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806A -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806A
KR20230161806A KR1020220061613A KR20220061613A KR20230161806A KR 20230161806 A KR20230161806 A KR 20230161806A KR 1020220061613 A KR1020220061613 A KR 1020220061613A KR 20220061613 A KR20220061613 A KR 20220061613A KR 20230161806 A KR20230161806 A KR 20230161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hift lever
door
actuator module
safet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구
Original Assignee
임종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구 filed Critical 임종구
Priority to KR1020220061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806A/ko
Publication of KR2023016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8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05B83/08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with elongated bars for actuating the fastening means
    • E05B83/10Rotary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4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downw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운송을 위한 밀폐형 적재함을 보유한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의 상태를 감지하여 올바르게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의 차량 운행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되, 차량 구동 및 신호체계의 변형이나 간섭 없이 적용 가능한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 {Loading box lock state interlocking vehicle driving safety system}
본 발명은 차량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화물 운송을 위한 밀폐형 적재함을 보유한 차량의 도어 잠금장치의 상태를 감지하여 올바르게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의 차량 운행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되, 차량 구동 및 신호체계의 변형이나 간섭 없이 적용 가능한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탑차로 대표되는 운송차량에는 상·하차를 위한 양문형 도어가 설치되는 사각박스 형태의 적재함이 탑재되며, 로킹바(locking bar)를 구비한 잠금장치를 통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잠금장치는 수동으로 조작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안전을 위해 잠금장치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나, 택배배송차량 및 냉동차량 등 탑차의 대부분은 화물의 신속한 상하차 작업과 배송을 위해 짧은 시간 동안 운전자가 수차례 적재함 문을 여닫게 되므로 도어를 닫은 후 잠금장치를 완전하게 조작하지 않고 운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의도치 않은 도어 개방으로 인한 인근 차량 또는 구조물이나 보행자에 충격을 가하거나, 적재물의 도로낙하를 비롯하여 냉동 탑차의 경우 하절기 냉기손실로 인한 제품변질이나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기도 하며, 근거리 이동시 귀찮음으로 인해 안전규정을 무시하고 잠금장치를 올바르게 잠그지 않고 이동 중 문이 열리는 상황 발생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도어의 개폐상태와 연동하는 스위치를 설치하여 적재함의 개폐상황을 알려주는 장치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개폐 상태만 확인할 뿐 완전히 잠겨진 상태의 확인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의도적인 잠금 해제 상태에서의 운행을 막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99463호(2017.09.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적재함의 도어 잠금 상태를 감지하여 올바르게 잠기지 않은 상태에서의 차량을 물리적인 힘에 의해 운행되지 않도록 조치하되, 차량 구동 및 신호체계의 변형이나 간섭 없이 적용할 수 있고 문제발생시 쉽게 조치 가능한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핸들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로킹바의 회전을 통해 도어를 잠그는 적재함을 구비한 차량 안전 운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잠금 상태에서 핸들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감지부; 운전석 측 변속 레버 측에 설치되는 마운트구조체와, 상기 변속 레버에 접하는 홀더를 구비하되 외부신호를 통해 구동하여 상기 홀더가 변속 레버를 주차위치에 고정함으로 차량이 운행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마운트구조체에 고정되는 액추에이터모듈을 구비하는 잠금부;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마운트구조체는, 중앙으로 상기 액추에이터모듈의 설치를 위한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양단에 변속 레버 케이스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모듈은, 신호에 의해 위치가 이동하며 끝 부분에 형성된 홀더를 통해 상기 변속 레버를 주차 위치에 고정시키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핸들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되 상기 관통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도어 내측에 설치된 방수박스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메인스위치와, 상기 액추에이터모듈의 동작을 수동조작하는 복귀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적재함의 도어 핸들의 위치 인식을 통해 도어의 개폐 여부는 물론 잠김 상태를 정확히 감지하고, 올바르게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운행이 되지 않도록 조치하여 차량운행 및 주정차 중 개방된 문이나 적재물 낙하로 인한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경제적, 시간적, 정신적, 물리적 이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설치가 용이하여 적재함과 문의 형태, 위치가 다른 상황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전원을 일부 사용할 뿐 전체 차량 제어 시스템과의 간섭 요인 없음에 따라 완성차 업체의 설계 및 시스템을 훼손하지 않고 안전한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운행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변속조작레버를 기계적으로 잡아주되 전원 및 동작 복구를 위한 스위치를 마련하여 문제 발생시 운전자가 쉽게 조치하여 차량 운행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외부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의 내부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설치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설치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설치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의 운전석 설치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제어모듈의 무선방식 적용에 따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도로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밀폐형 화물칸, 즉 적재함을 보유한 탑차에 적용되어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 운행이 되지 않도록 조치함으로 사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주요 적용 대상으로 언급하는 탑차, 냉동탑차는 기본적으로 후방 및 측면으로 여닫는 도어(41)가 설치되며 이는 도어(41)를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는 로킹바(42)를 통해 잠금이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41)의 상측 및 하측 테두리와 상기 로킹바(42)의 상하단에는 회전에 따라 서로 맞물리는 잠금 수단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로킹바(42)에는 핸들(421)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이를 잡고 로킹바(42)를 상하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측면으로 로킹바(42)의 잠금 상태에서 핸들(421)을 고정하여 도어(41)의 열림을 방지하는 잠금장치가 마련된다.
대부분 적재함의 후면뿐 아니라 측면으로도 도어가 설치되며, 이 경우에도 핸들을 통해 잠금이 이루어지는 유사 구조에서는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탑차의 도어 및 잠금 구조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발명의 취지가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인 구성 및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외부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의 내부 모습을 예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은 적재함(4)을 구비한 차량을 기반으로 주요 구성으로 감지부(1)와 잠금부(2)와 제어모듈(3)을 구비한다.
상기 감지부(1)는 상기 적재함 도어(41)의 올바른 잠금 상태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가장 간편하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킹바(42)에 구비된 핸들(421)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어(41) 및 로킹바(42)의 잠금 상태에서 핸들(421)이 잠금장치에 고정되므로 이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1)를 설치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정확한 잠금 상태에서 상기 핸들(421)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41)에 형성된 관통공(411)에 감지센서(11)를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도록 삽입 설치하여 도어(41) 외측에 있는 핸들(421)을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핸들(421)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1)로는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핸들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적용할 수 있으며, 접촉방식으로 리미트 스위치를 비롯하여 비접촉장식으로 포토센서, 광센서, 근접센서, 자기센서를 비롯한 다양한 상용의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2)는 상기 감지부(1)가 핸들(421)을 감지하지 못한 상태, 즉 도어(41)의 올바른 잠금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의 운행이 되지 않도록 조치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서는 설치가 용이하고 기존 완성 차량의 구조적인 변형, 시스템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차량의 변속 레버(52)를 주차위치(P)에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잠금부(2)는 운전석 측 변속 레버(52) 측에 설치되는 마운트구조체(21)와, 외부신호를 통해 구동하여 변속 레버(52)의 위치를 고정함으로 차량이 운행되지 않도록 상기 마운트구조체(21)에 고정되는 액추에이터모듈(22)을 구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설치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설치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의 설치 모습을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마운트구조체(21)는 액추에이터모듈(22)을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설치 및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위해 변속 레버(52)의 움직임이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변속 레버(52) 외측에 고정설치되며, 국내 출시된 탑차의 자동 변속 레버에서 주차위치(P)가 모두 전방에 위치함에 따라 이를 감안하여 변속 레버(52)를 주차위치(P)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위치하게 된다.
출시된 탑차의 변속 레버(52) 구조에 맞추어 상기 마운트구조체(21)는 중앙이 변속 레버 케이스(51)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의 설치가 이루어지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3가지 형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은 외부신호에 따라 상기 변속 레버(52)를 잡아 위치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상기 마운트구조체(21)에 고정된 상태에서 한쪽 끝, 즉 구동부분에는 상기 변속 레버(52)에 접하는 홀더(221)가 형성되어 외부신호 인가시 구동하여 상기 홀더(221)가 변속 레버(52)의 위치를 주차위치에 고정되도록 동작한다.
이에 상기 홀더(221)를 움직이며 변속 레버(52)를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액추에이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동방식의 액추에이터로서 끝 부분에 형성된 홀더(221)를 신호에 의해 위치가 이동시키며 상기 변속 레버(52)를 앞쪽, 즉 주차위치(P)에 고정시켜 주는, 즉 변속 레버(52)가 R, N, D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아주는 모터(2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액추에이터모듈(22)의 실시예로서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모터외에도 유압이나 공압으로 구동하는 실린더가 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5 및 6에서는 길이가 조절되는 리니어 모터로 액추에이터모듈(22)이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1 실시예는 도 5와 같이 좌우측 양단에 변속 레버 케이스(51)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213)가 형성되어 고정이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제2결합부(213)에는 나사가 통과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51) 양측면에서 각각 나사 결합 방식으로 설치된다.
즉 적재함 도어(41)의 개방시, 즉 상기 감지부(1)가 도어 잠금 위치의 핸들(421)을 감지하지 못할 시에는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의 길이가 앞 쪽방향으로 늘어나면서 홀더(221)가 변속 레버(52)를 주차위치로부터 움직이지 않도록하며, 적재함 도어(41)가 정상적으로 닫혀 상기 감지부(1)가 정위치의 핸들(421)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의 길이가 줄어들며 운전자는 변속 레버(52)를 후측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홀더(221)는 변속 레버를 뒤쪽, 즉 밀어주는 방향으로 감싸되 전방, 즉 밀어주는 반대쪽으로 개방되어 변속 레버(52)가 드나들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2 실시예에서는 도 6과 같이 변속 레버(52)의 케이스(51) 측면에 마운트구조체(21)가 설치되어 측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리니어 모터(222)를 지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적재함 도어(41)의 개방시, 즉 상기 감지부(1)가 도어 잠금 위치의 핸들(421)을 감지하지 못할 시에는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홀더(221)가 P(주차)위치의 변속 레버(52) 후측을 막는 형태로 위치 고정시켜 차량이 운행할 수 없도록 하며, 적재함 도어(41)가 정상적으로 닫혀 상기 감지부(1)가 정위치의 핸들(421)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의 길이가 줄어들며 운전자는 변속 레버(52)를 후측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3 실시예는 도 7과 같이 각도조절모터나 스테핑모터로 액추에이터모듈(22)을 구성한 형태로, 상기 케이스(51) 측면에 마운트구조체(21)를 통해 고정된 액추에이터모듈(22)이 수직의 회전축을 통해 바 형태의 홀더(221)를 일정 각도내에서 회전시켜 변속 레버(52)를 P 위치에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외에도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을 브레이크 모터나 위상제어모터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도 5 내지 6과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은 브라켓(212)을 통해 상기 마운트구조체(21)에 설치될 수 있으며, 만약 고장이나 의도치 않은 오작동으로 도어(41)가 정상적으로 닫힌 상태에서 액추에이터모듈(22)이 변속 레버(52)를 P 위치로 고정한 상태로 멈춰 운행에 차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마운트구조체(21)로부터 액추에이터모듈(22)을 탈거하거나 홀더(221)를 분리하여 변속 레버(52)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어렵지 않게 조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첨부된 도 6에서는 나사 방식으로 홀더(221)가 액추에이터모듈(22) 단부에 결합하여 필요시 별도의 공구 없이 이를 분리할 수 있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국내 기출시된 탑차를 대상으로 상기 마운트구조체(21)를 설치한 형태를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취지 내에서 차량의 구조 및 변속 레버의 위치에 따라 마운트구조체의 형상과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오토 변속기어 형태 외에 수동 변속기어에도 동일한 원리로 변속레버의 위치를 홀딩시켜 적재함 도어(41)가 정상적으로 닫히지 않은 상태로 운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홀더(221) 단부에 'ㄷ'자 형태로 변속레버의 측면으로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3)은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감지센서(11)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기본적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재함 도어(41)의 개방시, 즉 상기 감지부(1)가 도어 잠금 위치에서의 핸들(421)을 감지하지 못할시에는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을 구동시켜 결합된 홀더(221)가 변속 레버(52)를 주차위치로 밀어 고정시켜 차량이 운행할 수 없도록 하며, 적재함 도어(41)가 정상적으로 닫힌 후 상기 감지부(1)가 정위치의 핸들(421)을 감지함에 따라 운전자가 변속 레버의 자유로운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3)은 별도의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으나 전원의 원활한 공급관리과 시공의 편의성을 위해 차량의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거잭(61)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음으로 시공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3)은 도어(41)에 형성된 관통공(411), 즉 감지센서(11)의 위치에 대응하여 도어 내측에 설치된 방수박스(43)에 내장될 수도 있으며, 운전석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3)은 차량의 시거잭(6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메인스위치(31)와,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의 동작을 수동조작하는 복귀스위치(3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스위치(31)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 장시간 미운행시 또는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거나 시스템 정비, 긴급 정비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이나 감지센서의 오동작 발생시 직접 액추에이터모듈(22)로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감지부의 감지결과와 무관하게 인위적으로 액추에이터모듈(22)의 변속레버(52) 홀드를 해제하여 앞서 언급한 문제발생시 액추에이터모듈(22)의 탈거 없이도 조치를 하거나 정상작동 여부의 확인 등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의 운전석 설치 모습을 예시한 도면으로, 제어모듈(3)이 운전석 측 데시보드 상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통상의 운전자는 작업시 장갑을 끼게 되고 작업을 마친 후 운전석에 앉으면서 장갑을 벗어 대시보드에 올려놓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3)에는 상기 감지센서(11)를 통해 도어(41)가 올바르지 않게 닫힌 상태를 감시지 운전자가 이를 시각이나 음향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등(33)이나 스피커(34)를 구비하여 닫힘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 감지부(1)와 제어모듈(3)은 유·무선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제어모듈의 무선방식 적용에 따른 블록도로서, 상기 감지부(1)와 제어모듈(3)을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즉 감지부(1)는 발신부, 제어모듈(3)은 수신부가 되어 상용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감지결과를 송수신하며, 수신부인 제어모듈(3) 측에는 MCU를 비롯하여 릴레이, GPS, NAND FLASH 등이 구비되어 위치 및 시간정보를 통해 도어가 열리고 닫힌 이력을 저장관리하여 문제발생시 시스템 오류여부나 장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감지부 11: 감지센서
2: 잠금부 21: 마운트구조체 211: 제1결합부
212: 브라켓 213: 제2결합부
22: 액추에이터모듈 221: 홀더
222: 모터 223: 탈착부
3: 제어모듈 31: 메인스위치 32: 복귀스위치
33: 경고등 34: 스피커
4: 적재함 41: 도어 411: 관통공
42: 로킹바 421: 핸들
43: 방수박스
51: 케이스 52: 변속 레버 61: 시거잭

Claims (5)

  1. 핸들(421)이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로킹바(42)의 회전을 통해 도어(41)를 잠그는 적재함(4)을 구비한 차량 안전 운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41)의 잠금 상태에서 핸들(421)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1)를 구비하는 감지부(1);
    운전석 측 변속 레버(52) 측에 설치되는 마운트구조체(21)와, 상기 변속 레버(52)에 접하는 홀더를 구비하되 외부신호를 통해 구동하여 상기 홀더(221)가 변속 레버(52)를 주차위치에 고정함으로 차량이 운행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마운트구조체(21)에 고정되는 액추에이터모듈(22)을 구비하는 잠금부(2);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감지센서(11)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구조체(21)는,
    중앙으로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의 설치를 위한 제1결합부(211)가 형성되고 양단에 변속 레버 케이스(51)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213)가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51)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은,
    신호에 의해 위치가 이동하며 끝 부분에 형성된 홀더(221)를 통해 상기 변속 레버(52)를 주차 위치에 고정시키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11)는 상기 핸들(421)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41)에 형성된 관통공(411)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3)은 차량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되 상기 관통공(411)의 위치에 대응하여 도어(41) 내측에 설치된 방수박스(43)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3)은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메인스위치(31)와, 상기 액추에이터모듈(22)의 동작을 수동조작하는 복귀스위치(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
KR1020220061613A 2022-05-19 2022-05-19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 KR20230161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613A KR20230161806A (ko) 2022-05-19 2022-05-19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613A KR20230161806A (ko) 2022-05-19 2022-05-19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806A true KR20230161806A (ko) 2023-11-28

Family

ID=8895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613A KR20230161806A (ko) 2022-05-19 2022-05-19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8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463A (ko) 2016-02-23 2017-09-01 주식회사 아이자랩 적재함 도어 개폐 통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9463A (ko) 2016-02-23 2017-09-01 주식회사 아이자랩 적재함 도어 개폐 통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8375B2 (en) Pinch prevention structure of slide door
US11686147B2 (en) Automated cargo door opener
US7489095B2 (en) Adjustment of anti-pinch parameters according to voltage
CN103299014B (zh) 用于电动地调整机动车的调整元件的方法
EP3578435A1 (en) Rail-mounted vehicle having passenger emergency escape roof hatch
KR20200084046A (ko) 자동차의 차체 해치용 구동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US6300868B1 (en)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safety system
KR20230161806A (ko) 적재함 잠금연동 차량구동 안전시스템
US6124789A (en)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shift lever alarm system
KR102009792B1 (ko) 차량 안전 삼각대
KR20150022030A (ko) 홀 센서를 이용한 파워 트렁크 또는 파워 테일게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83982B1 (ko) 화물차의 캐빈 틸팅장치
CN113085743B (zh) 车载显示器件
KR101464471B1 (ko) 열차 비상용 도어 개폐장치
US11885167B2 (en) Emergency actuating device
JP6150314B1 (ja) 貨物車両用自動開閉ドア
KR20120054821A (ko) 차량 도어 충돌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20230211725A1 (en) Motor vehicle
KR200161417Y1 (ko) 자동차의 도어개폐시 시건장치
KR200252953Y1 (ko) 차량의 고장 표시판 설치장치
EP0067315A1 (en) Safe remote-control door opening-and-closing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JP4111702B2 (ja) 車両用灯具
JPS6221656B2 (ko)
BRPI0801158A2 (pt) sistema automático para movimento veicular em um plano inclinado
KR200270308Y1 (ko) 자동차 도어 열림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