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926A -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926A
KR20180066926A KR1020160167559A KR20160167559A KR20180066926A KR 20180066926 A KR20180066926 A KR 20180066926A KR 1020160167559 A KR1020160167559 A KR 1020160167559A KR 20160167559 A KR20160167559 A KR 20160167559A KR 20180066926 A KR20180066926 A KR 20180066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block
retaining wall
stiffener
earth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이루산업주식회사
(주)대한콜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루산업주식회사, (주)대한콜크 filed Critical 이루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7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6926A/ko
Publication of KR20180066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100)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에는 설치홈(20)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띠형 보강재(100)에 연결된 가이드봉(P)이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일부가 직접 삽입되어 걸리는 블록몸체(11)와, 상기 블록몸체(11)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인접한 다른 블록몸체(1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부(23) 및 결합홈(25)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에 형성된 설치홈(20)에 띠형 보강재(100)를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띠형 보강재(100)의 결합방식에 따라 별도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을 준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블록으로 현장의 상황에 맞게 띠형 보강재(10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블록의 호환성 및 설치작업성이 좋아진다.

Description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Connecting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band type reinforcing member assembly for improving passive resistance having this}
본 발명은 띠형 보강재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은 보강블록에 고정되고 타단은 뒷채움흙에 포설되어 지반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띠형 보강재 및 이를 고정하기 위한 보강토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블록이 상호 적층되어 형성되는 블록형 옹벽 구조물은 제방, 산비탈 등에서 흙의 흘러내림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된다. 이와 같은 보강토 옹벽에서는 일반적으로 옹벽블럭과 뒷채움흙(보강토체)을 결합시키는 보강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보강재의 한 종류로 그물형태로 된 지오그리드(Geogrid)가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 조립식으로 구축되는 옹벽블럭들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면서 뒷채움흙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는 띠형 보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즉, 적층되는 블록에 지반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띠 형상의 섬유보강재가 설치되는 것인데, 이 섬유보강재는 앵커나 앵커핀 등을 사용하여 일단은 블록에 고정하고 타단은 지반에 길게 매설하여 지면과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해서 보강토체를 형성하여 토압 등의 외력에 저항한다.
이러한 띠형 섬유 보강재를 사용하여 옹벽 벽체를 형성하는 블록을 지지하는 경우, 띠형 섬유 보강재의 선단을 블록의 배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연결고리에 띠형 섬유 보강재를 걸고, 블록의 후측으로 이격된 지지벽의 전방에 고정된 지지봉에 상기 연결고리에 일단이 걸린 띠형 섬유 보강재의 타단을 걸어, 지그재그식으로 연속 포설한 후, 블록과 지지벽 사이에 보강토를 채워 옹벽구조를 형성한다.
섬유 보강재를 고정하기 위한 공법으로, 옹벽을 구성하는 블록 사이에 섬유 보강재를 감아 블록의 무게에 눌려 고정되도록 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블록 사이가 벌어지면 섬유 보강재가 쉽게 빠져나가 수동저항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물론, 상기 섬유 보강재의 선단을 고정용 봉에 걸고, 고정용 봉을 옹벽을 구성하는 블록에 끼워 견고하게 고정하는 방식의 블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블록은 기존의 보강재를 감아 블록의 무게로 고정하는 블록과 호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나의 블록을 이용해서 현장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섬유 보강재를 고정하는 것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비신장성 자재인 강재(steel)를 보강재로 사용할 수도 있다. 강재로 구성된 보강재는 그 후단에 수동저항체를 설치하여 마찰저항을 증가하게 되고, 강재의 특성상 섬유 보강재에 비하여 수동저항성능에 유리한 면이 있다. 그러나, 강재 등 금속 보강재는 자재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수동저항체를 설치해야하는 등 상대적으로 시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은 이를 다양한 각도로 축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블록들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상하방향으로 쌓으면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축조될 뿐이고, 작업자가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블록을 쌓는 과정에서 임의로 각도를 조절하면서 쌓아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은 정확도 및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58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931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띠형 보강재를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종류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을 이용해서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보강토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띠형 보강재에 저항수단을 구비하여 띠형 보강재의 수동저항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면에는 설치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띠형 보강재에 연결된 가이드봉이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부가 직접 삽입되어 걸리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인접한 다른 블록몸체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부 및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블록몸체의 설치홈은 상기 블록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띠형 보강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1설치홈과, 상기 제1설치홈과 직교하게 상기 블록몸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설치홈에 연결되어 띠형 보강재에 연결된 가이드봉이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제1설치홈을 지난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부가 직접 삽입되는 제2설치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1설치홈은 상기 제2설치홈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설치홈 중 어느 하나로 진입한 띠형 보강재는 제2설치홈을 지나 나머지 하나의 제1설치홈을 통해 블록몸체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설치홈에 인접한 블록몸체의 상면에는 적어도 상기 띠형 모강재의 두께만큼 요입된 안착면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띠형 보강재가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안착면에는 지지보스가 돌출되어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에 안착된 다른 블록몸체의 저면을 지지한다.
상기 블록몸체의 저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는 상부에 적층된 다른 블록몸체의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제한홈부가 상기 걸림돌기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에 다른 블록몸체가 엇갈리게 적층되면 상부에 적층된 블록몸체의 걸림돌기가 하부의 블록몸체의 제한홈부에 걸려 상부에 적층된 블록몸체가 하부의 블록몸체 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치우친다.
상기 제한홈부는 상기 블록몸체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회피홈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에 다른 블록몸체가 나란하게 적층되면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블록몸체의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회피홈이 형성된다.
상기 블록몸체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부 및 결합홈은 서로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토체의 전방에 설치되되 다수개가 서로 적층되거나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과, 상기 보강토 옹벽용 블록에 일부가 연결되고 토체에 포설되어 수동저항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토 옹벽용 블록의 블록몸체 상면에는 설치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띠형 보강재에 연결된 가이드봉이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부가 직접 삽입되어 걸리며, 상기 띠형 보강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저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저항부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저항부를 포함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저항부는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2저항부는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저항부의 개구부와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면, 상기 제1저항부 및 제2저항부에는 각각 어느 일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 제1포켓 및 제2포켓이 형성되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에 형성된 설치홈에 띠형 보강재를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띠형 보강재의 결합방식에 따라 별도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을 준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블록으로 현장의 상황에 맞게 띠형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블록의 호환성 및 설치작업성이 좋아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을 나란한 방향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엇갈리게 적층함에 따라 지면과 이루는 경사각이 달라진다. 따라서, 한 종류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만으로도 작업자가 수직면 또는 경사면을 얻을 수 있어 설계자유도가 커지고, 설치편의성도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수개의 저항수단이 띠형 보강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므로, 띠형 보강재의 수동저항 마찰력 및 인발저항능력이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를구성하는 띠형 보강재의 일실시례 중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용 블록의 일실시례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강토 옹벽용 블록의 하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용 블록이 나란하게 적층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용 블록이 어긋나게 적층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보인 보강토 옹벽용 블록이 어긋나게 적층된 모습을 상부에서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용 블록이 서로 다른 각도로 좌우연결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용 블록에 띠형 보강재가 서로 다른 방법으로 연결된 모습을 각각 보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띠형 보강재(100)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100)는 뒷채움흙 등 시공되는 토체에 포설되어 뒷채움흙과의 마찰력을 통해 뒷채움흙이 횡으로 변하고자 하는 토압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뒷채움흙과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마찰에 의하여 토압을 경감시킴으로써 뒷채움흙의 점착력과 내부마찰각이 증진되고, 이에 따라 뒷채움흙의 전단강도가 향상되어 견고한 보강토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띠형 보강재(100)는 뒷채움흙에 다수개가 층을 이루면서 포설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얇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본적으로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폴리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여기에 폴리에틸렌 피복이 씌워져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뒷채움흙 내부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데, 띠형 보강재(100)의 일부는 후술할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에 그 일부가 고정됨과 동시에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을 기준으로 연장되는 방향이 바뀐다고 볼 수 있다.
도 1에는 띠형 보강재(100)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도 1에는 그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100)는 스트립베이스(110,150)와, 상기 스트립베이스(110,150)에 구비된 저항수단(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트립베이스(110,150)와 저항수단(170)은 각각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동일한 재질이거나 서로 다른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스트립베이스(110,15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베이스몸체(110)와 저항몸체(150)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몸체(110)는 띠형 보강재(100) 중에서 저항수단(170)이 구비되지 않는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고, 저항몸체(150)는 저항수단(170)이 구비되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이스몸체(110)는 스트립베이스(110,150)의 바깥쪽에 형성되고, 저항몸체(150)는 스트립베이스(110,150)의 사이에 구비된다. 도면부호 115는 베이스몸체(110)의 일부로, 저항몸체(150) 사이에 구비되는 베이스몸체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스트립베이스(110,150)의 내부에는 보강수단(120)이 구비된다. 상기 보강수단(12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110,150)의 강도를 보완하고, 그에 따라 띠형 보강재(100) 전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강수단(120)은 상기 베이스몸체(110)의 내부에 삽입된 형태인데, 본 실시례에서는 폴리에스터 재질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베이스몸체(110)의 보강수단(120)은 폴리에스터 재질로 만들어지고, 그 외면은 PVC코팅을 통해 만들어진다. 물론, 상기 보강수단(120)과 이를 감싸는 베이스몸체(110)의 재질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보강수단(120)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구획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몸체(110) 내부에 구비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보강수단(120)은 한 쌍이 각각 베이스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데, 이들 사이가 구획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보강수단(120)의 개수가 증가한다. 보강수단(120)이 한 쌍으로 구성됨에 따라 같은 부피를 갖는 하나의 보강수단(120)에 비해 강도보강 효과가 커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보강수단(120)을 포함한 띠형 보강재(100)의 제조가 용이해지는 장점도 있다.
상기 저항몸체(150)에는 저항수단(170)이 구비된다. 상기 저항수단(17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110,150)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것으로, 토체와 띠형 보강재(100) 사이의 수동저항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항수단(170)은 상기 스트립베이스(110,150)를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어 수동저항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저항수단(170)은 제1저항부(171) 및 제2저항부(175)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저항부(171)는 상기 스트립베이스(110,150)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110,15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다. 그리고, 제2저항부(175)는 상기 스트립베이스(110,150)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저항부(171)의 개구부와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다.
즉, 상기 제1저항부(171)와 제2저항부(175)는 상기 스트립베이스(110,150)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저항부(171) 및 제2저항부(175)는 상기 스트립베이스(110,15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포켓(172,176)을 갖는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저항부(171) 및 제2저항부(175)는 상하방향(도 2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저항부(171) 및 제2저항부(175)는 상하방향으로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제1저항부(171)의 제1포켓(172)과 상기 제2저항부(175)의 제2포켓(176)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저항부(171)와 제2저항부(175)는 상기 스트립베이스(110,150)에 두 방향 축을 기준으로 반대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띠형 보강재(100)는 옹벽을 향한 방향 및 그 반대방향 양쪽으로 모두 저항력이 향상되므로 띠형 보강재(100)를 보다 다양한 환경 및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고, 대칭구조로 인하여 특정된 설치방향성이 없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띠형 보강재(100)를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저항부(171)와 제2저항부(175)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스트립베이스(110,150)에 연속하여 구비된다. 이에 따라 띠형 보강재(1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1저항부(171)와 제2저항부(175) 사이를 커팅한 후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리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쉽게 제조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띠형 보강재(100)가 옹벽을 향한 방향으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제1저항부(171)의 제1포켓(172)에 뒷채움흙의 일부가 유입되는데, 그 과정에서 제2저항부(175)의 제2포켓(176)이 흙의 유입을 도울 수도 있다. 상기 제2저항부(175)는 제1저항부(171)의 제1포켓(172)을 향해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흙이 보다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토압 등에 의해 띠형 보강재(100)가 상기 보강토 옹벽용 블록(10) 방향으로 당겨지는 과정에서 뒷채움흙은 상기 제1포켓(172) 내측으로 더욱 삽입되어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저항부(175)의 제2포켓(176)은 제1저항부(171)의 제1포켓(172)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연결된 구조이므로, 결과적으로 저항수단(170)의 포켓의 전체 체적을 넓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저항수단(170)에 의한 수동저항력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저항부(171)의 제1포켓(172)과, 상기 제2저항부(175)의 제2포켓(176)은 개구부를 향해 점점 커지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상기 띠형 보강재(100)에 옹벽을 향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할 때, 개구부에 의해 형성되는 마찰면적이 충분히 보장되고, 결과적으로 수동저항 마찰력이 커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포켓(172)과 제2포켓(176)은 각각 띠형 보강재(100)의 하부와 상부로는 개방되어 있는 형태이다. 물론, 상기 제1포켓(172)과 제2포켓(176)은 각각 띠형 보강재(100)의 하부와 상부로 막힌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제조편의성 등을 고려했을 때 본 실시례와 같이 개방된 형태여도 무방하다.
참고로, 도 1에서는 제1저항부(171)의 제1포켓(172)과, 상기 제2저항부(175)의 제2포켓(176) 사이가 벌어진 것처럼 표현되었으나, 이는 각도에 따라 달리 표현될 수 있는 것이며, 평면도 상에서는 제1포켓(172)과 제2포켓(176) 사이가 벌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몸체(110) 또는 저항몸체(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에는 마찰면(A)이 형성된다. 상기 마찰면(A)은 상기 베이스몸체(110) 또는 저항몸체(150)의 외면에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베이스몸체(110)에만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마찰면(A)은 대략 마름모무늬로 형성되어 베이스몸체(110)의 수동저항 능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 띠형 보강재(100)에는 두 개의 저항몸체(150)가 구비된다. 상기 저항몸체(150)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저항몸체(150)에는 각각 다수개의 저항수단(170)이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100)가 뒷채움흙에 포설되면, 옹벽방향, 아래에서 설명될 보강토 옹벽용 블록(10)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띠형 보강재(100)의 수동저항력이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수동저항 마찰력 및 인발저항능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보장됨으로써,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에 대해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은 토체의 전방에 설치되되 다수개가 서로 적층되거나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5에는 상기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이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도 6에서 보듯이 서로 엇갈리게 적층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은 블록몸체(11)가 그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블록몸체(11)는 소정의 두께를 입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체로 형성되지만 특정한 재질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블록몸체(11)는 상대적으로 하중이 많이 가해지는 전방(도 1을 기준으로 우측 상방)이 더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블록몸체(11)에는 안착면(1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13)은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두께만큼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13)이 요입됨에 따라 띠형 보강재(100)가 그 위에 안착되더라도 띠형 보강재(100)의 두께만큼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이 적층되어도 상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블록몸체(11)의 상면에는 회피홈(15)이 요입된다. 상기 회피홈(15)은 상기 블록몸체(11)의 전방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돌기(19)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회피홈(15)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이 적층되면,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하부에 돌출된 걸림돌기(19)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피홈(15)에 걸림돌기(19)가 삽입됨에 따라 걸림돌기(19)에 의해 적층된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는 블록몸체(11)의 회피홈(15)에 상대적으로 상부에 적층된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걸림돌기(19)가 삽입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피홈(15)은 도 5와 같이 다수개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이 나란한 방향으로 적층될 때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블록몸체(11)의 안착면(13)에는 지지보스(18)가 돌출된다. 상기 지지보스(18)는 상기 블록몸체(11)의 안착면(13)으로부터 돌출되어, 상대적으로 요입된 안착면(13)을 보상한다. 상기 지지보스(18)는 상부에 안착된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저면을 지지해줄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지보스(18)는 필요에 따라 제거된 후에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블록몸체(11)에는 걸림돌기(19)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19)는 상기 블록몸체(11)의 저면에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데, 상기 걸림돌기(19)는 적층되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상대위치를 결정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걸림돌기(19)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걸림돌기(19)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제한홈부(H)에 삽입된다. 하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제한홈부(H)에 삽입된 걸림돌기(19)는 제한홈부(H)의 전단(H')에 걸려, 상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과 하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상대위치를 결정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6에서 보듯이, 상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과 하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이 서로 엇갈리게 적층되면, 상기 걸림돌기(19)가 하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제한홈부(H)에 삽입되어, 제한홈부(H)의 전단(H')에 걸려 상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과 하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상대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면부호 10A, 10B, 10C 등은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거나 적층되는 서로 다른 보강토 옹벽용 블록에 각각 다른 부호를 부여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한홈부(H)는 상기 블록몸체(11)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한홈부(H)의 전단(H')에 걸림돌기(19)가 걸린다. 물론 상기 제한홈부(H)는 상기 블록몸체(11)를 관통하여 형성될 필요는 없고, 일부가 요입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이때, 상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C)과 하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A,10B)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이러한 간격은 상기 걸림돌기(19)가 제한홈부(H)의 전단(H')에 걸려 상대위치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습은 도 7에서 더 명확하게 알 수 있는데, 상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C)이 하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A,10B) 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함으로써 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따라서,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이 계속하여 엇갈리게 적층되면,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은 점점 후퇴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수직하지 않고 어느 정도 경사각을 갖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보듯이, 블록몸체(11)의 전면으로부터 제한홈부(H)의 전단(H') 사이의 간격은 L1이고, 도 4에서 보듯이 블록몸체(11)의 전면으로부터 걸림돌기(19)의 앞 부분 사이의 간격은 L2이다. 이때 L1이 L2 보다 크기 때문에 상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C)의 걸림돌기(19)가 하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A,10B)의 제한홈부(H)의 전단(H')에 걸리면 상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C)의 전면은 하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A,10B)의 전면 보다 뒤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정리하면, (i)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적층되면, 도 5와 같이 걸림돌기(19)가 회피홈(15)에 삽입되어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적층되지만, (ii)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이 상하 방향으로 엇갈리게 적층되면 도 6 및 도 7에서 보듯이, 걸림돌기(19)가 제한홈부(H)의 전단(H')에 걸려 상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C)이 점점 후퇴하여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을 나란히 적층하는지 또는 엇갈리게 적층되는지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을 계속해서 엇갈리게 적층하지 않고, 2개 또는 3개 층을 이루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10) 사이는 나란히 적층하고, 그 상부의 2개 또는 3개 층을 이루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10)과는 엇갈리게 적층하면 경사각을 조금 더 완만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블록몸체(11)에는 설치홈(20)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20)은 앞서 설명한 띠형 보강재(100)를 설치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설치홈(20)에는 띠형 보강재(100)의 일부가 삽입된 후에 다시 방향을 바꾸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설치홈(20)은 블록몸체(11)의 상면에는 요입되게 형성되어 띠형 보강재(100)에 연결된 가이드봉(P)이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일부가 직접 삽입되어 걸린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설치홈(20)은 다시 제1설치홈(20a)과 제2설치홈(20b)으로 구성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제1설치홈(20a)은 상기 블록몸체(1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띠형 보강재(1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이고, 제2설치홈(20b)은 상기 제1설치홈(20a)과 직교하게 상기 블록몸체(11)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1설치홈(20a)과 제2설치홈(20b)은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2설치홈(20b)은 띠형 보강재(100)에 연결된 가이드봉(P)이 삽입되거나(도 11참조) 또는 상기 제1설치홈(20a)을 지난 상기 띠형 보강재(100)의 일부가 직접 삽입될 수도 있다(도 9, 도 10 참조).
도 9 및 도 10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설치홈(20a)은 상기 제2설치홈(20b)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설치홈(20a) 중 어느 하나로 진입한 띠형 보강재(100)는 제2설치홈(20b)을 지나 나머지 하나의 제1설치홈(20a)을 통해 블록몸체(11)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몸체(11)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인접한 다른 블록몸체(11)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부(23) 및 결합홈(25)이 형성된다. 상기 블록몸체(11)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부(23) 및 결합홈(25)은 서로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인접한 두 보강토 옹벽용 블록(10) 사이가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다. 도 8에는 인접한 두 보강토 옹벽용 블록(10) 사이가 직선 방향으로 연결되지 않고 서로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가 보강토 옹벽용 블록에 결합되는 형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은 뒷채움흙 등 시공되는 토체의 전방에 적층된다.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적층은, 먼저 다수개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나란히 설치된 후에, 그 상부에 층을 달리하여 다수개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보강토 옹벽이 만들어진다. 물론,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을 적층함과 동시에 뒷채움흙을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후방에 채우는 과정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다. 먼저 도 5와 같이 하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A)과 상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B,10C)이 나란한 방향으로, 즉 엇갈리지 않고 곧게 적층되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옹벽이 된다.
두 번째로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하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A,10B)과 상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C)이 서로 엇갈려 설치되는 방식이 있다. 이 경우에는 하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A,10B)의 제한홈부(H)의 전단(H')에 상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C)의 걸림돌기(19)가 걸리고, 이에 따라 하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A,10B) 전면보다 상부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C)의 전면이 상대적으로 후퇴한 위치에 형성되고,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경사옹벽이 된다.
한편, 이러한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이 적층되는 과정에서 띠형 보강재(100)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에 걸리면서 후방의 뒷채움흙에 함께 포설된다. 뒷채움흙에 안착되는 띠형 보강재(100)는 전방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을 지나면서 방향을 바꾸어 다시 뒷채움흙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100)가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에 결합되는 방식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9에서 보듯이, 띠형 보강재(100)가 서로 이웃한 두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설치홈(20)을 동시에 지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좌측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제1설치홈(20a)에 삽입된 띠형 보강재(100)가 두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제2설치홈(20b)을 각각 지난 후에 인접한 다른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제1설치홈(20a)을 지난 후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0과 같이, 띠형 보강재(100)가 하나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 마다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띠형 보강재(100)가 상기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한 쌍의 제1설치홈(20a) 중 어느 하나의 제1설치홈(20a)으로 삽입된 후에, 제2설치홈(20b)을 지나 다른 제1설치홈(20a)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각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에는 별도의 띠형 보강재(100)가 연결되거나, 하나의 긴 띠형 보강재(100)가 후방에서 다시 방향을 바꾸어 이웃한 다른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11에는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에는 가이드봉(P)을 통해 띠형 보강재(100)가 연결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100)가 가이드봉(P)을 감아 방향을 바꾼 후에 후방으로 연장되고, 가이드봉(P)은 띠형 보강재(10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의 설치홈(20), 보다 정확하게는 제2설치홈(20b)에 삽입되어 띠형 보강재(100)를 고정시킨다. 상기 가이드봉(P)은 하나의 긴 세장형 구조이고, 하나의 가이드봉(P)에 띠형 보강재(100)가 다수회 통과하면서 감길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블록몸체(11)의 안착면(13)에 띠형 보강재(100)가 안착되어 지나가므로, 상기 지지보스(18)는 제거한 후에 시공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9와 도 10에는 일반적인 띠형 보강재(1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앞서 설명한 도 1 및 도 2의 실시례의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100)가 적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에 형성된 설치홈(20)에 띠형 보강재(100)를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고, 띠형 보강재(100)의 결합방식에 따라 별도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을 준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블록으로 현장의 상황에 맞게 띠형 보강재(10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블록의 호환성 및 설치작업성이 좋아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례에서는 도 1과 도 2의 저항수단(170)이 구비된 띠형 보강재(100)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용 블록(10)에는 일반적인 띠형 보강재(100)가 적용될 수도 있다.
10: 보강토 옹벽용 블록 11: 블록몸체
13: 안착면 15: 회피홈
18: 지지보스 19: 걸림돌기
20: 설치홈 23: 결합돌부
25: 결합홈 100: 띠형 보강재
150: 저항몸체 170: 저항수단

Claims (13)

  1. 상면에는 설치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띠형 보강재에 연결된 가이드봉이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부가 직접 삽입되어 걸리는 블록몸체와,
    상기 블록몸체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인접한 다른 블록몸체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돌부 및 결합홈이 형성되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의 설치홈은
    상기 블록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띠형 보강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1설치홈과,
    상기 제1설치홈과 직교하게 상기 블록몸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설치홈에 연결되어 띠형 보강재에 연결된 가이드봉이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제1설치홈을 지난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부가 직접 삽입되는 제2설치홈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치홈은 상기 제2설치홈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설치홈 중 어느 하나로 진입한 띠형 보강재는 제2설치홈을 지나 나머지 하나의 제1설치홈을 통해 블록몸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에 인접한 블록몸체의 상면에는 적어도 상기 띠형 모강재의 두께만큼 요입된 안착면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띠형 보강재가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는 지지보스가 돌출되어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에 안착된 다른 블록몸체의 저면을 지지하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의 저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는 상부에 적층된 다른 블록몸체의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제한홈부가 상기 걸림돌기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에 다른 블록몸체가 엇갈리게 적층되면 상부에 적층된 블록몸체의 걸림돌기가 하부의 블록몸체의 제한홈부에 걸려 상부에 적층된 블록몸체가 하부의 블록몸체 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치우치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홈부는 상기 블록몸체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회피홈이 형성되어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에 다른 블록몸체가 나란하게 적층되면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블록몸체의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회피홈이 형성되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부 및 결합홈은 서로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
  10. 토체의 전방에 설치되되 다수개가 서로 적층되거나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토 옹벽용 블록과,
    상기 보강토 옹벽용 블록에 일부가 연결되고 토체에 포설되어 수동저항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토 옹벽용 블록의 블록몸체 상면에는 설치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띠형 보강재에 연결된 가이드봉이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부가 직접 삽입되어 걸리며,
    상기 띠형 보강재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유연한 재질의 스트립베이스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돌출되는 저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저항수단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는 제1저항부와,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는 제2저항부를 포함하는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항부는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제2저항부는 상기 스트립베이스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1저항부의 개구부와 반대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제1저항부 및 제2저항부에는 각각 어느 일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갖는 제1포켓 및 제2포켓이 형성되는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의 설치홈은
    상기 블록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띠형 보강재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1설치홈과,
    상기 제1설치홈과 직교하게 상기 블록몸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설치홈에 연결되어 띠형 보강재에 연결된 가이드봉이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제1설치홈을 지난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부가 직접 삽입되는 제2설치홈을 포함하는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몸체의 저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블록몸체의 상면에는 상부에 적층된 다른 블록몸체의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제한홈부가 상기 걸림돌기와 엇갈린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에 다른 블록몸체가 엇갈리게 적층되면 상부에 적층된 블록몸체의 걸림돌기가 하부의 블록몸체의 제한홈부에 걸려 상부에 적층된 블록몸체가 하부의 블록몸체 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치우치는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KR1020160167559A 2016-12-09 2016-12-09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KR20180066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59A KR20180066926A (ko) 2016-12-09 2016-12-09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559A KR20180066926A (ko) 2016-12-09 2016-12-09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926A true KR20180066926A (ko) 2018-06-20

Family

ID=62769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559A KR20180066926A (ko) 2016-12-09 2016-12-09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692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4981A (ko) 2018-08-28 2020-03-10 이장원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00108813A (ko) 2018-08-28 2020-09-21 이장원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EP3480367B1 (en) * 2016-06-29 2022-09-14 Daihan Cork Co., Ltd. Strip type reinforcing material and reinforcing material assembly comprising same
KR20220140930A (ko) 2021-04-09 2022-10-19 이장원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230169730A (ko) 2022-06-09 2023-1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862A (ko) 2008-02-05 2009-08-10 송순옥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KR20100037275A (ko) * 2008-10-01 2010-04-09 유희주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48904Y1 (ko) * 2009-10-13 2010-06-07 티에스톤산업주식회사 옹벽용 조립식 블록
KR20110003906U (ko) * 2009-10-12 2011-04-20 이정수 옹벽 축조용 블록
KR20120051345A (ko) * 2010-11-12 2012-05-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1439314B1 (ko) 2013-01-07 2014-09-11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 축조용 금속 스트립 보강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862A (ko) 2008-02-05 2009-08-10 송순옥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KR20100037275A (ko) * 2008-10-01 2010-04-09 유희주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03906U (ko) * 2009-10-12 2011-04-20 이정수 옹벽 축조용 블록
KR200448904Y1 (ko) * 2009-10-13 2010-06-07 티에스톤산업주식회사 옹벽용 조립식 블록
KR20120051345A (ko) * 2010-11-12 2012-05-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KR101439314B1 (ko) 2013-01-07 2014-09-11 주식회사 한포스 보강토 옹벽 축조용 금속 스트립 보강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0367B1 (en) * 2016-06-29 2022-09-14 Daihan Cork Co., Ltd. Strip type reinforcing material and reinforcing material assembly comprising same
KR20200024981A (ko) 2018-08-28 2020-03-10 이장원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00108813A (ko) 2018-08-28 2020-09-21 이장원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40930A (ko) 2021-04-09 2022-10-19 이장원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20230169730A (ko) 2022-06-09 2023-1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6926A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US20080289283A1 (en)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incorporating the extruded polymer strip as a reinforcement
JP2017531115A (ja) 補強土擁壁用帯形纎維補強材の施工方法
US20110236141A1 (en) Reinforced Ground Structure, And Siding Elements For Constructing Same
EP2158365A1 (en) Cellular reinforcement for soil particle confinement
US9103089B2 (en) Loop and saddl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stablized earth wall
US20200270836A1 (en) Multi-oriented segmental wall blocks, soil reinforcing system, and methods
KR101219570B1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KR101726414B1 (ko)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KR101818911B1 (ko)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US8197159B2 (en) Wire facing unit for retaining walls with strut attachment locator
US20140314501A1 (en)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200024981A (ko)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426345B1 (ko) 토사 보강재
KR20160096801A (ko) 띠형 보강재 및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KR102339390B1 (ko)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KR101914763B1 (ko) 식생판넬과 이를 포함하는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93403B1 (ko) 스트립형 섬유보강재와 블록 사이의 연결용 연결부재, 이를 구비한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101527703B1 (ko) 옹벽블록 및 상기 옹벽블록을 포함하는 옹벽블록조립체 그리고 상기 옹벽블록조립체의 시공방법
KR20210033562A (ko)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JP5460013B2 (ja) 補強した地盤中に構築する構造物用のジオマテリアル補強材のアセンブリ、関連する構造物、および関連する方法
JP2006348583A (ja) 土木構築物の構築方法および土木構築物
KR200352266Y1 (ko)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
KR101407503B1 (ko) 지반보강재 및 이를 구비하는 옹벽구조물
KR101356816B1 (ko) 옹벽용 보강재의 고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00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508

Effective date: 2018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