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476A -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476A
KR20230160476A KR1020220059980A KR20220059980A KR20230160476A KR 20230160476 A KR20230160476 A KR 20230160476A KR 1020220059980 A KR1020220059980 A KR 1020220059980A KR 20220059980 A KR20220059980 A KR 20220059980A KR 20230160476 A KR20230160476 A KR 20230160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item
asset
transaction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화인
최윤일
전명산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최화인
(주)소셜인프라테크
최윤일
전명산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화인, (주)소셜인프라테크, 최윤일, 전명산, 김종현 filed Critical 최화인
Priority to KR102022005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0476A/ko
Publication of KR20230160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47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메타버스 내에서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을 형성하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고유성과 연계성을 제공하고,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가상의 합성 아이템 창설하고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를 반영하는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 창설된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사용 요청을 수신하여,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를 전산 중개하는 미디에이션 유닛; 및 미디에이션 유닛을 통하여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가 형성되면, 가상의 합성 아이템과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반영된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연동되어 거래되도록 하는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System for transaction interworking virtual assets by mounting for value of item through the linkage of virtual}
본 발명은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 거래 시 합성 아이템의 거래에 연동되어 자산 가치의 거래가 연동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합성 아이템이 메타버스 내에서 거래 가능하고, 거래가 이루어지면 형상 및 개념적으로 반영된 자산 가치에 대한 가상 자산 역시 거래 연동되도록 하는,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전 세계 블록체인 시장은 2019년 22억 3,548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36.74%로 증가하여, 2024년에는 106억 8,772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블록체인 시장은 구성요소에 따라 플랫폼과 서비스로 분류되고, 플랫폼은 2020년을 기준으로 63.4%의 점유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뒤를 서비스가 36.6%로 뒤따르고 있다.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디지털 상의 플랫폼, 비즈니스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수직적 통합 비즈니스 모델을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기관, 보험사들은 암호화폐, 빅데이터 분석, 사이버 보안, 다중 결제 플랫폼 등에 대한 기술을 채택하고 있으며, 제품, 서비스, 인프라 기술의 발전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가상의 플랫폼을 사용하는 기술은 디지털 아이템을 거래하는 시장에까지 확대되었는데,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블록체인 게임 협회(Blockchain Gaming Alliance)는 NFT를 활용하는 게임 시장은 올 3분기에 23억3000만달러 규모로 커졌고, 전체 NFT 거래량의 22%를 차지했다고 주장했다.
가상의 자산이 실물 경제로 이동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NFT관련 자산을 활용하여 플랫폼 밖에서 거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유로운 인터넷 경제를 창출 할 수 있으며, 메타버스는 게임을 비롯하여 광고, 소셜커머스, 하드웨어, 디지털 이벤트, 개발자 및 크리에이터 수익창출 플랫폼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공유가능한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아이템 혹은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고 디지털 자산을 보호, 공유, 거래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존재하고 있다.
디지털 자산에 대한 보호, 공유, 거래에 대한 공개된 문헌으로는, 예컨대, "암호화로 보호된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공개번호 제10-2021-0101275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신발류 물품들에 대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들, 그러한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들을 제조/사용하는 방법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발을 채굴하고, 혼합시키며 교환하기 위한 블록체인 제어 로직을 갖는 분산 컴퓨팅 시스템이 제시된다. 디지털 자산들을 프로비저닝하는 방법은 제1 당사자로부터 제2 당사자로의 신발류 물품 또는 이를 나타내는 디지털 파일의 완료된 거래를 나타내는 거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당사자로의 암호화된 디지털 자산의 양도를 기록하기 위해 암호화 블록을 분산 블록체인 원장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디지털 자산에 대하여 거래, 저장, 공유하는 방법에 대한 문헌으로 "토큰화 플랫폼(공개번호 제10-2021-0127132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디지털 토큰을 생성, 저장, 거래, 이전, 교환, 및/또는 기타의 방식으로 처리하는, 시스템, 방법, 플랫폼 및 디바이스가 설명된다.
특허문헌 2에서, 시스템, 방법, 플랫폼, 및 디바이스는, 아이템 속성 세트를 포함하는 아이템에 대한 식별자를 획득하고, 아이템 속성 세트에 대응하는 디지털 속성 세트를 포함하는 디지털 토큰을 생성하고, 디지털 토큰을 아이템의 하나 이상의 유닛에 암호화방식으로 링크한다. 디지털 토큰은, 이전, 교환, 상환 또는 기타의 방식으로 거래될 수 있고, 이것은 가상 아이템 거래의 유연성 및 편의성과 물리적 아이템 거래의 신뢰성과 가치 양쪽 모두를 제공한다.
아울러, 포트폴리오가 가능한 전자 이미지에 대하여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하여서는"전자 이미지 관리 및 포트폴리오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포트폴리오 방법(등록번호 제10-1640934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전자 이미지에 대하여 이를 관리하는 신뢰도 있는 서버를 구축하여 통합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해당 전자 이미지에 대한 포트폴리오가 가능한 전자 이미지 관리 및 포트폴리오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포트폴리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 단말, 이용자 단말, 국립도서관 서버 및 금융서버간 통신을 제 공하는 통신부; 컨텐츠 단말로부터 생성된 다양한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DB; 다양한 컨텐츠 중 가격 결정이 요청되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해당 컨텐츠에 대한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가격 평가, 평균 가격을 저장하는 마켓 데이터 서버; 다양한 컨텐츠 중 가격 결정이 요청되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추천수, 뷰(VIEW) 수, SNS 공유수, 비판매활동 기간 중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커뮤니티 데이터 서버; 다양한 컨텐츠 중 사전펀딩이 요청되는 컨텐츠를 저장하고, 해당 컨텐츠에 대한 이용자 단말로부터의 개선사항과, 사전펀딩 평가 및 포트폴리오 추천 평가를 저장하는 포트폴리오 서버; 입출력장치와의 접속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통신부, 컨텐츠 DB, 마켓 데이터 서버, 커뮤니티 데이터 서버(440), 포트폴리오 서버 및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선행 기술들의 경우, 아이템에 대하여 변화 또는 위조에 대한 증명만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아이템의 고유성과 함께 시리즈로서의 아이템에 대한 사상을 전혀 개시하지 않고 있으며, 아이템에 대한 조합의 개념으로 조합된 아이템이 또 하나의 교환 가치를 가지도록 하는 사상 및 메타버스 내 조합된 아이템이 발행되고 거래되도록 하는 사상에 대하여서도 전혀 개시하지 않고 있다.
공개번호 제10-2021-0101275호 공개번호 제10-2021-0127132호 등록번호 제10-1640934호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파편화된 가상의 아이템에 고유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시리즈성을 부여하여 파편화된 가상의 아이템 간에 연계성이 제공되고자 한다.
둘째, 파편화된 가상의 아이템의 조합으로서 조립화 된 합성 아이템 내에 교환 가치를 가지는 가상 자산이 연동 또는 반영되고자 한다.
셋째, 합성 아이템을 메타버스 내 발행하여 메타버스 이용자에게 제시하고자 한다.
넷째,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가 형성되면, 합성 아이템에 반영된 가상 자산이 거래 연동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은, 메타버스 내에서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고유성과 연계성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 창설하고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를 반영하는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item management unit); 상기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을 통해 창설된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사용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를 전산 중개하는 미디에이션 유닛(mediation unit); 및 상기 미디에이션 유닛을 통하여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가 형성되면,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과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반영된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연동되어 거래되도록 하는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connection trad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상기 미디에이션 유닛은, 상기 메타버스 내 발행된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을 상기 메타버스 유저에게 제시되도록 공개하는 아이템 제시부; 및 상기 메타버스 내 유저로부터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사용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를 승인하는 아이템 거래 승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상기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은, 상기 아이템 거래 승인부로부터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가 승인되면,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반영된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연동되어 거래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상기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은, 상기 합성 아이템 거래 시,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을 시각적으로 판매자의 단말기로부터 구매자의 단말기로 이동하며,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과 연동된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시각적으로 판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상기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에 고유성과 연계성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피스 아이템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의 창설이 가능하도록 하는 아이템 어레인지부; 및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를 연동 또는 반영하는 에셋 마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상기 아이템 어레인지부는,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간에 연계성을 제공하는 연계 토큰을 형성하는 연계 토큰 생성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간에 고유성을 제공하는 유효 토큰을 형성하는 유효 토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상기 에셋 마운트부는, i) 상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 상호 간에 조합 상태가 유지된 상태, 또는 ii) 상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이 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결합되어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교환 가치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은, i) 상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에 의하여 합성되며, ii) 미리 결정된 비율 조건으로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합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은, 상기 가상의 피스 아이템에 대한 트랜잭션과,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트랜잭션과,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반영되는 트랜잭션, 그리고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반영된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의 거래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를 미리 설정된 군집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드에 공유하는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상기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은,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트랜잭션 정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복수의 노드에 공유된 상기 트랜잭션 정보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해 상기 트랜잭션 정보에 대한 이벤트의 수정 또는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각각의 피스로 형성되는 아이템에 시리즈성을 부여하여 일정한 규칙에 따라 시리즈로서의 권한을 부여함과 함께, 각각의 피스로 형성되는 아이템에 대하여 고유성을 부여하도록 한다.
둘째, 조립화된 합성 아이템에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합치되어 합성 아이템이 교환 가치를 가지도록 한다.
셋째,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 시, 합성 아이템에 반영된 가상 자산에 대한 거래가 연동되어 거래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가상의 합성 아이템이 미디에이션 유닛을 통하여 유저에게 제시되어 거래되며, 가상의 합성 아이템 거래와 연동되어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을 통하여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거래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아이템 제작자에 의하여 복수 개의 아이템 집단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이 형성되고, 블록체인 플랫폼 내의 디앱으로 구동되는 메타버스에 제시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아이템 어레인지부를 통하여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이 가상의 합성 아이템으로 형성되고 에셋 마운트부를 통하여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반영되어 미디에이션 유닛을 통하여 메타버스 상의 유저들에게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이 제시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미디에이션 유닛과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을 통하여 합성 아이템의 형성 및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의 반영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가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의 각 노드에 공유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연계 토큰 생성부와 유효 토큰 생성부를 통하여 연계 토큰과 유효 토큰이 생성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유효 토큰과 연계 토큰이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에 각각 제공되며, 연계 토큰을 통하여 연계성 집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유효 토큰과 연계 토큰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이 연계 토큰을 통하여 연계성 집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각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아이템 어레인지부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미디에이션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가상의 합성 아이템이 미디에이션 유닛을 통하여 유저에게 제시되어 거래되며, 가상의 합성 아이템 거래와 연동되어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을 통하여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거래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아이템 제작자에 의하여 복수 개의 아이템 집단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이 형성되고, 블록체인 플랫폼 내의 디앱으로 구동되는 메타버스에 제시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아이템 어레인지부를 통하여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이 가상의 합성 아이템으로 형성되고 에셋 마운트부를 통하여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반영되어 미디에이션 유닛을 통하여 메타버스 상의 유저들에게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이 제시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미디에이션 유닛과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을 통하여 합성 아이템의 형성 및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의 반영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가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의 각 노드에 공유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연계 토큰 생성부와 유효 토큰 생성부를 통하여 연계 토큰과 유효 토큰이 생성된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유효 토큰과 연계 토큰이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에 각각 제공되며, 연계 토큰을 통하여 연계성 집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유효 토큰과 연계 토큰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이 연계 토큰을 통하여 연계성 집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각 유닛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아이템 어레인지부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미디에이션 유닛의 하위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은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100, item management unit), 미디에이션 유닛(200, mediation unit),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300, connection trading unit)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100)의 경우, 메타버스 내에서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을 형성하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고유성과 연계성을 제공하고,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가상의 합성 아이템 창설하고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를 반영한다.
가상의 합성 아이템은 메타버스(metaverse) 내에 발행되며, 메타버스의 유저(user)에게 가상의 합성 아이템이 제시된다.
메타버스의 경우, 블록체인 상의 디앱을 통해 구동되는 것으로, 디앱의 경우, 탈중앙화 분산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상의 플랫폼 위에서 작동한다.
여기에서 디앱(decentralized application, dApp)은 블록체인 네트워크(Blockchain network) 기반으로 운영되는 메인넷(Mainnet) 위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유저들의 경우, 메타버스를 이용하는 유저에 해당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경우, 가상의 플랫폼에 해당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사용 및 거래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은 각각의 피스로 형성되어 선택적인 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해당하는 목적하는 아이템이 만들어지도록 한다.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템 제작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아이템 집단이 업로드되고, 아이템 집단의 업로드를 통하여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으로 반영되어진다.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의 경우, 상품 교환 가치를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현실 세계에서 교환을 매개하는 수단에 해당하는 주화, 지폐 등과 같이, 블록체인 플랫폼 상에서는 가상의 교환 매개 수단에 해당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에 고유성과 연계성을 제공하는 것은 연계 토큰(1)과 유효 토큰(2)을 통하여 가능하도록 하는데, 연계 토큰(1) 및 유효 토큰(2)에 대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미디에이션 유닛(200)은,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100)을 통해 창설된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사용 요청을 수신하여,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를 전산 중개한다.
미디에이션 유닛(200)은 가상의 합성 아이템을 디앱을 통해 구동되는 메타버스 이용자들에게 제시되도록 공개하여, 가상의 합성 아이템을 사용하고자 하는 거래 대상의 요청을 수신하여 가상의 합성 아이템의 거래를 전산적으로 중개한다.
미디에이션 유닛(200)의 경우, 가상의 합성 아이템의 거래가 가능하도록 전산적 중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메타버스 내 이용자에게 가상의 합성 아이템을 제시하고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하여 거래를 요청하는 경우, 거래가 중개되도록 하는 것이다.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300)은, 미디에이션 유닛(200)을 통하여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가 형성되면, 가상의 합성 아이템과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반영된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연동되어 거래되도록 한다.
미디에이션 유닛(200)을 통하여 거래가 중개되는 가상의 합성 아이템은,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가 반영된 것으로 가상의 합성 아이템의 거래와 함께,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에 대한 거래가 연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미디에이션 유닛(200)은, 아이템 제시부(210), 아이템 거래 승인부(220)를 포함한다.
아이템 제시부(210)의 경우, 메타버스 내 발행된 가상의 합성 아이템을 메타버스 유저에게 제시되도록 공개한다.
아이템 거래 승인부(220)의 경우, 메타버스 내 유저로부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사용 요청을 획득하고,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를 승인한다.
아이템 제시부(210)와 아이템 거래 승인부(220)는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하여 메타버스 유저들에게 제시하고 거래를 승인함으로 거래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가상의 합성 아이템의 경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가 반영된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300)은, 아이템 거래 승인부(220)로부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가 승인되면,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반영된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가 연동되어 거래 승인되도록 한다.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300)의 경우는,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가 승인되면,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반영된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에 대한 거래가 연동되어 승인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에이션 유닛(200)을 통하여 가상의 합성 아이템의 거래가 승인되고,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 승인에 대응하여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반영된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에 대하여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300)이 거래를 승인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300)은, 합성 아이템 거래 시, 가상의 합성 아이템을 시각적으로 판매자의 단말기로부터 구매자의 단말기로 이동하며, 가상의 합성 아이템과 연동된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가 시각적으로 판매자의 단말기로부터 구매자의 단말기로 이동하도록 한다.
가상의 합성 아이템은, 유저의 단말기로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제시되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도 유저의 단말기로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제시되는데,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300)은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결합되는 형태로 판매자의 단말기로부터 구매자의 단말기로 이동되도록 한다.
판매자의 단말기의 경우,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톱 PC, 데스크톱 PC에 해당한다.
아울러, 구매자의 단말기의 경우도,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톱 PC, 데스크톱 PC에 해당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합성 아이템의 경우, 시각적으로 제시되는데, 예컨대, 가상의 합성 아이템이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으로부터 반지를 창설한 경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해당하는 반지가 시각적으로 확인된다.
또한,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의 경우도 시각적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가 반영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 오브젝트가 확인되도록 하는 것이다.
시각적이라 함은, 판매자 또는 구매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이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형태로서 판매자의 단말기에서 구매자의 단말기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100)은, 아이템 어레인지부(110), 에셋 마운트부(120)를 포함한다.
아이템 어레인지부(110)의 경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에 고유성과 연계성을 제공하고, 복수 개의 피스 아이템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가상의 합성 아이템의 창설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에셋 마운트부(120)의 경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를 연동 또는 반영한다.
에셋 마운트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합성 아이템이 형성되면,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를 반영한다.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를 연동 또는 반영하는 경우, 가상의 합성 아이템을 조합한 유저는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를 매입하고, 매입한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연동 또는 반영하도록 한다.
가상의 합성 아이템을 조합한 유저가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를 매입하는 경우, 블록체인 플랫폼 상에서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는 가상의 합성 아이템을 조합한 유저의 지갑으로 이동하고, 지갑에 존재하는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를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에셋 마운트부(120)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결합된 형태로 제공되는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가 시각적으로 확인되도록 하며,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 상태로 가상의 합성 아이템을 조합한 유저의 단말기에 시각적으로 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아이템 어레인지부(110)는, 연계 토큰 생성부(111), 유효 토큰 생성부(112)를 포함한다.
연계 토큰 생성부(111)의 경우, 복수 개의 피스 간에 연계성을 제공하는 연계 토큰(1)을 형성한다.
또한, 유효 토큰 생성부(112)의 경우, 복수 개의 피스 간에 고유성을 제공하는 유효 토큰(2)을 형성한다.
유효 토큰(2)의 경우, 복수 개의 피스 각각에 고유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피스 각각이 독립적으로 고유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
고유성을 부여하는 유효 토큰(2)의 경우, NFT(Non-Fungible Token)과 같은 개념의 토큰으로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교환과 복제가 불가능하고, 고유성과 희소성을 지니도록 할 수 있다.
즉, 유효 토큰(2)의 경우, 대체 불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유효 토큰(2)이 부여된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경우, 복제 불가능하도록 가상의 플랫폼에 해당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제공되는 것이다.
연계 토큰(1)의 경우, 연계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컨대, 연계 토큰(1)의 경우, 가치 및 속성이 동일한 토근에 해당할 수 있다. 연계 토큰(1)의 경우, 유한개가 발행되는데, 예컨대, 각 연계 토큰(1)에는 연계되는 일련번호가 주어져 일련번호의 연계성을 통하여 연계 토큰(1)의 연계성이 반영될 수 있다.
예컨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 상호 간에 연계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계 토큰(1)에 대한 연계 코드(L1, L2?? Li)를 통해 복수 개의 피스 상호 간에 연계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성 집단 #1의 경우, 각각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에 연계 토큰(1)과 유효 토큰(2)이 부여되는데, 연계성 집단으로 형성되는 집단의 경우, 연계되는 연계 토큰(1, M1, M2??)이 부여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성 집단#1-1을 형성하는 피스에 부여된 유효 토큰(2)과 연계 토큰(1)의 경우, 유효 토큰(2)은 Y3, X2, Z1으로 연계 토큰(1)은 M1으로 제공된다.
연계성 집단#1-1경우, Y3, X2, Z1, M1으로 형성되는 유효 토큰(2)과 연계 토큰(1)이 조합되어 반영된 것이며, 연계성 집단#1-2의 경우, Y3, X2, Z1, M2으로 유효 토큰(2)과 연계 토큰(1)이 조합되어 반영된 것이다.
여기에서 연계성 집단#1-1과 연계성 집단 #1-2의 유효 토큰(2)의 값은 동일하나, 연계 토큰(1)을 통하여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유효 토큰(2)을 통하여서는 동일 집단에 속하는 것임이 확인되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계성 집단 #1과 연계성 집단 #2은 유효 토큰(2)이 상이하게 제공되어 각각의 집단이 구분되어 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에셋 마운트부(120)는,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 상호 간에 조합 상태가 유지된 상태, 또는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이 조합되는 상태에서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가 결합되어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교환 가치를 반영한다.
또한, 복수 개의 피스 아이템 상호 간에 조합이 형성되는 상태에서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가 결합되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가 결합된 합성 아이템이 상호 간에 조합 상태를 유지하며 메타버스 상의 유저에게 제공된다.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의 경우, 복수 개의 피스 아이템이 결합되는 상태 또는 조합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반영되어질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가 결합된 상태로 유저에게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가상의 합성 아이템은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에 의하여 합성되며, 미리 결정된 비율 조건으로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가 합치되도록 한다.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의 경우, 복수 개의 피스 아이템이 메타버스 상에서 상호 간에 조합되는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을 통하여 합성 아이템이 형성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의 경우, 복수 개의 피스 아이템에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이 블록(block)으로 형성되는 경우 블록의 볼록한 부분이 다른 블록의 오목한 부분으로 끼위지는 형태로 조합되고, 이렇게 조합된 상태는 유지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은,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리얼리티를 형성하기 위하여 현실에서의 물리법칙과 같은 미리 결정된 조합 방식이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은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에 따라 물리적 원칙에 의하여 가상 현실 세계 내에서 동일한 효과 등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물리엔진(예컨대, Unreal Engine등과 같은 물리엔진) 등을 활용하여 가상 현실 세계 내에서 물리적인 마찰, 중력 등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물리적 원칙의 경우, 예컨대,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조합이 목걸이와 같은 갈고리 방식으로 조합되는 경우, 현실 세계 내에서 갈고리 방식으로 결합되는 물리적 원칙과 동일하게 가상 현실 세계 내에서도 구현되어 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의 경우, 예컨대, 마찰력을 통한 조합 방식, 볼트-너트를 통한 물리적인 조합 방식, 물리적 텐션을 통하여 조합되는 방식, 암수 결합을 통하여 가상의 플랫폼 상에서 조합되는 방식이 현실에서의 블록 또는 물건이나 물체가 조합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합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가상의 합성 아이템은 미리 결정된 조합 방식에 따라 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하나의 집합체로서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물리적 방식으로 조합된 피스들이 물리적으로 조합된 상태와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가상의 합성 아이템은, 미리 결정된 비율 조건으로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가 합치되도록 한다.
미리 결정된 비율 조건의 경우, 가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반영되는 조건에 해당할 수 있는데, 예컨대, 하나의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하나의 가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반영될 수 있으며, 하나의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두개의 가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반영되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은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400)을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400)의 경우, 가상의 피스 아이템에 대한 트랜잭션과,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트랜잭션과,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반영되는 트랜잭션, 그리고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반영된 가상의 합성 아이템의 거래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를 미리 설정된 군집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드에 공유한다.
트랜잭션 정보란, 가상의 합성 아이템과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에서 발생한 모든 이벤트 기록을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가상의 합성 아이템 형성,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를 반영하는 이벤트에 대한 기록, 가상의 합성 아이템의 해쉬(hash)값, 거래, 복사, 수정, 변경 등에 대한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부수될 수 있는 모든 이벤트를 총 망라하게 된다.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400)의 경우, 복수의 노드(N)에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를 공유하고 합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가상의 합성 아이템의 경우, 에셋 마운트부(120)에 의하여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3)가 반영되는 경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로 인식하며, 트랜잭션에 대한 내용을 복수의 노드(N)에 공유하게 된다.
복수의 노드(N)는 미리 설정된 군집으로 형성되며,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400)의 경우, 복수의 노드(N)의 경계를 구획하는 범위와 개수 그리고 어떤 노드에 포함할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의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400)은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트랜잭션 정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복수의 노드에 공유된 트랜잭션 정보를 각각 비교하고,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해 트랜잭션 정보에 대한 이벤트의 수정 또는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노드(N) 각각은 트랜잭션 정보를 상호 교차적으로 매칭 비교하여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과 트랜잭션 정보가 상호 정합되는지 여부를 매칭 비교하고 확인하여 이벤트가 합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노드(N#1~N#n) 중 어느 하나의 노드(N#n)에서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가 발생되면, 복수의 노드(N)에 공유된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를 각각 비교하고, 복수의 노드(N) 중 어느 하나의 노드(N)를 통해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수정 또는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아울러, 또한, 복수의 노드(N#1~N#n) 중 어느 하나의 노드(N#n)에서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가 발생되면, 복수의 노드(N)에 공유된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를 각각 비교하고, 복수의 노드(N) 중 어느 하나의 노드(N)를 통해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수정 또는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어느 하나의 노드(N#n)에서 발생된 이벤트를 통하여 노드 상호 간의 데이터의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100), 미디에이션 유닛(200),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300)으로부터 소싱되지 않은 정보는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노드(N) 상호 간의 데이터의 정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연계 토큰
2: 유효 토큰
3: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
100: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
110: 아이템 어레인지부
111: 연계 토큰 생성부
112: 유효 토큰 생성부
120: 에셋 마운트부
200: 미디에이션 유닛
210: 아이템 제시부
220: 아이템 거래 승인부
300: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
400: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

Claims (10)

  1. 메타버스 내에서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고유성과 연계성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 창설하고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를 반영하는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item management unit);
    상기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을 통해 창설된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사용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를 전산 중개하는 미디에이션 유닛(mediation unit); 및
    상기 미디에이션 유닛을 통하여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가 형성되면,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과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반영된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연동되어 거래되도록 하는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connection trading uni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에이션 유닛은,
    상기 메타버스 내 발행된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을 상기 메타버스 유저에게 제시되도록 공개하는 아이템 제시부; 및
    상기 메타버스 내 유저로부터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사용 요청을 획득하고,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를 승인하는 아이템 거래 승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은,
    상기 아이템 거래 승인부로부터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거래가 승인되면,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반영된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연동되어 거래 승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 트레이딩 유닛은,
    상기 합성 아이템 거래 시,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을 시각적으로 판매자의 단말기로부터 구매자의 단말기로 이동하며,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과 연동된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시각적으로 판매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구매자의 단말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매니지먼트 유닛은,
    상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에 고유성과 연계성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피스 아이템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의 창설이 가능하도록 하는 아이템 어레인지부; 및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를 연동 또는 반영하는 에셋 마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템 어레인지부는,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간에 연계성을 제공하는 연계 토큰을 형성하는 연계 토큰 생성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피스 간에 고유성을 제공하는 유효 토큰을 형성하는 유효 토큰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셋 마운트부는,
    i) 상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 상호 간에 조합 상태가 유지된 상태, 또는
    ii) 상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이 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결합되어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교환 가치를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은,
    i) 상기 복수 개의 가상의 피스 아이템의 미리 결정된 조합 조건에 의하여 합성되며,
    ii) 미리 결정된 비율 조건으로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합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가상의 피스 아이템에 대한 트랜잭션과,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대한 트랜잭션과,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에 반영되는 트랜잭션, 그리고
    상기 자산 가치를 가지는 오브젝트가 반영된 상기 가상의 합성 아이템의 거래에 대한 트랜잭션 정보를 미리 설정된 군집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노드에 공유하는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쉐어링 유닛은,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에서 트랜잭션 정보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복수의 노드에 공유된 상기 트랜잭션 정보를 각각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통해 상기 트랜잭션 정보에 대한 이벤트의 수정 또는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KR1020220059980A 2022-05-17 2022-05-17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KR20230160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980A KR20230160476A (ko) 2022-05-17 2022-05-17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980A KR20230160476A (ko) 2022-05-17 2022-05-17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476A true KR20230160476A (ko) 2023-11-24

Family

ID=8897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980A KR20230160476A (ko) 2022-05-17 2022-05-17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047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934B1 (ko) 2014-11-24 2016-07-19 주식회사 필굿하우징 전자 이미지 관리 및 포트폴리오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포트폴리오 방법
KR20210101275A (ko) 2018-12-07 2021-08-1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암호화로 보호된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27132A (ko) 2018-11-02 2021-10-21 베로나 홀딩스 에스이지씨 토큰화 플랫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934B1 (ko) 2014-11-24 2016-07-19 주식회사 필굿하우징 전자 이미지 관리 및 포트폴리오 서버 및 그를 이용한 포트폴리오 방법
KR20210127132A (ko) 2018-11-02 2021-10-21 베로나 홀딩스 에스이지씨 토큰화 플랫폼
KR20210101275A (ko) 2018-12-07 2021-08-18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암호화로 보호된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rosby et al. Blockchain technology: Beyond bitcoin
Swanson Consensus-as-a-service: a brief report on the emergence of permissioned, distributed ledger systems
US202103905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blockchains for verifying assets for smart contracts
CN112437922A (zh) 分布式数据记录
CN111095863B (zh) 在区块链网络上通信、存储和处理数据的基于区块链的系统和方法
CN109559164B (zh) 优惠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20220311611A1 (en) Reputation profile propagation on blockchain networks
CN111656344A (zh) 权利管理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
Khettry et al. A detailed review on blockchain and its applications
KR20200091237A (ko)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축산물 이력제 시스템
KR101978092B1 (ko) 실적증명 기반 가상화폐 지급시스템
KR20230160476A (ko)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자산 거래 연동 시스템
US20230186301A1 (en) Tokenization of the appreciation of assets
KR20230160475A (ko) 자산 가치가 반영된 합성 아이템의 가상 아이템 발행 메타버스 시스템
Lavrova et al. Nft performance and security review
KR20230160474A (ko) 가상 자산의 결합 규칙을 통한 가상 아이템 교환 가치 창설 시스템
Nirolia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Banking and Financial Sector in India
Antal et al.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Review and Decentralized Applications Development Guidelines. Future Internet 2021, 13, 62
US20240111788A1 (en) Fault tolerant storage of data
George et al. Leveraging Blockchain Technology In Accounting For Transparency, Accuracy And Speed For Record Keeping
KR102655645B1 (ko) 제3 소비자가 리뷰 nft의 접속만으로 동일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자 정보를 상기 제3 소비자에게 제공 가능하도록 scm 코드를 이용한 리뷰 nft와 밸류 체인 간의 경로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528059B1 (ko) Nft 기반의 전자상거래 운영시스템 및 방법
Velpuri Joining the blockchain gang
Mei Blockchain, Bitcoin, and the Digital Economy
KR20230148487A (ko) 피스의 선택적 조합을 이용한 가상 아이템 형성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