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548A -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548A
KR20230159548A KR1020237035991A KR20237035991A KR20230159548A KR 20230159548 A KR20230159548 A KR 20230159548A KR 1020237035991 A KR1020237035991 A KR 1020237035991A KR 20237035991 A KR20237035991 A KR 20237035991A KR 20230159548 A KR20230159548 A KR 20230159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ar door
operating
control uni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5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잉고 뇌베르만
닐스 쇠렌 건트룸
크리스티안 볼프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230159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54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0Control un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 E05Y2400/452Control modes for saving energy, e.g. sleep or wake-u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1Power supp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54Power or signal transmission by electrical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5Power or signal transmission
    • E05Y2400/66Wireless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1)를 작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1)에는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4) 및/또는 전류 소비자 형태의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및 도어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5)가 장착된다. 또한, 센서(5)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제어 유닛(6)이 제공되며, 이는 기록된 도어 움직임에 따라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그리고 반대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움직임은 휴식 모드에서 전원이 차단된 센서(5)가 전류 펄스를 생성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는, 예를 들어, 전류 소비자로서(as a current consumer) 액추에이터 및/또는 자동차 도어록을 구비하고, 도어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구비하며, 이에 따르면 센서로부터 신호를 평가하는 제어 유닛이 등록된 도어 움직임에 따라,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및 다시 반대로 전환된다.
이 경우, 제어 유닛은 적어도 센서의 신호를 평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 유닛은 액추에이터 및/또는 자동차 도어록을 모니터링하고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추가로 수행한다. 본 사례에서 자동차 도어라는 용어는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차체와 관련하여 내부 및 외부 모두에서 움직일 수 있는 모든 플랩, 커버, 도어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DE 10 2006 058 723 A1의 맥락에서 설명된다. 실제로, 여기서는 차량 도어에 대한 키리스 액세스(keyless access)를 구현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 경우, 전반적으로 근접 센서가 사용되며, 이를 통해 도어 제어 유닛이 제1 작동 모드에서 제2 작동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두 가지 작동 모드는 한편으로는 휴식 모드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 모드이다.
DE 10 2006 058 723 A1에 따라 앞서 설명한 선행기술에서와 같은 근접 센서에 더하여, 가속도 센서도 원칙적으로 이러한 맥락에서 알려져 있다. DE 10 2006 030 986 B4가 이에 대한 예로서 인용된다. 여기에서는 차량 플랩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 플랩 또는 차량 도어의 가속도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DE 10 2007 062 472 B4도 유사한 접근 방식을 취한다. 이는 개폐 동작을 지지하기 위해 액추에이터의 작동력을 조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추에이터의 작동력을 도어의 각 작동 상황에 맞게 조정하는 것은 이제 평가 장치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특히 도어 핸들의 부근에 배치된 가속도 센서가 제공된다.
관련 자동차 도어 내부 또는 위에 있는 센서에 의해 제어 유닛을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한 후 다시 작동 모드로 전환하는 문제라면, 선행기술은 원칙적으로 그 자체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올바른 작동을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센서 그 자체와 또한 제어 유닛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자동차의 수많은 전기 소비자 또는 전류 소비자를 고려할 때, 특히 유휴 전류 또는 휴식 모드에서의 전력 소비를 줄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점에서 개선이 여전히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을 더욱 발전시켜, 특히 휴식 모드에서 전류 소비가 종래의 접근 방식에 비해 다시 감소되는 방식으로 발전시키는 기술적 과제에 기초한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를 작동시키는 일반적인 방법에서, 휴식 모드에서 전원이 차단된 센서가 도어 움직임에 의해 전류 펄스를 발생시킬 것을 제안한다.
원칙적으로, 절차는 앞서 언급한 전류 펄스의 도움으로 제어 유닛을 깨우고,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되는 것이다. 휴식 모드에서 제어 유닛은 더 나아가 일반적으로 전원이 차단된다. 즉, 본 발명의 맥락에서 휴식 모드는 센서와 센서를 평가하는 제어 유닛이 각각 전원이 차단된 상태, 즉 대기 전류를 소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전류 소비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센서 자체는 도어가 움직일 때만 전류 펄스를 생성한다. 이 센서의 전류 펄스는 제어 유닛을 깨우거나 이를 전원이 차단된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도어 움직임에 의해 센서에 의해 생성된 전류 펄스가 제어 유닛에 할당된 전원 공급 유닛을 활성화시킨다고 일반적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전원 공급 유닛은 우선 센서에 의해 생성된 전류 펄스에 의해 스위치온되거나, 휴식 모드에서 가정되고 또한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된다. 전원 공급 유닛이 활성화되자마자, 제어 유닛은 전원 공급 유닛의 도움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이전에 가정된 비전원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활성화된 전원 공급 유닛은 제어 유닛을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라 요구되는 유휴 전류(idle current)는 종래 방식에 비해 다시 현저히 감소된다. 휴식 모드에서, 제어 유닛과 센서 및 제어 유닛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닛은 각각 전원이 차단된다. 이는 전류 소비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어 움직임이 발생할 때만 센서를 통해 전류 펄스가 생성된다. 센서에서 생성된 전류 펄스는 전원 공급 유닛을 활성화하고, 전원 공급 유닛은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제어 유닛에 공급하여 이것이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시퀀스에서 관찰되는 이러한 에너지 관리는 지금까지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이 경우, 센서는, 상기 센서를 사용하여, 작동 상태에서 자동차 도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센서는 일반적으로 그 움직임에 의해 생성된 전류 펄스의 휴식 모드에서 진행하며, 전원 공급 유닛이 활성화되고, 이것이 이어서 제어 유닛을 작동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보장하는 핵심 기능을 가정한다. 동일한 것이 센서에도 적용된다. 여기에 필수적인 이점이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 센서는 유도적으로 작동하는 가속도 센서 또는 그 움직임 도중에 움직임에 의해 유도된 전류를 생성하는 유형의 센서이다. 이것은, 가장 간단한 경우, 센서에 하나 이상의 코일과 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영구 자석이 장착되는 방식으로 상세하고 유리하게 실현 및 구현 될 수 있다. 이 경우, 영구 자석은 유리하게는, 해당 자동차 도어가 움직이는 동안에 영구자석이 그와 관련하여 정지되어 있는 코일 또는 코일들에 대하여 움직임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전류가 코일에 유도되는 방식으로 배치 및 정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도된 전류는 이제 본 발명에 따라 전원 공급 유닛을 활성화하는 데 사용되는 전류 펄스를 보장하고, 이는 차례로 제어 유닛을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센서에는 그에 상응하는 작동 유도 유닛이 장착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에 할당된 유도 유닛은 예를 들어, 선형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예를 들어 막대 모양의 영구 자석은 하나 이상의 고정 코일에 대해 선형적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유도 유닛이 회전적으로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코일을 원형으로 배열할 수 있다. 이 원형 배열이 고정된 영구 자석에 대해 회전하자마자, 이것은 다시 코일 내에서 전류의 유도로 이어지고, 이는 위에서 이미 언급한 전류 펄스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형적 또는 회전적으로 작동하는 유도 유닛은 이제 전류 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웨이크업 펄스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원칙적으로, 선형적으로 또는 회전적으로 작동하는 유도 유닛은 원래 센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코일에 대하여 선형적으로 움직이는 영구 자석의 가속도 및 그것과 관련되어 유도된 전류 신호는 회전적으로 작동하는 유도 유닛의 경우 가속도 및 회전 속도 모두의 측정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즉, 이 경우, 센서 자체는 유도적으로 작동하는 가속도 센서로 설계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유도 유닛은 추가의 센서와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 센서는 예컨대 반도체 기반(basis) 또는 홀 센서로 설계된다. 즉, 센서는 일반적으로 유도적으로 작동하는 가속도 센서로 설계되거나 및/또는 유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센서는 통신 링크를 통해 전원 공급 유닛에 연결된다. 통신 링크는 원칙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휴식 모드에서는 통신 링크만 활성화되도록 설계된다. 반대로, 센서, 전원 공급 유닛, 제어 유닛 및 일반적으로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전류 소비자는 전원이 차단된다. 여기에는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액추에이터 및/또는 자동차 도어록이 포함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 도어를 움직이거나 움직임을 지원하는 액추에이터는 휴식 모드에서 전원이 차단된다. 이것은 또한 그리고 특히 자동차 도어가 열려 있고 정지 상태인 경우에도 적용된다. 제어 유닛이 센서에서 생성된 전류 펄스를 통해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될 때만 제어 유닛이 활성화된 전원 공급 유닛과 함께 액추에이터가 자동차 도어의 움직임을 원하는 대로 보조할 수 있도록 전반적으로 보장한다. 물론 이는 예시로만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제어 유닛과 센서는 자동차 도어의 도어 리프에 배치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전원 공급 유닛은 일반적으로 차체 측에 위치한다. 그 결과, 특히 휴식 모드에서, 이전 실시예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된 전력 소비가 관찰된다. 여기에 필수적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만을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에서는,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작동되는 자동차 도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자동차 도어와 센서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3은 시간 경과에 따른 센서 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들은, 그 도어 리프(2)와 함께, 점선으로 표시된 폐쇄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표시된 개방 위치로, 축(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자동차 도어(1)를 도시한다. 실시예에서, 자동차 도어(1)는 자동차 사이드 도어, 자동차 플랩, 연료 필러 플랩 등이다. 즉, 자동차 도어(1)라는 용어는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궁극적으로 차체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모든 플랩, 폐쇄장치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글러브박스 플랩(glovebox flap)과 같이 차체 내부에 위치한 플랩도 포함될 수 있다. "자동차 도어(1)"라는 용어는 또한 회전식 및 슬라이딩식 또는 다른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자동차 도어, 자동차 플랩, 자동차 루프 등을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본 발명은 이제, 해당 자동차 도어(1)가 액추에이터(4)를 구비하는 방식으로 계속 행해진다. 액추에이터(4)는 축 또는 회전축(3)의 영역 상에 또는 그 영역에서 작동할 수 있고, 그 도움으로 도어 리프(2)가 열리거나 닫히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개시된 도어 리프(2)의 회전 운동이 보조될 수 있도록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4)는 전류 소비자이다.
기본 구조는 또한 제어 유닛(6)과 결합된 센서(5)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 유닛(6)과 센서(5)는 자동차 도어(1)의 도어 리프(2)에 배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자동차 도어(1) 또는 도어 리프(2)의 도어 움직임이 센서(5)의 도움으로 감지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센서(5)의 신호는 등록된 도어 움직임에 따라 제어 유닛(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제어 유닛(6)은 이제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그리고 반대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유닛(6)의 휴식 모드는 제어 유닛(6) 뿐만 아니라 제어 유닛(6)에 의해 작동되는 액추에이터(4)도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센서(5)도 마찬가지이다. 이제 제어 유닛(6)을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하고 따라서 액추에이터(4)가 제어 유닛(6)에 의해 제어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도어 리프(2)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휴식 모드에서 전원이 차단된 센서(5)는 이제 도어 움직임에 의해 전류 펄스가 생성되도록 보장한다.
전류 펄스를 사용하여, 제어 유닛(5)이 깨어나서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른 센서(5)가 유도적으로 작동하는 가속도 센서로 설계되고 유도 유닛(5)을 갖는 방식으로 상세하게 진행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5)와 유도 유닛(5)은 동의어이거나 일치한다(synonymous or coincide). 그러나, 원칙적으로, 센서(5)는 유도 유닛(5)을 함유하거나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반도체 센서, 홀 센서 등의 형태로 센서 소자가 장착되어, 이의 도움으로 자동차 도어(1)의 도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에 따른 유도 유닛(5) 또는 센서(5)는 이제, 도 2에 따라, 유도 유닛(5)이 도 2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앞뒤로 이동할 수 있는 영구 자석(7)을 구비하도록 작동한다. 이 영구 자석(7)은 두 개의 고정 코일(9)에 대하여 이동한다. 이 경우, 영구 자석(7)은 코일(9)의 내부에 고정되어 그 안에서 안내될 뿐만 아니라, 한쪽 또는 양쪽에 제공되는 스프링(8)은 영구 자석(7)이 그 선형 움직임 중에 손상되지 않고 오히려 각 경우에 각 단부에서 탄력적인 제동을 경험하도록 보장한다.
두 개의 코일(9)은 각각 제어 유닛(6)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선형적으로 작동하는 유도 유닛(5) 대신에, 상세한 설명의 서론에서 이미 설명한 회전적으로 작동하는 유도 유닛(5)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사용될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축(3)을 중심으로 한 자동차 도어(1) 또는 그 도어 리프(2)의 움직임은, 예시의 경우에, 이와 관련된 영구 자석(7)의 선형 이동으로 이어지며, 코일(9)에 전류를 유도하며, 이것은 도 3의 그래프에 따르면, 전원이 차단된 상태(0)에서부터 진행되는 센서 신호 또는 센서 전류 I의 증가로 이어진다. 이는 센서(5)에 의해 생성된 웨이크업 펄스(wakeup pulse)에 해당한다. 이 센서(5)의 웨이크업 펄스 또는 전류 펄스는 제어 유닛(6)이 깨어나도록 보장한다. 그 결과, 제어 유닛(6)은 전원이 차단된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고 구현하기 위해, 자동차 도어(1)의 움직임에 의해 센서(5)에 의해 생성된 전류 펄스 또는 웨이크업 펄스는 제어 유닛(6)에 할당된 전원 공급 유닛(10)을 활성화하도록 보장한다. 도 1a 내지 도 1c를 도 2와 비교하면, 전원 공급 유닛(10)은 차체 측에 마련된 반면, 제어 유닛(6)과 센서(5)는 자동차 도어(1)의 도어 리프(2)에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센서(5)는 이제 통신 링크(11)를 통해 전원 공급 유닛(10)에 연결된다. 실제로, 센서(5)는 통신 링크(11)에 전기적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반면, 제어 유닛(6)에 대한 센서(5)의 결합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대응적으로 점선 연결로 표시되어 있음을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어 리프(2) 따라서 자동차 도어(1)의 움직임 동안 센서(5)에 의해 생성된 전류 펄스 또는 웨이크업 펄스는, 제어 유닛(6)에 할당된 전원 공급 유닛(10)이 먼저 활성화되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활성화된 전원 공급 유닛(10)은 이제 제어 유닛(6)을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한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 유닛(10)은 제어 유닛(6)에 결합되어, 활성화된 전원 공급 유닛(10)의 경우, 제어 유닛(6)이 이전에 가정된 휴식 모드에서 전원이 차단된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직접적으로 전환되도록 한다. 센서(5)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센서(5)와 전원 공급부(10) 사이의 통신 링크(11)는 유선 및 무선 또는 양쪽 모두에 의해 실현 및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적인 설계는, 휴식 모드에서는 통신 링크(11)만 활성화되어 자동차 도어(1)의 이동 중에 센서(5)에 의해 생성된 전류 펄스 또는 웨이크업 펄스를 전원 공급 유닛(10)으로 직접 전송하고, 전원 공급 유닛(10)이 이후 활성화되어 연속적으로 제어 유닛(6)을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한다. 반대로, 휴식 모드에서는 센서(5)와 제어 유닛(6) 및 전원 공급 유닛(10) 모두 전체적으로 전원이 차단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하는 동안의 개별 단계를 나타낸다. 도 1a는 자동차 도어(1) 또는 도어 리프(2)의 휴식 모드를 나타낸다. 전원 공급 유닛(10)은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이는 상태 "0"과 연관되어 있다. 이 휴식 모드는 도 3에 표시된 센서 신호 또는 센서(5)에 의하여 출력된 전류 I가 임계값 I0 미만이면 즉시 가정된다. 그러나 임계값 I0 대신 임계 대역이 평가될 수도 있다. 동시에 센서 신호가 임계값 Io 아래로 떨어질 때 기간이 등록된다. 이것은 시작 시간 t1을 포함한다. 이제 센서 신호가 도 3의 t1에서 t2까지의 기간 동안 지정된 임계값 I0보다 영구적으로 낮으면, 제어 유닛(6), 센서(5) 및 또한 전원 공급 유닛(10)은 휴식 모드로 전환된다. 이는 도 1a의 기능 상태를 포함한다.
여기서부터 진행하여, 만일 자동차 도어(1) 또는 그 도어 리프(2)가 이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면, 이는 초기에 센서(5)가 앞서 언급한 전류 펄스 또는 웨이크업 펄스를 생성하도록 보장한다. 도 3에 표시된 전원이 차단된 상태로부터 시작되는 전류 증가가 이에 해당한다. 이 경우, 웨이크업 펄스는 시점 t0까지의 기간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미 설명한 센서 신호의 임계값 I0 또는 다른 임계값이 다시 초과될 수 있으며, 이전에 가정한 휴식 모드에서 후속의 작동 모드로의 전환이 이에 해당한다.
어쨌든, 센서(5)의 일부 상의 이러한 웨이크업 펄스 또는 전류 펄스는, 도 1b에서 도 1c로 전환하는 동안, 전원 공급 유닛(10)이 이전에 가정된 비활성화 상태(0)에서 활성화 상태(1)로 전환되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활성화된 전원 공급 유닛(10)은 이제 제어 유닛(6)이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변경되거나 전환되도록 보장한다. 이는 이전에 전원이 차단된 액추에이터(4)가 또한 제어 유닛(6)의 도움으로 작동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오며, 그 결과 도어 리프(2)가 액추에이터(4)에 의해 작동된다. 물론, 액추에이터(4) 대신에, 제어 유닛(6)의 도움으로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와 같은 다른 상정 가능한 전류 소비자가 또한 자동차 도어(1) 내부 또는 위에서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도시되지 않았다. 이어서, 제어 유닛(6)은 센서(5)의 도움을 받아 액추에이터(4)에 의해 생성된 도어 리프(2)의 움직임을 등록하고, 그에 따라 액추에이터(4)를 제어할 수 있다.
1: 자동차 도어
2: 도어 리프
3: 축
4: 액추에이터
5: 센서, 유도 유닛
6: 제어 장치
7: 영구 자석
8: 스프링
9: 코일
10: 전원 공급 유닛
11: 통신 링크
I: 센서 신호, 센서 전류
O: 상태

Claims (10)

  1. 자동차 도어(1)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 도어(1)는,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4) 및/또는 전류 소비자 형태의 자동차 도어 잠금 장치, 및 도어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5)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센서(5)로부터의 신호를 평가하는 제어 유닛(6)이 제공되어, 기록된 도어 움직임에 따라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및 다시 반대로 전환될 수 있으며,
    도어 움직임은 휴식 모드에서 전원이 차단된 센서(5)가 전류 펄스를 생성하도록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6)은 센서(5)의 전류 펄스에 의해 깨어나고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류 펄스는 제어 유닛(6)에 할당된 전원 공급 유닛(10)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활성화된 전원 공급 유닛(10)은 제어 유닛(6)을 휴식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5)는 통신 링크(11)를 통해 전원 공급 유닛(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통신 링크(11)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휴식 모드에서는 통신 링크(11)만 활성화되고, 센서(5), 전원 공급 유닛(10) 및 제어 유닛(6)와 전류 소비자는 각각의 경우에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6) 및 센서(5)는 자동차 도어의 도어 리프(2)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 유닛(10)은 차체 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5)는 유도 작동 가속도 센서로 설계되거나 및/또는 유도 유닛(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KR1020237035991A 2021-03-22 2022-03-09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KR202301595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06976.9 2021-03-22
DE102021106976.9A DE102021106976A1 (de) 2021-03-22 2021-03-22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raftfahrzeugtür
PCT/DE2022/100188 WO2022199749A1 (de) 2021-03-22 2022-03-09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raftfahrzeugtü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548A true KR20230159548A (ko) 2023-11-21

Family

ID=8081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5991A KR20230159548A (ko) 2021-03-22 2022-03-09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57894A1 (ko)
EP (1) EP4314454A1 (ko)
KR (1) KR20230159548A (ko)
CN (1) CN117043433A (ko)
DE (1) DE102021106976A1 (ko)
WO (1) WO2022199749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0986B4 (de) 2006-07-03 2012-01-19 Edscha Engineering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Fahrzeugklappe oder einer Fahrzeugtür
DE102006058723A1 (de) 2006-12-13 2008-06-19 Dr.Ing.H.C. F. Porsche Ag Verfahren zum Realisieren eines schlüssellosen Zugangs von zumindest einer Fahrzeugtür
DE102007062472B4 (de) 2007-12-20 2013-07-18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npassung einer Stellkraft eines Aktuators sowie Tür, insbesondere Fahrzeugtür, welcher ein solcher Aktuator zugeordnet ist
DE102011121411B4 (de) 2011-12-17 2021-02-04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teuereinheit eines Kraftfahrzeugs sowie Kraftfahrzeug
DE102012200267A1 (de) 2012-01-11 2013-07-1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Aktivieren eines Sensors
DE102016211777A1 (de) * 2016-06-29 2018-01-0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ahrzeugtüranordnung mit einem Türantrieb
DE102018126838A1 (de) * 2018-10-26 2020-04-30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Verfahren für den Betrieb einer motorischen Klappen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FR3102502B1 (fr) * 2019-10-29 2022-10-21 Psa Automobiles Sa Système à volet rotatif motorisé, contrôlant l’accès à un espace, et à détection d’entraînement manuel en ro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57894A1 (en) 2024-05-16
DE102021106976A1 (de) 2022-09-22
WO2022199749A1 (de) 2022-09-29
CN117043433A (zh) 2023-11-10
EP4314454A1 (de)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0731B (zh) 机动车辆的打开件的打开控制系统
KR101103466B1 (ko) 차량의 도어 및/또는 리드의 전기식 또는 기계식 잠금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
US7156447B2 (en) Door-opening/closing apparatus
KR101089854B1 (ko) 차체 또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전자식 또는 전자기계식접근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장치
RU24445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ложением подвижной части кузова автомобиля
KR101118984B1 (ko) 도어 개폐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도어 개폐 송신장치
US10655368B2 (en) Electrical door latch with motor reset
US20170081900A1 (en) Powe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109469421A (zh) 客室车门开闭控制电路及控制方法、轨道交通车辆
US20200248493A1 (en) Opening and closing body control device
CN105531435A (zh) 车辆用开闭体控制装置以及车辆用开闭系统
JPH0375284U (ko)
CN109677358B (zh) 用于机动车辆的由传感器控制的钥匙系统以及用于对机动车辆进行节能的周围监测的方法
US20110308162A1 (en) Vehicl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CN108369054A (zh) 冷藏和/或冷冻设备
KR20230159548A (ko) 자동차 도어 작동 방법
JP2021503411A (ja) 自動車のボデー扉用の駆動システムを運転する方法
CN110173188B (zh) 用于窗户的包括电子张紧器的窗户调节器系统及操作方法
EP2034117B1 (en) Door device
JP2018040185A (ja) スイングドア制御装置
JP5026935B2 (ja) 電気錠装置
RU131783U1 (ru) Электронное зам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JP5211668B2 (ja) モータ駆動装置
KR200213844Y1 (ko) 트렁크 개방시 도어 오픈 장치
KR19990029880U (ko)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