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3840A - 위치 정보 획득 방법, 위치 정보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 획득 방법, 위치 정보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840A
KR20230163840A KR1020220063654A KR20220063654A KR20230163840A KR 20230163840 A KR20230163840 A KR 20230163840A KR 1020220063654 A KR1020220063654 A KR 1020220063654A KR 20220063654 A KR20220063654 A KR 20220063654A KR 20230163840 A KR20230163840 A KR 20230163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ps
information
vehicle
navigation
map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중
오정택
최병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3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3840A/ko
Priority to US17/973,017 priority patent/US20230408708A1/en
Priority to JP2022207217A priority patent/JP2023172860A/ja
Publication of KR2023016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48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and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a further syst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48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and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a further system
    • G01S19/49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and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a further system whereby the further system is an inertial position system, e.g. loosely-coup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1Determining conditions which influence positioning, e.g. radio environment, state of motion or energy consumption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50Determining position whereby the position solution is constrained to lie upon a particular curve or surface, e.g. for locomotives on railway tra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1Determining conditions which influence positioning, e.g. radio environment, state of motion or energy consumption
    • G01S5/012Identifying whether indoors or outdo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30/0284Time or distance, e.g. usage of parking meters or taxi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보 획득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사용하는 GPS 항법과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및 방위 정보를 사용하는 DR(Dead Reckoning) 항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1 GPS 정보를 획득하는 항법 장치, 상기 제1 GPS 정보와 지도 데이터와의 맵 매칭을 통해 생성된 제2 GPS 정보를 상기 항법 장치에 피드백하는 맵 매칭 피드백 모듈, 그리고 상기 항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에 기초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은, 상기 차량의 GPS 음영 구간 내 위치 또는 상기 차량의 상기 GPS 음영 구간 내 주행 거리에 따라서 활성화가 제어되며, 상기 항법 장치는,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1 GPS 정보 및 상기 제2 GPS 정보를 사용해 제3 GPS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GPS 정보 및 상기 제3 GPS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정보 획득 방법, 위치 정보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APPARATUS AND TAXI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위치 정보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같이 차량에 탑재되는 위치 정보 획득 장치는, 통상적으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지도(MAP) 상에 매칭시키는 맵 매칭(map matching) 작업을 통해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GPS는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해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는 위성항법시스템이다. 따라서, 터널, 지하차도, 지하 주차장 등 GPS 신호의 정상적인 수신이 어려운 구간이 존재하고, 이러한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한 차량의 위치 정보 획득 장치는 GPS 정보만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경로 안내 서비스를 이용 중 차량이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할 경우, 차량의 현재 위치를 잘못된 위치로 특정하거나 잘못된 경로를 안내하여 차량이 GPS 음영 구간을 벗어나면 경로를 재탐색하는 상황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GPS 신호의 수신이 어려운 GPS 음영 구간에서 차량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개시는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한 차량의 위치 추정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위치 정보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보 획득 장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사용하는 GPS 항법과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및 방위 정보를 사용하는 DR(Dead Reckoning) 항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1 GPS 정보를 획득하는 항법 장치, 상기 제1 GPS 정보와 지도 데이터와의 맵 매칭을 통해 생성된 제2 GPS 정보를 상기 항법 장치에 피드백하는 맵 매칭 피드백 모듈, 그리고 상기 항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에 기초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은, 상기 차량의 GPS 음영 구간 내 위치 또는 상기 차량의 상기 GPS 음영 구간 내 주행 거리에 따라서 활성화가 제어되며, 상기 항법 장치는,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1 GPS 정보 및 상기 제2 GPS 정보를 사용해 제3 GPS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GPS 정보 및 상기 제3 GPS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은,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한 후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서 소정 거리 이상 주행하면 활성화되며,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을 벗어나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항법 장치는,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하면 상기 DR 항법을 사용해 상기 제1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항법 장치는,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2 GPS 정보를 사용해 상기 제1 GPS 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제3 GPS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3 GPS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항법 장치는,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이 비활성화되면, 상기 제1 GPS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는, 상기 항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와 상기 지도 데이터와의 맵 매칭을 통해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는, 상기 항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와 상기 지도 데이터에 기초해 상기 GPS 음영 구간에 대한 상기 차량의 진입 여부 및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서 이동한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은, 상기 GPS 음영 구간 내 분기점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차량과 상기 분기점 간의 거리에 따라서 활성화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은,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 분기점이 존재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는, 상기 항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와 상기 지도 데이터에 기초해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 상기 분기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분기점과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장치는, 상기 차량의 휠 속도 정보 및 방위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항법 장치는, 상기 센서 장치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기초해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및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GPS 음영 구간은, 터널 또는 지하 차도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위치 정보 획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은 상기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통합 단말 내에 포함되고, 상기 통합 단말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서비스에 대한 요청에 대해 응답을 제공하는 운영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차량의 운행 상태, 및 상기 사용자의 탑승 위치와 상기 차량의 헤딩(Heading) 방향 정보를 연계한 정보를 이용하여 배차콜 정보의 확인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GPS 정보, 또는 휠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요금을 계산하며, 상기 차량의 기어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출력 화면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은, GPS 신호를 사용하는 GPS 항법과 차량의 속도 정보 및 방위 정보를 사용하는 DR 항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해 제1 GP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GPS 음영 구간 내 위치 또는 상기 차량의 상기 GPS 음영 구간 내 주행 거리에 따라서, 상기 제1 GPS 정보 및 지도 데이터의 맵 매칭을 통해 제2 GPS 정보를 생성하는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1 GPS 정보 및 상기 제2 GPS 정보를 사용해 제3 GPS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GPS 정보 및 상기 제3 GPS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GP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 위치하면, 상기 DR 항법을 사용해 상기 제1 GP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GP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 외부에 위치하면, 상기 GPS 항법을 사용해 상기 제1 GP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서 주행한 거리가 소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 외부에 위치하면,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획득 방법은, 상기 GPS 음영 구간 내 분기점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차량과 상기 분기점 간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 상기 분기점이 존재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GPS 정보 및 상기 제3 GPS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지도 데이터의 맵 매칭을 통해,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한 차량의 위치 추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GPS 음영 구간에서의 위치 추정 정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경로 안내 서비스 중 측위 오류로 인한 경로 재탐색이 발생하는 빈도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획득 장치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획득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분기점과 상관없이 MMF 모듈을 활성하는 경우에 GPS 정보가 획득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분기점을 기준으로 MMF 모듈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경우에 GPS 정보가 획득되는 예들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또는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 중 특정 제어 조건에서 다른 구성을 제어하는 구성에는, 다른 구성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알고리즘을 구체화한 명령어의 집합으로 구현된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 구성은 설치된 프로그램에 따라 입력 정보 및 저장된 정보를 처리하여 출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구성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복수의 차량(10_1 ~ 10_n, n은 자연수), 복수의 사용자 단말(30_1 ~ 30_m, m은 자연수), 및 운영 서버(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차량(10_1 ~ 10_n), 복수의 사용자 단말(30_1 ~ 30_m), 및 운영 서버(40)는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차량(10_1 ~ 10_n)은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전자에 의해 운행되는 택시 일 수 있다. 이하에서, 택시는 승객을 목적지까지 태워 주고 그에 대한 대가로 요금을 받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이동 수단을 의미한다.
운영 서버(4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30_1 ~ 30_m)로부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며, 서비스를 수행할 차량을 결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배차 콜을 배차 서버에 전송하고, 배차 서버는 수신된 배차 콜을 복수의 차량(10_1 ~ 10_n )에 전송하며, 복수의 차량(10_1 ~ 10_n )으로부터 배차 콜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콜 배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배차 서버는 콜 배차가 결정되고, 배차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영 서버(40)의 일 예로 배차 서버가 있을 수 있고, 이하 실시예에서 배차 서버로 운영 서버(40)에 대한 특징을 설명한다. 다만,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종류의 서버가 운영 서버(4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WLAN(wireless LAN), SAN(storage area network), CAN(Controller Area Network) 일 수 있으며, LTE(Long Term Evolution, LTE), LTE-A(LTE Advanced),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차량(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을 위해 임의의 하나의 차량(10)이 임의의 하나의 사용자 단말(30) 및 운영 서버(40)와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차량(10)은 ECU(101), 항법 장치(103), 센서 장치(105), 통신부(107), 메모리(109) 및 통합 단말(20)을 포함할 수 있다.
ECU(Electronic Control Unit)(101)는 센서 장치(105)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처리하고, 통합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항법 장치(103)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항법 및 DR(Dead Reckoning) 항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차량(10)의 위치 정보, 즉 GPS 정보를 소정 시간 단위로 획득할 수 있다. GPS 항법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사용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항법이다. DR 항법은 이미 위치를 알고 있는 한 지점을 기준으로 이동체(예를 들어, 차량(10))의 진행 방향 속도 및 방위(또는 자세각)를 사용하여 이동체의 새로운 위치를 계산하는 항법이다.
항법 장치(103)는 GPS 정보가 획득되면, 이를 위치 관리부(20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항법 장치(103)는 위치 관리부(203)로부터 수신되는 맵 매칭 피드백(Map Matching Feedback, MMF) 정보에 기초하여 GPS 정보를 보정하고, 보정된 GPS 정보를 위치 관리부(203)로 전달할 수도 있다.
항법 장치(103)는 GPS 좌표 정보 뿐만 아니라,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GPS 정보에 포함시켜 위치 관리부(203)에 전달할 수도 있다. 항법 장치(103)는 GPS 신호가 소정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으면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후 GPS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센서 장치(105)는 차량(10)의 휠 속도 센서, 방위 센서, 알터네이터 센서, 변속기 센서, 회전 수 센서, 배터리 센서, 및 스티어링 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휠 속도 센서는 차량(10) 바퀴의 회전 속도를 소정 시간 단위로 감지할 수 있다. 휠 속도 센서가 감지한 휠 속도 정보는 시각 정보와 매칭되어 메모리(109)에 저장될 수 있다.
방위 센서는 지자기에 대한 차량의 방위 정보를 소정 시간 단위로 감지할 수 있다. 방위 센서는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위 센서에 의해 감지된 방위 정보는 시각 정보와 매칭되어 메모리(109)에 저장될 수 있다.
알터네이터(Alternator)는 차량(10)의 엔진이 동작할 때 배터리를 충전하여 자동차 전장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알터네이터 센서는 알터네이터의 온/오프(on/off) 여부를 소정 시간 단위로 감지할 수 있다. 알터네이터 센서가 감지한 알터네이터의 on/off 정보는 시각 정보와 매칭되어 메모리(109)에 저장될 수 있다.
변속기 센서는 차량(10) 변속기의 기어 상태를 소정 시간 단위로 감지할 수 있다. 변속기 센서가 감지한 기어 상태 정보는 시각 정보와 매칭되어 메모리(109)에 저장될 수 있다.
회전 수 센서는 차량(10)이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엔진의 회전 수(RPM, Revolutions per minute)를 소정 시간 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수 센서는 차량(10)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모터 회전수를 소정 시간 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회전 수 센서가 측정한 엔진 또는 모터의 회전 수 정보는 시각 정보와 매칭되어 메모리(109)에 저장될 수 있다.
배터리 센서는 차량(10)의 배터리 상태를 소정 시간 단위로 감지할 수 있다. 배터리 센서가 감지한 배터리 상태 정보는 시각 정보에 매칭되어 메모리(109)에 저장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율, 전압, 전류, 온도, SOC(State of Charge), SOH(State of Health)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센서는 차량(10)의 바퀴를 좌우로 움직여 진행 방향을 바꾸는데 쓰는 조향 장치인 스티어링 휠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스티어링 휠 센서가 감지한 스티어링 휠 정보는 메모리(109)에 저장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 정보는 스티어링 휠이 움직인 정도, 스티어링 휠에 존재하는 통화 버튼 및 통화 종료 버튼의 입력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7)는 ECU(101)의 제어 명령 또는 메모리(109)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ECU(101)에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109)는 차량(10)의 각 구성이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통합 단말(20)은 어플리케이션 장치(201), 위치 관리부(203), MICOM(205), API(207), 입출력부(209), 및 메모리(211)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장치(201)는 배차부(2011), 미터기부(2013), 내비게이션부(2015), 및 운행 기록부(2017)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장치(201)는 위치 관리부(203) 또는 센서 장치(105)가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차콜 정보, 운행 요금 정보, 내비게이션 출력 화면 변경 정보, 또는 충전소 안내 정보 등을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차부(2011), 내비게이션부(2015), 미터기부(2013), 및 운행 기록부(2017) 각각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할당된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입출력부(209)에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어플리케이션은 처리 결과가 운영 서버(40)에 전송될 수 있도록 MICOM(205)에 처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MICOM(205)은 ECU(101)를 통해서 또는 직접적으로 통신부(107)를 통해 처리 결과가 운영 서버(40)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배차부(2011)는 배차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30)의 GPS 정보와 차량(10)의 헤딩(Heading) 방향 정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배차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배차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지 여부를 배차콜 정보를 확인한다고 정의한다. 배차콜 정보는 운영 서버(40)로부터 차량(10)의 통신부 및 통합 단말(20)의 MICOM(205)을 통해 배차부(2011)에 전송될 수 있다.
배차부(2011)는 사용자의 탑승 위치가 차량(10)의 헤딩 방향에서 탑승 가능한 위치인 경우, 수신한 배차콜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입출력부(209)에 배차콜 정보를 전송하여 입출력부(209)가 배차콜 정보를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배차부(2011)는 위치 관리부(203)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 및 센서 장치(105)로부터 수신한 차량(10)의 방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차량(10)이 향하는 방향인 헤딩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운전자는 입출력부(209)를 통해 차량 배차 요청에 대한 수락 또는 거절하는 내용의 응답을 입력할 수 있고, 입출력부(209)는 운전자의 입력에 따라 배차콜 응답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배차부(2011)에 전송할 수 있다. 배차부(2011)는 배차콜 응답 정보가 운영 서버(40)로 전송될 수 있도록 MICOM(205)에 배차콜 응답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미터기부(2013)는 위치 관리부(203)가 수집한 GPS 정보 또는 센서 장치(105)가 수집한 휠 속도 정보, 및 알터네이터 정보를 이용해 차량(10)의 운행 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 미터기부(2013)가 사용자 단말(30)의 GPS가 아닌 차량(10)의 항법 장치(103)을 이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고성능의 GPS를 통해 보다 정확한 요금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위치 관리부(203)를 통해 수신되는 GPS 정보를 이용해 통상의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수신된 GPS 정보를 노드와 링크로 구성된 지도 데이터의 특정 위치에 매칭시켜 지도 데이터 상에서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수신된 GPS 정보 및 센서 장치(105)로부터 수신한 차량(10)의 방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해 차량(10)이 향하는 방향인 헤딩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결정된 차량(10)의 현재 위치 및 헤딩 방향을 입출력부(209)를 통해 내비게이션 화면의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에 이르는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경로 탐색이 완료되면, 탐색된 경로 정보를 입출력부(209)를 통해 내비게이션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부(2015)는 차량(10)의 현재 위치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30)의 현재 위치를 내비게이션 화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부(2015)는 사용자 단말(30)의 GPS 정보와, 차량(10)의 GPS 정보 및 헤딩 방향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위치가 차량(10)의 헤딩 방향에서 탑승 가능한 위치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사용자 단말(30)의 위치가 차량(10)의 헤딩 방향에서 탑승 가능한 위치이면, 입출력부(209)를 통해 내비게이션 화면의 탐색된 경로 상에 사용자 단말(3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기어 상태 정보를 이용해 기어가 P단인 경우 차량의 내비게이션 출력 화면을 변경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입출력부(209)에 출력 화면 변경 정보를 전송하여 입출력부(209)가 변경 화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부(2015)는 배터리 정보를 이용해 배터리 충전율이 기 설정된 소정 값 이하인 경우 차량의 내비게이션 출력 화면에 충전소 안내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입출력부(209)에 충전소 안내 정보를 전송하여 입출력부(209)가 충전소 안내 화면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위치 관리부(203)를 통해 수신한 GPS 정보, 또는 지도 데이터에 매칭된 차량(10)의 현재 위치에 기초해, 위치 관리부(203)의 MMF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한 경우, 차량(10)의 GPS 음영 구간 내 주행 거리 및 GPS 음영 구간 내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MMF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부(2015)는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예를 들어, 터널, 지하 차도, 지하 주차장)에 진입하여 소정 거리(예를 들어, 100m)를 주행하기 전까지는 MMF 기능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한 후 소정 거리 이상 주행한 경우에만 MMF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차량(10)의 GPS 음영 구간 내 주행 거리는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을 벗어나면 리셋되고, 차량(10)이 새로운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하면 다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부(2015)는 차량(10)이 진입한 GPS 음영 구간 내에 분기점이 존재하면, 해당 분기점을 기준으로 소정 거리(예를 들어, 100m) 이내에 차량(10)이 위치하면, MMF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MMF 기능이 활성화되면, 경로 정보를 위치 관리부(203)에 전달할 수도 있다.
운행 기록부(2017)는 위치 관리부(203)가 수집한 GPS 정보 또는 센서 장치(105)가 수집한 회전 수 정보를 이용해 차량(10)의 속도, 위치, RPM 등의 운행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운행 기록부(2017)는 DTG(Digital Tacho Graph)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기록부(2017)는 차량(10)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는, RPM 정보를 대체하여 센서 장치(105)로부터 수신한 모터 회전 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 RPM 정보를 대체하여 모터 회전 수 정보를 운행기록으로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치 관리부(203)는 항법 장치(103)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 장치(201)로 전달할 수 있다. 위치 관리부(203)는 MMF 기능이 활성화되면, 맵 매칭을 통해 항법 장치(103)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즉, 위치 관리부(203)는 MMF 기능이 활성화되면, 항법 장치(103)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를 기준으로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지도 데이터 상의 특정 노드 및 링크에 매칭시키고, 매칭 결과에 기초해 보정된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관리부(203)는 또한 MMF 기능에 의해 보정된 GPS 정보를 포함하는 MMF 정보를 항법 장치(103)에 전달할 수 있다. 위치 관리부(203)는 MMF 기능을 사용해 항법 장치(103)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를 기준으로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지도 데이터 상의 특정 노드 및 링크에 매칭시킬 때, 내비게이션부(2015)로부터 수신된 경로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
MICOM(microcomputer)(205)은 ECU(101)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API(207)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장치(201)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MICOM은 ECU(101)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전송될 수 있도록 API(207)를 제어할 수 있다. ECU(101)는 센서 장치(105)가 수집한 정보를 MICOM(205)에 CAN 통신을 통해 전송하고, MICOM(205)은 API(207)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장치(201)에서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수집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MICOM(205)은 수신한 정보를 분류하여 API(207)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할당할 수 있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207)는 ECU(101)와 어플리케이션 장치(201)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CU(101)는 센서 장치(105)가 수집한 정보를 API(207)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장치(201)에 전송할 수 있다.
입출력부(209)는 통합 단말(2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정보를 생성하고, 오디오 신호(또는, 청각과 관련된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또는, 시각과 관련된 신호) 또는 알람 신호 또는 촉각과 관련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209)는 터치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메모리(211)는 통합 단말(20)의 각 구성이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메모리(211)는 내비게이션부(2015) 및 위치 관리부(203)에서 사용되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휴대폰, 스마트 폰 (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의 이동 단말기 일 수 있다. 사용자는 택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승객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플리케이션 장치(201)의 한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구성이 운영 서버(4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은, 차량(10)의 통신부(107)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운영 서버(40)로부터 통신부(107)로 수신된 정보가, ECU(101), MICOM(205), 및 API(207)를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전달되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정보는 API(207), MICOM(205), ECU(101), 및 통신부(107)를 통해 운영 서버(40)에 전송될 수 있다. 다만,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플리케이션 장치(201)와 통신부(107) 간의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위치 정보 획득 장치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차량(10)에 탑재된 항법 장치(103) 및 센서 장치(105), 그리고 통합 단말(20)의 내비게이션부(2015), 위치 관리부(203), 및 메모리(211)를 포함할 수 있다.
항법 장치(103)는 GPS 모듈(1031) 및 DR 모듈(1033)을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1031)은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10)의 위치 정보, 즉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DR 모듈(1033)은 센서 장치(105)의 휠 속도 센서(1051)를 통해 감지된 휠 속도 정보로부터 차량(10)의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방위 센서(1053)를 통해 감지된 방위 정보로부터 차량(10)의 방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DR 모듈(1033)은 차량(10)의 속도 정보 및 방위 정보들을 사용해 GPS 모듈(1031)에 의해 획득된 GPS 정보를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항법 장치(103)는 차량(10)의 GPS 정보가 요구되는 경우, GPS 모듈(1031) 및 DR 모듈(1033)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법 장치(103)는 GPS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서 차량(10)의 GPS 음영 구간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해 GPS 모듈(1031) 또는 DR 모듈(1033)을 사용하여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항법 장치(103)는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이 아닌 개활지를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GPS 모듈(1031)만을 사용하여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항법 장치(103)는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DR 모듈(1033)만을 사용하여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DR 모듈(1033)은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하기 전 GPS 모듈(1031)을 통해 마지막으로 획득된 GPS 정보를 기준으로, 차량(10)의 속도 정보 및 방위 정보를 사용해 차량의 새로운 위치 정보(GPS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DR 모듈(1033)은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한 후 수행되는 첫 번째 계산에서, GPS 신호를 사용하여 산출된 마지막 GPS 정보를 차량(10)의 속도 정보 및 방위 정보를 사용해 보정함으로써 새로운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DR 모듈(1033)은 다음 계산부터 DR 모듈(1033)에 의해 직전에 출력된 GPS 정보를 차량(10)의 속도 정보 및 방위 정보를 사용해 보정함으로써 새로운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항법 장치(103)는 차량(10)이 개활지를 주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GPS 모듈(1031) 및 DR 모듈(1033)을 모두 사용하여 GPS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GPS 모듈(1031)은 수신되는 GPS 신호에 기초해 차량(10)의 GPS 정보를 획득하고, DR 모듈(1033)은 차량(10)의 속도 정보 및 방위 정보에 기초해 GPS 모듈(1031)에 의해 획득된 GPS 정보를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항법 장치(103)는 전술한 바와 같이 GPS 모듈(1031) 및 DR 모듈(1033)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GPS 정보가 획득되면, 이를 위치 관리부(203)에 전달할 수 있다.
DR 모듈(1033)은 위치 관리부(203)로부터 보정된 GPS 정보가 포함된 MMF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사용해 DR 모듈(1033)에 의해 산출된 GPS 정보를 보정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DR 모듈(1033)은 보간법, 평균법 등을 사용하여 DR 모듈(1033)에 의해 계산된 GPS 정보와 위치 관리부(203)로부터 피드백된 GPS 정보로부터 보정된 GPS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DR 모듈(1033)은 센서 장치(105)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에 기초해 DR 모듈(1033)에 의해 계산된 GPS 정보와 위치 관리부(203)로부터 피드백된 GPS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보정된 GPS 정보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항법 장치(103)는 위치 관리부(203)로부터 수신한 MMF 정보에 기초해 보정된 GPS 정보를 다시 위치 관리부(203)에 전달할 수 있다.
위치 관리부(203)는 MMF 모듈(2031)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관리부(203)는 어플리케이션 장치(201)의 내비게이션부(2015)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입력에 기초해 MMF 모듈(2031)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MMF 모듈(2031)이 비활성화된 상태이면, 위치 관리부(203)는 항법 장치(103)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MMF 모듈(2031)을 사용한 보정 없이 내비게이션부(2015)에 전달될 수 있다.
MMF 모듈(2031)이 활성화되면, 위치 관리부(203)는 항법 장치(103)의 DR 모듈(1033)로부터 수신된 GPS 정보를 MMF 모듈(2031)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MMF 모듈(2031)은 메모리(211)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2111)를 사용한 맵 매칭을 통해 수신된 GPS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즉, MMF 모듈(2031)은 지도 데이터(2111) 상의 노드 및 링크들 중 DR 모듈(1033)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가 지시하는 위치와 근접한 노드 및 링크를 매칭시킴으로써, GPS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MMF 모듈(2031)은 내비게이션부(2015)로부터 경로 정보가 수신된 경우, 경로 정보에 기초해 맵 매칭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MF 모듈(2031)은 항법 장치(103)로부터 수신한 GPS 정보를 지도 데이터(2111) 상에 매칭시킬 때, 경로 정보에 포함된 노드 및 링크에 우선적으로 매칭되도록 맵 매칭을 수행할 수도 있다. MMF 모듈(2031)은 맵 매칭을 통해 GPS 정보가 보정되면, 보정된 GPS 정보가 포함된 MMF 정보를 DR 모듈(1033)에 피드백할 수 있다.
MMF 모듈(2031)에 의해 보정된 GPS 정보가 DR 모듈(1033)로 전달된 뒤, DR 모듈(1033)은 전달받은 GPS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위치 관리부(203)는 DR 모듈(1033)에 의해 보정된 GPS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GPS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장치(201)의 내비게이션부(2015)에 전달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위치 관리부(203)를 통해 수신되는 GPS 정보와 메모리(211)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기초해 차량(10)이 터널, 지하 차도, 지하 주차장 등의 GPS 음영 구간에 진입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부(2015)는 센서 장치(105)를 통해 수집된 휠 속도 정보에 기초해 차량(10)의 속도를 결정하고, 이를 토대로 차량(1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한 경우, 차량(10)의 GPS 음영 구간 내 주행 거리 및 GPS 음영 구간 내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MMF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한 이후 GPS 음영 구간 내에서 소정 거리(예를 들어, 100m) 이상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 관리부(203)를 통해 MMF 모듈(2031)을 활성화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또한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 관리부(203)를 통해 MMF 모듈(2031)을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또한 지도 데이터(2111)에 기초해 차량(10)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GPS 음영 구간 내에 분기점이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차량(10)이 진입한 GPS 음영 구간이 분기점을 포함하는 경우, 지도 데이터(2111) 내 매칭된 차량(10)의 현재 위치 및 분기점의 위치에 기초해, 분기점과 차량(10) 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015)는 차량(10)이 터널 또는 지하 차도의 분기점으로부터 소정 거리(예를 들어, 100m) 이내에 위치하면, 위치 관리부(203)를 통해 MMF 모듈(2031)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획득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차량(10)의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항법 장치(103)가 활성화되면(S401), 항법 장치(103)를 통해 획득되는 GPS 정보와 메모리(211)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기초해 차량(10)이 터널, 지하 차도, 지하 주차장 등의 GPS 음영 구간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402).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S402 단계에서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이 아닌 개활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GPS 항법으로 차량(10)의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07). 즉,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항법 장치(103)의 GPS 모듈(1031)을 통해 차량(1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S402 단계에서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에 진입 이후 소정 거리 이상 주행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403). 또한,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차량(10)이 진입한 GPS 구간 내에 분기점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S404), GPS 음영 구간 내에 분기점이 존재할 경우 해당 분기점과 차량(10) 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인지 확인할 수 있다(S405).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S403 단계를 통해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에 진입 후 이동한 거리가 소정 거리(예를 들어, 100m)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DR 항법으로 차량(10)의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08). 즉,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항법 장치(103)의 DR 모듈(1033)을 통해 차량(1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관리부(203)의 MMF 모듈(2031)은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S403 단계를 통해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에 진입 후 소정 거리 이상을 주행한 것으로 확인되더라도, S404 단계를 통해 GPS 음영 구간 내에 분기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S405 단계를 통해 분기점과 차량(10) 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예를 들어, 100m) 이내로 확인되면, DR 항법으로 차량(10)의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08). 이 때도, 위치 관리부(203)의 MMF 모듈(2031)은 비활성화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S403 단계를 통해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에 진입 후 소정 거리 이상을 주행한 것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S404 단계를 통해 GPS 음영 구간 내에 분기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S405 단계를 통해 분기점과 차량(10) 간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더 큰 것으로 확인되면, 위치 관리부(203)의 MMF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S406). 또한,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DR 항법 및 MMF 모듈(2031)을 사용하여 차량(1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GPS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409). 즉,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DR 모듈(1033)로부터 출력되는 GPS 정보를 MMF 모듈(2031)을 사용해 보정하여 DR 모듈(1033)로 피드백한 후, DR 모듈(1033)에서 피드백된 GPS 정보를 사용해 보정된 GPS 정보를 출력하면, 이를 차량(1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GPS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S407, S408 단계, 또는 S409 단계를 통해 GPS 정보가 획득되면,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내비게이션부(2015)를 통해 해당 GPS 정보를 지도 데이터(2111)에 매칭시킴으로써 차량(10)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S410).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차량(10)의 시동이 오프되거나, 항법 장치(103)가 비활성화되거나, 또는 내비게이션부(2015)가 비활성화되기 전까지, 전술한 S402 단계 내지 S410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분기점과 상관없이 MMF 모듈(2031)을 활성하는 경우에 GPS 정보가 획득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분기점을 기준으로 MMF 모듈(2031)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경우에 GPS 정보가 획득되는 예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내비게이션부(2015)의 경로 안내 정보가 분기점에서 램프 차로로 주행하라고 지시하는 상황에서 차량(10)이 직진 차로로 주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다. 도 5에서, MMF 모듈(2031)은 경로 안내 정보에 기초해 DR 모듈(1033)에 의해 계산된 GPS 정보를 직진 차로가 아닌 램프 차로로 보정한다. 따라서, MMF 모듈(2031)으로부터 MMF 정보를 수신한 DR 모듈(1033)은, MMF 모듈(2031)에 의해 보정된 GPS 정보에 기초해 직진 차로와 램프 차로 사이의 지점으로 보정된 GPS 정보를 최종으로 출력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10)의 현 위치 이탈이 발생하게 된다.
도 6은 내비게이션부(2015)의 경로 안내 정보가 분기점에서 램프 차로로 주행하라고 지시하는 상황에서 차량(10)이 직진 차로로 주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도 7은 내비게이션부(2015)의 경로 안내 정보가 분기점에서 직진 차로로 주행하라고 지시하는 상황에서 차량(10)이 램프 차로로 주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에서, MMF 모듈(2031)은 분기점을 기준으로 전후 100m 이내의 구간에서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해당 구간에서는 DR 모듈(1033)에 의해 계산된 GPS 정보가 보정없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 차량(10)이 분기점에서 내비게이션부(2015)의 경로 안내와 다른 차로로 주행하더라도 차량(10)의 GPS 정보가 잘못된 위치를 가리키도록 결정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이 경로를 벗어나더라도 내비게이션부(2015)가 차량(10)이 주행 중인 차로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빠른 경로 재탐색이 가능하며, 현위치 이탈로 인한 불필요한 경로 재탐색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효과 외에도,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획득 장치(300)는 차량(10)이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한 후 소정 구간 동안은 MMF 모듈(2031)을 사용한 GPS 보정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차량(10)이 지하 차도 바로 옆의 지하 주차장에 진입하는 경우에 차량(10)의 GPS 정보를 지하 차도로 맵 매칭 등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차량
101: ECU (Electronic Control Unit)
103:
1031: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1033: DR(Dead Reckoning) 모듈
105: 센서 장치
1051: 휠 속도 센서
1053: 방위 센서
107: 통신부
109: 메모리
20: 통합 단말
201: 어플리케이션 장치
2011: 배차부
2013: 미터기부
2015: 내비게이션부
2017: 운행 기록부
203: 위치 관리부
2031: MMF(Map Matching Feedback) 모듈
205: MICOM (microcomputer)
207: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209: 입출력부
211: 메모리
2111: 지도 데이터
300: 위치 정보 획득 장치
30: 사용자 단말
40: 운영 서버

Claims (20)

  1. 차량의 위치 정보 획득 장치로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사용하는 GPS 항법과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및 방위 정보를 사용하는 DR(Dead Reckoning) 항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제1 GPS 정보를 획득하는 항법 장치,
    상기 제1 GPS 정보와 지도 데이터와의 맵 매칭을 통해 생성된 제2 GPS 정보를 상기 항법 장치에 피드백하는 맵 매칭 피드백 모듈, 그리고
    상기 항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에 기초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은, 상기 차량의 GPS 음영 구간 내 위치 또는 상기 차량의 상기 GPS 음영 구간 내 주행 거리에 따라서 활성화가 제어되며,
    상기 항법 장치는,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1 GPS 정보 및 상기 제2 GPS 정보를 사용해 제3 GPS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GPS 정보 및 상기 제3 GPS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전달하는, 위치 정보 획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은,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한 후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서 소정 거리 이상 주행하면 활성화되며,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을 벗어나면 비활성화되는, 위치 정보 획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 장치는,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에 진입하면 상기 DR 항법을 사용해 상기 제1 GPS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 장치는,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2 GPS 정보를 사용해 상기 제1 GPS 정보를 보정하여 상기 제3 GPS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3 GPS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전달하는, 위치 정보 획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 장치는,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이 비활성화되면, 상기 제1 GPS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에 전달하는, 위치 정보 획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는, 상기 항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와 상기 지도 데이터와의 맵 매칭을 통해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정보 획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는, 상기 항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와 상기 지도 데이터에 기초해 상기 GPS 음영 구간에 대한 상기 차량의 진입 여부 및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서 이동한 거리를 도출하는, 위치 정보 획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은, 상기 GPS 음영 구간 내 분기점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차량과 상기 분기점 간의 거리에 따라서 활성화가 제어되는, 위치 정보 획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은,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 분기점이 존재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비활성화되는, 위치 정보 획득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는, 상기 항법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와 상기 지도 데이터에 기초해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 상기 분기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분기점과 상기 차량 간의 거리를 도출하는, 위치 정보 획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휠 속도 정보 및 방위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항법 장치는, 상기 센서 장치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기초해 상기 차량의 속도 정보 및 방위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PS 음영 구간은, 터널 또는 지하 차도 구간인, 위치 정보 획득 장치.
  13.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위치 정보 획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은 상기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통합 단말 내에 포함되고,
    상기 통합 단말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서비스에 대한 요청에 대해 응답을 제공하는 운영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차량의 운행 상태, 및 상기 사용자의 탑승 위치와 상기 차량의 헤딩(Heading) 방향 정보를 연계한 정보를 이용하여 배차콜 정보의 확인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GPS 정보, 또는 휠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운행 요금을 계산하며, 상기 차량의 기어 상태 정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출력 화면 변경 여부를 판단하는,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차량의 위치 정보 획득 방법으로서,
    GPS 신호를 사용하는 GPS 항법과 차량의 속도 정보 및 방위 정보를 사용하는 DR 항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해 제1 GP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량의 GPS 음영 구간 내 위치 또는 상기 차량의 상기 GPS 음영 구간 내 주행 거리에 따라서, 상기 제1 GPS 정보 및 지도 데이터의 맵 매칭을 통해 제2 GPS 정보를 생성하는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1 GPS 정보 및 상기 제2 GPS 정보를 사용해 제3 GPS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GPS 정보 및 상기 제3 GPS 정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해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획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GP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 위치하면, 상기 DR 항법을 사용해 상기 제1 GP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획득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GP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 외부에 위치하면, 상기 GPS 항법을 사용해 상기 제1 GPS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획득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 위치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서 주행한 거리가 소정 거리 이상이면,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차량이 상기 GPS 음영 구간 외부에 위치하면,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획득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GPS 음영 구간 내 분기점의 존재 여부, 및 상기 차량과 상기 분기점 간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정보 획득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GPS 음영 구간 내에 상기 분기점이 존재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상기 맵 매칭 피드백 모듈을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획득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GPS 정보 및 상기 제3 GPS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지도 데이터의 맵 매칭을 통해, 상기 지도 데이터 상에서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획득 방법.

KR1020220063654A 2022-05-24 2022-05-24 위치 정보 획득 방법, 위치 정보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163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54A KR20230163840A (ko) 2022-05-24 2022-05-24 위치 정보 획득 방법, 위치 정보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7/973,017 US20230408708A1 (en) 2022-05-24 2022-10-25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and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apparatus
JP2022207217A JP2023172860A (ja) 2022-05-24 2022-12-23 位置情報獲得方法、位置情報獲得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タクシー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54A KR20230163840A (ko) 2022-05-24 2022-05-24 위치 정보 획득 방법, 위치 정보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840A true KR20230163840A (ko) 2023-12-01

Family

ID=8902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654A KR20230163840A (ko) 2022-05-24 2022-05-24 위치 정보 획득 방법, 위치 정보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408708A1 (ko)
JP (1) JP2023172860A (ko)
KR (1) KR20230163840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72860A (ja) 2023-12-06
US20230408708A1 (en)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9498B2 (en) Vehicle position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US8958983B2 (en) Method of processing positioning data
US9347784B2 (en)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US20160370471A1 (en) On-board unit and spoofing detecting method
US20160370469A1 (en) On-board unit and spoofing detecting method
CN102197279A (zh) 导航装置和方法
US6349259B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generating apparatus
EP3339807B1 (en) A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vehicle
US1133350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server
US10408621B2 (en) Navigation device for vehicle, method therefor, and navigation system
CN113167592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CN102735243B (zh) 确定导航装置的位置
JP6717115B2 (ja) 位置推定装置
KR20230163840A (ko) 위치 정보 획득 방법, 위치 정보 획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00400438A1 (en) Information collaboration system
CN111198391A (zh) 用于定位车辆的系统和方法
US20220388528A1 (en) Control device, moving body,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0832563B (zh) 信息通信装置和位置管理系统
CN110398243A (zh) 一种车辆定位方法及装置
JP7077068B2 (ja) 案内システムおよび案内プログラム
JP3900962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情報センタ及び車載装置
JP390096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情報センタ及び車載装置
CN104145175B (zh) 导航装置及服务器装置
CN106197443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US202304101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axi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