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6395B1 - 보강토옹벽 - Google Patents

보강토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6395B1
KR102576395B1 KR1020210046680A KR20210046680A KR102576395B1 KR 102576395 B1 KR102576395 B1 KR 102576395B1 KR 1020210046680 A KR1020210046680 A KR 1020210046680A KR 20210046680 A KR20210046680 A KR 20210046680A KR 102576395 B1 KR102576395 B1 KR 102576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rip
shaped reinforcement
reinforced
soi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0930A (ko
Inventor
이장원
김재홍
Original Assignee
이장원
김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원, 김재홍 filed Critical 이장원
Priority to KR102021004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6395B1/ko
Publication of KR2022014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0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6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옹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토옹벽에서 블럭(20)과 보강토층(30) 사이에 완충층(32)을 두어 적층되어 있는 블럭(20)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였고, 블럭(20)에 걸어져서 보강토층(30) 내부에 위치되는 띠형 보강재(40)를 보강토층(30)과의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하면서 소정의 텐션을 주어 보강토층(30)과의 마찰력이 최대가 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보강토옹벽{Reinforced earth walls}
본 발명은 보강토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띠형 보강재를 블럭을 관통하여 뒷채움흙 내에 상하로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형성하는 보강토옹벽에 관한 것이다.
산지에 도로를 만들고 택지를 조성하는 과정에서는 사면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토 또는 성토되어 발생하는 사면은 토사의 유실과 붕괴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경관을 개선하기 위해 보강토옹벽을 만들게 된다. 보강토옹벽은 블럭이나 판넬로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더해 옹벽의 후방에 채워지는 뒷채움흙에는 보강재를 두고 상기 보강재의 일단이 전면을 형성하는 블럭이나 판넬과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보강재로는 지오그리드가 사용되기도 하고 최근에는 띠형 보강재가 많이 사용된다.
띠형 보강재는 띠형상으로 되며 어느 정도 유연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데,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여기에 폴리에틸렌 피복이 씌워져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띠형 보강재는 뒷채움흙 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야 뒷채움흙과의 마찰력을 최대로 만들어내어 보강토옹벽의 스킨을 형성하는 블럭이나 판넬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띠형 보강재를 블럭이나 판넬과 연결하기 위해 블럭이나 판넬에 설치홈을 두고, 상기 설치홈에 걸어지도록 하거나 가이드봉을 블럭이나 판넬에 두고 상기 가이드봉을 둘러 띠형 보강재가 걸어지도록 하였다. 이는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중 공개특허 제10-2018-0066926호에 잘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띠형 보강재를 소정의 길이로 잘라서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블럭이나 판넬을 상하로 관통하여 걸어지고 뒷채움흙 내에 양측이 상하로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하여 보강토옹벽을 형성하는 것이, 공개특허 제10-2020-0024981호에 잘 개시되어 있다.
띠형 보강재를 블럭이나 판넬에 걸어지도록 하면, 상기 띠형 보강재의 일부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해당부분에서 뒷채움흙과의 사이에서 마찰력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가이드봉을 두고 띠형 보강재를 둘러, 실제로는 거의 띠형 보강재를 접어서 블럭이나 판넬과 연결하는 경우에는 시공시에 가이드봉을 사용하므로 부품수가 많아지게 되고 가이드봉을 감싸도록 띠형 보강재를 두르는 작업이 쉽지 않아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블럭이나 판넬을 띠형 보강재가 상하로 관통하여 띠형 보강재의 양측이 뒷채움흙 내의 상하에서 나란히 연장되는 경우에는 띠형 보강재가 뒷채움흙과의 사이에서 보다 큰 마찰력을 발휘하여야 하는데, 그러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뒷채움흙의 내부 거의 전체 영역에 위치되는 지오그리드와는 달리 띠형 보강재는 뒷채움흙의 일부와만 마찰을 일으키므로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뒷채움흙의 다짐작업을 함에 있어서, 대형 다짐장비에 의해 블럭이나 판넬의 설치 상태가 어그러지고 띠형 보강재가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띠형 보강재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띠형상이고 PET 재질의 표면에 PE층이 코팅되어 형성 어느 정도의 강성이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더라도 지면과 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뒷채움흙의 다짐과정에서 먼저 다짐된 층의 표면에 띠형 보강재가 밀착되어 있지 않으면 띠형 보강재와 뒷채움흙의 사이에서 설계된 대로의 마찰력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띠형 보강재는 작업자의 힘으로 직각으로 절곡할 수 없어서, 블럭을 관통하는 부분에서 블럭과 띠형 보강재의 사이에 틈새가 있는데, 보강토층을 형성함에 의해 띠형 보강재가 눌러지면서 블럭에 중력방향에서는 밀착되지만 이에 직교하는 방향, 즉 블럭의 전후 이동방향으로는 틈새가 더 커지게 되어 블럭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129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49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891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692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띠형 보강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보강토옹벽에서 뒷채움흙을 다지는 다짐공정에서 다짐력이 보강토옹벽의 전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띠형 보강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보강토옹벽에서 띠형 보강재와 뒷채움흙 사이의 밀착이 확실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블럭을 건식블럭을 사용하고 건식블럭을 지지하기 위한 띠형 보강재의 제원을 이 건식블럭의 크기에 맞춰 설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띠형 보강재를 사용하여 보강토옹벽을 형성함에 있어서 띠형 보강재를 소정의 길이로 잘라서 그 중간부가 블럭을 관통하여 걸어지도록 한 상태로 보강토층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띠형 보강재와 블럭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보강토층이 형성되었을 때 블럭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형성된 바닥면 상에 상면이 수평이 되도록 잡석 또는 무근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기초대와, 상기 기초대의 상면에 다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설치되고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을 구비하고 블럭몸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된 블럭과, 상기 블럭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블럭 하나의 높이 만큼씩 보강토가 최대 건조밀도의 95% 이상이 되도록 균일하게 수평으로 평평하게 다져져 형성되는 보강토층과, 상기 블럭과 상기 보강토층의 사이에 위치되고 쇄석이나 자갈이 다져져 형성되는 완충층과, 상기 블럭의 관통공을 중간부가 통과하고 상기 완충층과 보강토층 내에 상기 블럭 외부에 있는 부분이 상기 블럭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위치되며 상기 블럭을 기준으로 양단의 것이 상기 완충층과 보강토층의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며 PET재질의 심재와 PE재질의 표피층으로 구성되며 저항포켓을 가지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블럭은 건식블럭이 사용되고 폭이 500mm에서 600mm 사이의 값을 가지며, 상기 띠형 보강재의 폭은 50mm에서 90mm 사이의 값을 가지며, 상기 블럭에서부터 연장되는 띠형 보강재의 길이는 전체 보강토옹벽 높이의 70% 이상이며, 상기 완충층을 형성하는 쇄석이나 자갈은 입경이 40mm 내외의 크고 작은 것이 소정의 입도로 혼합되며, 상기 띠형 보강재는 상기 완충층과 보강토층 상에 틈새없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상기 보강토층 상에 수평으로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블럭의 후면판 상단에 형성된 보강재통로에는 후면판의 배면으로 경사나 곡면으로 된 통로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띠형 보강재의 단부는 소정의 텐션을 가지도록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보강토층에 고정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블럭과 상기 보강토층 사이에 완충층이 없는 경우에 상기 블럭에는 보강지지대가 설치되어 블럭이 상기 기초대에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블럭에서 상기 띠형 보강재가 관통하는 관통공 내에는 구획걸이단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구획걸이단의 상단 모서리 중 상기 블럭의 전면판 쪽에는 경사나 곡면으로 된 걸이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옹벽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블럭과 이에 대응되는 보강토층이 차례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블럭과 보강토층의 사이에는 1미터 정도의 완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층은 골재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데, 다짐 작업을 작업자가 소형 진동다짐장비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대형 장비를 사용하여 보강토층을 다짐작업하더라도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블럭을 적층상태를 견고하고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띠형 보강재를 보강토층에 위치시킴에 있어서, 보강토층의 표면을 평평하게 하고 이에 띠형 보강재를 소정의 텐션을 가지도록 팽팽하게 당겨서 고정한다. 따라서, 띠형 보강재가 보강토층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게 되어 블럭을 보강토옹벽의 전면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건식블럭을 사용하여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한다. 건식블럭은 소정의 압력과 진동을 가해서 제작하므로 높이가 200mm에서 300mm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이 제작하기에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건식블럭을 하나 또는 2개씩 쌍으로 차례로 적층하여 설치하면서 보강토옹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식블럭의 폭은 500mm에서 600mm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하는데, 예를 들어 550mm의 폭을 건식블럭이 가지고, 건식블럭을 관통하는 띠형 보강재의 폭은 50mm에서 90mm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함에 의해 띠형 보강재가 보강토층에 위치되는 정도를 보이는 포설면적비(Coverage ratio)를 백분율로 최소 10% 정도의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최소의 포설면적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강토옹벽의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띠형 보강재를 사용하여 보강토옹벽을 형성함에 있어서 띠형 보강재를 소정의 길이로 잘라서 그 중간부가 블럭을 관통하여 걸어지도록 한 상태로 보강토층 내에 위치되도록 하는데, 특히 보강토층 상에 놓여진 반대쪽 절반을 블럭의 후방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정을 사용함에 의해 상대적으로 짧은 띠형 보강재를 취급하면서 작업하므로, 전체적으로 작업성과 시공성이 좋아져 경제적으로 효과가 좋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블럭을 띠형 보강재가 관통하면서 띠형 보강재가 절곡되는 부분에 걸이곡면을 두었다. 이 걸이곡면에 의해 블럭을 띠형 보강재가 관통할 때, 띠형 보강재와 블럭 사이에 틈새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토층을 형성하여 띠형 보강재가 중력방향으로 눌러지더라도 블럭과의 사이에서 상대 이동이 없어 블럭과 띠형 보강재 사이의 결합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블럭이 유동될 가능성이 없어지게 되어 보강토옹벽의 전면이 보다 견고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토옹벽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에서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의한 보강토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블럭과 띠형 보강재의 관계를 블럭의 후방에서 보인 것으로, 적층된 블럭에서 띠형 보강재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것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서 블럭을 일부 제거하여 띠형 보강재의 배치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블럭과 띠형 보강재의 관계를 블럭의 후방에서 보인 것으로, 적층된 블럭에 띠형 보강재를 계속해서 사용되는 경우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서 블럭을 일부 제거하여 띠형 보강재의 배치를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블럭의 예를 후방에서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블럭의 예를 저면에서 보인 저면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띠형 보강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례의 보강토옹벽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면(10)에 터파기를 하여 형성된 바닥면(12) 상에 기초대(14)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기초대(14) 상에는 블럭(20)이 다수의 층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블럭(20)의 후방에 해당되는 상기 지면(10) 상에는 보강토층(30)이 차례로 다수개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토층(30)의 내부에는 상기 블럭(20)을 중간부분이 관통하여 블럭(20)에 걸어진 띠형 보강재(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럭(20)과 상기 보강토층(30)의 사이에는 완충층(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층(32)은 상기 블럭(20)이 적층된 상태를 상기 보강토층(30)의 다짐공정에서 훼손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블럭(20)으로 형성된 보강토옹벽의 최상단에는 마무리블럭(2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토층(30)의 최상단에는 토사다짐층(52)이 형성되어 상기 보강토층(30)으로 지표수와 침투수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토사다짐층(52)에서, 상기 블럭(20)에 인접한 위치를 따라서는 지표수를 배수하기 위한 측구(5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보강토옹벽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 2에서 도 12를 참고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토옹벽이 형성될 사면 전방의 지면(10)에 터파기를 실시한다. 터파기에 의해 형성된 바닥면(12)에는 기초대(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12)은 상기 보강토층(30)이 적층되는 부분이다. 상기 바닥면(12)은 상기 보강토층(30)과 같은 정도의 평탄도와 다짐정도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바닥면(12) 상에 적층되는 보강토층(30)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바닥면(12)은 평탄하게 되도록 지반고르기를 시행하고, 과다 터파기 된 부분은 표준쌓기 재료 또는 기초용 잡석 등을 사용하여 원 지반과 동일한 밀도가 되도록 다져야 한다.
상기 기초대(14)는 상기 블럭(20)이 적층되는 부분이다. 상기 기초대(14)는 잡석 또는 무근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초대(14)의 상면(16)은 수평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상면(16)이 수평으로 되어야 위치되는 블럭(20)들이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적층될 수 있다. 상기 기초대(14)의 상면(16)이 상기 바닥면(12)과 같은 높이로 될 수 있다. 상기 기초대(14)는 보강토옹벽의 전면이 되는 블럭(20)이 놓여지는 위치를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초대(14)는 좌우로 직선으로 되거나 전방으로 돌출되는 우각부를 가지거나 내측으로 들어가는 열각부를 가지도록 현장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선형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초대(14) 상에 블럭(20)을 놓는다. 상기 블럭(20)을 상기 기초대(14)의 상면(16)에 놓기 전에 상기 상면(16)을 깨끗하게 청소하여 블럭(20)이 정확하게 수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블럭(20)은 1장만 놓을 수도 있지만, 2장을 한꺼번에 놓을 수도 있다. 도 3에는 2장의 블럭(20)을 적층해 두었다. 상기 블럭(20)의 전면을 지지하도록 보강대(1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대(18)는 상기 블럭(20)이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보강대(18)는 상기 기초대(14)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블럭(20)들은 상기 기초대(14)를 따라 다수개가 연속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바닥면(12) 상에 보강토층(30)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강토층(30)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바닥면(12) 상에 보강토를 쌓는다. 상기 보강토는 한층의 보강토층(30)이 0.2 ~ 0.3m 사이의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충분한 높이로 쌓아진다. 보강토를 다져서 보강토층(30)을 형성하므로, 바닥면(12) 상에 쌓아지는 보강토의 높이는 0.2 ~ 0.3m보다는 더 높게 될 수 있다. 상기 보강토층(30)의 높이는 상기 블럭(20)의 하나의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상기 보강토층(30)을 형성하기 위한 보강토의 다짐은 내부에서 흙의 상대 이동을 감소시키고 그 내구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균일하고 충분한 다짐이 되도록 해야 한다.
상기 보강토층(30)의 형성을 위한 다짐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블럭(20)에서 1.0m 이내에 대해서는 포설 및 고르기를 인력으로 시행하는 것이 좋다. 다짐 작업도 소형 진동 다짐기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대형 장비의 사용에 의해 상기 블럭(20)의 유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강토층(30)을 형성함에 있어서 보강토층(30)은 최대건조밀도의 95% 이상이 되도록 다져야 한다. 다짐장비가 주행할 때는 상기 블럭(20)의 전면과 평행이 되도록 경로를 잡아야 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기초대(14) 상에 놓여 있는 블럭(20)과 그 바로 위의 블럭(20)에 대응되는 보강토층(30)의 다짐작업 시에는 상기 블럭(20)들을 보강지지대(18)로 고정하므로 상기 블럭(20) 후단 근처의 다짐을 소형 진동 다짐기계만을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블럭(20)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면 대형 장비를 사용하여 최하층의 보강토층(30) 형성을 할 수 있다. 상기 보강지지대(18)는 아래에서 설명될 완충층(32)이 없이 보강토층(30)을 형성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 보강재(40)를 최하층의 보강토층(30) 상에 위치시킨다. 상기 블럭(20)의 중앙을 관통하여 띠형 보강재(40)의 중간 부분이 위치하도록 한 상태로 띠형 보강재(40)의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일측을 보강토층(30) 상에 위치시키고, 띠형 보강재(40)의 타측을 상기 블럭(20)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띠형 보강재(40)는 상기 기초대(14) 상에 놓여진 각각의 블럭(20)들에 대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개의 띠형 보강재(40)가 상기 보강토층(30) 상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토층(30) 상에 있는 띠형 보강재(40)는 팽팽하게 당겨서 고정핀(50)으로 보강토층(3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40)는 상기 보강토층(30) 상에 안착되어 연장될 때, 상기 블럭(20)의 배면에 대해 직교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블럭(20)의 배면에 대해 직교하게 띠형 보강재(40)가 연장되어서 띠형 보강재(40)에 구김이 없이 평평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40)가 놓여지는 상기 보강토층(30)의 표면 역시 평평하게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토층(30)의 상면은 수평면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보강토층(30)의 표면이 평평하게 된 상태에서 상기 띠형 보강재(40)는 팽팽하게 당겨져서 띠형 보강재(40)와 보강토층(30)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40)와 보강토층(30)의 표면 사이에는 이물질이 있어서도 아니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띠형 보강재(40) 상에 보강토를 쌓는데, 상기 보강토는 하나의 블럭(20)보다 높게 쌓고, 이를 다져서 상기 블럭(20)의 상면과 거의 같은 높이로 보강토층(30)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40) 상에 보강토를 쌓은 상태로 다질 때에는 대형 장비를 사용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물론 보강토층(30)의 면적이 크기 않을 때에는 소형 진동다짐 기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40)가 위치된 보강토층(30)을 형성할 때에는 장비가 상기 띠형 보강재(40)를 직접 올라타게 해서는 안되고 반드시 띠형 보강재(40) 상에 보강토를 일정 이상의 두께로 포설한 상태로 장비가 이동해야 한다. 상기 장비가 타이어가 있는 장비인 경우에는 시속 20km 이하의 속도로 이동하면서 보강토층(30)을 다지고, 다짐작업 중에 급제동 이나 급회전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도 6에는 띠형 보강재(40) 상에 보강토층(30)이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형성된 보강토층(30)과 이에 대응되는 블럭(20)의 사이에는 완충층(32)이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여기에서 상기 블럭(20)과 보강토층(30)의 사이에 완충층(3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 6의 상태에서 하나의 블럭(20)을 더 적층하고, 더 적층된 블럭(20)의 높이에 맞게 보강토층(40)을 추가로 형성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블럭(20)과 보강토층(40) 사이에 완충층(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층(32)은 골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완충층(32)을 쇄석 또는 자갈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골재를 사용하여 완충층(32)을 형성하는 쇄석 또는 자갈은 입경이 40mm 정도의 크고 작은 것이 적당한 입도로 혼합된 것이면 좋다.
한편, 상기 블럭(20) 내부에도 공간이 있고, 블럭(20)과 블럭(20) 사이에도 공간이 있는데, 이들 공간에는 상기 완충층(32)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쇄석 또는 자갈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완충층(32)은 대형 장비를 사용하여 다짐을 하지 않고, 소형 진동 다짐기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완충층(32)을 구성하는 쇄석 또는 자갈을 쌓을 때도 포크레인 등의 장비를 직접 사용하기 보다는 인력으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상기 블럭(20)의 적층된 상태를 잘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완충층(32)은 토사로 이루어진 보강토층(30)에 비해 완성 후에 추가의 침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적층된 블럭(20)의 상태를 손상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완충층(32)은 또한 쇄석과 자갈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대적으로 배수특성이 좋다. 배수가 필요한 보강토옹벽에서는 상기 완충층(32)의 최하부에 별도의 배수관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완충층(32)과 보강토층(30)이 완성되면 상기 블럭(20)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위치되었던 띠형 보강부재(40)의 일측을 새로 완성된 완충층(32)과 보강토층(30) 상에 안착시킨다. 상기 띠형 보강재(40)를 상기 완충층(32)과 보강토층(30) 상에 안착시킬 때에는 상기 완충층(32)과 보강토층(30) 상에 움푹 패인 곳이나 나뭇뿌리나 돌 등이 없이 평평하게 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띠형 보강재(40)는 상기 블럭(20)의 배면에 대해 직교하게 연장되고, 어느 정도의 텐션을 가지도록 팽팽하게 연장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고정핀(50)을 사용하여 상기 띠형 보강재(40)의 단부에 인접한 부분을 보강토층(3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50)이 상기 띠형 보강재(40)를 관통하여 보강토층(30)에 삽입됨에 의해 상기 띠형 보강재(40)를 팽팽한 상태로 상기 보강토층(30)에 놓여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블럭(20)을 적층하고, 다시 완충층(32)과 보강토층(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블럭(20)(도 9에서 4층에 해당되는 블럭(20))은 아랫 층에 있는 블럭(20)에 대해서 폭방향으로 절반 씩이 겹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아랫 층의 인접하는 2개의 블럭(20)에 걸쳐서 하나의 블럭(20)이 윗 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도 13에서 도 16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블럭(20)을 하층에 있는 인접한 2개의 블럭에 폭방향으로 절반씩 안착되게 적층하면, 블럭(20)에 걸어지는 띠형 보강재(40)의 위치가 보강토층(30)을 평면도로 볼 때, 상하 방향에서 겹치지 않고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일단, 도 9에서는 추가로 완충층(32)과 보강토층(30)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9에서 형성된 완충층(32)과 보강토층(30) 상에 다시 완충층(32)과 보강토층(30)을 형성한다. 이때, 도 9와 도 10에서 적층된 블럭(20) 및 완충층(32)과 보강토층(30)에는 띠형 보강재(40)가 설치되지 않았다. 물론, 여기에도 띠형 보강재(4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20)에 계속해서 띠형 보강재(40)를 설치하지 않고 한 번씩 걸러서 교대로 설치하는 경우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 13과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20)에 계속해서 띠형 보강재(40)를 설치하는 경우는 도 15와 16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층의 블럭(20)을 기준으로 띠형 보강재(40)를 설치하고 있으나, 각 층의 블럭(20) 마다 띠형 보강재(40)를 설치할 수도 있다. 하지만, 띠형 보강재(40)를 그 정도까지 사용하게 되면, 지나치게 많이 띠형 보강재(40)를 사용하는 것으로, 비용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즉, 2개의 층의 블럭 마다에 띠형 보강재(40)를 설치하는 정도로만 띠형 보강재(40)를 사용하여도 보강토옹벽의 안전성이 충분히 담보될 수 있다.
도 10에서와 같이, 2개의 층의 블럭(20), 완충층(32), 보강토층(30)을 형성한 후에는 다시 띠형 보강재(4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띠형 보강재(40)가 블럭(20)을 관통하고, 상기 완충층(32)과 보강토층(30) 상에 안착되도록 하고, 고정핀(50)을 사용하여 띠형 보강재(40)를 소정의 텐션을 가지도록 고정한다. 도 11에서 새로 설치된 띠형 보강재(40)는 평면도로 보면, 앞의 도면에서 설치된 띠형 보강재(40)와 나란하면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게 된다. 이는 상기 블럭(20)이 아래 층의 블럭(20)에 대해 폭방향으로 절반 정도 이동된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도 12에는 새로 설치된 띠형 보강재(40) 상에 2개의 층의 완충층(32)과 보강토층(30)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참고로 새로 설치된 띠형 보강재(40) 상에 2개의 층의 블럭(20), 완충층(32), 보강토층(3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은 2개의 층이 동시에 형성되지 않고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의 상태 이 후에는, 위에서 설명된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최 상층에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토사다짐층(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사다짐층(52)은 보강토를 사용하여 만들어지지만, 지표수가 보강토층(30)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사다짐층(52)에는 측구(54)가 형성되어 토사다짐층(52) 상을 흐르는 지표수를 배수할 수 있다. 블럭(20)의 최상층에는 마무리블럭(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마무리블럭(20')은 상기 블럭(20)보다는 높이가 낮은 것으로, 최상층의 블럭(20) 상면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도 13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20)들이 상하로 2개 씩 서로 일치하게 적층되고, 그 위의 2개의 블럭(20)들도 역시 상하로 2개 씩 서로 일치하게 적층되는데, 이들 2개씩 쌍을 이루는 블럭(20)들은 위 아래의 것이 폭방향으로 절반만이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강토옹벽을 정면에서 볼 때, 블럭(20)들이 상하로 2개씩 쌍을 지어 지그재그로 배치되면서 적층이 이루어져 있다. 물론, 블럭(20)들이 하나 씩 지그재그로 배치되면서 적층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보강토옹벽에서는 그 설계조건에 따라서 상기 띠형 보강재(40)를 각각의 블럭(20)의 층마다 설치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적층된 2개의 블럭(20)에 하나의 띠형 보강재(40)를 사용하면서, 적층된 2개의 블럭(20)을 한 번씩 건너 뛰어 띠형 보강재(40)를 두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 도 13과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보강토옹벽을 구성하는 블럭(20)과 띠형 보강재(40)의 배치를 블럭(20)의 배면 방향에서 보이고 있고, 도 14는 블럭(20)의 전면에서 일부 블럭(20)을 제거한 상태로 블럭(20)과 띠형 보강재(40)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도 13과 도 14에서 2개가 한쌍이 된 블럭(20)이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적층된 2개의 블럭(20) 마다 하나의 띠형 보강재(40)를 사용하는 구성이 도 15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는 상대적으로 띠형 보강재(40)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어서, 보강토옹벽을 보다 더 경제적이고 다양한 토압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보강토옹벽을 구성하는 블럭(20)과 띠형 보강재(40)의 배치를 블럭(20)의 배면 방향에서 보이고 있고, 도 16은 블럭(20)의 전면에서 일부 블럭(20)을 제거한 상태로 블럭(20)과 띠형 보강재(40)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도 15와 도 16에서도 2개가 한쌍이 된 블럭(20)이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럭(20)은 그 구성이 도 17과 도 18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블럭(20)은 건식블럭으로서 제조시에 금형 내의 재료에 소정의 압력과 진동을 가해서 형상을 만들고 경화시켜 완성하는 것이다.
상기 블럭(20)은 높이가 200mm ~ 300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높이 치수는 건식블럭의 특성상 제작 비용의 가성비가 최적의 값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압력과 진동을 가해서 블럭(20)을 제작하는 작업의 특성상 300mm보다 큰 높이값을 가지면 압력을 가하는 장비의 규모가 커져야 한다. 그리고 블럭(20)의 높이가 200mm보다 작은 높이값을 가지면 보강토 옹벽을 구성하는 블럭(20)의 갯수가 너무 많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보강토옹벽의 시공성과 경제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블럭(20)의 폭은 500mm에서 600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블럭(20)의 폭이 600mm보다 더 커지게 되면 역시 압력과 진동을 가하는 장비의 규모가 커져야 한다. 블럭(20)의 폭이 500mm 보다 작아지면 보강토옹벽을 구성하는 블럭(20)의 갯수가 너무 많아질 수 있다.
상기 블럭(20)의 골격을 블럭몸체(21)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21)의 전면을 전면판(22)이 형성할 수있다. 상기 전면판(22)은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22)의 폭방향 양단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다수개의 골(22g)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골(22g)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21)의 후면을 후면판(22')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후면판(22')의 좌우폭은 전면판(22)의 좌우폭보다 작게 된다. 상기 전면판(22)의 양단에는 서로 대응되는 요철(23,23')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요철(23,23')은 인접하는 블럭(20) 끼리 요철(23,23')이 끼워짐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21)에서 상기 전면판(22)과 후면판(22')을 연결하는 부분은 횡단면이 대략 H자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21)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관통공(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4)을 상기 띠형 보강재(40)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21)의 상면에는 선단돌기(25)가 2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선단돌기(25)는 상기 전면판(22)에 인접한 후방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21)의 상면중에서 후단, 즉 상기 후면판(22')과 인접한 위치에는 후단돌기(26)가 2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21)의 하면에는 상기 선단돌기(25)와 후단돌기(26)에 대응되게 선단채널(25')과 후단채널(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단채널(25')과 후단채널(26')에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는 블럭(20)의 선단돌기(25)와 후단돌기(26)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선단채널(25')과 후단채널(26')은 상기 블럭몸체(21)의 하면을 횡으로 가로질러 횡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단채널(25')과 후단채널(26')은 상기 선단돌기(25)와 후단돌기(26)가 삽입될 수 있는 홈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럭몸체(21)의 상면중 상기 후면판(22')에는 보강재통로(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통로(28)는 상기 후면판(22')의 일부를 제거하여 만든 것으로 상하로 적층되는 블럭몸체(21) 사이를 띠형 보강재(40)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띠형 보강재(40)와 블럭몸체(21)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보강재통로(28)는 상기 후면판(22')의 하단, 즉 블럭몸체(21)의 하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토통로(28)에서 상기 후면판(22')의 상단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통로곡면(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로곡면(28')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통로곡면(28')은 완충층(32)과의 높이차가 발생하였을 때, 띠형보강재(40)가 날카로운 후면판(22') 상단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4)을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도록 구획걸이단(29)이 상기 관통공(24)의 중앙을 통과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걸이단(29)은 상기 관통공(24)을 구획하는데, 상기 구획걸이단(29)의 상단에서 전면판(22) 쪽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걸이곡면(29')이다. 걸이곡면(29')은 띠형 보강재(40)가 접촉될 때, 띠형 보강재(29')와의 접촉면적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띠형 보강재(40)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걸이곡면(29')은 본 실시례에서는 곡면으로 되어 있는데 경사면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구획걸이단(29)은 상기 관통공(24)의 내면 양측에서 연장되어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될 수도 있다. 상기 구획걸이단(29)에는 상기 관통공(24)을 관통하는 띠형 보강재(40)가 걸어진다. 물론, 상기 후면판(22')에 상기 관통공(24)에서 띠형 보강재(40)가 걸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구획걸이단(29)에 띠형 보강재(40)가 걸어지면, 혹시라도 블럭(20)과 띠형 보강재(40) 사이에 불의의 큰 힘이 작용해서 구획걸이단(29)이 파손되더라도 후면판(22')에 띠형 보강재(40)가 걸려서 블럭(20)이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므로 보강토옹벽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40)의 구성은 도 19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4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는 띠모양이다. 상기 띠형 보강재(40)의 폭은 최소 50mm에서 90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블럭(20)의 폭과 관련하여 포설면적비를 최소 10% 이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치이다. 상기 띠형 보강재(40)는 상기 관통공(24) 내에 쉽게 들어갈 수 있으면서도 관통공(24) 내에서 유동이 많이 일어나지 않고,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폭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건식블럭인 블럭(20)의 폭은 500mm에서 600mm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하는데, 상기 띠형 보강재(40)의 폭은 50mm에서 90mm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하게 되면, 보강토층(30)에 안착되는 띠형 보강재(40)의 비율인 포설면적비를 백분율로 최소 10% 정도의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도 13과 도 14 기준이고, 도 15와 도 16의 경우는 더 높은 포설면적비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소 10% 정도의 포설면적비가 되면 보강토옹벽이 견고하게 만들어져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띠형보강재(4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져서 유연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재질로는 폴리머가 있을 수 있고,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띠형보강재(40)의 심재(41)는 PET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띠형보강재(40)의 표피층(43)은 PE재질로 될 수 있다. 상기 띠형보강재(40)에는 저항포켓(45)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저항포켓(45)은 띠형 보강재(40)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항포켓(45)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저항포켓(45) 내부의 공간에 보강토가 채워지면서 보강토층(30) 내에서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저항포켓(45)은 띠형 보강재(40)의 길이방향으로 열을 지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저항포켓(45)이 2개의 열을 지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띠형 보강재(40)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보강토층(30)의 내부에서 보강토와의 사이에서 마찰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띠형 보강재(40)는 블럭(20)을 상하로 관통함에 의해 블럭(20)과 연결되고 상기 블럭(20)을 기준으로 연장방향이 바뀌게 된다. 또한, 블럭(20)의 관통공(24)을 기준으로 상부로 나온 띠형 보강재(40)의 부분과 하부로 나온 띠형 보강재(40)의 부분은 보강토층(30) 내에서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띠형 보강재(40)는 재질의 특성상 유연하기는 하지만,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 접어질 수 있을 정도이고 접어져서 인접한 부분이 서로 겹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힘을 가해야 한다.
상기 띠형 보강재(40)의 길이는 보강토 옹벽의 높이의 7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블럭(10)에서부터 시작해서 고정핀(50)에 의해 고정되는 단부까지의 길이가 보강토 옹벽 높이의 70%가 되도록 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면 12: 바닥면
14: 기초대 16: 상면
18: 보강지지대 20: 블럭
21: 블럭몸체 22: 전면판
22g: 골 22': 후면판
23, 23': 요철 24: 관통공
25: 선단돌기 25': 선단채널
26: 후단돌기 26': 후단채널
28: 보강재통로 28': 통로곡면
29: 구획걸이단 29': 걸이곡면
30: 보강토층 32: 완충층
40: 띠형 보강재 41: 심재
43: 표피층 45: 저항포켓
50: 고정핀 52: 토사다짐층
54: 측구

Claims (14)

  1. 지면에 형성된 바닥면 상에 상면이 수평이 되도록 잡석 또는 무근콘크리트로 형성되는 기초대와,
    상기 기초대의 상면에 다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설치되고 보강토옹벽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판을 구비하고 블럭몸체를 상하로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된 블럭과,
    상기 블럭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블럭 하나의 높이 만큼씩 보강토가 최대 건조밀도의 95% 이상이 되도록 균일하게 수평으로 평평하게 다져져 형성되는 보강토층과,
    상기 블럭과 상기 보강토층의 사이에 위치되고 쇄석이나 자갈이 다져져 형성되는 완충층과,
    상기 블럭의 관통공을 중간부가 통과하고 상기 완충층과 보강토층 내에 상기 블럭 외부에 있는 부분이 상기 블럭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위치되며 상기 블럭을 기준으로 양단의 것이 상기 완충층과 보강토층의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며 PET재질의 심재와 PE재질의 표피층으로 구성되며 저항포켓을 가지는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블럭은 건식블럭이 사용되고 폭이 500mm에서 600mm 사이의 값을 가지며, 상기 띠형 보강재의 폭은 50mm에서 90mm 사이의 값을 가지며, 상기 블럭에서부터 연장되는 띠형 보강재의 길이는 전체 보강토옹벽 높이의 70% 이상이며,
    상기 완충층을 형성하는 쇄석이나 자갈은 입경이 40mm 내외의 크고 작은 것이 소정의 입도로 혼합되며,
    상기 띠형 보강재는 상기 완충층과 보강토층 상에 틈새없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상기 보강토층 상에 수평으로 위치되며,
    상기 블럭의 후면판 상단에 형성된 보강재통로에는 후면판의 배면으로 경사나 곡면으로 된 통로곡면이 형성되는 보강토옹벽.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의 단부는 소정의 텐션을 가지도록 당겨진 상태에서 상기 보강토층에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보강토옹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과 상기 보강토층 사이에 완충층이 없는 경우에 상기 블럭에는 보강지지대가 설치되어 블럭이 상기 기초대에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강토옹벽.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에서 상기 띠형 보강재가 관통하는 관통공 내에는 구획걸이단이 형성되는데, 상기 구획걸이단의 상단 모서리 중 상기 블럭의 전면판 쪽에는 경사나 곡면으로 된 걸이곡면이 형성되는 보강토옹벽.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210046680A 2021-04-09 2021-04-09 보강토옹벽 KR102576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680A KR102576395B1 (ko) 2021-04-09 2021-04-09 보강토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680A KR102576395B1 (ko) 2021-04-09 2021-04-09 보강토옹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930A KR20220140930A (ko) 2022-10-19
KR102576395B1 true KR102576395B1 (ko) 2023-09-11

Family

ID=8380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680A KR102576395B1 (ko) 2021-04-09 2021-04-09 보강토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63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258B1 (ko) * 2009-11-25 2010-09-10 윤정배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블록과 이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 방법
KR101080815B1 (ko) * 2011-01-14 2011-11-07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발저항력이 향상된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전면블록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2173364B1 (ko) * 2020-03-02 2020-11-03 (주)태웅기업 다기능 보강토블록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3624A (ja) * 1996-12-27 1998-07-14 Fujita Corp 擁壁ブロックを用いた補強盛土壁工法
KR100302139B1 (ko) * 1998-12-08 2001-10-29 이정수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시공방법 및 당김기구
KR20070031295A (ko) 2004-04-01 2007-03-19 모달코 피티와이 엘티디 보강토 옹벽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818911B1 (ko) 2014-12-31 2018-01-17 (주)대한콜크 띠형 보강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강재 어셈블리
KR20180066926A (ko) 2016-12-09 2018-06-20 이루산업주식회사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동저항마찰능력 향상을 위한 띠형 보강재 조립체
KR20200024981A (ko) 2018-08-28 2020-03-10 이장원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39390B1 (ko) * 2018-08-28 2021-12-15 이장원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258B1 (ko) * 2009-11-25 2010-09-10 윤정배 옹벽 시공을 위한 옹벽블록과 이 옹벽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 방법
KR101080815B1 (ko) * 2011-01-14 2011-11-07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발저항력이 향상된 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전면블록식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2173364B1 (ko) * 2020-03-02 2020-11-03 (주)태웅기업 다기능 보강토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0930A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58192B (fi) Anordning vid jordarmering
KR102153902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EP0889173A1 (en) Reinforcement frame for structures and method of constructing building structures utilizing the same reinforcement frame
KR20180022214A (ko) 경량기포 혼합토와 드레인 벨트를 이용한 도로 구조물 시공 방법
KR20110031861A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100583294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CN108978704A (zh) 一种加筋挡土墙及其施工方法
KR102576395B1 (ko) 보강토옹벽
JP4097212B2 (ja) 補強土擁壁の構築方法及び補強土擁壁の構造
KR102632477B1 (ko) 보강토옹벽
RU2482244C2 (ru) Способ армирования грунта
KR20110046209A (ko) 교량 교각기초 보강 및 세굴방지 시공 방법 및 그 구조물
KR102251982B1 (ko) 구조물 지하벽체로 사용가능한 흙막이벽체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212358261U (zh) 一种排水速度快的深淤泥地基处理结构
KR101149038B1 (ko) 수평지오그리드와 수직지오그리드를 이용한 연약지반 강화시공방법
KR101732497B1 (ko) 옹벽 시공방법
RU2411360C1 (ru) Способ подземной разработки мощных крутопадающих рудных залежей
CN219011296U (zh) 一种加筋土挡墙的施工结构
JP2005200868A (ja) 軟弱地盤の補強工法
KR102371284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TW201529932A (zh) 軟弱地盤及有液化疑慮之地盤的施工方法及填平方法、以及結構體袋
KR20190142927A (ko) 옹벽구조물
US11555284B1 (en) Integrating articulated concrete blocks with gabion/reno cages
CN211547806U (zh) 装配式生态加筋土挡墙及其挡墙面板
KR102249603B1 (ko) 옹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