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5862A -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5862A
KR20090085862A KR1020080011749A KR20080011749A KR20090085862A KR 20090085862 A KR20090085862 A KR 20090085862A KR 1020080011749 A KR1020080011749 A KR 1020080011749A KR 20080011749 A KR20080011749 A KR 20080011749A KR 20090085862 A KR20090085862 A KR 20090085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reinforcing
strip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순옥
Original Assignee
송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순옥 filed Critical 송순옥
Priority to KR1020080011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85862A/ko
Publication of KR2009008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보강심재와 이를 감싸주는 합성수지 피복재로 형성되는 좌,우측 보강부와, 상기한 좌,우측 보강부 각각의 합성수지 피복재와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좌,우측 보강부를 연결시키도록 얇은 두께로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된 띠형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는 좌,우측 보강부 사이에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연결부가 띠형 보강재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거리마다 끊어진 상태가 되도록 좌,우측 보강부를 이어주면서 띠형 보강재를 뒷채움흙에 고정시키기 위해 연결부에 박아주는 고정핀에 지지되어 띠형 보강재가 옹벽블럭 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연속하는 핀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보강토 옹벽, 띠형 보강재, 좌,우측 보강부, 연결부, 핀지지부, 고정핀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Strip type amature reinforcing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구축되는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 조립식으로 구축되는 옹벽블럭을 지지하기 위해 뒷채움흙에 매립되도록 시공되는 띠형 보강재가 뒷채움흙 성토작업시 위치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핀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강토 옹벽 구축 후에는 띠형 보강재 설치시 뒷채움흙에 박아놓은 고정핀에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띠형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에서 옹벽블럭과 뒷채움흙을 결합시키는 보강재로서는 그물상으로 된 지오그리드(Geogrid) 등이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보강토 옹벽의 전면에 조립식으로 구축되는 옹벽블럭들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면서 뒷채움흙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는 띠형 보강재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띠형 보강재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섬유사로 된 보강심재(110)를 폴리에틸렌으로 된 피복재(120)로 감싸준 상태로 형성 된 좌,우측 보강부(130)(140)를 상기한 피복재(120)에서 연장되는 연결부(150)로 연결시키는 구조로서 띠형 보강재(100)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띠형 보강재(100)는 전면에 구축되는 옹벽블럭과 뒷채움흙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할 때 옹벽블럭 상면의 형성된 끼움홈에 띠형 보강재(100)를 끼워줄 때에는 두께가 얇은 연결부(150)를 기준하여 좌,우측 보강부(130)(140)가 서로 겹쳐지도록 접어준 상태로 끼워주며, 뒷채움흙으로 인출되어 적당한 길이에서 "U"자형으로 구부러지는 부분은 좌,우측 보강부(130)(140)가 수직상으로 펼쳐진 상태로 구부러지게 하는 방법을 반복하여 보강토 옹벽 시공시 일정 높이마다 띠형 보강재(100)를 옹벽블럭과 뒷채움흙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한 다음 뒷채움흙의 성토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성토작업시 뒷채움흙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띠형 보강재(100)가 성토되는 흙에 의해 밀려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7의 도시와 같이 대못과 같이 긴 고정핀(200)을 연결부(150)에 일정간격으로 박아주게 되면 성토시 뒷재춤흙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된 띠형 보강재(100)를 제자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은 있겠으나, 보강토 옹벽 구축 후 뒷채움흙 속으로 흐르게 되는 빗물로 인해 흙이 부분적으로 유실되거나 또는 토압이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될 때 띠형 보강재(100)가 뒷채움흙에 매립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토압에 의해 옹벽블럭이 밀려나는 방향으로 끌리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고정핀(200)이 일정간격으로 박히게 되는 연결부(150)에는 인장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사가 충진되어 있지 아니한 상태에서 얇은 두께의 폴리에틸렌수지만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 에 붕괴되는 옹벽블럭이 띠형 보강재(100)를 잡아당기게 될 때에는 고정핀(200)은 뒷채움흙속에 꽂혀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반면에, 두께가 얇은 연결부(150)는 고정핀(200)에 의해 고정되어 있지 못하고 쉽게 찢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로 인해 보강토 옹벽이 붕괴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띠형 보강재에서 나타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보강토 옹벽의 옹벽블럭과 뒷채움흙에 지그재그상으로 매설되는 띠형 보강재를 뒷채움흙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핀을 꽂아주는 연결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뒷채움흙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는 띠형 보강재를 고정핀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강토 옹벽 구축 후 뒷채움흙 속으로 흐르는 빗물로 인해 뒷채움흙이 유실되는 현상이 나타나거나 또는 토압이 부분적으로 옹벽블럭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더라도 옹벽블럭을 붙잡아주도록 뒷채움흙에 매설된 띠형 보강재가 뒷채움흙속에 매립된 고정핀에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보강토 옹벽을 보다 튼튼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강심재와 이를 감싸주는 합성수지 피복재로 형성되는 좌,우측 보강부와, 상기한 좌,우측 보강부 각각의 합성수지 피복재와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좌,우측 보강부를 연결시키도록 얇은 두께로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된 띠형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는 좌,우측 보강부 사이에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연결부가 띠형 보강재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거리마다 끊어진 상태가 되도록 좌,우측 보강부를 이어주면서 띠형 보강재를 뒷채움흙에 고정시키기 위해 연결부에 박아주는 고정핀에 지지되어 띠형 보강재가 옹벽블럭 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연속하는 다수의 핀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지지부는 연결부의 두께보다는 두껍고 좌,우측 보강부의 두께와는 같거나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토 옹벽 시공시에는 일정 높이마다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는 띠형 보강재를 뒷채움흙에 박아주는 고정핀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띠형 보강재는 좌,우측 보강부 사이에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일정거리마다 끊어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핀지지부는 뒷채움흙에 박아놓은 고정핀에 견고하게 지지되므로써 옹벽블럭과 뒷채움흙을 일체적으로 결합시키는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보강토 옹벽을 보다 튼튼한 구조로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띠형 보강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띠형 보강재의 설치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띠형 보강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띠형 보강재(1)는 폴리에스테르(PET) 섬유사로 된 보강심재(2)와, 이를 폴리에틸렌(PE)으로 된 합성수지 피복재(3)로 감싸도록 형성된 좌,우측 보강부(4a)(4b)와, 상기한 좌,우측 보강부(4a)(4b)의 사이에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연결부(5)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띠형 보강재(1)에서 강력한 인장력을 발휘하는 좌,우측 보강부(4a)(4b) 사이에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연결부(5)를 일정거리마다 끊어진 상태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한 좌,우측 보강부(4a)(4b)를 이어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핀지지부(6)를 일정간격으로 연속해서 다수 형성한 것에 있다.
상기한 핀지지부(6)는 두께가 얇은 연결부(5)보다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한 좌,우측 보강부(4a)(4b)의 보강심재(2)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합성수지 피복재(3)의 두께와 같거나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핀지지부(6)는 띠형 보강재(1)의 길이방향을 향해 대략 1∼3m의 간격마다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좌,우측 보강부(4a)(4b) 각각의 상,하면에는 뒷채움흙과의 마 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마찰돌부(4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띠형 보강재(1)는 보강토 옹벽 구축시 상,하로 적층되는 옹벽블럭(7)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홈(71)에 끼워주고자 할 때에는 일정거리마다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5)를 기준하여 좌,우측 보강부(4a)(4b)가 서로 겹쳐진 상태가 되도록 접어준 다음, 그 접혀진 부분을 도 5의 도시와 같이 구부려서 옹벽블럭(7)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71)에 끼워주고 상기한 옹벽블럭(7)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적당한 거리에서 "U"자형으로 구부려서 다시 옹벽블럭(7)의 상면에 형성된 끼움홈(71)에 끼워주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옹벽블럭(7)의 끼움홈(71)과 뒷채움흙 상면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는 띠형 보강재(1)는 일정거리마다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연결부(5)들 중 선택된 연결부(5) 각각의 일측에 고정핀(8)을 박아주는데, 이때 상기한 고정핀(8)은 옹벽블럭(7)의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될 때 핀지지부(6)에 지지될 수 있도록 도 5의 도시와 같이 박아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옹벽블럭(7)의 끼움홈(71)에 끼워주기 위해 좌,우측 보강부(4a)(4b)를 겹쳐지도록 접히는 연결부(5)의 경우에는 옹벽블럭(7)을 벗어난 양측 끝단 각각에 고정핀(8)을 박아주는 것이며, 뒷채움흙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연결부(5)에는 후방측 끝단에 고정핀(5)을 박아주게 되면 성토작업시 상기 띠형 보강재(1)는 뒷채움흙에 지그재그상으로 배설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써 보강토 옹벽의 옹벽블럭(7)과 뒷채움흙을 설계상의 강도를 가지도록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축된 보강토 옹벽의 뒷채움흙에 매설된 띠형 보강재(1)는 각 연결부(5)에 박혀있는 고정핀(8) 각각에 핀지지부(6)가 지지되어 있으므로 부등침하 등의 현상으로 인해 옹벽블럭(7)이 전방으로 밀려나려는 작용으로 띠형 보강재(1)에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될 때 핀지지부(6)는 고정핀(8)에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옹벽블럭(7)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띠형 보강재(1)는 뒷채움흙 속에 매설된 상태에서 다수의 고정핀(8)들에 의해 핀지지부(6)가 지지된 상태이므로 옹벽블럭(7)을 강력한 인장력으로 지지하게 되므로써 보강토 옹벽을 더욱 튼튼하게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띠형 보강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 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띠형 보강재의 설치상태도.
도 6 및 도 7은 종래기술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띠형 보강재 2 : 보강심재
3 : 합성수지 피복재 4a,4b : 좌,우측 보강부
5 : 연결부 6 : 핀지지부
7 : 옹벽블럭 71 : 끼움홈
8 : 고정핀

Claims (2)

  1. 보강심재와 이를 감싸주는 합성수지 피복재로 형성되는 좌,우측 보강부와, 상기한 좌,우측 보강부 각각의 합성수지 피복재와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좌,우측 보강부를 연결시키도록 얇은 두께로 형성된 연결부로 구성된 띠형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는 좌,우측 보강부 사이에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연결부가 띠형 보강재의 길이방향을 향해 일정거리마다 끊어진 상태가 되도록 좌,우측 보강부를 이어주면서 띠형 보강재를 뒷채움흙에 고정시키기 위해 연결부에 박아주는 고정핀에 지지되어 띠형 보강재가 옹벽블럭 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일정간격으로 연속하는 핀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지지부는 연결부의 두께보다는 두껍고 좌,우측 보강부의 두께와는 같거나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KR1020080011749A 2008-02-05 2008-02-05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KR20090085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749A KR20090085862A (ko) 2008-02-05 2008-02-05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749A KR20090085862A (ko) 2008-02-05 2008-02-05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862A true KR20090085862A (ko) 2009-08-10

Family

ID=41205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749A KR20090085862A (ko) 2008-02-05 2008-02-05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8586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535A (ko) 2014-12-31 2016-07-12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KR20160096801A (ko) 2015-02-05 2016-08-17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KR101726414B1 (ko) 2016-06-29 2017-04-14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KR20180066926A (ko) 2016-12-09 2018-06-20 이루산업주식회사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KR20210033562A (ko) 2019-09-18 2021-03-29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535A (ko) 2014-12-31 2016-07-12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KR20160096801A (ko) 2015-02-05 2016-08-17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띠형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KR101726414B1 (ko) 2016-06-29 2017-04-14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KR20180066926A (ko) 2016-12-09 2018-06-20 이루산업주식회사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KR20210033562A (ko) 2019-09-18 2021-03-29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1938C (en) Stabilized soil structure and facing elements for its construction
KR101528238B1 (ko) 보강토 옹벽용 띠형 섬유보강재의 시공방법
KR10075668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후인장 콘크리트 옹벽및 그 시공방법
JP3903057B2 (ja) 安定処理土構造体およびその建設用の表面部材単位
KR20090085862A (ko) 보강토 옹벽 지지용 띠형 보강재
KR100247361B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US20110044771A1 (en) Flexible stabilizing strip intended to be used in reinforced soil constructions
KR101177394B1 (ko) 절곡형 철근 결속장치를 이용한 강성 구조체와 뒷채움부의 결속구조 및 결속시공방법
US20140314501A1 (en)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use
RU2534285C2 (ru) Элемент облицовк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онструкции со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м грунтом
JP4912839B2 (ja) 多連円弧状トンネルの施工方法およびトンネルと接合体との接続構造
KR101447021B1 (ko) 소일네일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공법
KR102352069B1 (ko) 내진성능이 우수한 옹벽블록 보강지지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KR102560550B1 (ko) 엄지말뚝 시공용 강재 조립 파일
KR101081840B1 (ko) 콘크리트와 함께 일체로 매립된 지주를 이용하여 인도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사면 가설인도의 설치공법
KR10139068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200453027Y1 (ko) 띠형 섬유 보강재의 연결이 용이한 옹벽 축조용 블록
KR102084842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632477B1 (ko) 보강토옹벽
KR200420494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KR20110007020U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KR20000075357A (ko) 블록식 보강토 앵커공법
KR102013783B1 (ko) 강관, 지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cms 공법
JP2002220834A (ja) 補強土構造物および補強土ブロック
KR102118291B1 (ko) 옹벽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817

Effective date: 2011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