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233A -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 Google Patents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233A
KR20230162233A KR1020220061857A KR20220061857A KR20230162233A KR 20230162233 A KR20230162233 A KR 20230162233A KR 1020220061857 A KR1020220061857 A KR 1020220061857A KR 20220061857 A KR20220061857 A KR 20220061857A KR 20230162233 A KR20230162233 A KR 20230162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area
cooling system
delivery vehicl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다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1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2233A/ko
Publication of KR20230162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2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0Refrigerated goods vehicles
    • B60P3/205Refrigerated goods vehicles with means for dividing the interior volume, e.g. movable walls or intermediate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particularly adapted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with respect to mov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운전석 후방에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카고 프레임 내부에 플로어 커버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측의 적재공간과 하측의 수납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을 복수의 수납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수납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시스템에서 상기 응축기가 수납되어 설치되고, 상기 수납영역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증발기가 수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DELIVERY VEHICLE HAVING COOLING SYSTEM}
본 발명은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비대면 활동이 확대되는 트렌드에 대응하여 신선식품을 배달하기 위한 목적기반 차량(PBV)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딜리버리용 목적기반 차량의 경우 신선식품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서 냉각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종래의 냉동탑차를 나타내는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냉동탑차(RT)는 응축기(CD)와 증발기(EP) 등을 포함하는 냉각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응축기(CD)는 외부 공기와의 충분한 열교환을 통해 발열량을 최대로 만들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카고(CG)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증발기(EP)는 카고(CG) 내부에 설치된다.
그러나, 응축기(CD)를 포함한 각종 부품을 카고(CG)의 외측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그 무게를 지탱하기 위한 강성 보강이 필요하며, 이는 차량 자재 원가 증가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된다.
또한, 중행 중 실외에 설치되어 있는 응축기(CD) 등의 구조물로 인해 공기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연비저하를 유발하고, 실외 디자인의 자유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카고(CG)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EP) 등의 구조물이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적재공간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은 운전석 후방에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카고 프레임 내부에 플로어 커버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측의 적재공간과 하측의 수납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을 복수의 수납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수납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시스템에서 상기 응축기가 수납되어 설치되고, 상기 수납영역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증발기가 수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카고 프레임의 좌우 양측벽을 향해 연장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납영역은 상기 운전석에서 멀어지는 순서로 제1 수납영역, 제2 수납영역 및 제3 수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1 수납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3 수납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수납영역과 상기 제3 수납영역 사이의 상기 제2 수납영역에는 배터리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고 프레임의 양측벽 중 상기 제1 수납영역을 덮는 부분에는 공기순환을 위한 통풍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풍구는 메쉬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풍구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수납영역에 제공되어 상기 증발기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부로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로어 커버는 상기 적재공간과 상기 제3 수납영역을 연결하는 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단점으로 지적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동탑차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딜리버리용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딜리버리용 차량에서 카고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딜리버리용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3의 딜리버리용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딜리버리용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딜리버리용 차량에서 카고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딜리버리용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딜리버리용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딜리버리용 차량(1)은 목적기반 차량(PBV)으로서 전기자동차로 제공되며, 신선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시스템(40)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딜리버리용 차량(1)은 운전석(11)을 구비하는 차체 프레임(10)과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신선식품을 적재하는 카고 프레임(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차체 프레임(10)과 카고 프레임(20)은 차량의 베이스 프레임(30) 상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0)에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쌍의 바퀴(31, 32)가 축으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차체 프레임(10)과 카고 프레임(20)의 내부에는 냉각시스템(40)이 설치될 수 있다.
냉각시스템(40)은 압축기(41), 응축기(42), 팽창밸브(43), 증발기(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압축기(41)는 저온저압의 기상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상냉매로 압축하고, 응축기(42)는 압축기로부터 공급된 냉매의 열을 방출시켜 액상냉매로 응축하고, 팽창밸브(43)는 응축기(42)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저온저압으로 단열팽창시키고, 증발기(44)는 팽창밸브(42)로부터 공급된 냉매를 주위의 공기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압축기(41), 응축기(42), 팽창밸브(43) 및 증발기(44)는 냉매배관(45)으로 서로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구현할 수 있다.
냉각시스템(40)은 냉동사이클을 통해 얻어진 냉기를 카고 프레임(20)의 내부공간으로 공급하여 냉기가 퍼지게 한 후 다시 회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냉동탑차(RT)에서는 응축기(CD)가 적재함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제공된다(도 1 참조).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딜리버리용 차량(1)에서는 응축기(42)를 차량 내 활용되지 않고 있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증발기(EP)가 적재함 내부에 설치되어 적재공간을 일부 차지하는 구조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기(42)와 마찬가지로 증발기(44)를 차량 내 활용되지 않고 있는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 내 활용되지 않고 있는 공간에 응축기(42)와 증발기(44)를 설치하는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도면을 참조하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카고 프레임(20)은 운전석 후방에서 차체 프레임(10)과 연속하여 연결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고 프레임(20)이 차체 프레임(10)과 폭과 높이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사이즈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카고 프레임(20)의 내부에는 플로어 커버(21)가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플로어 커버(21)는 카고 프레임(20)의 내부공간을 상측의 적재공간(20A)과 하측의 수납공간(20B)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플로어 커버(21)는 적재공간(20A)과 수납공간(20B)을 연결하는 통공(22)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적재공간(20A)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카고 프레임(20)의 구조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적재공간(20A) 내에는 신선식품 등 배송을 위한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적재공간(20A)의 플랫한 플로어를 구성는 플로어 커버(21)는 휠하우스의 높이를 고려하여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랫한 플로어를 만들면서 생기는 하부의 활용되지 않는 남는 공간을 냉각시스템(40)을 수납하는 수납공간(20B)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내부의 남는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카고 프레임(20)의 외부에 구조물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디자인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납공간(20B)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23)을 통해 수납공간(20B)을 복수의 수납영역(50)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수납영역(50) 중 어느 하나에는 응축기(42)가 수납되어 설치되고, 다른 하나에는 증발기(44)가 수납되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격벽(23)은 차량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을 따라서 카고 프레임(20)의 좌우 양측벽을 향해 연장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격벽(23)이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격벽(23)의 수량은 변경될 수 있다.
복수의 수납영역(50)은 운전석에서 멀어지는 순서로 제1 수납영역(51), 제2 수납영역(52) 및 제3 수납영역(53)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응축기(42)는 제1 수납영역(51)에 설치되고, 증발기(44)는 제3 수납영역(53)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납영역(51)과 제3 수납영역(53) 사이의 제2 수납영역(52)에는 배터리 모듈(60)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제1 수납영역(51)에 증발기(44)를 설치하고, 제3 수납영역(53)에 응축기(42)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 모듈(60)의 설치위치도 제1 수납영역(51) 또는 제3 수납영역(53) 중 어느 하나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응축기(42)와 증발기(44) 및 배터리 모듈(60)의 설치위치는 설계구조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수납영역(50)은 카고 프레임(20)의 양측벽(24)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밀폐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카고 프레임(20)의 양측벽(24) 중 응축기(42)가 설치되는 제1 수납영역(51)을 덮는 부분에는 공기순환을 위한 통풍구(2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원활한 공기유입 및 배출을 위해 통풍구(25)는 메쉬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시스템(40)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응축기(42)의 외부 열교환(방열)의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종래의 구조에는 응축기(CD)가 카고 프레임(CG)의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공기와 자연적인 열교환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수납영역(51)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은 열교환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제1 수납영역(51)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수납영역(51)의 양측을 덮는 카고 프레임(20)의 측벽(24)에 각각 통풍구(25)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외부와의 공기순환을 통해 열교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통풍구(25)는 차량(1)의 전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공기의 유입 및 방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열교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증발기(44)가 설치되는 제3 수납영역(53)에는 하우징(26)이 제공될 수 있으며, 증발기(44)는 하우징(26)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우징(26)은 바퀴(32)를 연결하는 축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축의 상부에서 증발기(44)를 안정적으로 보호 및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26)은 상부로 개방된 박스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6)의 개방된 상부에는 플로어 커버(21)의 통공(22)이 배치될 수 있다.
통공(22)은 플로어 커버(21)의 제3 수납영역(5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적재공간(20A)과 제3 수납영역(53)을 연결할 수 있다.
증발기(44)는 통공(22)을 통해 적재공간(20A) 내부의 공기를 팽창밸브(43)로부터 공급된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적재공간(20A)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우징(26)에는 적재공간(20A)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 및 방출하는 공기순환용 팬(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발기(44)를 통해 열교환된 냉기를 적재공간(20A) 내부로 공급하여 냉기가 퍼지게 한 후 다시 회수하여 열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44)가 기존의 적재함의 적재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에서 하부의 수납공간(20B)에 설치됨으로써 적재공간(20A)을 온전히 사용할 수 있어서 공간사용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냉동탑차(RT)와 비교하여 공기저항을 발생시키는 구조물이 외부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연비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응축기(42)와 증발기(44) 등이 차량(1)의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와 비교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며, 종래의 상부에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적인 차체 강성보강이 불필요하게 되어 차량 자재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딜리버리용 차량 10: 차체 프레임
11: 운전석 20: 카고 프레임
20A: 적재공간 20B: 수납공간
21: 플로어 커버 22: 통공
23: 격벽 24: 측벽
25: 통풍구 26: 하우징
30: 베이스 프레임 40: 냉각시스템
41: 압축기 42: 응축기
43: 팽창밸브 44: 증발기
50: 수납영역 51: 제1 수납영역
52: 제2 수납영역 53: 제3 수납영역
60: 배터리 모듈

Claims (8)

  1. 운전석 후방에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카고 프레임 내부에 플로어 커버가 설치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상측의 적재공간과 하측의 수납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수납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을 복수의 수납영역으로 구획하며, 상기 수납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각시스템에서 상기 응축기가 수납되어 설치되고, 상기 수납영역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증발기가 수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카고 프레임의 좌우 양측벽을 향해 연장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납영역은 상기 운전석에서 멀어지는 순서로 제1 수납영역, 제2 수납영역 및 제3 수납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1 수납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제3 수납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수납영역과 상기 제3 수납영역 사이의 상기 제2 수납영역에는 배터리 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고 프레임의 양측벽 중 상기 제1 수납영역을 덮는 부분에는 공기순환을 위한 통풍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는 메쉬망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납영역에 제공되어 상기 증발기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부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커버는 상기 적재공간과 상기 제3 수납영역을 연결하는 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KR1020220061857A 2022-05-20 2022-05-20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KR20230162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857A KR20230162233A (ko) 2022-05-20 2022-05-20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857A KR20230162233A (ko) 2022-05-20 2022-05-20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233A true KR20230162233A (ko) 2023-11-28

Family

ID=8895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857A KR20230162233A (ko) 2022-05-20 2022-05-20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2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7704B2 (en) Distributed refrigeration system
CN105765325B (zh) 电冰箱
JP7207202B2 (ja) 車両
WO2019001557A1 (zh) 冷藏冷冻装置
US20200406717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and vehicle
KR20230162233A (ko) 냉각시스템을 구비하는 딜리버리용 차량
JP2008008517A (ja) 冷凍コンテナ
JP2008008514A (ja) 冷凍コンテナ
JP2000255276A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収納装置
CN210478351U (zh) 基于套管式制蓄冷一体蒸发器的冷藏车制冷系统
CN212205147U (zh) 货车用内置式冷冻冷藏蒸发器总成
CN215638259U (zh) 一种车载冰箱的制冷制热组件安装结构
CN209893740U (zh) 冰箱
CN210197826U (zh) 送风机位于蒸发器横向侧方下游的冰箱
CN220742647U (zh) 一种车载空调及货车
CN211604222U (zh) 售货机制冷系统及自动售货机
CN113566483A (zh) 一种车载冰箱的制冷制热组件安装结构
CN219199643U (zh) 制冷模块和制冷设备
JP2001033137A (ja) 車両用冷却庫
CN219037269U (zh) 冰箱
CN220843852U (zh) 一种集装箱用空调及集装箱
CN221137531U (zh) 适用于车辆的顶置式空调装置
CN213873316U (zh) 一种冷藏保存箱
CN220843853U (zh) 一种集装箱用空调及集装箱
CN219346927U (zh) 制冷模块和模块化冰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