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878A - 양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양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878A
KR20230166878A KR1020230016959A KR20230016959A KR20230166878A KR 20230166878 A KR20230166878 A KR 20230166878A KR 1020230016959 A KR1020230016959 A KR 1020230016959A KR 20230016959 A KR20230016959 A KR 20230016959A KR 20230166878 A KR20230166878 A KR 20230166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gear
gear shaft
handle
clutch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슈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30166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87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핸들 측의 릴 본체의 축 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하고,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해결 수단] 프레임(11)의 우측판(1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기단부(基端部)(41a)와, 우(右) 커버(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핸들(20)과 연결하는 축 선단부(先端部)(41b)를 가지고, 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라이브 기어축(41)과, 축 기단부(41a)에 설치되고,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일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롤러 클러치(60)와, 드라이브 기어축(41)을 릴 본체(10)에 대하여,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리테이너(61)와,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방향에 있어서, 리테이너(61)보다도 우측판(11A) 측에 배치되고, 드라이브 기어축(41)의 회전에 기초하여 클러치 기구(50)를 단절 상태로부터 전달 상태로 전환하는 스토퍼 기어(62)를 구비한 구성의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양 베어링 릴{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양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낚시용의 양 베어링 릴로서, 핸들로부터 스풀로의 회전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핸들로부터 스풀로의 회전을 단절하는 단절 상태를 전환하는 클러치와, 스풀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핸들 측을 덮는 커버부를 가지는 릴 본체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양 베어링 릴에서는, 드라이브 기어축의 프레임 측을 롤러 클러치로 지지하는 구조에 있어서,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에서 프레임 측으로부터 핸들 측을 향하여 롤러 클러치, 리테이너, 스토퍼 기어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2062호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롤러 클러치로 지지하는 양 베어링 릴에서는, 롤러 클러치로 지지하지 않는 통상(通常)의 양 베어링 릴에 대하여, 스토퍼 기어가 핸들 측에 배치되고, 축 방향에 있어서 스토퍼 기어에 맞물리는 클러치 멈춤쇠나 클러치 캠 등의 클러치 리턴 기구의 위치도 핸들 측이 된다. 그 때문에, 이것들 클러치 리턴 기구를 배치하는 스페이스가 커지고, 클러치 리턴 기구를 수용하는 핸들 측 본체가 축 방향에서 핸들 측으로 부풀어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핸들 측 본체가 대형화하면, 핸들의 위치가 낚싯대의 고정 위치로부터 멀어져 버리고, 양 베어링 릴의 좌우의 중량 밸런스가 무너져 조작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부터, 그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핸들 측의 릴 본체의 축 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하고,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양 베어링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태양(態樣) 1은, 낚시용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핸들로부터 스풀로의 회전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상기 핸들로부터 상기 스풀로의 회전을 단절하는 단절 상태를 전환하는 클러치와, 상기 스풀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핸들 측을 덮는 커버부를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단부(端部)와, 상기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핸들과 연결하는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라이브 기어축과, 상기 제 1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일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1 일 방향 클러치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을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보다도 상기 프레임 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클러치를 상기 단절 상태로부터 상기 전달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의 양 베어링 릴에 의하면, 릴 본체의 핸들 측에 있어서의 커버부 내의 수용부에 있어서,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에서 프레임 측으로부터 핸들 측을 향하여 제1 일 방향 클러치, 전환부, 규제부의 순으로 배치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클러치를 클러치 캠에 의하여 되돌리는 전환부를 규제부보다 프레임 측으로 가까이 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 측의 릴 본체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길이를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 비하여 릴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양 베어링 릴의 좌우의 중량 밸런스가 무너져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태양 2는, 태양 1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둘레 방향의 일부에 개구부(開口部)가 형성된 주벽(周壁)과, 상기 주벽의 핸들 측 단부를 막는 측벽을 구비한 통상(筒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주벽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측벽보다 상기 프레임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규제부의 경(徑)방향 외방(外方)에 배치되는 클러치 멈춤쇠에 맞물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주벽을 릴 본체에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하여 규제부를 안정된 자세로 드라이브 기어축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고, 아울러 규제부의 프레임 측에서 주벽과 측벽에 둘러싸인 스페이스에 전환부를 수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태양에서는, 전환부를 규제부의 프레임 측의 위치에 효율 좋게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본 태양에서는, 주벽의 일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전환부와 클러치 멈춤쇠를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클러치 멈춤쇠나 클러치 캠의 위치도 프레임 측에 가까이 붙여 댄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핸들 측의 릴 본체의 축 방향의 길이를 보다 확실히 작게 억제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태양 3은, 태양 1 또는 태양 2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보다도 상기 프레임 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일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2 일 방향 클러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릴 본체의 핸들 측에 있어서의 커버부 내의 수용부에 있어서,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에서 프레임 측으로부터 핸들 측을 향하여 제1 일 방향 클러치, 전환부(제2 일 방향 클러치), 규제부의 순으로 배치된다. 즉, 본 태양에서는, 제2 일 방향 클러치가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제2 일 방향 클러치를 규제부보다 프레임 측으로 가까이 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 측의 릴 본체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길이를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 비하여 릴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태양 4는, 태양 3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와, 상기 제2 일 방향 클러치는, 일체(一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릴 본체의 핸들 측에 있어서의 커버부 내의 수용부에 있어서,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에서 프레임 측으로부터 핸들 측을 향하여 제1 일 방향 클러치, 전환부 및 제2 일 방향 클러치, 규제부의 순으로 배치된다. 즉, 본 태양에서는, 제2 일 방향 클러치를 설치하여도, 규제부보다 프레임 측으로 가까이 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 측의 릴 본체의 축 방향의 길이를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 비하여 릴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나아가, 전환부와 제2 일 방향 클러치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한층 더 핸들 측의 릴 본체의 축 방향의 길이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태양 5는, 낚시용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핸들로부터 스풀로의 회전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핸들로부터 스풀로의 회전을 단절하는 단절 상태를 전환하는 클러치와, 상기 스풀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핸들 측을 덮는 커버부를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핸들과 연결하는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라이브 기어축과, 상기 제1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일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1 일 방향 클러치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을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보다도 상기 프레임 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일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2 일 방향 클러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 의하면, 릴 본체의 핸들 측에 있어서의 커버부 내의 수용부에 있어서,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에서 프레임 측으로부터 핸들 측을 향하여 제1 일 방향 클러치, 제2 일 방향 클러치, 규제부의 순으로 배치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클러치를 클러치 캠에 의하여 되돌리는 제2 일 방향 클러치를 규제부보다 프레임 측으로 가까이 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 측의 릴 본체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길이를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 비하여 릴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양 베어링 릴의 좌우의 중량 밸런스가 무너져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에 의하면, 핸들 측의 릴 본체의 축 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하고,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양 베어링 릴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양 베어링 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회전 전달 기구의 요부(要部)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리테이너의 핸들 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스토퍼 기어의 축 방향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양 베어링 릴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부재를 시인(視認)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각 구성 부재의 축척을 적의(適宜) 변경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양 베어링 릴(1)은, 낚시용의 양축의 전동 릴이다.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의 양 베어링 릴(1)은, 릴 본체(10)와, 릴 본체(10)의 측방(側方)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의 핸들(20)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0)에는, 회전에 의하여 낚싯줄을 방출하고·감는 스풀(3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릴 본체(10)는, 장대 취부부(取付部)(18)를 통하여 낚싯대에 장착된다. 핸들(20)의 릴 본체(10) 측에는, 스타 드래그(3)가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10)의 내부에는, 모터(15), 스풀(30)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왕복 이동 기구(도시 생략), 모터(15) 및 핸들(20)의 축 회전을 스풀(30)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 기구(40), 핸들(20)로부터의 회전을 스풀(30)에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핸들(20)로부터 스풀(30)로의 회전을 단절하는 단절 상태를 전환하는 클러치 기구(50)(도 4 참조), 클러치 기구(50)를 제어하는 클러치 제어 기구(도시 생략) 등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의 「좌우 방향」이란, 낚시를 행할 때에 양 베어링 릴(1)을 구비한 낚싯대를 잡고 낚시꾼으로부터 본 상태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20)이 릴 본체(10)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핸들>
핸들(20)은, 릴 본체(10)의 우측방(右側方)으로 돌출하는 드라이브 기어축(41)(후술한다)의 축 선단부(先端部)(41b)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크랭크 암(crank arm)(21)과, 크랭크 암(21)의 축 선단부(41b) 측과 반대 측의 단부에 크랭크 암(21)과 직교하는 방향의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손잡이(22)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
릴 본체(10)는, 스풀(30)을 지지하는 프레임(11)과, 프레임(11)의 우측의 핸들 측을 덮는 우(右) 커버(12)와, 프레임(11)의 좌측을 덮는 좌(左) 커버(13)를 가지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1)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우측판(11A) 및 좌측판(11B)과, 우측판(11A)과 좌측판(11B)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11C)를 가지고 있다.
우 커버(12)는, 우측판(11A)의 외방을 우측으로부터 덮도록 우측판(11A)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좌 커버(13)는, 좌측판(11B)의 외방을 좌측으로부터 덮도록 좌측판(11B)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우측판(11A)과 우 커버(12)와의 사이에는, 각각 후술하는 각종 기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S1, S2)이 형성되어 있다. 우 커버(12)는, 좌측으로 개구하는 오목상(狀)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릴 본체(10) 중 수납 공간(S1)을 형성하는 핸들(20) 측의 부분(우측판(11A) 및 우 커버(12))을 우측 릴 본체(10A)라고 한다.
우측 릴 본체(10A)는, 측면으로부터 보아 우측판(11A)에 있어서의 드라이브 기어축(41)(후술)의 장착 부분을 중심으로 축 방향 외방으로도 팽출(膨出)한 대략 타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좌측판(11B) 및 좌 커버(13)는, 측면으로부터 보아 원형을 이루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여기에서는 3개소)의 연결 부재(11C)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우측판(11A) 및 좌측판(11B)과 일체로 형성된 판상(板狀)의 부재이다. 각 연결 부재(11C)는, 릴 본체(10)의 상부, 하부 및 후부의 3개소에서 우측판(11A)과 좌측판(11B)을 연결한다. 양 베어링 릴(1)은, 연결 부재(11C)를 설치하는 것으로, 릴 본체(10)에 큰 하중이 작용하여도 휨 등의 변형이 생기기 어렵고, 감아올림 효율의 저하가 억제된다. 하부의 연결 부재(11C)에는, 장대 취부부(18)가 고정되어 있다. 장대 취부부(18)는, 낚싯대가 장착되는 부분이고, 우측판(11A)과 좌측판(11B)과의 대략 중간 위치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부의 연결 부재(11C)에는, 클러치 조작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판(11A)은, 핸들(20)이 연결되는 후술하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기단부(基端部)(41a)(제1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지지부(111)를 가진다. 우측판(11A)은, 우측 릴 본체(10A)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의 기구가 장착된다. 축 지지부(111)는, 우측으로 개구하는 원통상(圓筒狀)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 감기용의 스풀(30)은, 우측판(11A) 및 좌측판(11B) 사이에 배치되고, 우측판(11A) 및 좌측판(11B)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우측판(11A) 및 좌측판(11B) 사이에는, 스풀(30)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레벨 와인드 기구(도시 생략)와, 상술한 클러치 조작부(14)가 배치된다.
클러치 조작부(14)는, 상하로 요동(搖動)하여 클러치 기구(50)(도 4 참조)를 클러치 온(on) 상태와 클러치 오프(off) 상태로 전환 조작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모터(15)는, 릴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모터(15)는, 상술한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고, 스풀(30)과 함께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판(11A)과 우 커버(12)와의 사이의 수납 공간(S1)에는, 핸들(20)의 토크(torque)를 스풀(30)에 전하기 위한 회전 전달 기구(40)와, 회전 전달 기구(40) 내에 설치된 클러치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수납 공간(S1)에는, 도 1에 도시하는 클러치 조작부(14)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50)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 기구(도시 생략)와, 드래그 기구와, 스풀(30)의 회전 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제동 기구인 캐스팅 컨트롤 기구(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들 클러치 제어 기구, 드래그 기구, 및 캐스팅 컨트롤 기구는 공지의 구조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0)의 상부에는, 우측판(11A) 및 좌측판(11B)에 고정된 카운터 케이스(17)가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17)에는, 수심 표시용의 표시부(171), 양 베어링 릴(1)의 각종 설정을 할 때에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172)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운터 케이스(17)의 내부에는, 양 베어링 릴(1)의 각종의 제어를 행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가 수용되어 있다.
<스풀>
스풀(30)은, 외주(外周)에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의 줄 감기 몸통부(301)와, 좌우 한 쌍의 플랜지부(302)를 가진다. 플랜지부(302)는, 줄 감기 몸통부(301)의 양단(兩端)에 각각 경방향 외방으로 일체적으로 돌출하여 설치된다. 스풀(30)은, 프레임(11)의 좌우 양측의 우측판(11A) 및 좌측판(11B)에 대하여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50)는, 클러치 멈춤쇠(51)나 클러치 캠(52)을 구비하고, 후술하는 드라이브 기어(42)(도 3 참조)를 통하여 전달되는 핸들(20)로부터의 회전을 스풀(30)에 전달 및 차단한다. 핸들(20)로부터의 회전을 스풀(30)에 전달 가능한 상태가 클러치 온 상태이고, 핸들(20)로부터의 회전을 차단하는 상태가 클러치 오프 상태이다.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스풀(30)은 자유 회전 상태가 되고, 낚싯줄의 방출이 가능하게 된다.
<회전 전달 기구>
다음으로, 회전 전달 기구(40)에 관하여, 도 3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회전 전달 기구(40)는, 스풀(30)로부터 핸들(20) 측으로 토크가 반대로 전달되었을 경우의 토크를 규제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회전 전달 기구(40)는, 축 선단부(41b)(제2 단부)에 핸들(20)이 고정된 드라이브 기어축(41)과,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기단부(41a)(제1 단부)에 연결된 드라이브 기어(42)와, 드라이브 기어(42)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도시 생략)를 가지고 있다.
드라이브 기어축(41)은, 우측 릴 본체(10A) 내, 즉 우측판(11A)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드라이브 기어축(4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우 커버(12)의 천면(天面)(121)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그 관통한 축 선단부(41b)에 스타 드래그(3)나 핸들(20)이 배치되어 있다. 드라이브 기어축(41)은, 핸들축에 상당하고, 좌우 방향, 즉 스풀(30)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드라이브 기어축(41)의 긴쪽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방향)을, 이하, 축 방향으로 한다.
드라이브 기어축(41)은, 축 기단부(41a)가 제1 베어링(64)을 통하여 우측판(1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나아가 축 선단부(41b)가 제2 베어링(65)을 통하여 우 커버(12)의 천면(1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축 선단부(41b)는, 핸들(20)에 연결되어 있다. 축 기단부(41a)의 외경(外徑)은, 드라이브 기어축(41)에 있어서의 축 기단부(41a) 이외의 축부의 외경보다도 크다.
드라이브 기어(42)는, 외주에 기어를 가지고, 이 기어가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있다. 드라이브 기어(42)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선단부(41b) 측에 있어서, 후술하는 리테이너(61)보다 핸들 측에 고정되고, 드라이브 기어축(41)의 회전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는, 회전 전달 기구(40)를 구성하는 것과 함께 클러치 기구(50)로서도 기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클러치 온 상태에 있어서, 핸들(20)로부터의 토크가 스풀(30)에 직접 전달된다.
드라이브 기어축(41)은, 축 방향의 중앙부에서 우 커버(12)에 고정되는 통체(筒體)(44)에 베어링(44A)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통(揷通)되어 있다.
드라이브 기어축(41)에는, 축 기단부(41a)로부터 축 선단부(41b)를 향하여, 롤러 클러치(60)(제1 일 방향 클러치), 스토퍼 기어(62)(전환부, 제2 일 방향 클러치), 리테이너(61)(규제부), 드라이브 기어(42)가 그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나아가, 드라이브 기어(42)보다 축 선단부(41b) 측에는, 복수의 금속 박판(薄板)으로 이루어지는 드래그 와셔(washer)나 플레이트 와셔가 축 방향으로 포개어 맞춘 상태로 배치되고, 드라이브 기어축(41)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 전달 기구(40)에서는, 드래그 와셔의 마찰력에 의하여 핸들(20)로부터 스풀(30)로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고, 드래그 성능이 발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양 베어링 릴(1)에서는, 핸들(20), 드라이브 기어축(41), 드래그 와셔, 드라이브 기어(42), 도시하지 않은 피니언 기어, 스풀(30)(클러치가 온 상태)의 순으로 핸들(20)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된다. 덧붙여, 낚싯줄이 방출 방향으로 강하게 당겨졌을 경우에는, 드래그의 압착력(마찰력)을 상회(上廻)하는 힘이 드라이브 기어(42)에 걸리고, 즉 스풀(30), 피니언 기어, 드라이브 기어(42)의 순으로 힘이 작용한다. 이 때, 드라이브 기어(42), 드래그 와셔, 플레이트 와셔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고, 낚싯줄이 방출하게 된다.
여기서, 우측판(11A)에 형성되는 오목상의 축 지지부(111)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기단부(41a)를 내주(內周) 측에서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클러치(60)가 우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져 있다.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기단부(41a)의 단면(端面) 중앙에는, 축 지지부(111)의 저면(底面)을 향하여 개구하는 원형 단면(斷面)의 구멍부(41f)가 형성되어 있다. 축 지지부(111)의 오목 바닥 중앙에는, 볼록부(112)가 우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볼록부(112)에는, 제1 베어링(64)이 끼워 넣어져 지지되어 있다. 제1 베어링(64)의 외주 측에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의 구멍부(41f)가 계합(係合)하고 있다.
롤러 클러치(60)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기단부(41a)의 외주 측에 배치되고,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일 방향의 회전을 규제한다. 롤러 클러치(60)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줄 감기 방향과 반대 방향의 회전을 규제한다. 롤러 클러치(60)는, 우측판(11A)의 볼록부(112)에 장착되어 있다. 롤러 클러치(60)는, 경방향으로부터 보아, 제1 베어링(64)과 축 방향으로 겹친다.
롤러 클러치(60)는, 외륜(外輪)과, 복수의 전동체를 가지고 있다. 외륜은, 우측판(11A)의 축 지지부(111)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외륜은, 도시하지 않은 캠면을 내주면(內周面)에 가지고 있다. 복수의 전동체는, 원기둥 형상이고, 외륜의 내주면과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기단부(41a)의 외주면(外周面)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전동체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을 허용한다. 덧붙여, 롤러 클러치(60)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기단부(41a)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내륜(內輪)을 가지고 있어도 무방하다.
롤러 클러치(60)는, 우측판(11A)의 오목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리테이너(61)에 의하여 우측으로부터 눌려 있다.
리테이너(61)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을 우측 릴 본체(10A)에 대하여,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리테이너(61)는, 우측판(11A)의 축 지지부(111)의 외측에 우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져 프레임(11)의 우측판(11A)에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리테이너(61)의 주벽(611)과 롤러 클러치(60)와의 사이에는, 스토퍼 기어(62)가 개재(介在)하고 있다. 리테이너(61)의 적어도 일부는, 축 방향에 있어서 축 기단부(41a)와 겹친다.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기단부(41a)는, 대경부(大徑部)(41c)와, 외경이 대경부(41c)보다도 작은 소경부(小徑部)(41d)를 가지고 있다. 소경부(41d)는, 대경부(41c)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리테이너(61)의 일부(후술하는 주벽(611))는, 소경부(41d)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경방향으로부터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고, 축 기단부(41a)의 우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61)는, 둘레 방향의 일부에 개구부(611a)가 형성된 주벽(611)과, 주벽(611)의 핸들 측 단부를 막는 측벽(612)을 구비한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너(61)는, 측벽(612)을 핸들(20) 측을 향하게 하여 주벽(611)의 중심이 드라이브 기어축(41)과 동축(同軸)으로 배치되어 있다(도 4 참조). 측벽(612)의 중앙부에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이 통과 가능한 원형의 삽통 구멍(612a)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벽(611)의 내경(內徑)은, 프레임(11)의 우측판(11A)에 형성되는 축 지지부(111)의 외경보다 크고, 또한 스토퍼 기어(62)의 외경보다도 크다. 주벽(611)은, 축 지지부(111)의 외측에 감합(嵌合)된다. 주벽(611)의 내측에는, 스토퍼 기어(62)가 수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스토퍼 기어(62)는, 우측판(11A)과 측벽(612)과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612)은, 삽통 구멍(612a)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우측판(11A)을 향하여 돌출하는 당접부(當接部)(612b)가 설치되어 있다. 당접부(612b)는, 삽통 구멍(612a)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지만,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당접부(612b)는, 스토퍼 기어(62)의 핸들(20) 측의 면에 당접한다.
스토퍼 기어(62)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기단부(41a)에 있어서의 대경부(41c)와 소경부(41d)와의 경계 부분의 단부(段部)(41e)와, 리테이너(61)의 당접부(612b)에 끼인 위치에 설치되고, 축 방향에서 핸들(20) 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우측판(11A)의 축 지지부(111)와 측벽(612)과의 사이의 축 방향의 이간(離間) 치수는, 적어도 스토퍼 기어(62)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스토퍼 기어(62)가 축 지지부(111)에 설치되는 롤러 클러치(60)에 간섭하지 않는 치수이면 된다.
주벽(611)의 개구부(611a)는, 측벽(612) 측에 있어서 원주(圓周)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주벽(611)의 내측에는, 개구부(611a)를 통하여, 리테이너(61)의 외측에 배치되고 요동하는 클러치 멈춤쇠(51)의 일부가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4 참조). 여기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러치 멈춤쇠(51)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측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스토퍼 기어(62)와 대략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즉, 축 방향에서 클러치 멈춤쇠(51)는, 측벽(612)보다도 우측판(11A) 측에 위치하고 있다. 나아가, 클러치 멈춤쇠(51)에 계지(係止)하는 클러치 기구(50)의 클러치 캠(52)의 축 방향의 위치도 측벽(612)보다도 우측판(11A) 측에 위치한다.
스토퍼 기어(62)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방향에 있어서, 리테이너(61)보다도 우측판(11A) 측에 배치되고, 드라이브 기어축(41)의 회전에 기초하여 클러치 기구(50)를 단절 상태로부터 전달 상태로 전환한다. 스토퍼 기어(62)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기단부(41a)에 있어서의 소경부(41d)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드라이브 기어축(41)과 함께 회전한다. 스토퍼 기어(62)는, 후술하는 클러치 기구(50)의 클러치 멈춤쇠(51)에 의하여 일 방향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토퍼 기어(62)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일 방향의 회전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스토퍼 기어(62)는, 리턴 기어로서의 기능도 가진다.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 기어(62)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볼록상(狀)의 계지 톱니(621)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계지 톱니(621)에는, 클러치 기구(50)의 클러치 멈춤쇠(51)가 맞물림 가능하다.
스토퍼 기어(62)는, 주벽(611)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측벽(612)보다 우측판(11A) 측에 배치되고, 개구부(611a)를 통하여 리테이너(61)의 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클러치 멈춤쇠(51)에 맞물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양 베어링 릴(1)의 작용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양 베어링 릴(1)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0)의 핸들 측에 있어서의 우 커버(12) 내의 수납 공간(S1)에 있어서,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방향에서 우측판(11A) 측으로부터 핸들(20) 측을 향하여 롤러 클러치(60), 스토퍼 기어(62), 리테이너(61)의 순으로 배치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러치 기구(50)를 클러치 캠(52)에 의하여 되돌리는 스토퍼 기어(62)를 리테이너(61)보다 우측판(11A) 측으로 가까이 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20) 측의 릴 본체(10)에 있어서의 축 방향의 길이를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 비하여 릴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 베어링 릴(1)의 좌우의 중량 밸런스가 무너져 조작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양 베어링 릴(1)에서는, 리테이너(61)는, 둘레 방향의 일부에 개구부(611a)가 형성된 주벽(611)과, 주벽(611)의 핸들 측 단부를 막는 측벽(612)을 구비한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기어(62)는, 주벽(611)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측벽(612)보다 우측판(11A) 측에 배치되고, 개구부(611a)를 통하여 리테이너(61)의 경방향 외방에 배치되는 클러치 멈춤쇠(51)에 맞물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벽(611)을 릴 본체(10)에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에 의하여 리테이너(61)를 안정된 자세로 드라이브 기어축(41)에 대하여 고정할 수 있고, 아울러 리테이너(61)의 우측판(11A) 측에서 주벽(611)과 측벽(612)에 둘러싸인 스페이스에 스토퍼 기어(62)를 수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 기어(62)를 리테이너(61)의 우측판(11A) 측의 위치에 효율 좋게 배치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벽(611)의 일부에 형성되는 개구부(611a)를 통하여 스토퍼 기어(62)와 클러치 멈춤쇠(51)를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클러치 멈춤쇠(51)나 클러치 캠의 위치도 우측판(11A) 측에 가까이 붙여 댄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우측 릴 본체(10A)의 축 방향의 길이를 보다 확실히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방향에 있어서, 리테이너(61)보다도 프레임 측에 배치되고,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일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 기어(62)(제2 일 방향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 기어(62)가 제2 일 방향 클러치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릴 본체(10)의 핸들(20) 측에 있어서의 우 커버(12) 내의 수용 공간(S)에 있어서,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방향에서 우측판(11A) 측으로부터 핸들(20) 측을 향하여 롤러 클러치(60), 스토퍼 기어(62)(및 제2 일 방향 클러치), 리테이너(61)의 순으로 배치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일 방향 클러치를 설치하여도, 리테이너(61)보다 우측판(11A) 측으로 가까이 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우측 릴 본체(10A)의 축 방향의 길이를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종래의 양 베어링 릴에 비하여 릴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나아가, 스토퍼 기어(62)와 제2 일 방향 클러치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한층 더 우측 릴 본체(10A)의 축 방향의 길이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양 베어링 릴(1)에서는, 핸들(20) 측의 우측 릴 본체(10A)의 축 방향의 대형화를 억제하고, 조작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양 베어링 릴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것들의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 형태는, 그 외에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예에는, 예를 들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想定)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균등한 범위의 것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전동 릴에 적용하고 있었지만, 전동 릴 이외의 양 베어링 릴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 기어(62)가 제2 일 방향 클러치의 기능(리턴 기어에 상당)을 구비한 구성, 즉 스토퍼 기어(62)와 리턴 기어(전환부, 제2 일 방향 클러치)가 일체로 구성된 일례를 나타내고 있지만, 스토퍼 기어(62)와 리턴 기어가 별체(別體)로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혹은, 스토퍼 기어(62)를 대신하여 리턴 기어(제2 일 방향 클러치)가 설치되는 구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릴 본체(10)의 핸들 측에 있어서의 커버부 내의 수용부에 있어서, 드라이브 기어축(41)의 축 방향에서 프레임(우측판(11A)) 측으로부터 핸들 측을 향하여 롤러 클러치(60)(제1 일 방향 클러치), 리턴 기어(제2 일 방향 클러치), 리테이너(61)(규제부)의 순으로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테이너(61)가 주벽(611)과 측벽(612)을 구비한 통상을 이루고, 스토퍼 기어(62)가 측벽(612)의 우측판(11A) 측에 배치되고, 개구부(611a)를 통하여 클러치 멈춤쇠(51)에 맞물림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주벽(611)을 구비하지 않는 측벽(612)만의 리테이너여도 상관없다.
1: 양 베어링 릴
10: 릴 본체
10A: 우측 릴 본체
11: 프레임
11A: 우측판
11B: 좌측판
111: 축 지지부
12: 우 커버
13: 좌 커버
14: 클러치 조작부
20: 핸들
30: 스풀
40: 회전 전달 기구
41: 드라이브 기어축
41a: 축 기단부(제1 단부)
41b: 축 선단부(제2 단부)
42: 드라이브 기어
50: 클러치 기구(클러치)
51: 클러치 멈춤쇠
52: 클러치 캠
60: 롤러 클러치(제1 일 방향 클러치)
61: 리테이너(규제부)
611: 주벽
611a: 개구부
612: 측벽
62: 스토퍼 기어(전환부, 제2 일 방향 클러치)
S1, S2: 수납 공간

Claims (5)

  1. 낚시용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핸들로부터 스풀로의 회전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상기 핸들로부터 상기 스풀로의 회전을 단절하는 단절 상태를 전환하는 클러치와,
    상기 스풀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핸들 측을 덮는 커버부를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단부(端部)와, 상기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핸들과 연결하는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라이브 기어축과,
    상기 제1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일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1 일 방향 클러치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을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보다도 상기 프레임 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클러치를 상기 단절 상태로부터 상기 전달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부
    를 구비한 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둘레 방향의 일부에 개구부(開口部)가 형성된 주벽(周壁)과, 상기 주벽의 핸들 측 단부를 막는 측벽을 구비한 통상(筒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환부는, 상기 주벽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상기 측벽보다 상기 프레임 측에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규제부의 경(徑)방향 외방(外方)에 배치되는 클러치 멈춤쇠에 맞물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양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보다도 상기 프레임 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일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2 일 방향 클러치를 구비한, 양 베어링 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와 상기 제2 일 방향 클러치는, 일체(一體)로 구성되는, 양 베어링 릴.
  5. 낚시용의 양 베어링 릴에 있어서,
    핸들로부터 스풀로의 회전을 전달하는 전달 상태와, 핸들로부터 스풀로의 회전을 단절하는 단절 상태를 전환하는 클러치와,
    상기 스풀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핸들 측을 덮는 커버부를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핸들과 연결하는 제2 단부를 가지고,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라이브 기어축과,
    상기 제1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일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1 일 방향 클러치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을 상기 릴 본체에 대하여,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와,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보다도 상기 프레임 측에 배치되고, 상기 드라이브 기어축의 일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2 일 방향 클러치
    를 구비한 양 베어링 릴.
KR1020230016959A 2022-05-31 2023-02-08 양 베어링 릴 KR202301668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88701 2022-05-31
JP2022088701A JP2023176426A (ja) 2022-05-31 2022-05-31 両軸受リー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878A true KR20230166878A (ko) 2023-12-07

Family

ID=88885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959A KR20230166878A (ko) 2022-05-31 2023-02-08 양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176426A (ko)
KR (1) KR20230166878A (ko)
CN (1) CN117136920A (ko)
TW (1) TW20240001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2062A (ja) 2014-06-19 2016-01-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02062A (ja) 2014-06-19 2016-01-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クラッチ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400012A (zh) 2024-01-01
CN117136920A (zh) 2023-12-01
JP2023176426A (ja) 202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3021B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US7191969B2 (en) Fishing reel
EP2711590B1 (en) Drive gear
KR102405034B1 (ko) 양 베어링 릴
TW440425B (en) Rotor drive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KR102294432B1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기구
EP2245926A1 (en) Spool For Dual-Bearing Reel
KR102143053B1 (ko) 듀얼 베어링 릴
KR20090028459A (ko) 스피닝 릴
JP2016002062A5 (ko)
JP694966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用のハンドル組立体、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KR20230166878A (ko) 양 베어링 릴
KR20130110006A (ko) 양 베어링 릴 및 양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작 부재
KR20230166879A (ko) 전동 릴
US11659825B2 (en) Dual-bearing reel
CN110896935A (zh) 旋压式绕线轮
KR20210120817A (ko) 양 베어링 릴
JP3872211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CN104798746B (zh) 双轴承绕线轮的绕线轮主体
JP2013226055A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及び両軸受リール
JP2001025338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駆動装置
KR20230055348A (ko) 양 베어링 릴
JP414127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01078630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駆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