30), 즉 상기 보강지지대(18)가 없는 블럭(20)의 층에 해당되는 보강토층(30)에는 완충층(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층(32)은 상기 블럭(20)과 보강토층(3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층(32)은 골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완충층(32)을 쇄석 또는 자갈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골재를 사용하여 완충층(32)을 형성하는 쇄석 또는 자갈은 입경이 40mm 정도의 크고 작은 것이 적당한 입도로 혼합된 것이면 좋다.
한편, 상기 블럭(20) 내부에도 공간이 있고, 블럭(20)과 블럭(20) 사이에도 공간이 있는데, 이들 공간에는 상기 완충층(32)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쇄석 또는 자갈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완충층(32)은 대형 장비를 사용하여 다짐을 하지 않고, 소형 진동 다짐기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완충층(32)을 구성하는 쇄석 또는 자갈을 쌓을 때도 포크레인 등의 장비를 직접 사용하기 보다는 인력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블럭(20)의 적층된 상태를 잘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완충층(32)은 토사로 이루어진 보강토층(30)에 비해 완성 후에 추가의 침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적층된 블럭(20)의 상태를 손상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층(32)은 또한 쇄석과 자갈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대적으로 배수특성이 좋다. 배수가 필요한 보강토옹벽에서는 상기 완충층(32)의 최하부에 별도의 배수관을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8과 도 9에는 블럭(20)을 쌓는 것과 보강토층(30)을 형성하는 것이 반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에는 2개의 블럭(20)을 쌓아 2개층이 올라가도록 하는 것이 있고, 도 9에는 보강토층(30)을 각각 형성하고 띠형 보강재(35)를 설치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도 1에 있는 바와 같은 보강토 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을 구성하는 블럭(20)의 구성을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블럭(20)은 건식블럭으로서 제조시에 금형 내의 재료에 소정의 압력과 진동을 가해서 형상을 만들고 경화시켜 완성하는 것이다.
상기 블럭(20)은 높이가 200mm ~ 300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높이 치수는 건식블럭의 특성상 제작 비용의 가성비가 최적의 값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압력과 진동을 가해서 블럭(20)을 제작하는 작업의 특성상 300mm보다 큰 높이값을 가지면 압력을 가하는 장비의 규모가 커져야 한다. 그리고 블럭(20)의 높이가 200mm보다 작은 높이값을 가지면 보강토 옹벽을 구성하는 블럭(20)의 갯수가 너무 많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보강토옹벽의 시공성과 경제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블럭(20)의 폭은 500mm에서 600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블럭(20)의 폭이 600mm보다 더 커지게 되면 역시 압력과 진동을 가하는 장비의 규모가 커져야 한다. 블럭(20)의 폭이 500mm 보다 작아지면 보강토옹벽을 구성하는 블럭(20)의 갯수가 너무 많아질 수 있다.
상기 블럭(20)의 골격을 블럭몸체(22)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22)의 전면을 전면판(23)이 형성할 수있다. 상기 전면판(23)은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22)의 폭방향 양단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22)의 후면을 후면판(23')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면판(23')의 상단은 상기 전면판(23)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22)에서 상기 전면판(23)과 후면판(23')을 연결하는 부분은 측면판(24)이다. 상기 측면판(24)은 상기 전면판(23)과 후면판(23')의 양단에 각각 있을 수 있다. 상기 측면판(24)의 상면에는 각각 제1요철(25)이 있을 수 있고, 상기 측면판(24)의 하면에는 각각 제2요철(26)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요철(25)은 돌출된 형상이고, 상기 제2요철(26)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요철(25)과 제2요철(26)은 블럭(20)을 적층할 때, 상대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요철(25)과 제2요철(26)은 상기 측면판(24)의 상면과 하면을 횡으로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요철(25)은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는 블럭(20)의 제2요철(26)과 결합되고, 상기 제2요철(26)은 상대적으로 하부 있는 블럭(20)의 제1요철(25)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22)를 상하로 관통하여 관통공(2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관통공(27)은 상기 전면판(23), 후면판(23'), 측면판(24)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상기 관통공(27) 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구(40)와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가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관통공(27)의 나머지 부분에는 쇄석이나 자갈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후면판(23')의 상단에는 걸이곡면(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곡면(28)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서 상기 블럭몸체(22)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7)에서 블럭몸체(22) 후방을 향해 연속적으로 곡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걸이곡면(28)을 두는 이유는 상기 후면판(23')에 의해 띠형 보강재(35)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걸이곡면(28)은 상기 띠형 보강재(35)가 겹쳐져 밀착되는 부분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띠형 보강재(35)는 그 일단부(37)와 이에 인접한 영역이 상기 블럭(20)의 관통공(27) 내에 상기 걸이구(40)에 의해 일부가 위치되고 상기 관통공(27)에서 블럭(20)의 외부로 나와 블럭(20)의 후방을 향해 상기 띠형 보강재(35)가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통공(27)은 상기 블럭(20)을 상하로 관통하므로 상기 띠형 보강재(35)는 상기 관통공(27)에서 나와서 상기 블럭(20)의 후방으로 가면서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후면판(23')의 걸이곡면(28)에 안착되면서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를 걸이곡면(28)에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 관통공(27) 내에 설치되는 걸이구(40)는 도 12에 그 구성이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걸이구(40)는 그 외면을 둘러서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걸이구(40)의 외면을 따라 상기 띠형 보강재(35)가 있고,아래에서 설명될 제2표면(45)은 상기 관통공(27) 일측 내면에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일부를 압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걸이구(40)는 상기 관통공(27)의 내부에서 상기 쇄석이나 자갈에 의해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이구(40)는 그 골격을 걸이구몸체(41)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이구몸체(41)는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측면에서 볼 때 일부분이 돌출된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걸이구(40)는 상기 걸이구몸체(41) 외면을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 및 그에 인접한 부분이 둘러싸도록 하고, 상기 띠형 보강재(35)가 보강토층(30)에 의해 당겨지는 힘으로 상기 걸이구(40)가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 측을 관통공(27)의 내면에 밀착시켜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걸이구몸체(41)의 일측 외면에는 제1표면(43)이 형성되고 타측 외면에는 제2표면(4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표면(43)과 제2표면(45)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것은 연결면(46)이다. 상기 연결면(46)은 곡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연결면(46)이 곡면으로 됨에 의해 띠형 보강재(3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면(46)의 반대쪽이 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표면(43)에서 연장되는 안내면(47)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안내면(47)은 띠형 보강재(35)가 블럭(20)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안내면(47)과 대응되는 제2표면(45)의 일단에는 안착면(4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46)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인데,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 쪽을 사이에 두고 상기 블럭(20)의 걸이곡면(28)의 일부에 안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 없이도 상기 걸이곡면(28)에 상기 안착면(48)이 직접 밀착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안내면(37)과 안착면(48)이 예각으로 만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와 같은 각도로 만나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들이 상기 연결면(46)과 같이 곡면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걸이구(40)는 하나가 상기 관통공(27)의 폭보다 조금 작은 폭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걸이구(40)는 상기 관통공(27) 하나에 2개 또는 다수개가 나란히 들어갈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걸이구(40)와 블럭(20)에 의해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가 상기 블럭(20)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걸이구(40)를 상기 관통공(27)에 삽입하기에 앞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27)에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 및 그 인접 영역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타단부(37')는 상기 블럭몸체(22)의 전면판(23) 쪽으로 젖혀두고,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 영역이 도 14를 기준으로 'U'자 형상이 되도록 삽입한다. 상기 띠형 보강재(35)는 유연하기는 하지만 어느 정도 뻣뻣한 특성도 있으므로 이와 같은 상태로 블럭(20)의 관통공(27)에 가조립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도 1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걸이구(40)를 상기 관통공(27)에 삽입한다. 상기 걸이구(40)가 상기 관통공(27)에 삽입되는 정도는 상기 안착면(48)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기 후면판(23')의 걸이곡면(28)의 일부에 안착될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하거나 걸이곡면(28)에 안착된 상태면 된다. 도 14에는 걸이곡면(28)에 안착면(48)에 안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타단부(37') 쪽을 상기 블럭(20)의 후방 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강토층(30) 상에 안착시키고, 상기 고정핀(50)으로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타단부(37')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띠형 보강재(35)는 어느 정도의 텐션을 가지도록 고정되므로 도 13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띠형 보강재(35) 상에 보강토층(30)이 형성되면 보강토층(30)에 의해 띠형 보강재(35)가 눌러지면서 화살표 B 방향으로 더 당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띠형 보강재(35)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걸이구(40)를 둘러 감싸고 있는 부분 중에서 상기 제1표면(43)에 상기 띠형 보강재(35)에 의해 도 13의 화살표 C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상기 화살표 C 방향의 힘에 의해 상기 걸이구(40)는 상기 관통공(27)의 내면 중에서 상기 후면판(23')에 밀착되는데, 상기 후면판(23')과 상기 걸이구(40)의 제2표면(45) 사이에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 영역이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35)는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상기 띠형 보강재(35)에 화살표 B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커지면 커질 수록 상기 걸이구(40)에 의해 띠형 보강재(35)가 상기 블럭(20)에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이구(40)가 상기 후면판(23')의 내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걸이곡면(28)을 포함하는 상기 후면판(23')의 부분에서는 상기 띠형 보강재(35)가 겹쳐진 상태로 걸이곡면(28)과 후면판(23')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5)가 띠형 보강재(35)의 다른 부분과 겹쳐진 상태로 걸이곡면(28)에 있게 되면, 상기 띠형 보강재(35)에 화살표 B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가 상기 걸이곡면(28)에 밀착되면서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이곡면(28)에 밀착되어 있는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는 화살표 B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고, 상기 일단부(37)에 밀착되어 있는 띠형 보강재(35)의 부분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지만 서로 간에 마찰이 발생하고, 상기 걸이곡면(28)에 밀착된 일단부(37)가 상기 일단부(37)에 밀착된 띠형 보강재(35)의 부분에 의해 눌러져서(도 13의 화살표 E 방향으로) 일단부(37)가 이동하려는 것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상기 띠형 보강재(35)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크면 클수록 상기 일단부(37)를 고정하는 힘이 더 커지게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발생하는 것은 상기 띠형 보강재(35)가 후면판(23')의 상면에 겹쳐지게 설치되고, 후면판(23') 상면에 위치되는 띠형 보강재(35)의 부분과 상기 블럭(20)의 관통공(27)에 위치되는 띠형 보강재(35)의 부분이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게 됨에 의해 띠형 보강재(35)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가 후면판(23')에 밀착되면서, 전체적으로 띠형 보강재(35)가 상기 블럭(2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고정핀(50)에 의해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타단부(37')가 보강토층(30)에 고정되는데, 어느 정도의 텐션을 가지도록 당겨지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35)는 상기 보강토층(30) 상에 안착되어 연장될 때, 상기 블럭(20)의 배면에 대해 직교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블럭(20)의 배면에 대해 직교하게 띠형 보강재(35)가 연장되어서 띠형 보강재(35)에 구김이 없이 평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35)가 놓여지는 상기 보강토층(30)의 표면 역시 평평하게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토층(30)의 상면은 수평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보강토층(30)의 표면이 평평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띠형 보강재(35)는 팽팽하게 당겨져서 띠형 보강재(35)와 보강토층(30)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35)와 보강토층(30)의 표면 사이에는 이물질이 있어서도 아니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띠형 보강재(35) 상에 보강토를 쌓는다. 물론, 상기 띠형 보강재(35) 상에 보강토를 쌓기 전에 상기 블럭(20)의 관통공(27) 내에 쇄석이나 자갈을 채워넣어서 상기 걸이구(40)의 유동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강토는 하나의 블럭(20)보다 높게 쌓고, 이를 다져서 상기 블럭(20)의 상면과 거의 같은 높이로 보강토층(30)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35) 상에 보강토를 쌓은 상태로 다질 때에는 대형 장비를 사용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물론 보강토층(30)의 면적이 크기 않을 때에는 소형 진동다짐 기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35)가 위치된 보강토층(30)을 형성할 때에는 장비가 상기 띠형 보강재(35)를 직접 올라타게 해서는 안되고 반드시 띠형 보강재(35) 상에 보강토를 일정 이상의 두께로 포설한 상태로 장비가 이동해야 한다. 상기 장비가 타이어가 있는 장비인 경우에는 시속 20km 이하의 속도로 이동하면서 보강토층(30)을 다지고, 다짐작업 중에 급제동 이나 급회전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도 15에는,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20)에 계속해서 띠형 보강재(35)를 설치하지 않고 한 번씩 걸러서 교대로 설치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보강토옹벽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20)에 계속해서 띠형 보강재(35)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층을 이루는 블럭(20) 마다 띠형보강재(35)를 결합하여 보강토옹벽을 만들 수 있다. 상기 블럭(20)은 아래의 층에 있는 인접하는 2개의 블럭(20) 상에 위층에 있는 블럭(20)이 동시에 안착되도록, 서로 다른 층의 블럭(20)이 지그재그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35)를 사용하는 갯수, 즉 각 블럭(20)에 띠형 보강재(35)를 각각 모두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일부 블럭(20)에는 띠형 보강재(35)를 사용하지 않을 것인지는 보강토옹벽의 안전성과 비용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구성은 도 1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35)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띠모양이다.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폭은 최소 50mm에서 90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블럭(20)의 폭과 관련하여 포설면적비를 최소 10%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치이다. 상기 띠형 보강재(35)는 상기 관통공(27) 내에 쉽게 들어갈 수 있으면서도 관통공(27) 내에서 유동이 많이 일어나지 않고,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폭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건식블럭인 블럭(20)의 폭은 500mm에서 600mm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하는데,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폭은 50mm에서 90mm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하게 되면, 보강토층(30)에 안착되는 띠형 보강재(35)의 비율인 포설면적비를 백분율로 최소 10% 정도의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더 높은 포설면적비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소 10% 정도의 포설면적비가 되면 보강토옹벽이 견고하게 만들어져 유지될 수 있다.
도 16에는 띠형보강재(35)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띠형보강재(35)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져서 어느 정도 유연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재질로는 폴리머가 있을 수 있고,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띠형보강재(35)의 심재(38)는 PET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띠형보강재(35)의 표피층(38')은 PE재질로 될 수 있다. 납작한 띠 모양으로 된 표피층(38')의 내부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심재(38)가 나란히 배치되어 띠형보강재(35)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띠형 보강재(35)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보강토층(30)의 내부에서 보강토와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띠형 보강재(35)는 블럭(20)에 걸이구(40)를 통해 결합된다.
이와 같은 띠형 보강재(35)는 재질의 특성상 유연하기는 하지만,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접어질 수 있을 정도이고 접어져서 인접한 부분이 서로 겹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힘을 가해야 한다.
상기 띠형 보강재(35)의 길이는 보강토 옹벽의 높이의 7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블럭(20)에서부터 시작해서 고정핀(50)에 의해 고정되는 단부까지의 길이가 보강토 옹벽 높이의 70%가 되도록 하면 된다.
한편, 도 1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블럭(120)과 띠형 보강재(35)가 결합되는 부분만을 설명하고 있다. 물론, 상기 블럭(120)과 띠형 보강재(35)가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보강토 옹벽의 다른 구성은 위의 실시례와 같다. 따라서, 상기 블럭(120)과 띠형 보강재(35)와 관련된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의 블럭(120)은 블럭몸체(122)가 골격을 형성하는데, 상기 블럭몸체(122)는 전면판(123), 후면판(123') 그리고 양측에 있는 측면판(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23), 후면판(123') 그리고 측면판(124)에 의해 둘러싸여 관통공(127)이 블럭몸체(122)의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27)의 내면에서 상기 후면판(123')의 내면인 경사면(127')은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후면판(123')의 내면이 전면판(123)의 내면과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경사면(127')과 같이 경사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후면판(123')의 상면은 상기 전면판(123)의 상면보다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후면판(123')의 상면을 통해 띠형 보강재(35)가 상부의 블럭(120)과 간섭없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면판(123')의 상면 일측에는 걸이곡면(128)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곡면(128)이 있음으로 해서 이에 안착되는 띠형 보강재(35)의 부분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상기 관통공(127)의 내부에는 걸이구(140)가 있다. 상기 걸이구(140)는 본 실시례에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걸이구(140)는 상기 관통공(127) 내에 횡방향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띠형 보강재(35)가 걸어 감아지도록 된다. 상기 걸이구(140)에 띠형 보강재(35)가 걸어 감아짐에 의해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와 이에 인접한 부분이 상기 후면판(123')의 걸이곡면(128)을 포함하는 상면에서 겹쳐질 수 있다.
상기 관통공(127)의 블록(120) 전후 방향 폭은, 본 실시례에서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고, 상기 관통공(127)의 상부 일측에서는 상기 걸이구(140)의 직경보다 상기 관통공(127)의 전후방향 폭이 더 작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걸이구(140)가 띠형 보강재(35)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관통공(127)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경사면(127')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관통공(127) 내에 쇄석이나 자갈이 채워져 상기 걸이구(140)가 임의로 유동되지 않으면 걸이구(140)가 띠형 보강재(35)와 함께 관통공(127)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도 상기 띠형 보강재(35)가 후면판(123')의 상면에 겹쳐지게 설치되고, 후면판(123') 상면에 위치되는 띠형 보강재(35)의 부분과 상기 블럭(120)의 관통공(127)에 위치되는 띠형 보강재(35)의 부분이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게 됨에 의해 띠형 보강재(35)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가 후면판(123')에 밀착되면서, 전체적으로 띠형 보강재(35)가 상기 블럭(1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도 블럭(220)과 띠형 보강재(35)가 결합되는 부분만을 설명하고 있다. 물론, 상기 블럭(220)과 띠형 보강재(35)가 결합되는 부분을 제외한 보강토 옹벽의 다른 구성은 위의 실시례들과 같다. 따라서, 상기 블럭(220)과 띠형 보강재(35)와 관련된 구성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의 블럭(220)은 블럭몸체(222)가 골격을 형성하는데, 상기 블럭몸체(222)는 전면판(223), 후면판(223') 그리고 양측에 있는 측면판(2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223), 후면판(223') 그리고 측면판(24)에 의해 둘러싸여 관통공(227)이 블럭몸체(222)의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27)의 내면에서 상기 후면판(223')의 내면인 경사면(227')은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후면판(223')의 내면이 전면판(223)의 내면과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경사면(227')과 같이 경사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후면판(223')의 하면은 상기 전면판(223)의 하면보다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후면판(223')의 하면을 통해 띠형 보강재(35)가 하부의 블럭(220)과 간섭없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면판(223')의 하면 일측에는 걸이곡면(228)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곡면(228)이 있음으로 해서 이에 안착되는 띠형 보강재(35)의 부분이 손상되지 않게 된다.
상기 관통공(227)의 내부에는 걸이구(240)가 있다. 상기 걸이구(240)는 본 실시례에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걸이구(240)는 상기 관통공(227) 내에 횡방향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띠형 보강재(35)가 걸어 감아지도록 된다. 상기 걸이구(240)에 띠형 보강재(35)가 걸어 감아짐에 의해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와 이에 인접한 부분이 상기 후면판(223')의 걸이곡면(228)을 포함하는 하면에서 겹쳐질 수 있다.
상기 관통공(227)의 블록(220) 전후 방향 폭은, 본 실시례에서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고, 상기 관통공(227)의 하부 일측에서는 상기 걸이구(240)의 직경보다 상기 관통공(227)의 전후방향 폭이 더 작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걸이구(240)가 띠형 보강재(35)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관통공(227)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경사면(227')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상기 관통공(227) 내에 쇄석이나 자갈이 채워져 상기 걸이구(240)가 임의로 유동되지 않으면 걸이구(240)가 띠형 보강재(35)와 함께 관통공(227)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도 상기 띠형 보강재(35)가 후면판(223')의 하면에 겹쳐지게 설치되고, 후면판(223') 하면에 위치되는 띠형 보강재(35)의 부분과 상기 블럭(220)의 관통공(227)에 위치되는 띠형 보강재(35)의 부분이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이루게 됨에 의해 띠형 보강재(35)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띠형 보강재(35)의 일단부(37)가 후면판(223')에 밀착되면서, 전체적으로 띠형 보강재(35)가 상기 블럭(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면 12: 바닥면
14: 기초대 16: 상면
18: 보강지지대 20: 블럭
21: 블럭몸체 22: 전면판
23': 후면판 24: 측면판
25: 제1요철 26: 제2요철
27: 관통공 28: 걸이곡면
30: 보강토층 32: 완충층
35: 띠형 보강재 37: 일단부
37': 타단부 38 : 심재
38': 표피층 40: 걸이구
41: 걸이구몸체 43: 제1표면
45: 제2표면 46: 연결면
47: 안내면 48: 안착면
50: 고정핀 52: 토사다짐층
54: 측구 120: 블럭
121: 블럭몸체 122: 전면판
123': 후면판 124: 측면판
127: 관통공 127': 경사면
128: 걸이곡면 220: 블럭
221: 블럭몸체 222: 전면판
223': 후면판 224: 측면판
227: 관통공 227': 경사면
228: 걸이곡면

Claims (12)

  1. 지면에 형성된 바닥면 상에 형성되는 기초대와,
    상기 기초대에 적층되어 설치되고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을 구비하고 블럭몸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된 블럭과,
    상기 블럭의 후방에 위치되고 보강토가 다져져 형성되는 보강토층과,
    일단부가 상기 블럭에 고정되고 상기 블럭의 후방을 거쳐 상기 보강토층으로 연장된 타단부가 상기 보강토층에 고정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띠형 보강재는 상기 블럭의 관통공 내에서 걸이구를 둘러 연장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단부가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단부에 인접한 영역과 상기 블럭의 일측에 겹쳐져 밀착되는 보강토 옹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 중에서 상기 관통공에 있는 부분의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관통공 외부에서 상기 블럭에 밀착되는 부분의 띠형 보강재의 가상의 연장선은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는 보강토옹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는 상기 블럭의 관통공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띠형 보강재가 당겨지는 힘에 의해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단부에 인접한 부분을 상기 블럭의 관통공 내면에 밀착시키는 보강토옹벽.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후면판 상면은 상기 블럭의 전면판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고, 상기 블럭의 후면판 상면 중에서 상기 관통공의 내면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걸이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띠형 보강재가 겹쳐져 밀착되는 보강토옹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는,
    걸이구몸체,
    상기 걸이구몸체의 일측 표면으로 상기 전면판의 내면과 마주보는 제1표면,
    상기 걸이구몸체의 타측 표면으로 상기 후면판의 내면과 마주보는 제2표면,
    상기 제1표면과 제2표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표면, 제2표면, 연결면에 상기 띠형 보강재가 걸어져 안내되는 보강토옹벽.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표면에서 관통공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띠형 보강재를 안내하는 안내면이 있고, 상기 제2표면에는 상기 후면판의 걸이곡면에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보강토옹벽.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는 원기둥형상을 가져 상기 띠형 보강재가 둘러 감아지고, 상기 관통공은 상부로 갈수록 상기 블럭의 전후방향으로의 폭이 작아져서 상기 걸이구의 직경보다 작은 부분이 형성되는 보강토옹벽.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의 후면판 하면은 상기 블럭의 전면판 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고, 상기 블럭의 후면판 하면 중에서 상기 관통공의 내면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걸이곡면이 형성되어 상기 띠형 보강재가 겹쳐져 밀착되는 보강토옹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는 원기둥형상을 가져 상기 띠형 보강재가 둘러 감아지고, 상기 관통공은 하부로 갈수록 상기 블럭의 전후방향으로의 폭이 작아져서 상기 걸이구의 직경보다 작은 부분이 형성되는 보강토옹벽.
  10. 절토나 성토된 사면의 전방에 터파기를 수행하여 바닥면을 형성하는 터파기 단계와,
    상기 터파기된 영역의 선단을 따라 상면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기초대를 형성하는 기초대 형성단계와,
    상기 기초대의 상면에 블럭을 놓는 블럭 안착단계와,
    상기 블럭 후방의 바닥면 상에 보강토를 쌓고 압력을 가해 다져서 보강토층을 형성하는 보강토층 형성단계와,
    상기 보강토층의 전후방향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잘라진 띠형 보강재의 일단부를 상기 블럭의 관통공에 설치되는 걸이구를 둘러감아 상기 블럭에 고정하는 띠형 보강재 설치단계와,
    상기 적층된 블럭의 후방에 보강토를 쌓고 압력을 가해 다져서 추가로 적층되는 보강토층을 형성하는 보강토층 적층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된 블럭 상에 추가로 블럭을 적층하고, 추가의 보강토층을 형성하면서 띠형 보강재를 위치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는 상기 블럭의 관통공 내에 상기 걸이구에 걸어져 설치된 부분의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블럭의 관통공 외부에 위치되는 부분의 가상의 연장선이 180도 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도록 되는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는 상기 블럭에 결합되는 일단부와 상기 걸이구에 걸어지도록 상기 관통공 내부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블럭의 일측에 겹쳐져 설치되는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KR1020220070217A 2022-06-09 2022-06-09 보강토옹벽 KR102632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217A KR102632477B1 (ko) 2022-06-09 2022-06-09 보강토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217A KR102632477B1 (ko) 2022-06-09 2022-06-09 보강토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730A true KR20230169730A (ko) 2023-12-18
KR102632477B1 KR102632477B1 (ko) 2024-02-02

Family

ID=8930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217A KR102632477B1 (ko) 2022-06-09 2022-06-09 보강토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47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3749A (ja) * 1990-09-16 1993-06-17 イェックリン,フェーリクス パウル 構造物及びその製法並びに構成部材及び構成部材組
KR20100007860U (ko) * 2009-01-29 2010-08-06 라이브텍(주) 띠형 보강재의 설치가 용이한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110007020U (ko) * 2010-01-06 2011-07-13 (주)대한콜크 조립식 보강토 옹벽
KR101794071B1 (ko) * 2017-04-25 2017-11-06 권기평 띠형 후방 보강재에 의한 인장력의 상,하층 블록 전달에 의한 보강 극대화 구조를 가지는 옹벽의 시공방법
KR101818911B1 (ko) 2014-12-31 2018-01-17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KR20180066926A (ko) 2016-12-09 2018-06-20 이루산업주식회사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KR20200024981A (ko) 2018-08-28 2020-03-10 이장원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73364B1 (ko) * 2020-03-02 2020-11-03 (주)태웅기업 다기능 보강토블록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03749A (ja) * 1990-09-16 1993-06-17 イェックリン,フェーリクス パウル 構造物及びその製法並びに構成部材及び構成部材組
KR20100007860U (ko) * 2009-01-29 2010-08-06 라이브텍(주) 띠형 보강재의 설치가 용이한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20110007020U (ko) * 2010-01-06 2011-07-13 (주)대한콜크 조립식 보강토 옹벽
KR101818911B1 (ko) 2014-12-31 2018-01-17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KR20180066926A (ko) 2016-12-09 2018-06-20 이루산업주식회사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KR101794071B1 (ko) * 2017-04-25 2017-11-06 권기평 띠형 후방 보강재에 의한 인장력의 상,하층 블록 전달에 의한 보강 극대화 구조를 가지는 옹벽의 시공방법
KR20200024981A (ko) 2018-08-28 2020-03-10 이장원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73364B1 (ko) * 2020-03-02 2020-11-03 (주)태웅기업 다기능 보강토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477B1 (ko)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792A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JP2007530833A (ja) 補強土擁壁システム及び構築方法
KR20210119861A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WO2000020695A1 (en) Concrete masonry unit for reinforced retaining wall
KR101077949B1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100583294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CN108978704A (zh) 一种加筋挡土墙及其施工方法
KR102632477B1 (ko) 보강토옹벽
KR100468034B1 (ko) 앵커링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JP4097212B2 (ja) 補強土擁壁の構築方法及び補強土擁壁の構造
KR20090085862A (ko)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JP2009293331A (ja) 地盤改良体からなる擁壁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RU2482244C2 (ru) Способ армирования грунта
CN111511992A (zh) 薄而稳定的分段式墙块以及土壤加固系统和方法
KR102576395B1 (ko) 보강토옹벽
KR20180101986A (ko)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JPH03180617A (ja) 急勾配盛土
JP2014237980A (ja) 法面に道路を敷設する方法
KR102084842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149038B1 (ko) 수평지오그리드와 수직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강화시공방법
KR200448481Y1 (ko) 식재 가능한 절토사면 옹벽 구조
JP2007197954A (ja) 土留め壁施工法
CN219011296U (zh) 一种加筋土挡墙的施工结构
KR100497796B1 (ko) 바형 그리드 및 그를 이용한 블럭옹벽의 보강구조
KR102249603B1 (ko) 옹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