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585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585A
KR20230162585A KR1020237017069A KR20237017069A KR20230162585A KR 20230162585 A KR20230162585 A KR 20230162585A KR 1020237017069 A KR1020237017069 A KR 1020237017069A KR 20237017069 A KR20237017069 A KR 20237017069A KR 20230162585 A KR20230162585 A KR 20230162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direction
sheet
main body
absorbent article
w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사키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2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0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 A61F13/561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anitary napkins or the like using flaps, e.g. adhesive,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상측의 투액성의 톱 시트와, 하측의 불투액성의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형성된 흡수체를 갖는 본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본체의 양 측부에 각각 사이드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폭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윙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윙이, 주로 상기 백 시트의 일부와 상기 사이드 시트의 일부가 접합되어 이루어지고, 장착시에 상기 윙이 하측으로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시트가, 상기 되접어 꺾임의 접음선을 감싸고, 전후 방향의 양 단 위치를 포함하는 전후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윤상 단면을 갖는 휨부가 형성되고, 상기 휨부의 폭 방향 외단이, 상기 접음선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으로서, 생리용 냅킨, 실금 패드, 분비물 시트 등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의 기본적인 구조로는, 상측 (피부에 대향시키는 측) 의 톱 시트와, 하측 (속옷에 대향시키는 측) 의 백 시트와, 이들 양 시트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본체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주로 측방으로의 체액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본체의 전후 방향의 양 측부에 이간된 1 쌍의 사이드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도 많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사이드 시트는, 부직포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12694호
그런데, 흡수성 물품을 장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본체의 양 측부가 장착자의 양 다리의 내측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양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드 시트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소재의 부드러움 덕분에 양 다리의 내측에서의 위화감은 다소 경감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장착자가 걷거나 달리거나 하여, 다리를 전후로 움직일 경우에는, 본체의 단 가장자리가 다리의 내측에 접촉하여, 스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피부가 약한 장착자에게서는, 위화감이나 통증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피부가 약한 장착자여도, 본체의 측부와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위화감 등이 적은 흡수성 물품의 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본체의 측부와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위화감 등을 저감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상측의 투액성의 톱 시트와, 하측의 불투액성의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형성된 흡수체를 갖는 본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본체의 양 측부에 각각 사이드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폭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윙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윙이, 주로 상기 백 시트의 일부와 상기 사이드 시트의 일부가 접합되어 이루어지고, 장착시에 상기 윙이 하측으로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시트가, 상기 되접어 꺾임의 접음선을 감싸고, 전후 방향의 양 단 위치를 포함하는 전후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윤상 (輪狀) 단면을 갖는 휨부가 형성되고, 상기 휨부의 폭 방향 외단이, 상기 접음선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본체의 측부와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위화감 등을 저감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I-I 선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II-II 선 단면도이다.
도 6 은, 휨부의 형성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III-III 선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7 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IV-IV 선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V-V 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동일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제 1 실시형태>
(흡수성 물품의 기본 구조)
먼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의 기본 구조에 대해서, 생리용 냅킨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 (1) 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2 에, 도 1 의 I-I 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 (1) 은, 상측의 투액성의 톱 시트 (3) 와, 하측의 불투액성의 백 시트 (2) 와, 백 시트 (2) 와 톱 시트 (3)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 (4) 를 구비한 본체 (흡수성 물품 본체) (10) 를 갖는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10) 는 전체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 (1) 의 톱 시트 (3) 측을「상측」, 백 시트 (2) 측을「하측」으로 한다. 즉, 흡수성 물품 (1) 의「상측」은, 장착시에 피부에 대향시키는 측 (피부측 혹은 표측) 이고,「하측」은, 장착시에 속옷에 대향시키는 측 (속옷측 혹은 이측) 이다. 도 1 의 평면도는, 흡수성 물품 (1) 을 상측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물품 (1) 을 장착했을 때에 장착자의 신체의 전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흡수성 물품 (1) 의 전후 방향 D1 로 하고, 이 전후 방향 D1 과 직교하는 방향을 흡수성 물품 (1) 의 폭 방향 D2 로 한다. 본체 (10)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 D1 로 길고 가는 형상을 갖고 있고, 전후 방향 D1 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전후 방향 D1 과 직교하는 폭 D2 로 소정의 폭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본체 (10) 는, 전후 방향 D1 로 연장되는 중심선 (전후 방향 중심선) CL 에 대해서 대략 선 대칭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을 갖고 있지만, 본체 (10) 의 형상은 선 대칭이 아니어도 된다. 또, 흡수성 물품 (1) 및 본체 (10) 의 형상 이외의 구성 (흡수체 (4) 의 두께나 밀도, 압착 홈의 크기 및 위치, 윙이나 플랩의 형상 및 크기 등을 포함한다) 은, 중심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대략 대칭이어도 되고, 비대칭이어도 된다.
백 시트 (2) 는, 적어도 차수성을 갖는 시트여도 되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수지제의 시트여도 된다. 또, 폴리에틸렌 시트 등에 부직포를 적층한 라미네이트 부직포나, 나아가서는 방수 필름을 개재시켜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부직포의 적층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습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투습성을 갖는 것이 사용되는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차수·투습성 시트재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 축 또는 2 축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백 시트 (2) 는, 흡수성 물품 (1) 의 외형 형상과 동일한 외형 형상을 갖는 시트여도 된다.
톱 시트 (3) 는, 경혈, 분비물, 뇨 등의 체액을 신속하게 투과시키는 투액성의 시트로 할 수 있다. 톱 시트 (3) 로는,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및 이것들의 혼방 섬유, 그리고 면 등의 천연 섬유를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부직포의 가공법으로는,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서멀 본드법, 멜트 블론법, 니들 펀치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공법 중, 스펀레이스법은 유연성, 스펀본드법은 드레이프성이 풍부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서멀 본드법은 벌크하고 소프트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융점이 높은 섬유를 코어로 하고, 융점이 낮은 섬유를 시스로 한 코어-시스형 섬유,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섬유, 분할형 섬유 등의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흡수체 (4) 는, 체액을 흡수하여 유지할 수 있는 재료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면상 펄프와 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폴리머로는, 고흡수 폴리머 입상분 (superabsorbent polymer (SAP)), 고흡수 폴리머 섬유 (superabsorbent fiber (SAF)), 및 이것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펄프로는, 목재로부터 얻어지는 화학 펄프, 용해 펄프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화학 펄프의 원료재로는, 활엽수재, 침엽수재 등이 사용되지만, 섬유 길이가 긴 것 등으로부터 침엽수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흡수체 (4) 에는 합성 섬유를 혼합해도 된다. 합성 섬유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및 이것들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이 중 2 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융점이 높은 섬유를 코어로 하고, 융점이 낮은 섬유를 시스로 한 코어-시스형 섬유,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섬유, 분할형 섬유 등의 복합 섬유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수성 섬유를 친수화제로 표면 처리하여, 체액에의 친화성을 부여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흡수체 (4) 는, 적섬 또는 에어 레이드법에 의해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 (4) 는, 말림이나 균열의 방지 또는 폴리머 입자의 흘러 넘침 등의 방지를 위해서, 착색 또는 무착색 (백색) 의 크레이프지,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피포 (被包) 시트에 의해서 감싸여 있어도 된다. 또, 흡수체의 두께는, 0.5 ∼ 25 ㎜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 (4) 의 두께는,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지 않아도 되고, 체액 배출구 대향부 및 그 주변을 팽출시킨 구조로 할 수도 있다.
흡수체 (4)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백 시트 (2) 및 톱 시트 (3) 로부터 적어도 전후 방향 D1 로 비어져 나오지 않는 형상 및 크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전후 방향 D1 의 양 단 테두리에 있어서는, 백 시트 (2) 의 가장자리부와 톱 시트 (3) 의 가장자리부가, 접착제, 히트 시일 등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또, 흡수체 (4) 전체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백 시트 (2) 로부터 비어져 나오지 않는 형상 및 크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톱 시트 (3) 는, 흡수체 (4) 를 폭 방향 D2 로 덮고 있지 않아도 되지만, 흡수체 (4) 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 및 배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윙 및 사이드 시트)
흡수성 물품 (1) 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10) 의 측방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1 쌍의 윙 (W, W) 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윙 (W, W) 의 하측 (백 시트측) 에는 점착부 (도시 생략) 가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장착시에 윙 (W, W) 을 하측으로 (속옷의 이측으로) 되접어, 점착부에 의해서 속옷에 고정시킴으로써, 흡수성 물품 (1) 전체가 어긋나거나 말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쌍의 윙 (W, W) 이 형성되어 있는 전후 방향 D1 에서의 위치는, 장착시에 장착자의 체액 배출구에 대향하는 체액 배출구 대향부 (Q), 및 그 전후 방향에 걸치는 영역이어도 된다. 달리 말하면, 전후 방향 D1 에서 보았을 때, 본체 (10) 와 윙 (W) 의 경계선 (11) 에 있어서의 윙 (W) 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의 범위 내에, 체액 배출구 대향부 (Q) 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형태에서는, 본체 (10) 의 양 측부, 즉 폭 방향 D2 의 양 단부의 상측 (톱 시트 (3) 측) 에는, 전후 방향 D1 에 걸쳐서 1 쌍의 사이드 시트 (7, 7) 가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는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사이드 시트에 사용되는 부직포는, 발수 처리 또는 친수 처리, 바람직하게는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발수 처리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발수제, 파라핀계 발수제 등의 코팅이어도 된다. 발수 처리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경혈, 분비물, 뇨 등의 체액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직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에어 스루법, 스펀레이스법, 스펀본드법, 멜트 블론법, 니들 펀치법에 의해서 얻어진 부직포여도 되지만, 휨부 (이후에 상세히 서술) 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접히는 경향이 잘 일어나지 않고, 잘 주름지지 않으며 부드러운 에어 스루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및 이것들의 혼방 섬유, 그리고 면 등의 천연 섬유를 들 수 있다. 이들 섬유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 (7, 7) 는, 그 일부가 폭 방향 D2 의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폭 방향 D2 로 연장된 백 시트 (2) 의 부분과 접합되어, 1 쌍의 윙 (W, W) 을 형성하고 있다. 사이드 시트 (7) 와 백 시트 (2) 의 접합은, 접착제,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등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윙 (W, W) 의 외연에, 접합 강도 및 강성을 높이는 목적에서, 도트상 또는 별도 형상의 압착부 (엠보스)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사이드 시트 (7, 7) 는 각각, 1 장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지만, 사이드 시트 (7)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부직포를 2 장 이상 중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4 에, 흡수성 물품 (1) 을 속옷 (도시 생략) 에 장착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5 에, 도 4 의 II-II 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윙 (W, W) 은, 본체 (10) 와 윙 (W) 사이에 속옷 (S) 을 끼우도록, 하측으로 되접어 꺾을 수 있다. 그 때 되접어 꺾임시에 형성되는 접음선 (백 시트가 되접어 꺾이는 접음선) (15) 은, 반드시 본체 (10) 와 윙 (W) 의 경계선 (11) 을 따라서 존재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경계선 (11) (도 2) 보다 폭 방향 D2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 경계선 (11) 보다 폭 방향 D2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휨부)
본 형태에서는, 사이드 시트 (7) 는, 전체 면에 걸쳐서 그 하측에 배치된 구성 요소 (백 시트 (2) 등) 에 접합되어 있지 않고,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지 않는 영역을 갖는다. 즉, 사이드 시트 (7) 는, 그 하측에 배치된 구성 요소에 접합하고 있는 접합부와, 접합하고 있지 않는 비접합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 및 도 2 의 예에서는, 사이드 시트 (7) 는, 본체 (10) 의 톱 시트 (3) 에 접합되어 있는 내측 접합부 (21) 와, 윙 (W) 에 있어서 백 시트 (2) 에 접합되어 있는 외측 접합부 (22) 와, 내측 접합부 (21) 와 외측 접합부 (22)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본체 (10) 및/또는 백 시트 (2) 에 접합되어 있지 않는 비접합부 (23) 를 갖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사이드 시트 (7) 의 비접합부 (23) 는, 상방으로 팽창되도록 이완시켜 배치되어, 중공의 휨부 (25)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도 2 의 부분 확대도 (사이드 시트 (7) 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확대도) 를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사이드 시트 (7) 의 비접합부 (23) 의 팽창 (이완), 즉 휨부 (25) 는, 사이드 시트 (7) 의 비접합부 (23) 의 폭 방향 D2 의 길이 (사이드 시트 (7) 중 접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폭 방향 D2 의 길이) a 를, 내측 접합부 (21) 의 폭 방향 D2 외단과 외측 접합부 (22) 의 폭 방향 D2 내단 사이의 거리 b 보다 길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전후 방향 중심선 CL 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휨부 (25, 25) 는, 장착시에 1 쌍의 윙 (W, W) 이 속옷 (S) 의 이측으로 되접어 꺾이면,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 D2 외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휨부 (25, 25) 는, 윙 (W, W) 의 되접어 꺾임선 (15, 15) 을 폭 방향 D2 외방으로 넘어가 형성되어 있다. 즉, 윙 (W, W) 이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는, 휨부 (25, 25) 의 폭 방향 D2 외단 (28, 28) 은, 윙 (W, W) 의 되접어 꺾임선 (15, 15) 보다 폭 방향 D2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휨부 (25, 25) 는 중공이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 D2 에서 절단된 단면이 윤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윤상」이란, 직선을 1 회의 굽힘으로 둥글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만곡선의 형상이고, 부분 원 또는 부분 타원이어도 된다.
또한, 휨부 (25) 의 고리의 형태로는, 사이드 시트 (7) 의 비접합부 (23) 가 실질적으로 단독으로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비접합부 (23) 와 톱 시트 (3) 및/또는 백 시트 (2) 에 의해서 고리를 형성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어느 경우여도, 다리부에 접촉하는 것은, 사이드 시트 (7) 의 비접합부 (23) 가 된다. 또 윤상에는, 이른바 루프상 (내부가 중공상) 으로 되어 있는 경우와, 장착 전의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중공이 일그러져 있지만),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중공상이 될 수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단, 이후에 있어서도 상세히 서술하겠지만, 본 형태에 있어서의 휨부 (25) 는,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 중공상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어, 단부나 중앙부에 있어서 중공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접합되어 있는 경우는 없다.
이와 같이, 윙 (W, W) 을 되접어 꺾은 상태에서, 윙 (W, W) 의 되접어 꺾임선 (15, 15) 이 사이드 시트 (7, 7) 에 의해서 감싸이고, 휨부 (25, 25) 가 폭 방향 D2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장착시에, 장착자의 다리의 사타구니의 내측에는, 휨부 (25, 25) 가 접촉하게 되고, 되접어 꺾임선 (15, 15) 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휨부 (25, 25) 는 중공이고 탄력을 갖기 때문에, 접촉했을 때에 장착자가 느낄 수 있는 감촉은 부드러워, 위화감이 적다. 종래의 휨부 (25, 25) 가 없는 형태에서는, 윙 (W, W) 의 되접어 꺾임선 (15, 15) 이 다리의 사타구니의 내측에 직접 접촉했었지만, 되접어 꺾임선 (15, 15) 및 그 근접 부분은 강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델리케이트한 다리의 사타구니의 내측의 피부에 위화감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형태에 의하면, 다리가 직접 접촉하는 것은 유연한 휨부 (25, 25) 이고, 장착자의 다리와 되접어 꺾임선 (15, 15) 의 접촉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쾌적한 장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장착자의 보행시 또는 주행시, 즉 장착자가 다리를 전후로 움직인 경우여도, 탄력이 있고 부드러운 휨부 (25, 25) 가, 다리로부터의 힘에 대해서 변형될 수 있고, 어느 정도 추종할 수 있기 때문에, 스침에 의한 위화감이나 통증이 잘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휨부 (25, 25) 는, 전후 방향 D1 의 양 단 위치를 포함하는 전후 방향 D1 의 임의의 위치에서 윤상 단면을 갖는다. 즉, 휨부 (25, 25) 는, 전후 방향 D1 의 중앙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 D1 의 양 단에 있어서도 윤상의 단면을 갖고 있다. 달리 말하면, 휨부 (25, 25) 는, 전후 방향 D1 에 걸쳐서 연속하는 윤상의 단면을 갖고 있고, 이른 바 통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휨부 (25, 25) 의 윤상의 형상은, 전후 방향 D1 에 걸쳐서 변화되어 있어도 되고, 즉 윤상의 만곡 정도나 고리의 크기가 도중에서 변경되어 있거나 해도 되지만, 전후 방향 D1 에 걸쳐서, 휨부 (25, 25) 의 중공이 유지되어 있다. 휨부 (25, 25) 에는, 일그러져 있거나, 휨부 (25, 25) 의 고리의 내면끼리가 접합되어 있거나 하는 지점이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도 1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 (7, 7) 의 비접합부 (23, 23) 가 전후 방향에 걸쳐서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부터도 명확하다.
휨부 (25, 25) 가, 예를 들어 그 전후에서 일그러지고, 일그러진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고정 상태가, 휨부 (25, 25) 의 전후 방향 D1 의 중앙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면, 휨부 (25, 25) 가 플렉시블하게 움직이기가 어려워져, 휨부 (25, 25) 의 유연성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비해서, 휨부 (25, 25) 가, 전후 방향 D1 의 양 단 위치를 포함하는 전후 방향 D1 의 임의의 위치에서 윤상 단면을 갖는 본 형태에서는, 휨부 (25, 25) 의 전후 방향 D1 의 전체에 걸쳐서, 휨부의 탄력이나 부드러움이 유지된다. 그 때문에, 장착자가 다리를 전후로 크게 움직인 경우여도, 전후 방향 D1 에 걸쳐서 휨부 (25, 25) 의 기능이 발휘되어, 스침에 의한 위화감 등이 저감된다.
윙 (W, W) 이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윙 (W, W) 의 되접어 꺾임선 (접기 위치) (15, 15) 으로부터, 휨부 (25, 25) 의 폭 방향 D2 의 외단 (28, 28) 까지의 폭 방향 D2 의 길이 C1 (도 5) 은, 1 ∼ 10 ㎜ 정도여도 된다. 상기 길이 C1 은, 흡수성 물품 (1) 을 속옷 (S) 에 장착하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측정한 길이이다.
상기한 길이 C1 은, 휨부 (25) 에 사용되는 사이드 시트 (7) 의 두께, 강성 등에도 의존하지만, 휨부 (25) 의 크기는, 사용되는 사이드 시트 (7) 의 비접합부 (23) 의 폭 방향 D2 의 길이 a 와, 내측 접합부 (21) 와 외측 접합부 (22) 의 폭 방향 D2 의 거리 b 의 관계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다 (도 3). 적당한 휨부 (25) 를 얻으려면, 예를 들어, 윙 (W) 이 펼쳐진 상태에서, 비접합부 (23) 의 폭 방향 D2 의 길이 a 와, 내측 접합부 (21) 와 외측 접합부 (22) 의 폭 방향 D2 의 거리 b 의 차 (a - b) 를, 바람직하게는 5 ∼ 10 ㎜ 로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본 형태에서 사용되는 사이드 시트 (7, 7) 로서, 휨부 (25, 25) 가 없는 종래의 구성을 제작하기 위한 사이드 시트보다, 폭 방향 D2 의 길이가 긴 것을 사용한다. 도 6 에, 흡수성 물품 (1) 의 제작 단계에서, 평탄한 사이드 시트 (7) 를 본체에 중첩한 상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윙의 일부를 구성하는 백 시트 (2) 보다 폭 방향 D2 로 길이 d 만큼 긴 사이드 시트 (7) 를 사용한다. 그리고, 사이드 시트 (7) 의 비접합부 (23) 를 휘게 하면서, 내측 접합부 (21) 및 외측 접합부 (22) 를, 그 아래에 배치된 본체 (10) 의 구성 요소에 접합시킨다 (도 2 및 도 3). 또한, 길이 d 는, 비접합부 (23) 의 폭 방향 D2 의 길이 a 와, 내측 접합부 (21) 와 외측 접합부 (22) 의 거리 b 의 차 (a - b) 에 동등해질 수 있다.
비접합부 (23) 의 폭 방향 D2 의 길이 a (도 3) 는 5 ∼ 20 ㎜ 여도 된다. 길이 a 를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휨부 (25) 의 적절한 크기를 확보할 수 있고, 다리를 전후로 움직였을 때에도 휨부 (25) 가 다리의 움직임에 어느 정도 추종할 수 있어, 휨부 (25) 가 과도하게 커지는 것에 의한 위화감도 방지할 수 있다. 또, 내측 접합부 (21) 와 외측 접합부 (22) 의 폭 방향 D2 의 거리 b 는 3 ∼ 15 ㎜ 여도 된다. 거리 b 를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유연성이 있는 윤상 단면을 갖는 휨부 (25) 를 형성할 수 있다.
폭 방향 D2 에서, 휨부 (25) 가 형성되는 위치 (비접합부 (23) 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 는, 장착시에 휨부 (25) 를 폭 방향 D2 외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면 한정되지 않지만, 평면에서 보았을 때, 흡수체 (4) 보다 폭 방향 D2 외방이면 바람직하고, 흡수체 (4) 보다 폭 방향 D2 에서 2 ㎜ 이상 외방에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각 사이드 시트 (7) 는, 면 방향으로 연장시킨 1 장의 시트여도 되지만, 예를 들어 폭 방향 D2 의 단부가 되접어 꺾여 있어도 된다. 그러나, 도 1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이드 시트 (7) 의 폭 방향 D2 의 내단부 (7i) 는, 하측으로도 상측으로도 되접어 꺾여 있지 않고, 폭 방향 D2 의 내방을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시와 같은 되접어 꺾임이 없는 심플한 구성에서는, 휨부 (25) 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되접어 꺾임 등에 의한 시트의 적층에 의해서 유연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사이드 시트 (7) 의 폭 방향 D2 의 내단부 (7i) 가 하측으로 되접어 꺾이고, 되접어 꺾이기 전에 사이드 시트 (7) 의 상측을 향하고 있는 면이, 그 아래의 구성 요소에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착시에 윙 (W, W) 을 되접어 꺾었을 때에, 휨부 (25) 가 상방으로 돌출되기 쉬워지고, 폭 방향 D2 외방으로 향하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본 형태에 의하면, 휨부 (25) 는, 자연스럽게 폭 방향 D2 외방으로 돌출되어, 접음선 (15) 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휨부 (25) 에는, 실 고무나 신축성 시트 등의 신축성 부재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휨부 (25) 를 부직포 등의 시트로 형성함으로써, 피부에 접촉했을 때의 위화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7 에,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 (201) 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8 에, 도 7 의 III-III 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인 구성, 및 얻어지는 기본적인 효과는 동일하다. 흡수성 물품 (201) 에 있어서도, 본체 (10) 의 양 측부에 각각 사이드 시트 (207, 207) 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사이드 시트 (207) 의 내측 접합부 (221) 및 외측 접합부 (222) 는, 그 하측의 구성 요소와 접합되어 있는 한편, 내측 접합부 (221) 와 외측 접합부 (222) 사이에는 비접합부 (223) 가 형성되어 있다. 비접합부 (223) 는, 그 하측의 구성 요소 (백 시트 (2)) 로부터 들떠 올라 있고, 이로 인해서 휨부 (225) 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휨부 (225, 225) 의 위치가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고, 그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휨부 (225, 225) 는, 제 1 실시형태의 휨부 (25, 25) 보다 약간 폭 방향 D2 외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휨부 (225, 225) 는, 본체 (10) 와 윙 (W) 의 경계선 (11) 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단, 휨부 (225) 는, 적어도 윙 (W) 의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경계선 (11) 을 넘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달리 말하면, 본 형태에서는, 사이드 시트 (207) 의 비접합부 (223) 가, 윙 (W) 의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사이드 시트 (207) 의 내측 접합부 (221) 의 폭 방향 D2 외단이, 본체 (10) 와 윙 (W) 의 경계선 (11) 을 넘지 않으며, 또한 사이드 시트 (207) 의 외측 접합부 (222) 의 폭 방향 D2 내단이 윙 (W) 의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9 에, 장착시에 1 쌍의 윙 (W, W) 을 되접어 꺾은 상태의 흡수성 물품 (201) 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0 에 도 9 의 IV-IV 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본 예에서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접기 방법과 달리, 본체 (10) 와 윙 (W, W) 의 경계선 (11, 11) 에서 윙 (W, W) 이 각각 되접어 꺾여 있다. 즉, 본 형태의 윙 (W, W) 의 되접어 꺾기 방법에 의하면, 접음선 (215, 215) 이, 각각 경계선 (11, 11) 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접음선 (215) 이 형성되는 위치는, 경계선 (11) 보다 폭 방향 D2 외측이어도 되고, 제 1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접기 방법 (도 4 및 도 5) 과 같이 경계선 (11) 보다 폭 방향 D2 내측이어도 된다.
도 7 ∼ 도 10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휨부 (225, 225) 의 위치가 제 1 실시형태보다 폭 방향 D2 외방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1 쌍의 윙 (W, W) 을 속옷 (S) 의 하측으로 되접어 꺾었을 때, 휨부 (225, 225) 가 상방으로 솟아 오르는 경향이 억제되고, 보다 폭 방향 D2 외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 (1) 의 본체 (10) 에 대해서 폭 방향 D2 에 맞닿는 경우가 많은 다리의 사타구니의 내측과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위화감 등의 경감한다는, 휨부 (225, 225) 의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서도, 윙 (W, W) 이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윙 (W, W) 의 되접어 꺾임선 (접기 위치) (215, 215) 로부터, 휨부 (225, 225) 의 폭 방향 D2 의 외단 (228, 228) 까지의 폭 방향 D2 의 길이 C2 (도 10) 는 1 ∼ 10 ㎜ 정도여도 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11 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 (301) 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 도 12 에, 도 11 의 V-V 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흡수성 물품 (301) 의 기본적인 구성, 및 얻어지는 기본적인 효과는, 제 1 실시형태 (도 1 ∼ 도 5) 및 제 2 실시형태 (도 7 ∼ 도 10) 와 동일하다. 흡수성 물품 (301) 에 있어서도, 본체 (310) 의 양 측부에 사이드 시트 (307, 307) 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윙이 없는 점에서 상이하다. 윙이 없기 때문에, 백 시트 (302) 는, 측방으로의 연장 부분이 없는, 본체 (310) 와 거의 동일한 가늘고 긴,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 사이드 시트 (307, 307) 도, 측방으로의 연장 부분이 없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시트 (307, 307) 는 각각, 본체 (310) 의 폭 방향 D2 의 단 가장자리 (폭 방향 D2 의 외단) (311, 311) 를 감싸도록 접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사이드 시트 (307) 의 접합부 (321a) 가 본체 (310) 의 상측의 구성 요소 (본 예에서는 톱 시트 (3)) 에 접합되고, 접합부 (321b) 가 본체 (310) 의 하측의 구성 요소 (본 예에서는 백 시트 (2)) 에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시트 (307) 의 접합부 (321a) 와 접합부 (321b) 사이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접합되어 있지 않는 비접합부 (323) 로 되어 있다. 이 사이드 시트 (307) 의 비접합부 (323) 는, 팽창되도록 이완시켜 배치되고, 이로써, 중공의 휨부 (325)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휨부 (325) 는, 본체 (310) 의 폭 방향 D2 의 단 가장자리 (311) 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장착시에 다리의 사타구니의 내측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은, 본체 (310) 의 폭 방향 D2 의 단 가장자리 (311) 가 아니라, 휨부 (325) 가 된다. 본체 (310) 의 폭 방향 D2 의 단 가장자리 (311) 로부터 휨부 (325) 의 폭 방향 D2 의 외단 (328) 까지의 폭 방향 D2 의 길이 C3 (도 11) 은 1 ∼ 10 ㎜ 정도여도 된다.
휨부 (325) 는, 폭 방향 D2 를 따른 단면에서 보았을 때 윤상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형태에서는, 윤상의 단면은, 휨부 (325) 와 백 시트 (302) 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지만, 휨부 (325) 단독으로 윤상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휨부 (325) 는, 흡수성 물품 (1) 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탄성 및 유연성이 높고, 흡수성 물품 (1) 의 양 측부가 장착자의 다리의 사타구니의 내측의 피부에 접촉했을 경우, 위화감이 적고, 나아가서는 장착자의 보행 중 등에 다리의 내측의 피부와 서로 스쳤을 경우여도 위화감이나 통증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또, 본 형태에서도, 휨부 (325) 의 윤상 단면은, 전후 방향 D1 의 양 단 위치를 포함하는 전후 방향 D1 의 임의의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휨부 (325) 의 탄성 및 유연성은, 전후 방향 D1 에 걸쳐서 유지되고, 흡수성 물품 (1) 의 속옷에의 장착 위치가 다소 전후로 어긋났다고 해도, 휨부 (325) 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양태를 기재한다.
(부기 1)
부기 1 에 관련된 양태는, 상측의 투액성의 톱 시트와, 하측의 불투액성의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형성된 흡수체를 갖는 본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본체의 양 측부에 각각 사이드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폭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윙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윙이, 주로 상기 백 시트의 일부와 상기 사이드 시트의 일부가 접합되어 이루어지고, 장착시에 상기 윙이 하측으로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시트가, 상기 되접어 꺾임의 접음선을 감싸고, 전후 방향의 양 단 위치를 포함하는 전후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윤상 단면을 갖는 휨부가 형성되고, 상기 휨부의 폭 방향 외단이, 상기 접음선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부기 1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윙이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사이드 시트가 윙의 되접어 꺾임선을 감싸는, 윤상 단면을 갖는 휨부가 형성된다. 또, 휨부의 폭 방향 외단은, 윙의 되접어 꺾임선보다 외방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장착 중, 장착자의 다리의 내측에는, 윙의 되접어 꺾임선이 직접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사이드 시트에 의해서 형성된 휨부가 접촉하게 된다. 휨부는 윤상 단면을 갖는 중공이기 때문에, 탄력이 있고 유연한 점에서, 다리의 내측에 접촉했을 때의 감촉은, 휨부가 없는 윙의 되접어 꺾임선이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비해서 양호하다. 또, 다리를 전후로 움직인 경우여도, 휨부가 어느 정도 다리의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기 때문에, 스침에 의한 위화감이나 통증이 발생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휨부는, 전후 방향의 양 단 위치를 포함하는 전후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윤상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휨부는, 전후 방향의 양 단에 있어서도 윤상의 단면을 유지하고 있어, 휨부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서 휨부가 일그러져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휨부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서, 휨부의 고리의 내면끼리가 접합되어 있는 형태에 비해서, 휨부의 전후 방향 전체에 걸쳐서 탄성 및 유연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다리를 전후로 크게 움직인 경우여도, 스침에 의한 위화감 등을 저감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부기 2)
부기 2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사이드 시트가, 폭 방향 내측에서 상기 본체와 접합되어 있는 내측 접합부와, 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백 시트와 접합되어 있는 외측 접합부와, 상기 내측 접합부와 상기 외측 접합부 사이의 비접합부를 갖고, 상기 비접합부의 폭 방향 길이가, 상기 1 쌍의 윙이 펼쳐진 상태에서의 상기 내측 접합부의 폭 방향 외단과 상기 외측 접합부의 폭 방향 내단의 거리보다 5 ∼ 10 ㎜ 길다.
상기 부기 2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적절한 크기의 휨부를 형성할 수 있다. 휨부에 충분한 탄성 및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휨부가 과도하게 커져 휨부 자체가 위화감의 원인이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부기 3)
부기 3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휨부가 상기 윙 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부기 3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휨부가, 본체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보다 측방 (폭 방향 외방)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시에, 휨부를 보다 확실하게 측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다리의 내측과의 접촉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위화감 등의 저감이라는, 휨부의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다.
(부기 4)
부기 4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측의 투액성의 톱 시트와, 하측의 불투액성의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형성된 흡수체를 갖는 본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본체의 양 측부에 각각 사이드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시트가,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외단을 감싸도록 하측 및 상측에서 상기 본체에 접합되며, 전후 방향의 양 단 위치를 포함하는 전후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윤상 단면을 갖는 휨부가 형성되고, 상기 휨부의 폭 방향 외단이, 상기 본체의 상기 폭 방향 외단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부기 4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부기 1 에 관련된 양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윙이 없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부기 5)
부기 5 에 관련된 양태에서는, 상기 사이드 시트의 폭 방향 내단부가, 적어도 하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지 않다.
상기 부기 5 에 관련된 양태에 의하면, 사이드 시트의 폭 방향의 내방의 단부가 하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지 않음으로써, 휨부는 상방으로 솟아 오르기보다, 측방 (폭 방향 외방) 으로 돌출되는 경향이 강해진다. 그 때문에, 휨부의 탄성 및 유연성을, 본체의 측방에서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청에 2021년 3월 3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21-05775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그 전체 내용을 참조에 의해서 여기에 원용한다.
1, 201, 301 : 흡수성 물품
2, 302 : 백 시트
3 : 톱 시트
4 : 흡수체
7, 207, 307 : 사이드 시트
10, 310 : 본체 (흡수성 물품 본체)
11, 311 : 본체의 폭 방향 외단
15, 215 : 되접어 꺾임선
21, 221 : 내측 접합부
22, 222 : 외측 접합부
23, 223, 323 : 비접합부
25, 225, 325 : 휨부
28, 228, 328 : 휨부의 폭 방향 외단
321a, 321b : 접합부
CL : 전후 방향 중심선
D1 : 전후 방향
D2 : 폭 방향
Q : 체액 배출구 대향 영역
W : 윙

Claims (5)

  1. 상측의 투액성의 톱 시트와, 하측의 불투액성의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형성된 흡수체를 갖는 본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본체의 양 측부에 각각 사이드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폭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윙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윙이, 주로 상기 백 시트의 일부와 상기 사이드 시트의 일부가 접합되어 이루어지고,
    장착시에 상기 윙이 하측으로 되접어 꺾인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시트가, 상기 되접어 꺾임의 접음선을 감싸고, 전후 방향의 양 단 위치를 포함하는 전후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윤상 단면을 갖는 휨부가 형성되고,
    상기 휨부의 폭 방향 외단이, 상기 접음선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가, 폭 방향 내측에서 상기 본체와 접합되어 있는 내측 접합부와, 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백 시트와 접합되어 있는 외측 접합부와, 상기 내측 접합부와 상기 외측 접합부 사이의 비접합부를 갖고,
    상기 비접합부의 폭 방향 길이가, 상기 1 쌍의 윙이 펼쳐진 상태에서의 상기 내측 접합부의 폭 방향 외단과 상기 외측 접합부의 폭 방향 내단의 거리보다, 5 ∼ 10 ㎜ 긴,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휨부가, 상기 윙 내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상측의 투액성의 톱 시트와, 하측의 불투액성의 백 시트와, 상기 톱 시트와 상기 백 시트 사이에 형성된 흡수체를 갖는 본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본체의 양 측부에 각각 사이드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시트가,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외단을 감싸도록 하측 및 상측에서 상기 본체에 접합되고, 전후 방향의 양 단 위치를 포함하는 전후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서 윤상 단면을 갖는 휨부가 형성되고,
    상기 휨부의 폭 방향 외단이, 상기 본체의 상기 폭 방향 외단보다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의 폭 방향 내단부가, 적어도 하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지 않는, 흡수성 물품.
KR1020237017069A 2021-03-30 2021-11-25 흡수성 물품 KR202301625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57751A JP2022154630A (ja) 2021-03-30 2021-03-30 吸収性物品
JPJP-P-2021-057751 2021-03-30
PCT/JP2021/043294 WO2022208995A1 (ja) 2021-03-30 2021-11-25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585A true KR20230162585A (ko) 2023-11-28

Family

ID=83458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069A KR20230162585A (ko) 2021-03-30 2021-11-25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30381031A1 (ko)
EP (1) EP4316440A1 (ko)
JP (1) JP2022154630A (ko)
KR (1) KR20230162585A (ko)
CN (1) CN116472014A (ko)
BR (1) BR112023012659A2 (ko)
TW (1) TW202237047A (ko)
WO (1) WO202220899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694A (ja) 2004-04-28 2005-11-10 Kao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2237B (en) * 1991-09-27 1996-04-19 Mcneil Ppc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pre-formed gaskets.
JPH07299093A (ja) * 1994-05-10 1995-11-14 Uni Charm Corp 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5390946B2 (ja) * 2009-06-09 2014-0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32455B2 (ja) * 2016-01-29 2017-11-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21057751A (ja) 2019-09-30 2021-04-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超音波装置、及び超音波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694A (ja) 2004-04-28 2005-11-10 Kao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54630A (ja) 2022-10-13
EP4316440A1 (en) 2024-02-07
CN116472014A (zh) 2023-07-21
WO2022208995A1 (ja) 2022-10-06
TW202237047A (zh) 2022-10-01
BR112023012659A2 (pt) 2023-10-03
US20230381031A1 (en)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82675B (zh) 吸收性物品
KR102636768B1 (ko) 흡수성 물품
CN105455963B (zh) 短裤型一次性尿布
JP5210447B1 (ja) 使い捨ておむつ
JP5024915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KR20170063603A (ko) 일회용 기저귀
WO2018021144A1 (ja) 吸収性物品
JP4492960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N105287109B (zh) 吸收性物品
JP2018114131A (ja) 使い捨ておむつ
EP3643278A1 (en) Absorbent article
JP6228794B2 (ja) テープ式使い捨て紙おむつ
JP4546104B2 (ja) 吸収性物品及びインナー吸収性物品
EP3643281B1 (en) Absorbent article
AU2003235342C1 (en) Panty type diaper
JP2018138065A (ja) 吸収性物品
WO2023074193A1 (ja) 吸収性物品
KR20230162585A (ko) 흡수성 물품
JP6335558B2 (ja) 使い捨て紙おむつ
JP2008079745A (ja) 生理用ショーツ
JP7157594B2 (ja) 吸収性物品
JP6051789B2 (ja) 使い捨ておむつ及び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JP7194585B2 (ja) 吸収性物品
JP2011067245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7091106B2 (ja) 脇用汗取りパッ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