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036A - 콘크리트 가열 양생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가열 양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036A
KR20230161036A KR1020220060550A KR20220060550A KR20230161036A KR 20230161036 A KR20230161036 A KR 20230161036A KR 1020220060550 A KR1020220060550 A KR 1020220060550A KR 20220060550 A KR20220060550 A KR 20220060550A KR 20230161036 A KR20230161036 A KR 20230161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oncrete
curing device
uni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9521B1 (ko
Inventor
강대흥
Original Assignee
강대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흥 filed Critical 강대흥
Priority to KR1020220060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521B1/ko
Publication of KR20230161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6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uring concrete in situ, e.g. by covering it with protective sh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08Temperature of the air afte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6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 F24H9/207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를 가열 양생하는 장치에 대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가열수단은 공기를 가열시키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발열부의 가열공기를 콘크리트 표면으로 공급하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된 가열공기의 온도환경을 유지시키는 챔버부;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가열 양생장치 {Cast-In Concrete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를 가열 양생하는 장치에 대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발명 001 내지 특허발명 004는 본 발명이 이르게 되는 관련기술의 종래발명을 제시한다.
특허문헌 001은 초기 동해로부터 보호하고 양생기간을 단축시키는 한중 콘크리트 양생 시스템을 제시한다. 특허문헌 002에 의하면, 구조물의 길이에 따라 열원발생부재가 장착된 열전달부재를 열교환부재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다수 내장하여 발열부재를 형성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한중콘크리트를 가열 보온양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이동식 배풍기가 설치되는 후렉시블 호스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339294 B1 (등록일자 2013년12월03일) KR 10-1778233 B1 (등록일자 2017년09월07일) KR 10-1698493 B1 (등록일자 2017년01월16일) KR 10-2188310 B1 (등록일자 2020년12월02일)
본 발명은 타설된 콘크리트를 가열 양생하는 장치에 대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가열수단은 공기를 가열시키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발열부의 가열공기를 콘크리트 표면으로 공급하는 송풍부;와 상기 송풍된 가열공기의 온도환경을 유지시키는 챔버부;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단열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 내부에는 반사판;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 내에는 온도센서;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의 일면 내부에 형성되며,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가열공기가 수집되어 상기 송풍부 후단으로 가열공기가 재 공급되는 흡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복수개가 연속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인접한 가열수단과 연속화 시키기 위해 결합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이 설치되는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을 운반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 및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와 상기 지지수단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지지수단의 양단에 형성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레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 지지수단 및 이동수단은 제어수단;을 통해 제어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를 활용함에 따라 동절기 콘크리트 타설영역의 제한 없이 타설면의 가열을 신속하게 수행하여 온도 저하에 따른 콘크리트 양생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종래의 양생포 방법 대비 타설면에 직접 열을 가하는 것으로 열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 됨과 동시에 열원의 소비 또한 감소시켜 시공에 따른 경제성 향상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의 활용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가열양생장치의 가열수단에 대한 사시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가열양생장치의 챔버 및 가열수단에 대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열양생장치 구동장치에 대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작동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타설된 콘크리트(C)표면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100)이 구비되되, 상기 가열수단은 공기를 가열시키는 발열부(110); 상기 발열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발열부의 가열공기를 콘크리트 표면으로 공급하는 송풍부(120); 상기 송풍된 가열공기의 온도환경을 유지시키는 챔버부(130);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활용한 토목구조물이나 건축구조물의 시공을 위해서는 시공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면서 구조물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는 양생 시의 온도에 따라 재령별 강도가 달라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여름과 같이 기온이 높은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수화반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시공에 문제가 없으나,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낮은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수화반응이 일어나기 어려워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어 시공기간이 그만큼 늘어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콘크리트 타설 후의 양생기간 중에 동결할 염려가 있는 경우 (일 평균기온이 약 4℃이하)에 시공하는 경우의 콘크리트를 한중 콘크리트라 하는데, 이러한 한중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는 초기 동해를 막기 위해 단열 또는 가열에 의한 보온양생실시, 배합설계상의 보완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방법으로 보온 양생 공법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타설이 끝난 면을 보양막으로 덮고, 그 내부를 열풍기 등을 이용하여 고온으로 유지시키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되었으나, 타설이 끝난 면을 보양막으로 덮고, 걷는 과정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온 양생을 위한 보일러, 열풍기, 난로 등의 설치가 까다롭고 열원의 손실이 커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열수단을 통해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을 직접 가열하여 열원손실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 이를 형성하기 위해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에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발열부가 형성된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가열수단의 급기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빠르게 가열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발열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위치하여 발열부의 가열된 공기를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으로 공급하는 송풍부가 구비되는데, 이는 통상의 팬(Fan)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된 공기는 송풍부에 의해 이송되어 콘크리트 표면을 가열시키는데, 송풍된 가열공기가 일정영역 내에서 콘크리트 표면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키고 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챔버부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110)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110)는 가스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110)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열부는 가열수단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다양한 열원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스, 전기, 석유계, 마이크로파(Microwave)등 다양한 열원을 활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데, 발열부가 가스를 활용한 장치로 제작될 경우 프로판 또는 부탄가스를 연소시키고, 연소된 가스열로 가열되는 금속스크린에서 방사되는 열을 통해 콘크리트 표면을 가열할 수 있고, 전기를 활용할 경우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열하는 열선이 적용된 히팅케이블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마이크로파 발생기가 설치되는 것으로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발열체를 통해 가열대상 표면을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130)는 단열재(131);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130) 내부에는 반사판(132);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130) 내에는 온도센서(133);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131)는 에어로겔;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130) 내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결로응집골;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챔버부는 상기 발열부로부터 송풍된 가열 공기를 타설된 콘크리트 면에 집중 조사(exposure)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비된다. 상기 챔버부는 콘크리트 면 방향으로만 개구된 사각 또는 원형의 일방향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부가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발열부 열원으로부터 전방향으로 균일하게 열을 방사하여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원형 챔버부 형상에 따른 구조물 사각지대의 가열이 별도로 필요한 단점이 있고, 사각으로 형성될 경우 조사되는 콘크리트 가열면 전체에 균일하게 가열공기를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각형상의 방향성에 의해 발열부 열원으로부터 먼 쪽의 챔버부 단부에는 중앙부 보다 가열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온도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송풍부로부터 유입되는 가열공기가 챔버부 내에 균일하게 영향을 줄 수 있게 챔버부 입구에 공기분산판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챔버부 형상에 따른 가열공기의 편차발생을 줄여 사각지대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챔버부는 통상의 강재, 고분자소재 등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재료의 열전도영향에 따른 가열공기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챔버부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단열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는 발포우레탄 등 통상의 단열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에어로겔(aerogel)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에어로겔은 고체상태의 물질로 젤에서 액체 대신 기체로 채워진 형태이며, 통상의 열전달 방법인 대류, 전도, 복사를 무력화시킬 정도로 단열효과가 뛰어난 특성이 있다. 또한, 상기 챔버부 내 가열공기가 상방으로 방출되는 복사열을 콘크리트 표면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스테인리스스틸판 등으로 형성된 반사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부 내에는 챔버부 내부의 온도상황을 상시 체크할 수 있는 온도센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온도센서는 챔버부의 중앙부 및 단부 등에 위치하여 가열공기에 따른 챔버부 내 온도 편차를 상시 체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부 내에는 가열공기에 의해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의 물이 증발하여 결로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결로를 통해 챔버부 내부 온도유지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빠르게 배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챔버부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파형의 골과 마루를 형성하여 증발된 수분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를 빠르게 응집시켜 골을 통해 중력방향으로 배출 시킬 수 있는 결로응집골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130)의 일면 내부에 형성되며,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가열공기가 수집되어 상기 송풍부(120) 후단으로 가열공기가 재 공급되는 흡입부(14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140) 및 송풍부(120) 후단 경로에는 하나 이상의 온도보상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챔버부의 일면에는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공기가 수집되는 흡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부는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으로만 개방되고 상기 표면과 수직한 방향 및 발열부를 통해 송풍된 공기의 유입구가 위치한 상부는 밀폐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챔버부 내로 유입된 가열공기는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 면과 챔버부와의 틈새를 통해서만 유출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가열공기의 유출을 최소화 하고 이를 재활용하기 위해 챔버부의 일면에 가열공기가 수집되는 흡입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챔버부의 내부 측면 또는 상면에 하나 이상 형성하여 콘크리트면을 가열시킨 공기의 상승 시 이를 흡입하여 상기 가열수단의 송풍부 후단으로 재공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챔버부를 통해 공기의 공급 및 흡입이 반복 순환되어 송풍되는 가열공기가 외기의 영향로부터 상대적으로 독립된 온도범위를 손쉽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 후단으로 가열공기 공급 시 공기의 이동에 따른 열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가열공기 이동 동선 내에 하나 이상의 온도보상장치(Heater)를 형성하여 송풍부에 공급되는 가열공기의 온도를 큰 편차 없이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으로 열손실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열원사용에 따른 에너지 절약을 통해 시공 시 경제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100)은 복수개가 연속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100)은 인접한 가열수단과 연속화 시키기 위해 결합수단(150);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150)은 이웃한 상기 가열수단(100)을 동시에 결속하는 핀형상;인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150)은 상기 가열수단(100)의 양 단면에 각각 홈 또는 돌기를 형성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수단은 인접하는 가열수단끼리의 연결을 통해 연속화 할 수 있다. 이렇게 연속화가 가능함으로서 구조물의 타설영역에 제한 없이 가열수단의 개수를 늘려가며 구조물 크기에 맞는 가열양생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열수단은 이웃한 가열수단과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통상의 체결구를 활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클립형,‘ㄷ’형 핀형상 등을 인접한 가열수단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핀형상의 체결구와 병행하여 적용하거나 단독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가열수단의 양 단면을 홈 또는 돌기형상으로 한정하여 이웃하는 가열수단간에 홈-돌기 삽입체결을 통해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100)이 설치되는 지지수단(200); 및 상기 지지수단을 운반하는 이동수단(300);을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00)에는 상기 가열수단(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210); 및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211);와 상기 지지수단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212);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210)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00) 및 상기 가열수단(100) 사이에는 조인트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5]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삼각 트러스 형상인 것;을 포함한다.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는 상기 가열수단의 설치 및 확장 등 지지목적과 가열수단의 이송을 위한 이동목적을 위해 지지수단과 이동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통상의 강재, 고분자소재 등을 활용한 구조체를 제작하여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구조체를 트러스 형상으로 제작하여 방향성이 부여될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의 처짐 등을 방지하기 유리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의 지점간 거리에 따라 중앙부 처짐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트러스는 삼각형의 트러스 형상으로 한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구가 형성되고, 공용중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높이센서 및 지지수단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기울기 센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복수 위치에 형성되어 프레임의 수평상태 또는 처짐을 측정한다. 상기 기울기 센서는 상기 프레임의 기울기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며, 콘크리트 면과의 상하 수직방향(1축) 및 좌우방향(2축)과 진행방향인 전후방향(3축)에 대한 기울기를 측정하기 위해 3축 기울기 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높이센서와 기울기센서의 측정값을 통해 기 설정된 지지수단의 콘크리트 면으로부터의 높이 범위와 기울기 각도 영역을 벗어날 경우 높이조절구를 통해 이를 보상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높이조절구는 유압제어를 통해 변형될 수 있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수단은 일정영역 내 상기 가열수단의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틸팅,Tilting)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유니버셜조인트(Universal Joint)와 같은 결합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300)은 상기 지지수단(200)의 양단에 형성된 구동부(310); 및 상기 구동부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레일부(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7-2]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10)는 구동모터로 구동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7-3]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10)와 레일부(320)는 각각 래크와 피니언 형태의 결합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이 설치된 지지수단의 이동을 도모하는 목적으로구비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지지수단의 양단에 기립된 형태로 형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가 안착되어 이동할 수 있는 레일부로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driving motor)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수단을 이동시키며, 통상의 바퀴 형태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면 양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부를 타고 정해진 영역 내를 반복 이동하며 타설된 콘크리트 면을 고루 가열하도록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 및 레일부는 이동기능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각 래크와 피니언 형태(Rack-Pinion type)의 결합으로 적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동절기 레일에 형성될 수 있는 각종 오일물질 또는 얼음등에 의한 미끄러짐 발생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100), 지지수단(200) 및 이동수단(300)은 제어수단(400);을 통해 제어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및 상기 가열수단을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열양생장치는 제어수단을 통해 통제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의 점화 및 소화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상기 지지수단의 처짐등 변형을 실시간으로 계측 및 보상 등 설정범위 내 구조물 형상을 유지하는 기능과 이동수단의 구동부를 제어하여 지지수단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에 형성된 온도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하나 이상의 챔버부 내 온도상황을 확인하고, 편차에 따른 온도 보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지지수단에 형성된 높이센서 및 기울기 센서를 통해 지지수단의 처짐, 평형상태를 확인하고, 일정범위이상의 오차 발생 시 지지수단에 형성된 유압실린더의 조절을 통해 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보상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수단의 구동부 제어를 통해 가열양생장치의 이동을 관활하여 가열 대상 콘크리트 구조물 전체에 균일한 가열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전 과정은 원격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의 작동에 따라 센서를 통해 측정된 계측값을 무선으로 제어수단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수단에서 조작된 정보를 상기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송신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 및 제어수단에는 무선통신장비(Radio Communication Unit)를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장비(RC)를 통해 수신된 계측값은 상기 제어수단에 저장되며, 산술된 결과로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형태인 모니터부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의 작동 중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기 설정된 조건의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 단계에 대한 경보를 모니터부 또는 별도의 알람수단(Warning light)을 통해 작업자에게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C : 콘크리트 10 :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
100 : 가열수단 110 : 발열부
120 : 송풍부 130 : 챔버부
131 : 단열재 132 : 반사판
133 : 온도센서 140 : 흡입부
150 : 결합수단
200 : 지지수단 210 : 높이조절구
211 : 높이센서 212 : 기울기센서
300 : 이동수단 310 : 구동부
320 : 레일부
400 : 제어수단

Claims (12)

  1.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에 있어서,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은 공기를 가열시키는 발열부;
    상기 발열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며, 발열부의 가열공기를 콘크리트 표면으로 공급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된 가열공기의 온도환경을 유지시키는 챔버부;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것;
    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단열재;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 내부표변에 위치하는 반사판
    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 내에는 온도센서가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의 일면 내부에 형성되며,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가열공기가 수집되어 상기 송풍부 후단으로 가열공기가 재 공급되는 흡입부;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복수개가 연속화 형성되는 것;
    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인접한 가열수단과 연속화 시키기 위해 결합수단;
    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이 설치되는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을 운반하는 이동수단;
    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구;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
    상기 지지수단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
    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지지수단의 양단에 형성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레일부;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 지지수단 및 이동수단은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가열양생장치.
KR1020220060550A 2022-05-18 2022-05-18 콘크리트 가열 양생장치 KR102659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550A KR102659521B1 (ko) 2022-05-18 2022-05-18 콘크리트 가열 양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550A KR102659521B1 (ko) 2022-05-18 2022-05-18 콘크리트 가열 양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036A true KR20230161036A (ko) 2023-11-27
KR102659521B1 KR102659521B1 (ko) 2024-04-19

Family

ID=8896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550A KR102659521B1 (ko) 2022-05-18 2022-05-18 콘크리트 가열 양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52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534B1 (ko) * 2005-12-02 2006-04-11 (주)동림컨설턴트 동절기 교량 공사용 보온 양생장치
KR20100088415A (ko) * 2009-01-30 2010-08-09 윤효태 전기식 소형 열풍기
KR101105095B1 (ko) * 2010-10-26 2012-01-16 김찬한 물과 증기를 사용하지 않는 콘크리트 양생시스템과 전기양생장치
KR101339294B1 (ko) 2013-07-22 2013-12-10 (주)우신이앤씨 한중 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KR101448499B1 (ko) * 2014-06-09 2014-10-15 김인순 철도 궤도 공사용 자주식 보온양생장치
KR101698493B1 (ko) 2015-06-09 2017-01-20 삼성물산(주) 한중콘크리트의 품질 향상과 양생비용 절감을 위한 열풍순환 보온양생공법
KR101778233B1 (ko) 2016-01-05 2017-09-14 박상석 발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방법
KR102188310B1 (ko) 2019-02-13 2020-12-0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배풍기가 설치되는 후렉시블 호스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534B1 (ko) * 2005-12-02 2006-04-11 (주)동림컨설턴트 동절기 교량 공사용 보온 양생장치
KR20100088415A (ko) * 2009-01-30 2010-08-09 윤효태 전기식 소형 열풍기
KR101105095B1 (ko) * 2010-10-26 2012-01-16 김찬한 물과 증기를 사용하지 않는 콘크리트 양생시스템과 전기양생장치
KR101339294B1 (ko) 2013-07-22 2013-12-10 (주)우신이앤씨 한중 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KR101448499B1 (ko) * 2014-06-09 2014-10-15 김인순 철도 궤도 공사용 자주식 보온양생장치
KR101698493B1 (ko) 2015-06-09 2017-01-20 삼성물산(주) 한중콘크리트의 품질 향상과 양생비용 절감을 위한 열풍순환 보온양생공법
KR101778233B1 (ko) 2016-01-05 2017-09-14 박상석 발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방법
KR102188310B1 (ko) 2019-02-13 2020-12-0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배풍기가 설치되는 후렉시블 호스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521B1 (ko)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11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양생장치
CA1237367A (en) Radiant heater system
JPH0822417B2 (ja) 不均一な放射分布を持つ赤外放射を発生するための放射壁オーブンおよび方法
KR102659521B1 (ko) 콘크리트 가열 양생장치
KR20160144736A (ko) 한중콘크리트의 품질 향상과 양생비용 절감을 위한 열풍순환 보온양생공법
KR101567950B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슬립폼
CZ9903593A3 (cs) Otopné těleso
Doebber Radiant slab cooling for retail
US6308635B1 (en) Rail heating module and assembly
KR101078605B1 (ko) 복사 냉난방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US20030173057A1 (en) Assembly and method of radiant/structural floor system
JP5639109B2 (ja) 冷温水式床放射冷暖房システムにおける床パネル装置
JP4042971B2 (ja) 冷暖房空気オンドル構造
CN207422900U (zh) 加热炉炉膛内衬、热辐射体以及安装有热辐射体的加热炉
GB2340928A (en) Heating/cooling structures
CA2647230A1 (en) Raised floor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buildings
CN214353343U (zh) 高寒高海拔混凝土骨料预热系统
KR101280558B1 (ko) 지중 매설 모세관 튜브를 이용한 지열원식 냉.난방 시스템
JP2001500100A (ja) 板ガラスを加熱するためのローラ型加熱炉
JP2007051859A (ja) 床下暖房システム
CN107842902A (zh) 基于拼装式地暖层的装配式住宅供暖温控系统及其施工方法
JP6991496B2 (ja) 冷暖房システムおよび熱交換冷暖房システム
KR102398200B1 (ko)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용 유로폼 시스템 및 시공 방법
CN220169533U (zh) 发热踢脚线采暖装置
JP2019100110A (ja) 輻射熱利用建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