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070A -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070A
KR20180075070A KR1020160178979A KR20160178979A KR20180075070A KR 20180075070 A KR20180075070 A KR 20180075070A KR 1020160178979 A KR1020160178979 A KR 1020160178979A KR 20160178979 A KR20160178979 A KR 20160178979A KR 20180075070 A KR20180075070 A KR 20180075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archery
camera system
arrow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목
Original Assignee
정상목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목,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정상목
Priority to KR1020160178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5070A/ko
Publication of KR20180075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3/00Targets for arrows or darts, e.g. for sporting or amusement purposes
    • F41J3/0004Archery targ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3/00Targets for arrows or darts, e.g. for sporting or amusement purposes
    • F41J3/02Indicators or score boards for arrow or dart g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4Electric hit-indicating systems; Detecting hits by actuation of electric contacts or switches
    • F41J5/056Switch actuation by hit-generated mechanical vibration of the target body, e.g. using shock or vibration transdu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14Apparatus for signalling hits or scores to the shooter, e.g. manually operated, or for communication between target and shooter; Apparatus for recording hits or sco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4Bow shoo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후면에 복수의 진동센서가 구비된 국궁 과녁, 상기 진동센서의 감지 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출하는 송출부, 및 카메라 시스템 및 표시부가 설치된 사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화살이 날아가는 궤적 및 타격 여부를 사수가 쉽게 판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명중 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판독할 수 있는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SYSTEM FOR CHECKING HITING THE MARK FOR KOREAN TRADITIONAL ARCHERY}
본 발명은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인식을 통해 타격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타격 여부 및 궤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국궁장용 타격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궁은 활을 쏘아 표적을 맞추어 승부를 겨루는 우리나라 전통경기이다. 국궁경기는 가로×세로가 2×2.66m인 과녁을 타격하면 명중으로 판정하며, 사대에서 과녁까지의 거리가 145m로서 사대에서 육안으로 타격 여부를 정확히 판별하기 곤란하므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타격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국궁의 화살촉(도 1(a))은 양궁의 화살촉(도 1(b))과는 달리 끝이 뭉퉁하게 형성되어 과녁에 꽂히는 것이 아니고 과녁에 맞은 후 튕겨나가게 된다. 또한, 양궁처럼 원의 위치에 따라 점수가 달라지는 것이 아니고 과녁을 맞추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국궁 경기의 특징으로 인해 화살이 과녁에 맞는 순간을 정확히 관측하기 않으면 과녁에 명중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곤란한 경우가 많다. 국궁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화살을 쏘는 각도와 풍향인데, 현재 국궁 사수들은 경험, 느낌, 풍향계 정보만으로 국궁 훈련을 하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활을 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사수가 활을 쏠 때 과녁의 어느 부분에 맞았는지 정확히 알 수 있다면 화살을 쏘는 각도, 풍향 등을 쉽게 예측할 수 있으나 현재 이러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시스템은 개발되어 있지 않은 형편이다.
한편, 국궁 경기를 원활히 진행하기 위하여 국궁장의 과녁 판별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53638호에서는 과녁판을 복수의 적중 영역으로 구분하고 적중 영역 감지장치가 화살이 적중된 위치를 판별하여 적중 여부를 안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28925호에서는 과녁 후면에 진동센서를 구비하여 과녁의 명중 여부를 측정하고 이를 무선으로 송출하여 명중 여부를 사대에 설치된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34645호에서는 과녁에 설치된 충격센서를 통해 화살이 과녁에 맞았을 때의 충격을 감지하여 전달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모두 과녁에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명중 시 발생하는 충격을 통해 명중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서, 명중되었다 하더라도 과녁의 어느 부분에 명중되었는지 그리고 화살이 날아가는 궤적을 추적할 수 없어 사수가 다음 번 화살을 쏠 때 어떤 부분을 수정해야 할지 판단할 수 있는 정보까지 제공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사대에서 과녁까지의 거리가 145m에 달하기 때문에 사수가 자신이 쏜 화살이 날아가는 궤적을 정확히 판독하기 어렵고 나중에 기억해 내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타격 정보까지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5363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289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3464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국궁장에서 화살의 명중 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판독할 수 있는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수가 자신이 쏜 화살의 궤적 및 표적에 착지하는 장면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쏘기를 개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은 후면에 복수의 진동센서가 구비된 국궁 과녁; 상기 진동센서의 감지 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출하는 송출부; 카메라 시스템 및 표시부가 설치된 사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진동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시스템은 영상 인식 카메라 및 카메라 보호 케이스를 포함하며, 진동 센서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 전 5초 이내의 영상을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에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메라 시스템은 촬영 중인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대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카메라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은 국궁장에서 화살의 명중 여부를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판독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사수가 자신이 쏜 화살의 궤적 및 표적에 착지하는 장면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쏘기를 개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국궁(a)과 양궁(b)의 화살촉의 형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국궁장의 전체 구조(a) 및 사대의 타격 정보 시스템(b)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과녁의 구조(a) 및 카메라 시스템(b)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은 후면에 복수의 진동센서가 구비된 국궁 과녁; 상기 진동센서의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출부; 카메라 시스템 및 표시부가 설치된 사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국궁장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대(100)와 과녁(200)으로 이루어진다. 종래기술들에서는 과녁에 센서를 설치하여 화살이 닿는 충격을 감지함으로써 명중 여부를 판정했으나, 이 경우 화살이 날아가는 궤적은 추적할 수 없고, 국궁의 특성상 과녁에 바로 맞지 않고 바닥에 맞은 후 튕긴 화살이 과녁에 충격을 가하는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에 과녁에 가해지는 충격만으로 명중 여부를 판정하는 데에는 문제가 많다.
따라서 화살을 쏠 때 육안으로 이를 추적하여 명중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정확하나 이 경우 145m의 사거리를 정확히 관찰하기 어렵고, 바닥에 튕겼는지 바로 과녁에 적중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추적하는 방식에도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대에 표시부(110) 및 카메라 시스템(120)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수가 서는 사대의 일측에 설치대가 배치되고, 상기 설치대에 디스플레이 형태로 표시부(110)가 설치되게 되거나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국궁장 한쪽에 대형 전광판을 설치하여 이를 표시부(110)로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10)는 다양한 정보를 화면 상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설치대에 설치된 카메라 시스템(120)의 영상 인식 카메라(130)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영상 인식 카메라(13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지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국궁장에 설치된 풍향계, 온도계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도 있고, 풍향계를 촬영하는 별도의 카메라로부터 얻어지는 영상 정보를 지속적으로 화면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 시스템(12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3,000m 거리에 있는 물체까지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으므로, 화살이 날아가 과녁에 닿는 순간까지 정확하게 촬영하여 상기 표시부(20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시스템(120)은 영상 인식 카메라(130) 및 카메라 보호 케이스(140)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영상 인식 카메라(130)는 사대(100)에 설치된 제어부를 통하여 제어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영상처리를 위한 컴퓨터나 영상장비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통해 인터넷을 경유하여 국궁장 시스템의 각종 장비를 조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에는 상기 사대(100)뿐만 아니라 국궁 과녁(200)에도 센서가 설치되어 작동하는데, 상기 센서는 진동센서로서 국궁 과녁(200)의 후면에 복수개 설치되게 된다. 일례로 도 3(a)에서와 같이 국궁 과녁(200) 후면 모서리에 6개의 진동센서(200)를 설치함으로써 국궁 과녁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과녁의 타격 여부를 카메라 시스템(120)을 통해 판정하기 때문에 과녁의 타격 부위에 따로 진동센서(200)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단지 과녁에 충격이 가해졌는지 여부만을 판정하면 된다.
상기 진동센서(200)를 통해 감지된 감지 신호는 송출부(미도시)에 의해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출하며 상기 감지 신호는 제어부에 포함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카메라 시스템(120)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시스템(120)은 도 3(a)와 같이 지속적으로 과녁(200)을 촬영하고 있으므로, 감지 신호를 수신했을 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카메라 시스템(120)이 수신 전 5초 이내의 영상을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에 상기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수는 자신이 쏜 화살이 타격하는 장면을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화살이 타격할 때의 장면을 저장된 영상 정보로 취득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시스템(12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데, 상기 카메라 시스템(120)의 촬영 온/오프를 제어할 수도 있고, 저장된 영상 정보의 다운로드, 삭제 등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화살이 날아가는 궤적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쉽게 점선이나 실선으로 표시하여 이를 표시부(11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은 사수가 시각적으로 화살의 명중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화살의 궤적을 추적할 수 있고, 풍향 정보 등의 국궁장의 부가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게 함으로써 화살을 쏘는 각도, 풍향 등의 정보를 쉽게 취득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 사대 200 : 과녁
110 : 표시부 120 : 카메라 시스템
130 : 영상 인식 카메라 140 : 카메라 보호케이스
210 : 진동센서

Claims (5)

  1. 후면에 복수의 진동센서가 구비된 국궁 과녁;
    상기 진동센서의 감지 신호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송출하는 송출부;
    카메라 시스템 및 표시부가 설치된 사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진동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시스템은 영상 인식 카메라 및 카메라 보호 케이스를 포함하며, 진동 센서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 전 5초 이내의 영상을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에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시스템은 영상 인식 카메라 및 카메라 보호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시스템은 촬영 중인 영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대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출부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카메라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
KR1020160178979A 2016-12-26 2016-12-26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 KR20180075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979A KR20180075070A (ko) 2016-12-26 2016-12-26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979A KR20180075070A (ko) 2016-12-26 2016-12-26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070A true KR20180075070A (ko) 2018-07-04

Family

ID=6291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979A KR20180075070A (ko) 2016-12-26 2016-12-26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50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409B1 (ko) 2022-10-05 2023-09-22 성기억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409B1 (ko) 2022-10-05 2023-09-22 성기억 국궁의 전자화된 적중영역 인식 및 표시 과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2312B2 (ja) 発射された発射体の実際の方向と、所定の方向と、の間の偏差を、測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100309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US10782096B2 (en) Skeet and bird tracker
US8794967B2 (en) Firearm training system
TW201017090A (en) Ballistic ranging methods and systems for inclined shooting
US9033711B2 (en)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shooting and target tracking for self-improvement and training
EP2040025A1 (en) Shooting target system for automatic determination of point of impact
US1064878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scoring shooting sports
US20150018057A1 (en) Simulated Shooting System and Method
US9897416B2 (en) Photoelectric sighting device
US8944821B2 (en)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mpass bearing of directing means of a virtual projectile/missile firing device
KR100914320B1 (ko) 곡사화기 모의 훈련 장치 및 방법
KR20180075070A (ko) 국궁장 타격 정보 시스템.
US20190226807A1 (en) System, method and app for automatically zeroing a firearm
JP6555804B2 (ja) 射撃訓練システム
KR101185068B1 (ko) 양궁 전자표적 시스템
KR101392337B1 (ko) 망각형 유도무기 훈련 시뮬레이터 및 이의 운용방법
US11268790B2 (en) Firing-simulation scope
JP2007333260A (ja) 管制装置
JP4398878B2 (ja) 射撃訓練システム
RU2294526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дальности срабатывания неконтактного взрывателя при проведении испытаний управляемого снаряда
KR101912754B1 (ko) 사격용 표적 표시 시스템
WO2018106179A1 (en) Method for calibrating a shooting target system, method for determing an impact position on a shooting target, and a shooting target system
CN105526826A (zh) 基于压电原理的同步信号触发器及射击辅助训练系统
JP2679181B2 (ja) 着弾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