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187A - 업무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업무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187A
KR20230166187A KR1020220065799A KR20220065799A KR20230166187A KR 20230166187 A KR20230166187 A KR 20230166187A KR 1020220065799 A KR1020220065799 A KR 1020220065799A KR 20220065799 A KR20220065799 A KR 20220065799A KR 20230166187 A KR20230166187 A KR 20230166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eriod
task
cycle
elap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호
최서현
Original Assignee
최재호
최서현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호, 최서현, 델타피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재호
Priority to KR102022006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187A/ko
Publication of KR20230166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18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7Task ass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무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을 결정하는 업무기간 결정부; 상기 현재 주기를 기초로 주기 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기간을 기초로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를 생성하는 업무기간 표시부; 상기 업무기간 중에서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을 기초로 설정되는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여부를 결정하는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 및 상기 경과 여부를 기초로 상기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의 시인성을 제어하는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업무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MANAGEMENTING WORK SCHEDULE}
본 발명은 업무일정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업무를 수행할 때 주기마다 일정을 표시하여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기술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그룹웨어는 기업 등의 구성원들이 컴퓨터로 연결된 작업장에서, 서로 협력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그룹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구조를 말한다. 주로 기업이나 기관, 단체의 구성원들이 컴퓨터로 연결된 작업장에서 서로 협력하여 업무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이에 해당된다.
그룹웨어를 통해, 기업 내의 컴퓨터 사용자들이 랜(LAN) 등의 통신망으로 연결된 개인 컴퓨터를 통해 서류 작성, 결재는 물론, 문서 보관 등의 업무까지 전산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그룹웨어에는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한 공동 집필 시스템, 수치 계산, 데이터베이스 등의 업무용 소프트웨어들을 한 데 묶어 여기에 전자우편, 전자게시판, 전자결재, 데이터 공유, 메신저, 전자회의 지원 등의 통신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그룹웨어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메신저 기능이 강조되고 있는데, 메신저는 사용자들 간의 문자 또는 그래픽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고, 복수의 사용자들에 의해 참여되는 채팅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터넷 메신저는 모바일 환경(예를 들어, 휴대폰)에서 수행되는 모바일 메신저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카카오톡, 라인, 위챗, 페이스북 메신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업무의 관리와 진행에 있어 이와 같은 인터넷 메신저가 점차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종래의 업무 관리 프로그램은 관리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업무에 관한 리마인더를 제공하였다. 즉, 특정 업무에 대해 기한을 정한 후 해당 기한에 따라 리마인딩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리마인더를 제공함에 있어서 실시간으로 변화될 수 있는 수신자의 상황과 업무의 진행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업무의 진행 상태에 따라 리마인드 시점과 기한이 변경 또는 재설정될 수 있는 상황에서 주요 수신자에게 적합한 리마인더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50014호 (2012.05.1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업무의 현재 진행 단계나 업무의 진행 진척을 한눈에 표시하고자 한다. 또한, 업무단계별로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을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프로그레시브 바를 통해 가시화하며, 업무기간 등과 관련된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에 따라 프로그레시브 바의 시인성을 제어함으로써 현재 주기의 업무 진행 상황, 기한의 임박 정도, 현재 긴급하게 처리되어야 할 업무가 무엇인지를 업무처리자로 하여금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업무일정 관리 장치는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을 결정하는 업무기간 결정부; 상기 현재 주기를 기초로 주기 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기간을 기초로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를 생성하는 업무기간 표시부; 상기 업무기간 중에서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을 기초로 설정되는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여부를 결정하는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 및 상기 경과 여부를 기초로 상기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의 시인성을 제어하는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업무기간 결정부는 프로젝트 기간을 업무단계별로 분할하고 특정 업무단계를 상기 현재 주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업무기간 결정부는 프로젝트 관리자 단말을 통해 상기 업무단계별 각각에 대하여 업무내용 및 업무처리자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업무기간 표시부는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에 사용자 인터랙션이 수신되면 주기 인디케이터 토글링을 통해 전체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업무기간 표시부는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 토글링의 동작과 관계없이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의 인근에 상기 현재 주기의 업무내용 및 업무처리자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업무기간 표시부는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에 사용자 인터랙션이 수신되면 상기 업무 기간을 캘린더 방식으로 표시하고, 상기 업무기간의 캘린더 마지막 일에 상기 현재 주기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주기 데드라인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업무기간 표시부는 상기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에 상기 업무기간에 주어진 업무일수 대비 상기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경과일수 및 상기 남은일수를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는 상기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까지의 남은시간을 기초로 가변되는 특정 시간 이전으로 상기 리마인더 일정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는 상기 남은시간에 비례하도록 상기 특정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는 상기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전에 상기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면 상기 리마인더 일정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는 상기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후에 상기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지 않으면 상기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에 대한 시각적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는 상기 시각적 변형이 수행되면 상기 주어진 업무를 공유하고 있는 업무구성원에 의해 참여되고 있는 업무대화방에 시스템 메시지로서 상기 리마인더 일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는 상기 시각적 변형 후에 상기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면 상기 리마인더 일정을 갱신하고 상기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에 대한 시각적 재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업무일정 관리 방법은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을 결정하는 업무기간 결정단계; 상기 현재 주기를 기초로 주기 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기간을 기초로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를 생성하는 업무기간 표시단계; 상기 업무기간 중에서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을 기초로 설정되는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여부를 결정하는 업무 경과기간 결정단계; 및 상기 경과 여부를 기초로 상기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의 시인성을 제어하는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업무기간 결정단계는 프로젝트 기간을 업무단계별로 분할하고 특정 업무단계를 상기 현재 주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업무기간 표시단계는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에 사용자 인터랙션이 수신되면 주기 인디케이터 토글링을 통해 전체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업무 경과기간 결정단계는 상기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까지의 남은시간을 기초로 가변되는 특정 시간 이전으로 상기 리마인더 일정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단계는 상기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전에 상기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면 상기 리마인더 일정을 갱신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무의 현재 진행 단계나 업무의 진행 진척을 한눈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업무단계별로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을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프로그레시브 바를 통해 가시화하며, 업무기간 등과 관련된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에 따라 프로그레시브 바의 시인성을 제어함으로써 현재 주기의 업무 진행 상황, 기한의 임박 정도, 현재 긴급하게 처리되어야 할 업무가 무엇인지를 업무처리자로 하여금 쉽게 알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일정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업무일정 관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업무일정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업무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업무기간 표시 방식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기간 표시 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일정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업무일정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및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은 제1 사용자 그룹, 제2 사용자 그룹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의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10a)은 제1 사용자의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110b)은 제2 사용자의 단말, 제3 사용자 단말(110c)은 제3 사용자의 단말, 제4 사용자 단말(110d)은 제4 사용자의 단말로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는 업무 참여자로서 하나 이상의 업무에 공동으로 참여할 수 있다. 이때, 업무는 기한이 정해진 태스크(task) 또는 기록 주기가 정해진 주기적 노트(즉, 노트 객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는 노트 객체의 주기적인 작성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업무 지시자에 의해 지시되는 개별 업무들 중에는 노트를 기록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업무 지시자에 의해 작성이 지시되고 업무 처리자에 의해 작성되는 노트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트 객체라고 지칭하는데, 노트는 지시된 업무의 진행 상황이나 지시된 업무의 결과물 또는 세부적인 내용 등에 대해 업무 처리자가 입력하는 텍스트이거나, 파일 객체, 파일 링크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노트 객체는 해당 업무의 종료시까지 주기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업무 종료시까지 해당 업무의 지시사항과 관련하여 주기적으로 기록되는 노트 객체를 특히 주기별 노트라고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노트 객체가 주기적으로 작성 또는 업데이트될 것이 요구되는 경우, 해당 노트 객체가 기록되어야 할 주기를 노트 기록 주기라고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노트 객체의 경우, 2주에 한번씩 작성할 것이 요구되는 경우, 업무 처리자는 2주에 한번씩 해당 업무의 처리나 진행에 대한 주기별 노트를 반복 입력해야 한다. 이 경우 주기별 노트의 노트 기록 주기는 2주가 된다.
그리고, 노트 기록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업무 처리자를 비롯한 업무 참여자들에게 기한의 도래 또는 도과를 알리기 위해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가 제공하는 신호 또는 메시지를 주기별 노트 리마인더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특정 업무에 대해,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 중 하나 이상의 사용자는 업무 지시자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 이상의 사용자는 업무 처리자일 수 있다. 업무 지시자와 업무 처리자를 제외한 업무 참여자는 업무 관련자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내지 제4 사용자가 참여하는 공동의 프로젝트가 있고, 해당 프로젝트에 포함 또는 종속되는 하위 업무들이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위 업무로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크고 작은 업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태스크 또는 노트로 지칭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젝트나 업무, 각 태스크나 노트, 주기적 노트의 진행 경과나 상태 등을 단계적으로 분류한 것을 일컬어 업무 진행 단계로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 진행 단계는 해당 업무가 개시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 보통 단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해당 업무의 마감일 도래가 임박한 경우 임박 단계, 해당 업무의 마감일이 이미 경과한 경우에는 지체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업무 진행 단계는 PDCA 사이클에 따라 진행중, 확인중, 보완중, 보완 완료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PDCA 사이클(PDCA cycle)은 업무 수행과 성과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관리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P는 플랜(plan) 수립, 즉 업무나 프로젝트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활동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D는 업무수행(do), 즉 계획이 수립된 사항에 대하여 규정, 지침, 표준 등에 따라 실제로 업무를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C는 확인(check), D의 업무 수행 결과를 확인한 후 이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처음 설정된 목표와의 차이 여부를 점검하고 개선하거나 시정할 부분을 찾아내는 단계이다. 그리고 A는 실행(act)를 의미하는데, 앞의 C 단계에서 확인된 문제점과 개선점 등을 반영하여 기존의 업무 수행 결과를 수정하거나, 업무 내용을 다시 처리하는 등 개선과 보완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실행하는 단계이다.
즉, 업무 지시자에 의하여 업무 지시내용이 생성되면(Plan, P) 해당 업무의 업무 진행 단계는 '진행중'이 된다. 또한, 업무 지시내용에 상응하여 업무 처리자가 업무를 처리한 후 그 결과로써 업무 처리내용을 업로드하면(Do, D) 해당 업무의 업무 진행 단계는 '확인중'이 된다.
또한, '확인중'인 태스크에 대해, 업무 지시자가 업무 처리내용을 확인하고(Check, C) 해당 태스크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태스크의 업무 진행 단계는 '종료'가 될 수 있다. 반면, 업무 지시자가 업무 처리내용을 확인한 후, 업무 처리내용에 대하여 업무 보완을 요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업무 보완 요청 또는 업무 보완 지시가 업무 지시자에 의해 생성되면 해당 업무의 업무 진행 단계는 '보완중'이 된다.
업무 처리자가 업무 보완 지시의 내용에 상응하여 업무 처리내용을 보완하고(Act, A), 해당 업무 보완내용이 업무 처리자에 의해 업로드 된 경우, 또는 업로드 된 업무 보완내용이 업무 지시자에 의해 확인된 경우, 해당 업무의 업무 진행 단계는 '보완 완료'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업무들은 업무 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어 배열될 수 있다.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1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하나의 사용자와 연관된 다른 사용자가 구성원, 즉 업무 참여자로서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된 공유폴더 에이전트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유폴더 에이전트는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되면 사용자 단말(110)의 승인 하에 사용자 단말(110)과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가 상호 연동되도록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인 에이전트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공유의 대상이 되는 폴더나 파일은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가 제공하는 공유 폴더 내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유의 대상이 되는 폴더나 파일은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가 제공하는 공유 폴더 또는 파일 공유자의 개인 폴더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데스크톱, 노트북,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된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중 적어도 하나는 모바일 단말일 수 있고,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와 셀룰러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 중 적어도 하나는 데스크톱일 수 있고,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업무일정 관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일정 관리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링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 내용에 대해서는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메모리(230)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고, 만일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면 하이퍼링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스캐너, 터치 스크린,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거나 이와 연결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입출력부(250) 또는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업무일정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프로세서(210)를 통해 업무일정 관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10)는 각 동작 단계를 수행하는 일련의 기능적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10)는 업무기간 결정부(310), 업무기간 표시부(330),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350) 및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10)가 위의 구성부를 동시에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위의 구성부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고, 프로세서(210)는 상기의 구성부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업무기간 결정부(310)는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업무기간 결정부(310)는 프로젝트 기간을 업무단계별로 분할하고 특정 업무단계를 현재 주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기간 결정부(310)는 프로젝트 기간을 월별로 분할할 수 있다. 즉, 업무기간 결정부(310)는 월단위로 주기를 정하고 현재 시점의 해당 월의 첫날에서 끝날까지를 현재 주기로 할 수 있다. 또한, 업무기간 결정부(310)는 프로젝트 관리자 단말을 통해 업무단계별 각각에 대하여 업무내용 및 업무처리자를 지정할 수 있다.
업무기간 표시부(330)는 현재 주기를 기초로 주기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생성하고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기간을 기초로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업무기간 프로그레시브 바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기 인디케이터는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의 시작과 끝을 그래픽으로 표시한 것이다. 즉, 주기 인디케이터는 각각의 업무단계마다 생성되고 갱신되며, 해당 업무단계에 상응하는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의 시작일과 마감일을 주기 인디케이터의 시작점과 끝점으로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주기 인디케이터는 특정 색상의 막대로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을 가시화한 것이다.
한편, 프로그레시브 바는 일반적으로 기간이나 특정 과정의 진행정도를 표시하거나 또는 과정이 진행 중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위젯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기간 프로그레시브 바는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의 개시일로부터 현재까지 얼마나 시일이 경과하였는지를 가시화한 것이다. 업무기간 프로그레시브 바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위치가 계속해서 변경된다.
업무기간 표시부(330)는 주기 인디케이터에 사용자 인터랙션(user interaction)이 수신되면 주기 인디케이터 토글링(toggling)을 통해 전체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주기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터치 또는 클릭하면 전체 주기 인디케이터와 현재 주기 인디케이터 간에 토글링 수행되어 표시된다. 또한, 업무기간 표시부(330)는 주기 인디케이터 토글링의 동작과 관계없이 주기 인디케이터의 인근에 현재 주기의 업무내용 및 업무처리자를 표시할 수 있다.
업무기간 표시부(330)는 주기 인디케이터 및/또는 현재 주기의 업무내용 및 업무처리자를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때, 주어진 업무의 진행 단계에 상응하는 색상으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업무기간 표시부(330)는 업무 참여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참여하는 업무 대화방을 통해 각각의 업무나 업무기한 프로그레시브 바를 포함하는 주기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업무기간 표시부(330)는 업무 대화방을 통해 각각의 업무나 주기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때, 업무 진행 단계에 따라 업무 또는 주기 인디케이터 및 주기 인디케이터 상의 프로그레시브 바의 색상, 크기, 밝기, 배경색, 테두리색, 폰트, 음영, 진하기, 깜빡임 등을 달리 적용하여, 업무 진행 단계 별로 각 업무들이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업무기간 표시부(330)는 업무의 업무 진행 단계 설정 시, 각 업무 진행 단계에 상응하는 색상 등의 표시 방식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색상 등의 차등적 표시 방식은 해당 업무객체와 주기 인디케이터 및 업무기한 프로그레시브 바를 표시할 때면 언제든지 적용될 수 있다. 업무 대화방은 물론, 클라우드나 인트라넷, 공유 폴더 등을 통해 업무 데이터베이스에 사용자 단말(110)이 접속할 때, 업무기간 표시부(330)는 각각의 업무객체와 주기 인디케이터 및 업무기한 프로그레시브 바를 업무 진행 단계 별 색상으로 표시하여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업무기간 표시부(330)는 주기 인디케이터에 사용자 인터랙션이 수신되면 업무 기간을 캘린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업무기간 표시부(330)는 업무기간의 캘린더 마지막 일에 현재 주기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주기 데드라인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기 데드라인 인디케이터는 전체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현재 위치의 표시 또는 현재 주기 인디케이터의 진행률이나 마감일 표시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업무기간 표시부(330)는 경과된 기간에 상관없이 현재 주기의 마지막 일에 플랜(일정)을 표시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주기가 22.1.1-22.12.31이고, 현재 주기가 22.5.1-22.5.31인 플랜이 있다고 가정하면, 업무기간 표시부(330)는 오늘(5/17) 현재 캘린더에 5/31 일에 플랜을 인디케이터로 표시해줄 수 있다.
업무기간 표시부(330)는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에 업무기간에 주어진 업무일수 대비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경과일수 및 남은일수를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무일수가 30일이고 현재 경과된 경과일수가 23일인 경우 업무기간 표시부(330)는 '23/30 (7일)'로 업무기간을 텍스트 표시할 수 있다.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350)는 업무기간 중에서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을 기초로 설정되는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350)는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까지의 남은시간을 기초로 가변되는 특정 시간 이전으로 리마인더 일정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리마인더는 기 설정된 업무 처리 기한이나 업무 보완 기한에 상응하여 기한의 도래나 도과를 알리거나 향후의 일정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에 해당할 수 있다.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350)는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까지의 남은시간에 비례하도록 특정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350)는 남은시간이 10일인 경우에 특정 기간을 5일부터로 설정할 수 있고, 5일 남으면 특정 기간은 2일부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350)는 현재 주기 이내에 완수할 것으로 요청된 업무가 완료되지 않은 채 기한이 도과한 경우, 기한의 도과를 알리는 리마인더를 업무 처리자 및/또는 업무 지시자의 단말로 다시 제공하도록 리마인더 일정을 자동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350)는 주기적 노트 기록 등의 주어진 업무가 완료될 때까지 리마인더 일정을 자동으로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즉,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350)는 리마인더 전 또는 후에 주기적 노트의 기록이 되면 업무기간을 갱신하고 갱신된 업무기간 중에서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을 기초로 다음 리마인더 일정을 자동 설정할 수 있다.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350)는 리마인더 일정 경과 후에도 주기적 노트의 기록이 안되면 업무기간을 그대로 유지하고 노트의 기록이 될 때까지 리마인더를 발송되도록 리마인더 일정을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370)는 경과 여부를 기초로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의 시인성을 제어할 수 있다.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370)는 경과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를 표시하여 시인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370)는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전에는 하늘색 막대로 프로그레스 바를 표시하고, 경과 시 붉은 색 막대로 프로그레스 바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370)는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전에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면 리마인더 일정을 갱신할 수 있다.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370)는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후에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지 않으면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에 대한 시각적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370)는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후에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지 않으면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의 색상을 변경하여 시각적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370)는 시각적 변형이 수행되면 주어진 업무를 공유하고 있는 업무구성원에 의해 참여되고 있는 업무대화방에 시스템 메시지로서 리마인더 일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370)는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후에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지 않으면 리마인더 일정을 업무대화방을 통해 업무처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370)는 시각적 변형 후에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면 리마인더 일정을 갱신하고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에 대한 시각적 재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에 대한 시각적 변형 및 재변형을 수행한다 함은, 아이콘이나 업무명, 파일명 등에 서로 다른 색상, 크기, 밝기, 배경색, 테두리색, 폰트, 음영, 진하기, 깜빡임 등을 적용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업무일정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10).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프로젝트 기간을 업무단계별로 분할하고 특정 업무단계를 현재 주기로 결정할 수 있다.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프로젝트 관리자 단말을 통해 업무단계별 각각에 대하여 업무내용 및 업무처리자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현재 주기를 기초로 주기 인디케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20). 주기 인디케이터는 프로젝트 기간을 나타내는 전체 주기 인디케이터,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을 나타내는 현재 주기 인디케이터, 현재 주기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주기 데드라인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기 인디케이터는 현재 주기 인디케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주기 인디케이터에 사용자 인터랙션이 수신되면 주기 인디케이터를 캘린더 방식 또는 간트차트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캘린더 방식은 주기 인디케이터가 나타내는 업무 기간을 캘린더로 표시하고 캘린더의 마지막 일에 주기 데드라인 인디케이터를 표시하여 전체 주기 인디케이터 상의 현재 위치 또는 현재 주기 인디케이터의 진행률이나 마감일을 가시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간트 차트(Gantt Chart)는 프로젝트 일정관리를 위한 바(bar) 형태의 도구로서, 각 업무별로 일정의 시작과 끝을 그래픽으로 표시하여 전체 일정을 한눈에 보여주며, 또한 각 업무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여기에서, 칸트차트 방식은 전체 주기 인디케이터와 현재 주기 인디케이터 간의 토글링을 수행하여 전체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주기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기간을 기초로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30).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에 업무기간에 주어진 업무일수 대비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경과일수 및 남은일수를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업무기간에 주어진 업무일수가 30일이고 현재 경과된 경과일수가 23일, 남은일수가 7일이라면 '23 / 30 (7일)'이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 상에 텍스트 표시되어, 업무 처리자로 하여금 주어진 업무에 대해 현재 경과된 경과일수 및 남은일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업무기간 중에서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을 기초로 설정되는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440).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까지의 남은시간을 기초로 가변되는 특정 시간 이전으로 리마인더 일정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시간은 남은시간에 비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남은일수가 10일이라면 마감일 기준 5일 전으로 리마인더 일정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남은일수가 5일이라면 마감일 기준 2일 전으로 리마인더 일정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경과 여부를 기초로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의 시인성을 제어할 수 있다(단계 S450).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후에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지 않으면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에 대한 시각적 변형을 수행하고, 시각적 변형 후에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면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에 대한 시각적 재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업무기간 표시 방식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특정 업무단계에 대하여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을 주기 인디케이터(510)로 표시할 수 있다.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주기 인디케이터(510) 상에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기간을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530)로 표시할 수 있다. 주기 인디케이터(510)의 인근에는 현재 주기의 업무내용 및 업무처리자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현재 주기 및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기간을 기초로 간트차트 타입으로 표현한 업무일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현재 주기 인디케이터(510)를 테두리로 표시하고 현재 주기 인디케이터(510)에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530)를 특정 색상으로 표시하여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기간을 가시화할 수 있다. 또한,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530)에 업무기간에 주어진 업무일수 대비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경과일수 및 남은일수를 텍스트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프로젝트 전체 주기에서 지난간 주기, 현재 주기 및 남아 있는 주기, 그리고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기간과 남은 기간을 기초로 간트차트 타입으로 표현한 업무일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전체 주기 인디케이터(550)를 테두리로 표시하고 전체 주기 인디케이터(550)에 좌부터 지난간 주기, 현재 주기 및 남아 있는 주기의 주기 인디케이터(510)를 서로 다른 색상의 길이 바(bar)로 표시하여 전체 주기에서 현재 주기의 위치를 가시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난간 주기 인디케이터(510a)는 짙은 회색으로 표시하고, 현재 주기 인디케이터(510b)는 파란색으로 표시하고, 남아 있는 주기 인디케이터(510c)는 옅은 회색으로 표시하여 시각화된 정보를 통해 프로젝트 진척 상황을 한눈에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주기 인디케이터(510b)에는 2종류의 색상으로 표현하여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53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현재 주기 인디케이터(510b)를 표시하는 특정 색(예: 파란색)에 대해 명도나 채도 등의 속성을 다르게 표현하여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530)를 표시함으로써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에서 현재 남은 기간을 가시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주기 인디케이터(510b)를 표시하는 파란색에 대해 현재 주기 중 지난간 일자 및 남은 일자 각각에 상응하는 길이의 짙은 파란색과 옅은 파란색으로 구분시켜 업무기간에 주어진 업무일수 대비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경과일수 및 남은일수를 표현하여 현재 주기 인디케이터(510b)를 표시할 수 있다.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주기 인디케이터(510,550)나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530)를 표시할 때, 주어진 업무의 업무 진행 단계에 따라 주기 인디케이터(510,550) 또는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530)의 색상, 테두리색 등을 달리 적용하여, 업무 진행 단계 별로 각 업무들이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업무 진행 단계를 '예정된', '진행중', 지난', '확인'으로 구분할 수 있고, '예정된' 단계인 경우 검은색 테두리로 현재 주기 인디케이터(510)를 표시하고 '진행중' 단계인 경우 파란색으로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530)를 표시하고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이 임박하면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530)를 노란색으로 변경 표시하여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에 주어진 복수의 업무일정을 표시하는 경우에 각 업무의 진행 정도와 임박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복수의 업무들 간 긴급도나 우선 순위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각 업무의 일정과 진행 현황을 한눈에 인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기간 표시 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의 요청에 따라 주기 인디케이터를 기초로 현재 주기의 업무 기간을 캘린더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업무 기간의 캘린더 마지막 일에 현재 주기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주기 데드라인 인디케이터(610)를 표시할 수 있다. 주기 데드라인 인디케이터(610)는 막대를 하나의 색으로 표시하여 현재 주기의 마지막을 나타낼 수 있다.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주기 데드라인 인디케이터(610)의 인근 또는 주기 데드라인 인디케이터(610) 상에 업무 처리자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업무일정 관리 장치(130)는 오늘 현재 캘린더에 경과된 기간에 상관없이 현재 주기의 마지막 일에 업무일정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의 마지막 일이 5월 31일인 경우에 5월 캘린더의 31일에 업무 진행 단계에 따른 특정 색상으로 표현되는 주기 데드라인 인디케이터(610)를 표시할 수 있다. 주기 데드라인 인디케이터(610)는 업무의 진행 정도와 임박 정도, 지체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바(bar)를 표현할 수 있다. 주기 데드라인 인디케이터(610)는 업무 처리자 표시와 나란하게 표시되거나 또는 업무 처리자 표시의 배경으로 겹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주기 데드라인 인디케이터(610)를 통해,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에 주어진 업무들이 진행률이나 마감일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업무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은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을 주기 인디케이터로 시각화하고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기간을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프로그레스 바로 시각화함으로써 프로젝트 전체 기간에서 현재 주기의 위치, 현재 주기에서 주어진 업무의 진행 정도와 임박 정도를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플랜이 많은 경우에도 한 화면 상에 표시하여 한눈에 인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업무일정 관리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업무일정 관리 장치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업무기간 결정부 330: 업무기간 표시부
350: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 370: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

Claims (18)

  1.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을 결정하는 업무기간 결정부;
    상기 현재 주기를 기초로 주기 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기간을 기초로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를 생성하는 업무기간 표시부;
    상기 업무기간 중에서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을 기초로 설정되는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여부를 결정하는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
    상기 경과 여부를 기초로 상기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의 시인성을 제어하는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를 포함하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기간 결정부는
    프로젝트 기간을 업무단계별로 분할하고 특정 업무단계를 상기 현재 주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기간 결정부는
    프로젝트 관리자 단말을 통해 상기 업무단계별 각각에 대하여 업무내용 및 업무처리자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기간 표시부는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에 사용자 인터랙션이 수신되면 주기 인디케이터 토글링을 통해 전체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기간 표시부는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 토글링의 동작과 관계없이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의 인근에 상기 현재 주기의 업무내용 및 업무처리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기간 표시부는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에 사용자 인터랙션이 수신되면 상기 업무 기간을 캘린더 방식으로 표시하고, 상기 업무기간의 캘린더 마지막 일에 상기 현재 주기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주기 데드라인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기간 표시부는
    상기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에 상기 업무기간에 주어진 업무일수 대비 상기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경과일수 및 상기 남은일수를 텍스트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는
    상기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까지의 남은시간을 기초로 가변되는 특정 시간 이전으로 상기 리마인더 일정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경과기간 결정부는
    상기 남은시간에 비례하도록 상기 특정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는
    상기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전에 상기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면 상기 리마인더 일정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는
    상기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후에 상기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지 않으면 상기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에 대한 시각적 변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는
    상기 시각적 변형이 수행되면 상기 주어진 업무를 공유하고 있는 업무구성원에 의해 참여되고 있는 업무대화방에 시스템 메시지로서 상기 리마인더 일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부는
    상기 시각적 변형 후에 상기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면 상기 리마인더 일정을 갱신하고 상기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에 대한 시각적 재변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장치.
  14. 현재 주기의 업무기간을 결정하는 업무기간 결정단계;
    상기 현재 주기를 기초로 주기 인디케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업무기간에서 현재 경과된 기간을 기초로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를 생성하는 업무기간 표시단계;
    상기 업무기간 중에서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을 기초로 설정되는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여부를 결정하는 업무 경과기간 결정단계; 및
    상기 경과 여부를 기초로 상기 업무기간 프로그레스 바의 시인성을 제어하는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업무일정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기간 결정단계는
    프로젝트 기간을 업무단계별로 분할하고 특정 업무단계를 상기 현재 주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기간 표시단계는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에 사용자 인터랙션이 수신되면 주기 인디케이터 토글링을 통해 전체 주기 인디케이터 상에 상기 주기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 경과기간 결정단계는
    상기 주어진 업무의 마감일까지의 남은시간을 기초로 가변되는 특정 시간 이전으로 상기 리마인더 일정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기간 시인성 제어단계는
    상기 리마인더 일정의 경과 전에 상기 주어진 업무가 처리되면 상기 리마인더 일정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무일정 관리 방법.
KR1020220065799A 2022-05-30 2022-05-30 업무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166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799A KR20230166187A (ko) 2022-05-30 2022-05-30 업무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799A KR20230166187A (ko) 2022-05-30 2022-05-30 업무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187A true KR20230166187A (ko) 2023-12-07

Family

ID=8916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799A KR20230166187A (ko) 2022-05-30 2022-05-30 업무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18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014B1 (ko) 2004-01-28 2012-06-0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온라인 캘린더링 시스템 내의 프로젝트 및 회의의 시간할당을 위한 시간 관리 표현 및 자동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014B1 (ko) 2004-01-28 2012-06-01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온라인 캘린더링 시스템 내의 프로젝트 및 회의의 시간할당을 위한 시간 관리 표현 및 자동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1623B2 (en)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scaling/snap zoom function in table views of collaborative work systems
Allweyer BPMN 2.0: introduction to the standard for business process modeling
US20210124872A1 (en)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relationship recognition in tables of collaborative work systems
KR102076162B1 (ko) 업무객체 처리 장치 및 방법
US201201592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ivot table
US10860958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work object and method performing the same
JP2011164696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グループウェアプログラム
KR102151550B1 (ko) 일정-평가 아이템 및 할일-평가 아이템 기반의 업무전략의 수행을 지원하는 업무전략맵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265278B2 (en) Apparatus of processing dialog based message object and method thereof
JP7149546B2 (ja) 業務チャットルーム処理装置及び業務チャットルーム処理方法
JP7178060B2 (ja) 看板基盤の業務処理装置及び業務処理方法
JP6403778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情報消費ギャップの解決
KR20180013474A (ko) 일정-평가 아이템 및 할일-평가 아이템 기반의 업무전략의 수행을 지원하는 업무전략맵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7182405A (ja) 業務管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業務管理プログラム
KR20230166187A (ko) 업무일정 관리 장치 및 방법
US11062326B2 (en) Compliance management techniques
JP7277877B2 (ja) 看板基盤の業務処理装置及び業務処理方法
US20220147941A1 (en) Apparatus of processing dialog based message object and method thereof
US20170255605A1 (en) Annotations and Issue Tracking for Graphical Data
KR20230116420A (ko) 스마트태그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및 업무처리방법
KR102624933B1 (ko) 업무일정 리마인더 장치
US20200333155A1 (en) Client and prospect app
KR102567094B1 (ko) 간반 기반의 업무처리장치
KR20220168846A (ko) 업무 대화방 처리장치 및 방법
KR20220064668A (ko) 업무 일정 표시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