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963A -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963A
KR20230165963A KR1020220065080A KR20220065080A KR20230165963A KR 20230165963 A KR20230165963 A KR 20230165963A KR 1020220065080 A KR1020220065080 A KR 1020220065080A KR 20220065080 A KR20220065080 A KR 20220065080A KR 20230165963 A KR20230165963 A KR 20230165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ushion
pair
connecto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순현
조동우
손정섭
이승택
박선영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5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5963A/ko
Publication of KR20230165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9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92Multiple configuration seats, e.g. for spacious vehicles or mini-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 쿠션을 좌, 우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분리된 시트 쿠션을 개별적으로 틸팅되도록 구동함으로써 탑승자가 걷고 있도록 인지되도록 하여 다리, 엉덩이 등의 근육 약화와 통증 유발 등을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틸팅 작동과정에서의 유격을 최소화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시트프레임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연결구; 상기 한 쌍의 시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탑승자의 다리를 상하로 운동시켜주는 한 쌍의 쿠션패널; 상기 연결구의 중심에 끼움 결합되고 양측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시; 상기 시트프레임을 통해 상기 연결구의 양끝단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사이드부시; 상기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시와 사이드부시에 양단이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쿠션패널의 전방측에 각각 연결되어 쿠션패널들을 상, 하로 작동시켜주는 한 쌍의 틸팅부; 상기 한 쌍의 쿠션패널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홈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시의 가이드홈에 각각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쿠션패널들이 상기 가이드부시에 가이드 되면서 작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쿠션패널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DUAL TILT DEVICE FOR SEAT CUSHION}
본 발명은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 쿠션을 좌, 우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분리된 시트 쿠션을 개별적으로 틸팅되도록 구동함으로써 탑승자가 걷고 있도록 인지되도록 하여 다리, 엉덩이 등의 근육의 통증이나 약화에 대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장시간 주행시 운전자의 상체 및 하체가 거의 고정된 자세로 유지될 수밖에 없으므로, 다리 및 엉덩이 근육 피로가 발생되어 건강상에 약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리 근육이 약화되거나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혈전이나 하지정맥류와 같은 질병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운전자의 조종 없이 주행이 가능한 자율주행차량의 출시를 대비하여, 승객 간의 대화 및 회의, 릴렉세이션 및 취침, 승하차 보조 등을 위한 다양한 메카니즘이 적용된 시트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시트 쿠션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시트 쿠션이 전개되도록 하여 착좌면적이 가변되도록 하는 등의 탑승자의 착좌 자세를 조절하는 정도의 조절만 가능하였다.
또한 시트에 안마기능을 추가하여 근육을 이완시켜주거나, 등록특허 제10-1279936호(2013.06.2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작동과 시트 쿠션의 틸팅작동이 일정한 패턴으로 반복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단순히 시트백과 시트 쿠션이 전체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근육의 이완이나 피로도의 완전 해소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번호 제10-127993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쿠션을 좌, 우 분리되도록 구성하고 분리된 시트 쿠션을 개별적으로 틸팅되도록 구동함으로써 탑승자가 걷고 있도록 인지되도록 하여 다리, 엉덩이 등의 근육 약화와 통증 유발 등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틸팅 작동과정에서의 유격을 최소화시켜줄 수 있도록 하는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시트프레임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연결구; 상기 한 쌍의 시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탑승자의 다리를 상하로 운동시켜주는 한 쌍의 쿠션패널; 상기 연결구의 중심에 끼움 결합되고 양측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시; 상기 시트프레임을 통해 상기 연결구의 양끝단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사이드부시; 상기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시와 사이드부시에 양단이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쿠션패널의 전방측에 각각 연결되어 쿠션패널들을 상, 하로 작동시켜주는 한 쌍의 틸팅부; 상기 한 쌍의 쿠션패널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홈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시의 가이드홈에 각각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쿠션패널들이 상기 가이드부시에 가이드 되면서 작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쿠션패널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틸팅부는, 상기 연결구의 외측으로 끼워져 연결구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일측단은 가이드부시에 끼워지고 타측단은 사이드부시에 끼워져 유격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슬리브파이프; 상기 슬리브파이프에 적어도 2개 이상 결합되되, 어느 하나는 구동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슬리브파이프가 연결구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들에 일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쿠션패널에 결합되는 제2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시는, 상기 연결구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고 양측으로 상기 틸팅부가 결합되는 부시몸체; 상기 한 쌍의 쿠션패널 가이드가 각각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부시몸체의 외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부시몸체로 결합되는 틸팅부가 끼워져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틸팅부의 좌,우 유격을 저감시켜주는 다수의 유격방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패널 가이드는,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홈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시의 가이드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유격을 방지해주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면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유격을 방지해주는 측면가이드; 상기 가이드몸체의 외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쿠션패널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 삽입된 후 쿠션패널에 끼워지도록 하는 끼움홈; 상기 끼움홈의 내측에서 가이드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쿠션패널 가이드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패널의 후방측에는 시트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슬롯홀이 형성되어 틸트 작동시 슬롯의 길이만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를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 구획하여 개별적인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탑승자가 걷고 있도록 인지시켜주며 다리 및 엉덩이 근육의 이완시켜 근육약화를 방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구를 통해 강성을 향상시켜주면서 연결구에 틸팅부의 슬리브파이프가 끼워지도록 구성하여 연결구 상에서 틸팅부가 틸팅되도록 하여 구조적인 강성이 매우 향상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틸트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시 및 쿠션패널에 설치되는 쿠션패널 가이드에 의해 쿠션패널이 가이드부시의 가이드면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틸팅이 이루어지게 되어 틸팅과정에서의 유격을 방지해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틸트 장치가 설치된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틸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틸트 장치의 틸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틸트 장치의 틸트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틸트 장치의 틸트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틸팅부와 가이드부시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틸팅부를 통해 틸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구와 가이드부시 및 틸팅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쿠션패널 가이드와 쿠션패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쿠션패널 가이드와 가이드부시의 결합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쿠션패널 가이드을 일측 및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2 는 도 5 의 A-A의 단면에서 가이드부시와 쿠션패널 가이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틸트 장치가 설치된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틸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틸트 장치의 틸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은 본 발명에 의한 듀얼틸트 장치의 틸트 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틸트 장치의 틸트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틸팅부와 가이드부시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틸팅부를 통해 틸팅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듀얼틸트 장치(10)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한 쌍의 시트프레임(10)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연결구(100)와, 상기 일측의 시트프레임(20)에 힌지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타측의 시트프레임(20)에 힌지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쿠션패널(200)과, 상기 연결구(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쿠션패널(200)의 전방측에 각각 연결되어 쿠션패널(200)들을 상, 하로 작동시켜주는 한 쌍의 틸팅부(300)와, 상기 연결구(100)에 끼움 결합되고 좌,우 양단으로 상기 틸팅부(300)가 연결되어 틸팅부(300)의 좌,우 유격이 저감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시(400)와, 상기 한 쌍의 쿠션패널(200)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부시(40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쿠션패널(200)들이 상기 가이드부시(400)에 가이드 되면서 작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쿠션패널 가이드(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프레임(20)은 시트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통상의 시트프레임(20)이다.
상기 연결구(100)은 내부가 중공된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양단이 상기 시트프레임(20)에 결합되는 사이드부시(50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사이드부시(500)에는 다수의 유격방지돌기(510)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틸팅부(300)의 슬리브파이프(310) 타측단이 끼워져 유격방지돌기(510)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틸팅부(300)의 슬리브파이프(310)가 연결구(100)상에서 좌, 우방향으로 발생되는 유격을 방지해주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쿠션패널(200)은 시트의 좌, 우로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시트 쿠션의 개별적인 틸팅 작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 탑승자의 다리를 개별적으로 운동시켜 다리 근육을 풀어줌과 동시에 걷고 있도록 인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쿠션패널(200)은 다리의 허벅지부분을 받쳐주게 되고 상기 틸팅부(300)가 연결되는 패널몸체부(210)와, 상기 패널몸체부(210)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시트프레임(20)의 상부에 끼워져 시트프레임(20)상에서 힌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레임결합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널몸체부(210)에는 이웃하는 쿠션패널(200)과 마주하는 측면에 상기 쿠션패널 가이드(6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의 삽입홈(2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12)에는 상기 쿠션패널 가이드(600)가 끼움 고정되도록 결합돌기(2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12)은 패널몸체부(210)에 형성될 수 도 있으나, 조립안정성을 위해 도면 9, 10에서와 같이 삽입홈(212)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브래킷(211)을 패널몸체부(210)에 결합하여 삽입홈(212)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결합부(220)는 슬롯홀(221)을 통해 상기 시트프레임(20)에 힌지 연결되어 쿠션패널(200)의 상승시 슬롯홀(221)의 길이만큼 후방으로 밀려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쿠션패널(200)은 프레임결합부(220)에 슬롯홀(221)을 형성하고 슬롯홀(221)을 통해 시트프레임(20)에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틸팅 작동시 전면 승강 변화각도에 비해 후방각도 변화량이 매우 적어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유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갖게 된다.
즉 쿠션패널(200)은 후방에 슬롯홀(221)을 형성함으로써 틸팅시에도 후방의 각도 변화량을 줄이고 이동량을 줄여 외부 충격시 유격 발생을 최소화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쿠션패널(200)의 외측에는 탑승자의 안락함을 유지하도록 패드와 커버가 더 설치된다.
상기 틸팅부(300)는 도 8 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구(100)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슬리브파이프(310)와, 상기 슬리브파이프(310)에 적어도 2개 이상 결합되되, 어느 하나는 일측단이 상기 구동부(70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700)의 작동에 의해 슬리브파이프(310)가 연결구(100) 상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제1브래킷(320)과, 상기 제1브래킷(320)들에서 일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쿠션패널(200)에 결합되어 틸팅부(300)의 작동시 쿠션패널(200)이 연동되도록 하는 제2브래킷(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틸팅부(300)는 슬리브파이프(310)를 통해 연결구(10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틸팅 작동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구조적인 강성이 매우 향상되어 안정적으로 틸트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틸팅부(300)는 가이드부시(400)를 중심으로 연결구(1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후 쿠션패널(200)과 연결됨으로써 쿠션패널(200)의 개별적인 틸팅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슬리브파이프(310)의 양끝단에는 슬리브파이프(310)의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의 확장부(311)가 더 형성되어 후술되는 가이드부시(400)의 유격방지돌기(430) 및 상기 사이드부시(500)의 유격방지돌기(510)에 끼워져 유격을 저감시켜주게 된다.
상기 구동부(700)는 시트프레임(20)에 설치되는 모터(710)의 작동에 의해 이동부재(720)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부재(720)에 상기 제1브래킷(320)과 힌지 연결되어 틸팅부(300)를 작동시켜 주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시(400)는 도 8 에서와 같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100)의 외측으로 기움 결합되고 양측으로 상기 틸팅부(300)의 슬리브파이프(310)가 끼움 결합되는 부시몸체(410)와, 상기 부시몸체(410)의 외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쿠션패널 가이드(600)가 각각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420)와, 상기 가이드부(420)의 외부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부시몸체(410)로 결합되는 틸팅부(300)의 연결구(100)가 끼워져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틸팅부(300)의 좌,우 유격을 저감시켜주는 다수의 유격방지돌기(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시(400)는 연결구(100)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쿠션패널(200)이 쿠션패널 가이드(600)를 통해 유격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틸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420)는 부시몸체(410)의 외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가이드돌기(4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421) 사이에 상기 쿠션패널 가이드(600)가 삽입되는 가이드홈(422)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격방지돌기는 외측의 가이드돌기와 부시몸체의 경계면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파이프(310)가 가이드돌기에 맞물려 끼워지면서 부시몸체에 결합되도록 하여 유격을 저감시켜주게 된다.
상기 쿠션패널 가이드(600)는 도11, 12에서와 같이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홈(660)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시(400)의 가이드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몸체(610)와, 상기 가이드몸체(610)의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420)의 상부면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유격을 방지해주는 측면가이드(620)와, 상기 가이드몸체(610)의 외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쿠션패널(200)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212)으로 끼움결합되도록 하는 끼움홈(630)과, 상기 끼움홈(630)의 내측에서 가이드몸체(6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12)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13)가 삽입되어 쿠션패널 가이드(60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홀(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몸체(610)는 가이드부(420)의 가이드홈(422)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틸팅하는 과정에서 가이드홈(422)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유격을 방지해주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가이드(620)는 상기 가이드부(420)의 가이드돌기(421) 중 일측 가이드돌기(421)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격을 방지해주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몸체(610)와 측면가이드(620)는 서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며 가이드몸체(610)는 가이드부(420)의 가이드홈(422)에 삽입되고 측면가이드(620)는 가이드부(420)의 가이드돌기(421) 상부면을 타고 이동하게 됨으로써 유격 발생을 최소화시켜 주면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쿠션패널 가이드(600)의 외측에는 쿠션패널(200)의 외면을 마감하기 위한 마감커버(2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커버끼움홈(650)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쿠션패널 가이드(600)는 상기 쿠션패널(200)이 틸팅부(300)에 의해 틸팅되는 과정에서 쿠션패널(200)이 가이드부시(400)에 가이드된 상태로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틸팅되는 과정에서의 유격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10)의 틸트 과정을 설명하면, 일측 구동부(700)의 모터(710)가 작동되면 이동부재(720)가 연장되고 이동부재(720)와 제1브래킷(320)을 통해 연결된 틸팅부(300)가 연동되어 작동된다.
상기 틸팅부(300)는 제1브래킷(320)에 의해 슬리브파이프(310)가 연결구(100)상에서 회전하게 되고 슬리브파이프(310)와 제1브래킷(320)과 제2브래킷(330)을 통해 연결된 쿠션패널(200)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쿠션패널(200)은 프레임결합부(220)에 형성된 슬롯홀(221)의 길이만큼 후방으로 밀려지면서 상승하게 되며, 전면의 승강 각도에 비해 후방의 각도 변화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어 외부충격 발생시 유격발생을 최소화시켜주게 된다.
이렇게 일측의 쿠션패널(200)이 상승하면 타측의 쿠션패널(200)을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승시키면서 일측의 쿠션패널(200)을 하강시켜 주는 과정을 반복하여 구동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2개의 쿠션패널(200)들 동시에 상승시키거나 하강할 수 있다.
상기 틸트 작동은 기본적으로 스위치 조작을 통해 개별 작동되며,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해 여러 가지 작동모드 및 연속작동 모드를 구현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줄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시트를 중심을 기준으로 좌, 우 구획하여 개별적인 틸트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탑승자가 걷고 있도록 인지시켜주며 다리 및 엉덩이 근육의 이완시켜 근육약화를 방지해주게 된다.
또한 연결구(100)를 통해 강성을 향상시켜주면서 연결구(100)에 틸팅부(300)의 슬리브파이프(310)가 끼워지도록 구성하여 연결구(100) 상에서 틸팅부(300)가 틸팅되도록 하여 구조적인 강성이 매우 향상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틸트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이드부시(400) 및 쿠션패널(200)에 설치되는 쿠션패널 가이드(600)에 의해 쿠션패널(200)이 가이드부시(400)의 가이드면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틸팅이 이루어지게 되어 틸팅과정에서의 유격을 방지해주게 된다.
미설명부호 'C'는 쿠션서스펜션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듀얼틸트 장치 (20) : 시트프레임
(100) : 연결구 (200) : 쿠션패널
(210) : 패널몸체부 (211) : 가이드브래킷
(212) : 삽입홈 (213) : 결합돌기
(220) : 프레임결합부 (221) : 슬롯홀
(230) : 마감커버 (240) : 패드
(250) : 커버 (300) : 틸팅부
(310) : 슬리브파이프 (311) : 확장부
(320) : 제1브래킷 (330) : 제2브래킷
(400) : 가이드부시 (410) : 부시몸체
(420) : 가이드부 (421) : 가이드돌기
(422) : 가이드홈 (430) : 유격방지돌기
(500) : 사이드부시 (510) : 유격방지돌기
(600) : 쿠션패널 가이드 (610) : 가이드몸체
(620) : 측면가이드 (630) : 끼움홈
(640) : 결합홀 (650) : 커버끼움홈
(660) : 개구홈 (700) : 구동부
(710) : 모터 (720) : 이동부재

Claims (5)

  1.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시트프레임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연결구;
    상기 한 쌍의 시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되어 탑승자의 다리를 상하로 운동시켜주는 한 쌍의 쿠션패널;
    상기 연결구의 중심에 끼움 결합되고 양측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시;
    상기 시트프레임을 통해 상기 연결구의 양끝단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사이드부시;
    상기 연결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시와 사이드부시에 양단이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쿠션패널의 전방측에 각각 연결되어 쿠션패널들을 상, 하로 작동시켜주는 한 쌍의 틸팅부;
    상기 한 쌍의 쿠션패널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홈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시의 가이드홈에 각각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상기 쿠션패널들이 상기 가이드부시에 가이드 되면서 작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쿠션패널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틸팅부는,
    상기 연결구의 외측으로 끼워져 연결구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일측단은 가이드부시에 끼워지고 타측단은 사이드부시에 끼워져 유격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슬리브파이프;
    상기 슬리브파이프에 적어도 2개 이상 결합되되, 어느 하나는 구동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슬리브파이프가 연결구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제1브래킷;
    상기 제1브래킷들에 일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단은 상기 쿠션패널에 결합되는 제2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시는,
    상기 연결구의 외측으로 끼움 결합되고 양측으로 상기 틸팅부가 결합되는 부시몸체;
    상기 한 쌍의 쿠션패널 가이드가 각각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부시몸체의 외부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외부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부시몸체로 결합되는 틸팅부가 끼워져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틸팅부의 좌,우 유격을 저감시켜주는 다수의 유격방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패널 가이드는,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홈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시의 가이드부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유격을 방지해주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면을 따라 가이드 되면서 유격을 방지해주는 측면가이드;
    상기 가이드몸체의 외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쿠션패널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홈 삽입된 후 쿠션패널에 끼워지도록 하는 끼움홈;
    상기 끼움홈의 내측에서 가이드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에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쿠션패널 가이드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패널의 후방측에는 시트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슬롯홀이 형성되어 틸트 작동시 슬롯의 길이만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

KR1020220065080A 2022-05-27 2022-05-27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 KR20230165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080A KR20230165963A (ko) 2022-05-27 2022-05-27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080A KR20230165963A (ko) 2022-05-27 2022-05-27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963A true KR20230165963A (ko) 2023-12-06

Family

ID=8916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080A KR20230165963A (ko) 2022-05-27 2022-05-27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59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936B1 (ko) 2005-09-30 2013-07-05 이노베이티브 바이오미캐니컬 솔루션즈, 엘.엘.씨.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차량 착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936B1 (ko) 2005-09-30 2013-07-05 이노베이티브 바이오미캐니컬 솔루션즈, 엘.엘.씨.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차량 착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1840B2 (en) Seat
CN110293883B (zh) 车辆用座椅和利用车辆用座椅的坐姿控制方法
US9493095B2 (en) Seat
US9045063B2 (en) Articulating seat bolsters
US9272643B2 (en) Vehicle seat
RU2695548C2 (ru)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арианты) и гибкий закрывающий элемент
KR102644560B1 (ko) 자동차용 시트백
CN110525297A (zh) 乘坐物用座椅
US20060103211A1 (en) Seat assembly with inner seat back movable with a seat cushion
US7237842B2 (en) Headrest,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seat
US7255395B2 (en) Seat assembly with movable inner seat back
KR20230165963A (ko) 시트 쿠션의 듀얼틸트 장치
US5232264A (en) Vehicle seat
KR20100033584A (ko) 차량용 시트의 크로스 링크 타입 허리 지지 대 장치
US11472324B2 (en) Combination structure of seat cushion frame
KR100506758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헤드레스트 장치
JP4333891B2 (ja) 車両用シート
US11660990B1 (en) Lumbar support for vehicle seat
KR102415251B1 (ko) 푸시형 작동블록을 구비한 차량용 럼버서포트
KR102366118B1 (ko)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KR100401741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확장 장치
KR20230148575A (ko) 쿠션 연동 구조를 가지는 시트
KR100444673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장치
KR100387615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터 조절장치
KR200205670Y1 (ko) 자동차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