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357A - 환편기 구조 - Google Patents

환편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357A
KR20230168357A KR1020220068721A KR20220068721A KR20230168357A KR 20230168357 A KR20230168357 A KR 20230168357A KR 1020220068721 A KR1020220068721 A KR 1020220068721A KR 20220068721 A KR20220068721 A KR 20220068721A KR 20230168357 A KR20230168357 A KR 20230168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track
sinkers
yarn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씨.씨. 왕
Original Assignee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Priority to KR1020220068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357A/ko
Publication of KR20230168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35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0Needle bars
    • D04B15/22Driv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환편기 구조는 뜨개질 바늘들과 싱커(sinker)들을 포함한다. 각 뜨개질 바늘은 제1 절반 뜨개질 트랙 또는 제2 절반 뜨개질 트랙에서 이동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제1 절반 뜨개질 트랙의 후퇴 시점은 상기 제2 절반 뜨개질 트랙의 후퇴 시점 보다 크다. 상기 뜨개질 바늘을 향하는 상기 싱커의 일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뜨개질 바늘이 뜨개질을 위해 사용될 때, 표면 실 및 바닥 실은 그 속으로 투입된다. 상기 뜨개질 바늘이 상기 제1 절반 뜨개질 트랙에서 이동할 때, 기준 판은 상기 표면 실의 위치 변화 없이 뜨개질된다. 상기 뜨개질 바늘이 상기 제2 절반 뜨개질 트랙에서 이동할 때, 상기 표면 실이 상기 시커의 경사면에 대해 일시적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표면 실의 위치는 상기 바닥 실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경되어 교환 판이 뜨개질된다.

Description

환편기 구조 {CIRCULAR KNITTING MACHINE STRUCTURE}
본 발명은 환편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사(surface yarn)의 위치를 변경하여 교환 플레이팅(interchanged plating)을 편직 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환편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미국 등록특허 US 11,136,698는 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횡편기 편직 구조를 개시한다. 횡편기 편직 구조에 따르면, 각각의 편침은 제1후퇴 트랙(retracting track) 및 제2후퇴 트랙을 수행(carry out)하도록 제어되고 및 각각의 편침이 제1후퇴 트랙을 따라 움직일 때, 각각의 편침은 바늘 고리에서 표면사와 바닥사(bottom yarn)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기준 플레이팅(standard plating)을 편직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 제2후퇴 트랙을 따라 각각의 편침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각 편침에 인접한 싱커에 의해 표면사와 바닥사의 위치가 제한되지 않을 때, 상기 바닥사는 바늘 걸이에 의해 교반되고, 및 바늘 고리에 표면사와 바닥사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해 바닥사는 싱커의 코 부분에 의해 밀어져, 교환 플레이팅(interchanged plating)이 편직된다.
다른 측면에서, 미국 등록특허 US 9,834,871은 횡편기에 의해 기술적인 포지티브-사이드(positive-side) 및 싱글-사이드(single-side) 방식으로 교환 플레이팅을 편직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편침이 제2후퇴 구간에 위치하는 시기에 코 부분의 전방 에지에 의해 편직하도록 동시에 바닥사(설계(scheme)에 설명된 제1색상 원사)와 표면사(설계에 설명된 제2색상 원사)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되게 밀도록 싱커가 사용되어, 정상 플레이팅(normal plating)(즉, 설계에 기재된 기준 플레이팅)을 형성할 수 있다. 장치의 헤드가 실의 교환 및 후퇴 스트로크에 따라 편침을 움직일 수 있게 할 때, 상기 싱커는 편침이 실의 교환 및 후퇴 스트로크 기간에 코 부분의 후방 에지와 홈의 접합부에 있을 수 있고, 바닥사는 표면사 위의 위치까지 교반되어졌다가 편직을 위해 풀어져 교환 플레이팅을 형성한다.
비록, 미국 등록특허 US 11,136,698와 US 9,834,871는 실 교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지만, 두 설계들은 바닥사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구현된다. 그러나, 환편기의 현재 실시를 위해, 각각의 편침의 바늘 고리의 공간이 제한되고 및 바닥사와 표면사가 바늘 고리에 공급될 때, 상기 바닥사는 바늘 걸이의 위치에 더 가깝고, 위의 위치는 바늘 고리 내 공간의 좁은 부분으로, 바닥사의 교환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를 야기한다. 게다가, 미국 등록특허 US 9,834,871는 바닥사를 2차원 이동을 통해 교반하는데 사용되지만, 환편기의 싱커는 2차원적 이동을 수행할 수 없다.
본 발명은 기존의 실시 방식이 주로 바닥사를 변경하여 실시함에 따라 발생하는 실의 교환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편기 구조를 제공하며, 복수의 편침과 복수의 싱커를 포함한다. 복수의 편침 각각은 바늘 고리를 포함하고, 복수의 편침 각각은 제1절반 편직 트랙 및 제2절반 편진 트랙 중 하나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및 상기 제1절반 편직 트랙의 후퇴 시점은 상기 제2절반 편직 트랙의 후퇴 시점 보다 늦다. 상기 복수의 싱커 각각은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싱커의 패턴들은 균일하고, 및 상기 복수의 편침을 향하는 복수의 싱커 각각의 일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이 편직에 사용되는 경우, 표면사와 바닥사는 상기 편침들 각각으로 투입되고, 상기 바늘 고리에서 상기 표면사의 위치는 상기 바닥사의 위치 보다 높고, 상기 복수의 편침들 중 하나가 상기 제1절반 편직 트랙 상에서 이동할 때, 기준 플레이팅은 상기 표면사의 위치 변화 없이 편직되고, 상기 복수의 편침들 중 하나가 상기 제2절반 편직 트랙 상에서 이동할 때, 상기 표면사는 복수의 싱커 중 하나의 경사면에 대해 일시적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표면사의 위치는 상기 바닥사의 위치에 대해 변화하여 교환 플레이팅이 편직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싱커 각각은 싱커 트랙을 포함하고, 상기 싱커 트랙은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이 후퇴에 사용될 때 수행되는(carried out) 푸시 아웃 부분(push-out segment)과, 상기 푸시 아웃 부분을 따라 수행되는 풀 백 부분(pull-back segment)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싱커 각각은 배 부분, 상기 배 부분과 연결된 코 부분, 및 상기 배 부분과 코 부분 사이의 목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과 연결된 평면은 상기 배 부분에서 이격된 상기 코 부분의 일측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편기 구조는 상기 복수의 편침을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직 캠, 및 상기 제1절반 편직 트랙과 상기 제2절반 편직 트랙 중 하나 상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을 구동하도록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늘 선택기(needle selector)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편기 구조는 상기 복수의 싱커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싱커 캠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은 상기 제1절반 편직 트랙, 상기 제2절반 편직 트랙 및 평 편직 트랙(plain knitting track)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기 환편기 구조에는, 상기 복수의 편침을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직 캠, 및 상기 제1절반 편직 트랙, 상기 제2절반 편직 트랙 및 상기 평 편직 트랙 중 하나 상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을 구동하도록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늘 선택기를 구비된다.
비록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환편기 구조는 종래의 사용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환편기 구조는 복수의 편침 각각이 제1절반 편직 트랙 및 제2절반 편직 트랙 중 하나 상에서 이동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 교환 과정에서 실의 막힘 또는 부드럽지 못한 교환 문제가 바닥사에 대한 표면사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회피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환편기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편침 및 편직 캠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환편기 구조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편침과 싱커의 궤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편침 및 싱커의 실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편침이 제1절반 편직 트랙을 따라 이동할 때 후퇴 동작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준 플레이팅이 편직될 때 바늘 고리에서 표면사와 바닥사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편침이 제2절반 편직 트랙을 따라 이동할 때 후퇴 동작의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교환 플레이팅이 편직될 때 바늘 고리에서 표면사와 바닥사의 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색 블록을 갖는 직물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편침 및 싱커의 궤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메쉬 및 변색 블록을 갖는 직물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기술적 내용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환편기 구조(10)를 제공하고, 환편기 구조(10)는 복수의 편침(11) 및 복수의 싱커(12)를 포함한다. 복수의 편침(11) 각각에는 바늘 고리(111)와 상기 바늘 고리(111)에 대해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바늘 걸이(112)가 구비된다. 복수의 편침(11) 각각이 실을 걸기 위해 이동할 때, 바늘 걸이(112)가 바늘 고리(111)에 대해 상대적으로 개방되어, 실이 바늘 고리(111)에 투입될 수 있다. 복수의 편침(11) 각각을 후퇴시키기 위해 사용될 때, 바늘 걸이(112)는 이전에 편직된 플레이팅의 영향 하에서, 바늘 고리(111)에 대해 상대적인 폐쇄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편침(11) 각각은 제1절반 편직 트랙(20) 및 제2절반 편직 트랙 (21)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제1절반 편직 트랙(20)의 후퇴 시점은 제2절반 편직 트랙(21)의 후퇴 시점 보다 늦다. 또한, 환편기 구조(10)는 복수의 편침(11) 각각의 이동 경로를 정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편직 캠(13), 및 복수의 편침(11)의 이동 궤적을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늘 선택기(14)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편직 캠(13)은 복수의 캠 블록(1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캠 블록(131)의 패턴은 고정된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경로의 요구 사항에 따라 설계된다. 또한, 바늘 선택기(14)는 환편기(10)에 배치된 컨트롤러(미도시)와 정보 연결되어 있고, 바늘 선택기(14)는 편직 프로세스에 따라 컨트롤러에 의해 전송된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편침(11)의 이동 궤적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컨트롤러에 의해 전송된 신호에 따라 바늘 선택기(14)에 의해 결정되는 복수의 편침(11)이 제1절반 편직 트랙(20) 또는 제2절반 편직 트랙(21) 상에서 이동한다.
다른 측면에서,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싱커(12) 각각은 복수의 편침(11) 각각에 대응하여 배열되고, 복수의 싱커(12)의 패턴은 균일하고, 복수의 편침(11) 각각을 향하는 복수의 싱커(12) 각각의 일측에는 경사면(121)이 형성된다. 또한, 환편기 구조(10)는 복수의 싱커(12)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싱커 캠(15)을 포함하고, 복수의 싱커(12) 각각은 싱커 트랙(22)을 갖도록 적어도 하나의 싱커 캠(15)에 의해 안내되고, 싱커 트랙(22)은 복수의 편침(11) 각각이 후퇴를 위해 사용될 때 수행되는 푸시 아웃 부분(221)과 상기 푸시 아웃 부분(221)을 따라 수행되는 풀 백 부분(22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싱커(12) 각각의 푸쉬 아웃 시점과 풀 백 시점은 복수의 편침(11)의 이동에 의해 변하지 않으며, 즉, 복수의 편침(11) 중 하나가 제1절반 편직 트랙(20) 또는 제2절반 편직 트랙(21) 상에서 이동하더라도, 그에 연동되는(coordinated) 싱커(12)는 이동을 변경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싱커(12) 각각은 1차원 이동만을 수행하며, 즉, 복수의 싱커(12) 각각은 오직 복수의 편침(11) 중 하나에 대해서만 밀려나거나(pushed out) 또는 뒤로 당겨진다(pulled back). 본 발명에서 설명된 밀어내기(push-out) 동작은 복수의 싱커(12) 각각이 표면사(30)와 바닥사(31)의 공급점을 향하여 옮기는 것을 말하며, 유사하게, 본 발명에서 설명된 당김(pull-back) 동작은 복수의 싱커(12) 각각이 표면사(30) 및 바닥사(31)의 공급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옮겨지는 것을 말한다. 싱커 트랙(22) 상의 복수의 싱커(12)의 위치들은 연속적으로 변경되며 하나의 위치에 고정되지 않는다.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편직시 각각의 편침(11)에는 표면사(30)와 바닥사(31)가 공급되고, 바늘 고리(111)에서 표면사(30)의 위치는 바닥사(31)의 위치보다 높다. 복수의 편침(11) 중 하나가 제1절반 편직 트랙(20) 상에서 이동하도록 바늘 선택기(14)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후퇴하여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과정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사(31)에 대한 복수의 편침(11) 중 하나의 표면사(30)의 위치는 변하지 않고, 기준 플레이팅이 편직된다. 기준 플레이팅이란 직물의 전방 측에서 보아 표면사(30)를 바닥사(31) 위에 위치하도록 두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편침(11) 중 하나가 바늘 선택기(14)에 의해 제2절반 편직 트랙(21)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편침(11) 중 하나가 표면사(30)를 당기는 데 사용되는 과정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사(30)는 복수의 싱커(12) 중 하나의 경사면(121)에 일시적으로 기울어지고, 경사면(121)은 표면사(3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바닥사(31)에 대한 표면사(30)의 위치가 변화하여, 교환 플레이팅이 편직된다. 교환 플레이팅이란 직물의 전방 측에서 보아 표면사(30)를 바닥사(31) 아래에 위치하도록 두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환편기 구조(10)를 채택하여 편직된 직물은 도 10에 도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사(31)에 대한 표면사(3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 이용한다. 표면사(30)가 바늘 고리(111)에 공급될 때, 표면사(30)의 위치는 바닥사(31)의 위치보다 명백히 높고, 표면사(30)의 위치는 바닥사(31) 보다 바늘 걸이(112)와 바늘 고리(111)의 회전 접합부(pivot junction)에서 더 먼 거리를 갖는다. 따라서 표면사(30)는 바늘 고리(111)의 넓은 부분에 위치하여, 표면사(30)의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실이 막히거나 실의 교환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싱커(12) 각각은 배 부분(122), 배 부분(122)과 연결되는 코 부분(123), 및 배 부분(122)과 코 부분(123) 사이의 목 부분(124)을 구비하고, 경사면(121) 및 상기 경사면(121)과 연결되는 평면(125)은 배 부분(122)과 먼 코 부분(123)의 일측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편침(11) 중 하나가 제2절반 편직 트랙(21) 상에서 이동할 때, 푸시-아웃 부분(221)이 싱커 트랙(22) 상의 풀-백 부분(222)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본 발명의 복수의 싱커(12) 중 하나는 표면사(30)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코 부분(123)의 경사면(121)에 의해 표면사(30)의 이동을 방해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편직 캠(13)에 포함된 복수의 캠 블록(131)은 기존의 용도와 다르고, 복수의 캠 블록(131) 각각은 다양한 경로가 형성될 수 있는 공간(132)을 포함하며, 복수의 캠 블록(131)의 복수의 공간(132)의 패턴들은 동일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편침(11) 각각은 제1절반 편직 트랙(20), 제2절반 편직 트랙(21) 및 평 편직 트랙(23) 중 하나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상기 제1절반 편직 트랙(20) 및 제2절반 편직 트랙(21)은 각각 복수의 편침(11) 각각이 표면사(30) 및 바닥사(31)를 걸고 및 안내하여 플레이팅을 생성할 수 있게 하고, 평 편직 트랙(23)은 복수의 편침(11) 각각이 바닥사(31)를 고리 및 안내하여 플레이팅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평 편직 트랙(23)에 복수의 편침(11) 각각이 실시되는 경우, 직물에 메쉬가 발생하여 직물이 변색 스타일(color changing style) 외의 스타일을 갖도록 하며, 직물의 패턴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고, 도 12의 구역(40)은 기준 플레이팅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도 12의 구역(41)은 교환 플레이팅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메쉬는 본 발명의 도 12에서 42로 도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색 편직 과정에서 직물의 변화를 증가시키도록 소정의 편직 포인트에 메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평 편직 트랙(23)에 의해 복수의 편침(11)의 이동이 증가되지만, 복수의 편침(11)을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편직 캠(13)은 복수의 공간(132)을 설계 때문에 교체될 필요가 없고, 제1절반 편직 트랙(20), 제2절반 편직 트랙(21) 및 평 편직 트랙(23) 중 하나에서 움직이는 복수의 편침(11) 각각은 바늘 선택기(14)에 의해서만 제어될 수 있다.

Claims (11)

  1. 복수의 편침으로서,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에는 바늘 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은 제1 절반 편직 트랙 및 제2 절반 편직 트랙 중 하나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제1 절반 편직 트랙의 후퇴 시점은 제2 절반 편직 트랙의 후퇴 시점 보다 늦은 복수의 편침; 및
    복수의 싱커로서, 상기 복수의 싱커 각각은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싱커의 패턴들은 균일하고,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을 향하는 상기 복수의 싱커 각각의 일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싱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이 편직에 사용되는 경우, 표면사와 바닥사는 상기 편침들 각각으로 투입되고, 상기 바늘 고리에서의 상기 표면사의 위치는 상기 바닥사의 위치 보다 높고,
    상기 복수의 편침들 중 하나가 상기 제1 절반 편직 트랙 상에서 이동할 때, 기준 플레이팅은 상기 표면사의 위치 변화 없이 편직되고,
    상기 복수의 편침들 중 하나가 상기 제2 절반 편직 트랙 상에서 이동할 때, 상기 표면사는 복수의 싱커 중 하나의 경사면에 대해 일시적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표면사의 위치는 상기 바닥사의 위치에 대해 변화하여 교환 플레이팅이 편직되는, 환편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싱커 각각은 싱커 트랙을 포함하고,
    상기 싱커 트랙은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이 후퇴에 사용될 때 수행되는 푸시 아웃 부분과, 상기 푸시 아웃 부분을 따라 수행되는 풀 백 부분을 포함하는, 환편기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싱커 각각은 배 부분, 상기 배 부분과 연결된 코 부분, 및 상기 배 부분과 코 부분 사이의 목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과 연결된 평면은 상기 배 부분에서 이격된 상기 코 부분의 일측에 형성되는, 환편기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편기 구조에는,
    상기 복수의 편침을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직 캠, 및
    상기 제1 절반 편직 트랙과 상기 제2 절반 편직 트랙 중 하나 상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을 구동하도록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늘 선택기가 구비되는, 환편기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편기 구조에는 상기 복수의 싱커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싱커 캠이 구비되는, 환편기 구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은 상기 제1 절반 편직 트랙, 상기 제2 절반 편직 트랙, 또는 평 편직 트랙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환편기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편기 구조에는,
    상기 복수의 편침을 위한 상기 제1 절반 편직 트랙, 상기 제2 절반 편직 트랙, 및 상기 평 편직 트랙을 포함하는 이동 경로들 중 하나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편직 캠과,
    상기 제1 절반 편직 트랙 및 상기 제2 절반 편직 트랙 중 하나 상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을 구동하도록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늘 선택기가 구비되는, 환편기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편기 구조는 상기 복수의 싱커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싱커 캠을 포함하는 환편기 구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은 상기 제1 절반 편직 트랙, 상기 제2 절반 편직 트랙, 또는 평 편직 트랙 상에서 이동하도록 제어되는, 환편기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편기 구조에는,
    상기 복수의 편침을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편직 캠, 및
    상기 제1 절반 편직 트랙, 상기 제2 절반 편직 트랙, 및 상기 평 편직 트랙 중 하나 상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편침 각각을 구동하도록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늘 선택기가 구비되는, 환편기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편기 구조는 상기 복수의 싱커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싱커 캠을 포함하는 환편기 구조.
KR1020220068721A 2022-06-07 2022-06-07 환편기 구조 KR20230168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721A KR20230168357A (ko) 2022-06-07 2022-06-07 환편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721A KR20230168357A (ko) 2022-06-07 2022-06-07 환편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357A true KR20230168357A (ko) 2023-12-14

Family

ID=8916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721A KR20230168357A (ko) 2022-06-07 2022-06-07 환편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3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6329C1 (ru) Система вязания перчаточной машины с отбором игл
JP4406893B2 (ja) 高低プラッシュ・ニットウェアおよびかかるプラッシュ・ニットウェアを製造する方法と装置
EP3315642B1 (en) A plating-knitting method and a flat knitting machine for the method
JP7089126B1 (ja) 円形編み機構造
EP3960920A1 (en) Knitting mechanism for knitting jacquard knitted fabric on circular knitting machine, knitt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sinker for use in the same
US6966202B2 (en) Method of knitting intersia pattern knitted fabric
EP2025785B1 (en) Knitting method of intersia pattern fabric and weft knitting machine
US7269975B2 (en) Cam apparatus for knitting fabric
EP0751248B1 (en) Knitting and transfer cam for flat knitting machine
JP6807451B2 (ja) 横編機でのプレーティング編成方法
US11136698B2 (en) Weft knitting machine knitting structure with changeable yarn positions
JP6696035B1 (ja) 編糸の位置が変更可能な緯編機編成構造
KR20230168357A (ko) 환편기 구조
JP3240325B2 (ja) プラッシュ生地の製造方法および編み機
JPH06264341A (ja) ジャカードパイル編地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シンカー
EP2570535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provided with compound needle, and slider control method for flatbed knitting machine
KR102232288B1 (ko) 가변 얀 위치를 갖는 위편기 편직 구조
US11781253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structure
TWI724452B (zh) 可變換紗線位置的緯編機針織結構
EP3770312B1 (en)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changing yarn positions
EP4286577A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structure
CN112176511B (zh) 可变换纱线位置的纬编机针织结构
JPH07324259A (ja) インターシャ編地の編成方法及びそれを実施するためのカムロック
WO2022191204A1 (ja) 横編機によるパンチレース編地の編成方法
JP7445050B1 (ja) 両面丸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