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1409B1 -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 Google Patents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1409B1
KR102581409B1 KR1020220127245A KR20220127245A KR102581409B1 KR 102581409 B1 KR102581409 B1 KR 102581409B1 KR 1020220127245 A KR1020220127245 A KR 1020220127245A KR 20220127245 A KR20220127245 A KR 20220127245A KR 102581409 B1 KR102581409 B1 KR 102581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area
signal
h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주모
Original Assignee
성기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억 filed Critical 성기억
Priority to KR102022012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4Electric hit-indicating systems; Detecting hits by actuation of electric contacts or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3/00Targets for arrows or darts, e.g. for sporting or amusement purposes
    • F41J3/0004Archery targ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3/00Targets for arrows or darts, e.g. for sporting or amusement purposes
    • F41J3/02Indicators or score boards for arrow or dart g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14Apparatus for signalling hits or scores to the shooter, e.g. manually operated, or for communication between target and shooter; Apparatus for recording hits or sco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사선으로부터 전방에서 설치되며, 사수가 활을 이용하여 화살을 쏘아 표적을 맞추는 과녁부(110); 과녁부(110)에 연결되며, 충격센서(113)의 영역을 인식한 후 전기 신호를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한 후 적중영역표시부(130)에 전달하는 제어장치(120); 및 제어장치(12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며, 과녁부에서 전송되어온 영역인식 신호를 램프로 표시해주는 적중영역표시부(130);가 포함된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100)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국궁(궁도관 또는 정곡관)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것으로 특히 화살이 과녁에 적중하는 영역(적,흑,백 또는 황,적,백)을 궁사가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경기자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Traditional Korean archery of electronic hit area recognition and display target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궁(궁도관 또는 정곡관)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것으로 특히 화살이 과녁에 적중하는 영역(적,흑,백 또는 황,적,백)을 궁사가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시스템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경기자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국궁은 전통 활과 화살을 가지고 과녁을 맞추어 승부를 겨루는 우리나라 전통 무술이다.
국궁을 할 때 경기자는 사대에 서서 145m 정도의 전방에 설치된 과녁판을 향하여 활을 쏘게 된다. 과녁 주변에 있는 경기진행자는 화살이 과녁에 적중할 경우 소리 또는 깃발로 이를 알려 경기자나 심사자로 하여금 과녁의 적중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국궁 경기에서는 과녁의 적중 부위에 차등 없이 과녁의 적중 여부만을 가리도록 되어 있어 국궁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녁의 적중부위를 보다 세분화하여 파악하도록 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종래와 같이 과녁 주변의 경기진행자가 소리를 외치거나 또는 깃발로 적중여부를 알리는 종래 국궁 환경에서는 과녁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사대에 위치한 경기자에게 세밀한 적중 부위를 효과적으로 알릴 수 없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정밀한 방법으로 명중 여부를 판단하고 무선 방식으로 명중여부를 전송하기 위한 국궁 과녁 명중확인 시스템이 요구되었으나, 이러한 기술이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는 국궁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한 것이 있으나, 시스템이 모듈별로 세분화되지 못한 구조적인 문제점과 이로 인해 시스템이 정확하고 신속한 경기 운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상기 종래 기술은 구조적으로 과녁 문양 영역별 화살 적중여부 센싱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즉, 충격영역은 전면 과녁 문양 영역과는 관계없이 센서의 위치 및 센서의 특성에 따라 대략의 영역으로 인식 구분하고, 영역 구분의 정확도는 전적으로 센서 의존적으로 사용에 따른 성능 및 특성 변경이 그대로 센싱 영역의 불안정으로 영역인식 품질이 매우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34645호(2016. 06. 23)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965592호(2018. 09. 03)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57061호(2012. 06. 05)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53638호(2014. 05. 08)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75070호(2018. 07. 04)가 공개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에 과녁부, 제어장치, 적중영역표시부, 태양광패널, 컴퓨터연동 수신장치, 게임운용 컴퓨터 및 음성안내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국궁(궁도관 또는 정곡관)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것으로 특히 화살이 과녁에 적중하는 영역(적,흑,백 또는 황,적,백)을 궁사가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편리한 사후 서비스 대비와 중요 기능 영역별로 PCB 모듈화 하여 문제시 해당 모듈만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태양광 시스템으로 충분한 태양광 전원 용량 확보로 인해 중단 없는 서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적중 영역별 음성안내 육성을 녹음 저장한 후 해당 영역에 적중시 녹음 음성을 재생시켜 선수들에게 알려주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화살 적중 영역과 해당 영역에 할당된 점수를 램프 또는 숫자로 표시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적중 영역 인식 출력신호를 게임용 컴퓨터에 제공하고 게임용 컴퓨터로 기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시스템이 정확하고 신속한 경기 운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해주게 되고, 제9목적은 궁장 활터 지능화 사업에 따른 국궁의 전자표적 시스템을 제공하게 되며, 제10목적은 우리의 전통 활쏘기 문화 창달에 기여함과 아울러 국궁 활쏘기 지능화 시스템을 개발 및 보급화에 앞장설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11목적은 이로 인해 시스템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경기자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선으로부터 전방에서 설치되며, 사수가 활을 이용하여 화살을 쏘아 표적을 맞추는 과녁부; 과녁부에 연결되며, 충격센서의 영역을 인식한 후 전기 신호를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한 후 적중영역표시부에 전달하는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며, 과녁부에서 전송되어온 영역인식 신호를 램프로 표시해주는 적중영역표시부;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에 과녁부, 제어장치, 적중영역표시부, 태양광패널, 컴퓨터연동 수신장치, 게임운용 컴퓨터 및 음성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국궁(궁도관 또는 정곡관)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것으로 특히 화살이 과녁에 적중하는 영역(적,흑,백 또는 황,적,백)을 궁사가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편리한 사후 서비스 대비와 중요 기능 영역별로 PCB 모듈화 하여 문제시 해당 모듈만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태양광 시스템으로 충분한 태양광 용량 확보로 인해 중단 없는 서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중 영역별 음성안내 육성을 녹음 저장한 후 해당 영역에 적중시 녹음 음성을 재생시켜 선수들에게 알려주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살 적중 영역과 해당 영역에 할당된 점수를 램프 또는 숫자로 표시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중 영역 인식 출력신호를 게임용 컴퓨터에 제공하고 게임용 컴퓨터로 기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시스템이 정확하고 신속한 경기 운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해주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궁장 활터 지능화 사업에 따른 국궁의 전자표적 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우리의 전통 활쏘기 문화 창달에 기여함과 아울러 국궁 활쏘기 지능화 시스템을 개발 및 보급화에 앞장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시스템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경기자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
스템의 구조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
스템의 블럭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과녁부의 측단면도.
도 4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궁도관 과녁부의 정면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궁도관 과녁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정곡관 과녁부의 정면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정곡관 과녁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사선으로부터 전방에서 설치되며, 사수가 활을 이용하여 화살을 쏘아 표적을 맞추는 과녁부(1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녁부(110)에 연결되며, 충격센서(113)의 영역을 인식한 후 전기 신호를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한 후 적중영역표시부(130)에 전달하는 제어장치(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어장치(12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며, 과녁부에서 전송되어온 영역인식 신호를 램프로 표시해주는 적중영역표시부(130)가 구비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과녁부(1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과녁부(110)의 정면에 구비되며, 화살이 부딪혀 튕겨지도록 한 고무판(11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무판(110)에는 복수개의 분할로 영역표시부(적,흑,백 또는 황,적,백을 구획선을 따라 도색)(115)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고무판(111)의 뒤쪽에 구비되며, 화살에 의해 고무판이 받은 충격을 전달받는 타격판(112)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 상기 타격판(112)은 위쪽의 고무판의 분할영역표시부(115) 영역간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충격 신호를 감지하는 충격센서(113)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타격판(112)과 철재프레임(118) 사이에 충격흡수판(114)을 구비하여 전체가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진 철재프레임(118)을 통하여 충격이 인접 타격영역으로 전달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충격흡수판(114)의 뒤쪽에 구비되며, 과녁부(110)를 지지하되 과녁 전체가 일체화된 철골틀을 통해 충격이 인접영역으로 전달을 회소화하기 위한 충격흡수목적의 철재 프레임(118)이 구비되고, 아울러 상기 프레임(118)에는 과녁부를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지탱해주는 지지대(119)가 구비된다.
상기 본 발명 상기 과녁부(110)에는 바람의 속도를 측정한 후 적중영역표시부(130)에 바람의 세기 및 방향을 알려주는 풍속계(116)가 구비되되, 상기 풍속계(116)는 음파의 전파속도가 풍속에 좌우되는 것을 이용하여 초음파를 사용한 초음파 풍속 풍향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초음파 풍속 풍향계는 초음파 송파기(P)와 수파기(R)를 설치한 후 수파기에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은 풍속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이를 이용하여 음파의 대기 중의 전파속도, 송파기와 수파기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풍향과 풍속이 구해서 적중영역표시부(130)에 알려주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 상기 프레임(118)에는 걸림공(118a)이 형성되어 제어장치(120)가 걸려지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 고무판(111)의 뒤쪽에 구비된 충격감지 타격판(112) 구조를 전면 과녁 표적 문양 영역구분 경계선을 따라 2.5mm 작게 하여 영역 경계선에서 인접영역간 5mm 이격 거리를 확보하여 상부 고무판(111)을 통하여 인접영역으로 충격 전달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이격거리를 멀리하면 영역간 충격전달은 감소하지만 경계선에서 충격감지 사각지대 발생 가능성이 높고, 가까이 하면 인접영역간 동일한 충격으로 경계선에서 판단 오류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고무판(111)에 화살충격이 하부의 하판겸 충격감지 타격판(112) 및 철재 프레임(118)을 통하여 인접 영역에 충격전달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판(114)을 철재 프레임(118)과 충격감지 타격판(112) 사이에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과녁 문양에 따라 분리된 영역을 동시간으로 감식하고, 가장 빨리 충격을 감지한 영역신호만을 선택 출력하고, 도잇에 일체화된 상부의 고무판(111) 및 뒤쪽의 철재 프레임(118)을 통하여 인접영역에 전달된 충격(예: 비록 약화된 신호라도 오류발생 가능성이 높음)에 의해 감지되는 다른 영역의 감지신호는 차단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고무판(111)과 타격판(112)(충격센서 113 장착) 및 철재 프레임(118) 등이 일체화된 구조의 국궁 과녁 구조하에서 정확하게 화살의 충격 영역을 고무판(111)의 표적 문양 영역별로 감지(인식)하는 기술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제어장치(120)에는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어장치(120)에는 복수개의 영역 충격신호를 감지 동작한 충격센서(113) 중에서 가장 빨리 감지한 영역을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영역제어기(121)가 구비되는 것으로, 충격센서 신호를 동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1개 영역 신호를 결정하여 출력시키고, 복수개의 충격센서(113)의 감지신호를 전영역을 동시간 감시하고 이중 제일 먼저 감지한 영역의 신호만을 선택하고 나머지 영역신호는 일정시간 차단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20)에는 영역제어기(121)의 출력신호를 RS-485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변환기(1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120)에는 상기 입력된 RS-485 신호를 무선 447Mhz 대역(KC 인증주파수중 하나를 선택사용으로, 복수의 과녁설치시 과녁간 무선전파혼신 방지) 신호로 변경하여 송신하는 무선송수신장치(12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적중영역표시부(13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 적중영역표시부(130)의 함체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며, 과녁의 영영제어기 출력신호가 유지되는 몇초간 깜박임으로 궁사에게 적중시킨 영역을 표시하는 적중표시램프(13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적중영역표시부(130)에는 수신된 447Mhz 대역 무선신호를 RS-485 신호로 변환 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장치(1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적중영역표시부(130)에는 RS-485 신호를 계전기 접점 또는 오픈콜렉터(Open Collector) 방식의 신호로 출력하고 적중표시램프를 구동시키는 신호변환기(133)가 구비된다.
또 한편, 본 발명 상기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100)에는 제어장치(120)의 신호를 받아 출력 및 변환시키고, 게임운용 컴퓨터(160)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컴퓨터연동 수신장치(15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컴퓨터연동 수신장치(150)에는 다음의 기술적 구성이 구비된다.
즉, 본 발명 상기 컴퓨터연동 수신장치(150)에는 수신된 447Mhz 대역 무선신호를 RS-485 신호로 변환 후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송수신장치(15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컴퓨터연동 수신장치(150)에는 RS-485 변환장치의 계전기 출력 또는 오픈콜렉터 방식의 신호를 RS-232 or USB 신호로 변환하여 게임운용 컴퓨터(160)에 제공하는 신호변환기(15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연동 수신장치(150)에는 RS-485 신호를 계전기 접점 신호로 출력하고, 적중표시램프를 구동시키는 신호변환장치(153)가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연동 수신장치(150)로부터 받은 데이터 신호를 가지고 관리자가 데이터를 기록 및 관리하는 게임운용 컴퓨터(160)가 구비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적중영역표시부(130)에 연결되며, 상용전원(AC 220V) 공사가 불필요하고, 충분한 태양광 전원 용량 확보로 시스템을 중단 없이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태양광패널(140), 축전지 및 제어장치가 구비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 상기 사선의 근방에는 적중 영역별 음성안내 육성을 녹음 저장한 후 해당 영역에 적중시 녹음 음성을 재생시켜 선수들에게 알려주도록 한 음성인식부(170)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국궁(궁도관 또는 정곡관)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것으로 특히 화살이 과녁에 적중하는 영역(적,흑,백 또는 황,적,백)을 궁사가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100)의 구조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 궁도관 과녁부와 정곡관 과녁부가 동시에 설치된 것을 보인 것이다.
또한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100)의 블럭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과녁부(110)의 측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4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궁도관 과녁부(110)의 정면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궁도관 과녁부(110)의 배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정곡관 과녁부(110)의 정면 사시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정곡관 과녁부(110)의 배면 사시도이다.
상기 적용된 과녁부(110)는 프레임(118)의 뒤쪽 걸림공(118a)에 제어장치(120)가 연결되고, 지지대(119)가 과녁부를 일정 각도로 세워지도록 지지해주게 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사선에 선 궁사가 화살을 쏘아 과녁부(110)를 맞추는 것으로, 화살이 과녁에 적중하는 영역(적,흑,백 또는 황,적,백)을 궁사가 적중영역표시부(130)를 보고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과녁부(110) 또는 과녁부 근방에 구비된 풍속계(116)가 바람의 세기 및 방향을 적중영역표시부(130)에 표시하면 궁사가 이를 보고 바람의 세기 및 방향을 판단한 후 화살을 발사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풍속계는 초음파 풍속 풍향계가 풍향과 풍속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사된 화살이 과녁부(110)의 어느 영역에 맞으면 고무판(111)이 1차로 충격 신호를 감지고, 이후 고무판 뒤에 있는 타격판(112)이 2차로 충격 신호를 감지하고 이어서 타격판의 뒤쪽에 있는 복수개의 충격센서(113) 중 충격을 받은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한 후 상기 감지신호를 적중영역표시부(130)에 보낸다.
상기 과정에서 충격센서(113)는 화살 충돌로 인한 충격을 인식 감지하고, 제어장치(120)의 영역제어기(121)를 이용하여 센싱 영역을 중복 오류 없이 결정한 후 적중영역표시부(130)의 적중표시램프(131)를 통해 몇초간 램프가 점멸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무판(111)은 선단 끝이 둥근 화살이 맞고 튕겨져 나가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타격판(112)과 프레임(118) 사이에 배치된 충격흡수판(114)이 프레임(118)을 통한 인접영역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 하고 아울러 충격을 흡수하면서 충격센서 및 과녁부(110)를 보호하고, 프레임(118)이 과녁부 전체를 지지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화살이 과녁부(110)의 어느 위치에 맞쳤는지를 제어장치(120)가 인식한 후 적중영역표시부(130)에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장치(120)의 영역제어기(121)가 복수개의 영역 충격신호를 감지 동작한 충격센서(113) 중에서 가장 빨리 감지한 영역을 선택하여 출력시키게 되되, 특히 상기 충격센서 신호를 동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최적의 1개 영역 신호를 결정하여 출력시키고 나머지 영역신호는 일정시간 차단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20)의 신호변환기(122)는 영역제어기(121)의 출력신호를 RS-485 신호로 변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120)의 무선송수신장치(123)는 상기 입력된 RS-485 신호를 무선 447Mhz 대역 신호로 변경시켜주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적중영역표시부(13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게 된다.
즉, 적중표시램프(131)가 과녁의 영영제어기 출력신호가 유지되는 몇초간 깜박임으로 궁사에게 적중시킨 영역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무선송수신장치(132)가 수신된 447Mhz 대역 무선신호를 RS-485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신호변환기(133)가 RS-485 신호를 계전기 접점 또는 오픈콜렉터 방식의 신호로 출력하고 적중표시램프를 구동시키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컴퓨터연동 수신장치(15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무선송수신장치(151)가 수신된 447Mhz 대역 무선신호를 RS-485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신호변환기(152)가 RS-485 변환장치의 계전기 출력 또는 오픈콜렉터 방식 신호를 RS-232 or USB 신호로 변환하여 게임운용 컴퓨터(160)에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신호변환장치(153)가 RS-485 신호를 계전기 접점 신호로 출력하고, 적중표시램프를 구동시키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은 게임운용 컴퓨터(160)가 상기 컴퓨터연동 수신장치(150)로부터 받은 데이터 신호를 가지고 관리자가 데이터를 기록 및 관리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국궁(궁도관 또는 정곡관)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것으로 특히 화살이 과녁에 적중하는 영역(적,흑,백 또는 황,적,백)을 궁사가 실시간으로 알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편리한 사후 서비스 대비와 중요 기능 영역별로 PCB 모듈화 하여 문제시 해당 모듈만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태양광 시스템으로 충분한 태양광 용량 확보로 인해 중단 없는 서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적중 영역별 음성안내 육성을 녹음 저장한 후 해당 영역에 적중시 녹음 음성을 재생시켜 선수들에게 알려주도록 한 것이고, 화살 적중 영역과 해당 영역에 할당된 점수를 램프 또는 숫자로 표시하여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적중 영역 인식 출력신호를 게임용 컴퓨터에 제공하고 게임용 컴퓨터로 기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시스템이 정확하고 신속한 경기 운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해주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110: 과녁부
120: 제어장치
130: 적중영역표시부
140: 태양광패널
150: 컴퓨터연동 수신장치
160: 게임운용 컴퓨터
170: 음성안내부

Claims (5)

  1.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100)에 관한 것으로,
    사선으로부터 전방에서 설치되며, 사수가 활을 이용하여 화살을 쏘아 표적을 맞추는 과녁부(110); 상기 과녁부(110)의 정면에 구비되며, 화살이 부딪혀 튕겨지도록 한 고무판(111); 상기 고무판(111)에 복수개의 분할로 이루어진 영역표시부(115); 상기 고무판(111)의 뒤쪽에 구비되며, 화살에 의해 고무판이 받은 충격을 전달받는 타격판(112); 상기 타격판(112)은 위쪽의 고무판의 분할영역표시부(115) 영역간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며, 충격 신호를 감지하는 충격센서(113); 타격판(112)과 철재프레임(118) 사이에 구비된 충격흡수판(114); 상기 충격흡수판(114)의 뒤쪽에 구비되며, 과녁부(110)를 지지하되 과녁 전체가 일체화된 철골틀을 통해 충격이 인접영역으로 전달을 회소화하기 위한 충격흡수목적의 철재 프레임(118); 상기 프레임(118)에는 과녁부를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지탱해주는 지지대(119); 및 상기 고무판(111)의 뒤쪽에 구비된 충격감지 타격판(112) 구조를 전면 과녁 표적 문양 영역구분 경계선을 따라 2.5mm 작게 하여 영역 경계선에서 인접영역간 5mm 이격 거리를 확보하여 상부 고무판(111)을 통하여 인접영역으로 충격 전달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고무판(111)에 화살충격이 하부의 하판겸 충격감지 타격판(112) 및 철재 프레임(118)을 통하여 인접 영역에 충격전달이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판(114)을 철재 프레임(118)과 충격감지 타격판(112) 사이에 배치하고,
    과녁부(110)에 연결되며, 충격센서(113)의 영역을 인식한 후 전기 신호를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한 후 적중영역표시부(130)에 전달하는 제어장치(120); 제어장치(120)에는 복수개의 영역 충격신호를 감지 동작한 충격센서(113) 중에서 가장 빨리 감지한 영역을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영역제어기(121); 영역제어기(121)의 출력신호를 RS-485 신호로 변환시키는 신호변환기(122); 입력된 RS-485 신호를 무선 447Mhz 대역 신호로 변경하여 송신하는 무선송수신장치(123)가 구비되고,
    제어장치(12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며, 과녁부에서 전송되어온 영역인식 신호를 램프로 표시해주는 적중영역표시부(130); 및
    제어장치(120) 및 적중영역표시부(130)의 신호를 받아 출력 및 변환시키고, 게임운용 컴퓨터(160)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컴퓨터연동 수신장치(15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연동 수신장치(150)로부터 받은 데이터 신호를 가지고 관리자가 데이터를 기록 및 관리하는 게임운용 컴퓨터(16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적중영역표시부(130)에 연결되며,
    상용전원(AC 220V) 공사가 불필요하고, 태양광 용량 확보로 시스템을 중단 없이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태양광패널(140);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사선의 근방에는,
    적중 영역별 음성안내 육성을 녹음 저장한 후 해당 영역에 적중시 녹음 음성을 재생시켜 선수들에게 알려주도록 한 음성인식부(17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KR1020220127245A 2022-10-05 2022-10-05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KR102581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245A KR102581409B1 (ko) 2022-10-05 2022-10-05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245A KR102581409B1 (ko) 2022-10-05 2022-10-05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409B1 true KR102581409B1 (ko) 2023-09-22

Family

ID=88190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245A KR102581409B1 (ko) 2022-10-05 2022-10-05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40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061A (ko) 2010-11-26 2012-06-05 이커스텍(주) 전자태그를 이용한 점수표시 시스템
KR20140035043A (ko) * 2012-09-13 2014-03-21 주식회사 스포닉스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40053638A (ko) 2012-10-26 2014-05-08 황인혁 국궁용 과녁 판별시스템
KR101634645B1 (ko) 2015-10-14 2016-06-29 주식회사 씨에이테크놀로지 국궁 또는 양궁 과녁의 명중을 실시간 확인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59016A (ko) * 2016-11-25 2018-06-0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감지센싱신호와 순간영상캡쳐이미지를 통한 하이브리드형 국궁 과녁 실시간 모니터링장치
KR20180075070A (ko) 2016-12-26 2018-07-04 정상목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
KR20190017409A (ko) *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알텍 양궁 개인훈련을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061A (ko) 2010-11-26 2012-06-05 이커스텍(주) 전자태그를 이용한 점수표시 시스템
KR20140035043A (ko) * 2012-09-13 2014-03-21 주식회사 스포닉스 양궁 훈련 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20140053638A (ko) 2012-10-26 2014-05-08 황인혁 국궁용 과녁 판별시스템
KR101634645B1 (ko) 2015-10-14 2016-06-29 주식회사 씨에이테크놀로지 국궁 또는 양궁 과녁의 명중을 실시간 확인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59016A (ko) * 2016-11-25 2018-06-04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충격감지센싱신호와 순간영상캡쳐이미지를 통한 하이브리드형 국궁 과녁 실시간 모니터링장치
KR20180075070A (ko) 2016-12-26 2018-07-04 정상목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
KR20190017409A (ko) * 2017-08-11 2019-02-20 주식회사 알텍 양궁 개인훈련을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96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the launch positions of descending golf balls
KR101148162B1 (ko) 타격상태 출력 기능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 및 방법
JP7335652B2 (ja) 標的システム
KR101239527B1 (ko) Led 광 센서가 구비된 야구 타격 및 피칭 연습시스템
US20050187036A1 (en) Apparatus and method designed for the detection, location and velocity of impacts for sports game feedback on player accuracy
EP2875504B1 (en) Putting stroke analysis device
CA2134471A1 (en) Golf game simula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50247709A1 (en) Interactive target and system for long range shooting
JP7327847B2 (ja) 標的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072456B2 (ja) 標的システム
JP6473976B2 (ja) 標的システム
EP1809979B1 (en) Impact identification sensor
CN111111136A (zh) 一种篮球训练系统
KR102581409B1 (ko)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RU190955U1 (ru) Регистрирующая мишень
US20080182687A1 (en) Shooter training system for improved accuracy and speed
CN108159664B (zh) 一种训练用的网球拍
US20150024815A1 (en) Hit recognition electronic target shooting system and recognition method thereof
EP2926161B1 (en) Device for determining the velocity of a bullet
JP2010210148A (ja) 標的装置
KR200429415Y1 (ko) 궁도용 표적판의 적중알림장치
CN107866054B (zh) 高尔夫挥杆姿势纠正仪器
WO2005049154A2 (en) Target device
KR20230159906A (ko) 활 표적에서 센서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방법
CN212631651U (zh) 一种篮球训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