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461A -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461A
KR20230159461A KR1020237034265A KR20237034265A KR20230159461A KR 20230159461 A KR20230159461 A KR 20230159461A KR 1020237034265 A KR1020237034265 A KR 1020237034265A KR 20237034265 A KR20237034265 A KR 20237034265A KR 20230159461 A KR20230159461 A KR 20230159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ly conductive
conductive wire
frame area
connection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4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이리 가이
언칭 궈
쥔펑 리
뤼보 싱
Original Assignee
윤구(구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구(구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윤구(구안)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59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46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10K59/1315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compris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lowering the resistan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프레임 영역을 구비하며, 프레임 영역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대적인 양측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 영역과 제2 프레임 영역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은 음극, 전원 공급 연결부 및 적어도 하나의 본딩 연결부를 포함하며; 음극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프레임 영역에 설치되고; 전원 공급 연결부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1 연결부는 제1 프레임 영역에서 음극에 연결되고, 제2 연결부는 제2 프레임 영역에서 음극에 연결되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음극에 전원을 각각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본딩 연결부는 제1 프레임 영역에 위치하며, 대응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음극 전압 강하로 인한 디스플레이가 불균일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어, 디스플레이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본 출원은 2022년 5월 12일에 중국 특허청에 제출된 출원번호가 202210518090.8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상기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 출원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이 끊임없이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성능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 소자에는 이의 발광을 구동하는 전원 신호가 접속되어야 하는데, 관련 기술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의 전원 신호의 전송 라인에 저항이 존재하므로, 발광 소자의 구동 전류가 전원 신호의 전송 라인을 흐르면 전압 강하(IR Drop)가 발생하게 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이한 영역에서 전원 신호의 전송 라인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 강하가 일치하지 않아, 상이한 영역의 발광 소자의 구동 전류의 균일성이 좋지 못하여, 디스플레이가 불균일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음극 전압 강하로 인한 디스플레이가 불균일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프레임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대적인 양측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 영역과 제2 프레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프레임 영역에 설치된 음극;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연결부-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음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음극에 전원을 각각 공급하도록 구성됨-;
상기 제1 프레임 영역에 위치하며, 대응하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본딩 연결부; 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본딩 연결부에 본딩 연결되는 플렉시블 연결 부재(Flexible connecting piece)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연결 부재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이며, 각 상기 플렉시블 연결 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본딩 연결부에 각각 본딩 연결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음극 전압 강하로 인한 디스플레이가 불균일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한편으로, 발광 단계에서, 음극의 일부분 구동 전류는 제1 연결부로 흐르고, 다른 일부분 구동 전류는 제2 연결부로 흘러,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흐르는 구동 전류의 총량이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도록 하는데, 이는 음극 전체의 구동 전류를 둘로 분할한 것에 해당하므로, 음극에서 흐르는 구동 전류를 반으로 감소시켜, 음극의 각 영역에서 발생되는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감소시킴으로써, 각 영역의 발광 소자의 구동 전류 차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균일성을 향상시키며; 다른 한편으로, 본딩 연결부는 제1 연결부를 통해 제1 프레임 영역의 음극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고, 제2 연결부를 통해 제2 프레임 영역의 음극에 전원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제1 프레임 영역과 제2 프레임 영역의 음극에 대한 본딩 연결부의 구동 능력 차이를 감소시키고, 제1 프레임 영역과 제2 프레임 영역의 음극의 전원 전압 차이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의 음극에서의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가 대칭되게 분포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2 프레임 영역과 제1 프레임 영역에 근접한 위치의 발광 소자의 구동 전류 차이를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제2 프레임 영역과 제1 프레임 영역에 근접한 위치의 디스플레이 휘도 차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의 디스플레이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관련 기술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되는 픽셀 회로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구동 전류 방향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 중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절단선 CC'에 따라 절단하여 얻은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 중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절단선 DD'에 따라 절단하여 얻은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분야의 당업자가 본 출원의 방안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명백한 것은, 기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며, 전체 실시예가 아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분야의 당업자가 노동 창출 없이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한다.
배경 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련 기술의 디스플레이 패널 중의 전원 신호의 전송 라인에 저항이 존재하므로, 발광 소자의 구동 전류가 전원 신호의 전송 라인을 흐르면 전압 강하가 발생하게 되고,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이한 영역에서 전원 신호의 전송 라인에 의해 발생되는 전압 강하가 일치하지 않아, 상이한 영역의 발광 소자의 구동 전류의 균일성이 좋지 못하여, 디스플레이가 불균일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연구를 거쳐, 상기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아래와 같은 원인을 발견하였다.
도 1은 관련 기술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되는 픽셀 회로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결합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01)은 디스플레이 영역(11) 및 비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고, 비디스플레이 영역은 하부 프레임 영역(12)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영역(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픽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셀 회로는 구동 트랜지스터(03), 제1 트랜지스터(04) 및 저장 커패시터(05)를 포함하며, 제1 트랜지스터(04)의 제1극에는 데이터 전압(Vdata)이 접속되고, 구동 트랜지스터(03)의 제1극에는 제1 전원 전압(VDD)이 접속되며, 구동 트랜지스터(03)의 제2극은 발광 소자(06)의 양극에 연결되고, 발광 소자(06)의 음극에는 제2 전원 전압(VSS)이 접속된다. 디스플레이 패널(01)은 제1 전극(02)을 더 포함하며, 제1 전극(02)은 발광 소자(06)의 음극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픽셀 회로가 발광 단계에서 발광 소자(06)로 제공하는 구동 전류(I)는 아래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I=K(Vdata-VSS-Voled-Vth)2;
여기서, K=1/2*μ*Cox*W/L이고, μ는 구동 트랜지스터(03)의 이동도이며, Cox는 구동 트랜지스터(03)의 게이트 절연층 커패시터이고, W/L은 구동 트랜지스터(03)의 채널 폭 대 길이의 비이며, Voled는 발광 소자(06)의 튜브 전압 강하이고, Vth는 구동 트랜지스터(03)의 임계값 전압이다. 제1 전극(02)은 통상적으로 하부 프레임 영역(12)에서 제2 전원 전압(VSS)에 접속되어, 제2 전원 전압(VSS)이 하부 프레임 영역(12)의 제1 전극(02)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제1 전극(02)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제2 전원 전압(VSS)은 구동 전류(I)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고, 제1 전극(02)의 면저항은 크기 때문에, 제1 전극(02)의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강하가 전체적으로 커지게 되고, 하부 프레임 영역(12)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1)으로의 방향을 따라, 제1 전극(02)의 제2 전원 전압(VSS)이 점차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11) 중 하부 프레임 영역(12)에 근접한 발광 소자(06)와 하부 프레임 영역(1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발광 소자(06)의 구동 전류(I)의 차이가 크게 되어, 디스플레이 영역(11) 중 하부 프레임 영역(12)에 근접한 디스플레이 휘도와 하부 프레임 영역(12)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디스플레이 휘도의 차이가 크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가 불균일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패널,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MOLED) 디스플레이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Micro Light Emitting Diode, Micro-LED)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등일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영역(11)과 디스플레이 영역(11)을 둘러싸는 프레임 영역(13)을 포함하며, 프레임 영역(13)은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상대적인 양측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 영역(131)과 제2 프레임 영역(132)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영역(131)은 하부 프레임 영역이고, 제2 프레임 영역(132)은 상부 프레임 영역이며; 기타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영역(131)은 상부 프레임 영역이고, 제2 프레임 영역(132)은 하부 프레임 영역일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음극(10), 전원 공급 연결부 및 본딩 연결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극(10)은 디스플레이 영역(11)과 프레임 영역에 설치된다. 전원 공급 연결부는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를 포함하고, 제1 연결부(210)는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서 음극(10)에 연결되고, 제2 연결부(220)는 상부 프레임 영역(132)에서 음극(10)에 연결되며,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는 음극(10)에 전원을 각각 공급한다. 본딩 연결부(14)는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위치하고, 대응하는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에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음극(10)은 평면 전극일 수 있으며, 음극(10)은 디스플레이 패널 중의 발광 소자의 공통 전극이다.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는 음극(1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예를 들어, 음극은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제2 연결부(220)와 겹이음(lap joint)되고, 음극은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제1 연결부(210)와 겹이음되며,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디스플레이측에 근접한 음극(10)의 일면과 겹이음된다. 본딩 연결부(14)는 전원 전압이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딩 연결부(14)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이다.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하나의 본딩 연결부(14)만 설치되는 경우, 상기 본딩 연결부(14)는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에 각각 연결되어, 제1 연결부(210)를 통해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음극(1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2 연결부(220)를 통해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본딩 연결부(14)의 개수는 복수 개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도 2는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8 개의 본딩 연결부(14)가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였고, 그중의 4 개의 본딩 연결부(14)는 제1 연결부(210)에 연결되어, 상기 4 개의 본딩 연결부(14)와 제1 연결부(210)를 통해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음극(10)에 전원을 공급하고, 나머지 4 개의 본딩 연결부(14)는 제2 연결부(220)에 연결되어, 나머지 4 개의 본딩 연결부(14)와 제2 연결부(220)를 통해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구동 전류 방향의 개략도이다. 예시적으로, 도 2 내지 도 4를 결합하여,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픽셀 회로가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음극(10)은 발광 소자(06)의 음극일 수 있고, 본딩 연결부(14)에는 제2 전원 전압(VSS)이 접속될 수 있으며, 제2 전원 전압은 통상적으로 로우 전압이고, 예를 들어 0V 전압이거나 음의 전압일 수 있다. 발광 단계에서, 구동 전류는 디스플레이 영역(11) 중의 각 발광 소자(06)의 양극으로부터 음극(10)으로 흐르고, 구동 전류는 또한 발광 소자(06)의 음극(10)과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제1 연결부(210)를 통해 제3 방향(17)을 따라 대응하는 본딩 연결부(14)로 흐르며, 발광 소자(06)의 음극(10)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제2 연결부(220)를 통해 제4 방향(18)을 따라 대응하는 본딩 연결부(14)로 흐른다. 따라서, 음극(10)의 일부분 구동 전류는 제1 연결부(210)로 흐르고, 다른 일부분 구동 전류는 제2 연결부(220)로 흘러,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흐르는 구동 전류의 총량이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도록 하는데, 이는 음극(10) 전체의 구동 전류가 둘로 나뉘어져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로 각각 흐르는 것에 해당하므로, 음극(10)에서 흐르는 구동 전류를 반으로 감소시키는 것과 동일하다. 음극(10)에서 발생되는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강하(IR Drop)는 음극(10)의 전류 및 저항과 각각 관련되는데, 음극(10)의 구동 전류가 반으로 감소될 경우, 음극(10)의 각 영역에서 발생되는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강하(IR Drop)는 모두 감소되고, 제2 전원 전압(VSS)은 구동 전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므로, 각 영역의 발광 소자(06)의 구동 전류 차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음극(10)에서 흐르는 전류가 감소된 후, 소비전력이 감소되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방안은 소비전력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딩 연결부(14)는 제1 연결부(210)를 통해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음극(10)에 제2 전원 전압(VSS)을 공급하고, 제2 연결부(220)를 통해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에 제2 전원 전압(VSS)을 공급하여, 제2 전원 전압(VSS)이 하부 프레임 영역(131)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음극(10)으로 각각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하부 프레임 영역(131)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에 대한 본딩 연결부(14)의 구동 능력 차이를 감소시키고, 하부 프레임 영역(131)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의 제2 전원 전압(VSS)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어,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음극(10)에서의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강하가 대칭되게 분포되도록 하므로, 디스플레이 영역(11) 중 상부 프레임 영역(132)과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근접한 위치의 발광 소자(06)의 구동 전류 차이를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 영역(11) 중 상부 프레임 영역(132)과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근접한 위치의 디스플레이 휘도 차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의 디스플레이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음극 전압 강하로 인한 디스플레이가 불균일한 문제점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한편으로, 발광 단계에서, 음극의 일부분 구동 전류는 제1 연결부로 흐르고, 다른 일부분 구동 전류는 제2 연결부로 흘러,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로 흐르는 구동 전류의 총량이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도록 하는데, 이는 음극 전체의 구동 전류를 둘로 분할한 것에 해당하므로, 음극에서 흐르는 구동 전류를 반으로 감소시켜, 음극의 각 영역에서 발생되는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감소시킴으로써, 각 영역의 발광 소자의 구동 전류 차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균일성을 향상시키며; 다른 한편으로, 본딩 연결부는 제1 연결부를 통해 하부 프레임 영역의 음극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고, 제2 연결부를 통해 상부 프레임 영역의 음극에 전원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하부 프레임 영역과 상부 프레임 영역의 음극에 대한 본딩 연결부의 구동 능력 차이를 감소시키고, 하부 프레임 영역과 상부 프레임 영역의 음극의 전원 전압 차이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의 음극에서의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가 대칭되게 분포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부 프레임 영역과 하부 프레임 영역에 근접한 위치의 발광 소자의 구동 전류 차이를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부 프레임 영역과 하부 프레임 영역에 근접한 위치의 디스플레이 휘도 차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의 디스플레이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선택적으로,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는 스트립 형상을 나타내고; 제1 연결부(210)는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위치한 음극(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제2 연결부(220)는 상부 프레임 영역(132)에 위치한 음극(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다. 제1 연결부(210)는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위치한 음극(10)의 가장자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제2 연결부(220)는 상부 프레임 영역(132)에 위치한 음극(10)의 가장자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는 음극(10)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대칭되게 분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하는 이점은 아래와 같다. 한편으로, 발광 단계에서,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로 흐르는 구동 전류의 총량이 더 근접해지도록 하여, 음극(10)에서 흐르는 구동 전류를 반으로 감소시켜, 음극의 각 영역에서 발생되는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감소시킴으로써, 각 영역의 발광 소자의 구동 전류 차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균일성을 향상시키며; 다른 한편으로, 제1 연결부(210)와 제2 연결부(220)는 하부 프레임 영역(131)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에 위치한 음극(10)의 가장자리에서 각각 연장됨으로써, 음극(10)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에 대한 본딩 연결부(14)의 구동 능력 차이를 감소시키고, 음극(10)의 상하 양측 가장자리의 제2 전원 전압(VSS)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어,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음극(10)에서의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강하가 대칭되게 분포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영역(11) 중 상부 프레임 영역(132)과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근접한 위치의 발광 소자(06)의 구동 전류 차이를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 영역(11) 중 상부 프레임 영역(132)과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근접한 위치의 디스플레이 휘도 차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의 디스플레이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계속하여 도 5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전원 공급 연결부는 프레임 영역에 위치하는 좌측 연결부(230)와 우측 연결부(240)를 더 포함하고, 좌측 연결부(230)는 제1 연결부(210)의 제1단과 제2 연결부(220)의 제1단 사이에 연결되며, 우측 연결부(240)는 제1 연결부(210)의 제2단과 제2 연결부(220)의 제2단 사이에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좌측 연결부(230)와 우측 연결부(240)는 스트립 형상을 나타내고, 좌측 연결부(230)는 좌측 프레임 영역에서 음극(10)에 연결되고, 좌측 프레임 영역에 위치한 음극(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우측 연결부(240)는 우측 프레임 영역에서 음극(10)에 연결되고, 우측 프레임 영역에 위치한 음극(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10), 제2 연결부(220), 좌측 연결부(230) 및 우측 연결부(24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디스플레이측에 근접한 음극(10)의 일면과 겹이음된다. 이하에서는, 여전히 디스플레이 패널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픽셀 회로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음극(10)은 발광 소자(06)의 음극일 수 있고, 본딩 연결부(14)에는 제2 전원 전압(VSS)이 접속될 수 있다. 좌측 연결부(230)와 우측 연결부(240)를 설치하여, 발광 단계에서, 음극(10)의 구동 전류를 제1 연결부(210), 제2 연결부(220), 좌측 연결부(230) 및 우측 연결부(240)로 각각 흐르게 하여, 제1 연결부(210), 제2 연결부(220), 좌측 연결부(230) 및 우측 연결부(240)로 흐르는 구동 전류의 총량이 거의 동일하도록 하는데, 이는 음극(10) 전체의 구동 전류를 다수로 분할한 것에 해당하므로, 각 발광 소자(06)의 구동 전류를 감소시키고, 음극(10)의 각 영역에서 발생되는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강하(IR Drop)를 감소시킴으로써, 각 영역의 발광 소자(06)의 구동 전류 차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도 5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와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를 더 포함한다.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는 제1 연결부(210)와 대응하는 본딩 연결부(14)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는 제2 연결부(220)와 대응하는 본딩 연결부(14) 사이에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와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의 개수는 각각 복수 개일 수 있으며, 각각의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와 각각의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는 대응하는 본딩 연결부(14)에 각각 연결된다. 본딩 연결부(14)는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와 제1 연결부(210)를 통해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음극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와 제2 연결부(210)를 통해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결합하면, 상기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선택적으로,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의 저항(31)과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의 저항(41)의 비율값은,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에 접속되는 신호의 전압값과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에 접속되는 신호의 전압값의 비율값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에 연결된 본딩 연결부(14)에 접속된 전원 전압을 V1로 기록하고,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에 연결된 본딩 연결부(14)에 접속된 전원 전압을 V2로 기록하며,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의 저항(31)의 저항값을 R1로 기록하고,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의 저항(41)의 저항값을 R2로 기록한다. 예시적으로,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의 저항(31)과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의 저항(41)의 비율값은,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에 접속되는 신호의 전압값과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에 접속되는 신호의 전압값의 비율값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R1/R2)∝(V1/V2)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의 저항(31)이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의 저항(41)보다 큰 경우,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음극(10)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에 대한 본딩 연결부(14)의 구동 능력이 균형을 이루고,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음극(10)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의 전원 전압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에 접속되는 전원 전압(V1)을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에 접속되는 전원 전압(V2)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의 저항(31)이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의 저항(41)보다 작은 경우,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음극(10)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에 대한 본딩 연결부(14)의 구동 능력이 균형을 이루고,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음극(10)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의 전원 전압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에 접속되는 전원 전압(V1)을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에 접속되는 전원 전압(V2)보다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의 저항(31)과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의 저항(41)을 같게 설정할 수 있고,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와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에 연결되는 본딩 연결부(14)에 동일한 전원 전압이 접속될 경우,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음극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에 대한 본딩 연결부(14)의 구동 능력은 동일하고,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음극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의 제2 전원 전압(VSS)도 동일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음극(10)에서의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강하가 대칭되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11) 중 상부 프레임 영역(132)과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근접한 위치의 발광 소자(06)의 구동 전류 차이를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 영역(11) 중 상부 프레임 영역(132)과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근접한 위치의 디스플레이 휘도 차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의 디스플레이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210)와 본딩 연결부(14)는 하부 프레임 영역에 각각 위치하므로,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는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서 제1 연결부(210)와 대응하는 본딩 연결부(14)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의 설치 방식에는 다양한 설치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일 실시형태에서,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가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와 복수의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을 포함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는 본딩 연결부(14)에 연결되고,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는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와 제2 연결부(220) 사이에 연결된다.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는 제1 방향(15)을 따라 연장되고,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는 제2 방향(16)을 따라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영역(11)을 관통하며, 제1 방향(15)과 제2 방향(16)은 교차된다.
예시적으로,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와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는 각각 스트립 형상이며,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는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설치되고,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는 하부 프레임 영역(131)으로부터 제2 방향(16)을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11)으로 연장된다. 본딩 연결부(14)는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 및 제2 연결부(220)를 통해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는 디스플레이 영역(11)에서 균일하게 분포되어, 본딩 연결부(14)가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와 복수의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를 통해 제2 연결부(220)의 여러 위치로 공급하는 전원 전압이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음극(10)에서의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감소시킨다. 복수의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의 균일한 분포는 균일하고 일치한 디스플레이를 보여줄 수 있어, 디스플레이 효과에 대한 영향을 줄인다.
계속하여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11)은 복수의 열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며, 일 실시형태에서, 각 n열의 서브 픽셀이 하나의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에 대응되도록 설치할 수 있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예시적으로, n=1인 경우, 각 열의 서브 픽셀이 하나의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에 대응되도록 설치하여, 본딩 연결부(14)가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와 복수의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를 통해 각 열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2 연결부(220) 위치측으로 공급하는 전원 전압이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각 열의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음극(10) 위치측에서의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감소시킨다. n>1인 경우, 각 복수의 열의 서브 픽셀이 하나의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에 대응되도록 설치할 수 있어, 본딩 연결부(14)가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와 복수의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를 통해 제2 연결부(220)의 여러 위치로 공급하는 전원 전압이 일치하도록 하여, 음극(10)에서의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도 있다. 기타 실시형태에서,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의 개수는 음극(10)의 전압 강하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어,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의 설치 개수가 음극(10)의 전압 강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도 5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는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를 더 포함하고,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는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를 통해 본딩 연결부(14)에 연결된다.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와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의 저항의 합과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의 저항의 비율값은,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에 접속되는 신호의 전압값과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에 접속되는 신호의 전압값의 비율값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예시적으로,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는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설치될 수 있고, 본딩 연결부(14)는 순차적으로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 및 제2 연결부(220)를 통해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 및 도 5를 결합하여,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의 저항을 R21로 기록하고,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의 저항을 R22로 기록하며,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에 연결된 본딩 연결부(14)에 접속된 전원 전압을 V1로 기록하고,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에 연결된 본딩 연결부(14)에 접속된 전원 전압을 V2로 기록하면, R21+R22
Figure pct00001
R2이고,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와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의 저항의 합(R21+R22)과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의 저항(31)의 비율값이,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에 접속되는 전원 전압(V2) 및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에 접속되는 전원 전압(V1)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도록 설정함으로써,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음극(10)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에 대한 본딩 연결부(14)의 구동 능력이 균형을 이루고,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음극(10)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의 전원 전압 차이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와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의 저항의 합(R21+R22)과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의 저항(31)을 같게 설정할 수 있고,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와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에 동일한 전원 전압이 접속될 경우,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음극(10)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에 대한 본딩 연결부(14)의 구동 능력은 동일하고,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음극(10)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의 제2 전원 전압(VSS)도 동일하게 되어,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음극(10)에서의 제2 전원 전압(VSS)의 전압 강하가 대칭되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11) 중 상부 프레임 영역(132)과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근접한 위치의 발광 소자(06)의 구동 전류 차이를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 영역(11) 중 상부 프레임 영역(132)과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근접한 위치의 디스플레이 휘도 차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의 디스플레이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도 6은 도 5 중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절단선 CC'에 따라 절단하여 얻은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6을 결합하면, 상기 각 실시예에 기초상에서,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50) 및 기판(50) 상에 위치한 양극층(70)과 발광층(80)을 포함하고, 발광층(80)은 양극층(70)과 음극(10) 사이에 위치하며, 전원 공급 연결부는 양극층(70)과 동일한 층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기판(50)은 디스플레이 패널에 완충, 보호 또는 지지 등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양극층(70)은 복수의 양극(710)을 포함하고, 양극(710), 발광층(80) 및 음극(10)은 디스플레이 패널 중의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성한다. 전원 공급 연결부는 양극층(70)과 동일한 층에 설치되고, 프레임 영역에 위치하며, 도 6은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서 기판(50)에 근접한 음극(10)의 일측에 연결된 제1 연결부(210)만 도시하였고, 예를 들어 제2 연결부(220), 좌측 연결부(230) 및 우측 연결부(240)와 같은 기타 전원 공급 연결부도 양극층(70)과 동일한 층에 구성되고, 기판(50)에 근접한 음극(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 연결부와 양극층(70)을 동일한 층에 설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에 금속층을 추가로 설치하여 전원 공급 연결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 및 도 6를 결합하면,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50) 상에 설치된 픽셀 회로를 더 포함하고, 픽셀 회로는 다층 금속층을 포함하며,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 및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는 적어도 한 층의 금속층과 동일한 층에 설치된다.
예시적으로, 픽셀 회로는 활성층(610)을 더 포함하고, 다층 금속층은 제1 금속층(611), 제2 금속층(612) 및 제3 금속층(613)을 포함한다. 픽셀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60) 및 저장 커패시터(05)를 포함하고, 박막 트랜지스터(60)는 도 2에 도시된 구동 트랜지스터(03)와 같이 양극(710)에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고, 저장 커패시터(05)는 도 2에 도시된 저장 커패시터(05)일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60)의 게이트(620) 및 저장 커패시터(05)의 제1 극판(51)은 제1 금속층(611)에 위치하고, 저장 커패시터(05)의 제2 극판(52)은 제2 금속층(612)에 위치하며, 박막 트랜지스터(60)의 제1 극(630) 및 제2 극(640)은 제3 금속층(613)에 위치하고, 제1 극(630)과 제2 극(640) 중 하나는 소스이며, 다른 하나는 드레인이다.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 및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는 제1 금속층(611), 제2 금속층(612) 및 제3 금속층(613) 중 임의의 금속층에 설치될 수 있고, 비아 홀을 통해 대응하는 전원 공급 연결부에 연결된다. 도 6은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 중의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가 제3 금속층(613)에 위치하는 경우만을 도시한 것으로,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 중의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와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 및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는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와 동일한 층에 설치될 수 있고, 제3 금속층(613)이 양극층(70)과 가깝기 때문에,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와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를 대응하는 전원 공급 연결부에 연결하기 편리할 수 있다.
도 6은 픽셀 회로의 3 층의 금속층만 도시한 것으로, 기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양극층(70)과 제3 금속층(613) 사이에 위치한 제4 금속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전원 전압(VDD)을 전송하기 위한 전원 라인은 제4 금속층에 위치한다.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 중의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와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 및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는 제4 금속층에 설치될 수도 있어,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와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를 대응하는 전원 공급 연결부에 연결하기 편리하다.
도 7은 도 5 중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절단선 DD'에 따라 절단하여 얻은 단면 구조 개략도이다. 도 5 및 도 7을 결합하면, 선택적으로, 일 실시형태에서, 기판(50)에서의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와 양극(710)의 수직 투영이 중첩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예시적으로,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가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 및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기판(50)에서의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 및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의 수직 투영과 기판(50)에서의 양극(710)의 수직 투영이 각각 중첩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기판(50)에서의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와 양극(710)의 수직 투영이 중첩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410) 및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430)가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위치하므로, 기판(50)에서의 전체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와 양극(710)의 수직 투영은 중첩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기타 실시형태에서, 기판(50)에서의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의 적어도 일부분과 양극(710)의 수직 투영이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판(50)에서의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와 양극(710)의 수직 투영이 서로 중첩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가 양극(71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양극(710)을 통해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를 막음으로써,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420)가 디스플레이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다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와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가 프레임 영역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의 개수는 2 개를 포함하며, 첫 번째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는 제2 연결부(220)의 제1 단과 본딩 연결부(14) 사이에 연결되고, 두 번째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는 제2 연결부(220)의 제2 단과 본딩 연결부(14) 사이에 연결된다. 2 개의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는 상이한 본딩 연결부(14)에 각각 연결될 수 있거나, 동일한 본딩 연결부(14)에 연결될 수도 있어, 본딩 연결부(14)와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를 통해 상부 프레임 영역(132)에 위치한 음극(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 및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는 동일하게 픽셀 회로의 적어도 한 층의 금속층과 동일한 층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선택적으로,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 및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는 적층되어 설치되는 티타늄층, 알루미늄층과 티타늄층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제공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폰, 컴퓨터 또는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 중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고, 본딩 연결부(14)에 본딩 연결되는 플렉시블 연결 부재(90)를 더 포함하며; 플렉시블 연결 부재(90)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이고, 각 플렉시블 연결 부재(90)는 대응하는 본딩 연결부(14)에 각각 본딩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플렉시블 연결 부재(90)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FPC)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패키징 기술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칩은 플렉시블 연결 부재(9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 연결 부재(9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본딩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 칩을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설치하는(Chip On Glass, COG) 패키징 기술을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구동 칩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직접 설치되고, 플렉시블 연결 부재(90)는 하부 프레임 영역(131)의 본딩 연결부에 본딩 연결된다.
각 플렉시블 연결 부재(90)는 복수의 회로를 각각 포함하고, 플렉시블 연결 부재(90) 중의 회로 개수는 디스플레이 패널 중의 본딩 연결부(14)의 개수와 대응한다. 본딩 연결부(14)는 플렉시블 연결 부재(90) 중 대응하는 회로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플렉시블 연결 부재(90)를 통해 본딩 연결부(1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본딩 연결부(14)의 개수는 음극(10)의 전압 강하 상황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하부 프레임 영역(131)이 8 개의 본딩 연결부(14)를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2 개의 플렉시블 연결 부재(90)를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플렉시블 연결 부재(90)가 제1 연결부(210)에 연결되는 2 개의 본딩 연결부(14)와 제2 연결부(220)에 연결되는 2 개의 본딩 연결부(14)에 본딩되어, 상기 플렉시블 연결 부재(90) 중의 회로를 통해 대응하는 본딩 연결부(14)에 전원을 공급하고, 다른 플렉시블 연결 부재(90)가 제1 연결부(210)에 연결되는 다른 2 개의 본딩 연결부(14)와 제2 연결부(220)에 연결되는 다른 2 개의 본딩 연결부(14)에 본딩되어, 상기 플렉시블 연결 부재(90) 중의 회로를 통해 대응하는 본딩 연결부(1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2 개의 플렉시블 연결 부재(90)를 포함하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기타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연결 부재(90)의 개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나의 플렉시블 연결 부재(9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렉시블 연결 부재(90)가 모든 본딩 연결부(14)에 본딩되어, 상기 플렉시블 연결 부재(90)를 중의 회로를 통해 각 본딩 연결부(1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의 플렉시블 연결 부재(90)를 포함하는 경우, 각 플렉시블 연결 부재(90)가 대응하는 본딩 연결부(14)에 각각 본딩되어, 각 플렉시블 연결 부재(90) 중의 회로를 통해 대응하는 본딩 연결부(1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임의의 실시예 중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응하는 구조 및 유리한 효과를 구비하기 때문에,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계속하여 도 9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플렉시블 연결 부재(90)에서 본딩 연결부(14)에 연결되는 회로는 단락된다. 플렉시블 연결 부재(90)에서 본딩 연결부(14)에 연결되는 회로를 단락시켜, 플렉시블 연결 부재(90)를 통해 각 본딩 연결부(14)에 동일한 전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30)의 저항과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40)의 저항이 동일하는 경우, 하부 프레임 영역(131)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능력이 동일하도록 하여, 하부 프레임 영역(131)과 상부 프레임 영역(132)의 음극(10)의 전원 전압도 동일하도록 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영역(11)의 음극(10)에서의 전원 전압의 전압 강하가 대칭되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영역(11) 중 상부 프레임 영역(132)과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근접한 위치의 발광 소자(06)의 구동 전류 차이를 감소시키고, 디스플레이 영역(11) 중 상부 프레임 영역(132)과 하부 프레임 영역(131)에 근접한 위치의 디스플레이 휘도 차이를 감소시켜,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의 디스플레이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분야의 당업자라면 설계 요구 및 기타 요소에 따라, 다양한 수정, 조합, 부분 조합 및 대체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의 사상과 원칙 내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수정, 동등한 교체 및 개진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영역과 프레임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대적인 양측에 위치하는 제1 프레임 영역과 제2 프레임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프레임 영역에 설치된 음극;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연결부-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음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음극에 전원을 각각 공급하도록 구성됨-;
    상기 제1 프레임 영역에 위치하며, 대응하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본딩 연결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 영역에 위치하는 좌측 연결부와 우측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제1단과 상기 제2 연결부의 제1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우측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제2단과 상기 제2 연결부의 제2단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스트립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프레임 영역에 위치한 상기 음극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프레임 영역에 위치한 상기 음극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와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제1 연결부와 대응하는 상기 본딩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제2 연결부와 대응하는 상기 본딩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저항과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저항의 비율값은, 상기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에 접속되는 신호의 전압값과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에 접속되는 신호의 전압값의 비율값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저항과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저항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와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프레임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개수는 2 개를 포함하며, 첫 번째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제1단과 상기 본딩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고, 두 번째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제2단과 상기 본딩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와 복수의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본딩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관통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n열의 서브 픽셀은 하나의 상기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에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를 통해 상기 본딩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와 상기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저항의 합과 상기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저항의 비율값은, 상기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에 접속되는 신호의 전압값과 상기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에 접속되는 신호의 전압값의 비율값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연결 와이어와 상기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저항의 합과 상기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저항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한 양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층은 복수의 양극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에서의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와 상기 양극의 수직 투영은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양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층은 복수의 양극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에서의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양극의 수직 투영은 서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 연결부는 전원 전압이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딩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프레임 영역의 상기 음극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2 프레임 영역의 상기 음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와 상기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각각 스트립 형상이며, 상기 메인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제1 프레임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제1 프레임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상기 분기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영역은 하부 프레임 영역이고, 상기 제2 프레임 영역은 상부 프레임 영역이며, 상기 프레임 영역은 좌측 프레임 영역과 우측 프레임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좌측 연결부와 상기 우측 연결부는 스트립 형상을 나타내며; 상기 좌측 연결부는 상기 좌측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 프레임 영역에 위치한 상기 음극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우측 연결부는 상기 우측 프레임 영역에서 상기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우측 프레임 영역에 위치한 상기 음극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된 픽셀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픽셀 회로는 다층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기 전도성 와이어 및 상기 제2 전기 전도성 와이어는 적어도 한 층의 상기 금속층과 동일한 층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한 양극층과 발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상기 양극층과 상기 음극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 공급 연결부는 상기 양극층과 동일한 층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19.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본딩 연결부에 본딩 연결되는 플렉시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연결 부재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이며, 각 상기 플렉시블 연결 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본딩 연결부에 각각 본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연결 부재에서 상기 본딩 연결부에 연결되는 회로는 단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37034265A 2022-05-12 2023-01-03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594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0518090.8A CN114823837A (zh) 2022-05-12 2022-05-12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202210518090.8 2022-05-12
PCT/CN2023/070097 WO2023216639A1 (zh) 2022-05-12 2023-01-03 显示面板和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461A true KR20230159461A (ko) 2023-11-21

Family

ID=8251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265A KR20230159461A (ko) 2022-05-12 2023-01-03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40876A1 (ko)
EP (1) EP4307861A1 (ko)
KR (1) KR20230159461A (ko)
CN (1) CN114823837A (ko)
WO (1) WO20232166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3837A (zh) * 2022-05-12 2022-07-2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5762417A (zh) * 2022-11-25 2023-03-07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5661A (ja) * 2008-12-17 2010-07-01 Canon Inc 表示装置
JP2015072761A (ja) * 2013-10-02 2015-04-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Oled表示装置
CN109713012B (zh) * 2018-12-27 2020-11-2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047895B (zh) * 2019-04-24 2021-06-0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634916A (zh) * 2019-08-16 2019-12-3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140589B (zh) * 2020-01-16 2022-1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640774B (zh) * 2020-06-11 2023-08-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13257876B (zh) * 2021-05-12 2022-09-23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设备
CN114255671A (zh) * 2021-12-17 2022-03-29 重庆惠科金渝光电科技有限公司 微型发光二极管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4823837A (zh) * 2022-05-12 2022-07-2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23837A (zh) 2022-07-29
EP4307861A1 (en) 2024-01-17
US20240040876A1 (en) 2024-02-01
WO2023216639A1 (zh) 2023-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8318B1 (ko) 타일링 표시장치
US1042424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736930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0741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230159461A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035506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4426561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CN110751922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128048B (zh)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TWI426488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KR2011011174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50067B1 (ko) 표시 장치
JP2015096906A (ja)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CN110137228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设备
KR20150037198A (ko) 표시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00018764A (ko) 픽셀간 격벽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70036942A (ko) 연성 필름,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519618B2 (en) Display
JP2012104497A (ja) 表示装置
KR20040059036A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유기전계발광소자에서의전원전압강하를 줄이기 위한 배선 구조 및 그배선방법
US20220140055A1 (en) Display device
CN110544711B (zh) 显示面板
US77149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50123620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20050284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