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9880U -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9880U
KR19990029880U KR2019970042548U KR19970042548U KR19990029880U KR 19990029880 U KR19990029880 U KR 19990029880U KR 2019970042548 U KR2019970042548 U KR 2019970042548U KR 19970042548 U KR19970042548 U KR 19970042548U KR 19990029880 U KR19990029880 U KR 199900298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lay
vehicle
power transistor
e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2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9880U/ko
Publication of KR19990029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880U/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이 정지상태에서 승객이 도어를 여는 경우에 도어밖으로 다른 사람이나 물체가 접근하여 도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일시적으로 도어의 개방을 중지시킴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는, 제어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ECU와, 상기 ECU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전기도통상태를 제어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온/오프되는 파워트랜지스터와, 상기 파워트랜지스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릴레이와, 전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와, 파워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2릴레이와 연결된 릴리즈스위치와, 상기 파워트랜지스터의 온작동에 따라서 동작하여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액츄에이터와, 도어의 표면에 부착되어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ECU에 입력하기 위한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
본 고안은 차량이 정지상태에서 승객이 도어를 여는 경우에 도어밖으로 다른 사람이나 물체가 접근하여 도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일시적으로 도어의 개방을 중지시킴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발생율이 높아지며 동시에 운전자 이외의 승객에 의한 사고발생도 빈발하고 있다. 특히 승객에 의한 사고의 대부분은 승하차시에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발생된다. 즉 차량에서 내리기 위하여 도어를 여는 경우에 미처 도어에 접근하는 다른 사람이나 물체(주로 다른 차량)를 인식하지 못하고 도어를 열어줌으로서 충돌사고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서 도어가 파손되거나 사람이 부상당하여 물질적인 피해를 입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는 승객의 주의를 요하기 때문에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이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이 정지상태에서 승객이 도어를 여는 경우에 도어밖으로 다른 사람이나 물체가 접근하여 도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일시적으로 도어의 개방을 중지시킴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는, 제어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ECU와, 상기 ECU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전기도통상태를 제어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온/오프되는 파워트랜지스터와, 상기 파워트랜지스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릴레이와, 전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와, 파워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2릴레이와 연결된 릴리즈스위치와, 상기 파워트랜지스터의 온작동에 따라서 동작하여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액츄에이터와, 도어의 표면에 부착되어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ECU에 입력하기 위한 감지센서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감지센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어의 외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스톱액츄에이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도어의 내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ECU, 4 : 제1릴레이,
6 : 제2릴레이, 8 : 파워트랜지스터,
9 : 밧데리, 10: 릴리즈스위치,
12: 스톱액츄에이터, 14: 감지센서,
16: 도어, 18: 힌지,
20: 키세트, 22: 팔걸이대,
121: 전자석, 122: 피스톤,
123: 스프링, 124: 가이드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는, 도 1을 참고하면, 제어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ECU(2)와, 상기 ECU(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전기도통상태를 제어하는 제1릴레이(4)와, 상기 제1릴레이(4)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온/오프되는 파워트랜지스터(8)와, 상기 파워트랜지스터(8)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릴레이(6)와, 전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9)와, 파워트랜지스터(8)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2릴레이(6)와 연결된 릴리즈스위치(10)와, 상기 파워트랜지스터(8)의 온작동에 따라서 동작하여 도어(16)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액츄에이터(12)와, 도어(16)의 표면에 부착되어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ECU(2)에 입력하기 위한 감지센서(14)로 구성된다. 도 1을 참고하여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ECU(2)는 본 고안의 제어장치를 조정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것으로 예를들면 종래 차량의 운행에 사용되는 원칩마이컴인 메인 ECU(2)를 사용할 수 있다. ECU(2)에는 포트(Sc)를 통하여 밧데리(9)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며 동시에 포트(S1,S2)를 통하여 감지센서(14)로부터 신호가 입력된다. ECU(2)에 입력되는 밧데리(9)의 전원은 ECU(2)에 의하여 포트(S3)를 통하여 제1릴레이(4)에 인가될 수 있다.
제1릴레이(4)는 파워트랜지스터(8)의 베이스단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ECU(2)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포트(S3)를 통하여 전압이 인가되면 온되도록 작동된다. 한편 파워트랜지스터(8)의 컬렉터단에는 제2릴레이(6)에 의하여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이다.
파워트랜지스터(8)의 에미터단에는 도어(16)의 이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스톱액츄에이터(12)에 연결되어 있다. 파워트랜지스터(8)가 온되면 스톱액츄에이터(12)에 전원이 공급되어서 내부에 설치된 전자석을 작동시켜 도어(16)가 이동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제2릴레이(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밧데리(9)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파워트랜지스터(8)의 컬렉터단에 공급하는 상태이지만 베이스단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도통되지 않아서 파워트랜지스터(8)가 온되지 않는다.
도어(16)의 외부에 설치되어서 물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4)는 표면에서 전파를 발사한 후에 물체의 표면에 부딪혀서 반사되는 전파를 감지하여 물체이동을 감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감지센서(14)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에 변화가 생기게 되며 이 전기적신호는 ECU(2)에 입력된다. ECU(2)은 입력되는 전기적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접근여부를 판단한다. ECU(2)에는 이러한 목적으로 접근상태에 따른 전기적신호파형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파워트랜지스터(8)에 의하여 작동되는 스톱액츄에이터(12)는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전자석(121)과, 상기 전자석(121) 내부에 삽설되어서 전후이동하는 피스톤(122)과, 일측단부가 상기 피스톤(122)의 외측단부에 부착되고 타단부가 도어(16)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바(124)와, 상기 피스톤(122)이 복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스프링(123)으로 구성된다.
파워트랜지스터(8)로부터 전원(증폭된 전류)이 인가되면 스톱액츄에이터(12)의 전자석(121)이 자화되고 피스톤(122)이 자석에 부착되어서 이동이 정지된다. 피스톤(122)의 이동을 중지시키기 위하여 전자석(121)의 자력은 충분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피스톤(122)이 정지되면 이에 따라서 피스톤(122)에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바(124)도 역시 정지되므로 도어(16)가 열리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바(124)는 도어(16)의 회전궤적에 따라서 작동되도록 외방을 향하여 기울어진 곡선형태를 가진다.
도어(16)가 스톱액츄에이터(12)에 의하여 차단된 상태에서 승객이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고 이동이 중지된 후에 또는 접근에도 불구하고 도어(16)를 열기 위해서는 릴리즈스위치(10)를 작동시킨다. 릴리즈스위치(10)가 온되면 제2릴레이(6)의 컬렉터단에 인가된는 전원의 공급이 중지되므로 파워트랜지스터(8)의 전류가 차단되어서 결과적으로는 전자석(121)이 힘을 잃고 도어(16)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감지센서(14)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어(16)의 외부표면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키세트(2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서 외방을 향하여 전자기파를 방사한다. 방사된 전자기파는 도어(16)에 접근하는 물체가 있으면 이것에 반사된 후에 다시 감지센서(14)로 입력된다.
본 고안의 스톱액츄에이터(12)의 작동상태를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승객이 도어(16)를 열어주는 경우에 도어(16)의 외부에 이동하는 물체가 없으면 스톱액츄에이터(12)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가이드바(124)가 원활하게 외부로 이탈된다. 따라서 도어(16)를 여는 데에 문제가 없다.
도어(16)가 스톱액츄에이터(12)에 의하여 잠긴 상태에서 이것을 해제하기 위한 릴리즈스위치(10)는 도어(16)의 내측에 설치된 팔걸이대(22)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함으로써 부주의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파손의 가능성이 감소한다. 또한 릴리즈스위치(10)는 한 번 눌러준 후에 다시 원위치되는 누름버큰식의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차량의 주행이 종료되고 정지한 상태에서 ECU(2)은 감지센서(14)로부터 입력되는 물체접근신호를 감지한다. 이 때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물체접근이 감지되면 ECU(2)은 즉시 제1릴레이(4)를 도통시켜서 릴레이의 스위치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밧데리(9)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파워트랜지스터(8)에 인가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파워트랜지스터(8)의 컬렉터단에는 이미 제2릴레이(6)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된 상태이므로 파워트랜지스터(8)는 즉시 전력을 증폭하여 스톱액츄에이터(12)에 공급한다. 전원이 공급되면 스톱액츄에이터(12)의 전자석(121)이 자화되면서 피스톤(122)의 이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어(16)는 그 상태에서 작동이 중지되므로 접근하는 물체와 충돌을 피할 수 있다.
이렇게 도어(16)의 이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승객이 팔걸이대(22)의 내부에 설치된 릴리즈스위치(10)를 온시킴으로서 전자석(121)에 인가되던 전원이 해제되어서 도어(16)를 원활하게 열어 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는 차량주행중에도 옆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을 인식하고 잠금동작을 수행함으로서 주행중의 안전에도 일조할 수 있음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이 정지상태에서 승객이 도어를 여는 경우에 도어밖으로 다른 사람이나 물체가 접근하여 도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일시적으로 도어의 개방을 중지시킴으로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3)

  1. 제어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ECU와,
    상기 ECU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전기도통상태를 제어하는 제1릴레이와,
    상기 제1릴레이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온/오프되는 파워트랜지스터와,
    상기 파워트랜지스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릴레이와,
    전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밧데리와,
    파워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것으로 제2릴레이와 연결된 릴리즈스위치와,
    상기 파워트랜지스터의 온작동에 따라서 동작하여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액츄에이터와,
    도어의 표면에 부착되어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ECU에 입력하기 위한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액츄에이터가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 내부에 삽설되어서 전후이동하는 피스톤과, 일측단부가 상기 피스톤의 외측단부에 부착되고 타단부가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피스톤이 복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스위치가 차량도어의 내측에 설치된 팔걸이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
KR2019970042548U 1997-12-29 1997-12-29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 KR199900298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548U KR19990029880U (ko) 1997-12-29 1997-12-29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548U KR19990029880U (ko) 1997-12-29 1997-12-29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880U true KR19990029880U (ko) 1999-07-26

Family

ID=6969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548U KR19990029880U (ko) 1997-12-29 1997-12-29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988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779A (ko) * 2002-01-30 2003-08-19 윤덕현 차량 도어 열림각 제어 장치
KR20040017595A (ko) * 2002-08-22 2004-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의 자동 조작 장치
KR100803551B1 (ko) * 2006-07-14 2008-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의 개폐각 제어 시스템
CN114987628A (zh) * 2022-07-06 2022-09-02 重庆交通职业学院 一种用于新能源汽车的磁吸式充电口盖组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779A (ko) * 2002-01-30 2003-08-19 윤덕현 차량 도어 열림각 제어 장치
KR20040017595A (ko) * 2002-08-22 2004-0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의 자동 조작 장치
KR100803551B1 (ko) * 2006-07-14 2008-0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의 개폐각 제어 시스템
CN114987628A (zh) * 2022-07-06 2022-09-02 重庆交通职业学院 一种用于新能源汽车的磁吸式充电口盖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0943B2 (en) Anti-pinch logic for door opening actuator
US6241294B1 (en) Motor vehicle door handle assembly
US9447612B2 (en) Dual function power door
US10316554B2 (en) Opening system for a vehicle
JPH0223669B2 (ko)
KR19990029880U (ko) 차량의 도어개폐 제어장치
US5777395A (en) Safety actuation of vehicle door-handle operated door locks using series connected switches and electric actuator
US202302580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pplique with deployable handle
US6590301B2 (en) Device for securing a motor vehicle
US20050236866A1 (en) Sliding door and vehicle with a sliding door
KR100488665B1 (ko) 도어 파손을 방지하는 도어 체커
KR200316155Y1 (ko) 도어록 장치
KR0126075Y1 (ko)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가속페달 고정장치
KR100188654B1 (ko) 차량의 도어 개폐장치
KR100373255B1 (ko) 버스용 중비도어의 잠금 및 해제장치
KR200161417Y1 (ko) 자동차의 도어개폐시 시건장치
KR0152610B1 (ko) 자동차 도어록 콘트롤 장치
KR0135955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안전잠금장치
KR100235737B1 (ko) 자동차용 도난방지를 위한 키 장치
ES1016348U (es) Dispositivo de maniobra para cerraduras de puertas para automoviles.
KR100233888B1 (ko) 차량의 도어 자동 닫힘장치
KR19980049695A (ko) 자동차 도어의 잠김 방지 장치
KR19990020800A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자동 잠금 장치
JPH01182480A (ja) 自動車用ドアの自動閉鎖装置
KR19990019596U (ko) 도어의 보조 록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