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906A - 활 표적에서 센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활 표적에서 센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906A
KR20230159906A KR1020220059264A KR20220059264A KR20230159906A KR 20230159906 A KR20230159906 A KR 20230159906A KR 1020220059264 A KR1020220059264 A KR 1020220059264A KR 20220059264 A KR20220059264 A KR 20220059264A KR 20230159906 A KR20230159906 A KR 20230159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sensor information
address
senso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태
Original Assignee
안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태 filed Critical 안희태
Priority to KR1020220059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9906A/ko
Publication of KR2023015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90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4Electric hit-indicating systems; Detecting hits by actuation of electric contacts or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14Apparatus for signalling hits or scores to the shooter, e.g. manually operated, or for communication between target and shooter; Apparatus for recording hits or sco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국궁 또는 양궁의 과녁 정보를 무선 전송함에 있어서: 과녁의 센서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태양광 패널을 탑재한 여러 개의 발신기와; 무선 송수신 상태를 수신기와 발신기로 전환 가능한 태양광 패널을 탑재한 여러 개의 표시등과; 여러 개의 수신기와; 여러 개의 과녁 센서 신호와; 여러 개의 음성 및 표시장치로 구성하고, 표시등1은 수신기1의 상태에서 주소1에서 무선 신호를 대기하고; 과녁의 발신기n이 과녁의 센서 신호n를 수신하면 센서 정보n를 주소n로 무선 전송하고; 표시등n은 주소n의 센서 신호n에 대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등n을 센서 정보n에 따라 동작시키고, 수신기n의 상태에서 발신기m의 상태로 전환하고 주소m로 센서 정보n를 무선 전송하고; 사대의 수신기n은 주소m의 센서 정보n에 대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또는 표시 장치를 센서 정보n에 따라 동작시킨다.

Description

활 표적에서 센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법 {How to wirelessly transmit sensor information from a bow target}
본 발명은 국궁 또는 양궁 과녁의 센서 정보를 실시간 무선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궁 또는 양궁에서 가장 단순하면서 효과적인 무선 전송 방법이다.
궁도 경기는 우리 민족의 전통 활인 국궁을 사용하여 사대(11)(화살을 발시하는 장소를 말하며 이하 사대라고 한다)에서 145m 떨어져 있는 궁도용 과녁을 맞추는 경기로써 득점의 판정기준은 화살이 과녁에 맞는 부위에 관계없이 과녁을 맞추는 유,무로 판단한다. 총 3개의 과녁(15,16,17)으로 경기를 진행하며 사대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위치한 과녁을 과녁1(15), 중앙에 위치한 과녁을 과녁2(16), 우측에 위치한 과녁을 과녁3(17)으로 구분한다. 사대(11)는 1개의 과녁에 7명씩 총 21명이 횡 방향으로 1열로 늘어설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대(11)에 있는 3명의 과녁1,2,3심판(12,13,14)이 각 과녁 별로 구분하여 경기를 진행한다.
1번선수(27)~7번선수(28)까지 과녁1심판(12)이, 8번선수(29)~14번선수(30)까지 과녁2심판(13)이, 15번선수(31)~21번선수(32)까지 과녁3 심판(14)이 진행하며 각 심판의 지시에 따라서 좌측 선수부터 1발의 화살을 발시 하여 과녁 옆에 있는 고전의 적중알림용깃발(24,25,26)로 관중 여부를 확인하여 기록한 후 다음 선수가 차례로 발시 한다.
궁도용 과녁은 화살이 박히는 양궁 경기와는 다르게 도면 2와 같이 과녁의 외부 면을 화살이 박히지 않는 정도의 탄성과 두께를 유지한 고무판(63)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화살이 과녁에 맞으면 박히지 않고 튕겨져 나오는 구조로 되어있다.
과녁에 관중 되어 튕겨져 나오는 화살을 145m 떨어진 사대에서는 정확히 구분할 수가 없어서 도면1과 같이 3개의 과녁 옆에 각 과녁을 담당하는 고전(21,22,23)을 1명씩 총 3명을 배치하여 각 과녁별로 1발의 화살이 발시 될 때마다 화살의 관중 여부를 해당 과녁 고전이 깃발을 흔들어 사대에 있는 해당 과녁의 심판(12,13,14)에게 알려준다. 각 과녁을 담당하는 고전은 해당 과녁의 상단 중앙부에 사각형으로 표시된 과녁식별용 색깔표시(18,19,20)의 색깔과 동일한 색깔의 깃발을 휴대하여 깃발의 색깔로 1관 고전(21), 2관고전(22), 3관 고전(23)을 구별한다.
1명의 선수가 1순(5발의 화살을 의미하는 용어로써 이하 1순(한순)이라한다)의 화살을 소지하여 상기의 발시 순서를 반복하여 하나의 과녁에 5발을 발시 한다. 경기 방법에 따라 3순(15발)경기 또는 5순(25발)경기로 실시하며 입승단 대회(대한궁도협회 주관으로 실시되는 공인 단증 심사제도를 말하며 이하 입승단 대회라고 한다)는 9순(45발)경기로 진행한다.
과녁1, 과녁2, 과녁3에 21명의 선수가 각각 1순의 화살을 모두 발시 하면 사대의 과녁 1,2,3심판(12,13,14)의 지시에 따라 과녁 주변의 화살을 수거하여 사대로 운반되며 선수 개인이 자기의 화살을 회수하여 다음 과녁으로 이동하는 방법으로 경기를 진행한다.
주지하다시피 국궁은 전통 활과 화살을 가지고 과녁을 맞추어 승부를 겨루는 우리나라 전통 무술이다.
국궁을 할 때 경기자는 사대에 서서 145m 정도의 전방에 설치된 과녁판을 향하여 활을 쏘게 된다. 과녁 주변에 있는 경기진행자는 화살이 과녁에 적중할 경우 소리로 이를 알려 경기자나 심사자로 하여금 과녁의 적중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국궁 경기에서는 과녁의 적중 부위에 차등 없이 과녁의 적중 여부만을 가리도록 되어 있어 국궁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녁의 적중부위를 보다 세분화하여 파악하도록 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종래와 같이 과녁 주변의 경기진행자가 소리를 외쳐 적중여부를 알리는 종래 국궁 환경에서는 과녁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사대에 위치한 경기자에게 세밀한 적중 부위를 효과적으로 알릴 수 없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정밀한 방법으로 명중 여부를 판단하고 무선 방식으로 명중여부를 전송하기 위한 국궁 과녁 명중확인 시스템이 요구되었으나, 이러한 기술이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여러 선행기술문헌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일반적으로 무선을 실시하는 경우
과녁1 -> 표시등1
과녁2 -> 표시등2
과녁3 -> 표시등3
과녁1 -> 사대1
과녁2 -> 사대2
과녁3 -> 사대3
와 같이 단순화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출원번호 10-2014-0138117 "국궁 과녁 명중 확인 시스템"와 같이
과녁1,2,3(무선송신) -> 중앙제어기 -> 사대1,2,3(무선수신기)
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원번호 10-2015-0143679 "국궁 또는 양궁 과녁의 명중을 실시간 확인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궁 또는 양궁에 정보화 기술(ICT)을 접목하여 대한민국 전통문화이며 심신단련을 위한 스포츠인 궁술의 홍보 및 교육의 대중화를 위한 기술과 사업화에 필요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나 그 구성이 복잡하여 널리 이용할 수 없다.
대한민국특허청(KR) 출원번호 10-2007-0109248 궁도 과녁의 적중상태 자동 알림용 모형고전 장치 출원번호 10-2014-0138117 국궁 과녁 명중 확인 시스템 출원번호 10-2015-0143679 국궁 또는 양궁 과녁의 명중을 실시간 확인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무선 구성의 경우 과녁의 감지 센서 정보는 발신기를 통해 표시등과 사대의 음성 출력기로 전송하는데 과녁에서 사대까지 거리는 멀고 전파법에 저촉되지 않는 미약 전파는 과녁이 철판으로 구성되는 경우 통과하는 과정에서 신호가 많이 약해진다.
상대적으로 과녁의 장애를 받지 않는 표시등에서 사대로 전파를 발신한다.
전파법에 저촉되지 않으면서 가장 간단한 무선 구성이 가능하다.
도 1은 국궁의 일반적인 실시 예
도 2는 유선으로 실시한 일 예
도 3은 무선으로 실시하는 일 예
도 4는 종래의 기술에서 실시한 일 예
도 5는 종래의 기술에서 실시한 또 다른 일 예
도 6은 본 발명의 무선으로 실시하는 예
국궁 또는 양궁의 과녁 정보를 무선 전송함에 있어서: 과녁의 센서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태양광 패널을 탑재한 여러 개의 발신기와; 무선 송수신 상태를 수신기와 발신기로 전환 가능한 태양광 패널을 탑재한 여러 개의 표시등과; 여러 개의 수신기와; 여러 개의 과녁 센서 신호와; 여러 개의 음성 및 표시장치로 구성하고, 표시등1은 수신기1의 상태에서 주소1에서 무선 신호를 대기하고; 과녁의 발신기n이 과녁의 센서 신호n를 수신하면 센서 정보n를 주소n로 무선 전송하고; 표시등n은 주소n의 센서 신호n에 대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등n을 센서 정보n에 따라 동작시키고, 수신기n의 상태에서 발신기m의 상태로 전환하고 주소m로 센서 정보n를 무선 전송하고; 사대의 수신기n은 주소m의 센서 정보n에 대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또는 표시 장치를 센서 정보n에 따라 동작시킨다.
상기 n,m은 예를 들면 1,4이다.
즉, 표시등1은 수신기1의 상태에서 주소1에서 무선 신호를 대기한다.
과녁의 발신기1이 과녁의 센서 신호1를 수신하면 센서 정보1를 주소1로 무선 전송한다.
표시등1은 주소1의 센서 신호1에 대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등1을 센서 정보1에 따라 동작시키고 수신기1의 상태에서 발신기4의 상태로 전환하고 주소4로 센서 정보1를 무선 전송한다.
사대의 수신기1은 주소4의 센서 정보1에 대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또는 표시 장치를 센서 정보1에 따라 동작시킨다.
도 6은 상기 동작을 도식화한 것이다.
여러 가지 기술을 조합하면 상기 절차는 용이한 방법이지만 당 업계의 여러 발명을 검색해 본 바 아직 구현된 바 없다.

Claims (1)

  1. 국궁 또는 양궁의 과녁 정보를 무선 전송함에 있어서:
    과녁의 센서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태양광 패널을 탑재한 여러 개의 발신기와;
    무선 송수신 상태를 수신기와 발신기로 전환 가능한 태양광 패널을 탑재한 여러 개의 표시등과;
    여러 개의 수신기와;
    여러 개의 과녁 센서 신호와;
    여러 개의 음성 및 표시장치로 구성하고,
    표시등1은 수신기1의 상태에서 주소1에서 무선 신호를 대기하고;
    과녁의 발신기n이 과녁의 센서 신호n를 수신하면 센서 정보n를 주소n로 무선 전송하고;
    표시등n은 주소n의 센서 신호n에 대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면 표시등n을 센서 정보n에 따라 동작시키고, 수신기n의 상태에서 발신기m의 상태로 전환하고 주소m로 센서 정보n를 무선 전송하고;
    사대의 수신기n은 주소m의 센서 정보n에 대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또는 표시 장치를 센서 정보n에 따라 동작시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 표적에서 센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법.
KR1020220059264A 2022-05-16 2022-05-16 활 표적에서 센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법 KR20230159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264A KR20230159906A (ko) 2022-05-16 2022-05-16 활 표적에서 센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264A KR20230159906A (ko) 2022-05-16 2022-05-16 활 표적에서 센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906A true KR20230159906A (ko) 2023-11-23

Family

ID=8897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264A KR20230159906A (ko) 2022-05-16 2022-05-16 활 표적에서 센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990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248A (ko) 2006-05-10 2007-11-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용 회전자
KR20140138117A (ko) 2012-02-27 2014-12-03 에스.뻬.쎄.엠. 에스아 알데히드와 반응된 베이스 공중합체를 건조 강도, 보유, 배수 및 기계 가공성 보조제로서 사용하는 종이의 새로운 제조 방법
KR20150143679A (ko) 2013-05-27 2015-12-2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하지층 형성용 조성물, 유기 el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248A (ko) 2006-05-10 2007-11-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용 회전자
KR20140138117A (ko) 2012-02-27 2014-12-03 에스.뻬.쎄.엠. 에스아 알데히드와 반응된 베이스 공중합체를 건조 강도, 보유, 배수 및 기계 가공성 보조제로서 사용하는 종이의 새로운 제조 방법
KR20150143679A (ko) 2013-05-27 2015-12-2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하지층 형성용 조성물, 유기 el 표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특허청(K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3185B1 (en) Target shoo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60189386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outdoor computer gaming
US10458758B2 (en) Electronic audible feedback bullet targeting system
WO2003070336A1 (es) Sistema de dispositivos electronicos de ayuda arbitral para el futbol
US9220967B2 (en) Method of providing a tennis practice target and display
CN202028192U (zh) 具有视觉和声音反馈的交互式娱乐设备
CN2922974Y (zh) 激光仿真飞碟射击装置
KR20110101794A (ko) 전투 게임용 로봇 및 이를 이용한 전투 게임 시스템과 방법
US20130065713A1 (en) Wireless Scoring and Gam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RF and/or IR to Activate Receiving Peripheral Devices
US20110037225A1 (en) Projectile golf game
KR20230159906A (ko) 활 표적에서 센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법
WO2014121482A1 (zh) 一种激光射击用飞靶及系统
KR101755632B1 (ko) 스크린 궁도 게임 시스템
CN111013128A (zh) 一种支持多人同时竞技的智能射击系统
CN108159664B (zh) 一种训练用的网球拍
CN211863815U (zh) 一种支持多人同时竞技的智能射击系统
CN202403616U (zh) 飞镖靶裁判机
US20040087378A1 (en) Shooting exercise for simultaneous multiple shooters
RU113479U1 (ru) Система регистрации рубящих и колющих ударов при фехтовании на имитаторах холодного оружия
US20150145213A1 (en) Target device for toy gun
KR102581409B1 (ko)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CN207965143U (zh) 一种电子飞镖机的测距装置
RU2766827C1 (ru) Способ развития зрительно-моторной реакции стрелка при скоростной стрельбе в зданиях
CN216703307U (zh) 一种篮球裁判抛球训练架及篮球裁判抛球训练装置
US20220373305A1 (en) Target g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