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097A - 싱크대용 바스켓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바스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59097A KR20230159097A KR1020220059040A KR20220059040A KR20230159097A KR 20230159097 A KR20230159097 A KR 20230159097A KR 1020220059040 A KR1020220059040 A KR 1020220059040A KR 20220059040 A KR20220059040 A KR 20220059040A KR 20230159097 A KR20230159097 A KR 202301590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sink
- basket
- rail
- length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2—Kitchen sif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싱크대용 바스켓이 개시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은, 내부공간을 가지되 상면 및 우측면이 개방된 제1 수납부와, 내부공간을 가지되 상면 및 좌측면이 개방되며 제1 수납부의 위 또는 아래에 적어도 일부가 포개지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며,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가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와, 싱크대에 상기 용기를 거치하기 위해 용기 외부로 돌출된 거치부와, 용기에서 외부로의 유체 배출을 위해 구비된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용기는 늘이거나 줄이는 형태로 그 길이가 가변 되며, 용기가 싱크대에 거치될 때,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크대용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용 바스켓은 싱크대의 크기와 종류가 고려되지 않은 상태로 세로 및 가로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다. 바스켓이 일정한 형태로 고정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싱크대의 크기에 따라 싱크대에 이를 거치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고, 바스켓에 넣을 물건의 크기, 종류에 상관없이 바스켓의 크기가 고정되어 바스켓에 물건을 담기 어려운 경우도 발생한다. 나아가, 바스켓 내 물기와 같은 유체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어려운 경우도 발생한다. 나아가, 바스켓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크기가 서로 상이한 복수 개의 바스켓을 구비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싱크대의 크기에 상관없이 싱크대에 거치가 용이하고 바스켓에 넣을 물건의 크기, 종류에 상관없이 물건을 담을 수 있으며, 유체 배출이 용이하여 사용성이 편리한 싱크대용 바스켓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은, 내부공간을 가지되 상면 및 우측면이 개방된 제1 수납부와, 내부공간을 가지되 상면 및 좌측면이 개방되며 제1 수납부의 위 또는 아래에 적어도 일부가 포개지는 제2 수납부를 포함하며,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가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와, 싱크대에 상기 용기를 거치하기 위해 용기 외부로 돌출된 거치부와, 용기에서 외부로의 유체 배출을 위해 구비된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용기는 늘이거나 줄이는 형태로 그 길이가 가변 되며, 용기가 싱크대에 거치될 때,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
용기가 싱크대에 거치될 때,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지거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용기가 싱크대에 거치될 때, 용기의 경사각은 지면을 기준으로 가로 축이 0도 보다 크고 2도보다 작을 수 있다.
싱크대용 바스켓은,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슬릿홈이 형성되는 레일을 더 포함하며, 용기의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용기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싱크대용 바스켓은, 제1 수납부의 일 단에 구비되어, 용기가 레일을 따라 그 길이가 최대한도로 확장되거나 최소한으로 축소되었을 때 제2 수납부를 걸리게 하여 그 이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돌출부위를 가지는 제1 돌출부와, 제2 수납부의 일 단에 구비되어, 용기가 레일을 따라 그 길이가 최대한도로 확장되거나 최소한으로 축소되었을 때 제1 수납부를 걸리게 하여 그 이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돌출부위를 가지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용기의 길이가 최소한으로 축소되었을 때 레일의 슬릿홈 내에서 하단에 위치하다가, 거치를 위해 용기의 길이가 최대한으로 확장되면서 레일의 슬릿홈 내에서 상단으로 위치가 가변 될 수 있다.
레일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또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레일의 경사각은 0도 보다 크고 2도보다 작을 수 있다.
용기는,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 주변에 구비되어, 용기의 길이를 줄였을 때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 간 유격을 제거하여 유체 배출을 차단하는 유체 배출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납부에는 복수의 홀이 구비되지 않고 제1 수납부에만 복수의 홀이 구비되어, 용기의 길이 조절을 통해 그 크기가 축소되면 제1 수납부의 복수의 홀이 그 위에 구비된 제2 수납부의 바닥면에 의해 감쳐질 수 있다.
레일은, 단계 별 길이 조절을 하기 위해 굴곡 처리될 수 있다.
복수의 홀은, 용기의 바닥면 및 측벽에 모서리가 둥근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측벽에 형성된 홀들보다 바닥면에 형성된 홀들의 크기가 더 크고, 바닥면에서 홀들이 크기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더 커질 수 있다.
싱크대용 바스켓은, 거치부 하면의 바깥쪽에 구비된 미끄럼 방지부재와, 용기 하면의 바깥쪽에 구비된 미끄럼 방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는, 거치부를 잡기 위한 손잡이와, 거치부를 걸기 위한 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에 따르면, 바스켓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싱크대의 크기에 상관없이 싱크대에 거치가 용이하다. 또한, 바스켓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바스켓에 넣을 물건의 크기, 종류에 상관없이 물건을 담을 수 있을 수 있다.
용기의 바닥면에 유체 빠짐이 용이한 구조를 가진 복수의 홀을 구비함에 따라, 신속하게 용기 안의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나아가, 바스켓을 싱크대에 거치했을 때 용기가 경사진 형태를 가짐에 따라, 신속하게 용기 안의 유체를 배출할 수 있다.
바스켓의 길이를 늘려 용기의 크기를 확대한 경우에는 복수의 홀을 통해 유체를 배출시키고, 바스켓의 길이를 줄여 용기의 크기를 축소한 경우에는 복수의 홀을 폐쇄하여 유체 배출을 차단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바스켓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여 유체 배출 유무 및 배출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구성하거나, 용기의 외벽이 사선 형태와 둥근 형태로 구성하거나, 바스켓을 펼 때 싱크대 등에 거치할 때 편리한 돌출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진 형태의 레일을 과장하여 표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접힘 또는 펼침 시에 레일 내 돌출부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스켓의 유체 배출 차단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용기의 바닥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에 손잡이를 구비한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이 바닥면에 위치하는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곡진 형태의 레일을 구비한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에 미끄럼 방지부재를 구비한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부에 미끄럼 방지부재를 구비한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에 걸이를 구비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진 형태의 레일을 과장하여 표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접힘 또는 펼침 시에 레일 내 돌출부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스켓의 유체 배출 차단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용기의 바닥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에 손잡이를 구비한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이 바닥면에 위치하는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곡진 형태의 레일을 구비한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에 미끄럼 방지부재를 구비한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부에 미끄럼 방지부재를 구비한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에 걸이를 구비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반영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싱크대용 바스켓은 주방의 싱크대에 거치 가능한 바구니 형태이다. 물론 싱크대에 거치할 수도 있고, 싱크대 주변의 평평한 위치에 올려 놓을 수도 있다. 싱크대용 바스켓은 주방에서 식기, 접시 등의 찬그릇을 담을 수 있고, 야채류, 과일류, 튀김류 등의 식품을 담을 수 있다. 이때, 세척된 그릇이나 식품에서 물기, 기름 등의 유체를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싱크대용 바스켓은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도구인 주방용 기구, 요리 시 사용되는 양념통과 같은 주방물품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싱크대용 바스켓은 주방의 싱크대 및 벽면에 거치될 수 있고, 필요한 용도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크기의 수납부를 구비한다. 싱크대마다 그 크기가 상이하고, 동일한 싱크대도 좌우 길이가 서로 상이하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싱크대용 바스켓은 길이 조절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싱크대의 환경에 따라 용기의 길이를 조절하여 싱크대에 효율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스켓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싱크대의 크기에 상관없이 싱크대에 거치가 용이하다. 또한, 바스켓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바스켓에 넣을 물건의 크기, 종류에 상관없이 물건을 담을 수 있을 수 있다.
이하, 후술되는 도면들을 통해 전술한 특징을 가진 싱크대용 바스켓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후술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1a)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세부적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측면도, 도 3은 저면도, 도 4는 동작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싱크대용 바스켓(1a)은 용기(10), 거치부(11), 복수의 홀(12) 및 레일(13a, 13b)을 포함한다.
용기(10)는 제1 수납부(10a)와 제2 수납부(10b)가 결합되는 형태이다. 제1 수납부(10a)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면 및 우측면이 개방된 형태이고, 제2 수납부(10b)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면 및 좌측면이 개방된 형태이다. 이때, 제2 수납부(10b)가 제1 수납부(10a) 위 또는 아래에 적어도 일부가 포개지는 형태로 결합되며, 서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용기(10)는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의 측벽이 각각 사선 형태이고 모서리가 둥근 형태일 수 있다.
거치부(11)는 싱크대에 용기(10)를 거치하기 위해 용기(10)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다. 거치부(11)는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모서리가 둥근 형태일 수 있다. 거치부(11)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거치부(11) 하면의 바깥쪽에 미끄럼 방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재는 돌기 또는 실리콘 등일 수 있다.
복수의 홀(12)은 용기에서 외부로의 유체 배출을 위해 구비된다. 복수의 홀(12)은 사선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모서리가 둥근 긴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복수의 홀(12)은 용기(10)의 바닥면 및 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예는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의 바닥면 모두에 복수의 홀(12)이 구비된 경우이다.
싱크대용 바스켓(1a)은 용기(10) 내 유체 배출을 바닥면으로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바닥면의 홀들의 크기를 측벽의 홀들보다 크게 형성하고, 측벽은 바닥면보다 천천히 배출될 수 있도록 측벽의 홀들의 크기를 바닥면의 홀들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크기는 길이 및 넓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레일(13a, 13b)은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슬릿홈이 형성된 형태이다. 레일(13a, 13b)은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의 좌우 양 측벽에 각각 위치할 수 있고,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의 바닥면에 위치하거나, 거치부(11)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좌우 양 측벽에 위치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용기(10)의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가 레일(13a, 13b)을 따라 이동하여 그 길이가 조절된다. 사용자가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 중 적어도 하나를 용기(10)의 안쪽 방향으로 밀면, 제1 수납부(10a)는 제1 레일(13a)을 따라 용기(10)의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수납부(10b)는 제2 레일(13b)을 따라 용기(10)의 안쪽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용기(10)의 전체크기가 축소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 중 적어도 하나를 용기(10)의 바깥쪽 방향으로 밀면, 제1 수납부(10a)는 제1 레일(13a)을 따라 용기(10)의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수납부(10b)는 제2 레일(13b)을 따라 용기(10)의 바깥쪽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용기(10)의 전체크기가 확대된다.
싱크대용 바스켓(1a)은 제1 돌출부(15) 및 제2 돌출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5) 및 제2 돌출부(14)는 돌출부위를 가지는데, 용기(10)의 길이 조절 시 레일(13a, 13b)을 따라 이동하다가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가 최대한도로 확장되거나 최소한으로 축소되었을 때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를 걸리게 하여 그 이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 구조의 예를 들면, 제1 돌출부(15)는 제1 수납부(10a)의 일 단에 구비되어, 용기(10)가 레일(13a)을 따라 그 길이가 최대한도로 확장되거나 최소한으로 축소되었을 때, 제2 수납부(10b)를 걸리게 하여 그 이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돌출부위를 가진다. 제2 돌출부(14)는 제2 수납부(10b)의 일 단에 구비되어, 용기(10)가 레일(13b)을 따라 그 길이가 최대한도로 확장되거나 최소한으로 축소되었을 때 제1 수납부(10a)를 걸리게 하여 그 이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돌출부위를 가진다.
제1 돌출부(15)가 제1 수납부(10a)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돌출부(14)는 제2 수납부(10b)에 위치한다. 반대로, 제1 돌출부(15)가 제2 수납부(10b)에 위치하는 경우, 제2 돌출부(14)는 제1 수납부(10a)에 위치한다.
제1 돌출부(15)의 돌출부위가 용기(10)의 외부(바깥쪽)으로 돌출된 경우, 제2 돌출부(14)의 돌출부위는 용기(10)의 내부(안쪽)로 돌출된다. 반대로, 제1 돌출부(15)의 돌출부위가 용기(10)의 내부(안쪽)로 돌출된 경우, 제2 돌출부(14)의 돌출부위는 외부(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제1 돌출부(15) 또는 제2 돌출부(14)는 자석 형태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1a)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세부적으로 도 5는 사시도, 도 6은 측면도, 도 7은 저면도, 도 8은 동작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싱크대용 바스켓(1b)은 용기(10), 거치부(11), 복수의 홀(12) 및 레일(13a, 13b)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여 도시한 싱크대용 바스켓(1a)가 긴 직사각형 형태임에 비하여, 도 5 내지 도 8의 싱크대용 바스켓(1b)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직사각형 형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그 외의 형태는 유사하다. 사용자는 싱크대의 크기에 따라 싱크대용 바스켓(1a) 또는 싱크대용 바스켓(1b)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1c)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세부적으로 도 9는 사시도, 도 10은 측면도, 도 11은 저면도, 도 12는 동작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싱크대용 바스켓(1c)은 용기(10), 거치부(11), 복수의 홀(12) 및 레일(13a, 13b)을 포함한다.
싱크대용 바스켓(1c)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여 도시한 싱크대용 바스켓(1a)과 그 크기가 동일하다.
싱크대용 바스켓(1c)과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자면, 용기(10)의 제2 수납부(10b)에는 복수의 홀이 구비되지 않고, 제1 수납부(10a)에만 복수의 홀(12)이 구비된다. 용기(10)의 길이를 줄여 그 크기가 축소되면, 제1 수납부(10a)의 복수의 홀(12)이 그 위에 구비된 제2 수납부(10b)의 바닥면에 의해 감쳐진다. 이 경우, 용기(10)를 물품을 거치하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용기(10) 안에 물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용기(10)의 길이를 늘려 그 크기를 다시 확대시키면, 제1 수납부(10a)의 바닥면에 구비된 복수의 홀(12)이 드러나고, 드러난 복수의 홀(12)을 이용하여 용기(10)를 유체 배출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홀(12)은 그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0)의 안쪽에서 크고, 용기(10)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다. 복수의 홀(12)은 사선 형태일 수도 있고,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거나 수직한 형태일 수도 있다.
용기(10)는 용기(10)의 길이를 줄여 바닥면의 홀들을 폐쇄하였을 때, 유체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유체 배출 차단부(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유체 배출 차단부(16)는 예를 들어, 실리콘 라인, 돌기 형태일 수 있다. 유체 배출 차단부(16)는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 주변에 구비될 수 있다.
용기(10)의 하부 바깥쪽에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재는 돌기, 실리콘 형태 등일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재는 용기(10) 바닥면의 홀과 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1d)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세부적으로 도 13은 사시도, 도 14는 측면도, 도 15는 저면도, 도 16은 동작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싱크대용 바스켓(1d)은 용기(10), 거치부(11), 복수의 홀(12) 및 레일(13a, 13b)을 포함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로 하여 도시한 싱크대용 바스켓(1c)이 긴 직사각형 형태임에 비하여, 도 13 내지 도 16의 싱크대용 바스켓(1d)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직사각형 형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그 외의 형태는 유사하다. 사용자는 싱크대의 크기에 따라 싱크대용 바스켓(1c) 또는 싱크대용 바스켓(1d)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바스켓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싱크대용 바스켓(1e)은 용기(10)가 싱크대에 거치될 때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 이때, 싱크대용 바스켓(1e)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지거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싱크대용 바스켓(1e)이 싱크대에 거치 시, ∨ 또는∧ 형태가 된다.
싱크대용 바스켓(1e)의 용기(10)가 싱크대에 거치될 때, 용기(10)의 경사각은 지면을 기준으로 가로 축이 0도 보다 크고 2도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7에서는 경사각이 1도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용기(10)가 싱크대에 거치될 때, 경사진 형태를 가지면 경사진 쪽으로 유체가 배출되므로, 유체를 보다 쉽고 빠르게 배출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사진 형태의 레일을 과장하여 표현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싱크대용 바스켓(1e)의 용기(10)가 싱크대에 거치될 때 경사진 형태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레일(13a, 13b)이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레일(13b)의 경사진 정도를 과장하여 표현한 것임에 유의한다. 경사진 형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진 형태일 수 있고,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진 형태일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접힘 또는 펼침 시에 레일 내 돌출부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9를 참조하면, 싱크대용 바스켓(1e)의 용기(10)가 싱크대에 거치될 때 경사진 형태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용기(10)의 접힘 또는 펼침 시에 제1 레일(13a) 내 제1 돌출부(15)와 제2 레일(13b) 내 제2 돌출부(14)의 위치가 가변 되도록 기구 메커니즘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용 바스켓(1e)은 제2 돌출부(14)가 용기(10)의 길이가 최소한으로 축소되었을 때 (c)에서와 같이 제2 레일(13b)의 슬릿홈 내에서 하단에 위치 하다가, 용기(10)의 길이가 확장되면서 (b)에서와 같이 제2 레일(13b)의 슬릿홈 내에서 중간에 위치한다. 이어서, 싱크대에 거치하기 위해 용이가(10)의 길이가 최대로 확장되면, (a)에서와 같이 제2 레일(13b)의 슬릿홈 내에서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a)의 경우, 용기(10)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진 형태가 된다. 도 19에서는 제2 레일(13b) 내 제2 돌출부(14)의 이동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으나, 제1 레일(13a) 내 제1 돌출부(15)의 이동 또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스켓의 유체 배출 차단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용기(10)의 길이를 줄여 바닥면의 홀들을 폐쇄하였을 때 유체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용기(10)가 유체 배출 차단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배출 차단부(16)는 예를 들어, 실리콘 라인, 돌출된 돌기 형태일 수 있다. 돌기의 경우, 0.2~0.5 mm 정도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이 평면 형태로 돌출될 수 있고, 아치 형태로 돌출될 수도 있다. 유체 배출 차단부(16)는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 주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용기의 바닥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흐름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용기(10)가 바깥쪽의 바닥면의 두께보다 안쪽의 바닥면의 두께가 더 얇은 형태이거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바깥쪽의 바닥면의 두께(172)(예를 들어, 3.5mm)보다 안쪽의 바닥면의 두께(171)(예를 들어, 2.5mm)가 더 얇을 수 있다. 다른 예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진 형태가 되도록 하는 각도(173), 예를 들어 0.3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에 손잡이를 구비한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싱크대용 바스켓은 거치부(11)에 손잡이(19)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이 바닥면에 위치하는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레일(13a, 13b)이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의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굴곡진 형태의 레일을 구비한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레일(13a, 13b)은 단계 별 길이 조절을 하기 위해 굴곡 처리될 수 있다. 도 24에서는 제2 레일(13b)이 굴곡진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1 레일(13a)이 굴곡진 형태도 가능하고, 제1 레일(13a) 및 제2 레일(13b) 모두 굴곡진 형태도 가능하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에 미끄럼 방지부재를 구비한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를 위해 거치부(11) 하면의 바깥쪽에 미끄럼 방지부재(21)를 구비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재(21)는 돌기 또는 실리콘 등일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부에 미끄럼 방지부재를 구비한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미끄럼 방지를 위해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 하면의 바깥쪽에 미끄럼 방지부재(22)를 구비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재(22)는 돌기 또는 실리콘 등일 수 있다.
도 26에서는 제1 수납부(10a)의 하면 외부에 미끄럼 방지부재(22)를 구비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제2 수납부(10b)의 하면 외부에 미끄럼 방지부재(22)를 구비할 수 있고, 제1 수납부(10a) 및 제2 수납부(10b) 모두에 미끄럼 방지부재(22)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에 걸이를 구비한 싱크대용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싱크대용 바스켓은 거치부(11)를 걸기 위해 거치부(11)에 걸이(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 내부공간을 가지되 상면 및 우측면이 개방된 제1 수납부; 와, 내부공간을 가지되 상면 및 좌측면이 개방되며 제1 수납부의 위 또는 아래에 적어도 일부가 포개지는 제2 수납부; 를 포함하며, 제1 수납부와 제2 수납부가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용기;
싱크대에 상기 용기를 거치하기 위해 용기 외부로 돌출된 거치부; 및
상기 용기에서 외부로의 유체 배출을 위해 구비된 복수의 홀; 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늘이거나 줄이는 형태로 그 길이가 가변 되며,
상기 용기가 싱크대에 거치될 때, 유체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바스켓.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싱크대에 거치될 때,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지거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바스켓.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싱크대에 거치될 때, 상기 용기의 경사각은 지면을 기준으로 가로 축이 0도 보다 크고 2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바스켓.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용 바스켓은
상기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슬릿홈이 형성되는 레일;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의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용기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바스켓.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용 바스켓은
제1 수납부의 일 단에 구비되어, 용기가 레일을 따라 그 길이가 최대한도로 확장되거나 최소한으로 축소되었을 때 제2 수납부를 걸리게 하여 그 이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돌출부위를 가지는 제1 돌출부; 및
제2 수납부의 일 단에 구비되어, 용기가 레일을 따라 그 길이가 최대한도로 확장되거나 최소한으로 축소되었을 때 제1 수납부를 걸리게 하여 그 이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돌출부위를 가지는 제2 돌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용기의 길이가 최소한으로 축소되었을 때 상기 레일의 슬릿홈 내에서 하단에 위치하다가, 거치를 위해 용기의 길이가 최대한으로 확장되면서 상기 레일의 슬릿홈 내에서 상단으로 위치가 가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바스켓.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또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바스켓.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경사각은 0도 보다 크고 2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바스켓. - 제 1 항에 있어서, 용기는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 주변에 구비되어, 용기의 길이를 줄였을 때 제1 수납부 및 제2 수납부 간 유격을 제거하여 유체 배출을 차단하는 유체 배출 차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바스켓. -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수납부에는 복수의 홀이 구비되지 않고 제1 수납부에만 복수의 홀이 구비되어, 용기의 길이 조절을 통해 그 크기가 축소되면 제1 수납부의 복수의 홀이 그 위에 구비된 제2 수납부의 바닥면에 의해 감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바스켓. - 제 4 항에 있어서, 레일은
단계 별 길이 조절을 하기 위해 굴곡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바스켓. -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홀은
용기의 바닥면 및 측벽에 모서리가 둥근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측벽에 형성된 홀들보다 바닥면에 형성된 홀들의 크기가 더 크고,
바닥면에서 홀들이 크기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더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바스켓. - 제 1 항에 있어서, 싱크대용 바스켓은
거치부 하면의 바깥쪽에 구비된 미끄럼 방지부재; 및
용기 하면의 바깥쪽에 구비된 미끄럼 방지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바스켓. - 제 1 항에 있어서, 거치부는
거치부를 잡기 위한 손잡이; 및
거치부를 걸기 위한 걸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바스켓.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9040A KR102688340B1 (ko) | 2022-05-13 | 2022-05-13 | 싱크대용 바스켓 |
CN202221342586.6U CN219374460U (zh) | 2022-05-13 | 2022-05-31 | 水槽用篮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9040A KR102688340B1 (ko) | 2022-05-13 | 2022-05-13 | 싱크대용 바스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59097A true KR20230159097A (ko) | 2023-11-21 |
KR102688340B1 KR102688340B1 (ko) | 2024-07-25 |
Family
ID=8719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9040A KR102688340B1 (ko) | 2022-05-13 | 2022-05-13 | 싱크대용 바스켓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8340B1 (ko) |
CN (1) | CN219374460U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7812U (ko) * | 1999-03-05 | 2000-10-05 | 김승곤 |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
CN111616619A (zh) * | 2020-06-28 | 2020-09-04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多功能果蔬篮 |
CN213216653U (zh) * | 2020-03-10 | 2021-05-18 | 徐丹丹 | 一种多功能水槽置物架 |
CN213850322U (zh) * | 2020-10-09 | 2021-08-03 | 台州市黄岩和兴塑模有限公司 | 一种抽拉式沥水篮 |
KR102290730B1 (ko) * | 2020-06-16 | 2021-08-17 | 유근배 | 식기건조대 |
-
2022
- 2022-05-13 KR KR1020220059040A patent/KR10268834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5-31 CN CN202221342586.6U patent/CN219374460U/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7812U (ko) * | 1999-03-05 | 2000-10-05 | 김승곤 | 진공청소기용 연장관 |
CN213216653U (zh) * | 2020-03-10 | 2021-05-18 | 徐丹丹 | 一种多功能水槽置物架 |
KR102290730B1 (ko) * | 2020-06-16 | 2021-08-17 | 유근배 | 식기건조대 |
CN111616619A (zh) * | 2020-06-28 | 2020-09-04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多功能果蔬篮 |
CN213850322U (zh) * | 2020-10-09 | 2021-08-03 | 台州市黄岩和兴塑模有限公司 | 一种抽拉式沥水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19374460U (zh) | 2023-07-21 |
KR102688340B1 (ko) | 2024-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251874A1 (en) | Collapsible straining device | |
US9730571B1 (en) | Foldable dish rack | |
US9032949B2 (en) | Removable basket assembly for outdoor grill | |
KR20140022598A (ko) | 냉장고용 서랍칸 | |
CA2349884A1 (en) | Dish drainer and tray system with compact storage of the tray | |
CA2844324A1 (en) | Angled collapsible container | |
JP2011254850A (ja) | 弁当容器セットの通い用ケース | |
KR102688340B1 (ko) | 싱크대용 바스켓 | |
KR200473931Y1 (ko) | 캠핑용 멀티 박스 | |
KR100929785B1 (ko) | 밀폐용기용 탈수대 | |
KR20230111306A (ko) | 싱크대용 길이 조절 바스켓 | |
US20150260446A1 (en) | Removable shelf liner | |
US20160100699A1 (en) | Basket with handle | |
US7918361B2 (en) | Lid storage and washing container | |
KR102602278B1 (ko) | 캠핑용 다용도 설거지통 키트 | |
JP5052183B2 (ja) | キッチン収納庫 | |
CN105066574B (zh) | 带托盘的电冰箱抽屉 | |
KR20180002521U (ko) | 싱크대 수납장용 인출식 선반 | |
KR20200109965A (ko) |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 |
CN112040814B (zh) | 可转换食物托盘 | |
CN214712206U (zh) | 一种多功能的沥水置物架 | |
JP3729418B1 (ja) | 食品容器パッケージ | |
JP2003235655A (ja) | ミラーキャビネット | |
KR102119243B1 (ko) | 확장형 주방선반 | |
JP6292498B2 (ja) | 物品棚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