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581A -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581A
KR20230162581A KR1020230154988A KR20230154988A KR20230162581A KR 20230162581 A KR20230162581 A KR 20230162581A KR 1020230154988 A KR1020230154988 A KR 1020230154988A KR 20230154988 A KR20230154988 A KR 20230154988A KR 20230162581 A KR20230162581 A KR 20230162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point
mouse
center mode
moved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4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230154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2581A/ko
Publication of KR20230162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58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조작에 사용되는 키보드에 있어서, 키보드에 미리 정해진 버튼의 조작에 의해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써,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화상표현이 인식되면 마우스 포인트의 현재 위치에 상관 없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위치로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하는 단계(S101); 미리 설정된 모니터 화면의 위치로 이동한 마우스 포인트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포인트임을 알리면서 미리 정한 위치로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했다는 소리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102); 컴퓨터 사용자는 미리 설정한 위치로 이동한 마우스 포인트를 자신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시켜 신속한 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단계(S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이다.
[색인어]
컴퓨터 카메라, 마우스 포인트, 모니터 화면, 마우스 포인트 위치, 화상인식

Description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Mouse point center mode using camera recognition}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트에 대해 컴퓨터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에 미리 정해진 화상표현을 입력하면 모니터에 중앙에 마우스 포인트가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는 키보드에 의해서 텍스트가 입력이 되고 마우스에 의해서 일정한 작업을 수행할 위치가 지정이 된다. 옛날에는 모니터의 화면이 작아서 마우스의 포인트의 위치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별로 없었다. 그러나 지금은 일반적으로 32인치 크기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그 이상의 모니터 크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기술이 발달하여 여러 개의 모니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실제로 처다 보면서 작업해야 할 모니터의 크기는 훨씬 켜지고 있다. 따라서 마우스를 움직일 때 적용하는 DPI의 값이 켜져서 마우스를 일정하게 움직일 때 실제 마우스 포인트가 모니터 화면상에서 움직이는 거리가 켜졌다. 따라서 작업을 수행하면서 마우스 포인트의 위치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현대인들은 시력이 점점 나빠지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마우스 포인트의 위치를 잃어버리는 불편함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컴퓨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트에 대해 컴퓨터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에 미리 정해진 화상표현을 입력하면 컴퓨터 화면에 마우스 포인트가 어디에 있든 컴퓨터 화면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여 원활한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컴퓨터에 화상표현을 인식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에 미리 정해진 화상표현을 입력하여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에 장착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써,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화상표현이 인식되면 마우스 포인트의 현재 위치에 상관 없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위치로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모니터 화면의 위치로 이동한 마우스 포인트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포인트임을 알리면서 미리 정한 위치로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했다는 소리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 컴퓨터 사용자는 미리 설정한 위치로 이동한 마우스 포인트를 자신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시켜 신속한 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누구나 쉽게 마우스 포인트 위치를 잃어버렸을 때에 미리 정해진 위치로 마우스 포인트를 이동시켜 쉽게 찾을 수 있게 하여 신속한 컴퓨터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의 처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의 처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컴퓨터 조작에 사용되는 키보드에 있어서, 키보드에 미리 정해진 버튼의 조작에 의해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써,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화상표현이 인식되면 마우스 포인트의 현재 위치에 상관 없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위치로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하는 단계(S101); 미리 설정된 모니터 화면의 위치로 이동한 마우스 포인트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포인트임을 알리면서 미리 정한 위치로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했다는 소리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102); 컴퓨터 사용자는 미리 설정한 위치로 이동한 마우스 포인트를 자신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시켜 신속한 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단계(S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이다.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화상표현이 인식되면 마우스 포인트의 현재 위치에 상관 없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위치로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하는 단계(S101)는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서 컴퓨터에 장착된 카메라에 미리 정해진 화상표현이 인식이 되면 마우스 포인트는 현재 위치에 상관없이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되게 된다.
모니터가 한 개로 이루어졌다면 기본적으로 모니터 화면 중앙을 미리 설정한 마우스 포인트 위치로 결정이 된다.
만일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화면의 위치를 설정하고 싶다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설정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다. 제공받은 화면은 컴퓨터의 바탕화면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마우스를 움직여서 설정 위치에 포인트를 가져다 놓은 후에 마우스를 두 번 클릭하여 해당 위치를 저장하여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에 적용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모니터를 여러 개를 사용할 경우 기본적으로 1번 모니터의 화면 중앙을 미리 설정한 마우스 포인트 위치로 결정이 된다.
물론 여러 개의 모니터 중에 하나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마우스 포인트의 위치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화상표현은 표정, 제스처, 율동, 기호, 색상, 특정 동작 등을 말한다.
미리 설정된 모니터 화면의 위치로 이동한 마우스 포인트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포인트임을 알리면서 미리 정한 위치로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했다는 소리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102)는 미리 설정된 모니터 화면의 위치로 이동한 마우스 포인트가 눈에 잘 띄도록 여러 가지의 이미지로 변형되거나 색상이 변경되고 마우스 포인트가 미리 설정된 모니터 화면으로 이동했음을 소리효과를 통해 컴퓨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말한다.
컴퓨터 사용자는 미리 설정한 위치로 이동한 마우스 포인트를 자신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시켜 신속한 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단계(S103)는 컴퓨터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트의 위치를 다시금 확인하여 자신의 컴퓨터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본 발명은 컴퓨터 조작에 사용되는 키보드에 있어서,
    키보드에 미리 정해진 버튼의 조작에 의해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는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써,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화상표현이 인식되면 마우스 포인트의 현재 위치에 상관 없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위치로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하는 단계(S101);
    미리 설정된 모니터 화면의 위치로 이동한 마우스 포인트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포인트임을 알리면서 미리 정한 위치로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했다는 소리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102);
    컴퓨터 사용자는 미리 설정한 위치로 이동한 마우스 포인트를 자신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시켜 신속한 작업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단계(S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화상표현이 인식되면 마우스 포인트의 현재 위치에 상관 없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위치로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하는 단계(S101)는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서 컴퓨터에 장착된 카메라에 미리 정해진 화상표현이 인식이 되면 마우스 포인트는 현재 위치에 상관없이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3. 상기 제2항에 있어서, 모니터가 한 개로 이루어졌다면
    기본적으로 모니터 화면 중앙을 미리 설정한 마우스 포인트 위치로 결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4. 상기 제2항에 있어서, 만일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화면의 위치를 설정하고 싶다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설정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받는다. 제공받은 화면은 컴퓨터의 바탕화면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마우스를 움직여서 설정 위치에 포인트를 가져다 놓은 후에 마우스를 두 번 클릭하여 해당 위치를 저장하여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5. 상기 제2항에 있어서, 만일 사용자가 모니터를 여러 개를 사용할 경우
    기본적으로 1번 모니터의 화면 중앙을 미리 설정한 마우스 포인트 위치로 결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6. 상기 제2항에 있어서, 물론 여러 개의 모니터 중에 하나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마우스 포인트의 위치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7. 상기 제2항에 있어서, 화상표현은
    표정, 제스처, 율동, 기호, 색상, 특정 동작 등을 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8. 상기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모니터 화면의 위치로 이동한 마우스 포인트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포인트임을 알리면서 미리 정한 위치로 마우스 포인트가 이동했다는 소리 신호가 발생하는 단계(S102)는
    미리 설정된 모니터 화면의 위치로 이동한 마우스 포인트가 눈에 잘 띄도록 여러 가지의 이미지로 변형되거나 색상이 변경되고 마우스 포인트가 미리 설정된 모니터 화면으로 이동했음을 소리효과를 통해 컴퓨터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KR1020230154988A 2023-11-10 2023-11-10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KR202301625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4988A KR20230162581A (ko) 2023-11-10 2023-11-10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4988A KR20230162581A (ko) 2023-11-10 2023-11-10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581A true KR20230162581A (ko) 2023-11-28

Family

ID=8895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4988A KR20230162581A (ko) 2023-11-10 2023-11-10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5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96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US9223471B2 (en) Touch screen control
US9052819B2 (en) Intelligent gesture-based user's instantaneous interaction and task requirements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DE102014002984A1 (de) Gestenvollendungspfadanzeige für gestenbasierte Tastaturen
US20160004435A1 (en) Method for implementing control of keys of virtual keyboard on wide touch screen with two thumbs
US10156984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control of keys of virtual keyboard on wide touch screen with two thumbs
US20100115159A1 (en) Keyboard shortcut software utility
US100735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use pointer to automatically follow cursor
JP6330348B2 (ja) 情報処理装置
KR20230162581A (ko) 카메라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WO2023174369A1 (zh) 文本选取方法、文本选取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KR20230162579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JP201706264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30162580A (ko) 키보드를 이용한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KR20230158433A (ko) 마우스 포인트 센터 모드
JP2015076045A (ja)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805753A (zh) 文字编辑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080259036A1 (en) Ergonomic keys
CN113076010B (zh) 输入方法、输入装置、电子设备及介质
US20210373714A1 (en)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210039342A (ko) 터치스크린 상에서 터치 버튼의 멀티터치 인식방법, 문자 입력 방법 및 객체 변형 방법
JP2006338126A (ja) 説明文表示方法
JP2016529533A (ja) ベクトルに基づくカスタマイズ可能な指示インディシア
JPH11296279A (ja) 表示システム
JPH07160425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のカーソル移動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